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사고(士皐). 할아버지는 좌의정을 지냈던 정석오(鄭錫五)이고, 아버지는 군수를 역임했던 정양순(鄭養淳)이다. 1768년(영조 44)에 음보(蔭補)로 사옹원봉사(司饔院奉事)가 된 이후 장흥고직장(長興庫直長), 의영고주부(義盈庫主簿)를 거쳐 1775년(영조 51)에 한성부판관(漢城府判官), 그리고 2년 뒤에 사복시판관...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에 속하는 행정리. 하사리의 ‘사’자와 토곡리의 ‘곡’자 한 글자씩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거곡면(居谷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사리(上沙里)·하사리(下沙里)·토곡리(土谷里)를 병합하여 사곡리가 되어 감곡면에 편입되었다. 남동쪽에 원통산[645m]이 있는 등 동쪽은 대부분이 300~50...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사곡리에 있는 서낭당. 사곡리에서는 1980년대 방화로 서낭당[城隍堂]이 소실되어 한동안 서낭제를 올리지 않았는데, 그후 마을에 변고가 잦아서 1999년에 비석을 세워 신표로 삼고 다시 마을 제사를 올리고 있다. 사곡리 서낭당은 사곡리의 톡실과 오궁리 경계에 있는 통수바위고개에 자리잡고 있다. 서낭당은 원래 통수바위고개 주변의 돌무지로, 마을 사람들이 돌무지...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사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철화백자가마 터. 사곡리 철화백자가마 터는 지표 조사만 이루어진 곳으로, 가마의 규모나 성격을 파악할 수는 없으나 수습된 백자편에서 철화흔이 확인되고 있으며, 순백자도 만들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밭을 일부 잘라 길을 닦는 과정에서 자기 조각과 검붉게 탄 흙 등이 많이 나왔으며, 현재 도로 양편의 과수원 쪽과 논둑에도 자기편과 불탄 흙...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문촌리 이문고개에서 발원하여 오궁리에 이르는 하천. 오갑천은 오궁리의 옛 지명인 오갑리에 흐르고 있는 하천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북쪽의 충주시 앙성면과 여주군 동면과의 경계에는 오갑산[609.4m]이 솟아 있고 남쪽에는 원통산[645m]이 있으며, 동쪽의 문촌리에는 이문고개가 있다. 이문고개에서 서류하는 문촌천은 오궁리에서 오갑천으로 유입된다. 오궁리 부근...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에 속하는 행정리. 문암리의 ‘문’자와 신촌리의 ‘촌’자 각 한자씩을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거곡면(巨谷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오리(上梧里)·신촌리(新村里)·장평리(壯坪里)·판요리(板腰里)·문암리(文岩里)를 병합하여 문촌리라 하여 감곡면에 편입되었다. 옥녀봉과 이진봉 등의 산이 있...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중기 광산김씨 음성 입향조 김덕항(金德恒)의 묘비. 김덕항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군수(郡守) 김봉서(金鳳瑞)의 아들이다. 자는 사구(士久)이며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음보(蔭補)로 군자감(軍資監) 주부(主簿)를 지냈다. 1593년(선조 26)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한성에서 음성읍 초평리 처가인 남씨(南氏) 집으로 와서 우거(寓居)하였다....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광산김씨 입향조.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사구(士久). 아버지는 군수(郡守) 김봉서(金鳳瑞)이다. 음보(蔭補)로 군자감주부(軍資監主簿)를 지냈다. 한성에 살다가 1593년(선조 26)에 임진왜란을 피하여 처가가 있는 지금의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초천리에 와서 머물렀다. 1599년(선조 32)에 한성으로 돌아가려 했으나 전쟁으로 집이 불타 없어졌다는...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내산리에 있는 산. 음성군 대소면 서단부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어 진천군 이월면 사당리·내촌리 등과 접하고 있다. 모래가 많아 사다산(沙多山)이라고 하였다고도 하고 또는 사다산면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도 한다. 일명 사산(沙山)·망월산(望月山)이라고도 한다. 대소면 내산리 마산 남쪽에 있는 비교적 낮은 산이다. 사다산의 동부는 미호천의 상류인 보원천 유역으로서...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문촌리에 있는 조선 말기 이기홍을 봉안한 사당. 옥산사는 주자(朱子), 송시열과 함께 직재(直齋) 이기홍(李其洪)을 모시고 봄과 가을에 제향하는 사당이다. 옥산사는 본래 괴산군 연풍면 원통리에 있던 문산서원을 1908년에 복원한 사당이다. 문산서원이 흥선대원군 때 서원 철폐령으로 폐쇄되자 40여 년 뒤인 1908년에 사액서원의 철폐를 애석하게 생각한 유림과...
-
갑산리는 마을의 역사가 약 500년으로 추정될 정도로 깊지만, 의외로 유물이라고 할 만한 것이 별로 없었다. 특히, 안동권씨의 집성촌으로 잘 알려져 있는 곳이니 만큼 문중 관련 문서나 고서가 많이 나올 것으로 생각 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도시로 이주하면서 문중 차원에서 보관하고 있던 고문서 등도 함께 옮겨갔다고 한다. 그러던 중, 갑산2리 동역마을에 현재 권씨 문중의 일을 맡아보...
-
정산말 을 지나 맞은편 쪽으로 약 50m를 가면 탑골말로 갈 수 있다. 탑골마을 입구에는 300년이 넘은 보호수가 있다. 마을 사람들은 예전에 이 나무에서 단오날 그네를 매어 놓고 그네를 뛰기도 하였다고 한다. 탑골말 위쪽으로 갑산저수지가 있다. ‘봉제’라고도 불리는데, 매우 넓은 규모로 현재는 낚시터로 이용되고 있고, 저수지에서 내려오는 물로 농업용수 걱정은 없다고 한다. 저수...
-
선소리를 알고 있는 정기용 할아버지는 갑산리에서 태어나 현재까지 살고 있는 갑산리 토박이다. 현재 정자안과 평짓말 연방계장을 맡고 있으며, 신명이 많아 소리를 매우 잘한다. 마을에서 현재 거북놀이 상쇠전수자로도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 마을에서 사물놀이를 할 때도 주도적으로 상쇠역할을 하고 있고, 워낙 말을 잘 하여 이야기를 듣기에 매우 수월했다. 또한 매우 적극적으로 이야기와 노래...
-
국내 사회 복지 시설 중 음성 꽃동네는 가장 방대한 시설·규모와 자원 봉사자를 가지고 있다. 지금의 음성 꽃동네는 사랑이 이룬 기적이다. 그 시작은 미약하였지만 현재는 헐벗고 굶주린 사람들의 소중한 안식처가 되고 있다. 얻어먹을 수 있는 힘조차 없을 만큼 버림받은 이들을 가족으로 맞아들여 요람부터 무덤까지 침식과 요양 등 각종 편의 시설과 장례까지의 모든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
-
권오성 할아버지는 음성군 소이면 갑산2리 동역마을에서 태어나 지금까지 살았다. 어린 시절 가난해서 소학교를 다니고 중학교를 가고 싶었지만 집안의 반대로 가지 못했다고 한다. 그러나 학문에 대한 열정이 남달랐던 할아버지는 혼자 독학을 하여 학력을 만들고 초등학교 선생님이 되었다. 군대를 다녀 온 후 줄곧 초등학교 선생님을 하면서 바쁘게 지내다가 정년퇴임 후 고향에서 노인 회장, 권...
-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법에 의한 민사·형사 사건의 재판 및 그에 관련되는 국가 작용. 근대적인 사법 제도가 확립된 것은 갑오개혁 이후이며, 1895년 3월 25일 법률 제1호로 재판소구성법이 제정되었다. 1910년 일본에 의한 한일합방으로 조선총독부가 설치됨에 따라 조선총독부재판소령에 따라 총독부재판소가 설치되었다. 1948년 7월 17일 헌법이 제정·공포된 후 19...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내산리에 있는 산. 음성군 대소면 서단부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어 진천군 이월면 사당리·내촌리 등과 접하고 있다. 모래가 많아 사다산(沙多山)이라고 하였다고도 하고 또는 사다산면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도 한다. 일명 사산(沙山)·망월산(望月山)이라고도 한다. 대소면 내산리 마산 남쪽에 있는 비교적 낮은 산이다. 사다산의 동부는 미호천의 상류인 보원천 유역으로서...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 자는 열경(說卿), 호는 사산(司山).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반석평(潘碩坪)의 후손이고, 아버지는 반진홍(潘鎭洪)이다. 반필순은 문장에 능하고 덕행이 있어 사우간에 추앙되었다. 성균관 과거에 합격하여 통덕랑(通德郞)이 되었으며, 1892년(고종 29) 음성향교 장의(掌議)로 있다가 1893년 금영 이시에 1등으로 뽑혔으나 발...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흥. 아버지는 효자 민동량(閔東亮)이다. 큰아버지 민동상(閔東尙)에게 출계(出系)하였다. 아버지가 했던 효의 덕업을 이어받아 어버이에게 대한 효도를 실천하여 온 집안사람들의 칭송을 받았고 집안의 자랑이 되었다.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상평리에 있다. 호조참판에 증직되었다....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불상을 모셔 놓고 공적으로 불교 신행을 행하는 장소. 음성 지역에서 확인되는 사찰로 그 연원이 가장 오랜 것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등의 지리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보면 음성읍에는 서가섭사(西迦葉寺)와 용산리의 상봉악사(上鳳岳寺), 감우리의 성주사(聖住寺) 등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가섭사를 제외하고는 모두 그 자취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사언(思彦), 호는 습재(習齋), 졸부(拙夫)이다. 동몽교관 이희선(李喜善)의 아들이다. 부인은 밀양박씨로 첨지중추부사 박주(朴冑)의 딸이고, 음애(陰崖) 이자(李耔)의 외손이다. 이상급은 문과에 급제하여 1603년(선조 36)에 성균관진사가 되었으며, 1606년 증광문과 중시에 병과로 급제하여 권지승문원정자(權知...
