-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노래기 아래쪽이라 하여 아래노래기 또는 하노리로 불린다. 본래 음성군 남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내가곡, 외가곡, 하촌, 능촌 등을 병합하여 하노리라 하고 원남면에 편입되었다. 하노1리 동남쪽에는 오성산[484m]의 줄기인 얼기서리산이, 동쪽에는 왕재(왕현)가, 서쪽에는 낙낙기산(낭나기산)이, 서남쪽에는...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류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하오는 대소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4㎞ 떨어진 곳에 자리 잡고 있는 오류리의 서남부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밤나무골이 있고, 북쪽으로는 오류골과 접하고 있다. 오류골 남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아래오리골이라고도 부른다. 본래 충주군 사다산면 오하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신평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강거리에는 윗강거리, 아랫강거리가 있는데 아랫강거리는 신평리에 속하고, 윗강거리는 쌍봉리에 속한다. 음성군 금왕읍 신평리 북쪽 지역에 있으며, 동쪽으로 황골, 서쪽으로 행제리, 남쪽으로 도도물, 북쪽으로 윗강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강거리는 강구리(康衢里)라고도 불리며, 강거리 또는 강구리를 중심으로 아래쪽에 자리 잡고 있어 아...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신평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강거리에는 윗강거리, 아랫강거리가 있는데 아랫강거리는 신평리에 속하고, 윗강거리는 쌍봉리에 속한다. 음성군 금왕읍 신평리 북쪽 지역에 있으며, 동쪽으로 황골, 서쪽으로 행제리, 남쪽으로 도도물, 북쪽으로 윗강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강거리는 강구리(康衢里)라고도 불리며, 강거리 또는 강구리를 중심으로 아래쪽에 자리 잡고 있어 아...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상평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군 감곡면 상평1리의 남동쪽 지역에 있으며 마을 동쪽으로 외딴터, 서쪽으로 성뜰, 남쪽으로 벌말, 북쪽으로 윗상촌과 각각 접하고 있다. 예전에 안동김씨들이 이곳에 뽕나무를 많이 심어 상촌이라 하였으며, 상촌 아래쪽에 있다고 하여 하상촌(下桑村), 아랫상촌이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忠州郡) 감미곡면(甘味谷面)에 속해 있던 지역...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쌍정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군 맹동면 쌍정3리 서북쪽 지역에 있는 마을로 동쪽으로 맹동면 면사무소 소재지, 서쪽으로 본성리, 남쪽으로 배미, 북쪽으로는 마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정내 아래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아랫정내 또는 하정(下呈)이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통...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동음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군 음성읍 읍사무소에서 서쪽으로 약 6㎞ 지점인 동음1리 남쪽 지역에 있는 마을이다. 동쪽으로 초천리 무직이, 서남쪽으로 바깥섬이, 북쪽으로 윗창골과 각각 접하고 있다. 조선시대 음성현의 사창(社倉)이 있던 마을이라 창골이라 하였으며, 이 창골 밑에 있다 하여 아랫창골, 하창동(下倉洞)이라 불린다. 본래 음성군 근서면에 속해...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상우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군 감곡면 상우2리의 서부 지역에 있으며, 마을 동쪽으로 새터 또는 정동, 서쪽으로 이터골, 남쪽으로 오궁리 궁장과 각각 접하고 있다. 예전에 상아리와 하아리 경계에 마을이 있었다고 하여 아연이라고 불리며, 이 마을에 그릇점이 있었다고 하여 점말이라고도 불린다. 본래 충주군(忠州郡) 거곡면(居谷面)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성본리에 있는 전자, 자동차부품 제조업체. 끊임없는 변화 추구와 첨단 기술 개발로 전자 부품, 자동차 부품 및 생활 용품 부문 등에서 세계 일류 전문 부품 회사로 성장하고 감동과 행복을 주는 기업이라는 가치를 더욱 높이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1987년 일신정공사를 설립하였으며 2000년에 (주)아이에스하이텍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벤처기업에 지정되었다....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리에 있는 전기 회로 장치와 반도체 테스트 부품 제조업체. 전기 회로와 접속 장치 등을 제조하여 한국의 반도체 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설립되었다. 1987년 4월 10일 법인이 설립되었고 1991년 10월 음성공장을 준공하였으며, 2004년 2월 구미영업소가 개설되었다. 처음에는 테스트·번인용 아이시 소킷 전문 제작사인 일본의 야마이찌전기와 합작으로 시...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상곡리에 있는 (주)아트박스의 생산공장. 문구류 디자인 개발과 우수한 품질의 문구 생산을 통해 기업 이윤 창출과 지역 경제 향상에 기여하고자 건립되었다. 1986년 2월 (주)아트박스, 시스맥스 사업부로 발족되었다. 1988년 2월 (주)한국시스맥스 법인을 설립하였다. 1988년 8월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농공단지 입주업체로 선정되었다. 1989년 7월 (주)...
-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는 한 동의 건물 안에 독립된 여러 세대가 살 수 있게 만든 공동 주택. 공동 주택 양식의 하나로 5층 이상의 건물을 층마다 여러 집으로 일정하게 구획하여 각각의 독립된 가구가 생활할 수 있도록 만든 주거 형태이다. 아파트는 건축 대지와 건축 공사비를 절약하고 협소한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4층 이하의 공동 주택은 연립 주택이라 부른다....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주봉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백마산 아래 주봉리 안쪽 골짜기에 있다 하여 내동 또는 안골이라 하였다. 본래 충청북도 음성군 남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내동과 마피동 일부를 병합하여 이곳에 있는 주봉사라는 절 이름을 따서 주봉리라 하고 원남면에 편입되었다. 주봉리에는 내동, 수암, 덕문재, 서당골, 구밭매, 가경재, 봄미터...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두성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군 맹동면 두성2리 남쪽 지역에 있으며 마을 동북쪽의 윗맹골, 북쪽으로 새터(통동리), 서북쪽으로 감나무골 등의 마을이 있다. 두성리 남쪽으로 깊은 안쪽 골짜기에 있다 하여 안골이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忠州郡) 맹동면(孟洞面)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부성리,...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소여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 읍사무소 소재지에서 서북쪽으로 약 5㎞ 지점인 소여1리의 남쪽 지역에 있는 마을이다. 소여1리 남쪽의 안쪽 깊은 골짜기에 있다 하여 안골이라 불린다. 본래 음성군 근서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산양테, 주천, 내동, 대촌, 선가동, 족지곡을 병합하여 소여리라 하여 음성면에 편입되었다....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봉곡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금왕읍 읍사무소 소재지에서 서남쪽으로 약 6㎞ 지점인 봉곡2리 중앙 지역에 있는 마을이다. 마을 남쪽으로는 오향골, 북쪽으로는 평짓말, 동쪽으로는 절골과 각각 접하고 있다. 예전에 부자가 많아 다부(多富)내라 하였으며, 다부내 중 가장 안쪽에 있다 하여 안다부네 또는 내봉(內逢)이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 지역이었으나 19...
-
권행을 시조로 하고 권익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안동권씨(安東權氏)의 시조인 권행(權幸)의 본래 성은 신라 왕실의 후손인 경주김씨였다. 서기 930년 왕건의 고려군이 견훤의 후백제군과 대치하자 김선평(金宣平)·장정필(張貞弼)과 함께 고창군(高昌郡) 병산에서 백제군과 싸워 크게 이겼다. 이에 왕건이 고창군을 안동부(安東府)로 승격하여 식읍으로 내림과 동시에 권씨...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갑산1리에 속하는 동족 마을. 안동권씨의 시조 권행(權幸)의 21대손 영풍군 권길(權吉)의 후손이 임진왜란 후에 소이면 갑산리에서 대대로 살게 되면서 안동권씨의 세거지가 되었으며, 갑산리 정자안 또는 정좌안, 동녘말이 안동권씨의 집성촌이 되었다. 임진왜란 당시 상주 판관을 하던 권길(權吉)이 상주에서 전사한 후 덕고개 부근에 묘를 썼다. 후손들이 갑산리에 살...
-
김선평을 시조로 하고 김혜·김진강·김오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안동김씨는 신라 말에 고창군의 성주였으며 930년(태조 13)에 안동권씨의 시조 권행, 안동장씨 시조 장길 등과 함께 후백제의 견훤 군대를 대파하여 고려 태조로부터 개국공신에 녹훈되고 대광태사를 지낸 김선평을 시조로 후대를 이어오고 있다. 조선시대에 들어 김선평의 후손들은 김극효(金克孝)의 아들 대...
-
충청북도 음성군에 안동김씨가 모여 사는 동족 마을. 사정리 강당말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안동김씨 시조 김선평(金宣平)의 18대손인 김혜(金憓)가 피신하여 들어와 살면서 학문을 연마하고 가르치는 강당을 세워 교육의 장을 마련하였는데, 이 강당에서 마을 이름이 비롯되었다. 임진왜란을 피해 사정리에 들어온 김혜가 벼슬에서 물러나면서 강당말로 들어와 약 18년을 살았는데, 그 이후 안동김...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사정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에서 북쪽으로 약 6㎞ 지점인 사정리의 중앙부 지역에 위치한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강당말, 서쪽으로는 본말·벌터, 북쪽으로는 황새골과 각각 접하고 있다. 사정리의 벌터 안쪽 골짜기에 있다 하여 안말이라 한다. 본래 음성군 근서면 지역으로, 모래우물이 있어 모래물 또는 사정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강당리...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원래 충주군 생동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방축동에 야동리 일부를 병합하여 방축리라는 명칭으로 생극면에 편입되었다. 방축말을 안말이라고도 한다. 마을 뒤 북쪽으로 낮은 산이 있으며, 마을 남쪽과 서쪽으로는 응천이 흐르고 있어 농경지가 잘 발달되어 있다. 방축말 앞...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하천. 금왕읍 무극3리는 바래미(일명 발산 또는 발산동)로서 마을 뒤에는 일제강점기 때 신사가 있었다는 바래미산이 있다. 바래미산 안쪽에서 흘러내리는 하천이라서 이름이 붙여진 안바래미천이 안바람천으로 변한 것이다. 무극리 서쪽에는 둥근 모양의 바래미산[149m]이 있고 바래미산 아래에는 바래미와 용담(일명 용소)이 있다. 용담의 서...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류4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대소면 소재지에서 서북쪽으로 약 4㎞ 지점인 오류리 동북쪽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로 동쪽으로는 새미실, 서쪽으로는 오류골과 각각 접하고 있다. 안산은 오상리와 방금이 앞산이라고 일컫던 곳으로, 1955년 피난 정착민이 이 곳에 들어오면서 마을이 새로 생겨서 안산 또는 피난민촌이라 하였다. 본래 충주군 사다산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태생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마을 생수가 좋고 많이 나서 생골이라 하였으며, 그 안쪽에 있다 하여 내생(안생골)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대조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생동, 태티리의 일부와 천기면의 법평리 일부, 사다면의 천곡리를 병합하여 대소면에 편입되었다. 태생리는 새미실...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안석중은 1903년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갑산리 동역(東驛)에서 출생하였다. 음성공립보통학교와 공주영명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협성신학교를 수료하였다. 일제강점기에 공직에 입문하였으며, 광복 후인 1947년에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부면장을 역임하였다. 1948년부터 1949년까지는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장을 역임하였으며, 소이면장 재임 중에 충청북...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삼생4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에서 서쪽으로 약 6㎞ 지점인 삼생리 서쪽 지역에 위치한 마을로 동쪽으로는 바깥섬이, 서남쪽으로 구진테고개와 각각 접하고 있다. 섬이 안쪽에 있는 마을로 함박산·옥녀봉·매봉재의 각 세 봉우리의 중앙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음성군 근서면 지역으로 삼싱이라 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동음리 일부와 맹...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 능안에 있는 안숙공 권준(權蹲)[1405~1459]의 사우. 부조묘는 사당·사우와 같이 문중의 선대 조상 가운데 중요하게 기억하거나 기릴 만한 분을 대수에 상관없이 영원히 제향하라는 의미에서 건립하는 것이다. 권근 삼대묘가 있는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 능안 초입에 위치하며, 안양공 권반의 부조묘 오른쪽에 있다. 권준 사당은 본래 현재의 위치 맞...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자는 오미(五美). 아버지는 권근(權近)이다. 부인은 해주정씨로 찬성 정이(鄭易)의 딸이다. 1422년(세종 4) 문음(門蔭)으로 종묘부정에 제수되고 1430년(세종 12) 호조좌랑이 되었다. 1434년(세종 16) 종부시판관(宗簿寺判官)으로 강원도와 함길도에 가서 기민 구제 상황을 시찰하였다. 사헌부지평, 1438년(세종 20) 경기경력, 144...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삼생4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에서 서쪽으로 약 6㎞ 지점인 삼생리 서쪽 지역에 위치한 마을로 동쪽으로는 바깥섬이, 서남쪽으로 구진테고개와 각각 접하고 있다. 섬이 안쪽에 있는 마을로 함박산·옥녀봉·매봉재의 각 세 봉우리의 중앙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음성군 근서면 지역으로 삼싱이라 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동음리 일부와 맹...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자화(子華). 가선대부 안응인(安應仁) 아들이다. 일찍이 벼슬길에 올라 동몽교관(童蒙敎官)을 지냈다. 54세로 죽자 승정원좌승지겸경연참찬에 증직되었다. 묘소가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각회리에 있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자는 자룡(子龍), 시호는 안양(安襄). 할아버지는 양촌 권근(權近)이고 아버지는 지재(止齋) 권제(權踶)이다. 형으로 권람(權擥)이 있다. 여러 번 과거를 보았으나 급제하지 못하다가 음보(蔭補)로 현릉(顯陵)의 능지기가 되었고 후에 상서원승(尙瑞院丞)에 이르렀다. 형 권람과 함께 계유정난에 가담하여 1455년(세조 원년) 수충경절좌익공신(輸忠勁節...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있는 안양공 권반(權攀)[1405~1459]의 사우. 부조묘는 사당·사우와 같이 문중의 선대 조상 가운데 중요하게 기억하거나 기릴 만한 분을 대수에 상관없이 영원히 제향하라는 의미에서 건립한다. 부조묘라기보다는 사당이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권근 삼대묘가 있는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 능안 초입에 위치하며, 안숙공 권준의 부조묘 왼쪽에 있...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자는 자룡(子龍), 시호는 안양(安襄). 할아버지는 양촌 권근(權近)이고 아버지는 지재(止齋) 권제(權踶)이다. 형으로 권람(權擥)이 있다. 여러 번 과거를 보았으나 급제하지 못하다가 음보(蔭補)로 현릉(顯陵)의 능지기가 되었고 후에 상서원승(尙瑞院丞)에 이르렀다. 형 권람과 함께 계유정난에 가담하여 1455년(세조 원년) 수충경절좌익공신(輸忠勁節...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통동리에 있는 고개. 음성군 맹동면 통동리 중말에서 진천군 덕산면 두촌리로 넘어가는 193m 높이의 고개이다. 맹동면 통동리 사람들은 음성읍의 음성장이나 괴산군 괴산읍의 괴산장 보다는 말이장고개를 넘어 계곡의 저지를 따라서 보다 쉽게 진천군 진천읍 진천장으로 갈 수 있어 옛날에는 말이장고개를 많이 이용하였다고 한다. 말이장고개는 일명 말지라골, 단양재, 안양...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4월 1일 죽산공립보통학교에서 양재옥(梁在玉) 등과 함께 학생 50여 명을 모아 독립만세를 외치고, 1919년 4월 2일 전교 학생들을 동원하여 태극기를 선두에 세우고 안성군 죽산 지방의 독립 만세 시위를 주동하여 독립 만세를 외치며 행진하다가 체포되었다. 1919년 8월 28일 고등법원에서 「보안법」 위반으로 1년 6개월...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선비 안중성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일제강점기에 세워진 비. 조선시대는 유교 국가로 충과 효를 강조하며 귀감이 되는 사례를 발굴하고 이를 기리기 위한 흔적을 많이 남겼는데, 이것이 충신각, 열녀각, 효자비 등으로 남아 있다. 안중성은 조선 영조 때의 선비이며 효자로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시향(時鄕), 호는 화산처사(花山處士)이다...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안창렬은 1919년 4월 1일 김을경, 이중곤, 권재학, 추성렬, 이교필, 이용호 등이 주도하는 한내 독립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다. 만세 운동이 진행되던 중 군중이 던진 돌에 주재소의 유리창이 깨지는 등 사태가 위급해지자 충주수비대가 파견되었고, 이들의 무자비한 발포로 임신부를 비롯하여 6명이 현장에서 순국하고 4명이 부상당했다....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자는 오미(五美). 아버지는 권근(權近)이다. 부인은 해주정씨로 찬성 정이(鄭易)의 딸이다. 1422년(세종 4) 문음(門蔭)으로 종묘부정에 제수되고 1430년(세종 12) 호조좌랑이 되었다. 1434년(세종 16) 종부시판관(宗簿寺判官)으로 강원도와 함길도에 가서 기민 구제 상황을 시찰하였다. 사헌부지평, 1438년(세종 20) 경기경력, 144...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음력 1월과 10월에 집안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가정의례. 안택고사는 안택(安宅)과 고사(告祀)가 합쳐진 말로 ‘안택’ 또는 ‘고사’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정월 안택’, ‘가을 고사’라 하여 정월에 지내는 의례를 안택, 가을에 지내는 의례를 고사라 일컫는다. 또는 전문적인 무당이나 앉은굿을 하는 법사 또는 복술자(卜術者)를 불러다 치성을 드리는 것을 안택...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음력 1월과 10월에 집안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가정의례. 안택고사는 안택(安宅)과 고사(告祀)가 합쳐진 말로 ‘안택’ 또는 ‘고사’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정월 안택’, ‘가을 고사’라 하여 정월에 지내는 의례를 안택, 가을에 지내는 의례를 고사라 일컫는다. 또는 전문적인 무당이나 앉은굿을 하는 법사 또는 복술자(卜術者)를 불러다 치성을 드리는 것을 안택...
-
예전에는 안택이라고 해서, 집안 편하라고 고사를 많이 지냈다고 한다. 또 집안에 우환이 있거나 이유 없이 든 병을 잡기 위해 굿을 하기도 했다. 무당은 동네 무당도 있고 타동네 무당도 데려다 하기도 했다. 오덕욱 할아버지 댁에서는 굿은 하지 않고 안택만 했다고 한다. 안택은 3년에 한 번 정도씩 시월상달에 생기복덕 가려서 날을 잡고 한다. 무당을 부르지는 않고 계속 기도를 한다고...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대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용대리 중앙 지역에 위치한 마을로, 동쪽으로 바위안, 남쪽으로 마봉산, 서쪽으로 밥깨울과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의 지형이 삼태기처럼 둘러싸인 산 중간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두의곡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율리와 내내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청용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청용리 중앙 지역에 위치한 졸용미 안쪽에 있는 마을이다. 졸용미 서북쪽에 있는 들판 안쪽 깊숙이 자리하고 있는 마을이라 하여 안터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본래 충주군 지내면(枝內面)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청리와 용산리 일부를 병합하여 영청리의 ‘청’자와 용산리...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대리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하천. 용대1리는 안터(일명 내대리)로서 지형이 삼태기처럼 둘러싸인 산의 중간에 있다고 하여 안터라고 부르고 있다. 안터천은 안터로 흐르고 있는 하천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안터 남서쪽에는 다홍산[122m]이, 남동쪽에는 마봉산[186m]이 솟아 있으며, 북쪽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봉화산이 있다. 안터의 동북쪽에는 지대가 높은 마루들...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2월 1일 독립만세 운동에 참가했다가 1920년 안도현(安圖縣)으로 이동하여 대한독립군 편성 때 독립군사령부 조직책으로 활동하고, 1924년 길림성에서 독립군 재건에 활약하며 자유 독립 사상을 고취한 「자유가(自由歌)」를 작사, 작곡하였다. 1924년 길림성에서 독립군 재건에 활약하고, 1930년 한족자치연합회와 생육사(生育...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내숙(內叔), 호는 월창(月窓). 광양군(光陽君) 안황(安滉)의 증손이고, 동몽교관 안시수(安時秀)의 아들이다. 1666년(헌종 7)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정원가주서를 지냈다. 1670년 주서에 임명되었으며 1674년 이후 장령, 필선, 정언을 거쳤다. 1680년(숙종 6) 다시 장령, 정언이 되어 유명견·...
-
비산리 음애동 은 중종조에 좌참찬을 지낸 음애(陰崖) 이자(李耔)가 기묘사화로 파직되어 소이면 비산리 음애동에 우거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비산1리 이명희 할아버지(83세)는 그곳 바위 위에 재실을 짓고 수업하였다고 전해오는 이야기에 대해 말해 주었다. “알지, 알지 그럼. 방죽안 뒤쪽 골짜기에 음애동이라는데 거기 도랑 가생이에 조그마한 바위가 있어. 거기가 음...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통동리에 있는 산. 맹동면의 동부는 산지 지대로서 통동리 저수지의 경우 북부의 소속리산, 서부의 함박산, 동쪽의 덕솔과 암솔, 남쪽의 알봉과 알랑산 등의 산지로 둘러싸여 있다, 산에 나무가 없어 발가벗은 것처럼 보인다고 하여 알봉이라고 한다. 맹동면과 진천군 초평면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데 창말을 사이에 두고 서남쪽의 알랑산[209m]과 마주보고 있고...
-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겉씨식물 은행나무목 은행나뭇과의 낙엽 교목. 은행나무는 충청북도 음성군을 상징하는 나무이며, 전통적인 성목수로 수세가 곱고 수명이 길다. 순결하면서도 노력하고 바르게 사는 군민 상과 무궁한 발전과 군민의 화합·단결을 상징하는 나무이다. 열매껍질이 희다 하여 은빛의 ‘은(銀)’ 자와 열매가 살구 비슷하게 생겼다 하여 살구 ‘행(杏)’ 자를 합하여...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에 있는 골판지 및 골판지 상자 전문 제조업체. 지함, 골판지 및 연포장 제품의 제조를 통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보탬이 되고자 설립되었다. 1983년 3월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 174-3번지에서 경신산업(주)로 창립된 애경그룹 계열사이다. 2004년 6월에 용성리 176-1번지[대청로 305-28]에 공장을 증설하고 상호를 지금의 애경피앤티(주)로 변...
-
갑산리 마을회관에 도착하여 할머니들이 여담을 즐기고 있는 곳을 찾아갔다. 세시풍속을 매우 잘 알거라고 판단하여 “할머니, 설날에는 어떤 음식을 해 드셨어요?” 짧은 물음에 할머니들은 서로 앞다투어 음식의 명칭부터 만드는 방법까지 마치 손녀딸에게 설명하듯 술술 말해 주었다. “설날에 흰떡 빼서 떡국 해 먹고, 부꾸니, 수수 부꾸니, 찹쌀 부꾸니 해먹고…….”라는 말로 시작...
-
조선 중기의 종친이자 문신. 본관은 전주. 자는 군미(君美), 호는 애일당(愛日堂). 효령대군의 현손이며, 강성도정 이견손(李堅孫)의 넷째아들이다. 부인은 청주한씨로 대간 한승정(韓承貞)의 딸이다. 1510년(중종 5) 춘추관기사관, 1511년 예문관검열을 거쳐 홍문관수찬, 검토관, 직산현감이 되었다. 1512년 이조좌랑으로 소릉에 관한 상소를 하였다. 1518년 이조좌랑, 봉상시...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보천리 동쪽에 위치하는 마을로 동쪽으로 보천리 큰말, 서쪽으로는 설매, 동막골과 각각 접하고 있다. 예전 마을에 풀무와 대장간이 있어 야장(冶匠)을 하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음성군 원서면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자은갈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야동·동막곡·곡내·덕현·설매·하리·기리·양촌·삼...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2월 1일 독립만세 운동에 참가했다가 1920년 안도현(安圖縣)으로 이동하여 대한독립군 편성 때 독립군사령부 조직책으로 활동하고, 1924년 길림성에서 독립군 재건에 활약하며 자유 독립 사상을 고취한 「자유가(自由歌)」를 작사, 작곡하였다. 1924년 길림성에서 독립군 재건에 활약하고, 1930년 한족자치연합회와 생육사(生育...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야수(野叟), 호는 소옹(素翁). 아버지는 병조참의 이상급(李尙伋)이다. 아들은 이지술(李志述), 이지도(李志道), 이지규(李志逵)이다. 15세에 사서삼경을 통달하였고 장성하여 장유(張維)에게 수학하였다. 1635년(인조 13)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 진사에 올랐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남한산성으로 호종하여 원종...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안동. 자는 성우(聖友), 호는 야춘(惹春). 참판 김낙회(金樂會)의 아들이다. 김태희가 완도군수로 있을 때 문덕(文德)으로 백성을 이끌어서 군민들이 강무정(降務亭)을 세워 자취를 기록하였다. 벼슬은 참판에 이르렀으나,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1894년 갑오변란 이후 임천(林泉)에 은거하며 지내다가, 1908년(순종 2) 7월 2일...
-
충청북도 음성군 읍성읍 평곡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수정산 서쪽 밑 평곡리 서쪽 지역에 위치해 있는 마을이다. 마을에 약샘이 있어 약물재라 이름 붙였다. 본래 음성군 동도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약현리·기곡리·토계리·평촌리의 일부와 남면의 하노리 일부를 병합하여 평촌리의 ‘평’자와 기곡리의 ‘곡’자 한 글자씩을 따서 평곡리라 하고 음성읍에 편입하였다. 19...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하당리 중앙부 지역에 위치하는 마을로 서쪽으로는 음달말·양지말, 북쪽으로는 뒷벌과 각각 접하고 있는 마을이다. 예전에 이 곳에 약방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음성군 남면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당골의 아래쪽이 되므로 아랫당골 또는 하당동이라 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음월촌·양촌·후촌·동양·당촌·가운을 병...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하당리 중앙부 지역에 위치하는 마을로 서쪽으로는 음달말·양지말, 북쪽으로는 뒷벌과 각각 접하고 있는 마을이다. 예전에 이 곳에 약방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음성군 남면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당골의 아래쪽이 되므로 아랫당골 또는 하당동이라 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음월촌·양촌·후촌·동양·당촌·가운을 병...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육영 사업가. 약산(藥山) 염병화는 편모슬하의 어려운 생활 속에서 가산을 일으켰다. 일제강점기에 한글을 보급하기 위하여 평곡유치원, 일신서당(日新書堂)을 설립하여 이사장으로 육영 사업에 이바지하였다. 광복 후에 평곡공립국민학교를 설립하는 데 재산을 기증하였고, 재정 운영난을 겪자 염병화가 경영하던 채석장 수입 전액을 학교에 기증하기도 하였다. 또한...
-
충청북도 음성군 읍성읍 평곡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수정산 서쪽 밑 평곡리 서쪽 지역에 위치해 있는 마을이다. 마을에 약샘이 있어 약물재라 이름 붙였다. 본래 음성군 동도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약현리·기곡리·토계리·평촌리의 일부와 남면의 하노리 일부를 병합하여 평촌리의 ‘평’자와 기곡리의 ‘곡’자 한 글자씩을 따서 평곡리라 하고 음성읍에 편입하였다. 19...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삼성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2㎞ 지점인 양덕리 중앙에 위치한 마을이다. 동으로는 양덕저수지, 서쪽으로는 음달말·덜너기, 북쪽으로는 대사리 송촌말과 각각 접하고 있다. 동리 서쪽에 있는 마을인데, 마을이 양지바른 곳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지내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으며, 1914...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무극리 동북부 지역에 위치한 마을로 바래미의 일부이다. 바래미는 뒷산이 주발을 엎어놓은 듯 둥글다고 하여 발산(바래미산)이라 하였는 데, 이 바래미의 양당이 드는 곳에 위치한다 하여 양달말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반의리와...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충도4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소이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6㎞ 지점인 충도리 서남쪽 지역에 위치한 마을이다. 마을 동쪽으로 산직말, 서쪽으로 원남면 구안리 큰말, 남쪽으로 갑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충도리는 본래 충주군 사이포면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도남리·양전리에 해당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도남리·양전리·삼고리·원충리 각 일부와 군내면...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쌍정4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쌍정리 동북쪽 지역에 위치한 정내에 딸린 마을로 음촌과 양촌으로 나뉘어져 있다. 양지바른 곳에 있어 양촌, 양달말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상정리와 하정리·중본리·율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맹동면에 편입하였다. 쌍정리는 상정리와 하정리...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인곡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인곡리 서북부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이다. 남쪽으로 음달말과 접하고 있다. 다니골의 북쪽 양지 바른 곳에 있다 하여 양촌, 양달말이라 하였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송동과 하묵리 일부를 병합하여 맹동면에 편입되었다. 인곡리는 연안이씨가 살...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임곡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생극면 소재지에 북쪽으로 약 7㎞ 지점의 임곡리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이며, 동쪽으로 하촌말, 남쪽으로 음촌(음달말), 북쪽으로 임오산과 각각 접하고 있다. 임오산 줄기 남쪽과 팔성산 북쪽으로 양지 바른 곳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산 밑 계곡 속에 있어 품실이라고도 한다. 본래 충주군 생동면 지역이었으나 190...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양곡(良谷)의 ‘양(良)’자와 덕교(德橋)의 ‘덕(德)’자를 따서 양덕리라 불리고 있다. 본래 충주군 지내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덕교동, 양곡리, 대사동리를 병합하여 양덕리라 하고 삼성면에 편입되었다. 양덕1리 동리의 북쪽에는 마이산(472m, 일명 망이산 또는 매산)이...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고인돌은 주로 강을 낀 낮은 구릉 지대나 주변의 자연 지세에 알맞은 골짜기 방향이나 강·해안선을 따라 분포한다. 고인돌은 죽은 사람을 묻은 무덤이 대부분이나 제단으로 쓰인 경우도 있다. 고인돌의 형식은 덮개돌을 받치고 있는 굄돌에 따라 탁자식(북방식)·바둑판식(남방식)·구덩식(개석식) 등으로 나뉘며, 덮개돌 밑에 있는 무덤...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의 동리에서 마을 사람들이 장승에게 공동으로 올리던 제사. 삼성면 양덕리 동리에서 오래 전에 지냈던 동리 미륵 장승제의 신체는 할아버지 미륵 장승과 할머니 미륵 장승이다. 할아버지 미륵 장승은 삼성면 양덕리에 있는 동리저수지를 지나 마을길을 따라가다 보면 나오는 들판 입구 도로 왼쪽 밭둑가 돌무더기 위에 길 쪽을 바라보며 서 있다. 여기에서 논을 사이에...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 중부고속국도 유물전시관에 소장된 고려 전기의 석조 불상. 머리가 없는 석불 입상으로 체구가 당당하며 비교적 큰 불상이다. 두꺼운 법의(法衣)에 감싸여 불신의 굴곡은 느낄 수 없지만 당당한 어깨와 가슴, 듬직하게 서 있는 하체 등에서 중후한 불상의 이미지가 잘 표현되었다. 법의는 통견(通肩)으로 옷주름의 폭이 넓고 두껍게 조각되었는데, 가슴에서 무릎까지...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1리 동리마을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유적은 양덕1리 동리 뒷편 산기슭 산 흐름이 끝나는 밭에 위치한다. 고인돌은 탁자식의 형태를 띠고 있다. 덮개돌은 장축 방향이 NE40°로 산줄기의 흐름과 나란하다. 거정화강암으로 현재의 크기가 285×150×40~60㎝이다. 굄돌은 마구리벽의 한쪽이 없어지고 나머지 세 벽은 비교적 잘 남아 있다. 남아 있는 세...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에 있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유적은 음성군 삼성면 소재지에서 양지회관 방향으로 들어가 동리저수지를 지나 위치한 양덕1리의 우측 산자락 마이산 남쪽 기슭에 위치한다. 유적이 위치한 지역은 마이산의 기슭이라 하더라도 경사가 없는 평지에 가까웠으며, 주변은 밭으로 개간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유물은 지표에서 청자편·백자편·고려 토기 등이 수습되었...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3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자기산포지. 유적은 양덕3리에서 약 30m 떨어진 중부고속국도 상행선 휴게소 뒤쪽에 위치한다. 유물은 주로 ‘작은내’로 이어지는 야트막한 산등성이에서 채집되었다. 유적은 중부고속국도 건설 예정지에 대한 지표 조사 때 확인되었다. 유물이 채집된 범위는 40m×30m이다. 유물은 조선시대 중기 지방 가마에서 구워진 청화백자편이 수습되었...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고인돌은 주로 강을 낀 낮은 구릉 지대나 주변의 자연 지세에 알맞은 골짜기 방향이나 강·해안선을 따라 분포한다. 고인돌은 죽은 사람을 묻은 무덤이 대부분이나 제단으로 쓰인 경우도 있다. 고인돌의 형식은 덮개돌을 받치고 있는 굄돌에 따라 탁자식(북방식)·바둑판식(남방식)·구덩식(개석식) 등으로 나뉘며, 덮개돌 밑에 있는 무덤...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 일대에 조성된 농업 용수 공급 저수지. 양덕저수지로 들어오는 물은 음성군 삼성면 마이산에서 시작된 작은 물줄기가 삼성면 대사리를 지나 양덕저수지로 들어오게 된다. 양덕저수지의 물은 음성군 대소면 오산리 성상천으로 합류하여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저수지로 흘러들고 이후 미호천과 합류하게 된다. 농업 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1942년 1월에 착공하여 1947년...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1리 동리마을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유적은 양덕1리 동리 뒷편 산기슭 산 흐름이 끝나는 밭에 위치한다. 고인돌은 탁자식의 형태를 띠고 있다. 덮개돌은 장축 방향이 NE40°로 산줄기의 흐름과 나란하다. 거정화강암으로 현재의 크기가 285×150×40~60㎝이다. 굄돌은 마구리벽의 한쪽이 없어지고 나머지 세 벽은 비교적 잘 남아 있다. 남아 있는 세...
-
아이를 낳았을 때 삼신할머니께 빌었느냐고 여쭤보았다. 그러자 막내아들이 태어나고 한 동안 잠을 자지 않아서 삼신할머니한테 빌었다는 이야기를 해주었다. 아기가 태어나고 보름 정도가 지났는데 밤에 잠을 자지 않아서 동네 사람들한테 물어보니, 부정을 타서 그렇다며 삼신할머니한테 빌라고 했다. 그래서 방에 짚을 깔고 밥과 미역국을 차려놓고 3일 동안 빌었더니 신기하게도 그 다음날부터 아기...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차평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군 생극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4㎞ 지점인 차평리 서부 지역에 위치한 마을이다. 동으로는 본말, 남쪽으로는 신양리 다농개, 북쪽으로는 담사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본래 충주군 생동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말마리 일부를 병합하여 차평리라 하여 생극면에 편...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학자. 양재연(梁在淵)은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천리에서 태어났다. 호는 우학(友鶴)이며 본관은 남원이다. 아버지는 양현택(梁鉉澤)이다. 1973년 민속 답사를 나갔다 조류에 휩쓸려 사망하였다. 1939년 청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고 1946년에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문학과를 졸업하였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강사와 중앙여자대학 강사를 거쳐 1955년 중앙대...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자는 기지(耆之), 호는 나재(懶齋) 또는 청허자(淸虛子). 아버지는 부사를 지냈던 채신보(蔡申葆)이며 할아버지는 사예(司藝) 채윤(蔡倫)이다. 채수는 1468년(세조 14)에 생원시에 급제하고 1469년에 추장문과(秋場文科)에 장원하여 홍문관부수찬(弘文館副修撰)에 제수되었고, 춘추관기사관(春秋館記事官)이 되어 『세조실...
