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이진봉산성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1D010403
지역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병암1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기범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이진봉산성1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이진봉산성2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이진봉산성3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이진봉산성4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이진봉산성5

이진봉산성병암리 이진말마을 앞 동남쪽의 해발 231.2m의 이진봉에 있는 산성이다. 청주대학교 박물관에서 조사 연구하여 발행한 「음성군문화유적분포지도」는 ‘이진봉의 정상부에 축성된 테뫼식 토축산성’이라 하고 있는데, 이 마을의 김지만 할아버지(27년생, 81세)와 오덕욱 할아버지(35년생, 73세)는 이진봉산성이 산 정상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마을 뒷편의 산자락이 시작되는 곳에 있다고 하였다. 이진봉산성에 대해 오덕욱 할아버지는 “마을에서 산쪽으로 그러니까 조선생네 생극중학교 교감선생네 아버지가 집을 새로 지었는데 그 바로 뒤에 성이여. 지금은 까내려와서 없어요. 아주 도자를 들여서 삼 심을라고. 죄다 파헤치고, 작년에 돌 죄 추려내고 아주 밭을 들여놓구 호밀인가 갈아놨어요”라며 성의 흔적이 많이 없어졌다고 하였다.

또한 김지만 할아버지는 이진봉에 왜군이 진을 치면서 쌓은 성은 토성으로 마을과 산이 접하고 있는 부분에 성이 있었는데 근래까지도 성이 있었던 밭 부분에서는 화살이 출토되기도 한다고 하면서 “왜놈은 여기서 싸우고 우리 아군은 거기서 싸웠는데 그게 뭐 화살이 이만한 게 밭에서 나오고 그랬었어”라고 말해주었다.

「음성군문화유적분포지도」에서는 이진봉산성이 이루어진 시대를 고려시대로 보고 있다. 이 산성에 올라보면 동쪽으로는 충주, 남·서쪽으로 금왕, 음성, 진천, 북쪽으로는 경기도 여주, 이천, 안성으로 통하는 길목에 자리 잡고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점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성의 규모가 작고 낮은 야산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교통상의 요지에 설치한 보루성(堡壘城)이거나, 민보성(民堡城)으로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많다고 보고 있다.

또한 임진왜란 때 왜군이 진을 치고 싸우면서 산자락에 성을 만들어 놓았을 것으로 보는데, 이곳과 마주하는 성이 생극면 팔성리 팔성산에 있는 팔성산성으로 우리 아군은 팔성산성에 진을 치고 왜군은 이진봉산성에 진을 치고 싸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