-
조선시대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벽진. 자는 사업(四業). 충강공(忠剛公) 이상급(李尙伋)의 후손이고, 부인은 경주최씨이다. 집안은 가난하였으나 아버지의 입맛에 맞는 것은 무엇이든 정성껏 마련해 드렸고, 아버지가 위급할 때 쉬지 않고 수 십리를 달려가 약을 구해 와 아버지를 소생시켰다. 이를 축하하기 위하여 계모가 마을 사람들을 불러 잔치를 베풀었는데, 그것을 부끄러...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문암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문암3리 남부 지역에 위치하는 마을로 남쪽으로는 새말, 북쪽으로 벌말과 각각 접하고 있다. 본래 충청북도 음성군 원서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눌문리 일부와 팽암리를 병합하여 눌문리의 ‘문’자와 팽암리의 ‘암’자를 따서 문암리라 명명하고 원남면에 편입되었다. 문암리에는 자...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문암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문암3리 남부 지역에 위치하는 마을로 남쪽으로는 새말, 북쪽으로 벌말과 각각 접하고 있다. 본래 충청북도 음성군 원서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눌문리 일부와 팽암리를 병합하여 눌문리의 ‘문’자와 팽암리의 ‘암’자를 따서 문암리라 명명하고 원남면에 편입되었다. 문암리에는 자...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에 활동한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성중(成仲), 호는 사우당(四友堂). 관찰사 최상익(崔商翼)이 형이다. 1674년(현종 15)에 40세에 사마시에 합격한 후 군자감직장(軍資監直長)을 지냈다.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소의장씨(昭儀張氏)의 아들을 원자로 세우려는 숙종의 뜻을 서인 송시열(宋時烈) 등이 반대하였다. 이에 실각...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불상을 모셔 놓고 공적으로 불교 신행을 행하는 장소. 음성 지역에서 확인되는 사찰로 그 연원이 가장 오랜 것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등의 지리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보면 음성읍에는 서가섭사(西迦葉寺)와 용산리의 상봉악사(上鳳岳寺), 감우리의 성주사(聖住寺) 등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가섭사를 제외하고는 모두 그 자취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생골은 북쪽으로 윗생골과 큰골, 서쪽으로는 소여리, 남쪽으로는 신천리의 냇말과 각각 접하고 있다. 예전에 송사인(宋舍人)이 기거한 마을이라 하여 사인동(舍人洞)이라 부르기도 한다. 생골은 본래 음성군 동도면 사인동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용산리에 소속되어 음성면에 편입되었다가 음성읍이 되었다. 조선시대에 송사인...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음성(陰城). 자는 사장(士章), 호는 시각(柴閣). 조부는 지평 박정완(朴廷琓)이다. 아버지는 박장흠(朴長欽)이다. 박성한은 조선 정조 때에 성균관 유생으로 1801년 감제시(柑製試)에서 수석을 차지함으로써 바로 전시(殿試)를 보게 하였다. 이듬해 초시 문과(文科)의 병과(丙科)에 합격하여 벼슬이 헌납(獻納)에 이르렀다. 사랑과 절...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에 있는 산. 서쪽에는 보현산이, 북쪽에는 부용산이 있으며 동북쪽에는 가섭산이 있다. 사장산의 북쪽에는 사정이고개가 있고 동북쪽에는 숯고개(일명 숫고개, 탄현)가 있으며, 남쪽에는 기름고개(일명 유티)가 있다. 사정이고개의 북동사면의 물이 금왕읍 사정리를 거쳐 무극리의 무극저수지로 유입되며, 남동사면의 물은 사정이고개에서 새터를 거쳐 음성천으로 유입되고...
-
강당말마을 윗부분에 강당이 위치해 있으며 강당을 지나 마을이 끝나면 산자락 밑으로 밭들이 시작되는데 그 곳에 서서 동쪽으로 산비탈이 보이는데 이곳이 사장태이다. 사장태 지명에 대하여 마을 사람들은 조금씩 다르게 이야기하고 있다. 강당말 김장일 할아버지(37년생, 71세)는 “사장태라고 하는 것은 옛날 산사태가 많이 나서 그렇게 불렀다고 해”라고 이야기를 하였으며, 강당말 김두일...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 새터에서 사정리 강당으로 넘어가는 고개. 사정리는 본래 음성군 근서면 지역으로 모래우물이 있었으므로 모래물 또는 사정(沙丁, 沙井)이라 하였다. 사정리 동남쪽에 있는 고개라서 사정리의 이름에서 붙여졌다. 일명 사정티라고도 한다. 사장산[385m]의 서부에는 보현산(477m, 일명 성주산)이 있고 북쪽에는 부용산[644m]이 있으며, 동북쪽에는 가섭산[...
-
충청북도 음성군 읍성읍에 속하는 법정리. 모래물(사정)이 있으므로 모래물 또는 사정이 되었다. 본래 음성군 근서면(近西面)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강당리(講堂里)·내촌(內村)·벌대(筏垈)를 병합하여 사정리라 하였다. 1956년 7월 8일 음성면이 음성읍으로 승격되었다. 북쪽에는 부용산[644m]이, 남쪽에는 보현산[482m] 등이 있는 등 주변 지역이 대체로...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사정리에 있는 산제당. 사정리 산제당은 사정리 용대동에서 뒤쪽으로 0.5㎞ 떨어진 골짜기에 있다. 산제당은 가로 0.8m, 세로 0.6m인 자연석 제단으로, 제단 옆에는 볏짚 이엉으로 지은 높이 3m, 폭 2m의 원추형 움집이 있다. 움집은 제를 지내기 전 제관들이 머무는 곳으로, 제기를 보관해 두기도 한다. 제를 지내기 전에 생기복덕에 맞추어 제관 세 명을...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사정리에 있는 조선 전기의 석조 불상. 사정리 석조보살입상은 한 개의 화강암 괴석을 이용하여 전면에 불상을 고부조(高浮彫)하고 광배(光背)의 형태를 갖춘 모습이다. 육계 흔적이 없이 두건을 쓴 듯하며 두 귀를 크게 표현하였고 상호는 살진 모습이다. 상체는 둔중하며 옷주름으로 수인(手印)을 표현하였으나 구별하기 어렵고 하체는 무릎 아래쪽이 절단되어 그 형태를...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사정리 용대동에서 매년 음력 1월 7일에 지내는 산신제. 용대동은 강당말 동쪽에 있는 마을로 예전에 통쇠로 농기구를 만들었던 곳이라 하여 ‘퉁뱅이’라고도 불린다. 음성읍에서는 서북쪽으로 6㎞ 지점에 위치하며 사정이고개 아래에 있는 마을이다. 제당은 마을 뒤쪽으로 500m 정도 올라간 지점의 소나무가 우거진 골짜기에 있다. 일반 다른 마을의 제당과는 달리 볏짚...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 새터에서 사정리 강당으로 넘어가는 고개. 사정리는 본래 음성군 근서면 지역으로 모래우물이 있었으므로 모래물 또는 사정(沙丁, 沙井)이라 하였다. 사정리 동남쪽에 있는 고개라서 사정리의 이름에서 붙여졌다. 일명 사정티라고도 한다. 사장산[385m]의 서부에는 보현산(477m, 일명 성주산)이 있고 북쪽에는 부용산[644m]이 있으며, 동북쪽에는 가섭산[...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사정리 일대에 조성된 농업 용수 공급 저수지. 음성군 음성읍 사정리 벌터 앞의 저수지로 일명 사정저수지라고도 한다. 음성읍 사정리 무극저수지, 금왕읍 육령리 금석저수지, 금왕읍 백야리 용계저수지는 도수터널로 연결되어 있어 수면의 높이가 서로 같으며, 일명 음성군 삼형제저수지라고도 불린다. 이들 저수지는 낚시터들로 유명하다. 삼형제저수지의 몽리 면적은 초평천...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사정리 부용산에서 발원하여 사정리 무극저수지로 흐르는 하천. 부용산에서 발원하여 용대동, 강당말, 안말, 황새골 등에서 내려오는 물과 합쳐져 무극저수지(일명 사정저수지)로 유입된다. 무극저수지는 1981년에 축조된 것으로 부근의 육령저수지(일명 금석저수지)와 백야저수지(일명 용계저수지)와는 도수터널로 연결되어 있다. 오갑팔경의 하나로 ‘사정 골짜기의 나무꾼의...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 새터에서 사정리 강당으로 넘어가는 고개. 사정리는 본래 음성군 근서면 지역으로 모래우물이 있었으므로 모래물 또는 사정(沙丁, 沙井)이라 하였다. 사정리 동남쪽에 있는 고개라서 사정리의 이름에서 붙여졌다. 일명 사정티라고도 한다. 사장산[385m]의 서부에는 보현산(477m, 일명 성주산)이 있고 북쪽에는 부용산[644m]이 있으며, 동북쪽에는 가섭산[...