-
고려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무신. 본관은 죽산(竹山). 귀주대첩에서 공을 세워 음성백(陰城伯)에 봉해진 후 음성박씨(陰城朴氏)의 시조가 되었다. 아버지는 호부상서(戶部尙書) 박인석(朴仁碩)이다. 박서는 무과에 급제한 후 1202년(신종 5)에 아버지가 진주도 안찰부사(按察副使)로 도적을 평정한 공에 의해 내시(內侍)로 근무하게 되었다. 봉선고판관(奉先庫判官)에 임명된 후...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후미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후미리 서쪽 지역에 위치하며 대장리와 경계를 이루는 마을이다. 매봉산 밑에 자리하고 있어 마을이 양지바르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소파면(蘇坡面)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후미1리·후미2리·후미3리의 일부를 병합하여 후미리라 하고 소이면에 편입하였다. 후미리에는 양짓말·음덕골·새터·막...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삼성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2㎞ 지점인 양덕리 중앙에 위치한 마을이다. 동으로는 양덕저수지, 서쪽으로는 음달말·덜너기, 북쪽으로는 대사리 송촌말과 각각 접하고 있다. 동리 서쪽에 있는 마을인데, 마을이 양지바른 곳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지내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으며, 1914...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천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보천리 북쪽에 위치하는 마을로, 동쪽으로 큰말, 서남쪽으로는 개미산, 동남쪽으로는 보내장과 각각 접하고 있다. 보내장터 북쪽에 있는 마을인데, 마을이 양지바르다 하여 양짓말이라 하였다. 본래 음성군 원서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조촌리 일부를 병합하여 보천리라 하고 원남면에 편입되었다. 보천리...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권근의 묘지석. 권근은 1409년(태종 9) 2월에 서거했으며, 같은 해 4월에 경기도 양주군 오포면(현재의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으로 예장(禮葬)하였는데 이때 묘지석이 만들어졌다. 이후 1444년(세종 26) 3월 충주로 이장을 하였는데 이 묘지석은 가져가지 못하고 광 속에 보관하다가 1965년에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 권근 사...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권근의 묘비. 권근(權近)은 자는 가원(可遠), 호는 양촌(陽村)이며, 본관은 안동이다. 1398년(태조 7) 1차 왕자의 난 이후 사병(私兵) 폐지를 주장하여 왕권 확립에 큰 공을 세웠다. 1401년(태종 1) 좌명공신(佐命功臣) 1등으로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에 봉해지고 의정부좌찬성(議政府左贊成)에 올랐다. 사후 좌의정에 추...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천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보천리 북쪽에 위치하는 마을로, 동쪽으로 큰말, 서남쪽으로는 개미산, 동남쪽으로는 보내장과 각각 접하고 있다. 보내장터 북쪽에 있는 마을인데, 마을이 양지바르다 하여 양짓말이라 하였다. 본래 음성군 원서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조촌리 일부를 병합하여 보천리라 하고 원남면에 편입되었다. 보천리...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권근과 그의 부인 경주이씨의 묘표. 매장 시에는 봉분을 만들고 봉분 앞에 묘표석과 혼유석, 상석, 향로석을 배치하고 장명등, 촛대석, 문인석 등의 석물을 세우는 것이 일반적이다. 부부 합장묘의 경우 묘표석을 하나 세워 그 안에 글자를 새기는 것이 일반적이나 좌우에 따로 묘표석을 세우는 경우도 있다. 양촌 권근의 묘소는 경기도 성...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있는 조선 전기 권근과 그의 아들 권제, 손자 권람의 3대 묘소 및 신도비(神道碑). 조선시대의 묘소는 풍수지리에 의해 길한 땅을 택하여 만들어졌는데 왕릉처럼 병풍석(屛風石)을 두를 수는 없었다. 묘 앞에는 석상(石床)을 놓고 양쪽에 망주석을 세웠다. 석상 앞쪽으로는 장명등(長明燈)을 놓고 좌우에 석인(石人)들을 세웠다. 종2품 이상 고관의 묘에는...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쌍정4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쌍정리 동북쪽 지역에 위치한 정내에 딸린 마을로 음촌과 양촌으로 나뉘어져 있다. 양지바른 곳에 있어 양촌, 양달말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상정리와 하정리·중본리·율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맹동면에 편입하였다. 쌍정리는 상정리와 하정리...
-
고려 말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학자. 본관은 안동. 초명은 권진(權晉), 자는 가원(可遠), 호는 양촌(陽村). 증조부는 권부(權溥)이다. 1368년(공민왕 17) 성균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급제하여 춘추관검열·성균관직강·예문관응교 등을 역임하였다. 공민왕이 죽자 정몽주(鄭夢周)·정도전(鄭道傳) 등과 함께 위험을 무릅쓰고 배원친명(排元親明)을 주장하였다. 1390년(공양왕 2) 윤이...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인곡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인곡리 서북부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이다. 남쪽으로 음달말과 접하고 있다. 다니골의 북쪽 양지 바른 곳에 있다 하여 양촌, 양달말이라 하였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송동과 하묵리 일부를 병합하여 맹동면에 편입되었다. 인곡리는 연안이씨가 살...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임곡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생극면 소재지에 북쪽으로 약 7㎞ 지점의 임곡리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이며, 동쪽으로 하촌말, 남쪽으로 음촌(음달말), 북쪽으로 임오산과 각각 접하고 있다. 임오산 줄기 남쪽과 팔성산 북쪽으로 양지 바른 곳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산 밑 계곡 속에 있어 품실이라고도 한다. 본래 충주군 생동면 지역이었으나 190...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충도4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소이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6㎞ 지점인 충도리 서남쪽 지역에 위치한 마을이다. 마을 동쪽으로 산직말, 서쪽으로 원남면 구안리 큰말, 남쪽으로 갑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충도리는 본래 충주군 사이포면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도남리·양전리에 해당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도남리·양전리·삼고리·원충리 각 일부와 군내면...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후미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후미리 서쪽 지역에 위치하며 대장리와 경계를 이루는 마을이다. 매봉산 밑에 자리하고 있어 마을이 양지바르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소파면(蘇坡面)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후미1리·후미2리·후미3리의 일부를 병합하여 후미리라 하고 소이면에 편입하였다. 후미리에는 양짓말·음덕골·새터·막...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열지(烈之), 호는 맹암(孟巖). 아버지는 상서(尙書) 김굉(金紘)이다.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에 음성의 인물로 등재되어 있다. 김영렬(金英烈)[?~1404]은 1394년(태조 3)에 전서(典書)로 있던 중 그해 경기우도수군첨절제사가 되었다. 그 때 연해를 노략질하는 왜구를 물리치는 계책을 올려, 1395년...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에서 전해 내려오는 유희요. 「신고산 타령」은 함경도에서 가장 많이 불리는 민요 중 하나인데 충청북도 음성군으로 전해 오면서 가사가 변형되었다. 「신고산 타령」은 가사의 첫 어절인 ‘신고산이’에서 나온 이름이고, ‘어랑 어랑’하는 후렴구에서 따와서 「어랑 타령」이라고도 부른다. 1994년 음성읍에서 박경신(남, 62)이 구연한 것을 이경우가 채록하여 『충북민요...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후미리에 있는 산. 고려 말기에 조선의 개국공신 배극렴이 이곳에 와서 은거하였는 데 조선 태조 이성계가 세 번이나 찾아와 공사를 논의하고 출사를 간청하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부근의 음성군 불정면 삼방리와 충주시 주덕읍 삼방리 등은 이성계가 세 번이나 배극렴을 찾아 왔다는데서 유래한 마을 이름이다. 북쪽의 충주시 주덕면 신양리와 이류면 금곡리의 경계 부...
-
갑산리는 자연 마을로 분류하면 평짓말, 정자안, 정산말, 탑골, 동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동쪽으로는 중동리, 서쪽으로는 충도리, 남쪽으로는 산을 경계로 괴산군 소수면 수리, 북쪽으로는 봉전리와 경계하고 있다. 봉전리를 지나 갑산리가 시작하는 마을 입구에 들어서면 마을 중앙의 왕복2차로를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보이는 곳이 ‘평짓말(평촌)’이고, 왼쪽이 바로 현재의 갑산2리...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자형(自馨), 호는 연균(緣筠) 또는 어수(漁叟). 유사근(柳士根)의 손자이고, 교리 유승순(柳承順)의 아들이며, 사육신(死六臣) 유성원의 큰 조카이다. 아들로는 서경(瑞卿) 유인종(柳鱗鍾)이 있다. 유계분은 1441년(세종 23) 20세에 진사(進士)가 된 후 1453년(단종 1)에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정자(承...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함종. 자는 성순(聖淳). 아버지는 어용인(魚用仁)이고, 형은 어재연(魚在淵)이다. 어재순은 형인 어재연을 따라 군직(軍職)에 있다가 1871년(고종 8) 신미양요가 일어나자 광성진(廣城鎭)에서 싸우다가 형과 함께 전사하였다. 묘소가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성본리에 있다. 이조참의(吏曹參議)에 증직되었다. 묘 아래에 쌍충재(雙忠齋)를...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함종. 자는 성우(性于). 아버지는 어용인(魚用仁)이고, 아우는 어재순(魚在淳)이다. 어재연은 1866년(고종 3) 충청도병마절도사, 회령부사를 지냈고, 이 해 병인양요(丙寅洋擾)가 일어나 우선봉장(右先鋒將)으로 적을 격퇴하였다. 1871년(고종 8) 2월 도총관을 제수받았으며, 같은 해 6월 신미양요가 일어나자 진무중군(鎭撫中軍)으...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성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어재연·어재순 형제의 묘. 어재연(魚在淵)[1823~1871]은 조선 후기의 무장으로 본관은 함종(咸從), 자는 성우(性于)이며 어용인(魚用仁)의 아들이다. 1866년(고종 3)에 충청도 병마절도사, 회령부사를 지냈고, 그 해에 병인양요가 나자 우선봉장으로 강화도 광성진을 수비하여 적을 격퇴시켰다. 1871년(고종 8) 2월 도총관...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성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어재연·어재순의 신도비(神道碑). 신도비는 보통 정2품 이상의 벼슬을 한 사람의 묘소 입구에 세우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어재연은 1871년(고종 8) 도총관을 제수받았으며, 순직 후 병조판서(兵曹判書)에 오르고 충장(忠壯)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동생 어재순은 현직에 있을 때 2품관에 이르지 못하였고, 순직 후에도 이조참의(吏曹參議)로...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의병. 최난수는 임진왜란때에 충청북도 음성에서 의병을 일으켜 전공을 세우고서도 조정의 포상을 사양한 뒤 전사한 의인이다. 최난수(崔鸞壽)은 고려 좌참찬 최유경(崔有慶)의 5세손이고, 선략부호군 최우령(崔禹齡)의 아들이다. 최난수는 참봉을 제수하였으나 나가지 않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반인후(潘仁後)와 더불어 의병을 모집하여 전과를 올렸다. 도(...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언술(彦述). 할아버지는 교리를 지낸 정수곤(丁壽崑)이고, 아버지는 현감을 지냈던 정담(丁聃)이다. 1504년(연산군 10)에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에서 태어나 생활하였으며, 26세인 1530년(중종 25)에 생원시에 급제하고 이어 벼슬이 별좌에 이르렀다. 묘소는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산봉오리 위에...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병암리에 있는 산. 월규산을 월계산(月桂山) 또는 얼기산이라고도 한다. 얼기산은 전설에 의하면 옛날 부잣집 열녀나 과부들이 얼기산 계곡에서 얼개빗으로 항상 머리를 감고 빗었다고 하여 유래된 이름이다. 병암리의 만담리의 북쪽에 있는 장자산의 한 지맥이 북동쪽으로 뻗어 형성된 비교적 낮은 산이다. 청미천의 지류가 남쪽에서 흘러 월규산 부근에서 서북류하기 때문에...
-
조선시대 충청북도 음성군에 살았던 열녀. 본관은 전주. 아버지는 이해상(李海相)이다. 24세 때 남편이 병이 들자 입에 피를 흘려 넣기 위하여 손가락을 자르려 하였으나 칼이 없어 돌로 찍고 이로 물어뜯어 피를 흘려 넣어 소생시키고 3개월을 더 살게 하였다. 어린 아들을 잘 길러서 집안을 바로 세웠다....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비산1리에 있는, 조선시대에 충주목사를 역임한 엄찬의 선정비. 목사 엄찬 진휼비(牧使 嚴讚 賑恤碑)는 총 높이가 168㎝이고, 비신은 높이 110㎝, 앞면 67㎝, 측면 34㎝이며, 개석(蓋石)은 높이 59㎝, 앞면 76㎝, 측면 40㎝이다. 방부(方趺)는 높이 9㎝, 앞면 75㎝, 측면 40㎝이다. 비석 앞면에는 ‘목사엄후찬진휼혜선비(牧使嚴侯讚賑恤惠善碑)’...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성본리에 있던 (주)에스티엔아이의 생산공장. (주)에스티엔아이는 반도체, 통신 전자 부품 등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회사로 기업 활동을 통한 이윤 추구와 음성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1994년 5월 (주)메디아나전자 음성공장을 준공하였다. 2005년 1월 (주)메디아나전자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2006년 11월 (주)메디아나전자와 나오엘...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상곡리에 있는 침대 제조업체. 기업 활동을 통한 이윤 창출과 지역 경제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주)에이스침대는 매트리스 및 내장 침대 제조업체로 1963년 에이스침대공업사로 설립하여 1977년 7월 (주)에이스침대로 법인을 전환하였다. 주요 사업은 침대, 가구 제조이다. (주)에이스침대 음성공장은 1992년 4월에 준공되었다. 에이스침대 공학연...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본관은 창녕(昌寧). 창녕성씨 시조 성인보(成仁輔)의 22세손이고, 성일교(成一敎)의 6세손이다. 성덕주(成德周)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성덕후(成德厚)의 양자가 되었다. 부인은 순흥안씨(順興安氏) 안진하(安鎭夏)의 딸로 문성공 안유(安裕)의 후손이다. 성기동(成耆東), 성기형(成耆亨), 성기환(成耆煥) 세 아들을 두었다. 1834년 충청북도...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고려시대 서운부정(書雲副正)을 지낸 민함계(閔咸啓)의 손자이고, 고려 후기 문신이었던 민백훤(閔伯萱)의 아들이다.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민발(閔發)이 아들이다. 민수산은 어려서부터 글을 잘하여 1382년에 어전 시회(詩會)에서 장원하였다. 1411년(태종 11)에 어머니가 죽자 형제인 민방보(閔邦寶)와...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정선(旌善), 자는 여견(汝見), 호는 석천(石泉). 정선전씨 안동파로, 아버지는 호조판서 전응조(全應祖)이며, 전용은 5명의 아들을 두었다. 성품이 헌칠하고 우뚝하여 일찍이 궁마(弓馬)와 기예(技藝)를 익혔다. 임진왜란을 만나 사복시(司僕寺)에 속하여 임금·세자 등이 탄 말을 끌던 종7품 잡직인 견마배(牽馬陪)로 선조를 호위하며 뒤...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이자 순천박씨 음성 입향조.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여구(汝久). 아버지는 판서를 지낸 박원상(朴元象)이고, 아들은 단종 때 중부녹사(中部錄事)를 지낸 박추(朴樞)이다. 박팽년(朴彭年)은 그의 종손(從孫)이다. 박장생은 문과에 급제한 후 이조판서를 거쳐 대제학(大提學)에 이르렀으나 만년에는 개성윤(開城尹)에서 물러나 산수(山水)를 소요하며...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본관은 음성. 자는 여구(汝久). 충민공 박순(朴淳)의 12세손이다. 할아버지는 진사 박성구(朴聖龜), 아버지는 지평 박정완(朴廷琓)이다. 부인은 문화유씨 유철모의 딸로 정조 때 정려를 받았다. 박장흠은 1754년(영조 30) 소과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 초명은 기주(箕疇). 자는 여구(汝九), 호는 직재(直齋). 귀천군(龜川君) 이수(李晬)의 증손이고, 부사과 이숙(李塾)의 아들이다. 이기홍은 어려서부터 지혜가 뛰어나 수년 만에 사서삼경을 모두 읽었고, 약관의 나이에 위기지학(爲己之學)에 뜻을 두어 이지렴(李之濂)에게 수학했다. 1665년 송준길(宋浚吉)에게 학문의 요결을 배우고, 송시열(宋時烈)...
-
조선시대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字)는 여균(汝均), 호(號)는 정암(精菴). 평소 효심이 지극했던 김순은 아버지 상을 당하자 마을 뒷산에 모시고 추운 겨울에도 매일 시묘를 하여 손가락이 얼어서 일곱 개가 떨어져나갔다. 그러므로 세상 사람들이 그를 칠지효(七指孝)라 불렀다. 그가 아버지 묘에서 시묘하는데 밤에는 큰 범이 와서 같이 지냈으며, 낮에는...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1889년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소여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남호중(南鎬重)이다. 천도교 음성교구에서 활발한 선교 활동을 하였다. 1923년 종리원(宗理院) 종리사에 임명되었고, 교인들과 함께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모금한 쌀을 천도교 중앙회에 보내는 직책을 맡았는데, 그 쌀이 독립군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면서 1925년 7월 일본 경찰에 연행...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경주. 자는 여망(汝望), 호는 남곡(南谷). 상촌 김자수(金自粹)의 후손으로, 증조부는 십청헌(十淸軒) 김세필(金世弼), 아버지는 별제 김중경(金重慶)이다. 어머니는 전주이씨로 보성군 이만년(李萬年)의 딸이다. 부인은 창녕성씨로 부제학 성진선(成晋善)의 딸이다. 아들로 김진곤(金振坤)·김약곤(金躍坤)·김우곤(金遇坤)이 있다. 김의는...
-
조선 중기 음성현감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벽진. 자는 여무(汝懋), 호는 외재(畏齋). 이엄(李儼)의 아들이다 이후경은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영남에서 명유(名儒)로 추앙을 받았다. 광해군 때에 학행으로 천거를 받아 세자익위사세마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였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에 강화로 왕을 호종하고 돌아와, 이듬해 음성현감이 되었다. 1630년 72세로 죽자 병조참의에...
-
송유익을 시조로 하고 송시철과 송서석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시조 송유익(宋惟翊)은 고려 때 진사로 나라에 공을 세워 여산군(礪山君)에 봉해졌다. 고려 충렬왕 때 중찬(中贊)을 지낸 송송례(宋松禮)의 아들 대에서 5파로 갈라졌다. 조선시대에 정승 2명과 왕비 1명, 그리고 많은 판서급 인물을 배출했는데, 특히 지신공파와 정가공파에서 많은 인물이 나왔다. 200...
-
박재순 할머니는 요즘엔 틈틈이 예전에 시어머니께서 어느 절에서 적어 온 「백발가」와 외가댁에서 보고 암송해 온 「치가의 노래」를 적어놓고 읽어본다. 따로 글도 쓰는데 그날의 일기와 예전에 시집살이 했던 것을 정리하고 있다. 『부용』지 낼 때 내려고 했었는데 김장일 할아버지가 못 하게 해서 못 실었다. 분량은 많지 않고 한 권 정도로만 마무리 지을 생각 하고 있다. 손녀가...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남석린(南錫麟)[1852~1918]은 1876년(고종 13)에 무과에 급제하고, 1887년(고종 24) 영월군수, 1891년(고종 28) 나주영장·삼수군수를 역임하였다. 1900년(고종 37)에 고향으로 돌아와 음성읍에 광명학교(光明學校)를 개설하고 박제익(朴齊翼), 조충하(趙忠夏), 남궁모(南宮模) 등과 함께 협력하여 교육 사업을 하여 지...
-
고려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흥(驢興). 아버지는 서운부정(書雲副正)을 지낸 민함계(閔咸啓)이고, 아들은 조선 초기 문신인 민수산(閔壽山), 손자는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공신에 오른 민발(閔發)이다. 민백훤은 어렸을 때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전평리 새눈이에서 살았으며 1374년(우왕 즉위) 11월에 전공판서(典工判書)로 사신이 되어 밀직사...
-
늘거리마을 은 마을 입구에서 조금 들어가다 보면 오른쪽으로 현재 이장을 맡고 있는 황경구 이장님(42세)댁이 보인다. 지은 지 얼마 안 되는 벽돌집은 농사를 짓는지 트랙터와 경운기들이 있었고 아이들이 타고 노는 작은 그네가 있었다. 집으로 들어가 이장님과 인사를 나누고 난 뒤, 문촌리에서 터전을 잡고 있는 황경모 할아버지(82세)와 이복연 할머니(75세)를 만날...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음성(陰城). 자는 여진(汝進), 호는 죽남(竹南). 아버지는 부사용 박상채(朴尙彩)이다. 도암(陶菴) 이재(李縡)에게 배웠는데, 학문을 좋아하며 대의를 위한 절개가 있었다. 1721년(경종 원년) 태학생 윤지술(尹志述)의 피화 사건을 듣고는 더 이상 서울에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고기를 잡고 나무를 하며 지냈다....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항(汝恒), 호는 설파(雪坡). 1819년(순조 19)에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서 태어나 1851년(철종 2) 32살에 정시문과에 급제하였다. 사헌부집의까지 지냈으나,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에 돌아와 시와 술을 벗 삼으며 여생을 보냈다. 저서로 『설파집(雪坡集)』을 남겼다. 묘소는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새고...
-
민칭도를 시조로 하고 민백훤과 민덕룡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시조는 공자의 열 제자 가운데 한 사람인 노나라 민자건(閔子騫)의 후손 민칭도(閔稱道)로, 민칭도는 고려에 사신으로 들어왔다가 귀화하여 여흥에 정착하였다. 고려 때부터 명문 가문이었으며, 수정승 민지(閔漬)를 시조로 하는 문인공파(文仁公派)와 대제학(大提學) 민적(閔頔)을 시조로 하는 문순공파(文順公...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사창리에 속하는 여흥민씨의 동족 마을. 시조 칭도(稱道)의 11대손 여원군(驪源君) 민백훤(閔伯萱)이 고려 말에 금왕면 본대리 새눈이(현 삼성면 천평리)에 거주하고 후손이 금왕읍 봉곡리에 세거하였다. 또한, 16대손 민덕룡(閔德龍)이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월곶리에 살다가 금왕읍 신평리로 와서 세거하였다. 그 뒤 사창리에 사당을 지으면서 사창리가 여흥민씨의 세...
-
전통시대 충청북도 음성군에 설치된 통신 및 교통 제도. 역원(驛院)은 역관(驛館), 역참(驛站), 우역(郵驛)이라고도 하였는데, 신라 소지왕 때인 487년(소지왕 9) 처음으로 우역(郵驛)이 설치되었다. 그 뒤 통일신라시대 이후 9주(九州) 5소경(五小京)이 설치되는 등 지방 제도가 확립되고 중앙 관리의 지방 출장 및 상인과 여행자의 왕래가 증가함에 따라 그 기능이 활발해졌고, 고...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4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읍내리의 중서부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로 미리약국이 있는 삼거리 서북부 지역의 마을이다. 조선시대에 충주 연원찰방에 속하던 감원역(坎原驛)이라는 역이 있었던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음성군 동도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읍상리·읍하리·역촌과 평촌·남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읍내리...
-
충청북도 음성군의 선사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역사. 충청북도 북부 지역은 구석기를 비롯하여 국내외에 널리 알려진 선사시대의 유적지가 많다. 따라서 이들 지역과 인접한 음성에서 일찍부터 사람들이 살았을 개연성이 높다. 실제로 삼성면 용성리에서 석영질 암석으로 만든 찍개와 긁개, 밀개 등의 연모가 출토됨으로써 음성 지역의 구석기시대와 문화의 존재를 입증하였다. 청동기문화를 대표하...
-
전통시대 충청북도 음성군에 설치된 통신 및 교통 제도. 역원(驛院)은 역관(驛館), 역참(驛站), 우역(郵驛)이라고도 하였는데, 신라 소지왕 때인 487년(소지왕 9) 처음으로 우역(郵驛)이 설치되었다. 그 뒤 통일신라시대 이후 9주(九州) 5소경(五小京)이 설치되는 등 지방 제도가 확립되고 중앙 관리의 지방 출장 및 상인과 여행자의 왕래가 증가함에 따라 그 기능이 활발해졌고, 고...
-
갑산2리 동역마을로 찾아가 할머니들께 마을에 관한 여러 가지에 대해 여쭤 보았다. 마을 어르신들은 마을에서 매우 오랫동안 살았고, 여러 가지 마을 이야기에 대해 잘 알고 있다는 권오성 할아버지를 소개해 주었다. 친절하게 집이 어디에 있는지까지 알려주어서 찾아가 보니, 할아버지께서 반갑게 맞이해 주었다. 동역마을에서 태어나셔서 현재까지 77년을 사셨다는 권오성 할아버지는...
-
전통시대 충청북도 음성군에 설치된 통신 및 교통 제도. 역원(驛院)은 역관(驛館), 역참(驛站), 우역(郵驛)이라고도 하였는데, 신라 소지왕 때인 487년(소지왕 9) 처음으로 우역(郵驛)이 설치되었다. 그 뒤 통일신라시대 이후 9주(九州) 5소경(五小京)이 설치되는 등 지방 제도가 확립되고 중앙 관리의 지방 출장 및 상인과 여행자의 왕래가 증가함에 따라 그 기능이 활발해졌고, 고...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4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읍내리의 중서부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로 미리약국이 있는 삼거리 서북부 지역의 마을이다. 조선시대에 충주 연원찰방에 속하던 감원역(坎原驛)이라는 역이 있었던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음성군 동도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읍상리·읍하리·역촌과 평촌·남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읍내리...
-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용담목 물푸레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개나리는 산기슭 양지에서 많이 자란다. 충청북도 음성군을 상징하는 꽃이다. 강인한 번식력은 군민의 불굴의 투지와 단결·번영을 의미한다. 노란색의 꽃은 온화하고 따뜻한 감을 주며, 봄의 첨단을 걷는 개척 정신과 희망찬 미래를 상징한다. 개나리의 길이는 약 3m이고 가지 끝이 밑으로 처지며, 잔가지...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자형(自馨), 호는 연균(緣筠) 또는 어수(漁叟). 유사근(柳士根)의 손자이고, 교리 유승순(柳承順)의 아들이며, 사육신(死六臣) 유성원의 큰 조카이다. 아들로는 서경(瑞卿) 유인종(柳鱗鍾)이 있다. 유계분은 1441년(세종 23) 20세에 진사(進士)가 된 후 1453년(단종 1)에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정자(承...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배우가 무대 위에서 동작과 대사를 통하여 표현하는 예술 형태인 연극과 스크린 상에 움직이는 영상을 이르는 영화를 아울러 이르는 말. 연극은 삶의 근원적이고 총체적인 경험에 기원을 두고 있어 다른 어떤 문화적 산물 못지않게 역사적·지역적·민족적 소산인데 반해 영화는 제작 과정에 창조적 요소와 기계적·기술적 요소 그리고 경제적 요소가 합쳐져서 만들어진다. 따라서 한...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밀양. 자는 연길(年吉), 호는 의당(毅堂). 묵재(黙齋) 박경상(朴景祥)의 8세손이다. 아버지는 박기숙(朴紀淑)이다. 함경남도 고원군 남흥리에서 태어났다. 1860년(철종 11) 어머니의 병환에 손가락을 잘라 피를 먹여 소생시켰다. 1870년(고종 7) 향리 사람들이 그 효성에 감동하여 포상을 진정하려 하자 부끄럽다며 진정서를...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용성리 동남쪽 지역에 위치하는 마을로 남쪽으로는 건너말, 서북쪽으로 성미와 각각 접하고 있다. 본래 충주군 지내면(枝內面)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성산리·원하리·원동·가산동·사천리·용산동 일부를 병합하여 용산동의 ‘용’자와 성산리의 ‘성’자를 따서 용성리라 하여...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상업적 목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특화 작물. 원산지는 남아메리카 중앙부 고원지이며, 1558년 스페인 왕 필립2세가 원산지에서 종자를 가져와 관상용 및 약용으로 재배하면서부터 유럽에 전파되었다. 현재는 북위 60°에서 남위 40°에 걸쳐 전 세계에서 재배되고 있다.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품종으로는 재래종과 황색종, 벌리종(Burley), 터키종 등이 있다. 이...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삼호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삼호리의 동쪽에 위치하는 마을로 쇠머리·작은죽골·연호동·가래몽지 등의 마을과 함께 삼호리를 이루고 있는 자연 마을이다. 마을 앞은 들이 넓고 물이 풍부하여, 들에 물이 차면 호수와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사다산면(沙多山面)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 자는 열경(說卿), 호는 사산(司山).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반석평(潘碩坪)의 후손이고, 아버지는 반진홍(潘鎭洪)이다. 반필순은 문장에 능하고 덕행이 있어 사우간에 추앙되었다. 성균관 과거에 합격하여 통덕랑(通德郞)이 되었으며, 1892년(고종 29) 음성향교 장의(掌議)로 있다가 1893년 금영 이시에 1등으로 뽑혔으나 발...
-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서 전통시대에 목숨으로 정조를 지켰거나 남편을 위해 지극한 정성을 다한 부녀자. 열녀란 위난을 당하여 목숨으로 정조를 지켰거나 또는 오랜 세월에 걸쳐 고난과 싸우며 수절한 부녀자로 일반적으로 열녀와 열부(烈婦)를 통칭한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충효열 관념이 삼강오륜(三綱五倫)이라는 형태로 정치적·사회적 규범으로 체계화되면서 열녀는 사회적인 중요성을 강화해갔다. 열...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열지(烈之), 호는 맹암(孟巖). 아버지는 상서(尙書) 김굉(金紘)이다.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에 음성의 인물로 등재되어 있다. 김영렬(金英烈)[?~1404]은 1394년(태조 3)에 전서(典書)로 있던 중 그해 경기우도수군첨절제사가 되었다. 그 때 연해를 노략질하는 왜구를 물리치는 계책을 올려, 1395년...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이자 한의사. 고려 말 명상 염제신(廉悌臣)의 17세손이다. 염두경은 어려서부터 남달리 영민하고 슬기로워 문학에 전념하였으나 과거에는 뜻이 없고 질병에 허덕이는 만민을 구제할 인술에 뜻을 두어 정진하더니 신기한 의법에 정통하여 신의(神醫)로 이름을 날렸다. 각지에서 난치환자가 쇄도하였는데 누구나 구하기 쉬운 생약으로 고칠 수 없는 병에 특효를 보인 일이...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육영 사업가. 약산(藥山) 염병화는 편모슬하의 어려운 생활 속에서 가산을 일으켰다. 일제강점기에 한글을 보급하기 위하여 평곡유치원, 일신서당(日新書堂)을 설립하여 이사장으로 육영 사업에 이바지하였다. 광복 후에 평곡공립국민학교를 설립하는 데 재산을 기증하였고, 재정 운영난을 겪자 염병화가 경영하던 채석장 수입 전액을 학교에 기증하기도 하였다. 또한...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1933년 음성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제강점기에 일본 항공학교를 수료하였다. 1941년 음성군에서 처음 공직을 시작하였으며, 1947년에는 충주군 농촌지도주사, 1948년에는 음성군 성인교육장학사(成人敎育獎學士), 양정계장(糧政係長), 서무계장 등을 역임하였다. 1962년 음성읍장으로 임용되었고 1963년에는 공화당 정당활동에 참여하였으며 196...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상업적 목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특화 작물. 원산지는 남아메리카 중앙부 고원지이며, 1558년 스페인 왕 필립2세가 원산지에서 종자를 가져와 관상용 및 약용으로 재배하면서부터 유럽에 전파되었다. 현재는 북위 60°에서 남위 40°에 걸쳐 전 세계에서 재배되고 있다.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품종으로는 재래종과 황색종, 벌리종(Burley), 터키종 등이 있다. 이...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향토 사학자. 윤병준(尹秉俊)[1922~1992]의 호는 영구당(靈龜堂)이다. 윤병준은 1948년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였고, 1958년에 육군대학을 졸업하였다. 1965년 음성군 향토문화연구소를 개설하여 전통문화의 발굴·채록·보존을 위하여 사재를 털어가며 향토 문화를 연구하였다. 1973년 음성민속거북놀이를 발굴·재현하였으며, 1974년에는 한국일보사 주최...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충도리에 있는 순창조씨(淳昌趙氏) 문중의 사당. 사당은 문중 조상들의 위패를 봉안하고 제사를 지내기 위한 공간으로, 순창조씨 문중에서 81위의 선조를 모시기 위해 1989년에 세웠다.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에서 516번 도로를 따라 소이면 쪽으로 가다 보면 음성천과 석인교라는 다리가 나온다. 석인교 100m 못 미쳐 좌측 충도리 마을로 들어가면 충도1리 중간...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육령리에 있는 산. 북쪽으로 칠성산[323m]과 연결되어 있고 더욱 북쪽으로 나아가면 용바위산[347m]·이진봉[231m] 등의 산과 연결되어 있다. 영산의 서쪽 골짜기에는 계곡수가 흘러 금왕읍 금석리의 버드실에 이르러서는 바드실제라는 소류지가 된다. 바로 남쪽에는 1981년에 축조된 금석저수지(일명 육령저수지)가 있다. 금석저수지는 낚시터로 알려져 있고 금...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에 속하는 행정리. 영촌과 공산리의 ‘영’자와 ‘산’자 각 한 글자씩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감미곡면(甘味谷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거동리(巨洞里)·영촌리(嶺村里)·공산리(公山里)의 일부를 병합하여 영산리라 하여 감곡면에 편입되었다. 동쪽에 원통산[645m]과 행덕산[447m]이 있...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영산리에 있는 산제당. 영산리 산제당은 영산리 잿말에 있는 원통산의 산제당골에 자리잡고 있다. 원래 자연 상태의 평평한 바위에서 제사를 올리며 산제당으로 불렀는데, 몇 해 전부터 컨테이너 박스를 가져다 놓고 제당으로 이용하고 있다. 정월 초하룻날 마을 사람 중에서 덕망 있고 참신하며 부정을 타지 않은 사람으로 제관 두 명을 뽑는다. 제관으로 뽑힌 사람은 목욕...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영산리 잿말에서 음력 정월 3일 산신에게 올리는 제의. 잿말은 원통산(怨慟山) 서쪽에 있는 마을로, 감곡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8㎞ 지점에 위치한다. 동쪽으로는 원통산(대산), 서쪽으로는 공산정, 남쪽으로는 월정리, 북쪽으로는 우실고개와 접하고 있다. 산제당은 원통산 8부쯤 되는 곳에 있는 산제당골이라 부르는 계곡에 당집 대신 콘테이너 박스로 되어 있다. 영...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원통산에서 발원·서류하여 주천리의 감곡저수지로 흘러드는 하천. 원통산 아래의 영산리를 거쳐 흐르고 있는 하천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동부에는 원통산[645m]이 솟아 있고 남쪽에는 365고지가 있으며, 북쪽에는 434고지가 있다. 영산리에서 월정리로 넘어가는 곳에는 잿말고개가 있고 잿말(일명 재말 또는 영촌)에서 오향리 살구나무정이로 넘어가는 곳에는 후...
-
청주에서 36번 국도를 타고 증평을 지나 한 40분 정도 가면 음성군이 나온다. 음성군 음성읍을 지나 음성중학교와 음성역 방향으로 우회전을 하면 소이면으로 갈 수 있다. 음성역에서 괴산 방향으로 10분 정도 가면 소이초등학교를 지나 갑산리로 들어가는 길목이 나온다. 그 길로 우회전해서 들어가면 봉전리를 지나 갑산2리와 갑산1리가 왕복2차로를 경계로 좌측과 우측으로 나뉘어...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본관은 인천. 자는 영이(詠而), 호는 우담(雩潭). 아버지는 채유종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삼용리에서 출생하였다. 경사백가에 통달하고, 특히 역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지리·의학·복서·음율 등에 밝았다. 1630년(인조 8) 천문을 관측해 보고 1636년(인조 14)에 병자호란이 있을 것을 예측하고 고향인 음성군 원남면 삼용리 물언덕에...
