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101604
한자 陰城鄕校春秋釋奠大祭
영어의미역 Eumseong County School, Ceremony in Honor of Confucius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의례/제
지역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156-1[중앙로 223]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박경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의례시기/일시 음력 2월 초정일(初丁日)|음력 8월 초정일
의례장소 음성향교

[정의]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음성향교 대성전에서 제향하는 의례.

[개설]

음성향교 주관으로 매년 봄(음력 2월 초정일)과 가을(음력 8월 초정일)에 음성군 유림회원과 음성군 관내 기관장, 각급 학교 학생들이 참여하여 음성향교 대성전에 모신 중국 선현 19위와 한국 선현 18위에 지내는 유교제례이다.

[연원 및 변천]

대성전 정위에 공자를 모시고 그 양편에 안자, 증자, 자사, 맹자와 공자의 10제자인 안회, 민자건, 염백우, 중궁, 재아, 자공, 염유, 자로, 자유, 자하 등 성인을 위패를 봉안하고, 동벽에는 주돈이, 정이, 설총, 안유, 김굉필, 조광조, 이황, 이이, 김장생, 김집, 송준길 등의 위패를, 서벽에는 정호, 주희, 최치원, 정몽주, 정여창, 이언적, 김인후, 성혼, 조헌, 송시열, 박세채 등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매년 음력 2월과 8월 초정일에 제례를 시행하는 연유는 『예기(禮記)』의 제례법에 천도(天道)를 합하여 봄에는 체제(禘祭)를 가을에 상제(嘗祭)를 지낸다고 하였다. 즉 하은시대(夏殷時代)에는 춘사(春祠), 하화(夏龢), 동증(冬烝), 주나라 때 춘사(春祠), 하약(夏礿), 추상(秋嘗), 동증(冬烝)으로 종묘치제(宗廟致祭)했던 것에서 유래되어 봄·가을로 나누어 두 번 제례를 지낸다.

[절차]

헌관 및 제집사의 인원은 대성전 3명, 동종(東從)·서종(西從) 각 2명, 동무(東廡)·서무(西廡) 각 3명, 집례, 대축, 당시의 장의(掌議) 찬인(贊人) 각 1명, 대성전, 동·서무 묘사(廟司) 각 1명, 판진설(判陳設) 2명, 봉향(奉香), 봉로(奉爐), 헌폐전폐(獻幣奠幣), 봉작(奉爵), 전작(奠爵), 사존(司尊), 알자(謁者) 각 1명이다.

초헌관은 음성군수가 행하며 사정에 따라 음성교육장, 음성경찰서장 중에서 l명이 행하고, 아헌관은 당임 전교가 담당하며, 종헌관은 향중의 나이 많고 덕 있는 유생 중에서 추천하여 전한다. 동·서무 헌관 및 집례, 집사는 유림회원 중에서 학덕이 있는 적임자를 선정한다. 그리고 제향은 「홀기(笏記)」에 의해 진행되는데 다음과 같다.

○ 집례의 창홀(唱笏)로서 소정 위치에 들어가 먼저 초헌관이 진설을 살핀다. ○ 찬인(贊人)이 대축과 제집사를 인도하여 소정 위치에 들어간다. ○ 대축과 제집사가 관세위(盥洗位)에 나아가 관수(盥手), 세수(帨手)하고 대성전 계단 사이에 순서대로 선다. ○ 알자와 찬인이 초헌관, 아헌관, 종헌관, 분헌관, 및 유생을 인도하여 소정 위치에 들어간다. ○ 알자(謁者)가 삼헌관에게 행사를 알린다. ○ 헌관 이하 참례자는 모두 네 번 절을 한다. ○ 전폐례(奠幣禮)를 행한다. ○ 초헌례(初獻禮)를 행한다. ○ 아헌례(亞獻禮)를 행한다. ○ 종헌례(終獻禮)를 행한다. ○ 분헌례(分獻禮)를 행한다. ○ 음복례(飮福禮)를 행한다. ○ 망료례(望燎禮)를 행한다.

[축문]

“단군기원○○○○년 세차 간지모월 간지삭 간지모일 후학○○○○ 감히 고합니다. 대성지성문선왕은 도학의 으뜸이고 만세에 높은 스승에게 엎드려 상정일에 정성스레 제를 올립니다. 삼가 고기와 술과 곡식과 나물을 차려 올리니 흠향하소서. 연국 복성공, 성국 종성공, 기국 술성공, 추국 아성공도 따라 흠향하시고, 송조 4현과 우리나라 18현인께서도 아울러 흠향하소서.”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