-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었던 조선시대 도로 이름. 충청북도 음성현 음성읍에서 북쪽으로 20리 지점에 있던 넓은 길로, 사정고개를 넘어 금목면(金目面)[지금의 금왕읍]으로 연결되었다. 옛날에는 대로였으나 지금은 겨우 사람이 지나갈 정도로 폭이 좁다. 『여지도서(輿地圖書)』의 충청도 음성현 도로조(道路條)에 ‘북사정현이십리대로(北沙丁峴二十里大路)’라고 기록되어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월정리에 있는 삼국시대의 무덤 유적. 월정리 돌무지무덤은 돌을 쌓아 올려서 널방[墓室]을 덮은 묘의 형식을 갖추었다. 돌무지무덤은 주로 석재가 풍부한 해안, 하천 부근, 산간지역 등에서 축조되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선사시대부터 역사시대인 고구려, 백제 초기까지 나타난다. 월정리 돌무지무덤은 그 일대가 능모랭이, 또는 뱀의 형상을 닮았다 하여 사주열이라 불리기...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안동. 자는 사중(思中). 아버지는 권돈(權墩)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행제리에서 출생하였다. 1735년(영조 11) 무과에 급제하여 비변사랑(備邊司郞)이 되고, 선전관·훈련원부정(訓鍊院副正)을 지냈다. 1743년(영조 19)에 가산군수를 하였고 이어 삼척군수·영광군수를 역임하고 경흥도호부사(慶興都護府使)를 지냈다. 묘소는 충청...
-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는 옛 절 터. 음성 지역에서 확인되는 사지(寺址)는 상당수가 있으나 기록에서 확인되는 것은 얼마 되지 않는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서가섭사 상봉악사 구재가섭산(西迦葉寺 上鳳岳寺 俱在迦葉山)”이라 하여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에서 확인되는 서가섭사지 곧 응진암지(應眞庵址)와 상봉악사지(上鳳岳寺址) 등이 확인된다. 1632년에 만들어진...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음성현감 이숭운의 선정비. 이숭운의 본관은 함평(咸平), 자는 사진(士鎭), 호는 존암(存庵)으로 서울 태생이다. 부친은 성균관사성 이수덕(李壽德)이다. 1759년(영조 35) 식년시 진사 3등 30위로 입격하였다. 1776년(정조 즉위년) 만녕전참봉(萬寧殿參奉)에 임명되었고, 이듬해 현릉참봉, 1781년(정조 5)에 음성현감으로 부...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불상을 모셔 놓고 공적으로 불교 신행을 행하는 장소. 음성 지역에서 확인되는 사찰로 그 연원이 가장 오랜 것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등의 지리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보면 음성읍에는 서가섭사(西迦葉寺)와 용산리의 상봉악사(上鳳岳寺), 감우리의 성주사(聖住寺) 등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가섭사를 제외하고는 모두 그 자취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조선시대에 사창이 있었으므로 마을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金目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사창리라 하여 금왕면에 편입되었다. 1973년 7월 1일 금왕면이 금왕읍으로 승격되었다. 서쪽 경계에 132m의 산과 남쪽의 안골에는 133m의 산이 있이 있으나 높은 편은 아...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에서 발원하여 덕정리를 지나 한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삼성면 양덕리에서 발원한 모래내는 덕정리를 지나 한천으로 유입되어 미호천으로 흘러가는 금강 수계이다. 하천 폭은 8m이고, 길이는 2.6㎞이며, 유역 면적은 2.36㎢이다. 모래내는 삼성면 덕정리 모래내(일명 사천, 장터, 수청바다)로 흐르고 있는 소하천이라서 붙여진 하천 이름이다. 일명 사천 또는...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삼용리와 음성읍 삼생리의 경계에 있는 산. 사향산 서쪽의 맹동면·원남면·음성읍의 경계에 암솔이 있고 암솔 북쪽에는 덕솔이 있다. 사향산의 북사면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물이 삼생리 부근에서 남류하여 삼용저수지에 유입되고 남사면의 물은 덕정리 앞에서 서류하여 삼용리의 삼용저수지로 유입된다. 사향산의 모든 산록에는 소나무 군락이 형성되어 있다. 사향산의 7부 능선에...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서예가. 본관은 진주, 자는 동진(東震), 호는 사헌(思軒)으로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노리 가곡에서 출생하여 61세에 사망하였다. 묘소는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노리 가곡에 있다. 유만형은 어려서 한문과 의학을 배웠으며 음성읍에서 만춘당 한약방을 경영하였다. 행서와 초서를 잘 썼고 1935년 평안남도 평양에서 열린 조선전도문인대회에 참가하여...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유학자.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사현(士賢), 호는 직당(直堂). 신숭겸(申崇謙)의 후손으로, 조부는 신태원(申泰元)이며, 아버지는 가정(稼亭) 신만균(申萬均)이다. 어머니는 함평이씨로 이설서(李卨緖)의 딸이다. 1869년(고종 6) 12월 8일 경기도 여주군 소곡리에서 출생하였다. 8세에 외종조 국포(菊圃) 이직서(李稷緖)에게 배웠으며 재...
-
충청북도 음성군 군민들이 삶을 영위하는 공간적 단위. 사회는 일정하게 설정된 영역 내에서 종교·가치관·규범·언어·문화 등을 상호 공유하고 특정한 제도와 조직을 형성하고 질서를 유지하면서 존속하는 인간 집단을 의미한다. 즉 사회는 문화와 제도 면에서 독창성을 지닌 공통의 이해를 기반으로 하는 개인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이다. 사회는 주로 민족, 국가, 문화와 지역 등에 의해 구분되기도...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시행되고 있는 국민의 생활 향상과 사회 보장을 위한 광범위한 사회 정책. 사회복지는 교육, 문화, 의료, 노동 등 사회 생활의 모든 분야에 관계하는 조직적인 개념으로 사회복지법, 생활보호법, 아동보호법 등의 법률에 기초를 두고 이루어진다. 한국의 사회보장기본법에서는 사회복지의 범주를 사회보험, 공공부조, 사회복지서비스, 관련 복지 제도로 대별하고 있다. 여기서...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사회 복지와 사회 봉사를 실천하기 위하여 설립된 조직이나 단체. 사회 복지는 그 사업의 담당 주체에 따라 크게 공공 영역과 민간 영역으로 나뉜다. 공공 영역의 사회 복지는 국가에서 시행하는 제반 사회 보장 제도를 말한다. 민간 영역의 사회 복지는 개인이나 민간 사회 단체들이 마련하여 시행하는 사회적 방책을 말한다. 사회 복지 단체는 주로 민간 영역의 사회 복지나...
-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는 사회 복지와 사회 봉사를 실천하기 위하여 설립된 시설. 사회 복지 시설은 넓은 의미로 사회복지관, 아동 보육 시설, 요양 시설, 장애인 복지 시설 등 전문 사회 복지 사업을 수행하는 장소뿐만 아니라 각종 복지 활동의 연락, 협의, 조직 등 광범위한 모든 제도와 활동을 총칭한다. 좁은 의미로는 요보호 대상자가 일정한 주거 시설 내에서 생활하도록 하여 사회 복지...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 변화나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전개되는 집단적 행동. 사회운동은 사회적 모순을 해결하려는 사람들이 기존의 자원 배분 상태·사회 규범·가치 체계의 변혁, 의식이나 사상의 개혁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조직적이고 집단적인 활동이다. 대부분의 사회운동은 노동운동·농민운동·여성운동·환경운동·인권운동 등과 같이 기존 사회 질서의 개량이나 변혁을...
-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에 있는 주변 평지보다 높이 솟아있는 지형. 음성군 중부의 노령산맥을 중심으로 북서부의 차령산맥, 남동부의 소백산맥, 중앙의 소속리산맥과 종지봉산맥 등이 있지만 음성군은 차령산맥에 치우쳐 있다. 1. 음성읍 1) 지형: 동쪽으로 가섭산[710m]과 수정산[393m]이 있고 서쪽으로는 소속리산[432m]·시향산·보덕산 등이 있다. 남쪽으로는 오성산(일명 가막산)이...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마을의 수호신인 산신에게 올리는 제사. 산제·산제사·산치성(山致誠) 등으로 일컫기도 하는 산신제는 보통 동제의 일환으로 행해진다. 예전의 산악 신앙이 변모된 형태로서, 현재는 마을 수호신에 대한 신앙으로 알려져 있다. 음성군은 충청북도 북부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곳으로 북서쪽의 차령산맥과 남동쪽의 소백산맥 사이에 있어 산간 지역이 비교적 많은 편인데, 이 때문에...
-
병암1리는 140년 전부터 매년 음력 정월 2일에 산신제를 지내왔다. 그래서인지 산신과 산제당에 대한 이야기가 많았다. 산신제 촬영을 위해 2월 19일에 마을을 찾아 갔는데, 제물로 올릴 돼지를 잡고 간단히 점심을 먹던 중 병암1리 마을 주민인 김현동 어른(54년생, 54세)과 안순일 어른(48년생, 60세)이 산신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었다. 병암1리에서 산신으로 호랑이를 모시고...
-
4월 9일 사정1리 용대동의 경주이씨 문중 이야기를 조사하기 위해 경주이씨 집안에서 제일 어른이라고 하는 마을의 이방우(27년생, 81세) 할아버지를 찾았다. 할아버지가 「용대동 산신제」와 「마을 지명 이야기」 등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 사이에 할아버지의 부인인 이경순 할머니와 마을의 강정순 할머니(29년생, 79세)가 들어와 앉아 이야기를 들으며 자신들의 생각을 보태기도 했다. 이...