-
이문한을 시조로 하고 이의제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시조는 고려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 이문한(李文漢)이며, 그의 후손인 신호위대장군(神虎衛大將軍) 이대영(李大榮)·봉승랑(奉承郞) 이중영(李仲榮)·문하시중평장사 이수춘(李守椿)을 각각 중시조로 하는 파가 있다.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39명을 배출했다. 대표적 인물로는 이종검(李宗儉)·이보흠(李甫欽)·이...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청용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청용리 중앙 지역에 위치한 마을로 졸용미 서북쪽에 위치한다. 마을이 백운산의 정기를 타고 생긴 마을이라 영원히 푸르게 발전할 마을이라 하여 영청(永靑)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본래 충주군 지내면(枝內面)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청리와 용산리 일부를 병합하...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영산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감곡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약 8㎞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은 원통산, 서쪽은 주천리, 남쪽은 월정리, 북쪽으로는 사곡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고개가 있어 붙여진 마을 이름이며, 영촌(嶺村)이라고도 한다. 본래 충주군 감미곡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거동·영촌·공산리·외주리·장...
-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용담목 물푸레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개나리는 산기슭 양지에서 많이 자란다. 충청북도 음성군을 상징하는 꽃이다. 강인한 번식력은 군민의 불굴의 투지와 단결·번영을 의미한다. 노란색의 꽃은 온화하고 따뜻한 감을 주며, 봄의 첨단을 걷는 개척 정신과 희망찬 미래를 상징한다. 개나리의 길이는 약 3m이고 가지 끝이 밑으로 처지며, 잔가지...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응선(應善). 문충공(文忠公) 권근(權近)의 6세손이다. 아버지는 사직 권익(權翊)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갑산리에 살았다. 음보로 기용되어 1590년(선조 23) 금산제원찰방, 군위현감(軍威縣監)을 역임하였으며 치적으로 비단을 하사받았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당시 상주판관(尙州判官)으로 동래부(...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용계리에 있는 콘크리트 조립 구조물 제조 회사. 기업 활동을 통한 이윤 추구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보탬이 되고자 설립하였다. 1990년 4월 3일 대신건설(주)로 설립되었다. 1992년부터 콘크리트 말뚝을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2006년 2월 법인명을 영풍파일(주)로 변경하였다. 2014년 11월 아이에스동서에서 영풍파일(주)을 인수하였다. 건설 산업 기초...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육령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예순터는 육령리 동남쪽 지역에 위치하며 부용산 북쪽 자락에 자리한 마을이다. 마을에서 호랑골로 갈 때 예순 명 이상의 사람이 있어야 무사히 넘을 수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으로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능동·육십리·기령리·묵방리를 병합하여 육십리의 ‘육’...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육령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예순터는 육령리 동남쪽 지역에 위치하며 부용산 북쪽 자락에 자리한 마을이다. 마을에서 호랑골로 갈 때 예순 명 이상의 사람이 있어야 무사히 넘을 수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으로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능동·육십리·기령리·묵방리를 병합하여 육십리의 ‘육’...
-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에서 창작되거나 전승되고 있는 미적 표현물이나 표현 행위. 충청북도 음성 지역은 지형적으로 궁벽하지만 농경 문화를 기반으로 해 왔으며 산업화 속에서도 농촌의 고유성이 짙은 구비·민요·농요가 전승되어 왔다. 음성 민요의 경우 음성 지역이 경기도·강원도와 접하고 있어 두 지방의 민요가 혼합되어 있으며 노동요가 많다. 노동요로 「모찌기 노래」·「모심기 노래」·「상여...
-
비산리는 네 개의 행정리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 비산1리는 비선거리와 방죽안으로 나뉘어져 있다. 비선거리 마을은 현재 지도에 비선거리라고 표시되어 있는데 마을 이름에 대하여 이 마을의 이명희 할아버지(83세)는 “원래 비석거리라고 다들 불렀는데 그게 와전돼서 비선거리가 된 거지.”라고 말해주었다. 비선거리에는 큰 규모를 자랑하는 사찰인 미타사가 위치하고 있고...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문촌리에 있는 산. 『여지도서』·『대동지지』·『호서읍지』 등에서는 오갑산(烏甲山)으로 나타나 있고, 『음성읍지』와 『조선환여승람』에서는 오갑산(梧甲山)으로 나타나 있는데 남쪽의 수리산의 줄기라고 기록되어 있다. 오갑산의 주변 지세는 매우 험하나 남부의 문촌리·상우리 일대는 사곡천이 서류하여 왕장리에서 청미천에 유입되고 있다. 오갑산의 정상에는 큰 바위 두 개...
-
문촌리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마을이 웃오갑과 주추배기이다. 두 마을은 서로 인접해 있어서 한 마을이라고 해도 될 만큼 가깝고 사이좋은 마을이라고 한다. 문촌리는 오갑산 아래 넓은 들이 어우러져 있는 마을이다. ‘오갑산’은 웃오갑과 주추배기 뒤편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609m로 지형이 험준하지 않고 경관이 매우 수려하다. 오갑산 중턱에는 ‘진터’가...
-
음성군 감곡면 문촌리는 음성군의 북동쪽에 위치하며 서쪽으로는 여주, 동쪽으로는 충주와 닿아 있다. 문촌리를 서울에서 갈 경우 고속도로를 타고 한 시간 반 정도 가야 도착하는 거리에 있다. 한 시간 정도를 달려 이천IC를 지나 중부내륙고속도로를 통해 감곡IC로 나오면 음성군 감곡면에 도착한다. 여기서 우측은 경기도 여주로, 좌측은 충주시 앙성면으로 가는 38번 국도와 이어...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문촌리 이문고개에서 발원하여 오궁리에 이르는 하천. 오갑천은 오궁리의 옛 지명인 오갑리에 흐르고 있는 하천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북쪽의 충주시 앙성면과 여주군 동면과의 경계에는 오갑산[609.4m]이 솟아 있고 남쪽에는 원통산[645m]이 있으며, 동쪽의 문촌리에는 이문고개가 있다. 이문고개에서 서류하는 문촌천은 오궁리에서 오갑천으로 유입된다. 오궁리 부근...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에 속하는 행정리. 문암리의 ‘문’자와 신촌리의 ‘촌’자 각 한자씩을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거곡면(巨谷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오리(上梧里)·신촌리(新村里)·장평리(壯坪里)·판요리(板腰里)·문암리(文岩里)를 병합하여 문촌리라 하여 감곡면에 편입되었다. 옥녀봉과 이진봉 등의 산이 있...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궁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의 바른 어린이, 특기 적성과 잠재 능력을 계발하는 어린이, 스스로 생각하고 학습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질서 있고 서로 돕는 어린이, 21세기를 주도할 자주적이며 창의적인 오갑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46년 9월 1일 감곡국민학교 오궁분교로 문을 열었으며, 1955년 6월 5일 오갑국민학교...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에 속하는 행정리. 하오리의 ‘오’자와 궁장리의 ‘궁’자, 각 한 글자씩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거곡면(巨谷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궁장리(弓場里)·하오리(下梧里)·토곡리(土谷里) 일부를 병합하여 오궁리라 하여 감곡면에 편입되었다. 북쪽보다 남쪽이 높은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성황당...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궁리에 있는 조선시대 원(院)의 터. 원은 출장을 다니는 관리들이 숙박하던 곳으로, 국가의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의 숙식을 제공하기 위하여 중요한 도로나 인가가 드문 곳에 두었다. 원에는 원주(院主)가 배치되었고, 원위전(院位田)을 제공하여 필요한 경비를 충당하도록 하였다. 오갑초등학교에서 북서쪽으로 300m 지점에 있으며, 국도 38호선이 지나가는 원거리...
-
비산리에서는 그리 많은 민요를 조사할 수는 없었다. 할머니들은 옛날 노래보다는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창부타령」이나 「노랫가락」, 대중가요들을 즐겨 불렀다. 오랫말에서 만난 김종임 할머니(81세)와 고제옥 할머니(77세)로부터 「화투 고를 때 부르던 노래」와 「베틀노래」 등을 들을 수 있었다. 오랫말 에서 만난 김종임 할머니(81세)는 마을 어르신들이...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에 있는 산. 주변 지역을 멀리 크게 보면 북쪽에는 가막산이 있고 서쪽에는 큰산이 있으며, 남서쪽에는 백마산이 있고 동쪽에는 국사산이 있다. 오대산 연변의 남서쪽에는 오두산이 있고 오두산 아래에는 소수저수지가 있다. 오대산은 북쪽의 구안저수지, 남서쪽의 소수저수지, 서남쪽의 주봉소류지 등의 수원이 되고 있다. 그리고 오대산에서 발원하는 구안천은 하노리를...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의 오대산 정상부에 있는 고대 국방 시설. 오대산성은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와 괴산군 소수면 옥현리 사이의 해발 약 399.7m 오대산 정상부에 있는 테뫼식 토축 산성으로 오성산성 또는 할미성이라고 불려진다. 산성에 대한 고문헌 기록은 전혀 없으며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에 “원남면 상노리, 오대산성, 상노리 동남 약 300간, 음성·괴산 경계에 있음, 토...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노리·구안리와 소이면 충도리의 경계에 있는 산. 수정산성(할미성)과 관련된 축성의 설화로 인하여 오성산(烏城山)은 할아비산 또는 할애비산이라고도 하며, 일명 가막산 또는 오두산이라고도 한다. 서남부의 사면에 있는 원남면 구안리의 구안저수지에서 북류하는 구안천에 수원을 제공하며, 동북부의 사면은 소이면 충도리의 충도저수지와 음성천에 수원을 각각 제공하고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대풍리에 있는 (주)오뚜기의 생산공장. 우수한 품질의 제품 생산을 통해 국민 식생활 향상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2001년 8월 충청북도 음성군에 오뚜기 대풍공장을 준공하였다. 2002년 9월 오뚜기 대풍공장 내 레토르트 공장 및 연수원을 기공하였다. 2005년 3월에는 오뚜기 대풍공장 물류센터 기공식이 있었으며 2006년 5월에는 오뚜기 대...
-
오랫말 어르신들을 뵙고 마을에서 특별히 하고 있는 계모임에 관한 이야기를 여쭤 보았다. 오랫말에는 마을 어른들이 모이는 노인회와 청년들이 모이는 청년회, 마을의 살림을 맡아 하고 있는 부녀회가 있다고 한다. 그 중에 마을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을 하고 있는 것은 20~30여 명이 되는 청년회라고 하며 다른 마을보다 청년회 인원이 많다는 이야기를 해 주었다. “...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용계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금왕읍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약 2㎞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백야리, 서쪽과 남쪽으로 봉곡리, 북쪽으로 무극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 뒷산의 이름이 오룡골인데, 전설에 의하면 오룡골에는 다섯 마리의 용이 살았다고 한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으로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오룡리...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쌍정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맹동면의 소재지이며, 동쪽은 함박산, 서쪽은 본성리, 남쪽은 두성리, 북쪽은 마신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배미 동쪽에 있는 마을로 마을 뒷산에 장기바위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정리와 하정리·중본리·율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맹동면에...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에 속하는 행정리. 냇가에 버드나무가 많이 있으므로 오륫골 또는 오류동이라 하였다. 본래 충주군 사다면(沙多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오상리(五上里)·오중리(五中里)·오하리(五下里)와 천기면의 용산리(龍山里) 일부를 병합하고 오류리라 하여 대소면에 편입되었다. 동쪽에 안산이 있으며, 마을을 남북 방향으로...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석인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에서 동쪽으로 약 2㎞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소이면 충도리, 서쪽으로는 평곡리, 남쪽으로는 충도리, 북쪽으로는 비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 뒷산 모양이 오리 모양을 하고 있다 하여 산 이름을 오리봉이라고 했고, 마을 이름도 오리골이라고 했다고 전한다. 오리나무가 많아서 이름이 붙여졌다고도 한다. 본래 음성군 동도...
-
비산1리를 나와 남쪽으로 나있는 길을 따라 들어가니 비산4리 새말이 왼편으로 있었다. 한적해 보이는 새말을 지나니 오랫말을 알리는 마을 비석과 마을 입구에 자리 잡은 커다란 나무가 보였다. 농번기로 바쁜 철이지만 오후 시간이 되니 마을 어르신들이 마을 입구에 모여 담소를 나누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어르신들께 오랫말이 언제부터 생겨났는지에 대해서 물어보았다....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삼정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대소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약 4㎞ 지점에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소석리, 남쪽으로는 미곡리, 북쪽으로는 오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오목이는 삼한이 동쪽에 있는 마을로 옛날에 오동나무가 많았다고 한다. 본래 충주군 대조곡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고종 43)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백금...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산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대소면 소재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태생리, 남쪽으로는 미곡리, 북쪽으로는 오류리, 서쪽으로는 내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옛날에는 외딴 산 밑에 있어 오미, 또는 오동나무가 있다 하여 오산이라 했다. 본래 충주군 대조곡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사다산면의 오하리 일부를...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자는 오미(五美). 아버지는 권근(權近)이다. 부인은 해주정씨로 찬성 정이(鄭易)의 딸이다. 1422년(세종 4) 문음(門蔭)으로 종묘부정에 제수되고 1430년(세종 12) 호조좌랑이 되었다. 1434년(세종 16) 종부시판관(宗簿寺判官)으로 강원도와 함길도에 가서 기민 구제 상황을 시찰하였다. 사헌부지평, 1438년(세종 20) 경기경력, 144...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음성현감 오병선의 선정비. 오병선(吳秉善)은 1860년(철종 11) 순강원수봉관(順康園守奉官)을 거쳐 음성현감에 부임, 1870년(고종 7) 서산군수(瑞山郡守)로 자리를 옮겼다. 1873년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에 부임했다. 선정비는 1866년(고종 3)에 세워졌고, 현재 음성향교 앞에 다른 비석군들과 함께 있다. 상단이 둥글게 처리...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산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대소면 소재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태생리, 남쪽으로는 미곡리, 북쪽으로는 오류리, 서쪽으로는 내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옛날에는 외딴 산 밑에 있어 오미, 또는 오동나무가 있다 하여 오산이라 했다. 본래 충주군 대조곡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사다산면의 오하리 일부를...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에 속하는 행정리. 외딴 산 밑이 되므로 오미 또는 오산이라 하였다. 본래 충주군 대조면(大鳥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사다면(沙多面)의 오하리(五下里) 일부를 병합하고 오산리라 하여 대소면에 편입되었다. 미호천이 남북 방향으로 흐르고 있는데, 유역에는 넓은 농경지가 형성되어 있다. 미호천의 물을 이용한...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중동4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소이면 소재지에서 동남쪽으로 약 6㎞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불정면 앵천리, 서쪽으로 봉전리, 남쪽으로 용고개, 북쪽으로 문등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갈마절이라고도 부르는데, 옛날에 갈마사라는 절이 있어 마을 이름을 갈마절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원래 충주군 소파면 지역이었는데 소파면의 중심지로 면사무소가 있었으므로, 소파...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에 속하는 법정리. 오룡(五龍)의 ‘오(五)’자와 상생(上笙)의 ‘생(笙)’자를 따서 오생리라 불렸다. 이후 오생리(五笙里)는 오생리(梧笙里)로 변경되었다. 본래 충주군 생동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생리, 요룡리와 금목의 신대리를 병합하여 오생리라 하고 생극면에 편입되었다. 오생1리 도화동...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오생리 도화동에서 매년 음력 11~12월에 지내는 산신제. 도화동은 복숭아나무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으로 장승이·윗다락개·상루라고도 한다. 생극면 소재지에서 6㎞ 지점에 위치한다. 오생리 도화동 산신제를 언제부터 지냈는지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지만 마을 앞산인 수레의산의 산신을 모시는 제사를 오래 전부터 지내왔다고 한다. 제당은 따로 없으며 수레의산 중턱에서...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오생리에 있는 산제당. 오생리 산제당은 오생리 도화동 뒷산 중턱에 있다. 산제당은 자연산 바위로, 바위 앞 평평한 곳에서 제사를 모신다. 산신제 날짜가 정해지면 먼저 생기복덕에 맞추어 제관을 뽑는다. 제관으로 뽑히면 목욕재계를 하고 산신제까지 근신을 한다. 산신제 당일에는 밤새도록 온 동네에 불을 환히 밝힌다. 제물은 마을기금으로 충당하며, 돼지 한 마리와...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오생리 부용산에서 발원하여 신양리에 이르는 하천. 생극면 오생리의 남쪽에 있는 부용산에서 발원·북서류하여 생극면 신양리 앞에서 응천과 합류하는 한강 수계이다. 오생리천은 오생리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하천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오생리천을 일명 오신천이라고도 한다. 남쪽에는 부용산[644m]이 있고 북쪽에는 263고지가 있으며 263고지의 동북쪽에는 수레의산[6...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오선리는 금왕읍의 중남부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은 용계리, 서쪽은 도청리, 남쪽은 유촌리, 북쪽은 내송리와 각각 접하고 있으며, 개오지와 별산댕이·주막거리 등의 자연 마을을 포함하고 있다. 오촌리와 별선리에서 ‘오’ 자와 ‘선’ 자, 각 한 글자씩을 따서 오선리라 이름 붙였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金目面)의 지역이었으나 1906년...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오선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라와 고장을 사랑하는 주인 의식을 가진 어린이, 질서를 지키고 서로 도와 바른 생활을 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고 사고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보건 위생 안전을 생활화하고 심신이 튼튼한 어린이, 소질과 개성을 키우며 아름다움을 느끼는 어린이, 슬기롭고 튼튼하며 올바르게 행동하는 오선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4...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동쪽은 한벌리, 서쪽은 신천리, 남쪽은 하당리, 북쪽으로는 용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자갈촌은 1923년 기차역이 들어서면서 생긴 마을로 옛날에 음성천이 범람하여 자갈이 많게 되어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음성군 동도면 지역으로 음성군청이 있어 읍내리라 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읍상리·읍하리·역촌·평촌·남촌의 각 일...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토성 터. 신천리 토성에 관한 고문헌의 기록은 전혀 보이지 않고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에 처음으로 “군내면, 신천리, 한천에 있음. 토축으로 주위 약 300간, 높이 6척, 폭 5척”이라고 소개되었다. 『전국유적목록』에서는 앞의 자료를 요약하여 “사유, 토축, 주위 300간, 높이 6척, 폭 5척”이라고 간단히 소개하였다. 『문화유적...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노리·구안리와 소이면 충도리의 경계에 있는 산. 수정산성(할미성)과 관련된 축성의 설화로 인하여 오성산(烏城山)은 할아비산 또는 할애비산이라고도 하며, 일명 가막산 또는 오두산이라고도 한다. 서남부의 사면에 있는 원남면 구안리의 구안저수지에서 북류하는 구안천에 수원을 제공하며, 동북부의 사면은 소이면 충도리의 충도저수지와 음성천에 수원을 각각 제공하고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의 오대산 정상부에 있는 고대 국방 시설. 오대산성은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와 괴산군 소수면 옥현리 사이의 해발 약 399.7m 오대산 정상부에 있는 테뫼식 토축 산성으로 오성산성 또는 할미성이라고 불려진다. 산성에 대한 고문헌 기록은 전혀 없으며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에 “원남면 상노리, 오대산성, 상노리 동남 약 300간, 음성·괴산 경계에 있음, 토...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의 오대산 정상부에 있는 고대 국방 시설. 오대산성은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와 괴산군 소수면 옥현리 사이의 해발 약 399.7m 오대산 정상부에 있는 테뫼식 토축 산성으로 오성산성 또는 할미성이라고 불려진다. 산성에 대한 고문헌 기록은 전혀 없으며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에 “원남면 상노리, 오대산성, 상노리 동남 약 300간, 음성·괴산 경계에 있음, 토...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구안리 일대에 조성된 농업 용수 공급 저수지. 일명 오성(五星)저수지라고도 하며, 좁고 긴 계곡 형태의 저수지로 수심은 1~5m로 깊은 편이다. 무료 낚시터로 많이 알려져 있다. 농업 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1964년 1월에 공사에 착공하여 1966년 1월에 준공하였다. 구안저수지 시설은 한국농어촌공사 충북지역본부 음성지사가 관리하며, 총 저수량 50만 톤 이...
-
조선 중기 음성현감을 지낸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자는 명보(明甫), 호는 오소재(吾巢齋). 아버지는 좌찬성에 증직된 김로(金簵)이며, 어머니는 배천조씨로 조헌(趙憲)의 딸이다. 김여량(金汝亮)[1603~1683]은 1633년(인조 11)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듬해 권지승문원부정자(權知承文院副正字)으로 사환을 시작하여 봉상시주부겸승문원박사(奉常寺主簿兼承文院博士)·성균관전...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오생리 부용산에서 발원하여 신양리에 이르는 하천. 생극면 오생리의 남쪽에 있는 부용산에서 발원·북서류하여 생극면 신양리 앞에서 응천과 합류하는 한강 수계이다. 오생리천은 오생리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하천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오생리천을 일명 오신천이라고도 한다. 남쪽에는 부용산[644m]이 있고 북쪽에는 263고지가 있으며 263고지의 동북쪽에는 수레의산[6...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정치가. 1922년 오항묵(吳恒黙)의 아들로 태어났다. 1941년 청주중학교를 졸업하고, 1944년 경성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한 후, 1950년 6·25전쟁으로 군에 입대하였고 누진하여 해군 의무감(海軍 醫務監)에 이르렀고, 1959년 해군준장으로 예편하였다. 1961년 일본 기부의대(岐阜醫大)에서 의학 박사학위를 수여받고, 이 해에 서울 한국원자력원장...
-
충청북도 음성 출신의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구안동(舊安東). 자는 용여(用汝). 오은(梧隱) 김사렴(金士廉)의 후손으로, 김사렴은 정몽주, 이색과 더불어 직간(直諫)으로 이름이 있어 당대의 세력가 신돈을 위험인물이라 하였다고 한다. 고려가 망하자 청주 도산(陶山)에 은거·두문불출하였다. 아버지는 김의택(金義宅)이다. 김환유(金煥維)는 고종 때 수직으로 돈령도정(敦寧都正)이 되...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사업가. 오주영은 조선 인조(仁祖) 때 영의정을 지낸 추탄(楸灘) 오윤겸(吳允謙)의 11세손이며 오극선(吳克善)의 아들이다. 2세 때 충청북도 중원군 신니면 신청리로 이사하고 1920년 12세 때 서울특별시 종로구 화동(花洞)으로 이사하였으며, 1921년에는 전라북도 익산군 황화면 고내리로 이사하였다. 1922년 14세 되는 해에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으...
-
갑산리는 본래 충주군의 소파면 지역으로 갑산의 밑이 되므로 갑산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의 통폐합에 따라 갑산1리, 갑산2리를 병합하여 갑산리라 하여 음성군 소이면에 편입되었다.(음성군 지명지 참조) 마을 유래비에 의하면 ‘갑산1리 마을은 고려 때 봉산읍 소재지로서 탑골말, 정산말, 정자안, 평짓말 4개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쪽 금봉산을 중심으로 주변...
-
조선 후기의 유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이견(而見), 호는 석농(石農). 숙헌공(肅憲公) 오빈(吳䎙)의 8세손이다. 어려서부터 재예가 뛰어나고 학문이 깊어 간재(艮齋) 전우(田愚)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0세에 사서육경을 통달하고, 20세 이전에 여러 책을 두루 익혀 문장이 널리 알려졌다. 사학(史學)에 정통하여 역사의 대가인 육당(六堂) 최남선(崔南善)도 경의를 표하였다...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차평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때 효자 오창묵의 비. 오창묵(吳昶黙)은 병화가 있었으나 어머니를 잘 모셔 관에서 포상을 하였다. 이 사실을 돌에 새겨 많은 사람들에게 모범을 보여 영구히 기념하기 위해 1935년 국도 3호선 변에 효자비를 세웠다. 효자비는 유래를 새긴 오석 위에 거북 대좌를 앉히고 비석을 세웠다. 효자비 앞면에 ‘오공창묵효자비(吳公昶黙孝子碑)’라...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본관은 음성(陰城). 자(字)는 희천(希天), 호는 오촌(梧村). 박서(朴犀) 장군의 20세손이고, 박기혁(朴基赫) 아들로 태어났으나 큰아버지 박지혁(朴趾赫)에게 양자로 입양되었다. 자기가 사는 오류골의 이름을 따서 호를 정하였다. 박시중은 어질고 효행이 깊었으며, 온화하고 공손하며 겸손하였다. 누구라도 착하지 않으면 사귀지 않았고, 의가...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향3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가마 터. 발견되는 옹기편들로 미루어보아 주로 옹기를 많이 구운 것으로 추정된다. 천주교인이 예부터 많이 거주하여 옹기를 굽는 교유촌을 형성하였고, 옹기 판매도 왕성하였다고 한다. 마을 주변에는 사방에 옹기편들이 흩어져 있다. 그릇을 만들기 위한 양질의 진흙이 있었고, 깨진 옹기 조각들을 진흙과 함께 섞어 가옥의 흙벽을 바르기도 했...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봉곡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오향골은 금왕읍에서 서남쪽으로 약 6㎞ 지점에 위치한 봉곡2리의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용계리가 자리 잡고 있고, 서쪽으로는 유포리, 남쪽으로는 유촌리, 북쪽으로는 오선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 사람들에 따르면, 오향골의 형상이 소의 구유처럼 생겨서인지 예부터 소를 키우면 병이 나지 않고 잘 자란다고 한다. 오향동(五香洞...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봉곡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오향골은 금왕읍에서 서남쪽으로 약 6㎞ 지점에 위치한 봉곡2리의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용계리가 자리 잡고 있고, 서쪽으로는 유포리, 남쪽으로는 유촌리, 북쪽으로는 오선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 사람들에 따르면, 오향골의 형상이 소의 구유처럼 생겨서인지 예부터 소를 키우면 병이 나지 않고 잘 자란다고 한다. 오향동(五香洞...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에 속하는 행정리. 오근리의 ‘오’자와 행공리에서의 ‘행’자, 한 글자씩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거곡면(巨谷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대리(新垈里)·오근리(梧根里)·행공리(杏公里)·본리(本里)·익금리(益今里)·장대리(場垈里)의 일부를 병합하여 오향리라 하여 감곡면에 편입되었다. 100...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향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선돌. 선돌은 원래 자연석이나 자연석의 일부를 가공하여 세운 돌로서, 지역민들이 기념물이나 신앙·숭배의 대상물로 삼은 유적을 말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입석(立石)이라고도 하는데, 감곡면 오향리에 있는 선돌은 숫선돌과 암선돌이 동서로 서로 짝을 이루며 서 있다. 오향리 선돌은 감곡중학교 뒤쪽 선들거리들 가운데에 있는데, 숫선돌과 암선...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향3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가마 터. 발견되는 옹기편들로 미루어보아 주로 옹기를 많이 구운 것으로 추정된다. 천주교인이 예부터 많이 거주하여 옹기를 굽는 교유촌을 형성하였고, 옹기 판매도 왕성하였다고 한다. 마을 주변에는 사방에 옹기편들이 흩어져 있다. 그릇을 만들기 위한 양질의 진흙이 있었고, 깨진 옹기 조각들을 진흙과 함께 섞어 가옥의 흙벽을 바르기도 했...
-
장익을 시조로 하고 장위신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옥구장씨(沃溝張氏)는 도시조(都始祖) 장정필(張貞弼)의 14세손인 장익을 시조로 한다. 『장씨상계세보(張氏上系世譜)』에 의하면 장익은 고려에서 집현전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거쳐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를 역임하였고 옥성부원군(沃城府院君)에 봉해졌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그 후 세계(世系)가 실전(失傳)...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문촌리에 있는 산. 산세가 매우 수려하고 옥녀가 단정히 앉아 있는 형세(玉女端裝形: 풍수지리설의 옥녀단장형)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웃오갑에서 충주시 앙성면 모정리 동막으로 넘어가는 오갑고개(아홉사리고개)가 있다. 오갑고개 남쪽의 성지골 골짜기를 흐르는 물은 옥녀봉의 동사면 물을 합류하여 문촌천을 이루어 문촌리 윗오갑을 경유하며, 동쪽에서 서류하고 있는...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문촌리에 있는 조선 말기 이기홍을 봉안한 사당. 옥산사는 주자(朱子), 송시열과 함께 직재(直齋) 이기홍(李其洪)을 모시고 봄과 가을에 제향하는 사당이다. 옥산사는 본래 괴산군 연풍면 원통리에 있던 문산서원을 1908년에 복원한 사당이다. 문산서원이 흥선대원군 때 서원 철폐령으로 폐쇄되자 40여 년 뒤인 1908년에 사액서원의 철폐를 애석하게 생각한 유림과...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갑리에 있는 옥산사에서 제향하는 의례. 주자(朱子)·송시열(宋時烈)·이기홍(李箕洪) 등을 모시고 매년 봄(음력 3월 15일)과 가을(음력 9월 15일)에 음성의 유림과 전주이씨 봉산군파 종회에서 주관하여 제향하고 있다. 옥산사는 본래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원통리에 있던 문산서원이었는데 대원군 때 서원 철폐령으로 폐쇄되었다가 1908년에 음성의 유림과 직재...
-
※ 조사일: 2007년 2월 19일 ※ 조사지: 음성군 감곡면 문촌3리 목영학 할아버지 댁 ※ 조사자: 황경수, 박종호, 고유리, 윤정아 우리는 할아버지 댁으로 찾아가 인사를 드리고 “할아버지, 노래 들으러 왔어요.”라고 말을 했다. 할아버지는 침대에 앉아 “이거이거 술이라도 있어야 노래가 나오지.”라고 말을 하자 할머니께서는 부엌으로 들어갔다. 할머니는 한 손에는 초록색 큰 컵을...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와 원남면 하당리 경계에 있는 산. 고문헌에서 옥천산은 음성현에서 남쪽으로 5리 떨어진 곳에 있고 보현산(477m, 일명 성주산)의 주맥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음성읍 신천리 새동네에서 원남면 하당리 하당으로 넘어가는 곳에 매봉재고개가 있다. 매봉재는 일명 옥천산(玉泉山, 玉川山) 또는 망월산(望月山)이라고도 하는데 망월산이라는 지명은 매년 정월이면 달맞...
-
웃오갑마을 은 주추배기마을 위쪽에 있는 마을로 마을을 방문하니 명절 다음날(2007. 2. 19.)이라 그런지 사람들로 시끌벅적 하였다. 특히, 마을회관 앞마당에서는 이미 척사대회가 한창인 것을 볼 수 있었다. 넓은 회관 마당 한편에서는 천막 아래 음식들과 술상이 차려져 있어서 윷놀이를 즐기는 사람들과 음식을 먹는 사람들로 나뉘어져 흥겨운 분위기가 풍겼다. 또한...
-
비산1리의 가장 큰 자랑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을 꼽자면 단연 ‘미타사’를 들 수 있다. 동양 최대의 지장보살이 세워져 있는 곳으로도 유명하고, 마을 사람들이 절을 짓는 데 참여를 했다고 하여 비산1리 마을 사람들에게는 훨씬 더 깊은 의미를 가지고 있는 절이기도 하다. 비산1리의 할아버지들에게 미타사가 언제부터 세워지게 되었는지 그 유래에 대해서 여쭤 보았다. “할아버지,...
-
조선 중기 음성현감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자는 응용(應龍)·응기(應祈). 옹몽진은 순창옹씨 시조이다. 원래 옹몽진의 선조는 고려 때 교목세신(喬木世臣)의 거족이었으나 조선 개국에 반대하여 이성계의 미움을 받아 서인이 되었다. 옹몽진은 음성향교지기를 지내다가 1553년(명종 8)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1556년 문과중시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567년 판관에 이...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 효령대군 이보(李𥙷)의 6세손이며, 이경금(李景嶔)의 아들로 증영의정 이경두(李景㞳)에게 입양되었다. 이성은 진사, 참봉을 거쳐 문한림, 이조참판, 부제학을 역임하였다. 1624년 이괄의 난에 종군하였다가 전사하였다. 묘소는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행제리에 있고, 이덕형(李德馨)이 묘비 글을 썼다. 완계군(完溪君)으로 훈봉되...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이자 의병장. 본관은 청주. 자는 응수(應壽), 호는 취병(翠屛) 또는 왕곡(枉谷). 고조부는 현감 고덕수(高德秀), 아버지는 고준(高遵)이다. 형으로 의병장 고응연(高應淵)이 있다. 1561년(명종 16) 식년시 무과에 급제하였다. 힘이 세고 기골이 장대하여 수문장(守門將)으로 있었다. 선조 초 용호영장(龍虎營將)에 이어 내금위장으로 있다가...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에 속하는 행정리. 왕대리의 ‘왕’자와 장대리의 ‘장’자, 각 한 글자씩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거곡면(巨谷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중동(中洞)·마산리(馬山里)·내동(內洞)·왕대리(旺垈里)·장대리(場垈里) 일부와 경기도 음죽군 동서면 노평리 일부를 병합하여 왕장리라 하여 감곡면에 편입...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노리에 있는 산. 능촌에 있는 광주반씨의 큰 묘를 능으로 생각하고 있고 동쪽 뒷산은 그리 높지 않으므로 왕릉에 대비하여 왕의 고개라는 의미에서 왕재라고 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왕재를 한자로 표기하면 왕현이 된다. 동쪽으로는 원남면 하노리, 음성읍 석인리, 소이면의 충도리와의 경계에 140고지가 있고 140고지 남쪽의 하노리와 구안리, 소이면 충도리와의...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상업적 목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특화 작물. 원산지는 남아메리카 중앙부 고원지이며, 1558년 스페인 왕 필립2세가 원산지에서 종자를 가져와 관상용 및 약용으로 재배하면서부터 유럽에 전파되었다. 현재는 북위 60°에서 남위 40°에 걸쳐 전 세계에서 재배되고 있다.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품종으로는 재래종과 황색종, 벌리종(Burley), 터키종 등이 있다. 이...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동음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에서 서쪽으로 약 6㎞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신천리와 소여리, 서쪽으로는 맹동면, 남쪽으로는 삼생리, 북쪽으로는 감우리 보현산과 각각 접하고 있다. 바깥섬이는 섬이 바깥쪽에 있다 하여 ‘바깥’이라는 명칭과 함박산, 옥녀봉, 매봉재 세 봉우리 중앙에 있다 하여 ‘스미’라 불러 두 명칭이 합해진 것이다. 원래 음성군 근서면...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외딴말은 음성읍에서 북쪽으로 약 4㎞ 지점에 자리 잡고 있는 용산2리의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가섭산이 있고, 서쪽으로는 신천리, 남쪽으로는 읍성읍 소재지, 북쪽으로는 신니면 광월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건지봉 밑 북쪽에 외딴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월곡(月谷)이라고도 불린다. 본래 음성군 동도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동음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에서 서쪽으로 약 6㎞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신천리와 소여리, 서쪽으로는 맹동면, 남쪽으로는 삼생리, 북쪽으로는 감우리 보현산과 각각 접하고 있다. 바깥섬이는 섬이 바깥쪽에 있다 하여 ‘바깥’이라는 명칭과 함박산, 옥녀봉, 매봉재 세 봉우리 중앙에 있다 하여 ‘스미’라 불러 두 명칭이 합해진 것이다. 원래 음성군 근서면...
-
조선 중기 음성현감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벽진. 자는 여무(汝懋), 호는 외재(畏齋). 이엄(李儼)의 아들이다 이후경은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영남에서 명유(名儒)로 추앙을 받았다. 광해군 때에 학행으로 천거를 받아 세자익위사세마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였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에 강화로 왕을 호종하고 돌아와, 이듬해 음성현감이 되었다. 1630년 72세로 죽자 병조참의에...
