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101592 |
---|---|
한자 | 陰城邑內里三層石塔 |
영어의미역 | Three-story Stone Pagoda of Eumnae-ri, Eumseong |
이칭/별칭 | 평곡리 삼층석탑,읍내리 삼층석탑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탑과 부도 |
지역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817-2 |
시대 | 고려/고려 |
집필자 | 길경택 |
성격 | 탑 |
---|---|
양식 | 삼층석탑 |
건립시기/연도 | 고려시대 |
재질 | 화강암 |
높이 | 240㎝ |
소재지 주소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817-2
![]() |
문화재 지정번호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29호 |
문화재 지정일 | 1982년 12월 17일![]() |
[정의]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
[건립경위]
음성 읍내리 삼층석탑은 평곡리에 있었던 사찰의 사리탑으로 건탑되어 계속 절터를 지켜왔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탑은 1934년 연풍정(지금의 경호정)을 지으면서 현재의 위치인 설성공원 내로 옮겨진 것이라 한다.
[형태]
단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부를 갖춘 일반형 석탑으로, 상륜부(相輪部)가 결실되었을 뿐 보존 상태가 양호한 석탑이다. 기단부는 단층 기단으로서, 1매로 된 지대석에 1단의 받침을 각출하고, 그 위에 양 우주를 표현한 면석을 놓았다. 또 그 위에 1매의 갑석을 놓았다.
각층의 탑신에는 우주가 표현되었으며 옥개석의 층급 받침은 각 3단씩이다. 낙수면의 경사는 완만하고 전각의 반전도 경쾌하다. 3층 옥개석 상면 중앙에 찰주공(刹柱孔)이 있으며, 현재 남아 있는 탑의 전체 높이는 240㎝이다.
[의의와 평가]
음성 읍내리 삼층석탑은 기단부가 단층으로 약식화되어 있고, 탑신 괴임의 양식, 우동의 경사, 전각의 반전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석탑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