-
희원 스님(57세)은 최봉락이란 사람이 땅속에 묻혀 있던 부처를 모시된 이야기에 이어 명안 스님이 미타사를 창건하게 된 과정에 대해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명안 스님은 최봉락 씨에 의해 땅 속에 묻혀 있다가 발견된 부처를 본 후, 다시 수덕사로 돌아가서 공부를 계속했지만 계속해서 비산리의 돌부처가 생각이 났다고 한다. 그래서 수덕사에서 도망치다시피 하여 다시 비산리로 와서 부처를...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마을의 수호신인 산신에게 올리는 제사. 산제·산제사·산치성(山致誠) 등으로 일컫기도 하는 산신제는 보통 동제의 일환으로 행해진다. 예전의 산악 신앙이 변모된 형태로서, 현재는 마을 수호신에 대한 신앙으로 알려져 있다. 음성군은 충청북도 북부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곳으로 북서쪽의 차령산맥과 남동쪽의 소백산맥 사이에 있어 산간 지역이 비교적 많은 편인데, 이 때문에...
-
① 제물 준비 밤 8시 12분에 산신제를 지낼 준비를 시작하였다. 깨끗하게 손을 씻고 떡을 찧을 준비를 하고 메 지을 쌀을 씻었다. 김영섭 제관은 제물로 올린 다시마를 튀기고 떡을 찧고 메를 짓기 시작했다. 오덕욱 할아버지는 산제당 안에서 제물 준비를 하였다. 준비 과정을 적어놓은 차례대로 그릇에 제물을 담았다. 모든 음식은 공양주인 김영섭 제관이 준비하고, 오덕욱 할아버지는 미리...
-
① 금줄치기 마을 사람들이 일어나기 전에 금줄을 쳐야 한다는 말을 듣고 새벽 일찍 마을에 찾아가니 금줄은 아직 쳐지지 않고 마을회관 앞에 준비되어 있었다. 6시쯤 되자 오덕욱 할아버지가 정갈한 모습으로 금줄을 치러 나왔다. 금줄은 총 3줄로, 끝과 끝을 묶어서 이었으며, 중간 중간에 하얀색 천이 끼워져 있었다. 금줄은 ‘부영건설중기’ 간판 오른쪽에 있는 골목에서 첫 번째 집에 고정...
-
2월 6일 조사팀이 사정1리를 방문했을 때 마을회관에는 보건소에서 교육을 나와 있어서 마을 어르신들을 만나 뵐 수 없었다. 대신 마을의 새마을 지도자를 맡고 있는 김두일(52년생, 56세) 어른과 함께 용대동 산제사를 올린다는 산제당으로 올라갔다. 용대동에서 안쪽으로 좀 더 이동하다 보면 오른쪽으로 큰 산이 보이는데, 그 아래로 소나무가 병풍처럼 둘러쳐 있는 곳이 산제당이다. 제단...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충도4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산직말은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충도리에서 서남쪽으로 6㎞ 지점에 위치하며, 마을 서쪽으로는 양촌, 북쪽으로는 윗볕돈과 각각 접하고 있다. 예전에 이 참봉네 산직이(산지기)가 살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충도리는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사이포면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도남리, 양전리에 해당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병암리 이진말에서 매년 음력 1월에 지내는 산신제. 이진말은 생극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2㎞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이진봉 아래 자리하고 있다. ‘이진말’이란 명칭은 임진왜란 때 이곳에 진을 친 곳이라는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산제당은 이진말 남쪽 2㎞ 지점인 이진봉 9부 능선 산제당골에 있다. 마을회관에서 약 1.5㎞ 거리에 있다. 당집은 시멘트 벽돌집으로...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마을의 수호신인 산신에게 올리는 제사. 산제·산제사·산치성(山致誠) 등으로 일컫기도 하는 산신제는 보통 동제의 일환으로 행해진다. 예전의 산악 신앙이 변모된 형태로서, 현재는 마을 수호신에 대한 신앙으로 알려져 있다. 음성군은 충청북도 북부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곳으로 북서쪽의 차령산맥과 남동쪽의 소백산맥 사이에 있어 산간 지역이 비교적 많은 편인데, 이 때문에...
-
병암1리 이진말에는 특별한 유형문화재는 남아있지 않다. 그러나 마을 사람들이 오랜 세월 동안 소중하게 지켜온 문화유산을 들자면 산제를 올려 온 장소인 산제당과 산제를 지낼 때 쓸 메를 짓는 새옹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 마을을 굽어보고 있는 이진봉에 형성된 이진봉산성과 임진왜란 때 음성에서 의병을 모아 싸우다 전사한 임란공신 장충범장군기념비가 있다. 이진말마을에서는 언제부...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병암리 이진말에서 매년 음력 1월에 지내는 산신제. 이진말은 생극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2㎞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이진봉 아래 자리하고 있다. ‘이진말’이란 명칭은 임진왜란 때 이곳에 진을 친 곳이라는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산제당은 이진말 남쪽 2㎞ 지점인 이진봉 9부 능선 산제당골에 있다. 마을회관에서 약 1.5㎞ 거리에 있다. 당집은 시멘트 벽돌집으로...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마을의 수호신인 산신에게 올리는 제사. 산제·산제사·산치성(山致誠) 등으로 일컫기도 하는 산신제는 보통 동제의 일환으로 행해진다. 예전의 산악 신앙이 변모된 형태로서, 현재는 마을 수호신에 대한 신앙으로 알려져 있다. 음성군은 충청북도 북부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곳으로 북서쪽의 차령산맥과 남동쪽의 소백산맥 사이에 있어 산간 지역이 비교적 많은 편인데, 이 때문에...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병암리 이진말에서 매년 음력 1월에 지내는 산신제. 이진말은 생극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2㎞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이진봉 아래 자리하고 있다. ‘이진말’이란 명칭은 임진왜란 때 이곳에 진을 친 곳이라는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산제당은 이진말 남쪽 2㎞ 지점인 이진봉 9부 능선 산제당골에 있다. 마을회관에서 약 1.5㎞ 거리에 있다. 당집은 시멘트 벽돌집으로...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충도4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산직말은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충도리에서 서남쪽으로 6㎞ 지점에 위치하며, 마을 서쪽으로는 양촌, 북쪽으로는 윗볕돈과 각각 접하고 있다. 예전에 이 참봉네 산직이(산지기)가 살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충도리는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사이포면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도남리, 양전리에 해당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향6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감곡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약 3㎞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서쪽으로는 이천시 장호원, 동쪽으로는 오궁리, 남쪽으로는 상평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옛날에 살구나무가 많아서 살구나무쟁이라 하였다. 지금의 김택진 가옥 근처에 큰 고목과 우물이 있었다. 주막(묵집·대포집)이 많았고, 장날이면 사람들의 왕래도 잦았다. 본래는 충주군 거곡...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삼호리에 있는 절연 금속 및 케이블 제조업체. (주)삼동은 절연 금속 및 케이블의 개발과 제조를 통해 기업 발전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일조하고자 설립되었다. 1977년 1월 삼동금속주식회사를 설립하여, 1983년 11월 15일 삼동전기금속공업사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1990년 11월 15일 주식회사 삼동법인 설립을 거쳐, 1992년 4월 1일과 12월 31일...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문암리에 있는 스피커 전문 제조업체. 세계 최고의 스피커 종합 전문 기업으로 우뚝 서기 위해 해외 각지의 판매 거점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최상의 고객 만족을 실현하는 글로벌 공급망 구축을 통해 기업의 이윤 추구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61년 12월 18일에 삼미기업주식회사로 설립되었고 1991년 4월에 삼미음향공학연구소(공업진흥청)를...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오생리에 있는 한과 제조업체. 삼보한과는 1994년 설립되었다. 전통 방식을 그대로 활용하여 순수 국내산 농산물로 만드는 전통 한과 제조를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다. 옛 방식으로 만드는 삼보한과의 제품은 방부제와 인공 색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전통의 맛을 그대로 재현하고 있다. 친환경 농업을 실천하는 농민들의 무농약 찹쌀과 현미, 밀가루 등을 사용하여 전통...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안동(安東).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초천리 148번지에서 김수홍(金壽洪)의 아들로 태어났다. 1919년 3월 27일 충청북도 음성읍 초천리에 있는 백양서당(栢陽書堂)에 다니던 정문영, 정대영, 최만득 등과 음성 장날에 맞춰 시위를 벌였고, 3월 28일에도 음성시장에서 시위를 하였다. 4월 6일 밤 산 위에서 약 5백여 명의 군...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에 속하는 법정리. 한삼리와 봉계리에서 ‘삼’ 자와 ‘봉’ 자, 각 한 글자씩을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金目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증산리(曾山里)·정단리(丁丹里)·봉계리(鳳溪里)·한삼리(閑三里) 일부와 맹동면 개현리 일부를 병합하여 삼봉리라 하여 금왕면에 편입되었다. 1973년...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삼생리에 있는 산. 삼봉산은 세 개의 산봉우리가 나란히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남쪽으로는 원남면 삼용리와의 경계에 사향산이 있고 멀리 남동쪽의 원남면 상당리 북쪽에는 큰산이 있다. 삼봉산에는 작은 굴이 있는데, 이 굴을 호랑이굴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곳에서 불을 지피면 원남면 삼용리의 용댕이 뒷산 쪽으로 연기가 나온다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북사면에서 흘러...