-
병암1리에서는 민요를 많이 조사할 수 없었다. 할아버지들은 예전 어렸을 때 아버지 대 분들이 농요를 부르는 것을 들었고 논농사를 지으며 부르기도 했지만, 지금은 할 줄 아는 이들이 모두 돌아가셔서 제대로 부를 수가 없다고 했다. 할머니들도 「자장가」나 「불아불아」와 같은 아기를 재우거나 어를 때 부르는 소리 한, 두 소절 외에는 민요를 잘 기억하지 못했다. 2월 8일,...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에 속하는 법정리. 오룡과 개천의 뜻을 따서 지금의 마을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金目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오룡리(五龍里)·신개천리(新介川里)·구개천리(舊介川里)의 일부를 병합하고 용계리라 하여 금왕면에 편입되었다. 1973년 7월 1일 금왕면이 금왕읍으로 승격되었다. 동쪽과 북쪽에는 20...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용계1리 오룡골에 있는 산신각. 용계리 산신각은 금왕읍 용계1리의 자연 마을인 오룡골 뒷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다. 정면 3칸, 측면 1칸 반의 함석지붕집이다. 왼쪽 1칸은 산신도를 봉양한 제실이고, 중간에 있는 방은 제관들이 쉬는 온돌방이다. 오른쪽 1칸은 부엌으로 쓰인다. 산신제 전에 생기복덕에 맞추어 두 명의 제관을 뽑는다. 제관은 산신제날 정오경에 산신...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용계1리 오룡골에서 매년 음력 1월 1일에 지내는 산신제. 오룡골은 용계리에서 으뜸가는 마을로 소속리산이 북쪽으로 뻗는 줄기 중 끝부분에 위치한 마을이다. 금왕읍에서는 남서쪽으로 2㎞ 지점에 위치한다. 예전에는 무극광산(無極鑛山)이 크게 번성하여 산신을 크게 위하였기에 7일간 제를 올렸다고 한다. 산신제를 지내기 1주일 전에 산신각에 올라가 찬물로 목욕재계를...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백야리 일대에 조성된 농업 용수 공급 저수지. 음성군 음성읍 사정리 무극저수지, 금왕읍 육령리 금석저수지, 금왕읍 백야리 용계저수지는 서로 도수 터널로 연결되어 있어 수면의 높이가 서로 같으며, 일명 삼형제저수지라고도 불린다. 농업 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1977년 1월 1일에 착공하여 1981년 12월 30일에 준공하였다. 용계저수지 시설은 한국농어촌공사 충...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에 있는 연못. 용이 승천하였다는 소(沼)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바래미산[149m] 아래에는 용담이 있고 용담의 서쪽에는 작은 용담산이 있으며, 북쪽에는 용담들이 있다. 바래미산 남쪽에는 모양이 납작하고 작은 산이 있고 무극리 남쪽에는 산 모양이 디딜방아처럼 생긴 방아머리산이 있다. 산의 남서쪽에는 공시울이라는 골짜기가 있고 산 아래에는 바래미방죽...
-
충청북도 음성군 읍성읍 평곡리 용담연못에 있는 바위에 새겨 넣은 글자. 용담연못 각자는 용담연못에서 산 쪽에 있는 바위에 표면을 다듬어 전서체(篆書體)로 써넣은 글자이다. 누가 새겨 넣었는지, 언제 만들었는지는 알 수 없다. 위 앞면을 평평하게 다듬고 그 위에 전서체 글자가 횡으로 두 글자가 새겨져 있다. 각 글자의 크기는 각각 가로 84㎝, 세로 82㎝이다....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사정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용대동은 음성읍에서 북쪽으로 약 6㎞ 지점에 위치한 사정1리의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용산리가 자리 잡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금왕읍 백야리, 남쪽으로는 감우리, 북쪽으로는 금왕읍 육령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옛날에 퉁쇠로 농기구를 만들던 곳이라서 퉁뱅이라고도 부른다. 본래 음성군 근서면 지역으로, 마을 안에 모래우물이 있어...
-
음성은 삼한시대에 마한의 50여국 중 하나인 지침국에 속했으며, 신라의 영토가 되면서 음성현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 후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 대동여지도에 의하면 4개 면을 이루었고 그 중 사정리(沙亭里)는 근서면에 속해 있다가, 1914년 일제하에 행정구역개편에 따라 벌터, 안말, 강당말, 용대동 등의 마을이 합쳐 지금의 사정리(沙丁里)로 명명되었다. 용...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본래 충주군 두의곡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율리와 내대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용대리라 하고 삼성면에 편입되었다. 용대1리의 안터 북쪽에는 봉화산(일명 봉화뚝)이 있어 안성시와 이천시, 음성군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용대2리 방깨울 서쪽에는 흑미산(일명 거먹이)이 있고 흑미...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원당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용머리는 감곡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약 8㎞ 지점에 위치한 원당2리의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상평리가 자리 잡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이천시 율면 총곡리, 남쪽으로는 생극면 방축리, 북쪽으로는 주천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 뒷산이 용의 머리와 같다고 하여 용머리 또는 용두리라 불렸다. 본래 충주군 감미곡면 지역으로 큰 못이...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원당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용머리는 감곡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약 8㎞ 지점에 위치한 원당2리의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상평리가 자리 잡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이천시 율면 총곡리, 남쪽으로는 생극면 방축리, 북쪽으로는 주천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 뒷산이 용의 머리와 같다고 하여 용머리 또는 용두리라 불렸다. 본래 충주군 감미곡면 지역으로 큰 못이...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에 속하는 법정리. 용추리의 ‘용’자와 중산리의 ‘산’자 각 한 글자씩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음성군 동도면(東道面)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수현리(壽峴里)·월곡리(月谷里)·중산리(中山里)·용추리(龍湫里)·사인동(舍仁洞)을 병합하여 용산리가 되었다. 1956년 7월 8일 음성면이 읍성읍으로 승격되었다. 북부에 선지봉[565m]과...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청용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이곳 지형이 청용의 꼬리 부근에 해당된다고 하여 조룡미라 불리었다. 본래 충주군 천기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영청리와 용산리 일부를 병합하여 영청의 ‘청’자와 용산의 ‘용’자를 따서 청용리라하여 삼성면에 편입되었다. 골짜기로는 영청골 남서쪽에 가진개라는 골이 있고, 뒷산과 용산...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 잣나무골 뒷산에 있는 산림욕장.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에 주민들이 즐길 수 있는 관광지나 유원지가 없어 군민의 정서 함양 및 여가 선용을 위하여 가섭산(迦葉山)[710m]의 수려한 산세와 맑은 계곡을 배경으로 1998년 130㏊ 규모의 봉학골 산림공원을 조성하였다. 봉학골 산림공원 앞에는 봉학산 봉학골에서 흘러내린 물이 유입되어 이루어진 용산리 저수지가...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 일대에 조성된 농업 용수 공급 저수지. 용산리 저수지는 부용산 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용산리 저수지 상류쪽에는 군립 봉학골 산림공원이 있다. 저수지 옆으로는 음성궁도장과 다양한 위락 시설들이 들어서 있다. 용산저수지라고도 한다. 농업 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1970년 1월 1일에 착공하여 1975년 11월 1일에 준공하였다. 용산리 저수지 시설은 한국...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 일대에 조성된 농업 용수 공급 저수지. 용산리 저수지는 부용산 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용산리 저수지 상류쪽에는 군립 봉학골 산림공원이 있다. 저수지 옆으로는 음성궁도장과 다양한 위락 시설들이 들어서 있다. 용산저수지라고도 한다. 농업 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1970년 1월 1일에 착공하여 1975년 11월 1일에 준공하였다. 용산리 저수지 시설은 한국...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산(龍山)의 ‘용(龍)’자와 성산(城山)의 ‘성(城)’자를 따서 용성리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 지내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성산리, 원하리, 원동, 가산동, 사천리, 용산동 일부를 병합하여 용성리라 하고 삼성면에 편입되었다. 용성3리 서원말 북쪽에 백운산[345m]이 있고...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에 있는 수령 약 150년, 200년, 250년의 보호수.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이며, 길이는 2~12㎝, 폭은 1~5㎝이고 표면은 매우 거칠거칠하며 끝이 점차 뾰족해진다. 6그루의 나무로 되어 있는데, 삼성면 용성리 727번지 작은내의 느티나무 두 그루는 수령이 각각 200년이고, 나무의 높이와 수관 폭이 각각 20m, 25m이며...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에 있는 구석기시대 유적. 유적은 용성리 뒤쪽의 과수원 일대 산기슭에 위치한다. 이 유적은 중부내륙고속국도 건설 부지의 문화 유적 지표 조사 과정에서 알려졌다. 용성리 선사유적은 산기슭에서 발견된 구석기시대 유적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표토층은 과수원 조성으로 인해 대부분 교란되었고, 과수원의 대부분은 석영질 암석이 보이며, 그 아래층은 붉은 색의 석비레...
-
강당말마을 앞산 서남쪽으로 보면 앞산에 쑥 들어가 말 안장 같이 생긴 안부가 보이는데 그곳이 안감우재 마을로 넘어가는 고개인 문재이다. 문재 옆 서쪽으로 있는 골짜기를 용수박골이라 한다. 문재와 용수박골에 대해 강당말 김두일 새마을지도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하였다. “문재는 강당말에서 안감우재로 통하는 문 구실을 해서 문재라 하였다고 하는데, 예전에 아마도...
-
충청북도 음성 출신의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구안동(舊安東). 자는 용여(用汝). 오은(梧隱) 김사렴(金士廉)의 후손으로, 김사렴은 정몽주, 이색과 더불어 직간(直諫)으로 이름이 있어 당대의 세력가 신돈을 위험인물이라 하였다고 한다. 고려가 망하자 청주 도산(陶山)에 은거·두문불출하였다. 아버지는 김의택(金義宅)이다. 김환유(金煥維)는 고종 때 수직으로 돈령도정(敦寧都正)이 되...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절과 질서를 지키며 소질과 개성을 계발하여 바른 인성을 가진 어린이, 더불어 사는 마음과 태도를 통하여 자율적이며 서로 돕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고 사고하며 창조하는 어린이, 환경을 깨끗이 할 줄 알고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를 기르고, 국제화·세계화 시대의 새로운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기본적인 한자 학습 능력을 갖춘 어...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계리(龍溪里)의 ‘용(龍)’자와 신촌(新村)의 ‘촌(村)’자를 따서 용촌리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용계리, 신촌, 상돈리, 하본리, 봉암리, 개현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용촌리라 하고 맹동면에 편입되었다. 용촌1리의 덴언덕 남쪽에는 망월봉[10...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용추는 음성읍에서 북쪽으로 약 4㎞ 지점에 위치한 용산3리의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가섭산이 있고, 서쪽으로는 신천리, 남쪽으로는 음성읍 소재지, 북쪽으로는 신니면 광월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용산리에서 제일 큰 마을로, 용과 관련한 전설이 내려오면서 붙여진 이름이 용추이다. 본래 음성군 동도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용계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때의 사찰. 1996년에 충주산업대학교 박물관이 조사하여 간행한 『음성군의 역사와 문화유적』에 있는 ‘음성군 사찰 현황표’에 따르면, 당시 음성군에 소재한 52개 사찰 가운데 법화종에 속하는 8개 사찰 중 하나라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1960년에 최종숙에 의해서 설립되었다고 되어 있다. 신자 수는 450명이라고 한다. 현재 사찰을...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음성. 자는 우경(虞卿). 박순(朴淳)의 현손이다. 할아버지는 박윤진(朴胤陳), 아버지는 박유겸(朴惟謙)이며 부인은 함양여씨이다. 박계는 1568년(선조 원년)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었고, 벼슬은 감역(監役)에 이르렀다. 묘소가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상곡리에 있다....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본관은 인천. 자는 영이(詠而), 호는 우담(雩潭). 아버지는 채유종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삼용리에서 출생하였다. 경사백가에 통달하고, 특히 역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지리·의학·복서·음율 등에 밝았다. 1630년(인조 8) 천문을 관측해 보고 1636년(인조 14)에 병자호란이 있을 것을 예측하고 고향인 음성군 원남면 삼용리 물언덕에...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오생리에 있는 건물 바닥 자재 생산 업체. 기술 집약적이고 친환경적인 제품 개발을 통해 기업의 이윤 추구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98년 9월 15일에 설립되었으며 2003년 12월 신용보증기금으로부터 유망 중소 기업으로 선정되었다. 2004년 4월 기업 부설 연구소를 설립하였다. 표면 가공 목재 및 특수 제재목 제조업을 주요 사업으로...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각회리와 생극면 관성리의 경계에 있는 산. 황새 서식지로 유명했던 음성군 생극면 관성리의 무술[無愁洞] 뒤쪽에 있는 산이다. 고문헌에서는 음성군 서쪽 40리 떨어진 금왕면 구계리에 있는 소속리산의 줄기로서 북쪽으로 달려 평지에 구릉을 이루고 있고 서쪽 산의 주맥이 된다고 기록되어 있다. 원래는 무등산(無等山)이라 불렸으나 바뀌어서 우등산(禹登山)이라 부른다....
-
조선시대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단양. 아버지는 중추부사(中樞府使) 우은정(禹殷鼎)이다. 홀어머니 경주이씨를 극진히 봉양하여 효자라는 칭송이 자자하였다. 어머니가 일찍이 과부가 된 것을 마음 아프게 생각하여 어머니에게 효를 다하였다. 어머니가 병환이 들자 수년 동안 정성을 다하여 간호하였고, 죽은 뒤에는 3년 동안 시묘(侍墓)를 살았다....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음력 7월에 집안의 안녕을 기원하며 우물에 지내는 고사. 우물고사는 용왕을 신앙의 대상으로 하는 집에서 우물에 고사를 지내는 것을 말하며 ‘샘굿’이라고도 한다. 음성에서는 칠성맞이와 함께 주로 음력 7월에 행하는 세시풍속이다. 음력 7월 7일은 양수인 7이 겹치는 날로 길일에 해당된다. 이 칠석날에는 칠석차례라 하여 햇벼가 익으면 사당에 천신(薦新)하거나 우물을...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향6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감곡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약 3㎞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서쪽으로는 이천시 장호원, 동쪽으로는 오궁리, 남쪽으로는 상평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옛날에 살구나무가 많아서 살구나무쟁이라 하였다. 지금의 김택진 가옥 근처에 큰 고목과 우물이 있었다. 주막(묵집·대포집)이 많았고, 장날이면 사람들의 왕래도 잦았다. 본래는 충주군 거곡...
-
전통시대 충청북도 음성군에 설치된 통신 및 교통 제도. 역원(驛院)은 역관(驛館), 역참(驛站), 우역(郵驛)이라고도 하였는데, 신라 소지왕 때인 487년(소지왕 9) 처음으로 우역(郵驛)이 설치되었다. 그 뒤 통일신라시대 이후 9주(九州) 5소경(五小京)이 설치되는 등 지방 제도가 확립되고 중앙 관리의 지방 출장 및 상인과 여행자의 왕래가 증가함에 따라 그 기능이 활발해졌고, 고...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정치가. 1931년 김종혁(金鍾赫)의 아들로 태어났다. 1956년 서울대학교 약학과를 졸업하고,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졸업한 후, 1958년 향토 문화 창달에 뜻을 두고 음성문화원을 설립하여, 초대문화원장을 지냈고, 1967년 후세 교육을 위하여 한일중학교를 설립하여 1972~1980년까지 교장을 역임하였다. 충북약사회장을 역임하며 1967년 대한약사회 부...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우편, 체신, 금융 업무를 맡아 보는 공공기관. 우체국은 주로 우편물의 접수, 운송, 배달과 같은 우정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예금이나 보험 등의 금융 업무도 수행하고 있다. 충청북도 음성군의 우체국들은 대전광역시 및 충청남도, 충청북도 일원의 우정 사업을 총괄적으로 관할하는 충청체신청에 배속되어 있다. 우체국은 국장의 지위에 따라서 4급(서기관국), 5급(사...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항일운동가.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덕경(德卿), 호는 우춘(又春)이다. 참판 김낙회(金樂會)의 손자이며, 참판 김태희(金泰熙)의 아들이다. 사천현감을 역임하던 중 1910년에 한일합방이 되었다. 김기명은 나라가 망했다는 소식을 듣고 사흘간 통곡하였고 열흘이 지나도록 음식을 먹지 않았다. 그리고 “깊은 골짜기에서 태어나 충(忠)을 본받지 않아...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학자. 양재연(梁在淵)은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천리에서 태어났다. 호는 우학(友鶴)이며 본관은 남원이다. 아버지는 양현택(梁鉉澤)이다. 1973년 민속 답사를 나갔다 조류에 휩쓸려 사망하였다. 1939년 청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고 1946년에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문학과를 졸업하였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강사와 중앙여자대학 강사를 거쳐 1955년 중앙대...
-
조선시대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안동(安東). 자(字)는 성진(聲振), 호(號)는 우헌(愚軒). 김낙영(金樂英)의 아들이다. 김정훈의 어머니인 계모 박씨(朴氏)는 성격이 엄하였으며 힘을 기울여 그를 공직(供職)하게 하였다. 그 결과 김정훈은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을 지냈다. 추운 겨울 어머니가 병이 나자 그는 눈 속에서 눈물을 흘리며 얻기 어려운 약초를 구하여 어머니...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자인(子仁), 호는 우헌(遇軒). 아버지는 정경례(鄭景禮)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도청리에서 생활하였으며, 1573년(선조 6) 17세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이어 3년 뒤인 20세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의금부도사, 병조정랑을 거쳤으며, 맹산군수를 지냈다. 1602년(선조 35) 46세에 별세하였다. 저서로는...
-
1602년 주희를 제향하기 위해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에 건립된 서원. 운곡서원(雲谷書院)은 1602년 충주목사 정구(鄭逑)[1543~1620]가 주자학을 집대성한 주희(朱憙)[1130~1200]를 제향하기 위하여 건립한 서원이다. 1990년 12월 14일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11호로 지정되었다. 삼성면 용성리의 서원말 북쪽 산의 능선이 끝나는 산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1...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 운곡서원에서 제향하는 의례. 주희(朱熹)[1130~1200]와 정구(鄭逑)[1543~1620]를 배향하고 매년 봄(음력 2월 중정일)과 가을(음력 8월 중정일)에 음성 지역 유림들이 제향하고 있다. 1602년(선조 35)에 주희를 배향하고자 백운서원을 창설하였고, 1661년(현종 2)에 정구를 배향하면서 운곡서원이라 하였으며 그 뒤 1676년(숙종 2...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 운곡서원 입구에 세워진 조선시대 하마비. 하마비는 그 앞을 지날 때에 신분의 고하(高下)를 막론하고 누구나 타고 가던 말에서 내리라는 내용을 새긴 석비(石碑)이다. 주로 관아(官衙), 향교(鄕校), 서원(書院), 사우(祠宇) 등의 입구나 능묘(陵墓) 앞에 세워져 경의를 표하도록 하였다. 음성군에는 운곡서원(雲谷書院) 외 음성향교(陰城鄕校), 지천서원(...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당골 위쪽에 위치하고 있어 웃당골 또는 상당동이라 불린다. 본래 음성군 남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당리라 하여 음성군 원남면에 편입되었다. 상당2리에는 모래봉[509m]이 있으며 상당1리에서 마송리로 넘어가는 행치고개(일명 한금령)를 비롯하여 상당리에는 구렁고개, 목날고개, 삼실고개, 재너머고개 등이 있...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중동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소이면 소재지에서 동남쪽으로 약 6㎞ 지점인 중동리 동남부 지역에 위치하는 마을이다. 동쪽으로 건너말, 북쪽으로 중말, 남쪽으로 용지저수지와 각각 접하고 있다. 중동리 위쪽에 위치한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충주군 소파면의 중심지로서 면사무소가 있었으므로 소파 또는 중동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오상동과 중...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백야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금왕읍 소재지에서 약 8㎞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은 음성읍 사정리, 서쪽은 봉곡리, 남쪽은 동음리, 북쪽은 무극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백야리에서 가장 위에 있어 웃배태라고 한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촌·하촌·속리에 편입되었다가 1973년 7월 1일 금왕...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사곡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웃사장골은 감곡면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약 7㎞ 지점에 위치한 사곡1리의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충주시 앙성면이 자리 잡고 있고, 서쪽으로는 오궁리, 남쪽으로는 원통산, 북쪽으로는 문촌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웃사장골은 원통산의 제일 높은 봉우리 아래쪽에 있는 모래봉의 동쪽에 아래사장골과 함께 자리 잡고 있는데, 아래사장골보다...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문촌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웃오갑은 감곡면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약 7㎞ 지점에 위치한 문촌1리의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충주시 앙성면이 자리잡고 있고, 서쪽으로는 상우리, 남쪽으로는 사곡리, 북쪽으로는 오갑산과 접하여 있다. 오갑산 바로 밑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웃오갑, 또는 상오갑(上梧甲)이라고 불렀다. 아래오갑은 오궁리에 속해 있다. 본래는 충주군...
-
충청북도 음성군에 속하는 행정면. 충청북도 음성군이 관할하고 있는 2읍 7개 면 중의 하나이다. 원남면은 보룡리, 보천리, 문암리, 조촌리, 덕정리, 삼용리, 하노리, 상노리, 상당리, 하당리, 구안리, 마송리, 주봉리 등 13개의 법정리를 관할하고 있으며 30개의 행정리, 89개의 반, 60개의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원서면(遠西面)의 ‘원(遠)’자와 남면(南面)의 ‘남(南...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노리에 있는 체육 단체. 지역 체육회의 발족으로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면민 화합을 도모함과 더불어 우수 선수 발굴 및 지도·육성을 통해 원남면의 체육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창립되었다. 1984년 원남면 체육회가 창립되었고, 초대 회장에 박시희가 취임하였다. 그후 회장에는 제2대 임평재, 제3대 반한동, 제4대 연예희, 제5대 최창수, 제6대...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천리에 있는 음성군의 하부 행정 기관. 충청북도 음성군을 구성하고 있는 2개 읍(음성읍·금왕읍), 7개 면(소이면·원남면·맹동면·대소면·생극면·삼성면·감곡면) 중 원남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910년 8월 22일 읍내에서 서쪽으로 멀리 떨어져...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천리에서 개시되다가 1982년 폐시된 재래 시장. 보천장의 1938년 거래액은 350,868원이었고, 1976년에 들어서는 1일 거래액이 69만 원, 일반 이용자 90명, 고정 상인 8명, 이동 상인 15명 등으로 나타날 정도로 쇠퇴하게 되었다. 보천장은 1980년 시장 면적이 4,455㎡이었으나 점포수는 9개에 불과하였다.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룡리...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일대에 조성된 농업 용수 공급 저수지. 원남저수지는 V자 계곡형과 평지형의 이중적 구조를 가진 저수지로 충정북도 음성군 원남면과 진천군 초평면, 괴산군 도안면에 걸쳐 있는 충북 최대 저수지 중의 하나이다. 2008년부터 음성군은 원남저수지에 농업농촌테마공원 조성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농업 용수 공급을 위한 미호천 개발 사업으로 1988년 11월 30...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자신의 독특한 소질을 찾아 남과 다르게 키우고 가꿀 줄 아는 어린이, 지식 정보화 사회의 기본적 자질과 능력을 갖춘 건강하고 지혜로운 어린이, 진취적 사고와 과학적 탐구 자세로 자신의 미래를 꿈꾸고 개척하는 어린이, 우리 문화에 대한 사랑과 이해를 바탕으로 나날이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어린이, 올바른 민주 시민 의식으로 인간의...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에 속하는 행정리. 마을에 큰 못이 있어 원당이라는 명칭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감미곡면(甘味谷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선곡리(仙谷里)·외주리(外舟里) 일부와 생극면의 방축리(防築里) 일부 그리고 경기도 음죽군 하율면의 총곡리 일부를 병합하여 원당리라 하여 감곡면에 편입되었다. 마을 중앙에 큰원당산[8...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원당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라를 사랑하고 바른 품성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민주적인 어린이, 기본적인 학습 능력과 정보 소양을 갖춘 능력 있는 어린이, 자연을 사랑하며 우리 것을 소중히 여기는 예절 바른 어린이, 기초적인 운동 기능과 건강한 생활 습관을 길러 심신이 조화로운 어린이, 음악에 대한 기본적인 기능을 익혀 아름다운 마음씨를 지닌 맑고 아름다운 꿈...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서원말은 서쪽 지역에 있는 자연 마을이다. 마을에 운곡서원이 있어서 서원말 또는 원동이라 부른다. 본래 충주군 지내면 원동리에 속한 지역이었다가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용성리에 포함되어 삼성면에 편입되었다. 안동권씨가 세거하면서 마을을 이루었으며, 운곡서원이 건립된 이후 큰 마을이 되었다....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음력 6월 15일 유두일에 참외 풍농을 기원하는 기원제. 제물로 시루떡, 술, 부침개 등을 준비한다. 특히 기름 냄새를 참외밭에 풍기면 병충해를 예방할 수 있다고 여겨 참외밭 근처에서 부침개를 부친다. 여자들은 부침개를 부치면 남자들은 제물을 올려놓고 원두제를 지낸다. 원두제는 여자가 참석할 수 없다. 특히 여자가 참외밭이나 수박밭에 들어가면 참외가 갈라진다고...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원실(元實), 호는 한송(寒松). 민휘계(閔徽繼)의 5세손이다. 민정현(閔鼎顯)[1783~1812]은 3세에 글을 읽고 10세에 경서를 통달하였으며 아버지를 따라 경기도 안성시 칠장사(七長寺)에서 노승과 같이 경서(經書)와 시부(詩賦)를 토론하는데 막힘이 없어 30여 명의 중들이 경탄하였다. 학식이 탁월하여 먼 곳...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이자 의병장. 본관은 청주. 자는 원약(元躍). 고조부는 현감 고덕수(高德秀), 아버지는 판결사 고준(高遵)이다. 동생으로 고응섭(高應涉)이 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내금위장으로 있던 아우 고응섭과 함께 의병 수백 명을 모집하여 조령 전투에서 전공을 세워 호성원종공신(扈聖原從功臣)에 녹훈되고 훈련원주부(訓練院主簿)를 제...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 자는 찬교(讚敎) 또는 원춘(元春), 호는 홍암(弘菴). 시조 반충(潘忠)의 19세손이다. 조부는 설포 반진홍(潘鎭洪), 아버지는 두산 반달순(潘達淳)이다. 부인은 옥구장씨(沃溝張氏)로 장기화(張基華)의 딸과 단양장씨(丹陽張氏)로 장동관(張東觀)의 딸 그리고 순천박씨(順天朴氏)로 박두현(朴斗鉉)의 딸이다. 1903년에 법부법률...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석인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에서 동쪽으로 약 2㎞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은 소이면 충도리, 서쪽은 평곡리, 남쪽은 충도리, 북쪽으로는 소이면 비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옛날 청주에서 충주로 통하는 길가에 주막이 있어 성시를 이루었다고 한다. 그리고 옛 석인점(石人店)이 있었다고 한다. 본래 음성군 동도면 지역으로 사람의 모양을 한 자연석이 있어 석인...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사곡리·영산리·월정리에 걸쳐 있는 산. 『조선환여승람』과 『대동지지』충주 산수조, 『음성읍지』산천조 등에서는 원통산(圓通山)으로, 『여지도서』충원현 산천조, 『호서읍지』충주목 산천조 등에서는 원통산(元統山)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산줄기가 웅장하고 암석이 가득 차 있어 산세가 험하고 삼림이 울창하며 주위 산들의 주봉으로서 산에 오르면 시야가 확 트일 정도로...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마재는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4㎞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덕정리, 서쪽으로 상곡리, 남쪽으로 청용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의 모양새가 말 자욱 같다 하여 마재라고 하였다. 또한 원의 아래에 있는 마을이므로 원하리(院下理)라고도 부른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지내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병암리에 있는 산. 월규산을 월계산(月桂山) 또는 얼기산이라고도 한다. 얼기산은 전설에 의하면 옛날 부잣집 열녀나 과부들이 얼기산 계곡에서 얼개빗으로 항상 머리를 감고 빗었다고 하여 유래된 이름이다. 병암리의 만담리의 북쪽에 있는 장자산의 한 지맥이 북동쪽으로 뻗어 형성된 비교적 낮은 산이다. 청미천의 지류가 남쪽에서 흘러 월규산 부근에서 서북류하기 때문에...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충도리와 갑산리에 걸쳐 있는 산. 조선 후기의 고문헌에서는 음성군 동쪽 10리 떨어진 곳에 있고 청룡의 머리가 암각되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고려 말에 배극렴이 어래산[383m]과 국사산에서 은거하였는 데 조선 태조 이성계가 세 번이나 찾아와서 정사를 논의하였다고 한데서 연유된 산의 이름이다. 일명 월고산 또는 국사봉이라고도 한다. 소이면 충도리와 갑산리에...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외딴말은 음성읍에서 북쪽으로 약 4㎞ 지점에 자리 잡고 있는 용산2리의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가섭산이 있고, 서쪽으로는 신천리, 남쪽으로는 읍성읍 소재지, 북쪽으로는 신니면 광월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건지봉 밑 북쪽에 외딴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월곡(月谷)이라고도 불린다. 본래 음성군 동도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병암리에 있는 산. 월규산을 월계산(月桂山) 또는 얼기산이라고도 한다. 얼기산은 전설에 의하면 옛날 부잣집 열녀나 과부들이 얼기산 계곡에서 얼개빗으로 항상 머리를 감고 빗었다고 하여 유래된 이름이다. 병암리의 만담리의 북쪽에 있는 장자산의 한 지맥이 북동쪽으로 뻗어 형성된 비교적 낮은 산이다. 청미천의 지류가 남쪽에서 흘러 월규산 부근에서 서북류하기 때문에...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월정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감미곡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독정리, 무수동, 하티리, 월동을 병합하여 월동의 ‘월’ 자와 독정리의 ‘정’를 따서 월정리라 하고 감곡면에 편입되었다. 월정리에는 독정리, 무수동, 고니골, 다리골[月洞], 메티 등의 마을이 있다. 마을 동쪽으...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에 속하는 행정리. 월동의 ‘월’자와 독정리의 ‘정’자 각 한 글자씩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감미곡면(甘味谷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독정리(篤亭里)·무수동(無愁洞)·하티리[荷峙里]·월동(月洞)을 병합하고 월정리라 하여 감곡면에 편입되었다. 동쪽에 행덕산[447m]이, 남쪽에는 수리산...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월정리에 있는 삼국시대의 무덤 유적. 월정리 돌무지무덤은 돌을 쌓아 올려서 널방[墓室]을 덮은 묘의 형식을 갖추었다. 돌무지무덤은 주로 석재가 풍부한 해안, 하천 부근, 산간지역 등에서 축조되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선사시대부터 역사시대인 고구려, 백제 초기까지 나타난다. 월정리 돌무지무덤은 그 일대가 능모랭이, 또는 뱀의 형상을 닮았다 하여 사주열이라 불리기...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월정리 중현에 서 있는 입석. 월정리 선돌은 화강암 판석을 사각 기둥 모양으로 약간 치석하여 세웠다. 1983년에 마을 회관 주위에 담을 쌓으면서 선돌이 담 안으로 들어갔으나 지금은 담이 무너져 밖에서 볼 수 있다. 선돌의 크기는 높이 135㎝, 너비 44㎝, 두께 16㎝로 앞면과 뒷면에 다듬은 흔적이 보이고 이끼가 많이 끼어 있다. 현재 신앙의 대상이 되지...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월정리 중현에 서 있는 입석. 월정리 선돌은 화강암 판석을 사각 기둥 모양으로 약간 치석하여 세웠다. 1983년에 마을 회관 주위에 담을 쌓으면서 선돌이 담 안으로 들어갔으나 지금은 담이 무너져 밖에서 볼 수 있다. 선돌의 크기는 높이 135㎝, 너비 44㎝, 두께 16㎝로 앞면과 뒷면에 다듬은 흔적이 보이고 이끼가 많이 끼어 있다. 현재 신앙의 대상이 되지...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월정리 안다리골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하천. 월정천은 월정리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하천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동쪽에는 행덕산[448m]이 있고 남쪽에는 수리산[605m]이 있으며, 북쪽에는 원통산[645m]이 있다. 월정리와 동쪽의 충주시 노은면 법리 사이에는 솔고개가 있고 서북쪽의 영산리 사이에는 잿말고개가 있다. 월정천에서 흘러내린 물은 1954년에 축조된...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동음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에서 서쪽으로 약 6㎞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은 신천리와 소여리, 서쪽은 맹동면, 남쪽은 삼생리, 북쪽으로는 감우리 보현산과 각각 접하고 있다. 조선시대 음성현의 사창(社倉)이 있어 창골이라 했다. 또한 일제강점기 때 금광 발파를 하기 위한 탄약창이 있어 창골이라고도 했다. 본래 음성군 근서면 지역에 속하여 동음암이라 하였다...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내숙(內叔), 호는 월창(月窓). 광양군(光陽君) 안황(安滉)의 증손이고, 동몽교관 안시수(安時秀)의 아들이다. 1666년(헌종 7)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정원가주서를 지냈다. 1670년 주서에 임명되었으며 1674년 이후 장령, 필선, 정언을 거쳤다. 1680년(숙종 6) 다시 장령, 정언이 되어 유명견·...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후미리에 있는 산. 달과 같이 둥근 모양의 산세와 물이 흐르는 개천에 있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볼 수 있다. 어래산 아래의 월포산 남단에는 항고개가 있으며, 북단의 무너미고개를 지나면 소이면 문등리 북쪽의 316고지가 있다. 항고개는 월포산 남단의 소이면 후미리 장구실에서 괴산군 불정면 삼방리 내삼방으로 가는 고개이고 무너미고개는 후미리 동양말(동촌...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불붕(不崩), 호는 월헌(月軒). 소격서령(昭格署令) 정자급(丁子伋)의 아들이며, 교리(校理) 정수곤(丁壽崑)의 아우이다. 정수강은 1474년(성종 5) 20세에 진사가 되고 1477년에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여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을 지냈다. 1482년에는 정조사(正朝使)의 서장관(書狀官)으...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분충(奮忠). 증좌찬성(贈左贊成) 민수산(閔壽山)의 아들이고, 증문하시중(贈門下侍中) 여원군(驪源君) 민백훤(閔佰萱)의 손자이다. 친형은 민서(閔叙)이다. 민발은 어려서부터 기골이 크고 힘이 세어 13세 때 무술 연마를 위해 마을 앞 큰 바위를 움직여 등에 지고 사장(射場) 터로 옮겨놓았다고 한다. 음보(蔭補)로...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두성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맹동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2㎞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은 군자리, 서쪽은 본성리, 남쪽은 진천군 덕산면 두촌리, 북쪽으로는 쌍정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옛날에 마을 사람들이 유교를 숭상해서 맹골(孟골)이라고 했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5월 19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부성...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동음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에서 서쪽으로 약 6㎞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은 신천리와 소여리, 서쪽은 맹동면, 남쪽은 삼생리, 북쪽으로는 감우리 보현산과 각각 접하고 있다. 조선시대 음성현의 사창(社倉)이 있어 창골이라 했다. 또한 일제강점기에 금광을 할 때 발파를 하기 위한 탄약창이 있어 창골이라고도 했다. 창골의 맨 윗마을이라 윗창골이라 부른다. 본...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당리 윗행치에서 음력 11월 산신에게 올리는 제의. 산제당은 윗행치 뒷산 산제당골이라 부르는 곳에, 슬레이트 지붕에 콘크리트 벽체의 2칸으로 되어 있다. 산신각이라고도 한다. 상당리 윗행치 산신제는 3년에 한 번 음력 동짓달 열흘 안에 날을 잡아서 저녁 9~10시쯤 지낸다. 제관은 생기복덕(生氣福德)을 따져 제관, 축관, 공양주 3명을 선출한다. 제물은 소...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자형(自馨), 호는 연균(緣筠) 또는 어수(漁叟). 유사근(柳士根)의 손자이고, 교리 유승순(柳承順)의 아들이며, 사육신(死六臣) 유성원의 큰 조카이다. 아들로는 서경(瑞卿) 유인종(柳鱗鍾)이 있다. 유계분은 1441년(세종 23) 20세에 진사(進士)가 된 후 1453년(단종 1)에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정자(承...