-
목영학 할아버지는 태어나는 해에 새목이로 이사를 와서 현재까지 살고 있다. 할아버지는 노래를 평상시 즐겨 부르시며 6·25시절에 임을 생각하며 작사·작곡한 곡까지 구수하게 들려주었다. 농사를 지면서 부르던 노동요, 제주도 훈련소 시절의 군가, 임을 생각하며 작사·작곡한 노래를 불러 주었다. 목영학 할아버지는 술이 있다면 더 노래가 잘 나올 것 같다며 술을 한 잔 먹고 마루에 놓인...
-
충청북도 음성군 읍성읍에 속하는 법정리. 본래 음성군 근서면(近西面) 지역으로 삼싱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동음리(冬音里) 일부와 맹동면의 중삼리 일부를 병합하여 삼생리가 되었다. 1956년 7월 8일 음성면이 읍성읍으로 승격되었다. 남쪽에 사향산[345m]이 있으며 지형이 200~500m 내외로 높게 형성되어 있다. 동음리에서 내려온 물과 초천리에서 내려온...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삼생리에 있는 조선 후기 백자가마 터. 삼생리 안슴이 초입에서 오른쪽으로 난 길을 따라 산을 끼고 돌면 사기장골이라 부르는 골짜기가 나타나는데, 이곳이 백자가마 터이다. 가마 터 주변은 삼밭으로 이용되고 있고, 백자가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지역은 삼밭의 산 쪽 윗부분과 아래쪽이다. 지표 조사만 실시된 유적지라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기 어려우나 굴식 가마가 있었던...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삼생리에 있는 고려시대 또는 조선시대의 유물산포지. 음성읍 삼생리는 원남면과 경계를 이루며, 원래는 삼산(三山)이라 했는데 이곳에 거주하면 3번의 죽을 고비를 넘긴다는 전설로 인해 삼생(三生)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이 마을에는 충신 장충범의 정려와 청주이씨의 열녀문 등이 있다. 삼생리 유물산포지는 장충범의 정려각 주변 야산의 동남 사면 기슭 나대지로 정려각의...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주봉리 백마산의 백마굴 우측에 있는 바위. 백마산[465m]은 근방의 중산(衆山)들이 모두 백마산을 보고 엎드려 절하는 형상으로서 중산들의 조종(祖宗)이 되는 산으로 여겨진다. 백마산 정상 부근에는 암석군이 있는데 모양에 따라 상촉암·관모암·장수암·군반암·상좌바위·범바위·매바위·쌍동바위 등이 있으며, 수석이 매우 기묘하다. 삼선암의 좌측에는 관모암(冠帽岩)이...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상곡리에 있는 농공 단지. 삼성농공단지에는 환경 파괴 위험이 있는 공해 배출 산업의 경우 환경부의 승인 없이는 입주할 수 없으며 그 밖의 화학, 제약 등 모든 업종이 입주 대상이 된다. 삼성농공단지에 입주한 업체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가 금융과 기술 지원을 해 주고 세금을 감면해 주는 등 다른 공단보다 많은 혜택을 주고 있다. 1983년 말에 제정되어, 19...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리에 있는 단위 농업협동조합. ‘신토불이(身土不二)’라는 슬로건 아래 농민을 지원하기 위한 농업 단체로 조합 활동을 통한 조합원의 권익 확보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9년 2월 1일에 설립되었다. 하나로 마트 및 조합 은행을 운영하고 있으며 조합 은행에서는 입·출금 업무, 대출 업무 등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2016...
-
충청북도 음성군에 속하는 행정면. 대조곡면·천기면·두의곡면 등 세 개의 면으로 이루어졌다고 하여 삼성면이라고 하였다. 본래 충주군 지역으로서 가래실의 이름을 따서 지내면이라 하여 금정·덕지·가동·가서·성산·원하·원동·가산·소천 등 14개 동·리를 관할하다가 1906년 지방 행정구역 정리에 의하여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충주군 천기면의 송선·신대·금정·...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리에 있는 체육 단체. 지역 체육회의 발족으로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면민 화합을 도모함과 더불어 우수 선수 발굴 및 지도·육성을 통해 삼성면의 체육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3년 삼성면 체육회가 창립되면서 초대 회장에는 강재석(姜在錫)이 취임하였다. 그후 회장에는 제2대 박제국(朴濟國)[1985~1988], 제3대 방대식(方...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리에 있는 음성군의 하부 행정 기관. 삼성면은 동쪽으로는 경기도 이천시와 안성시, 서쪽으로는 진천군 광혜원면, 남쪽으로는 대소면, 북쪽으로는 이천시 장호원읍과 각각 경계를 이루고 있다. 2020년 7월 31일 현재 면적은 총 50.6㎢으로 군 전체면적의 9.7%이고 총 인구 3,851세대 8,658명(남 5,283명, 여 3,375명)이다. 행정 구역은...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리에 있는 시외버스 정류소. 음성군 삼성면 지역 주민들의 대중 교통 수단의 편리성을 위해 1960년대 중반부터 시외버스 공동 정류소 면허를 받아 영업하고 있다. 삼성버스정류소의 대지 면적은 약 1,600㎡이고, 건축 면적은 약 500㎡이다. 2007년 7월 통계로 1일 시외버스 운행 대수는 51대이며, 목적지별 운행 노선 빈도는 충청북도 청주시가 15회로...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리에 있는 천주교 청주교구 소속 성당. 삼성성당의 주보성인은 성 마티아 사도이며, 성 마티아 성당으로도 불린다.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과 대소면 지역에 천주교의 복음을 전달하고 미사 집전을 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삼성성당은 본래 청주교구 소속의 무극공소였다가 1991년 6월 29일 본당으로 승격되었으며 초대 오웅진 신부가 부임하였다. 제2대 주임신부인 가...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리에 있는 우편·체신·금융을 담당하는 기관. 우체국은 국장의 지위에 따라서 4급(서기관국), 5급(사무관국), 6급(주사국), 7급(주사보국)으로 분류되거나 기능에 따라서 체신청, 우편집중국, 집배국, 무집배국으로도 분류된다. 또한 설립 주체에 따라 일반우체국, 별정우체국, 우편취급소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4급우체국과 5급우체국은 총괄국으로서 기초자치...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1리에 있는 재래 시장. 덕정장이 열리는 지역의 명칭에 따라 삼성장 또는 모래내장이라고도 한다. 모래내는 장터 북쪽에 있던 마을로 지금은 장터와 수청바다 등의 마을이 모두 합쳐져 행정구역상으로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1리에 속한다. 덕정장에 관한 기록이 조선 후기의 각종 문헌과 지도에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1930년대 초에 장시가 열렸던 것으로 추...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실천 위주의 인성 교육을 통하여 건전한 가치관을 지닌 도덕인, 체험 위주의 교육활동을 통하여 새로움에 도전하는 창조인, 학생 중심의 자치 활동을 통하여 미래를 개척하는 자주인, 1인 1기의 생활 체육 활동을 통하여 삶의 질을 높이는 건강인, 세계화·정보화 교육을 통하여 21세기를 주도하는 실력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 스스로 탐구하는 어린이, 소질을 계발하는 어린이, 건강을 증진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19년 3·1운동 당시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과 대소면 주민들도 대대적으로 3·1운동에 참여하였다. 우리 민족의 독립을 염원하는 주민들의 의지와 기상은 3·1운동에 그치지 않고 후손들에게 신학문을...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효백(孝伯), 호는 삼소헌(三笑軒). 선무공신 고응연(高應淵)의 9세손이고, 아버지는 고우한(高羽漢)이며, 어머니는 순천박씨이다. 고봉래(高鳳來)는 품성이 온화하였으며, 12세에 학문에 몰두하여 몇 년 만에 문리(文理)에 통달하였다. 17세가 되면서는 낮에는 밭을 갈고 밤에는 글을 읽었다. 후학을 가르치니 문하에서 많은...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리에 있는 산. 삼신산 남쪽으로 큰 삼실, 작은 삼실이 있고 하당저수지 골짜기와 함께 세 골짜기라 하여 ‘삼실이’라고도 불렸다. 삼실산(三實山)은 삼실이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세 봉우리로 되어 있어 산의 모양이 얼레빗처럼 생겼다고 한다. 하당저수지에서 음성읍 조천리 밤나무재로 넘어가는 곳에 삼실고개가 있다. 하당저수지는 풋내고개 아래의 음성읍 신천리 주주...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리에 있는 산. 삼신산 남쪽으로 큰 삼실, 작은 삼실이 있고 하당저수지 골짜기와 함께 세 골짜기라 하여 ‘삼실이’라고도 불렸다. 삼실산(三實山)은 삼실이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세 봉우리로 되어 있어 산의 모양이 얼레빗처럼 생겼다고 한다. 하당저수지에서 음성읍 조천리 밤나무재로 넘어가는 곳에 삼실고개가 있다. 하당저수지는 풋내고개 아래의 음성읍 신천리 주주...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한양. 자는 탁이(卓爾), 호는 삼외옹(三畏翁). 아버지는 조변(趙卞)이다. 1605년(선조 38)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유촌리 가평(가래들)에서 출생하였다. 황실해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성품이 온아하고 효성이 지극하였다. 아버지가 병석에 눕자 향을 피우고 아버지 대신 죽기를 하늘에 빌었으며, 대변을 맛보아 가며 아버지를 정성껏...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에 속하는 행정리. 세 가닥의 산의 내용(來龍)이 어울린 곳에 마을이 있다고 하여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음성군 원서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음성군 근서면 삼생동 일부와 맹동면의 단월동·하삼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삼용리라 하여 원남면에 편입되었다. 새터 뒤에는 마을에서 기우제를 지내는 국수봉이 있고 물언덕 뒤에는 왕자봉이 있으며...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삼용리 일대에 조성된 농업 용수 공급 저수지. 음성군 맹동면 통동리와 군자리 일대의 통동리 저수지는 맹동 1댐이고, 음성군 원남면 삼용리의 삼용저수지는 맹동 2댐이라고 부르고 있다. 통동리 저수지와 삼용저수지를 합쳐 맹동저수지라고 한다. 맹동 1댐은 음성군 맹동면 통동리 일대에 건설된 댐으로 하류 개발과 소속리산을 관통시켜 맹동면 서부 지역의 관개 용수원을...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류1리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1984년 7월 (주)우림산업을 설립하였고, 2002년 12월 (주)세원으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2006년 1월 (주)삼우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주)삼우는 자동차(트럭·버스용) 휠 전문 제조업체로서 점차 규모가 커지고 있는 자동차 시장의 글로벌 경쟁시대에 대응하기 위하여 보다 나은 안정성과 내구성 강화 및 경량화를...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음력 1월에 액운을 막고 한 해의 복을 비는 풍속. 복조리 달기, 토정비결 보기, 세화그리기·붙이기, 대문에 엄나무가지 매달기, 머리카락 태우기, 지신밟기 등과 같이 정초(正初)에 복을 비는 민간신앙 형태의 풍속이다. 삼재(三災)라는 것은 수재(水災), 화재(火災), 풍재(風災) 또는 병란(兵亂), 질역(疾疫), 기근(饑饉)을 말한다. 삼재법이란 뱀[巳], 닭[...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에 속하는 행정리. 삼한리의 ‘삼’자와 정곡리에서의 ‘정’자의 각 한 글자씩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대조면(大鳥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백금리(白金里)와 삼한리(三閑里)·오산리(梧山里)·정곡리(井谷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삼정리라 하여 대소면에 편입되었다. 동쪽에 111m의 산이 있으...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에 있는 식품 향료 제조공장. 삼정향료는 식품의 고유한 향기와 맛을 위해 식품 향료를 전문적으로 연구·개발함으로써 기업의 이윤 추구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삼정향료는 천연 및 혼합조제 조미료 전문 제조업체로서 안전한 식품 첨가물, 조미료, 향료를 제조·판매하고 있다. 1985년 밀크향을 개발하여 대만 Lee Vuan Chemical...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세고개는 원남면 소재지에서 서쪽에 위치한 조촌리의 남부 끝 지역에 있는 자연 마을이다. 세고개 밑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삼티라고 부르기도 한다. 본래 음성군 원서면 삼기동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조촌리에 포함되어 원남면에 편입되었다. 오래전부터 신안주씨가 마을을 이루고 살면서 문곡영당이란 사당...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공하(公夏), 호는 삼평와(三平窩). 현감 박경진(朴敬鎭)의 아들이다. 박재순은 1774년(영조 50) 37세에 생원시에 합격한 이후 1783년(정조 7) 46세에 식년 병과 문과로 급제하여 수찬(修撰)·응교(應敎)·좌승지(左承旨) 등 여러 관직을 거쳤다. 그 후 1790년(정조 14)에 공조참판에 이르렀다. 박재순이 쓴 책으로 『삼평...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내송리에 있는 건축용 및 공업용 동관 제조업체. 건축용 동관과 공업용 동관의 일괄 생산 체제를 구축하여 국내의 유수한 건설업체 및 가전업체와 해외의 바이어들로부터 품질과 신용을 인정받음으로써 기업의 이윤 추구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77년 6월 17일 삼포산업(주)을 설립하였으며, 1995년 7월 충북 음성의 (주)구리금속을 인수하여...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삼정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대소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약 4㎞ 지점인 삼정리 중앙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소석리, 서쪽으로는 삼호리, 남쪽으로는 미곡리, 북쪽으로는 오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옛날에 난리를 세 번 피할 수 있다는 풍수지리설에 의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대조곡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고종 43) 음성군에 편...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에 있는 (주)삼현의 타일 제조공장. (주)삼현은 1979년 붉은 벽돌 생산을 시작한 이래, 1987년 자기질 바닥 타일 및 도기질 타일 생산에 이르기까지 건축 자재를 중심으로 한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는 건축 관련 제품 생산업체이다. 기업 활동을 통한 이윤 창출과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1985년 전자동 바닥 타일...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에 속하는 행정리. 오삼리의 ‘삼’자와 연호리에서의 ‘호’자 각 한 글자씩을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사다면(沙多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오삼리(五三里)·연호리(宴湖里)·소죽리(小竹里)·우두리(牛頭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삼호리라 하여 대소면에 편입되었다. 동쪽으로 미호천이 남북 방향으...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에 속하는 행정리. 천기면의 위쪽이 되므로 웃골 또는 상곡이라 하여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천기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점동을 병합하고 상곡리라 하여 삼성면에 편입되었다. 윗점골 동쪽에는 백운산[345m]이 있으며, 고개는 구실고개·광대고개·신티고개·펭길고개 등이 있다. 상곡1리의 버름천이 청룡...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에 속하는 행정리. 노라기 위쪽에 있으므로 웃노라기 또는 상노라기·상노동이 되었다. 본래 음성군 남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노리라 하여 원남면에 편입되었다. 괴산군 소수면 옥현리와의 경계에는 오대산[400m]이 있고, 천복동 서쪽에는 두렁산이, 노래기 남쪽에는 시루봉 등이 있다. 주요 고개로는 서당고개와 강당고개·큰고개·토옥고개(돗고개...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에 있는 수령 약 250년과 150년의 보호수.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이며, 길이는 2~12㎝, 폭은 1~5㎝이고 표면은 매우 거칠거칠하며 끝이 점차 뾰족해진다. 나무는 총 11그루로 되어 있는데, 상노리 303번지에 있는 느티나무는 수령이 약 250년으로 높이는 10m이며, 둘레는 4.0m이다. 상노리 307번지에 있는 느티나무는...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의 돌칼. 무기인 돌칼은 칼자루를 나무에 끼워 쓰는 슴베식인 유경식(有莖式)과 몸체와 자루가 일체형의 자루식인 유병식(有柄式)으로 나뉘고, 유병식은 다시 홈 수에 따라 일단병식(一段柄式)과 이단병식(二段柄式)으로 나누어진다. 석검은 과거에는 세형동검(細形銅劍)을 모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보았으나 지금은 세형동검 출현 이전에 만들어진...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의 돌화살촉.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 노래기 뒷산에서 발견되어 국립청주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청동기시대의 돌화살촉은 신석기시대에 비하여 그 형식이 다양하고 지역에 따라 다른 형식이 출토되고 있다. 돌화살촉은 모두 10점이 출토되었는데 유엽형의 화살촉이 4점, 슴베 달린 화살촉이 5점, 소형 화살촉이 1점이다. 돌화살촉의...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당골 위쪽에 위치하고 있어 웃당골 또는 상당동이라 불린다. 본래 음성군 남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당리라 하여 음성군 원남면에 편입되었다. 상당2리에는 모래봉[509m]이 있으며 상당1리에서 마송리로 넘어가는 행치고개(일명 한금령)를 비롯하여 상당리에는 구렁고개, 목날고개, 삼실고개, 재너머고개 등이 있...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당골 위쪽에 위치하고 있어 웃당골 또는 상당동이라 불린다. 본래 음성군 남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당리라 하여 음성군 원남면에 편입되었다. 상당2리에는 모래봉[509m]이 있으며 상당1리에서 마송리로 넘어가는 행치고개(일명 한금령)를 비롯하여 상당리에는 구렁고개, 목날고개, 삼실고개, 재너머고개 등이 있...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당리 윗행치에 있는 산제당. 상당리 산제당은 상당리 윗행치 뒷산에 있다. 산제당은 가로 1.3m, 세로 0.8m인 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산제당 아래로 약 20m 떨어진 곳에 높이 2m, 넓이 3.5m, 폭 2.5m인 슬레이트 지붕의 산신각이 있다. 산제당 주위에는 구정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다. 산신제를 지내는 해에는 음력 동짓달 열흘 안에 택일을 하고,...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당리 윗행치에서 음력 11월 산신에게 올리는 제의. 산제당은 윗행치 뒷산 산제당골이라 부르는 곳에, 슬레이트 지붕에 콘크리트 벽체의 2칸으로 되어 있다. 산신각이라고도 한다. 상당리 윗행치 산신제는 3년에 한 번 음력 동짓달 열흘 안에 날을 잡아서 저녁 9~10시쯤 지낸다. 제관은 생기복덕(生氣福德)을 따져 제관, 축관, 공양주 3명을 선출한다. 제물은 소...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도청리에 있는 정규영·정인상 부자와 현풍곽씨의 효열비를 보관한 비각. 1969년 성균관 유림에서 추천하여 1970년과 1978년에 세워졌다. 비각은 전면 1칸 반, 측면 1칸, 겹처마 팔작지붕의 목조 기와집으로 전후좌우 네 개 면을 홍살로 막았다. 둘레에는 적색 벽돌담을 쌓고 앞면에 철제 대문이 세워져 있다. 비각의 앞 처마에는 한자로 ‘상모각(常慕閣)’이라...
-
요즘은 아프면 즉시 병원에 데려가지만 예전에는 그저 신에게 빌고 하면서 기도를 했다고 한다. 예전에 오덕욱 할아버지가 초상집에 갔다 와서 몸이 많이 아픈 적이 있었다. 감기 걸린 것 마냥 으실으실 거렸다. 이웃의 나이 든 할머니에게 물어보니 상문살이 껴서 그런 거니까 풀어내야 한다고 했다. 그 이웃집 할머니는 팥죽을 써서 바가지에다 넣고 칼로 방문을 박박 긁고, 콩하고 팥하고 문에...