-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었던 조선시대 도로 이름. 충청북도 음성현 서쪽 35리 지점에 있었던 길로 청안과 경계를 이루었다. 유곡 소로는 보천(甫川)에서 조촌(助村)을 지나 맹동, 진천으로 연결되어 있던 대로였으나 지금은 겨우 사람이 지나갈 정도로 폭이 좁다. 『여지도서(輿地圖書)』의 충청도 음성현 도로조(道路條)에 ‘유곡삼십오리소로(流谷三十五里小路)’라고 기록되어 있다....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본관은 문화. 아버지는 유백종(柳伯宗)이다. 재종조(再從祖)인 장령 유정수가 경기도 고양군 수색에 살던 중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 때 이를 간하다가 연산군의 노여움을 받아 초산으로 유배되었고 유배에서 풀린 뒤에도 복직되지 못하였다. 어려서 이러한 상황을 본 유광총은 자신의 가문에서 과거길이 막힌 것을 근심하다가 십승지지(十勝之地)를...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행해지는 공자의 사상과 관련한 학문과 의례 및 활동 일반. 우리나라에 유교가 언제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삼국시대에 유교 경전의 교육과 사서(史書) 편찬 등이 이루어졌음을 볼 때 이때 이미 유교가 문화적 요소로서 중요하게 인식되었음은 분명하다. 불교가 성행하였던 고려시대에도 국가 이념과 체제를 정립하는 과정에서 유교의 이념은 상당히 중요한 기...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1921년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유청(柳淸)이다. 1934년 음성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제2차세계대전이 일어나자 1941년 윤규섭과 모의하여 남상엽·김시중·최규동 등을 규합한 뒤 흑민단이란 비밀 결사대를 조직하였다. 흑민단을 통하여 배일사상을 선동·선전하고 독립운동 자금을 모았다. 상해임시정부와 연락하기 위하여...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중현(仲賢), 호는 혜인(兮人). 서예가 유한지(兪漢芝)의 손자이며, 이조참의 유초환(兪初煥)의 아우이다. 1855년(철종 6) 사마시에 급제하여 창릉참봉, 제용봉사, 오위사과 등을 거쳐, 1871년(고종 8) 통례원인의, 한성부주부, 판관을 역임하고, 태조태종추상존호도감낭청을 담당하였다. 1872년 의령현감, 1874년 평강현감, 1...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경국(景國), 호는 유당(留堂). 정희조(鄭喜朝)의 아들이다. 정인학은 1870년(고종 7) 31세로 생원시에 합격하고 1880년 알성문과(謁聖文科) 병과에 급제하였다. 처음에 주서(注書)로 기용되어 다음해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와 응교(應敎)를 거쳐 병조정랑(兵曹正郞)이 되었다. 1884년에는 이조참판에 이어서...
-
조선 중기 음성현감을 지낸 문신. 1638년(인조 16)에서 1640년(인조 18)까지 음성현감으로 재직하였으며, 재임하는 동안 청백리로 선정을 베풀었다. 그 후 간신의 모함을 받아 벼슬에서 물러나 안성 향리로 돌아갔다....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음력 6월에 새로 난 농산물을 조상에게 올리는 풍속. 음력 6월에는 밀을 첫 수확하여 이에 대한 감사의 의미로 가정에서 천신(薦新)을 한다. 천신이란 계절 따라 새로 나는 각종 음식물을 먼저 신위에게 올리는 제사를 말한다. 유두천신을 할 때에는 밀을 빻아 밀국수를 만들어 먼저 대청마루나 안방에 한 그릇을 올려 천신한 다음 집안 식구 및 이웃과 같이 나누어 먹는다...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서예가. 본관은 진주, 자는 동진(東震), 호는 사헌(思軒)으로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노리 가곡에서 출생하여 61세에 사망하였다. 묘소는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노리 가곡에 있다. 유만형은 어려서 한문과 의학을 배웠으며 음성읍에서 만춘당 한약방을 경영하였다. 행서와 초서를 잘 썼고 1935년 평안남도 평양에서 열린 조선전도문인대회에 참가하여...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아버지는 한성부판윤을 지냈던 유호(柳滸)이며, 아들은 사육신의 한 사람인 유성원(柳誠源)이다. 유사근(柳士根)은 1401년(태종 1)에 문과에 급제하여 의정부사인(議政府舍人)이 되었다가 1425년(세종 7)에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을 거쳤다. 묘소는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에 있다. 아들 유성원이 1691년(숙종...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유삼(有三). 김동철(金東徹)의 아들이다. 1891년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각회리에서 출생하였으며 후손이 각회리에 거주하고 있다. 금왕면장 재임 시 선정(善政)을 베푼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퇴임 후 지역 주민이 김낙성의 공적(功績)을 기리기 위하여 지금의 금왕읍사무소 서편에 기념비를 세웠다. 기념비 건립 취지서의 서문은...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음성(陰城). 자는 강지(綱之), 호는 유서(柳墅). 박경세(朴慶世)의 아들로 박응한(朴應漢)에게 입양되었다. 박래복은 양부모를 극진히 섬겨 충주 유림에 의해 효자로 추천되었다. 그는 효가문에 이름이 올라 아버지 박응한, 조부 박준흠, 증조부 박정규, 고조부 박진구, 현조부 박호원, 아들 박지혁까지 음성 인물에 등재되었다. 충청북도...
-
조선 중기에 음성현감을 지낸 문신. 1695년(숙종 21) 음성현감으로 부임하여 1699년(숙종 25)까지 재임하였다. 부임하던 1695년과 이듬해까지 2년 동안 목민관으로서의 임무를 잘 수행하여 칭송을 받았다....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태초(太初), 호는 낭간(琅玕)이다. 사인(舍人) 유사근(柳士根)의 아들이며 조부는 한성부판윤 유호(柳滸)이다. 연균(緣筠) 유계분(柳桂芬)이 큰 조카이다. 유성원은 1444년 문과에 급제한 후 『의방유취(醫方類聚)』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3년 후에는 문과 중시에 합격, 집현전 학사를 지내며 세종의 총애를 받았다....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차평리 일대에 조성된 농업 용수 공급 저수지. 유신저수지는 차평저수지라고도 하며, 주변에 수레의산, 수레의산 자연휴양림, 청소년수련원 등이 있다. 유신저수지에서 흘러내린 물이 응천으로 합류한다. 농업 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1945년 1월 1일에 준공되었다. 유신저수지 시설은 한국농어촌공사 충북지역본부 음성지사가 관리하고, 총 저수량 50만 톤 이하의 2종으로...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리에 있는 합성수지 및 플라스틱 제조업체. 고기능성 플라스틱 등 첨단 소재 개발과 영업 활동을 통한 지속적인 이윤 창출로 국가 경제 발전에 일익을 담당한다. 1988년 4월 (주)유원화성이 설립되었다. 1999년 8월 (주)유원컴텍으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1999년 12월 코스닥 시장에 등록되었다. 2004년 4월 신소재 기술 개발 센터를 설립하였으며,...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전주. 자는 유응(幼應), 호는 노가당(老稼堂). 귀천군(龜川君) 이수(李晬)의 5세손으로, 직재 이기홍(李箕洪)의 손자이며, 경묵당 이시성(李蓍聖)의 아들이다. 어려서 가학(家學)을 계승하여, 중형 이능제(李能濟)와 같이 윤봉구(尹鳳九) 문하에서 배워 덕을 쌓았다. 1755년(영조 31) 안윤중(安允中)이 올리는 상소에 가담하였다...
-
조선 전기 음죽현감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서경(瑞卿). 아버지는 괴산군수 유계분(柳桂芬)이다. 유인종(柳麟種)[1450~1513]은 1472년(성종 3) 진사가 되고 8년 뒤인 1480년(성종 11)에 식년문과에 급제하였다. 1484년(성종 15)에 이조좌랑이 되었고 이듬해 음죽현감(陰竹縣監)이 되었다. 1487년(성종 18)에 헌납·사간을 지냈다. 정언으로...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정치가. 1940년 조선공업숙련공양성소 강습과를 졸업하고, 1944년 경기도 광주군 대왕면 근무를 시작으로 공직에 몸담아 1946년 고향인 음성군 대소면에서 근무하였다. 1972년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1978년 제2대 대의원에 당선되었으며, 1981~1991년까지 대소면 농업협동조합 조합장을 역임하였다....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공익사업가. 유중환(柳重煥)은 사회 사업에 이바지한 공로가 크며, 특히 친지(親知) 박해일(朴海一)과 더불어 가재(家財)를 희사하여 초등 교육 시설을 확장하는 등 육영 사업에 업적이 많았다. 면민이 유중환의 공로를 칭송하여 ‘유중환 교육공로기념비’를 건립하였으며, ‘박해일 교육공로기념비’와 나란히 수봉초등학교 담장 밑에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교육 공로자 유중환의 기념비. 유중환의 본관은 진주(晋州)이며, 음성 수봉초등학교 부지 일부를 희사한 교육 공로자이다. 유중환 교육공로기념비는 1943년에 세워졌다. 총 높이는 180㎝이며 3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신(碑身)의 경우 높이 134㎝, 폭 53㎝, 두께 24㎝이고, 가첨석(加檐石)은 높이 43㎝, 폭 98㎝, 두께 68...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백선(伯善), 호는 남강(南岡). 서예가 유한지(兪漢芝)의 손자이며, 사복시판관 유능환(兪能煥)의 형이다. 1849년(헌종 15) 진사가 되고 1863년(철종 14) 문과에 급제하였다. 학문이 깊고 문장에 능하며 선대 3대의 필법(筆法)을 이어받아 글씨가 정묘(精妙)하였다. 벼슬에 나아가 정언, 교리, 사성, 승지, 대사간을 거쳐 이조...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가래버들이 많으므로 가래들 또는 유촌리라 하였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金目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와우리(臥牛里)·촌서리(村西里)·촌동리(村東里)·한삼리(閑三里)의 일부를 병합하고 유촌리라 하여 금왕면에 편입되었다. 1973년 7월 1일 금왕면이 금왕읍으로 승격되었다. 지형...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유촌리에 있었던 고려 후기의 미륵 석불. 유촌리 미륵불은 대석 없이 하단부가 지하에 묻혀 있으며, 머리 위에는 보관을 쓰고 있다. 두정에는 나발을 표현하였으나 매우 작게 돋을새김을 하여 소발처럼 보이며, 정수리 부분을 길고 뾰족하게 만들어 보관의 아랫면 홈에 맞닿아 있다. 상호는 길게 표현되었는데, 특히 이마의 윗부분이 상당히 커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을 잘...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유촌리에 있었던 고려 후기의 미륵 석불. 유촌리 미륵불은 대석 없이 하단부가 지하에 묻혀 있으며, 머리 위에는 보관을 쓰고 있다. 두정에는 나발을 표현하였으나 매우 작게 돋을새김을 하여 소발처럼 보이며, 정수리 부분을 길고 뾰족하게 만들어 보관의 아랫면 홈에 맞닿아 있다. 상호는 길게 표현되었는데, 특히 이마의 윗부분이 상당히 커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을 잘...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4월 1일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한내 장터에서 김을경(金乙卿), 이중곤(李重坤), 권재학(權在學) 등 6명이 주동한 3·1운동 독립 만세 시위에 참여하여, 시위 군중에 앞장서서 만세 시위를 더욱 가열시켰다. 김을경, 이중곤 등 주동자가 연행되어 소이주재소에 감금되자 격분한 군중은 주동자를 석방하라고 주재소를 포위하고, 유리...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앞 내에 버드나무가 많으므로 버들개 또는 유포라 하였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金目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포동리(浦東里)·포서리(浦西里)·포중리(浦中里)·별선리(別仙里) 일부와 소탄면의 한삼리를 병합하여 유포리라 하고 금왕면에 편입되었다. 1973년 7월 1일 금왕면이 금왕...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덕휘(德輝), 호는 기원(綺園). 산청현감 유언수(兪彦繡)의 아들이다. 사마시에 급제하여 벼슬에 나아가 감역, 영춘현감을 역임하고, 선공감부정(繕工監副正)에 이르렀다. 아버지의 필법을 이어받아 필재(筆才)로 명성을 얻어 “동방 전예(篆隸)의 으뜸”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해동호보(海東號譜)』에 “유기원은 전예를 잘해서 그 명성이 일세(...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순창(淳昌). 자는 경여(敬汝), 호는 유헌(柳軒). 문정공(文貞公) 조무(趙廡)의 후손이며, 효자 조용하(趙用夏)의 아들이다. 아들은 조헌용(趙憲瑢), 조헌영(趙憲瑛), 조헌옥(趙憲玉) 3명을 두었다. 부친 조용하가 병에 걸리어 위중하게 되자 조기순이 밤중에 맑은 물을 길어다가 백일 동안 탕약 물로 사용하였더니 병에 효험이 있어 부...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유호(攸好), 시호는 정간(貞簡). 정혁선(鄭赫先)의 아들이며 진주목사를 지낸 정동협(鄭東協)은 정석오의 손자이다. 정석오는 1715년(숙종 41)에 식년문과 병과로 급제한 후 검열·문학을 거치고 경종이 즉위하면서 부수찬·교리를 지냈다. 1721년 30세 때 지평으로 김일경(金一鏡)과 함께 노론 사대신(四大臣)을...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육령리 말부리고개 아래 금석저수지 주변에 있는 유원지. 말부리고개(일명 말구리고개 또는 기령이고개)는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육령리 기령이마을에서 무극리로 넘어가는 고개로서 옛날에 말을 몰고 가던 사람이 이 고개에서 굴러 떨어졌기 때문에 말구리고개로 불렸다고 한다. 말부리고개의 서쪽에는 먹방이라는 골짜기가 있고 골짜기 아래에는 금석저수지(육령이저수지)를 비롯...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에 속하는 법정리. 육십리와 기령리에서 ‘육’ 자와 ‘령’ 자, 각 한 글자씩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金目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능동(陵洞)·육십리(六十里)·기령리(奇靈里)·묵방리(墨防里)를 병합하여 육령리라 하고 금왕면에 편입되었다. 1973년 7월 1일 금왕면이 금왕읍으로...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육령리에 있는 조선 후기 백자가마 터. 음성군 금왕읍 육령리 무극에서 음성 방향 3㎞ 지점에 금석저수지가 있다. 금석저수지 옆 금석교를 지나 왼쪽 도로를 따라 지하도를 지나 길이 끝나는 지점에 다량의 백자편이 드러나 있다. 2002년 음성군 문화유적분포 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유적이다. 육령리 백자가마 터에서 수습된 백자는 대부분 푸른빛이나 우윳빛이 도는 백색...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육령리 예순터에서 음력 10월 20일 산신에게 올리는 제의. 예순터는 금왕읍에서 육령저수지를 지나 예순터고개 밑에 있는 마을이다. 마을에는 약 50여 가구가 살고 있다. 육령리 예순터 산신제는 매년 음력 10월 20일 새벽 1시에 지낸다. 제관은 마을 최고령자 중 운세와 당년간지에 맞는 사람으로 1명을 선출한다. 그 외에는 이장이 참석한다. 제관으로 선출되면...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쌍정리에 있는 진주강씨 문중의 재실. 육선재는 비교적 근래에 제향을 위해 지은 진주강씨(晋州姜氏) 문중의 재실이다. 정면 4칸, 측면 1칸 반의 겹처마 팔작지붕 목조기와집으로 앞 1칸은 툇간이다. 재실에는 ‘육선재(陸仙齋)’라고 판각한 편액을 걸었다. 중앙에 정문을 달고 ‘정효문(旌孝門)’이라는 편액을 달았으며, 외곽은 콘크리트 담장으로 둘렀다....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육령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예순터는 육령리 동남쪽 지역에 위치하며 부용산 북쪽 자락에 자리한 마을이다. 마을에서 호랑골로 갈 때 예순 명 이상의 사람이 있어야 무사히 넘을 수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으로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능동·육십리·기령리·묵방리를 병합하여 육십리의 ‘육’...
-
조선 말기의 무신. 본관은 무송(茂松). 자는 군익(君翼), 호는 능호(凌湖). 아버지는 윤택진(尹宅鎭)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노리에서 출생하였는데, 날 때부터 기골이 장대하였다. 1861년(철종 12) 무과에 급제하여 선공감역이 되었다가, 1870년(고종 7) 승지 민병승(閔丙承)의 천거로 훈련원첨정이 되어 훈련원도정에 올랐다. 1882년 임오군란이 일어나자 사직하고 고...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1928년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로 이사 와서, 음성공립보통학교를 수료하고, 서울보성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이후 동경 일본대학에 입학하여 재학 중에 제2차 세계대전 수행을 위하여 동원령을 공포하고 일본에 유학 중인 한국 출신 대학생들을 학도병으로 동원시키기 시작하자, 이에 반대하여 대학을 중퇴하고 귀국하여 독립운동에 헌신할 것...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어머니가 병이 깊어지자 윤기손·윤기진 형제는 병간호에 정성을 다하였다. 한번은 어머니가 꿩고기를 원하자 형제가 꿩을 구하려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보았지만 구할 수 없어 탄식하며 쏘다니던 중 우연히 독수리 한 마리가 꿩을 차고 오다가 형제 앞에 떨어뜨렸다. 형제는 이 꿩을 주어다가 어머니에게 고아 드렸는데, 이것을 먹고 어머니의 병이 나았다...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문촌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정문(旌門). 윤기손·윤기진 형제 효자문은 윤기손(尹起巽)·윤기진(尹起震) 형제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효자문으로, 형제의 효자문과 윤득성 처 청풍김씨(淸風金氏)의 정절을 기리기 위해 세운 청풍김씨 열녀문이 같이 있다. 칠원윤문 효열각(漆原尹門 孝烈閣) 또는 칠원윤씨 효열각(漆原尹氏 孝烈閣)이고도 한다. 윤기손·윤기진 형제 효...
-
조선시대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어머니가 병으로 고생하자 윤기진과 형 윤기손(尹起巽)은 병간호에 정성을 다하였다. 한번은 어머니가 꿩고기를 먹고 싶다고 하였으나 구할 길이 없자 탄식하며 울고 있는데, 우연히 독수리 한 마리가 꿩을 물고 오다가 형제 앞에 떨어뜨렸다. 형제가 그 꿩을 고아 드리자 어머니의 병이 씻은 듯이 나았다. 어머니가 위독하자 형은 세 손가락을, 윤기진은...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에 살았던 열녀. 김언희(金彦熙)의 딸로, 19세에 남편 윤득성(尹得聖)이 병을 얻자 정성껏 간호하였다. 위급한 지경에 이르러 천지신명께 남편 대신 죽기를 빌었으나 끝내 남편이 세상을 떠났다. 상을 마친 후 독약을 먹고 자결하려 하였으나 집안사람에게 발견되어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유복자로 딸을 낳은 후 음식에 입을 대지 않다가 이틀 만에 스스로 목숨을 끊...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의병.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경춘(慶春), 호는 추암(棷庵). 충효공 윤환(尹桓) 후손이다. 윤병의는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에서 출생하였으며 일찍이 부모를 여의었다. 노역(勞役)으로 20세에 이르러 이항로(李恒老)와 유중교(柳重敎) 두 문하에서 학문을 익혔다. 1894년 갑오개혁에 통분하다가 외세를 물리칠 것을 다짐했으며, 1895년 유인석(...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향토 사학자. 윤병준(尹秉俊)[1922~1992]의 호는 영구당(靈龜堂)이다. 윤병준은 1948년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였고, 1958년에 육군대학을 졸업하였다. 1965년 음성군 향토문화연구소를 개설하여 전통문화의 발굴·채록·보존을 위하여 사재를 털어가며 향토 문화를 연구하였다. 1973년 음성민속거북놀이를 발굴·재현하였으며, 1974년에는 한국일보사 주최...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승려. 아버지는 선전관을 역임한 윤홍식(尹洪植)이다. 어려서부터 한학을 배워 1914년 18세에 상경하여 승지 민병승(閔丙承) 사택에서 운수업에 종사하였다. 그 후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상선에 선원으로 종사하며 전전하다가 뜻한 바 있어 1932년 36세에 경상북도 동래에 와서 금정사(金井寺)를 창건하고 주지가 되었다. 이때에 당대의 선지식이었던 하...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윤완식은 1910년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에서 윤태진(尹泰鎭)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본관은 파주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면(현재 금왕읍) 근무를 시작으로 음성군 각지에서 행정가로 활동하며 고향 발전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였다. 1954년부터 1968년까지 제3대, 제4대, 제7대 금왕면 면장을 역임하였으며, 재임 기간 중 고향 발전을 위하여...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파평. 자는 군서(君瑞), 호는 회당(晦堂). 좌의정 윤사흔(尹士昕)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윤교명(尹敎明)이다. 지금의 경기도 양근군 남시면 지탄리에서 출생하였다. 어머니는 고령신씨로 신각모(申慤模)의 딸이다. 부인은 영월신씨로 신석하(辛錫河)의 딸이다. 1866년(고종 3) 병인양요가 일어나자 아버지가 가족을 데리고 청풍의 산중...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의병.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성언(聖言), 호는 일와(一窩). 할아버지는 의병 윤병의(尹秉義)이다. 윤정학은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에서 출생하였다. 유인석(柳麟錫) 문인으로, 고종 때 진사가 되었다. 1895년과 이듬해에 의병이 되어 스승 유인석, 조부 윤병의와 의거에 가담하여 충주와 제천 싸움에 참여하였다. 충주 싸움에서 패한 뒤 물러나 충...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자는 계수(季守), 호는 희암(希菴)·송국주인(松菊主人). 아버지는 현령 윤해(尹海)이다. 한성에서 출생하여 4세에 책을 읽고 글씨를 써서 세상 사람들이 신동이라 칭하였다. 1554년(명종 9) 정산(鼎山) 박형(朴泂)의 문인이 되어 장차 대유(大儒)가 될 인물이라 하였다. 1580년 이조판서 윤국형(尹國馨)의 천거로 희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순창. 자는 윤집(允執). 문정공(文貞公) 조무(趙廡)의 후손이고, 부인은 평택임씨(平澤林氏)이다. 조용하는 아버지가 위독하자 손가락을 끊어 수혈하여 아버지를 소생시켰다. 부인 임씨는 남편이 위독하자 두 차례나 손가락을 끊어 수혈하여 남편을 소생시켰다. 1888년(고종 25) 임금이 조용하에게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을 증직하고 조용하...
-
조선 중기 무송윤씨 충청북도 음성군 입향조. 본관은 무송. 자는 자신(子新), 호는 낙옹(樂翁). 군자감정(軍資監正) 윤이관(尹李寬)의 아들이다. 1660년(현종 1) 경상북도 상주군에서 살다가 천연두가 크게 유행하자 이를 피하기 위해 선대의 고향인 경기도 여주군으로 가던 도중에 충청북도 음성군 당곡(唐谷)[지금의 하당리]에서 외숙부인 주부(主簿) 반운익(潘雲翼)을 만나 하노리 능...
-
조선 중기 음성군 출신으로 음성현감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성진(聖珍), 호는 정헌(靜軒), 율리사옹(栗里蓑翁).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이지걸(李志傑)이다. 이세근은 윤증(尹拯) 문하에서 학문을 익혔으며, 1697년에 정시문과에 갑과 2등으로 급제하여 사헌부지평이 되었다. 1699년에 음성현감으로 부임하여 사직사우를 창건하였고, 고마청(雇馬廳)을 창설하였다. 또...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계순(季純), 호는 은암(隱巖). 조부는 진사 이자침(李自琛)이고, 아버지는 이란(李鸞)이다. 이자침이 기묘사화에 연루되어 음성에 은둔하여 있을 때 아버지 이란을 낳았는데, 이란은 일찍 별세하였다. 부인은 장원감 이귀년(李貴年)의 딸이다. 아들 셋을 낳았는데, 이정(李淀), 이용(李溶), 이완(李浣)이다. 이수일은...
-
송대원을 시조로 하고 송교운과 송익정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은진송씨(恩津宋氏)의 시조는 고려조에서 판원사(判院事)를 지내고 나라에 공을 세워 은진군(恩津君)에 봉해진 송대원(宋大原)이다. 송대원의 증손인 송명의가 1362년(공민왕 11)에 문과에 급제하고 경상도안렴사(慶尙道按廉使)를 거쳐 사헌부잡단(司憲府雜端)에 이르렀으며, 고려가 망하자 충청남도 대덕군 동...
-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는 화폐 거래와 대부 거래를 일체화시킨 경영을 통하여 신용 통화를 공급하는 금융 기관. 예금 등에 의해 자금을 조달하고 이를 기업 또는 개인에게 대부하거나 증권 투자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을 총칭해서 금융 기관이라 한다. 한국의 금융 기관은 취급하는 금융 서비스의 성격에 따라 은행, 비은행 예금 취급 기관, 증권회사, 보험회사 및 기타 금융 기관으로 대별된다...
-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겉씨식물 은행나무목 은행나뭇과의 낙엽 교목. 은행나무는 충청북도 음성군을 상징하는 나무이며, 전통적인 성목수로 수세가 곱고 수명이 길다. 순결하면서도 노력하고 바르게 사는 군민 상과 무궁한 발전과 군민의 화합·단결을 상징하는 나무이다. 열매껍질이 희다 하여 은빛의 ‘은(銀)’ 자와 열매가 살구 비슷하게 생겼다 하여 살구 ‘행(杏)’ 자를 합하여...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수태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하태는 수태2리의 중앙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마을의 동북쪽으로 수태리의 자연 마을인 가잠이가 자리 잡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수인다랭이, 남쪽으로는 꾸억말과 가재월이 접하고 있다. 수태리의 자연 마을인 상태 밑에 있는 마을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마을에 응달이 들어 음달말이라고도 부른다. 본래 충주군 소탄면 하태리...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충도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소이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6㎞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은 금고리, 서쪽은 원남면 구안리, 남쪽은 괴산군 소수면, 북쪽으로는 음성읍 석인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산직말 남쪽 음지에 마을이 있어 음촌 또는 음달말이라 부른다. 본래 충주군 사이포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도남리·양전리·삼고리·원충리 각 일부와...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인곡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다니골 동쪽 음지에 마을이 있어 음촌 또는 음달말이라 불렀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 지역으로 다니골이라 하였으며, 연안이씨가 살면서 단이곡·단화동 또는 인곡이라 하였다.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송동·하묵리 일부를 병합하여 인곡리라 해서 음성군 맹동면에 편입되었다. 남쪽에는 정월보름날 달맞이를...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문촌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감곡면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약 7㎞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은 충주시 앙성면 본평리, 서쪽은 상우리, 남쪽은 사곡리, 북쪽으로는 오갑산과 각각 접하고 있다. 늘거리 건너편 산 아래에 있어 음달말이라 한다. 본래 충주군 거곡면(居谷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오리와 신촌·장평리·...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봉곡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금왕읍에서 서남쪽으로 약 6㎞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은 용계리, 서쪽은 유포리, 남쪽은 유촌리, 북쪽으로는 오선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평짓말의 동남쪽에 있는 마을로 다부내 음지쪽에 있다 하여 음달말이라 부르게 되었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평리·외봉리·내봉...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쌍정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맹동면 소재지로서 동쪽은 함박산, 남쪽은 두성리, 서쪽은 본성리, 북쪽으로는 마신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시장통이 있는 마을로 음달말과 양촌을 합해 정내라고도 부른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정리와 하정리·중본리·율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맹동면에 편입되었...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임곡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생극면 소재지에서 북쪽으로 약 7㎞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은 송곡리, 서쪽은 이천시 율면 오성리, 남쪽은 팔성리, 북쪽으로는 이천시 율면 월포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팔성산 북쪽 음지가 됨으로 음달말 또는 음촌이라 부른다. 본래 충주군 생동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임오리와 품곡...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초천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4㎞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은 신천리, 서쪽은 동음리, 남쪽은 원남면 덕정리, 북쪽으로는 소여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양달말과 음달말을 합해 풋내라고 하며, 냇가에 풀이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아무리 가물어도 개울이 마르지 않았다고 한다. 본래 음성군 근서면 지역으로 냇가에 풀이 많아 풋내 또는 초...
-
음성 감곡성당이 소장하고 있는 일제강점기의 유물. 음성 감곡성당은 1896년 프랑스 파리 외방 선교회 소속이었는데, 신부에 의하여 설립된 한국에서 18번째 성당으로 현재 6개의 공소를 가지고 있고 신자 수는 3,350명이며 수많은 신앙 단체가 지역 사회에 봉사하고 있다. 초대 본당 신부 임가밀로 신부는 1896년 문맹 퇴치를 위하여 매괴학교를 설립하여 현재의 매괴고등학교로 발전되었...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영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전통 가옥. 국가국가민속문화재 제143호로 지정된 음성 공산정 고택은 문화재 지정 당시 명칭이 ‘음성 서정우 가옥’이었으나 마을 이름인 공산정을 반영하여 2007년 1월 29일부로 현 명칭인 음성 공산정 고택로 명칭이 바뀌었다. 건축 연대는 19세기 후반으로 추정되나, 안채 상량문에 ‘단군기원후사이오칠갑자년칠월(檀君紀元後四二五七年甲...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영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전통가옥. 음성 잿말 고택은 조선 중기 무신으로 유명한 이완 대장의 생가라는 설도 있고, 3백여 년 전 이익이 세웠다고도 전해지나 역사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자료가 없어 확인할 방법은 없다. 사랑채의 상량문에 적힌 ‘대한광무오년신축이월초칠일신시상량(大韓光武五年辛丑二月初七日申時上樑)’이라는 문구로 보아 1901년(고종 5)에 신축된...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생산되는 특산물. 최근 음성 지역이 새로운 배 주산지로 떠오르면서 음성 배가 전국적으로 유명해졌다. 따라서 음성군에서는 음성 배가 음성 지역 특산물로 자리 잡도록 통합 브랜드인 다올찬이란 명칭을 붙여, 음성 다올찬배라는 품명으로 홍보 및 판매를 하고 있다. 음성 다올찬배는 ‘속이 알차고 단단한 음성 지역의 배’란 의미를 갖고 있다. 원래 우리나라에서 자라던 배나...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생산되는 특산물. 음성 지역에서 생산되는 사과를 과거에는 음성 사과로 불렀으나 요즘에는 음성군의 농산물 통합 브랜드인 음성 다올찬사과라 부르고 있다. 음성 다올찬사과는 ‘속이 알차고 단단한 음성 지역 사과’란 의미를 갖고 있다. 오래전부터 재래종인 능금을 재배했지만 최근에는 외국에서 도입된 개량종을 많이 재배하고 있다. 사과나무의 도입은 1884년경부터 이루어졌...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생산되는 특산물. 음성 다올찬수박은 음성 지역의 5대 특산물 중의 하나이다. 음성 다올찬수박은 ‘속이 꽉 차고 단단한 음성 지역 수박’이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수박의 원산지는 아프리카 열대로 알려져 있는데, 원산지에서 유럽으로, 유럽에서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로 전해졌으며, 동양에는 터키인에 의해 천산 남로를 통해 전해졌다고 한다. 인도에 수박을 뜻하는 산스크...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 망이산 일원에 축조된 고대 국방 시설. 그간 봉수대로 알려져 왔으나 1980년 단국대학교 학술 조사단에 의해 고구려의 남진 기지로 쓰인 산성으로 추정되었다. 산성에 대한 기록은 주로 조선시대에 편찬한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여지도서(輿地圖書)』·『대동지지(大東地志)』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이 기록들에...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 미타사에 있는 고려 후기의 마애불. 불상의 머리 부분과 어깨 부분만 양각으로 처리하였고, 양손과 허리, 하반신 부분은 음각선으로 처리해 불상의 윤곽만을 나타냈다. 머리에는 두건형의 관모를 썼으며 상호는 원만자비상으로 비만한 편이다. 양 눈썹에서 코까지 연결되는 선은 뚜렷하나 두 눈과 입은 선명하지 않고, 양쪽 귀는 크고 뭉툭하다. 목은 매우 짧고 삼도...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영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전통 가옥. 국가국가민속문화재 제143호로 지정된 음성 공산정 고택은 문화재 지정 당시 명칭이 ‘음성 서정우 가옥’이었으나 마을 이름인 공산정을 반영하여 2007년 1월 29일부로 현 명칭인 음성 공산정 고택로 명칭이 바뀌었다. 건축 연대는 19세기 후반으로 추정되나, 안채 상량문에 ‘단군기원후사이오칠갑자년칠월(檀君紀元後四二五七年甲...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통일신라 또는 고려 전기의 모전석탑. 음성 오층모전석탑은 원래 읍성읍 읍내리 교동 음성향교 앞 도로 건너편에 있었던 폐사지에 있었다. 그러다가 1946년에 수봉초등학교 교정으로 옮겨졌다. 그 후 1995년 현재의 위치인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향토자료전시관 서쪽 광장에 자리 잡게 되었다. 단층으로 되어 있는 기단은 2매석으로, 사각형의 지대를 결...
-
수천 년 동안 중국과 한국, 일본 등 동양사상을 지배하여 온 유교는 인(仁)으로 모든 도덕을 일관하는 최고 이념으로 삼고, 수신(修身)·제가(齊家)·치국(治國)·평천하(平天下)의 실현을 목표로 하는 일종의 윤리학이며 정치학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삼국시대 이후 고려를 거치면서 조선왕조로 들어와 국가 지배 이념으로 기능하기도 하였다. 그런 의미에서 유교는 종교가 아니라고 하지만,...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 음성 읍내리 삼층석탑은 평곡리에 있었던 사찰의 사리탑으로 건탑되어 계속 절터를 지켜왔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탑은 1934년 연풍정(지금의 경호정)을 지으면서 현재의 위치인 설성공원 내로 옮겨진 것이라 한다. 단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부를 갖춘 일반형 석탑으로, 상륜부(相輪部)가 결실되었을 뿐 보존 상태가 양호한 석탑이다...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재배되는 대표적 특산 작물. 음성 지역의 인삼 재배는 1959년을 전후해 음성읍 신천리 지역에서 시범포 형식으로 시작되었으며, 1961년 지역 공동 사업으로 약 4,000㎡을 재배하여 성공한 것이 동기가 되어 인근 지역으로 빠르게 파급되었다. 기록을 보면 1966년 음성 지역의 인삼 재배 농가는 총 40가구로 9만 2,466㎡을 재배했으며, 1975년에는 584...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생산되는 특산물. 음성 지역은 한강과 금강이 나누어지는 분수령으로 지역이 청정하며 배수가 양호한 사질 토양과 충분한 일조량, 밤낮의 적정한 일교차 등 조건이 좋아 음성 지역에서 생산되는 고추는 매운맛과 향기가 강한 고추 특유의 맛이 있으며 껍질이 두꺼워 고춧가루가 많이 나오는 특징이 있다. 특히 색깔의 광택이 곱고 선명하며 ‘고추 세척기로 세척’한 후 태양열로...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팔성리에 있는 1930년대 전통가옥. 생극면 팔성리는 윗마을과 아랫마을로 나누어져 있는데, 음성 팔성리 고가는 아랫마을인 말마리에 있는 전통가옥이다. 말마리로 들어서서 골목길을 따라 한참을 걸어 들어가면 산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음성 팔성리 고가를 볼 수 있다. 음성 팔성리 고가가 지어질 당시인 1930년경에는 넓은 대지(약 2,706㎡) 위에 안채와 사랑채...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생산되는 특산물. 음성 햇사레복숭아는 ‘풍부한 햇살을 받고 탐스럽게 영근 음성 복숭아’를 의미하는 브랜드로 음성 지역, 특히 감곡, 음성, 생극, 원남 지역에서 재배·생산되는 복숭아를 이르는 고유명칭이다. 음성 햇사레복숭아는 88올림픽 때 선수촌에 공식 납품 식품으로 지정을 받을 정도로 당도가 높고 과즙이 많을 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과육질로 음성 지역 특산물로...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재배·생산되는 관상용 식물 및 화초. 원예는 채소, 과일, 화초 등을 심어서 가꾸는 일이나 기술을 말하며 화훼 원예는 이들 원예 식물 중에서도 과수나 채소와 같은 식용이 아니라 분재나 화초 등과 같이 순수히 관상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원예를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 화훼 원예는 백제 때 중국으로부터 난과 국화, 모란 등을 들여와 왕실의 뜰에서 재배하면서부터 시작되...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에 있는 우편, 전신, 금융 등의 업무를 맡아 보는 공공기관. 우체국은 국장의 지위에 따라서 4급(서기관국), 5급(사무관국), 6급(주사국), 7급(주사보국)으로 분류되거나 기능에 따라서 체신청, 우편집중국, 집배국, 무집배국으로도 분류된다. 또한 설립 주체에 따라 일반우체국, 별정우체국, 우편취급소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4급과 5급우체국은 총괄국...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기독교 대한감리회 소속 교회. 감리교 선교 정책은 정치·경제·문화·교육·종교 등의 분야에서 최고의 지도자를 양성하고 이 민족이 복음의 빛과 자유를 누리며 살아가도록 이끌어주는 것이다. 음성감리교회는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서 이 선교 정책을 충실히 따르기 위해 설립되었다. 초기에는 공주에 주재한 감리교 선교사 서원보(스웨어러)와 우리암(윌리암스)가...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에 있는 경찰 업무를 수행하는 국가 기관. 음성군 관내의 치안 유지와 교통 단속, 범죄의 예방·진압·수사 등으로 국민의 생명·신체·재산을 보호할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일제강점기에 음성 경찰은 1906년(광무 10년) 10월 1일 내부령 제12호에 의거, 순검(巡檢) 4명으로 충청북도 경무서 음성분파소가 최초로 설치되었다가 1907년 12월 27일 내부령...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에 있는 음성경찰서의 하부 기관. 지구대는 지역 치안을 위한 경찰의 최일선 조직으로서 일정 지역의 치안을 담당하며 24시간 주민과 함께하며 지역의 안전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지구대는 주민들과 호흡을 같이하면서 모든 경찰 관련 민원이나 주민의 불편한 사항을 해소해 주는 치안 서비스 센터로 자리 잡고 있다. 그리고 지구대의 외근 경찰관은 주민의 일상생활...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산리에 있는 음성경찰서의 하부 기관. 형사 수사·방범·순찰·교통 질서 확보 등을 통하여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지역의 치안 유지 및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은 1987년 중부고속국도의 개통과 2009년 평택~음성 간 동서고속국도가 지나가는 교통의 요충지로서 인근 공업 단지와 산업 단지가 밀집되어 있는 지역으로...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음성경찰서의 하부 기관. 지구대는 지역 치안을 위한 경찰의 최일선 조직으로서 일정 지역의 치안을 담당하며 24시간 주민과 함께하며 지역의 안전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지구대는 주민들과 호흡을 같이하면서 모든 경찰 관련 민원이나 주민의 불편한 사항을 해소해 주는 치안 서비스 센터로 자리 잡고 있다. 그리고 지구대의 외근 경찰관은 주민의 일상생활...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더불어 살아가는 인성 교육 강화, 창의성 교육으로 경쟁력 신장, 함께 하는 교육 공동체 확립, 자긍심이 넘치는 교직 풍토 정착, 쾌적하고 질 높은 교육 여건 조성을 통하여 21세기를 주도할 창의적인 인재를 기른다. 1946년 8월 31일 음성공립초급중학교로 인가 받아 처음 학교 문을 연 뒤 1948년 9월 23일 6년제인 음성공...