-
오덕욱 할아버지에 이어 이번에는 다섯째 딸이 또 상문살이 들었었다고 한다. 다섯째 딸이 태어나고 얼마 안 되서 당숙모가 돌아가셔서 장례 지낸 건하고 행장하고 뜯어서 보자기로 쓰려고 집에다 뒀는데 그때부터 애기가 젖을 먹지 않았다. 젖을 자꾸 외면하고 병원에 가보니 애기가 똥을 못 눠서 그런 거라고 했다. 병원에서 주사를 맞고 똥을 눴는데도 애기가 계속 젖을 안 먹어서 시어머니가...
-
또 한 번은 오덕욱 어른의 아버님이 친척 아주머니 돌아가셨을 때 만장기를 가지고 왔는데, 하우스에 쓴다고 화장실에 갔다 놨는데 그때부터 아버님 손이 가시에 찔린 것처럼 부었다고 한다. 그래서 병원에 가보자 하니깐 찢을까봐 겁나서 싫고 약만 사다 드셨다고 한다. 약을 먹으면 잠시 가라앉고 또 며칠 뒤에 다시 부어오르곤 했다. 그래서 무당한테 물어보니 상문살 때문이라고 해서 팥죽을 끓...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백야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금왕읍 소재지에서 약 8㎞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은 음성읍 사정리, 서쪽은 봉곡리, 남쪽은 동음리, 북쪽은 무극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백야리에서 가장 위에 있어 웃배태라고 한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촌·하촌·속리에 편입되었다가 1973년 7월 1일 금왕...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에 있는 고려 후기의 절터. 상봉악사의 연혁은 알 수 없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서가섭사와 더불어 가섭산에서 운영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호서승람(湖西勝覽)』이나 『여지도서(輿地圖書)』에는 언급이 없고, 조선 말기의 『호서읍지(湖西邑誌)』에는 이미 폐사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1942년 간행된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에는...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탑 부재. 상봉악사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사찰이 운영되었던 기록이 보이며 조선 말기에 간행된 읍지에는 폐사된 것으로 나와 있다. 가섭산 서쪽의 속칭 봉학골 기슭에 상봉악사의 터가 남아 있다. 상봉악사 주건물지 동쪽 끝부분에 석탑 부재가 흩어져 있다. 현재 4개가 확인되는데 화강암으로 조성한 소형 석탑의 일부 부재...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사곡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웃사장골은 감곡면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약 7㎞ 지점에 위치한 사곡1리의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충주시 앙성면이 자리 잡고 있고, 서쪽으로는 오궁리, 남쪽으로는 원통산, 북쪽으로는 문촌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웃사장골은 원통산의 제일 높은 봉우리 아래쪽에 있는 모래봉의 동쪽에 아래사장골과 함께 자리 잡고 있는데, 아래사장골보다...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리를 목적으로 한 물품 매매업. 상업은 넓은 의미로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재화의 사회적 유통 활동을 지칭한다. 따라서 사회적 유통 활동을 촉진·조성하는 금융업, 운송업, 보험업, 창고업 등도 넓은 의미로는 상업에 포함된다. 그러나 좁은 의미에서의 상업은 단지 상인의 영리 목적에 의해서 행하여지는 재화의 매매 활동만을 지칭한다...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문촌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웃오갑은 감곡면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약 7㎞ 지점에 위치한 문촌1리의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충주시 앙성면이 자리잡고 있고, 서쪽으로는 상우리, 남쪽으로는 사곡리, 북쪽으로는 오갑산과 접하여 있다. 오갑산 바로 밑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웃오갑, 또는 상오갑(上梧甲)이라고 불렀다. 아래오갑은 오궁리에 속해 있다. 본래는 충주군...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에 속하는 행정리. 상아리의 ‘상’자와 석우리의 ‘우’자, 각 한 글자씩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거곡면(巨谷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아리(上牙里)·하아리(下牙里)·석우리(石隅里)를 병합하여 상우리라 하여 감곡면에 편입되었다. 북부에 오갑산[609.4m] 등이 있어 대부분 지역이 높게...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음력 1월 15일을 전후해 행해지는 놀이와 풍습. 대보름은 설과 함께 1월의 큰 명절 중의 하나로 설 다음에 오는 명절이다. 상원(上元)이라고도 하였으며, 정초 명절이 끝나는 시기이다. 대보름에는 다양한 민속과 풍속이 전해지는데, 이는 음성과 같이 전통적으로 농업을 위주로 한 지역에서는 한 해 농사를 시작하기 위한 준비로 이해되기도 한다. 지금은 이러한 전승되는...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동음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에서 서쪽으로 약 6㎞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은 신천리와 소여리, 서쪽은 맹동면, 남쪽은 삼생리, 북쪽으로는 감우리 보현산과 각각 접하고 있다. 조선시대 음성현의 사창(社倉)이 있어 창골이라 했다. 또한 일제강점기에 금광을 할 때 발파를 하기 위한 탄약창이 있어 창골이라고도 했다. 창골의 맨 윗마을이라 윗창골이라 부른다. 본...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중동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소이면 소재지에서 동남쪽으로 약 6㎞ 지점인 중동리 동남부 지역에 위치하는 마을이다. 동쪽으로 건너말, 북쪽으로 중말, 남쪽으로 용지저수지와 각각 접하고 있다. 중동리 위쪽에 위치한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충주군 소파면의 중심지로서 면사무소가 있었으므로 소파 또는 중동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오상동과 중...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백야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금왕읍 소재지에서 약 8㎞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은 음성읍 사정리, 서쪽은 봉곡리, 남쪽은 동음리, 북쪽은 무극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백야리에서 가장 위에 있어 웃배태라고 한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촌·하촌·속리에 편입되었다가 1973년 7월 1일 금왕...
-
충청북도 음성군의 지천서원에 배향된 고려 후기 문신. 본관은 경주. 자는 순중(純仲), 호는 상촌(桑村). 검교태자태사 김인관(金仁琯)의 8세손이다. 조부는 삼사부사 김영백(金英伯), 아버지는 통례문부사 김오(金珸)이다. 부인은 안동권씨로 낭장 권수(權隨)의 딸이다. 아들은 평양소윤 김근(金根)이고, 사위는 중랑장 권후(權厚)이다. 김영유(金永濡)가 손자이며 십청헌 김세필(金世弼)...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에 속하는 행정리. 상촌리의 ‘상’자와 성평리의 ‘평’자 각 한 글자씩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감미곡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덕동·성평리·상촌리·공산리·외주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상평리라 하여 감곡면에 편입되었다. 마을을 사이에 두고 남쪽과 북쪽이 200~300m의 산으로 되어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상평리에 있는 안동김씨 문중의 입향조 김진강(金震綱)의 사당. 사당은 문중 조상의 제사를 지내기 위해 마련한 공간으로 보통 위패를 모실 수 있도록 건축된다. 상평리 숭모재는 1922년 안동김씨 문중에서 음성으로의 입향조인 김진강의 제사를 위해 마련한 공간이다. 충청북도 충주시에서 노은면을 지나 성황고개를 넘어서면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월정리가 되고 그 다음...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5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에서 서쪽으로 1㎞ 지점인 남동부 끝부분 지역에 위치해 있는 마을이다. 동북쪽으로 돌명이, 서북쪽으로 찬샘이뜰과 각각 접하고 있다. 1975년 새마을운동 주택 개량 사업의 일환으로 개량 주택 20호가 집단 이주하여 생긴 마을이라 하여 새동네라는 이름이 지어졌다. 본래 동도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통폐...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 읍사무소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1㎞ 지점에 있으며, 신천1리 중북부 지역에 자리를 잡고 있다. 마을 남쪽으로 점말과 주막거리, 서쪽으로 냇말, 북쪽으로 생골과 각각 접하고 있다.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새터말, 새동네라고 불린다. 본래 동도면 신대리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군내면 신천리에 편입되었...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신양리 중서부 지역에 위치하며 마을 서쪽으로 팔성리, 북쪽으로 서황당 및 다농개와 각각 접하고 있다. 6·25전쟁 때 마을이 파괴되어 지금의 자리에 마을이 새로 형성되어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생동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평리·신창리·양곤리 일부를 병합하...
-
이진말에는 예전부터 대대로 살아오던 마을 사람들과 새로이 조성된 문화마을 사람들이 한데 어울려 마을 살림을 이끌어가고 있다. 문화마을 조성은 1999년 9월 30일 2000년 문화마을 사업지구로 선정되어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시행계획이 승인되었으며, 2000년 12월 26일 착공하여 2002년10월 31일에 준공하였다. 이진말 문화마을은 면적이 62,381㎡이며, 조성사업비로 지방...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5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에서 서쪽으로 1㎞ 지점인 남동부 끝부분 지역에 위치해 있는 마을이다. 동북쪽으로 돌명이, 서북쪽으로 찬샘이뜰과 각각 접하고 있다. 1975년 새마을운동 주택 개량 사업의 일환으로 개량 주택 20호가 집단 이주하여 생긴 마을이라 하여 새동네라는 이름이 지어졌다. 본래 동도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통폐...