-
충청북도의 중북부에 위치한 군. 동쪽으로는 충청북도 충주시, 서쪽으로는 경기도 안성시와 충청북도 진천군, 남쪽으로는 충청북도 괴산군과 충청북도 증평군, 북쪽으로는 경기도 이천시와 각각 접하고 있어 경기도와 충청북도의 경계를 이룬다. 음성군의 동쪽 끝은 소이면 문등리로 동경 127° 48′ 42′′, 서쪽 끝은 대소면 내산리로 동경 127° 48′ 50′′, 남쪽 끝은 원남면 문암리...
-
충청북도 음성군 읍성읍 읍내리에 있는 음성군 체육회·음성군 생활체육협의회 산하 게이트볼 단체. 게이트볼 동호회인 노인회클럽과 주부클럽으로부터 음성군 게이트볼협회가 시작되었다. 생활 체육 활성화로 이들을 중심으로 협회를 구성하면서 민간 단체로 발족하게 되었다. 1995년 4월 15일 음성군 게이트볼협회가 창립되면서 초대 박용원 회장이 취임하였다. 1997년 정식으로 음성군 생활체육협...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음성군 체육회·음성군 생활체육협의회 산하 궁도 단체. 전통 무예인 국궁을 널리 보급하여 음성 군민의 심신 단련에 기여하기 위해 창립하였다. 1989년 6월 23일 충청북도 음성 지역의 유지 몇 명이 모여 창립하게 되었으며 초대 이규철 회장이 취임하였다. 1994년 음성군 생활체육협의회의 정식 가맹단체로 등록하였으며, 역대 회장으로는 이파륜, 한...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농업 기술 및 경영 기법 지도 기관.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 농민들에게 과학 영농과 농업 기술 보급을 위하여 설치되었다. 1957년 6월 음성군 농사교도소로 시작하여, 농촌진흥법에 따라 1962년 3월 음성군 농촌지도소로 개칭되었다. 1963년 10월에는 세 곳에 농촌지도소 지소가 설치되었고 1975년 1월에는 읍·면별로 지소를 확대·설치하였다....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음성군 체육회·음성군 생활체육협의회 산하 배구 단체. 배구 인구의 저변을 확대하고 배구를 통한 생활 체육을 활성화하여 음성군 체육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창립되었다. 1981년 박용한(1981~1982) 초대 회장을 중심으로 음성군 배구협회가 결성되었으며, 1990년 제5대 전병습 회장이 취임하면서 정식으로 음성군 체육회 산하 단체로 등록하였다....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음성군 체육회·음성군 생활체육협의회 산하 배드민턴 단체. 충청북도 음성군 배드민턴 인구의 저변 확대와 배드민턴을 통한 생활 체육 발전을 위해 창립하였다. 1993년 5월 회원 20여 명으로 음성군 배드민턴협회가 설립되면서 초대 윤정한 회장이 취임하였다. 1997년 3월 생활 체육 활성화를 위해 배드민턴연합회를 구성하였다. 1999년에는 음성클럽...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지역 보건 의료 기관. 음성군의 지역 사회 현황은 국토의 중앙에 위치한 내륙군으로서 야산과 구릉지가 많은 전통적인 농업군이었으나 1987년 중부고속국도의 개통과 더불어 많은 기업체(2,400여개)가 등록함으로써 농업과 공업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지역이 되었다. 2개 읍(음성읍·금왕읍)과 7개 면(소이면·원남면·맹동면·대소면·삼성면·생극면·감곡면...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음성군 체육회·음성군 생활체육협의회 산하 볼링 단체. 충청북도 음성군 볼링 인구의 저변 확대와 볼링을 통한 생활 체육의 활성화를 위해 창립하였다. 1993년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에 볼링장이 개장하면서 음성군 볼링협회가 창립되었다. 초대 회장에 박응규, 부회장 류일선, 전무이사 최병근, 총무이사 서효석, 경기이사 박승기, 감사 이명의, 황선원,...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음성군 체육회·음성군 생활체육협의회 산하 사격 단체. 음성군 사격연맹은 충청북도 음성군의 사격 동호인 20여 명이 모여 결성한 단체로 음성군 체육회 산하 단체로 등록 되어 있으며 음성군 생활체육협의회에도 가입되어 있는 단체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사격 인구의 저변 확대와 우수한 경기인의 양성, 대내외 홍보 및 회원 상호간의 친목 도모 등을 통하여...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산림 조합. 산림 소유자와 산림 경영자 등이 민주적 협동 조직을 통하여 지속 가능한 산림 경영의 촉진과 산림 생산력을 증진하여 조합원의 경제·사회·문화적 지위를 향상시키며 나아가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49년 사단법인 음성군 산림조합을 발족하고, 1953년 산림보호임시조치법에 의한 리·동 단위의 산림계를...
-
충청북도 음성군 읍성읍 읍내리에 있는 음성군민의 체육 활동을 도모하기 위해 창립된 체육 단체. 생활체육회는 전국 생활 체육 동호인의 결집체인 비영리 사단법인으로서 정부의 생활 체육 정책을 전담하는 생활 체육 추진 중심 단체이다. 1989년 국민체육진흥법 및 체육 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제도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1990년 1월 국민 생활 체육 진흥 종합 계획의 일...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1리에 있는 선거 관리 기관. 선거관리위원회는 선거와 국민투표의 공정한 관리 및 정당에 관한 사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된 국가 기관으로 합의제 헌법 기관이다.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은 특정 정당에 가입하거나 정치 활동 또는 정치에의 관여를 금지함으로써 중립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음성군 선거관리위원회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하위 조직으로 시·군·구선거관리...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음성군 체육회·음성군 생활체육협의회 산하 육상 단체. 충청북도 음성군의 체계적인 육상 인재 육성, 선수 관리 및 지원을 위해 창립되었다. 1990년 충청북도 도민체육대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음성군 육상경기연맹이 창립되었으며 초대 현상봉 회장과 서효석 전무이사가 취임하였다. 그후 회장에 제2대 곽기도, 제3대 서효석이 취임하였으며, 2006년 3...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지방자치단체 의결 기관. 지방 행정 조직의 행정 행위 감시와 견제 그리고 지역 주민의 의견을 대변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1990년 12월 31일 지방자치법 개정안 공포에 따라 1991년 3월 26일 제1대 의원 선거를 하여 9개 선거구에서 9명이 당선되었다. 1991년 4월 15일 제1대 의회를 개원하고 전반기 의장단을 선출하였으며, 1993...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사회 복지 단체. 충청북도 음성군 내 장애인들의 권익 보호와 재활 등을 통한 사회적 참여를 유도하여 장애인 복지 증진과 더불어 복지 음성 건설에 앞장서고자 창립되었다. 1989년 7월에 음성군 장애인복지회 결성추진위원회를 결성하고, 1990년 4월 7일 음성군 장애인연합회 창립대회를 개최하였다. 1992년 4월 20일 장애인 순회 진료 및 상담...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음성군 체육회·음성군 생활체육협의회 산하 정구 단체. 학교 및 실업팀의 정구 선수를 발굴하여 지원하고 각종 대회에 출전하여 우수한 성적으로 입상할 수 있도록 하여 음성군이 정구 고장으로서의 명예를 높이고 정구 발전에 밑거름이 되도록 하기 위해 창립하였다. 정확한 연도는 알 수 없으나 대략 1970년대에 창립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초대 오덕영...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음성군 체육회·음성군 생활체육협의회 산하 족구 단체. 충청북도 음성군의 족구 인구 저변 확대와 생활 체육 활성화를 위해 창립하였다. 1991년 7월 15일 이혁구 초대 회장과 10여 명의 회원이 모여 음성군 족구협회를 발족하였으며, 1994년 8월에는 생활체육족구연합회를 창립하였다. 역대 회장에는 1대 이혁구, 2대 정수창, 3대 이승원이 취임...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자원 봉사 기관. 충청북도 음성군 내의 잠재된 민간 자원의 발굴 및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지역 주민의 사회 참여 활동을 촉진하고, 지역 사회의 문제와 욕구 해결을 위해 자원 봉사 활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민간 주도로 자율적인 자원 봉사 활동을 지원·장려하는 데 필요한 자원 봉사자 모집, 배치와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운영...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사정리는 지리적으로 충청북도 북서부 지역에 있는 음성군의 중앙부에 자리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음성읍 용산리, 북서쪽으로는 금왕읍 금석리, 남쪽으로는 음성읍 감우리, 북쪽으로는 금왕읍 육령리와 접하고 있다. 서울에서는 중부고속도로를 따라오다 음성 나들목으로 나오면 동쪽으로 12㎞ 지점의 금왕에 이르게 되고, 금왕에서 37번 국도를 따라...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엘리트체육과 경기단체를 지원하기 위한 체육단체. 모든 음성군민들의 체력 향상과 건전하고 명랑한 생활 기풍을 진작시키고, 관내 아마추어 경기 단체를 총괄 지도하고, 우수한 선수를 양성하여 음성군의 체육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창립되었다. 1967년 10월 25일에 초대 회장으로 채동환이 취임하여 1970년 7월 27일까지 활동하였다. 1970년대...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음성군 체육회·음성군 생활체육협의회 산하 축구 단체. 음성군 축구연합회는 대한축구협회 산하에 있는 16개 지방 광역 협회 중 충청북도 축구협회 산하의 음성군 지역 협회라 할 수 있다. 현재는 음성군 축구연합회와 음성군 생활체육협의회 산하 단체인 음성군 생활체육축구연합회가 통합되어 운영되고 있다. 충청북도 음성군 축구 인구의 저변 확대, 동호인들...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음성군 체육회·음성군 생활체육협의회 산하 탁구 단체. 충청북도 음성군 탁구 인구의 저변 확대와 생활 체육으로서의 탁구 활성화를 위해 창립되었다. 1974년 4월 동호인 14명을 중심으로 음성군 탁구협회가 창립되면서 초대 주상팔 회장이 취임하였다. 1994년 8월 음성군 생활체육협의회에 정식 단체로 가입하며 활발한 활동을 하기 시작하였으며, 19...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음성군 체육회·음성군 생활체육협의회 산하 태권도 관련 단체. 태권도를 온 국민의 운동으로 만들어 군민의 체력 향상과 건전하고 명랑한 기풍을 진작시킴과 아울러 우수한 경기자를 양성하여 음성군의 명예는 물론 국위 선양을 도모함으로써 체육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1989년 1월 5일 초대 회장 박노건과 전무이사 최윤기 외 13명이 대한태권...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음성군 체육회·음성군 생활체육협의회 산하 테니스 관련 단체. 음성군 테니스협회는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는 체육 단체 중 가장 오래된 단체로 각 개별 클럽 및 동호인들로 활동해오던 음성군 테니스 인구를 규합하여 발족하였다. 충청북도 음성군 테니스 인구의 저변 확대와 생활 체육으로서의 테니스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창립되었다. 직장 및 사회단체 대항...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향토 민속자료 전시관. 음성 지역의 역사 유물과 조상의 생활 문화 등을 담은 문화 유적과 민속자료 등을 통하여 음성 지역의 역사와 문화 발전상을 알리고 교육하고자 건립되었다. 1993년 8월 4일에 음성군 향토민속자료전시관 공사에 착공하였으며, 1994년 3월 30일에 공사를 완공하였다. 1994년 4월 20일 음성군 향토민속자료전시관을 개관하...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음성 지역을 관할하고 지방 자치 단체의 업무를 수행하는 행정 기관. 중앙 정부와 광역 자치 단체로부터 위임받은 충청북도 음성군에 대한 행정 및 민원업무, 주민 복지 정책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음성군은 1895년 5월 26일 칙령 제98호로 음성군으로 개칭되었으며, 1914년 3월 1일 음성군청이 설립되었다. 부령 제111호로 부군면이...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에 있는 국궁 전수 시설. 음성궁도장은 음성군 궁도협회 산하의 사정(射亭)인 가섭정(迦葉亭)을 의미한다. 사정이란 활을 쏘려고 세운 정자를 의미하며, 사정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궁도 단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음성궁도장은 1993년부터 음성군 궁도협회에서 위탁·운영·관리하고 있으며, 1995년 제34회 충청북도 도민체육대회 궁도 경기를 개최하고자 대대...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궁리에 있는 사설 유물전시관. 음성기록역사관은 10여 년의 기록 유물 수집 활동으로 기록과 함께 전해지는 그 시대의 문화 유산을 직접 접할 수 있는 역사관으로 김수명이 개관한 사설 기록문화 역사관이다. 조선시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1,000여 점의 문서와 고서, 민속자료, 교육자료 등을 전시하고 있다. 이러한 전시는 사라져가는 우리의 기록 문화유산을 차세...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평곡리에 있는 농공 단지. 음성농공단지에는 환경 파괴 위험이 있는 공해 배출 산업의 경우 환경부의 승인 없이는 입주할 수 없으며 그 밖의 화학, 제약 등 모든 업종이 입주 대상이 된다. 음성농공단지에 입주한 업체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가 금융과 기술 지원을 해 주고 세금을 감면해 주는 등 다른 공단보다 많은 혜택을 주고 있다. 1983년 말에 제정되어, 19...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농협중앙회의 음성군 단위 농업협동조합.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 농업인의 권익 향상을 위해 조직되었고 농산물 위탁 판매, 농민 우대 예금 업무, 대출 업무를 통해 조합원들의 복지 증진 향상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9년 9월 10일 관내의 12개 이동 조합을 합병하여 음성농업협동조합이 설립되었다. 1970년 초대 조합장으로 박래동이 취임하였고,...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충도리에 있는 고춧가루 가공공장.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은 기온의 일교차가 큰 대륙성 기후와 함께 연평균 기온 섭씨 11.2도, 연평균 강수량은 1,360㎜이고 배수가 좋은 사질 양토가 넓게 분포해 있는 지역으로 예로부터 ‘고추’의 주산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1968년 전국 최초로 육묘 이식과 비닐 멀칭으로 고추 재배에 성공하여 전국에 보급하였으며, 최초 품...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문촌리에 있는 섬유 산업 특성화 지방 산업 단지. 지방산업단지법에 의하여 산업 단지 내 사업장에게는 지방세 감면 혜택 또는 일정 기간의 법인세 유예 등의 기업 지원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단지 조성 사업 시행자는 음성니트공업사업협동조합이며, 지형 및 지반의 특성은 농경지 및 구릉지, 실트질 모래로 구성된 토층 및 풍화 암층으로 되어 있다. 지역 특산품으로...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군립 도서관. 음성도서관은 1988년에 개관한 이래 음성군 지역의 정보 서비스는 물론 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문화활동 및 평생교육의 장으로서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선진 도서관으로 변모하기 위하여 최신 정보와 자료를 수집·보존하며 도서관의 디지털화에 정진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도서 열람을 통한...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생리에 있는 동요학교. 음성동요학교가 있는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은 동요 「고추 먹고 맴맴」의 발상지이다. 음성동요학교를 포함한 주변 마을을 동요마을로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음성동요학교는 어린이들이 동요를 통하여 전통 문화의 우수성과 조상의 멋과 슬기를 배우고 익히며, 나라와 고장을 사랑하도록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2005년 9월 2일에 옛...
-
충청북도 음성군 관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학 동인회.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하는 문학인들이 정서와 관심을 공유하면서 공동으로 활동할 수 있는 공간과 기회를 마련하여 음성군민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설립되었다. 1987년 12월 26일 봉화동인회가 주관한 증재록 시집 『푸시개』 발간 기념식에서 음성문인회 발기 선언을 하고 1988년 6월 8일 여섯 명이...
-
충청북도 음성군 관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학 동인회.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하는 문학인들이 정서와 관심을 공유하면서 공동으로 활동할 수 있는 공간과 기회를 마련하여 음성군민들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설립되었다. 1987년 12월 26일 봉화동인회가 주관한 증재록 시집 『푸시개』 발간 기념식에서 음성문인회 발기 선언을 하고 1988년 6월 8일 여섯 명이...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음성 지역의 향토 문화 창달을 위하여 설립된 지역 문화 예술 진흥 기관. 음성문화원은 문화관광부 산하 비영리 기관으로 음성 지역의 문화 사업과 사회 교육 사업 및 설성문화제 등의 각종 행사를 시행하고 있다. 음성문화원은 지방문화원진흥법에 의거하여 음성 지역의 문화 진흥을 위한 문화 사업을 수행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음성문화원은 1958년 2월...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음성박씨 문중의 충효열각. 음성박문 충효열각은 조선 전기의 충신으로 유명한 박순(朴淳)[?~1402]의 충절과 박순의 처 장흥임씨(長興任氏)[?~1402]의 열행, 박호원(朴浩遠)[1559~1627]과 박정규(朴廷珪)[1677~1724]의 효행 등 조선시대 음성박씨(陰城朴氏) 4인의 충효열을 한자리에서 기리기 위하여 조선 후기에 마련...
-
박서를 시조로 하고 박래복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음성박씨(陰城朴氏)의 시조 박서(朴犀)는 신라 경명왕(景明王)의 넷째아들인 죽성대군(竹城大君) 박언립(朴彦立)의 11세손이다. 고려 고종 때 몽골 장수 살리타이[撒禮塔][?~1232]가 쳐들어와 귀주(龜州)를 공격하자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로 있으면서 물리쳤으며 후에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에 올라 음...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류1리 오류골에 있는 음성박씨 동족촌. 대소면 오류1리에 있는 오류골의 음성박씨 시조는 고려시대 전리총랑을 지낸 박현주(朴玄柱)이다. 함흥차사 박순(朴淳)의 후손인 박래복이 조선 후기인 순조 때 음성군 대소면 오류1리의 자연 마을인 오류골에 세거하면서 음성박씨의 세거지가 되었다. 함흥차사 박순의 사급지는 원래 경기도 고양군 벽제면 성석리였으나 조선 중기 이...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1리에 있는 시외버스터미널. 음성군 음성읍 지역 주민의 대중 교통 수단의 편리성을 위하여 오래 전부터 운영되던 공동정류소가 1983년 7월 15일에 버스터미널로 면허를 받아 영업하고 있다. 음성버스터미널의 건축 면적은 121㎡이고, 1일 운행 대수는 130대이다. 도착지별 운행 빈도는 음성군 보천·도안과 충청북도 증평·청주 가 34회로 가장 많고, 그 다...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신천리·평곡리·용산리와 원남면 하노리·하당리에 걸쳐 있는 분지. 음성분지는 음성천 유역의 음성군 음성읍과 음성천의 지류인 구안천 유역의 원남면 동북부 등에 걸쳐 있는 분지 지형이다. 음성분지는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남북이 긴 타원형의 산간 분지이다. 음성읍의 동북쪽에 가섭산[710m]이 있고 동쪽에 수정산[393m]이 있으며, 북서쪽에는 부용산[...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에 있는 상·공업 발전 지원 단체. 음성 지역 상·공업 발전을 위해 지역 상·공업인에게 경영 전반에 걸친 상담과 교육을 통한 신기술 전수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음성상공회의소는 지역 경제·사회 발전과 상공인들의 권익 보호를 목적으로 2001년 11월 설립 발기인 총회를 거쳐 설립된 지역 유일의 종합 경제 단체이다. 2002년 2월 15일에 음성상공회...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천주교 청주교구 소속 성당. 모임과 미사 및 공동체 묵상을 통해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충주본당(현 교현본당) 소속 공소로 있었다. 1952년 파디 신부가 음성을 방문하여 현재의 음성고등학교 입구 우측 과수원 자리를 성당 부지로 선정하였다. 1954년 10월 성당 및 사제관이 준공되고 메리놀회 곽 신부가 부임하였...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에 있는 음성군 관할의 소방 행정 기관. 음성군을 관할로 하여 화재를 예방·경계 또는 진압하여 군민의 생명·재산을 보호하고 동시에 그로 인한 피해를 경감하여 안녕 질서를 유지하고 사회의 복리 증진을 도모할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1992년 11월 14일 음성파출소를 개소하고, 1992년 12월 31일 음성군 지역 충주소방서 관할로 편입되었다. 1994년...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향리에 있는 음성소방서 산하 소방 기관. 감곡119안전센터는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과 생극면 주민들의 안전과 화재 진압 및 구급 업무를 담당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2006년 12월 22일 충청북도 조례 제2965호로 음성소방서 산하 기관 명칭 변경이 의결됨에 따라 2007년 1월부터 산하 소방파출소와 소방파견소 명칭이 각각 119안전센터와 119지역대로...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산리에 있는 음성소방서 산하 소방 기관. 음성소방서 대소119안전센터는 화재 진압 및 구급 업무, 소방 장비 조작 및 기술 개발 연구 등에 관한 사항, 소방 용수 조사 및 유지 관리, 소방 대상물의 조사 및 소방 검사, 각종 대민 봉사 및 소방 홍보 등의 업무를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2006년 12월 22일 충청북도 조례 제2965호로 음성소방서 산하 기관...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에 있는 음성소방서 산하 소방 기관. 충청북도 음성소방서 산하 조직으로 음성군 읍성읍·소이면·원남면에서 화재 예방·진화·응급 구조 등을 통해 화재나 긴급 재난으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충청북도 개정 조례 제2335호에 의거하여 1997년 음성소방서가 설치되었다. 직할 체제에 있다가 2002년 9월 30일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 55...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에 있는 음성소방서 산하 소방 기관. 각종 재난·재해로부터 음성군 금왕읍과 맹동면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994년 12월 30일 충주소방서 관할의 금왕소방파출소로 설치 승인을 받았다. 1997년 9월 1일 음성소방서가 개서되면서 음성소방서 관할로 변경되었다. 2004년 중앙파출소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2005년 8월...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청용리에 있는 돈육 가공공장. 팜스코(주)는 1967년부터 국내 양돈 사업을 시작하였으며, 1973년부터는 사료 사업을 시작함으로써 종합 축산 전문회사로 발전하였다. 그 후 종돈, 사육, 가공, 유통, 축산 컨설팅에 이르는 계열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육가공 공장, 축산기술센터, 종돈장, 물류센터, 연구소 등을 건립하였다. 그 중 음성신선육가공장은 1983년에...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실내 체육관.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에서 개최되는 각종 체육 행사와 문화 행사 등을 날씨에 상관없이 실내에서 개최할 수 있도록 지원할 목적으로 총 사업비 81억 5400만 원을 들여 건립하였다. 음성실내체육관은 1997년 10월 공사에 착공하여, 1999년 11월에 완공·개관하였다. 음성실내체육관은 부지 면적 14,348㎡에 건축 면적 4,206...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평곡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주체성을 확립하고 스스로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생활 태도를 기르며, 인성 교육을 강화하여 예의 바르게 생활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태도를 함양하며, 교수·학습 과정의 개별화를 통하여 소질과 기능을 계발하고 개성을 기르며,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신장을 통하여 미래 사회에 대응하는 창의력을 기른다. 또한 아름다운 마음과 튼튼한...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평곡리에 있는 충북선 복선철도의 보통역. 1928년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역에서 충청북도 충주역 간에 충북선이 개통함에 따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1928년 12월 25일 충북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음성역은 1980년 3월 12일 충북선의 복선화 작업이 완공되면서 지금의 새로운 역사(驛舍)로 이전하여 영업하고 있다. 충북선 복선철도 완공으로...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충도리에 있는 미곡 종합 처리장.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과 소이면, 원남면 등에서 생산되는 추정미를 도정하는 공장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과 소이면, 원남면 지역은 벼농사가 매우 발달해 있다. 특히 음성군 소이면 한내들에서는 많은 벼를 생산하여, 음성군 소이면 면사무소 광장에 벼 다수확을 기념하는 탑이 세워져 있다. 따라서 이들 지역에서 생산되는 벼를 보...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잎담배 생산 조합. 잎담배 경작자 조직을 통하여 잎담배 생산력의 증진 및 경작자의 공동 이익과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고 담배 사업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담배 경작 기술을 개량하고 발전·보급하는 경작 지도 사업, 잎담배 경작 자금의 융자 및 알선 사업, 경작용 물품의 구입 및 알선 사업, 신용협동조합법에 따른...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예술 문화 단체.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음성지회는 비영리 사단 법인체로 일정한 요건을 갖추고 각종 예술 행사를 열고 있다. 음성문인협회, 음성국악협회, 음성미술협회, 음성음악협회, 음성문예협회 등의 회원단체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음성지회는 음성군의 예술 문화 발전과 회원 권익을 옹호하기 위하여 창립되었다. 1994년 4월...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우편·체신·금융을 담당하는 기관. 1910년 9월 1일 음성우편소가 개소되었고, 1959년 9월 10일 음성우체국으로 개칭되었다. 1972년 4월 1일 사무관국으로 승격되었으며, 1983년 3월 1일 체신·예금 업무를 시행하였다. 1995년 6월 17일 은행 전산망 연결 이용 서비스가 실시되었고, 2001년 12월 21일 현 청사를 준공하여 현...
-
충청북도 음성군에 속하는 행정구역. 본래 음성군 동도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근서면과 남면의 일부, 충주군 맹동면·사이포면의 일부를 병합하여 음성면으로 개칭되었다. 1956년 음성면이 음성읍으로 승격되었다. 동쪽에 가섭산[710m]과 수정산이 솟아 있으며, 서쪽에는 소속리산[432m], 남쪽에는 사향산[342m], 북쪽에는 부용산[644m]이 있어 사방이 둘...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에 있는 음성군의 하부 행정 기관. 음성읍은 음성군 동부에 위치한 면으로서 동쪽으로는 소이면, 서쪽으로는 맹동면, 남쪽으로는 괴산군 소수면, 북쪽으로는 충주시 신니면과 각각 경계를 이루고 있다. 면적은 총 86.4㎢이고 2020년 7월 31일 기준 8,307세대에 총 인구는 17,767명, 남자는 9,133명, 여자는 8,634명이다. 관할 행정구역은...
-
오래전부터 음성 지역의 대표적인 민속놀이로 꼽히는 음성거북놀이는 1930년대 일제에 의해 놀이가 중단될 때까지 비교적 큰 변화없이 지역의 특성을 보이며 전승되어 왔다. 그러나 중단된 지 60~70여 년이 지나면서 기억에서 잊혀지다 1980년대 재현되어 전국민속경연대회에 참가한 이후 오늘날까지 약 20년 동안 재현되며 전승의 길을 밟고 있다. 감곡면 사곡리 톡실에서 전승되는 가재줄다...
-
음성 지역에 언제 처음 성곽이 축조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우리나라 전체로 보면 청동기시대 구릉 위에 만든 마을의 둘레에 환호(環壕)를 두른 유적이 나타나고, 이어서 그 안팎으로 나무말뚝 따위를 죽 이어서 박아 만든 울타리, 곧 울짱의 형태와 같은 목책(木柵)을 두른 시설이 나타난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목책 이외에 흙으로 다져서 성벽을 만드는 단계로 발전된 것이 확인되었다. 삼국...
-
문촌리는 주로 넓은 들로 이루어져 있는 마을이라서 높은 지형을 좀처럼 볼 수 없는 마을이다. 그러나 가장 대표적인 산으로 ‘오갑산’을 들 수 있다. 오갑산은 문촌5리인 장평마을에서 그 전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장평 마을회관에서 만난 이상인 할아버지(62세)께 오갑산에 대해서 여쭈니 산의 이름은 오갑산이며, 다섯 명의 장군이 나올 지명이라는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내가 듣...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2리에 있는 재래 시장. 문화동마을은 음성장이 서는 곳으로 일명 장터라고 부르고 있고 음성교 부근의 장터는 채소전이라고 불린다.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은 음성 지역의 행정과 교통의 중심 지역으로 음성장은 음성군 내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유통 거점으로서의 기능을 예로부터 수행하여왔다. 특히 조선시대 감원역이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었기 때문에 음성장은...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의 교회. 대한예수교장로회는 장로교의 대표적 중도교단으로 예장통합측이라고도 한다. 성서를 하나님의 절대적인 말씀으로 믿고, 이를 신앙과 행위의 유일한 법칙으로 삼으며, 칼뱅주의에 입각한 장로회 헌법과 12신조 및 대소 교리 문답의 교리를 기본 신조로 한다.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의 불우한 이웃과 장애우 들은 물론 한국을 복음화...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충도리에 있는 전통장류 생산공장. 대표자는 음성군수이며, 음성군에서는 민간 단체인 음성전통장류가공영농조합법인에 공장을 위탁하여 운영하고 있다.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충도리는 교통이 매우 편리한 곳이며, 인근의 음성군 소이면 충도2리에는 농산물 판매장도 설치되어 있다. 음성전통장류가공공장 인근에는 음성연합미곡종합처리장과 음성군 위탁으로 음성청결고추장영농법인...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관성리에 있는 신경정신과 전문 병원. 초대 이사장인 정근희 이사장은 정신병원 환자들의 약물 치료와 병행해서 정서 안정을 위한 환경을 마련해 주기 위하여 의료법인 본원 주변의 정원에 말, 황새, 사자 등의 동물상과 인체, 큰 손 등 소형의 석재 조각품과 나무 조각품 등을 전시하고 석비, 팔각정 등을 건립하는 등 조경 사업을 실시하였다. 그것이 오늘날 큰바위얼굴...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종합 체육 시설. 1990년 제71회 전국체전을 충청북도에서 개최하면서 음성 지역에서는 사이클 경기와 정구 경기를 주관하게 되었다. 이에 제71회 전국체전 사이클 경기를 개최하고자 총 사업비 29억 3800만 원을 투입하여 음성종합운동장을 건립하였다. 1989년 12월에 음성종합운동장 공사에 착공하였으며, 1990년 9월에 완공되어 제71회 전...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 교회. 음성중앙교회의 설립 목적은 음성 지역의 복음화와 세계 복음화이다. 1947년 5월 4일 장영팔·김중희·김성심·최영옥·이종만 등 음성감리교회 교인들이 음성읍 문화동의 장영팔 장로 자택에서 예배를 본 것이 시초가 되었다. 1947년 충주교회 담임목사였던 구종서 목사가 파송되어 왔으며 1948년 7월 23일에는 임재수 전...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인성 교육 활동을 강화하여 나와 우리를 함께 가꾸는 진취적인 민주 시민을 육성하고, 수월성을 추구하는 조화로운 학력 제고를 통하여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며, 학생 자치활동을 활성화하여 기초·기본 질서를 지키고 협동·봉사하는 생활 습관을 갖게 하고, 과학적인 사고와 창의력을 배양하여 선진 미래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진취적인 인재를...
-
1950년 7월 4일부터 7월 10일까지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 일대에서 벌어진 전투. 북한군은 1950년 6월 25일 새벽, 기습적으로 전쟁을 도발하여 파죽지세로 남하하였다. 국군 제6사단 제7연대는 장호원에서 충청북도 음성군 방향으로 남하하는 북한군 제15사단을 저지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에 7월 4일, 음성군 방면으로 이동하여 방어망을 구축하고 북한군에 대비하게 되었...
-
채충을 시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시조는 고려 때 중랑장(中朗將) 채충(蔡沖)이라 하나 문헌상 시조의 행적이나 본관 유래, 이후의 세계(世系)를 상고할 수 없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전국에 73가구 정도가 살고 있다고 한다. 음성채씨(陰城蔡氏) 후손을 알 수 없어 입향 경위도 알 수 없다. 음성채씨는 음성에 본을 둔 성씨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현재 음성에 세거하는...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에서 발원하여 괴산군 목도리에 이르는 하천. 1760년대의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의하면 가섭산 하류는 충원 달천으로 구비 돌아 여강으로 흐른다고 기록되어 있고, 1861년의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열운천이 보현산과 가섭산에서 출발하여 동쪽으로 흘러 현 남쪽 충주 땅의 경사리나 불정리로 흘러들어가 달천이 된다고 기록하고 있다. 1870년대의 『호서읍지(湖...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설성공원 일원에서 매년 9월 음성 청결고추의 홍보와 판매를 위하여 개최하는 축제. 음성군의 농특산물인 고추의 우수성을 대내외에 홍보하고 인지도를 제고시키며 농업인의 영농 의욕 고취를 위하여 음성청결고추축제추진위원회가 개최하는 축제이다. 음성군의 향토 축제인 설성문화제와 결합하여 매년 고추 출하 시기인 가을에 음성읍 읍내리 설성공원 일원에서 열린다. 소...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청소년을 위한 문화 공간. 음성청소년문화의집은 도심권 청소년들이 자유롭게 문화 예술을 만끽할 수 있도록 문화관광부의 예산 지원으로 설치된 청소년 전용 공간이다. 청소년들에게 미래를 주도하는 무한한 꿈을 심어 주고 여가 선용 및 배움의 장소를 제공하고 지역의 전시 공간 등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음성청소년문화의집은 1999년 6월 28일...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축산업인들의 조합.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 축산인들의 권익 보호, 소득 증대와 복지 증진을 위해 설립되었다. 1982년 3월 19일 음성축산업협동조합이 설립되었다. 그 후 1982년 11월 9일 음성축산업협동조합으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83년 4월 11일 축협중앙회 회원 조합에 가입되었고 1987년 2월 16일에는 음성축산업협동조합의 본소에...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상곡리와 용성리에 있는 민간 개발 산업 단지. 입주 기업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사업별 사업 자금 2억 원~7억 원을 금리 연 8.5%로 3년 거치 5년 분할 상환 방식으로 지원받거나, 운전 자금을 1년 거치 2년 분할 상환 방식으로 지원받을 수 있다. 수도권 공장의 지방 이전 정책에 따라 증가하는 중부권 일원의 신규 산업 용지 수요에 대처하고 지역 균형 발전...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시대 지방 국립 교육 기관. 조선시대 음성 지역의 지방교육을 담당했던 음성향교는 1560년(명종 14) 지금의 음성읍 석인리에 처음 세웠으나, 임진왜란 때 불에 타서 1647년 현재의 자리로 옮겼다. 대성전 정위에는 공자(孔子)를 모시고, 양편에는 4성(四聖), 곧 안자(顔子)·증자(曾子)·자사(子思)·맹자(孟子)를 배향하고, 동벽과 서벽에...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음성향교 대성전에서 제향하는 의례. 음성향교 주관으로 매년 봄(음력 2월 초정일)과 가을(음력 8월 초정일)에 음성군 유림회원과 음성군 관내 기관장, 각급 학교 학생들이 참여하여 음성향교 대성전에 모신 중국 선현 19위와 한국 선현 18위에 지내는 유교제례이다. 대성전 정위에 공자를 모시고 그 양편에 안자, 증자, 자사, 맹자와 공자의 10제자인 안회...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음성향교 앞에 있는 조선시대 하마비(下馬碑). 음성향교 하마비는 그 앞을 지날 때에 신분의 고하(高下)를 막론하고 누구나 타고 가던 말에서 내리라는 말을 새긴 석비(石碑)이다. 주로 관아(官衙), 향교(鄕校), 서원(書院), 사우(祠宇) 등의 입구나 능묘(陵墓) 앞에 세워져 경의(敬意)를 표할 수 있게 한 비석이다. 음성군에는 음성향교(陰城鄕校), 지...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1리에 있는 아동 양육 시설. 음성향애원은 가정 해체로 인하여 부모의 보호와 양육을 받지 못하는 아동들에 대하여 전문적인 복지 서비스를 실행하는 시설이다. 아동의 복리 증진과 시설 내 아동들뿐만 아니라 지역 내 일반 아동에게도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의 모든 아동들이 건전하게 성장하도록 돕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2년 전쟁으로 부모를 잃은 불우한...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향토 문화 연구를 위하여 창립된 사단법인. 음성향토사연구회는 비영리 단체로 음성군 지역 내 향토문화유적 조사 및 연구를 하여 향토사와 향토 문화를 정립하고 발전시키기 위하여 창립되었다. 1965년 4월 15일 향토사학가 영구당(靈龜堂) 윤병준(尹秉俊)이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 86번지에 음성군 향토문화연구소를 설립하였다. 1973년에 발...
-
757년(신라 경덕왕 16)에서 1895년(고종 32)까지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 음성은 잉홀(仍忽)·설성(雪城)·잉근내(仍劤內)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음성현의 지명으로는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의 향교말과 감원역에서 유래한 역말 등이 남아 있고 음성향교가 아직 현존하고 있지만 음성현시대의 유적과 유물 등은 거의 사라졌다. 삼국을 통일한 신라는 확대된 영토와...
-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 고구려가 설치한 행정 구역. 음성은 잉홀(仍忽)·설성(雪城)·잉근내(仍劤內)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는데 잉홀의 지명은 서기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 12월에 음성으로 변경되었다. 음성군 음성읍 평곡리 약물제 동쪽에 터골이라는 마을이 있는데 거북 모양의 바위가 있어 구문동(龜文洞)이라고도 하는 이 마을은 고구려 때 잉홀현의 관청이 있어 ‘터골’이라고 하였고 ‘...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그린 고지도. 충청북도 음성군(옛 음성현)의 고지도로는 『광여도(廣輿圖)』, 『해동지도(海東地圖)』, 『1872년 지방지도(地方地圖)』, 『여지도(輿地圖)』, 『비변사인방안지도(備邊司印方眼地圖)』, 『조선지도(朝鮮地圖)』, 『팔도군현지도(八道郡縣地圖)』 등이 있다. 19세기 초 필사본 회화식으로 만들어진 전국 군현지도집인 『광여도(...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에 있는 고속국도 인터체인지. 1980년대 초반 경부고속국도의 교통량이 늘면서 도로의 교통 처리 한계 능력인 도로 용량을 초과하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서울에서 대전 구간은 그 정도가 심하였기에 중부고속국도가 건설되었다. 음성IC는 충청북도 음성군과 진천군, 경기도 안성시 일원 주민들의 중부고속국도 출입구 역할을 하고 있다. 1987년 12월 3일...
-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서 박자, 가락 등을 여러 형식으로 조화·결합하여 목소리나 악기를 통하여 사상 또는 감정을 나타내는 예술. 음성의 음악 중 국악 분야로는 농악과 민요가 대표적이다. 음성 농악의 경우 1994년 제1회 충북농악경연대회에서 소이면의 갑산농악대가 우수상을 받았으며 1995년 제2회 대회에서는 삼성어우리패농악단이 감투상을 받기도 하였다. 민요로는 「모심는 소리」·「논매...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으로 유배된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차야(次野), 호는 음애(陰崖)·몽옹(夢翁)·계옹(溪翁)·풍림거사(楓林居士). 이색(李穡)의 후손이며, 참판 이형증(李亨增)의 손자로, 대사간 이예견(李禮堅)의 아들이다. 부인은 인천채씨로 채수(蔡壽)의 딸이다. 1504년(연산군 10) 식년문과에 장원 급제하였다. 이후 사헌부감찰에 제수되어, 천추사(千秋使)...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에 있는 조선시대에 바위에 새겨넣은 글자. 음애(陰崖)는 바위에 글자를 새겨놓았다고 전해지는 조선 중기의 문신 이자(李耔)의 호이다. 음애(陰崖)라는 말의 사전적 의미는 ‘햇빛이 비치지 않는 낭떠러지’를 의미한다. 음애동 각자는 이자가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에 위치한 음애동(陰崖洞)에 거주하면서 새겨놓았다고 전한다. 글자는 ‘음애동(陰崖洞)’이라는 글자가...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임곡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생극면 소재지에서 북쪽으로 약 7㎞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은 송곡리, 서쪽은 이천시 율면 오성리, 남쪽은 팔성리, 북쪽으로는 이천시 율면 월포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팔성산 북쪽 음지가 됨으로 음달말 또는 음촌이라 부른다. 본래 충주군 생동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임오리와 품곡...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쌍정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맹동면 소재지로서 동쪽은 함박산, 남쪽은 두성리, 서쪽은 본성리, 북쪽으로는 마신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시장통이 있는 마을로 음달말과 양촌을 합해 정내라고도 부른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정리와 하정리·중본리·율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맹동면에 편입되었...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인곡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다니골 동쪽 음지에 마을이 있어 음촌 또는 음달말이라 불렀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 지역으로 다니골이라 하였으며, 연안이씨가 살면서 단이곡·단화동 또는 인곡이라 하였다.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송동·하묵리 일부를 병합하여 인곡리라 해서 음성군 맹동면에 편입되었다. 남쪽에는 정월보름날 달맞이를...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충도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소이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6㎞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은 금고리, 서쪽은 원남면 구안리, 남쪽은 괴산군 소수면, 북쪽으로는 음성읍 석인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산직말 남쪽 음지에 마을이 있어 음촌 또는 음달말이라 부른다. 본래 충주군 사이포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도남리·양전리·삼고리·원충리 각 일부와...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후미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소이면 소재지의 동쪽에 위치하며, 동쪽은 충주시 불정면 삼방리, 서쪽은 대장리, 남쪽은 중동리와 봉전리, 북쪽으로는 충주시 주덕읍과 각각 접하고 있다. 동양말의 남쪽에 있는 마을로 양지말에 비하여 마을이 응달이 든다하여 음촌 또는 음턱골이라 하였다. 본래 충주군 소파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후미1리·후미2리...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후미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소이면 소재지의 동쪽에 위치하며, 동쪽은 충주시 불정면 삼방리, 서쪽은 대장리, 남쪽은 중동리와 봉전리, 북쪽으로는 충주시 주덕읍과 각각 접하고 있다. 동양말의 남쪽에 있는 마을로 양지말에 비하여 마을이 응달이 든다하여 음촌 또는 음턱골이라 하였다. 본래 충주군 소파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후미1리·후미2리...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에 속하는 법정리. 음성군청이 들어서 있어 읍내가 되었다. 본래 음성군 동도면(東道面)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읍상리(邑上里)·읍하리(邑下里)·역촌(驛村)과 평촌(平村)·남촌(南村)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읍내리가 되었다. 1956년 7월 8일 음성면이 읍성읍으로 승격되었다. 동쪽에 수정산[393m]이 있으며, 수정산 위에는 향교말이 있고,...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 음성 읍내리 삼층석탑은 평곡리에 있었던 사찰의 사리탑으로 건탑되어 계속 절터를 지켜왔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탑은 1934년 연풍정(지금의 경호정)을 지으면서 현재의 위치인 설성공원 내로 옮겨진 것이라 한다. 단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부를 갖춘 일반형 석탑으로, 상륜부(相輪部)가 결실되었을 뿐 보존 상태가 양호한 석탑이다...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토성 터. 신천리 토성에 관한 고문헌의 기록은 전혀 보이지 않고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에 처음으로 “군내면, 신천리, 한천에 있음. 토축으로 주위 약 300간, 높이 6척, 폭 5척”이라고 소개되었다. 『전국유적목록』에서는 앞의 자료를 요약하여 “사유, 토축, 주위 300간, 높이 6척, 폭 5척”이라고 간단히 소개하였다. 『문화유적...
-
조선 중기 음성현감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자는 응용(應龍)·응기(應祈). 옹몽진은 순창옹씨 시조이다. 원래 옹몽진의 선조는 고려 때 교목세신(喬木世臣)의 거족이었으나 조선 개국에 반대하여 이성계의 미움을 받아 서인이 되었다. 옹몽진은 음성향교지기를 지내다가 1553년(명종 8)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1556년 문과중시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567년 판관에 이...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본대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매터골은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10㎞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신평리, 서쪽으로 삼성면 천평리, 남쪽으로 대소면 성본리, 북쪽으로는 행제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지형이 매가 엎드린 것과 같다고 하여 매터골[鷹垈理]이라고 하였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법왕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마송리에 있는 산. 산의 형태가 매처럼 생겼다하여 붙어진 이름이다. 일명 매봉재, 무봉 등으로도 불리고 있다. 매봉은 백마산[465m] 북쪽에 위치하고 있는 산으로서 멍석바위와 감나무골 등이 있다. 매봉에는 송오리에서 괴산군 사리면 노송리로 넘어가는 송오리고개와 주봉리로 넘어가는 내동고개 등이 있고 송오리의 서쪽에는 송오저수지가 있다. 매봉재 부근의 백마산에...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응선(應先), 호는 국오(菊塢). 할아버지는 반석권(潘碩權)이며, 아버지는 선교랑(宣敎郞) 반사렴(潘士濂)이다. 1555년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태어났다. 1591년(선조 24)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명경과(明經科)의 『대학(大學)』에서 떨어진 뒤 과거 공부를 그만두고 글에만 전념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향리에서...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응선(應善). 문충공(文忠公) 권근(權近)의 6세손이다. 아버지는 사직 권익(權翊)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갑산리에 살았다. 음보로 기용되어 1590년(선조 23) 금산제원찰방, 군위현감(軍威縣監)을 역임하였으며 치적으로 비단을 하사받았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당시 상주판관(尙州判官)으로 동래부(...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이자 의병장. 본관은 청주. 자는 응수(應壽), 호는 취병(翠屛) 또는 왕곡(枉谷). 고조부는 현감 고덕수(高德秀), 아버지는 고준(高遵)이다. 형으로 의병장 고응연(高應淵)이 있다. 1561년(명종 16) 식년시 무과에 급제하였다. 힘이 세고 기골이 장대하여 수문장(守門將)으로 있었다. 선조 초 용호영장(龍虎營將)에 이어 내금위장으로 있다가...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본관은 초계. 자는 응수(應壽), 호는 소죽(小竹). 정창(鄭昌)의 후손이며, 판관 정시혁(鄭時赫)의 9세손이다. 조부는 정홍유(鄭洪猷), 아버지는 정학일(鄭學一)이다. 어머니는 하동정씨로 통덕랑 정해승(鄭海昇)의 딸이다. 부인은 경주이씨로 이다연(李多延)의 딸이다. 아들은 정보영(鄭輔永)·정민영(鄭玟永)·정택영(鄭澤永)이다. 천거로 문묘직...
-
조선 중기 음성현감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자는 응용(應龍)·응기(應祈). 옹몽진은 순창옹씨 시조이다. 원래 옹몽진의 선조는 고려 때 교목세신(喬木世臣)의 거족이었으나 조선 개국에 반대하여 이성계의 미움을 받아 서인이 되었다. 옹몽진은 음성향교지기를 지내다가 1553년(명종 8)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1556년 문과중시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567년 판관에 이...
-
충청북도 음성군 읍성읍 용산리 가섭산에 있는 고려 후기의 사찰. 가섭사는 석가모니의 10대 제자 중 하나인 가섭존자(迦葉尊者)의 이름을 딴 사찰이다. 가섭존자는 두타행(頭陀行)을 가장 충실히 실천하였고, 영취산에서 석가모니 부처가 연꽃을 들어 그 의미를 물었을 때 유일하게 미소로 답하여 염화미소(拈花微笑)의 가르침을 전한 인물이다. 가섭사는 창건 사실을 기록한 문헌 기록과 관련 유...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에 있는 조선시대 응진암(應眞庵)의 터. 응진암지는 가섭산(迦葉山) 정상부의 남쪽 기슭에 위치하며, 경사면체의 축대를 쌓아 터를 확보하였다. 절터에서 서쪽 능선 너머 가섭사(迦葉寺)가 있다. 응진암의 창건, 폐사 연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에는 “가섭산 위에 있고, 옛 이름은 서가섭사(西迦葉寺)”라 하였다. 서가섭사...
-
충청북도 읍성군 금왕읍에서 발원하여 감곡면의 청미천에 합류하는 하천. 청미천의 지류인 응천은 소속리산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직류하면서 하곡 평야를 형성하고 있다. 삼성면과 금왕읍의 경계 부근에서도 석원천의 상류인 구계리의 내곡천을 합류하고 장호원에서는 청미천으로 합류하여 북류하는 유일한 하천으로 한강 수계에 속한다. 일명 수리내라고도 하는 데 수리내를 한자로 표기하면 응천이 된다....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원당리의 청미천 유역 일대에 있는 평야. 응천 평야는 소속리산 동사면의 음성군 금왕읍 백야리에서 발원한 응천이 북쪽으로 흘러 음성군 금왕읍의 무극리, 생극면의 병암리·신양리 등을 거쳐 청미천과 합류되어 감곡면 원당리에 이르는 길이 18㎞의 응천 하곡에 발달해 있는 평야를 말한다. 일명 수리내라고도 하는 데 한자로 표기하면 응천(鷹川)이 된다. 소속리산[432...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밀양. 자는 연길(年吉), 호는 의당(毅堂). 묵재(黙齋) 박경상(朴景祥)의 8세손이다. 아버지는 박기숙(朴紀淑)이다. 함경남도 고원군 남흥리에서 태어났다. 1860년(철종 11) 어머니의 병환에 손가락을 잘라 피를 먹여 소생시켰다. 1870년(고종 7) 향리 사람들이 그 효성에 감동하여 포상을 진정하려 하자 부끄럽다며 진정서를...
-
남민을 시조로 하고 남두명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남씨(南氏)는 경덕왕(景德王) 때 중국에서 귀화한 성씨로 남민(南敏)을 시조로 삼고 있으나 시조 이하 누대(累代)가 실전(失傳)되어 세계(世系)를 잇지 못하였다. 고려조에 이르러 남민의 후손 3형제가 있어 맏이 남홍보(南洪輔)는 영양남씨(英陽南氏), 둘째 남군보(南君甫)는 의령남씨(宜寧南氏), 막내 남광보(南匡...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에 속하는 의령남씨의 동족 마을. 음성군 지역에서 의령남씨가 세거하는 동족마을은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 노래기이다. 상노리는 본래 음성군 남면에 속해 있었던 지역으로, 노악리 위쪽에 있다 하여 웃노라기·상노라기·상노동 이라고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상노리라 하여 원남면에 편입되었다. 의령남씨 시조 남민(南敏)의 11세손 찰방 남두성(南...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에 있는 조선 말기 의령남씨의 유지(遺地)를 표시하기 위한 비(碑). 세손비(世孫碑), 세파비(世派碑), 세장비(世葬碑)는 세족(世族)의 유지를 표시하기 위해 세운 것들로서 성격이 비슷하다. 의령남씨 세손비는 1888년(고종 25)에 세워졌다. 비의 총 높이는 273㎝이며 3단으로 구성된 비의 규모는, 비신(碑身)의 경우 높이 190㎝, 앞면 74㎝,...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태종의 부마(駙馬) 남휘(南暉)와 정선공주의 손자이고, 아버지는 남빈(南份), 어머니는 현감 홍여공(洪汝恭)의 딸이다. 부인은 태종의 외손인 좌의정 권람(權擥)의 4녀이다. 1457년(세조 3) 17세의 나이로 무과에 장원급제하여 세조의 지극한 총애를 받았다. 1467년에 이시애(李施愛)가 난을 일으키자 우상대장(右廂大...
-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의 일반 복식 생활. 남자의 일반 옷은 상의(웃도리)와 하의(아랫도리)로 구분되며, 상의는 겉옷인 두루마기와 저고리가 기본이고, 하의는 바지가 기본이다. 두루마기는 외출할 때 착용했으며 대개 저고리 위에 입는 것으로 통이 넓고 소매 쪽으로도 통이 넓게 되어 있고 길이는 보통 무릎 아래까지 내려온다. 예전에는 예복으로 많이 입었으나 오늘날은 명절, 경조사가 있을...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음성향교 앞에 있는 조선 후기 관찰사 김응근(金應根)[1793~1863]의 선정비. 김응근은 조선시대 철종 때의 문신으로 본관은 안동(安東), 자(字)는 계경(溪卿), 호(號)는 의석(宜石)이다. 참판(參判) 김명순(金明淳)의 아들이며 좌의정 김홍근(金弘根)의 동생, 영의정 김흥근(金興根)의 형이다. 1816년(순조 16)에 사마시 생원 3등 6위에...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열지(烈之), 호는 맹암(孟巖). 아버지는 상서(尙書) 김굉(金紘)이다.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에 음성의 인물로 등재되어 있다. 김영렬(金英烈)[?~1404]은 1394년(태조 3)에 전서(典書)로 있던 중 그해 경기우도수군첨절제사가 되었다. 그 때 연해를 노략질하는 왜구를 물리치는 계책을 올려, 1395년...
-
김석을 시조로 하고 김준기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의성김씨(義城金氏) 시조 김석(金錫)은 경순왕(敬順王)의 다섯째아들이자 왕건의 외손이다. 의성군(義城君)에 봉해졌으며 이에 후손들이 본관을 의성으로 하였다. 의성김씨 가문의 조선시대 인물로 김안국(金安國)[1478~1543]은 연산군 때 별시(別試) 문과에 급제하여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와 전라도관찰사(全羅...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천평3리와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사정리에서 다리를 세면서 노는 아이들의 민속놀이. 한거리 뒤거리는 다리세기놀이라고도 하며, 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의 이름을 따서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는 다리세기 혹은 다리셈하기, 발헤기,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 등으로 불리며 그 내용과 방식이 조금씩 다르지만 전국적으로 행해지는 유희요 및 놀이이다....
-
사정리 강당말에서는 바쁘지 않을 때는 동네 분들이 주로 마을회관에 모여 소일한다. 젊은 사람들은 거의 객지에 나가 살고 거의 할아버지, 할머니들만 남아있기 때문에 마을회관에서 식사도 공동으로 준비해 먹는다. 조사팀이 2월 6일 오전 강당말 마을회관을 방문하니 할아버지방에는 몇 분만이 모여 장기를 두고 있고, 할머니방에는 여러 분들이 모여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고 몇 분은...
-
조선 후기의 유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이견(而見), 호는 석농(石農). 숙헌공(肅憲公) 오빈(吳䎙)의 8세손이다. 어려서부터 재예가 뛰어나고 학문이 깊어 간재(艮齋) 전우(田愚)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0세에 사서육경을 통달하고, 20세 이전에 여러 책을 두루 익혀 문장이 널리 알려졌다. 사학(史學)에 정통하여 역사의 대가인 육당(六堂) 최남선(崔南善)도 경의를 표하였다...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우봉. 청렴결백한 관리로 이름났던 이형(李涥)의 후손이다. 할아버지는 이영(李榮), 아버지는 이광하(李光夏)이며, 아들은 이경선(李慶善)이다. 아버지가 병석에 눕자 하늘에 대신 죽기를 기도하여 아버지의 병이 낫게 하였다. 고종 때 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고 효행을 다하니 도에서 상계하여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올랐다....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 효령대군의 현손 이효언(李孝彦)의 아들이다. 묘소가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본대리에 있다. 이곳 묘소 근처를 전능(前陵)이라 하는데, 영의정에 증직된 까닭에 ‘능(陵)’ 자를 붙였다 한다. 영의정에 증직되고 극풍부원군(克豊府院君)이 되었다....
-
조선시대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열녀. 본관은 순흥. 남편은 이경립(李敬立)이고, 아들 이상현을 두었다. 유복자였던 이상현은 어머니의 뜻에 따라 학문에 정진하여 공조참의가 되어 그 덕망이 널리 알려졌다. 순흥안씨는 22세 때 남편을 여의고 삼년상을 치른 후, 어린 아들에게 “나는 이 시간에 네 아비를 따라 가겠노라” 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나라에서 열녀 정문을 세우게 하였으며...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우봉. 자는 백화(伯華). 청렴결백한 관리로 이름났던 이형(李涥)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이영(李榮)이고, 아들은 이경(李坰), 손자는 이경선(李慶善)이다. 부모가 병석에 눕자 부모의 변을 맛보아 가며 증세를 살폈고, 매일같이 하늘에 빌며 부모의 병이 낫기를 빌었다. 하루는 아버지가 생선을 먹고 싶다고 하였으나 갑자기 구할 도리가 없어...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행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이광하의 효자각. 본관이 우봉(牛峰)인 이광하(李光夏)는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다. 어느 해, 한겨울에 아버지가 잉어를 먹고 싶다고 하자 얼음을 깨고 잉어를 구하여고 애를 쓰는데, 갑자기 처음 보는 사람이 와서 한 자가 넘는 잉어를 주고 갔다. 또 어느 해인가는, 어머니가 꿩고기를 먹고 싶다고 하여 꿩을 잡으려고 깊은 산중으로 들...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이교필은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봉전리에서 농업에 종사하고 있었으며 1919년 4월 1일,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한내 장터에서 3·1운동 독립 만세 시위를 벌였다. 주재소를 습격하고 구금자를 탈환하고자 절규하면서 귀가하려는 사람들을 제지하는 등 누구보다도 앞장섰다가 체포되어 공주 감영에서 6개월을 복역하였다....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 문경공(文景公) 이직(李稷)의 6세손이고, 이군좌(李君佐)의 아들이다. 이구령은 일찍이 중봉(重峯) 조헌(趙憲)의 문하에서 수업하여 박학독행(博學篤行)하였다. 임진왜란 때 홍천현감(洪川縣監)으로 부임하여 조헌과 더불어 창의(唱義)를 모의하여 충청남도 금산군 수남(樹柟)에 진을 치고 전투하였다. 공격하던 중 말에서 떨어져 1592년(선조 25) 8월...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차평리에 있는 조선 중기 이구령의 충신문. 본관이 성주(星州)인 이구령(李龜齡)은 임진왜란 때 홍천현감으로 조헌(趙憲) 휘하에 들어가 활약하다 금산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금산 전투에서 순절한 사실이 나중에 조정에 알려져 1905년에 명정되었는데, 충신각은 1980년에 세워졌다. 정면 1칸, 측면 1칸의 팔작지붕 목조기와집이다. 정려 안쪽의 편액에는 ‘충신효충...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충주목사 이국헌의 선정비. 이국헌(李國憲)의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문숙(文叔)이다. 부친은 이여연(李汝淵)이다. 1660년(현종 1) 증광시(增廣試)에 생원 3등 45위로 입격하였다. 1676년(숙종 2) 호조정랑(戶曹正郞), 문의현령(文義縣令), 부사과(副司果), 이듬해 금산군수(錦山郡守)를 역임했다. 1683년(숙종 9) 부...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이규석은 고려시대 충신 이제현(李齊賢)의 후손으로 1907년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리에서 출생하였다. 경성중앙고등보통학교(京城中央高等普通學校)를 졸업하였고, 충청북도 괴산군청에서 공무원을 시작하였다. 충청북도 도청 재정과장과 지방과장 등을 거쳐, 강원도 도청 문교사회국장 등을 역임하였다. 이후 중앙 관청으로 진출하여 농림부양정국장(糧政局長)을...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 초명은 기주(箕疇). 자는 여구(汝九), 호는 직재(直齋). 귀천군(龜川君) 이수(李晬)의 증손이고, 부사과 이숙(李塾)의 아들이다. 이기홍은 어려서부터 지혜가 뛰어나 수년 만에 사서삼경을 모두 읽었고, 약관의 나이에 위기지학(爲己之學)에 뜻을 두어 이지렴(李之濂)에게 수학했다. 1665년 송준길(宋浚吉)에게 학문의 요결을 배우고, 송시열(宋時烈)...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이동섭은 1935년에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석인리에서 출생하였으며, 음성고등학교를 거쳐 청주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였다. 1960년에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면사무소에서 공무원을 시작하였으며, 삼성면 호병계장과 음성읍 호병계장·재무계장·총무계장을 거쳐 원남면·소이면·음성읍 총무계장을 역임하였다. 1974년부터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원남면·음성읍·...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이자 효자. 본관은 음성(陰城). 자(字)는 헌지(獻之), 호(號)는 이락(二樂). 충민공 박순(朴淳)의 11세손이고, 효자 박호원(朴浩遠)의 손자이며, 동지중추부사 박진구(朴震龜)의 아들이다. 박정규는 후제 김간(金幹)에게 배우고, 1721년(경종 1)에 생원시에 급제하고 선릉참봉(宣陵參奉)을 지내다가 아산현감(牙山縣監)에 이르렀다. 어렸을...
-
조선시대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벽진. 자는 사업(四業). 충강공(忠剛公) 이상급(李尙伋)의 후손이고, 부인은 경주최씨이다. 집안은 가난하였으나 아버지의 입맛에 맞는 것은 무엇이든 정성껏 마련해 드렸고, 아버지가 위급할 때 쉬지 않고 수 십리를 달려가 약을 구해 와 아버지를 소생시켰다. 이를 축하하기 위하여 계모가 마을 사람들을 불러 잔치를 베풀었는데, 그것을 부끄러...
-
조선시대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열녀. 30세에 남편을 잃은 후, 2남 1녀를 이웃에 맡기고 밤을 새워 길쌈을 하여 끼니를 연명하였다. 시어머니와 같이 살지는 않았으나 정성껏 시어머니를 모셨고, 평생 수절하며 집안을 다스려 주위의 귀감이 되었다....
-
조선 후기의 유학자. 본관은 우봉(牛峰). 자는 중호(仲浩), 호는 행남(杏南). 아버지는 이함(李涵)이다. 도암(陶庵) 이재(李縡)의 문인이 되어 학문으로 감역(監役)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고, 서울에서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행제리로 내려와 살았다. 세상 사람들이 처사(處士)라 불렀다. 묘소가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행제리에 있다. 문암(文菴) 이의철(李宜哲)이 묘갈을 찬...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인. 1908년 1월 음성읍 석인리 오리골에서 이덕여(李德汝)와 부인 인씨 사이에서 7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본명은 이용구(李龍九)이고, 본관은 전주이다. 1960년 4월 21일에 갑작스럽게 심장마비로 사망하였고, 묘는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에 있다. 1913년에 충청북도 중원군 신니면 용원리로 이사를 하고, 1920년 용문학당을 마치고 휘문고등보통학...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사언(思彦), 호는 습재(習齋), 졸부(拙夫)이다. 동몽교관 이희선(李喜善)의 아들이다. 부인은 밀양박씨로 첨지중추부사 박주(朴冑)의 딸이고, 음애(陰崖) 이자(李耔)의 외손이다. 이상급은 문과에 급제하여 1603년(선조 36)에 성균관진사가 되었으며, 1606년 증광문과 중시에 병과로 급제하여 권지승문원정자(權知...
-
조선시대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열녀. 진안대군(鎭安大君) 이방우(李芳雨)의 후손으로, 18세에 남곡(南谷) 17세손인 이석주(李錫柱)와 혼인하였다. 1년 만에 남편이 죽자 따라서 자결하고자 하였으나 남편 전처의 소생인 어린 아들 환승을 보살피며 가문을 지킬 것을 이미 약조한 뒤였다. 남편의 유의(遺意)에 따라 종족(宗族)을 찾아서 위문(慰問)하니 모두들 감복하였다. 또한, 집안이...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 효령대군 이보(李𥙷)의 6세손이며, 이경금(李景嶔)의 아들로 증영의정 이경두(李景㞳)에게 입양되었다. 이성은 진사, 참봉을 거쳐 문한림, 이조참판, 부제학을 역임하였다. 1624년 이괄의 난에 종군하였다가 전사하였다. 묘소는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행제리에 있고, 이덕형(李德馨)이 묘비 글을 썼다. 완계군(完溪君)으로 훈봉되...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3월 20일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내 3·1운동 독립 만세 시위에서 임백규(林百奎), 유해길 등과 주동이 되어 산 위에서 횃불을 올리며 만세 시위를 벌였다. 4월 2일 약 6백 명 면민이 각 동리에서 만세를 부르고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천평리 배미에서 임백규, 유해길과 역사적인 거사를 단행하여, 독립 만세를 부르며 면사무...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정치가. 1923년 경성제일고등학교 사범과를 졸업한 후 1933년까지 교직 생활을 계속하였으며, 1945년 해방 직후 음성군 치안유지회 부회장으로서 당시 극심하였던 사회 혼란을 수습하는 데 앞장섰다. 그 이듬해인 1946년에는 음성군 식량배급조합장을 역임하고, 1960년 제5대 음성읍장으로 발탁되어 주민 복지 증진을 위한 많은 사업을 추진하였다....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성용은 1875년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선정리에서 이호성(李鎬聖)의 아들로 출생하였으며, 본관은 우봉, 자는 덕경(德敬)이다. 1919년 4월 2일 밤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선정리 뒷산에서 마을 주민 수십 명과 독립 만세를 부른 후, 약 80여 명의 군중을 지휘하고 천평리 소재 경찰주재소로 달려가 독립 만세를 계속 고창하였다. 가...
-
조선 중기 음성군 출신으로 음성현감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성진(聖珍), 호는 정헌(靜軒), 율리사옹(栗里蓑翁).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이지걸(李志傑)이다. 이세근은 윤증(尹拯) 문하에서 학문을 익혔으며, 1697년에 정시문과에 갑과 2등으로 급제하여 사헌부지평이 되었다. 1699년에 음성현감으로 부임하여 사직사우를 창건하였고, 고마청(雇馬廳)을 창설하였다. 또...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음성현감 이세근의 선정비. 이세근의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성진(聖珍)으로 이지걸(李志傑)의 아들이다. 1697년(숙종 23) 문과정시 을과 2위로 합격하였다. 1699년 지평(持平)에 임명되었으나 이듬해 과거 파방(罷榜)에 대한 상소로 말미암아 음성현감으로 좌천되었다. 1707년(숙종 33) 정언, 교리, 수찬 등 청요직(淸要職...
-
조선시대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벽진. 자는 중온(仲蘊). 증조부는 충강공(忠剛公) 이상급(李尙伋)이고, 아버지는 이지달(李志達)이다. 생후 몇 개월 만에 어머니가 죽었는데 나중에 자라서 추복(追服) 3년을 하였다. 계모를 친어머니처럼 모셨으며, 아버지가 병이 나자 변을 맛보며 간호하고 하늘에 빌었다. 상을 당하자 4일을 먹지 않고 석 달간 말하지 않았으며 3년간 죽...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 출신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명서(明瑞).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이지걸(李志傑)이고, 형은 이세근(李世瑾)이다. 이세진은 1725년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726년 지평으로 붕당의 폐해를 논하는 ‘파붕당(罷朋黨)’을 상소했다가 삼수부로 귀양을 갔다. 1727년 유배에서 풀려난 뒤 필선, 장령, 헌납, 사간을 역임하였다. 1729년 박필...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계순(季純), 호는 은암(隱巖). 조부는 진사 이자침(李自琛)이고, 아버지는 이란(李鸞)이다. 이자침이 기묘사화에 연루되어 음성에 은둔하여 있을 때 아버지 이란을 낳았는데, 이란은 일찍 별세하였다. 부인은 장원감 이귀년(李貴年)의 딸이다. 아들 셋을 낳았는데, 이정(李淀), 이용(李溶), 이완(李浣)이다. 이수일은...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음성현감 이숭운의 선정비. 이숭운의 본관은 함평(咸平), 자는 사진(士鎭), 호는 존암(存庵)으로 서울 태생이다. 부친은 성균관사성 이수덕(李壽德)이다. 1759년(영조 35) 식년시 진사 3등 30위로 입격하였다. 1776년(정조 즉위년) 만녕전참봉(萬寧殿參奉)에 임명되었고, 이듬해 현릉참봉, 1781년(정조 5)에 음성현감으로 부...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전주. 자는 중여(重汝), 호는 신암(愼庵). 이시성(李蓍聖)의 6세손이고, 아버지는 이징현(李澂鉉)이다. 이승권은 금계(錦溪) 이근원(李根元) 문하에서 학문을 익혔다. 이승권은 오갑산 아래 세운 옥산영당(玉山影堂)에 선조인 직재(直齋) 이기홍(李箕洪)을 배향하였다. 또한 춘추로 석전제(釋奠祭)를 지내면서 학생들과 더불어 학문을 연...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전주. 자는 계통(季通), 호는 경묵당(景黙堂). 이시성은 귀천군 이수(李晬)의 고손이고, 아버지는 직재 이기홍(李箕洪)이다. 이시성은 유학자로 1723년(경종 3)에 변선정(卞先正)의 무간(誣奸)함을 항소하였고, 전관(銓官) 천거를 거부하였다....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이식후는 훈장 노릇을 하며 노부모를 봉양하였다. 하루는 제자들이 말하기를 ‘가르침에 너무 열중하다 보니 부모님의 봉양이 소홀하다’라고 하였다. 이에 감복한 이식후는 더욱 부모에게 정성을 다하였다. 부모가 병이 나면 하늘에 대신 죽기를 기도하였으며 변을 살펴 증세를 짐작한 후 탕약을 지었고, 부모가 위독할 때 손가락을 끊어 피를 먹게 하여 소...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후미리에 있는 조선 말기 이식후·이진도 부자의 효자각. 이식후는 서당 훈장으로 노부모의 봉양에 정성을 다하였다. 부모가 병이 나면 하늘에 대신 죽게 해달라고 기도를 드리고, 변을 손으로 받아 병의 증세를 살폈으며, 손가락을 끊어 피를 마시게 하여 소생시키기도 하였다. 이진도는 평소 아버지가 부모에게 효성을 다하는 것을 지켜보며 자랐으며 효성이 남달랐다. 한번...
-
조선 중기의 종친이자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대년(大年). 태종의 아들 익령군(益寧君)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수천군(秀泉君) 이정은(李貞恩)이고 아버지는 귀기군(貴杞君)이다. 부인 우씨에게는 아들이 없었고, 감찰 정류(鄭鎦)의 딸에게서 영의정 이원익(李元翼)과 현령 이원보(李元輔)를 두었다. 1516년(중종 11) 사마시에 급제하여 귀후서별제, 의금부도사, 내섬시주부를...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음성향교 앞에 있는 조선 후기의 음성현감 이연긍의 선정비. 이연긍은 1858년(철종 9) 현륭원참봉(顯隆園參奉)을 거쳐 1865년(고종 2) 음성현감에 부임했다. 1866년에는 안산군수(安山郡守)에 임명되기도 하였다. 1867년 4월 공충도암행어사(公忠道暗行御史) 홍철주(洪澈周)가 올린 글에 음성현감 재직 때 백성들의 송사를 공평하게 처리하고 이서를...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경주. 자는 징지(澄之), 호는 매죽헌(梅竹軒). 계림부원군 이수일(李守一)의 아들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영산리 정자촌에서 출생하였다. 1924년(인조 2) 무과에 급제하고 1627년 영유현령, 1629년 상원군수, 1630년 숙천부사, 1631년 평안도병마절도사에 올랐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 김자점 휘하의 별장으로...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인. 1908년 1월 음성읍 석인리 오리골에서 이덕여(李德汝)와 부인 인씨 사이에서 7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본명은 이용구(李龍九)이고, 본관은 전주이다. 1960년 4월 21일에 갑작스럽게 심장마비로 사망하였고, 묘는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에 있다. 1913년에 충청북도 중원군 신니면 용원리로 이사를 하고, 1920년 용문학당을 마치고 휘문고등보통학...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4월 1일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한내 장터에서 김을경(金乙卿), 이중곤(李重坤), 권재학(權在學) 등이 주동한 3·1운동 독립 만세 시위에 참여하여, 선두에 서서 군중을 이끌고 소이면사무소까지 행진하였다. 당시 민동식 면장을 독립 만세 운동에 참여토록 권유하고, 구금자의 석방을 요구하며 계속 독립 만세를 고창하고, 주재소를...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이용희는 1921년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향리에서 출생하였다. 감곡공립보통학교와 서울동성상업학교를 졸업하였으며, 1939년부터 서울시의 삼지원토목합자회사에서 근무하였다. 1946년에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사무소에서 공무원 생활을 시작하였으며, 1951년에는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사무소 서무계장과 1956년에 호적계장 등을 역임하였다. 1961년에...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말기 음성현감 이원긍의 선정비. 이원긍 선정비는 이원긍 청백애민선정비(李源兢 淸白愛民善政碑)라고도 하며, 1927년에 세워졌다. 이원긍은 1874년(고종 11)에 음성현감이었는데, 조선 말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공리(公履), 호는 취당(取堂)으로 괴산 출신이다. 이두진(李斗鎭)의 아들이며, 조선 말기 3대 국학자의 하나인...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말기 음성현감 이원긍의 선정비. 이원긍 선정비는 이원긍 청백애민선정비(李源兢 淸白愛民善政碑)라고도 하며, 1927년에 세워졌다. 이원긍은 1874년(고종 11)에 음성현감이었는데, 조선 말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공리(公履), 호는 취당(取堂)으로 괴산 출신이다. 이두진(李斗鎭)의 아들이며, 조선 말기 3대 국학자의 하나인...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영산1리에 있는 조선시대 이유일의 묘비. 이유일은 이란의 아들이며, 자는 백순(佰淳)이다. 죽은 뒤에 품계가 높아져 병조판서(兵曹判書)에 추증(追贈)된 인물이다. 이유일에 대한 상세한 기록한 남아 있지 않다. 비신과 방부 2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높이가 172㎝이다. 비의 규모는 비신(碑身)의 경우 높이 140㎝, 앞면 폭 52㎝, 측면 폭 37㎝이고,...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전주. 자는 유응(幼應), 호는 노가당(老稼堂). 귀천군(龜川君) 이수(李晬)의 5세손으로, 직재 이기홍(李箕洪)의 손자이며, 경묵당 이시성(李蓍聖)의 아들이다. 어려서 가학(家學)을 계승하여, 중형 이능제(李能濟)와 같이 윤봉구(尹鳳九) 문하에서 배워 덕을 쌓았다. 1755년(영조 31) 안윤중(安允中)이 올리는 상소에 가담하였다...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정치가. 1910년 한성외국어학교에서 영어를 배우고, 함경남도 함흥군 재무주사를 역임하였다. 갑부로 이름난 음성의 김병태(金炳台)와 처남매부 관계로 1920년에 음성에 와서 김병태의 토지를 관리했다. 1945년 해방이 되자 음성군 치안유지회장, 대한독립촉성국민회의 음성군 회장을 지내고, 1948년 제헌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향년 78세로 세상을 마쳤고...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득여(得輿), 호는 관송(觀松)·쌍리(雙里). 좌찬성 이극돈(李克墩)의 후손이며, 이우선(李友善)의 아들이다. 이이첨은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에서 출생하였다. 천성이 효우하고 제행(制行)이 고결하여 어려서부터 부모를 섬김이 지극하였다. 1593년(선조 26) 광릉참봉에 제수되고 1594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야수(野叟), 호는 소옹(素翁). 아버지는 병조참의 이상급(李尙伋)이다. 아들은 이지술(李志述), 이지도(李志道), 이지규(李志逵)이다. 15세에 사서삼경을 통달하였고 장성하여 장유(張維)에게 수학하였다. 1635년(인조 13)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 진사에 올랐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남한산성으로 호종하여 원종...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영산1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인실의 묘비. 이인실은 자가 효사(孝思), 호는 갈파(葛坡)이고, 본관은 경주이다. 1633년(인조 11)에 성균관에 들어갔다. 사옹원봉사, 종묘서직장을 거쳐 의금부도사가 되었고, 귀후서제학 등을 역임하였으며, 세자익위사사어(世子翊衛司司禦)가 되었다. 비신, 가첨석, 방부 등 3단으로 되어 있다. 비의 규모는 비신(碑身)의...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으로 유배된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차야(次野), 호는 음애(陰崖)·몽옹(夢翁)·계옹(溪翁)·풍림거사(楓林居士). 이색(李穡)의 후손이며, 참판 이형증(李亨增)의 손자로, 대사간 이예견(李禮堅)의 아들이다. 부인은 인천채씨로 채수(蔡壽)의 딸이다. 1504년(연산군 10) 식년문과에 장원 급제하였다. 이후 사헌부감찰에 제수되어, 천추사(千秋使)...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영산1리에 있는 조선시대 이자침의 묘비. 이자침은 자가 정실(庭實)이고, 본관은 경주이다. 을묘사마시(乙卯司馬試)에 급제하였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았다고 한다. 비신과 방부 2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방부는 묻혀서 보이지 않는다. 비신(碑身)의 높이는 140㎝, 앞면 폭 56㎝, 측면 폭 17㎝이며, 방부는 가로 92㎝, 세로 60㎝이다. 비신 앞면에는 ‘...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이장(而張). 아버지는 신상민(申尙閔)이고, 아들은 신명상(申命相)이다. 병석에 누운 아버지를 위하여 낚시하고 약초를 캐어 지성으로 병간호를 하였으며,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무덤 옆에 움막을 짓고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였다. 어머니가 병환으로 눕자 아버지 병환 때와 마찬가지로 정성을 다하였다. 어머니가 위독하여 사...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4월 1일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한내 장터에서 김을경(金乙卿), 이중곤(李重坤), 권재학(權在學) 등이 주동한 3·1운동 독립 만세 시위에 참여하여, 선두에 서서 군중을 이끌고 소이면사무소까지 행진하였다. 당시 민동식 면장을 독립 만세 운동에 참여토록 권유하고, 구금자의 석방을 요구하며 계속 독립 만세를 고창하고, 주재소를...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정치가. 국립경찰전문학교를 졸업하고, 치안국 통신과장, 경무대 경찰서장, 부산시 경찰서장, 동대문경찰서장 등 경찰 요직을 역임하고 치안 행정에 공헌하다가 1960년 무소속으로 음성에서 제5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67년 제7대 전국구 국회의원, 1973년 음성·진천에서 민주공화당으로 제8대 국회의원 당선, 1973년 제10대 전국구 유정회 국회의원에 역...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이종달은 1927년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리에서 출생하였다. 청주제일공립중학교(淸州第一公立中學校)를 졸업하였으며, 1945년 충청북도 음성군청에서 공무원을 시작하였다. 충청북도 음성군청 서무계장을 거쳐, 1954년에는 충청북도 괴산군청 농정계장을 역임하였다. 1955년부터 충청북도 음성군청의 농정계장, 사회계장, 서무계장, 행정계장, 농지계장...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이종은은 1930년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리에서 출생하였다. 1950년 청주중학교를 졸업하였으며, 청주대학을 중퇴하고 한국미창(韓國米倉) 청주지점과 서울지점 경리계장을 역임하였다. 1960년부터 충청북도 음성군청 내무과에서 공무원 생활을 시작하였으며, 1962년에는 충청북도 음성군청 내무과 기획예산계장에 이어 양정계장, 경리계장, 병사계장, 행...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행정가. 이종익은 1917년 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에서 출생하였다. 1932년에 옥천공립농업전수학교(沃川公立農業專修學校)를 졸업하고, 경찰전문학교(警察專門學校)를 수료했다. 1938년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면사무소에서 공무원을 시작하였으며, 1961년에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장과 1963년에 음성읍장을 역임하였다. 1963년에 공직에서 물러나 사회 봉사...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음성현감 이종청의 선정비. 이종청의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중일(仲一)로, 서울 태생이다. 부친은 승정원우승지(承政院右承旨) 이위달(李渭達)이다. 1837년(헌종 3) 식년시 진사(進士) 3등 27위로 입격하였다. 1844년(헌종 10) 상의원직장(尙衣院直長)으로, 이듬해 음성현감에 부임하였다. 선정비는 1849년(헌종 15)에...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이종희는 1929년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수태리에서 출생하였다. 1949년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면사무소에서 공무원을 시작하였으며, 1965년에는 충청북도 음성군청 산업계장과 1970년에는 재무계장을 역임하였다. 1973년에는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부면장으로 승진하였으며, 1981년부터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부면장으로 재직하다가 퇴임하였다....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이준성은 1890년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본대리에서 이순형(李舜衡)의 아들로 출생하였으며, 본관은 여흥(驪興), 호는 만오(晩梧)이다. 1931년부터 8년간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면의 면장으로 재임하면서 무극교(無極橋)를 가설하여 주민 교통의 편의를 도모하였고, 시장 시설을 현대화하여 거리 질서를 바로잡았다. 그 후 본대리에 간이학교를 유치하여 인재...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4월 1일 김을경(金乙卿)과 함께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한내 장터에서 3·1운동 독립 만세 시위의 거사를 계획하고, 4백여 명의 군중을 지휘하여 독립 만세를 고창하였다. 소이면사무소에 이르러 김을경과 함께 면장 민동식에게 “너도 조선 사람이니 함께 독립 만세를 부르자”하고 시위 군중과 독립 만세를 외치게 하는 등 활약하다가...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수부(秀夫), 호는 금호(琴湖)·만은당(晩隱堂). 병조참의 이상급(李尙伋)의 손자이고, 증좌승지 이련(李堜)의 아들이다. 부인은 안동권씨로 진사 권순열(權順悅)의 딸이다. 아들은 이세근(李世瑾), 이세진(李世璡)이다. 이지걸은 3세에 고아가 되어 작은아버지 이인(李寅)에 의탁하여 자랐다. 1654년(효종 5) 진사...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명 쌍정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지걸의 묘. 이지걸의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수천(秀天), 호는 금호(琴湖)이고, 부친은 선교랑(宣敎郞) 이연(李堜)이다. 1654년(효종 5) 식년시에 생원 3등 49위로 입격하였다. 1684년(숙종 10)에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가 되었고, 그 후 경상도 영덕현감(盈德縣監)으로 부임했다가 남형(濫刑)의 죄로 곤양(昆陽)...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쌍정리에 있는 조선 중기 문신 이지걸의 묘비. 이지걸의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수천(秀天), 호는 금호(琴湖)이다. 부친은 선교랑(宣敎郞) 이연(李堜)이다. 1654년(효종 5) 식년시에 생원 3등 49위로 입격하였다. 1684년(숙종 10)에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가 되고 그 후 경상도 영덕현감(盈德縣監)으로 부임했다가 남형(濫刑)의 죄로 곤양(昆陽)에...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병암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생극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약 2㎞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은 오생리, 서쪽은 관성리, 남쪽은 도신리, 북쪽은 신양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곤재 동쪽 이진봉 밑에 있는 마을로 임진왜란 때 이곳에 진을 쳤다고 하여 이진말 또는 고진대라고 한다. 본래 경기도 음죽군 무극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에 있는 산. 이진봉은 왜적이 진을 치고 있던 토성이 있던 봉우리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진봉은 남쪽으로는 용바위산·칠성산과 연결되어 있고 서쪽으로는 북류하는 병암천이 흐르고 있다. 이진봉 토성에 대하여 일제강점기의 문헌에서는 토성 주위 200간, 높이 3척, 두께 4척, 반 훼손 등으로 기록하고 있다. 산성은 현재 농로와 밭으로 이용되고 있으...
-
이진봉 은 이진마을 동쪽에 있는 산으로 이진봉 밑에 마을이 있어서 마을 이름도 이진말이다. 이진봉이라는 산 이름은 임진왜란 당시 왜군이 진을 치고 있었던 산이라 오랑캐 이(夷)자와 진을 치다의 진(陣)자를 써서 이진봉이라 하였다 한다. 이진봉에는 성의 흔적이 있는데 오덕욱 할아버지는 성에 대해서 “지금은 까내려와서 없어요. 아주 도자를 들여서 삼 심을...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 이진봉 정상부에 있는 고려시대 토성. 이진봉 산성은 고문헌에는 전혀 나타나지 않고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에 “생극면 신양리·병암리 고진봉, 생극면사무소의 동남 약 5정에 있음. 토축으로서 둘레 200간, 높이 3척, 두께 4척 반폐함”이라 하여 처음으로 소개되어 있다. 그리고 『전국유적목록』에는 “토축, 둘레 약 200간, 높이 3척, 두께 4척, 반...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병암리 이진말은 지리적으로 충청북도 북서부 지역에 있는 음성군의 중북부에 자리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생극면 생리, 북서쪽으로는 응천, 남쪽으로는 생극면 도신리, 북쪽으로는 생극면 신양리와 접하고 있다. 서울에서는 중부고속도로를 따라오다 일죽 나들목으로 나오면 동쪽으로 10㎞ 지점의 생극면 소재지에 이르게 되며, 면소재지에서 금왕 방면으로 1㎞에...
-
이진봉산성 은 병암리 이진말마을 앞 동남쪽의 해발 231.2m의 이진봉에 있는 산성이다. 청주대학교 박물관에서 조사 연구하여 발행한 「음성군문화유적분포지도」는 ‘이진봉의 정상부에 축성된 테뫼식 토축산성’이라 하고 있는데, 이 마을의 김지만 할아버지(27년생, 81세)와 오덕욱 할아버지(35년생, 73세)는 이진봉산성이 산 정상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마을 뒷편의...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이창수는 1927년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평곡리에서 출생하였다. 음성수봉국민학교와 청주중학교를 졸업하였으며, 1959년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사무소에서 공무원을 시작하였다. 1962년에 충청북도 음성군청 재무과 경리계장으로 근무하였으며, 1965년에는 음성군청 산업과 양정계장을 역임하였다. 1966년에는 충청북도 음성군청 내무과 사회계장을 거쳐 예...
-
서신일을 시조로 하고 서수인과 서부흥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이천서씨(利川徐氏) 시조 서신일(徐神逸)은 신라 효공왕(孝恭王) 때 아간대부(阿干大夫)를 지냈다. 국운이 다했음을 예견하고 경기도 이천의 효양산(孝養山) 기슭에 희성당(希聖堂)을 짓고 살면서 후진 양성에 주력하였다. 후손으로 거란과의 담판으로 유명한 서희(徐熙)[942~998]가 대표적이다. 1985...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말기 음성현감 이철응의 선정비. 이철응은 조선 고종 때 음성현감을 지냈다. 그 외의 자세한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다. 선정비는 1885년(고종 22)에 세워졌고, 현재 음성향교 앞에 다른 비석군들과 함께 있다. 1단 비석으로 비신(碑身)의 총 높이는 114㎝이며, 앞면의 폭은 42㎝, 측면의 두께는 16㎝이다. 비신 앞면에는 ‘현감이후철응애...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4월 1일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한내 장터에서 김을경(金乙卿), 이중곤(李重坤), 권재학(權在學) 등이 주동한 3·1운동 독립 만세 시위에 참여하였다. 소이면사무소로 행진하여 면장을 끌어내어 독립 만세를 외치게 하고 있을 때, 왜경이 주도자를 연행하자 시위가 더욱 격렬해졌다. 시위 군중은 돌을 던져 주재소 유리창을 깨면서...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계몽운동가. 사립학교인 통명학교(通明學校)는 현재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에 있는 무극초등학교이다. 1906년 4월 5일 조동환(趙東煥)을 교장으로 무극사립보통학교를 설립하였으나, 1907년 6월 1일 이필영이 설립자 겸 교장이 되어 1909년 8월 31일에 통명학교를 설립하여 인가를 얻어 애국 계몽 운동에 참여하였다. 수업 연한은 4년이고,...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정치가. 1937년 청주공립농업학교를 졸업하고, 경성사범학교 강습과를 나와 음성보통학교 교사를 지냈다. 1945년 해방이 되자 장인 신성모(申性模)가 영국에서 돌아와 국방장관이 되자 이때부터 정계에 투신하였다. 음성에서 2대, 3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고, 6·25전쟁으로 황폐해진 음성군 일원의 전후 복구 사업에 힘썼다. 그때 동향인 원남면 출신 헌병사령관 육...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음성군수 이해용의 기념비. 이해용 기념비는 1929년에 세워졌고, 현재 음성향교 앞에 다른 비석군들과 함께 있다. 전체 높이는 182㎝이며 비신(碑身)은 높이가 129㎝, 앞면의 폭 50㎝, 측면의 두께가 22㎝이다. 가첨석(加檐石)은 높이 53㎝이며 앞면의 폭은 79㎝, 측면의 두께가 58㎝이다. 비석 앞면에는 ‘군수이후해용청덕기념비(郡守李侯...
-
조선 중기의 종친이자 문신. 본관은 전주. 자는 군미(君美), 호는 애일당(愛日堂). 효령대군의 현손이며, 강성도정 이견손(李堅孫)의 넷째아들이다. 부인은 청주한씨로 대간 한승정(韓承貞)의 딸이다. 1510년(중종 5) 춘추관기사관, 1511년 예문관검열을 거쳐 홍문관수찬, 검토관, 직산현감이 되었다. 1512년 이조좌랑으로 소릉에 관한 상소를 하였다. 1518년 이조좌랑, 봉상시...
-
조선 중기 음성현감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벽진. 자는 여무(汝懋), 호는 외재(畏齋). 이엄(李儼)의 아들이다 이후경은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영남에서 명유(名儒)로 추앙을 받았다. 광해군 때에 학행으로 천거를 받아 세자익위사세마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였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에 강화로 왕을 호종하고 돌아와, 이듬해 음성현감이 되었다. 1630년 72세로 죽자 병조참의에...
-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자는 정경(正卿), 호는 소한당(所閑堂). 할아버지는 문충공(文忠公) 권근(權近)이며, 아버지는 우찬성 권제(權踶)이다. 권람(權擥)[1416~1465]은 어려서부터 독서를 좋아하여 학문이 넓었으며, 뜻이 크고 기이한 계책이 많았다. 불교를 좋아하지 않았으며, 활을 잘 쏘고 문장에 뛰어났다. 35세까지 과거에 급제하지 못하고 있다가, 1450년(문...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본래 다니골이라 하였으며 연안이씨가 살면서 단이곡(丹李谷), 단화동(丹花洞) 또는 인곡이라 하였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송동리와 하묵리 일부를 병합하여 인곡리라 하고 맹동면에 편입되었다. 인곡1리 나분테 동쪽에는 가재밭산(족장골)이 있고 다니골의 동남쪽...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인곡리에 있는 조선 중기 백자가마 터. 인곡리 백자가마 터는 지표 조사가 실시되었을 뿐 시굴이나 발굴 조사는 시행되지 않았다. 백자편이 주로 수습되었는데, 백자는 유백색을 띠며 모래흔도 아주 고운 모래를 사용하여 고급스럽게 만든 것으로 추측된다. 주로 접시, 대접류가 많으며, 불탄 흙과 도지미, 노벽편 등이 흩어져 있다. 현재 인곡리 백자가마 터는 토사에 상...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인곡리에 있는 꽃동네의 종합 병원. 꽃동네는 예수의 꽃동네 유지 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사회 복지 시설이다. 국비, 도비, 군비 등의 정부 예산과 꽃동네 회원의 기부금 및 자원 봉사자의 도움으로 운영되고 있다. 1995년 말 부랑인 850명, 정신 요양 400명, 심신 장애 300명 등 1,550명의 인원이 수용되어 있었으나 2005년 말 정신 질환자 수용...
-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 집단의 계수. 음성군의 인구는 2011년 8월 현재 38,373세대에 91,485명(남자 47,947명, 여자 43,538명)이다. 인구 밀도는 1㎢당 175.8명으로 나타났다. 1757년~1765년에 발간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의하면 음성군의 인구 수는 8,208명으로, 이 중 남자가 3,924명, 여자는 4,284명이었다. 1789년(...
-
충청북도 음성군의 지표상에 존재하는 인문적 사상(事象)들을 지리적 관점에서 분석한 분야. 인문지리학의 아버지는 리터(Carl Ritter)[1779~1859]로, 리터는 지리학을 경험과학으로 규정하면서 공간적 관점에서 지역을 총체적으로 연구하며, 현상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객관적으로 규명하는 것으로 정의를 내렸다. 특히 리터는 지역 현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 자연·인간·역사와의 관계...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인삼과 닭, 찹쌀 등을 넣고 끓여서 죽으로 만들어 먹는 보양식. 인삼닭죽은 인삼의 독특한 향과 구수함이 조화되어 자주 먹어도 질리지 않고 소화흡수도 잘된다. 이 때문에 수험생이나 어린이·노약자에게 매우 좋은 영양식으로 각광받고 있는 음성 지역의 대표적인 향토 음식이다. 언제부터 인삼닭죽을 만들어 먹었는지 정확하게 알려진 것은 없으나, 오래 전부터 음성에서 많이...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인삼과 찹쌀·누룩으로 빚어내는 전통주. 음성 지역에서 인삼동동주가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부터로, 일반 동동주에 음성에서 많이 나는 인삼을 넣어서 색다른 맛의 전통주로 만들어서 마시기 시작하였다. 인삼동동주는 맑은 노란색을 띠며, 인삼의 향이 일품이다. 마신 후에도 뒤끝이 개운하여 찾는 사람이 많은데, 요즘에는 인삼가루를 이용하여 만들기도 한다. 찹쌀...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음성. 자는 기옥(其玉), 호는 인암(仁庵). 음성박씨 시조 박서의 22세손이고, 충민공(忠愍公) 박순(朴淳)의 18세손이다. 할아버지는 박시중(朴時中), 아버지는 장릉참봉 박대현(朴大鉉)이다. 부인은 전주이씨로 이인창(李寅昶)의 딸이다. 아들로 박충근(朴忠根)과 박형근(朴瀅根)이 있다. 1887년(고종 24) 출생하였다. 효우와...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안동. 자는 인지(仁之). 아버지는 대사헌 권휴(權休)이다. 권인은 1650년에 출생하였으며, 용양위어모장군(龍驤衛禦侮將軍)을 역임하고 호조참의에 증직되었다. 묘소가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능산리에 있다....
-
채선무를 시조로 하고 채신보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인천채씨(仁川蔡氏)의 시조는 채선무(蔡先茂)이다. 채선무는 고려 때 동지원사(同知院事)를 지내고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에 추증(追贈)되었다. 인천에 정착하여 세거하였으므로 후손들이 인천을 관향(貫鄕)으로 삼게 되었다. 가문의 대표적인 인물로 시조 채선무의 손자 채보문(蔡寶文)은 고려 의종(毅宗) 때 문과에...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의병. 본관은 한양. 아버지는 조희윤(趙喜允)이다. 1875년 8월 14일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유촌리에서 출생하였다. 조병관(趙炳觀)의 양자가 되었고, 1956년 6월 25일 향년 82세로 별세하였다. 1907년 8월 23일 33세에 조응삼은 관북창의대장(關北倡義大將) 정봉준(鄭奉俊) 휘하에 입진(入陣)하였다. 강원도 원주를 중심으로 100여...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초계. 자는 명여(命汝), 호는 일옥(一玉). 홍문공 정배걸(鄭倍傑)의 29세손이며 교리 정창(鄭昌)의 15세손이다. 아버지는 감역(監役) 정효선(鄭孝善), 어머니는 안동김씨이며, 부인은 양천허씨이다. 아들은 효자로 이름난 정인상(鄭寅尙)이다. 정규영은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였다. 일찍이 서울에서 지내던 중 9...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의병.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성언(聖言), 호는 일와(一窩). 할아버지는 의병 윤병의(尹秉義)이다. 윤정학은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에서 출생하였다. 유인석(柳麟錫) 문인으로, 고종 때 진사가 되었다. 1895년과 이듬해에 의병이 되어 스승 유인석, 조부 윤병의와 의거에 가담하여 충주와 제천 싸움에 참여하였다. 충주 싸움에서 패한 뒤 물러나 충...
-
늘거리 마을회관을 둘러보던 중 한 쪽 벽에 오래된 사진이 담겨 있는 액자를 발견할 수 있었다. 사진에는 네 명의 청년이 의자에 앉아 있고 그 뒤로 마을 청년들 열 명 정도가 어깨동무를 하고 있는 모습이었다. 한눈에 보아도 마을의 단합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진의 연대가 매우 오래 되어 보였다. 할아버지들께 양해를 구하고 액자를 떼어 이리저리 살펴보던 중 액자 뒤...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부친상을 당하여 미처 탈상하지 않았는데 이어서 모친상을 당하여 6년간 시묘살이를 하는데 범이 와서 보호해 주었다고 전해진다. 1910년 8월 29일 한일합방이 되자 집에다 ‘이왕가지민하석환(李王家之民河碩煥)’이라고 문패를 달고는 세금도 내지 않고, 호적도 등재하지 않았다. 이에 음성경찰서에 구금되어 고문을 당하였으나 끝내 불응하고 단식...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1910년 국권 강탈 이후 1945년 광복까지 일본 제국주의에 의한 식민통치 시기. 음성군은 1895년(고종 32)에 지방 관제를 23부로 개정할 때 충주부 20개 관할군의 하나인 음성군이 되었다가 이듬해 8도 체재로 정비될 때 충청북도 음성군이 되었다. 그후 1906년 지방제도가 정비될 때 충주군에 소속되었던 13개 면을 이임받아 동도면·남면·원서면·근서면·사...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대리에서 생극면 신양리까지 연결되는 지방도. 지방도 318번은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에서 시작하여 음성군 읍내리까지 27.2㎞ 길이의 지방도이며, 일죽~음성길이라고도 불린다. 지방도 318번은 포장 도로로서 2차선이 17.7㎞, 4차선이 9.5㎞이다. 노견 포장은 좌 7.3㎞, 우 5.8㎞이다. 지방도 318번의 음성군 구간은 삼성면 용대리에서 생극면 신양리...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에 있는 공업용 다이아몬드 제조업체. 난삭재의 절단·연마에 사용되는 혁신적 소재 개발과 생산을 통해 기업 발전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일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8년 음성공장을 준공하고 공업용 다이아몬드 양산을 시작하였다. 1994년 음성공장을 1, 2차 증설하고 일진다이아몬드 법인으로 전환하였다. 1995년부터 1999년까지 IMD, IRD, 다...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사회복지가. 임경재(任慶宰)[1929~1999]는 본관은 풍천(豊川). 호는 춘강(春江)이다. 아버지는 한학자 임주호(任周鎬)이다. 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 추산초등학교를 졸업하고, 1945년에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쌍정리로 이거하여 정착하였다. 1948년 입대하여 복무하는 중에 6·25전쟁이 일어나자, 9·18수복 시 관민 학생의 협조를 얻어 인민군 무기...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임오리와 품곡리를 병합하여 임곡리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 생동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임오리와 품곡리를 병합하여 임곡리라 하고 생극면에 편입되었다. 임오리 북쪽에는 임오산[328m]이 있고 양달말에서 경기도 이천시 율면 오성리로 넘어가는 곳에는 노단테고개, 품실...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임곡리의 임오산 남쪽면에서 발원하여 송곡리 앞에서 응천과 합류하는 하천. 임곡리천은 임오산에서 발원하여 임곡리로 흐르는 하천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임곡리 북쪽의 경기도 안성시 율면 경계에는 임오산[328m]이 있고 서남쪽의 경기도 경계에는 팔성산[377m]이 있으며, 남부에는 매재봉이 있다. 임곡리에서 경기도 안성시 율면 오성리로 넘어가는 곳에는 노단테고개...
-
임란공신 장충범장군기념비는 생극면 병암리 이진말 문화마을 소공원에 세워져 있다. 이 기념비는 본래 생극면 소재지인 신양리 삼거리에 1971년에 세워져 있었는데 도로의 확포장공사로 인하여 이곳으로 옮겨 세웠다. 장충범 장군은 조선 중기의 충신으로 자(字)는 효칙, 본관은 단양이다. 1592년(선조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충주에서 적과 싸우다 부상을 당하여 고향인 음성읍...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임무재는 1910년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신돈리에서 출생하였다. 1938년에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장으로 부임하였으며, 맹동면장 재임 중에 음성 지역 발전과 주민들의 복지 증진에 공헌하였다. 그 공로로 음성 지역 주민들의 칭송을 받았으나, 1953년 젊은 나이에 사망하였다....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 3월 20일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에서 3·1운동 독립 만세 시위를 벌이고, 4월 2일 삼성면 천평리 배알미에서 독립 만세를 부르고, 면사무소와 주재소를 습격하다가 체포되어 서대문감옥에서 3년간 복역하였다. 재판 기록을 보면, ‘임백규, 임경순의 선동에 응하여 4월 2일 밤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산리 소재 면사무소에 군중...
-
임애자 할머니(70세)는 경로회 회장님이신 황경구 할아버지(69세)와 부부의 연을 맺고 함께 마을의 바위배기 동제를 준비하는 다정한 모습을 보여 주었다. 동제가 있는 당일에는 준비하는 것이 많아 그런지 늦은 시간까지 마을회관에 있었다. 할머니께서는 다리가 불편해서 다리를 펴고 앉아야 하는데 괜찮겠냐며 카메라를 신경 써 주었다. 우리는 편하신 대로 하셔도 된다고 말을 드리...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임익재는 1933년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신돈리에서 출생하였다. 청주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충북대학교 축산과를 졸업하였으며, 1958년 충청북도 음성군청에서 첫 공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1965년에는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면사무소 재무계장을 역임하였으며, 1966년에는 충청북도 음성군청 산업과에 근무하였다. 1967년에는 충청북도 선거관리위원회로...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 자는 천휴(天休), 호는 임하당(林下堂). 조부는 신상철(申尙哲)이고, 아버지는 신형구(申衡耈)이다. 신후명은 1666년(현종 7)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대사간을 거쳐 1685년(숙종 11) 충청도관찰사가 되었으며, 이어 병조참판이 되었다. 1700년 당상(堂上)으로서 죄인 김인지(金麟至)를 서민으로 호적에 올렸다는 이유로 정언 윤헌주(尹憲柱...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음성(陰城). 자는 덕여(德汝), 호는 입암(立庵). 박서(朴犀) 장군의 16세손이고, 아버지는 아산현감 박정규(朴廷珪)이며, 어머니는 경주이씨 장령 이행민의 딸이다. 박준흠은 어려서부터 글을 좋아하여 한번 읽은 글은 반드시 기억하여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 또한 성장하면서 경학을 연구하였고, 의문점은 도암 이재와 여호 박필주에게 배...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선비. 본관은 밀양. 자는 경견(敬絹), 호는 입재(立齋). 정조 대의 명신 매곡 박한규의 6세손이다. 아들로 박석원과 박두원이 있다. 경기도 용인에서 출생하였다. 일곱 살 때 아버지를 따라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삼봉리로 이주하였다. 15~16세 때 회당 윤응선에게 수학하여 학문에 탁월하였다. 일제의 학정에 세상의 뜻을 버리고 은거하여 후세...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입지(立之). 할아버지는 소윤 김백은(金伯隱)이고, 아버지는 사직 김우전(金雨田)이다. 부인은 윤씨이며, 아들은 김숭종(金崇宗)이다. 1466년(세조 12) 급제하였고, 승문원주서(承文院注書)가 되어 『세조실록(世祖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다. 1469년(예종 1) 예문관검열, 1471년(성종 2) 승정원주서·춘추관...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입춘날 대문이나 대들보, 기둥 등에 좋은 글귀를 써붙이는 풍속. 입춘축은 다른 말로 입춘방(立春榜)·춘방(春榜)이라고도 한다. 입춘축 붙이기는 24절기의 첫 절기인 입춘에 봄을 맞이하여 송축하는 의미에서 행해지는 풍속이다. 전국적으로 행해지며, 그 내용은 거의 비슷하다. 음성 지역에서는 입춘이면 ‘입춘대길(立春大吉)’이나 ‘건양다경(建陽多慶)’이라고 쓴 입춘축을...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입춘날 대문이나 대들보, 기둥 등에 좋은 글귀를 써붙이는 풍속. 입춘축은 다른 말로 입춘방(立春榜)·춘방(春榜)이라고도 한다. 입춘축 붙이기는 24절기의 첫 절기인 입춘에 봄을 맞이하여 송축하는 의미에서 행해지는 풍속이다. 전국적으로 행해지며, 그 내용은 거의 비슷하다. 음성 지역에서는 입춘이면 ‘입춘대길(立春大吉)’이나 ‘건양다경(建陽多慶)’이라고 쓴 입춘축을...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입춘날 대문이나 대들보, 기둥 등에 좋은 글귀를 써붙이는 풍속. 입춘축은 다른 말로 입춘방(立春榜)·춘방(春榜)이라고도 한다. 입춘축 붙이기는 24절기의 첫 절기인 입춘에 봄을 맞이하여 송축하는 의미에서 행해지는 풍속이다. 전국적으로 행해지며, 그 내용은 거의 비슷하다. 음성 지역에서는 입춘이면 ‘입춘대길(立春大吉)’이나 ‘건양다경(建陽多慶)’이라고 쓴 입춘축을...
-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 고구려가 설치한 행정 구역. 음성은 잉홀(仍忽)·설성(雪城)·잉근내(仍劤內)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는데 잉홀의 지명은 서기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 12월에 음성으로 변경되었다. 음성군 음성읍 평곡리 약물제 동쪽에 터골이라는 마을이 있는데 거북 모양의 바위가 있어 구문동(龜文洞)이라고도 하는 이 마을은 고구려 때 잉홀현의 관청이 있어 ‘터골’이라고 하였고 ‘...
-
757년(신라 경덕왕 16)에서 1895년(고종 32)까지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 음성은 잉홀(仍忽)·설성(雪城)·잉근내(仍劤內)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음성현의 지명으로는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의 향교말과 감원역에서 유래한 역말 등이 남아 있고 음성향교가 아직 현존하고 있지만 음성현시대의 유적과 유물 등은 거의 사라졌다. 삼국을 통일한 신라는 확대된 영토와...
-
757년(신라 경덕왕 16)에서 1895년(고종 32)까지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 음성은 잉홀(仍忽)·설성(雪城)·잉근내(仍劤內)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음성현의 지명으로는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의 향교말과 감원역에서 유래한 역말 등이 남아 있고 음성향교가 아직 현존하고 있지만 음성현시대의 유적과 유물 등은 거의 사라졌다. 삼국을 통일한 신라는 확대된 영토와...
-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 고구려가 설치한 행정 구역. 음성은 잉홀(仍忽)·설성(雪城)·잉근내(仍劤內)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는데 잉홀의 지명은 서기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 12월에 음성으로 변경되었다. 음성군 음성읍 평곡리 약물제 동쪽에 터골이라는 마을이 있는데 거북 모양의 바위가 있어 구문동(龜文洞)이라고도 하는 이 마을은 고구려 때 잉홀현의 관청이 있어 ‘터골’이라고 하였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