-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는 새마을금고법에 의거하여 설립·운영되는 금융 기관. 새마을금고는 신용협동조합법이 제정되기 이전인 1963년 재건 국민 운동의 향토 개발 사업으로 시작되었다. 우리 민족 고유의 품앗이, 두레, 계, 향약 등에서 나타나는 상부상조 정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상호 유대를 가진 사람들이 협동 조직체를 만들고 자금을 조성하여 시작한 단체로 경상남도 의령군에 설립된 정...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새마을운동중앙회 충청북도 지부의 산하 단체. 새마을운동은 근면, 자조, 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생활 환경을 개선하고 소득을 증대하며 국민 정신을 계발하여 잘사는 마을, 건전한 사회, 부유한 나라를 건설하려는 운동이다. 1998년 12월 8일 전국새마을지도자대회에서 새마을 지도자들은 생활의식 개혁, 소비 절약 운동, 환경 보존 운동에 중점을 두어...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구안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원남면 구안리 북쪽에 있는 마을로 남쪽으로는 돌담거리, 동남쪽으로는 큰말과 각각 접하고 있다. 구안리 큰말 서북쪽에 새로이 생긴 마을이라 하여 신촌(新村), 새말이라 불린다. 본래 음성군 남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구안리로 이름이 변경되어 원남면에 편입되었다. 마을 남쪽으로 충청북도 괴산군 소...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약방말 동쪽에 새로이 조성된 마을로, 무극리 동북부 지역에 위치한다. 동쪽으로 금석리, 서쪽으로 응천과 각각 접하고 있다. 바래미산 동북쪽에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고종 43) 음성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반의리와 금곡리의 일부를...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비산4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소이면 소재지에서 북서쪽으로 약 3㎞ 지점인 비산리 중부 지역에 위치하는 마을이다. 동쪽으로 오랫말, 서쪽으로 비선거리, 동남쪽으로 대장리 장막산과 각각 접하고 있다. 비선거리 동남쪽에 새로 생긴 마을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사이포면 조돈촌리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비산리에 속하게 되면서 소이면...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석인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에서 동쪽으로 약 2㎞ 지점인 석인리 중앙에 위치한다. 동쪽으로는 원충이, 서쪽으로는 평곡리, 남쪽으로는 음성천, 북쪽으로는 비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원충이 서쪽에 새로 형성된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음성군 동도면 지역으로 사람의 모양을 한 자연석이 있어 석인동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신돈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신돈리 남쪽 지역에 위치한다. 남쪽으로는 진천군 덕산면 용몽리, 북쪽으로 신돈, 하돈과 각각 접하고 있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 신돈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신돈리에 속하게 된 후 맹동면에 편입되었다. 새말은 큰말과 함께 하돈에 속한 지역으로 마을이 없었는데, 몇 가구가 옮겨...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비산4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소이면 소재지에서 북서쪽으로 약 3㎞ 지점인 비산리 중부 지역에 위치하는 마을이다. 동쪽으로 오랫말, 서쪽으로 비선거리, 동남쪽으로 대장리 장막산과 각각 접하고 있다. 비선거리 동남쪽에 새로 생긴 마을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사이포면 조돈촌리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비산리에 속하게 되면서 소이면...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태생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태생리 북쪽 지역에 위치하는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소천곡, 남쪽으로 밤나무골, 서쪽으로 안산과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 앞에 큰 샘이 있었던 까닭에 처음에는 샘이슬이라 부르다가 훗날 샘이실, 새미실이라 하였다고 한다. 본래 충주군 대조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생동, 태티리...
-
새옹이란 이진말 산신제에서 메(밥)를 짓는 제기인 솥을 부르는 이름이다. 새옹은 본래 따뜻할 때 솥 채로 올리는 밥그릇으로 주로 사찰에서 많이 이용하고 당제(堂祭)나 무의(巫儀) 등의 행사 때 밥을 올리는 그릇으로 쓰는 제기(祭器)이다. 이진말 산신제에서 쓰는 새옹은 일반적인 새옹과 마찬가지로 솥 밑이 평평하며 다리가 달려 있지 않고, 배가 부르지 않으며, 솥 윗부분의 둘레에는...
-
문촌3리는 마을의 형상이 마치 새의 목 모양을 닮았다고 하여 새목이라고 불리며, 까마귀가 밥을 먹는 모양을 닮은 곳이라고도 한다. 새목이마을은 마을회관 뒤로 마을이 세 갈래 길로 나뉘어 형성되어 있다. 마을회관 왼편으로는 ‘신새목’이라 부르는 마을이 있으며, 마을이 새로 생겨 신새목이라 부른다고 한다. 마을회관을 끼고 난 길에도 마을이 있다. 이 마을은 ‘문암, 문암동’이라고 부...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새천이 또는 신창리(新昌里)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 생동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평리, 신창리, 양곤리 일부를 병합하여 신평리의 ‘신’자와 양곤리의 ‘양’자 각 한 글자씩을 따서 신양리라 하여 생극면에 편입되었다. 1990년 1월...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후미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군 소이면 후미1리 남부 지역에 있으며 동쪽으로 장구실, 서쪽으로 대장리, 북쪽으로 음덕골과 각각 접하고 있다. 예전에 고씨 성을 가진 부자가 마을에 살았으며, 후에 고씨의 장자(長子)가 망하게 되자 고씨장자끝난이라 하였다. 그 후에 고자골이 되었으며, 근래에 들어선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신대(新垈) 또는 새터라 불린다....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마산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군 맹동면 마산2리 남쪽 지역에 있는 마을이다. 남쪽으로 쌍정리 아랫정내, 서쪽으로 매산, 동북쪽으로 밤까실과 각각 접하고 있다. 새들에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새터 또는 신기(新基)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마산리 지역이 되고...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문촌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감곡면 면사무소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약 7㎞ 지점에 있으며, 문촌2리 중간말에서 문촌1리로 가는 지름길 서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충주시 앙성면 본평리, 서쪽으로는 감곡면 상우리, 남쪽으로는 감곡면 사곡리, 북쪽으로는 웃오갑과 각각 접하고 있다. 새로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해서 새터, 신대(新垈), 신촌(新村)이라 불린다...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룡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마을에 사장재라는 들이 있는데 옛날에 활을 쏘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마을 뒤로 조선 전기 태종이 원천석을 찾아가다가 이곳에 이르러 네 번 돌아보았다는 전설이 있는 사고막골[四顧地]이 있다. 마을 남서쪽으로 보천리, 동남쪽으로 자래바위, 서남쪽으로는 큰말(보룡리)과 접하고 있다.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새터, 신대(新...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삼봉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금왕읍 삼봉2리 서쪽 지역에 있는 마을로, 동쪽으로 정단, 북쪽으로 한삼, 동남쪽으로 가느실, 서쪽으로 향촌과 각각 접하고 있다.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새터, 신대(新垈)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 한삼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삼봉리에 속하게 된 후 금왕면에 편입...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소여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 읍사무소 소재지에서 서북쪽으로 약 5㎞ 지점인 소여2리 남쪽 지역에 있는 마을이다. 음성읍 소여2리의 자연 마을인 산양재와 족지골에 살던 사람들이 음성읍 소여리와 금왕읍 무극리 사이에 도로가 개통되면서 교통이 편리한 이곳에 마을을 이루어 살기 시작하면서 새터, 신대(新垈)라 불린다. 본래 음성군 근서면 산양재 지역이었으나...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정생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금왕읍 정생1리 북부 지역에 있는 마을로 남쪽으로 정짓말, 북쪽으로 가징개와 각각 접하고 있다.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새터, 신대(新垈)라 불린다. 『충주군읍지(忠州郡邑誌)』에는 신대(新臺)로 나온다. 본래 경기도 음죽군 무극면 신촌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촌, 도관리,...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차평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생극면 면사무소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4㎞ 지점인 차평1리 중앙 지역에 있는 마을이다. 남쪽으로 중말, 서쪽으로 양재, 북쪽으로 방축동과 각각 접하고 있다. 새로이 생긴 마을이라 하여 새터, 신대(新垈)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 생동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말...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5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삼성면 덕정5리 동북쪽 지역에 있으며, 마을 남쪽으로 금정, 서쪽으로 윗말과 각각 접하고 있다.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샛터, 신대(新垈), 새터말이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 지내면 금정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삼성면 덕정리에 속하게 되었다. 마을 서북쪽으로 낮은 구릉지가 있...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 읍사무소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1㎞ 지점에 있으며, 신천1리 중북부 지역에 자리를 잡고 있다. 마을 남쪽으로 점말과 주막거리, 서쪽으로 냇말, 북쪽으로 생골과 각각 접하고 있다.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새터말, 새동네라고 불린다. 본래 동도면 신대리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군내면 신천리에 편입되었...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향5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감곡면 오향1리에 속해 있다가 오향5리로 분리되었으며, 동쪽으로는 오궁리, 서쪽으로는 오향1리, 남쪽으로는 오향4리, 북쪽으로는 왕장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새터말이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 거곡면 본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감곡면 오향리에 속한 마을...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주천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감곡면 면사무소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약 6㎞ 지점에 있으며, 동쪽으로는 영산리, 남쪽으로는 원당리, 북쪽으로는 오향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새터말이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 감미곡면 외주리 지역으로서 청미천(淸渼川) 동남쪽 냇가에 형성된 마을이었다.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
함옥희 할머니의 도깨비 이야기가 끝나자 권순복 할머니가 이어 도깨비 이야기를 시작하였다. 도깨비가 색시로 변해 사람들을 홀린다는 이야기였다. 권순복 할머니는 제천군 봉양면 실리 출신으로, 다른 분들이 이야기할 때 조용하게 잘 들어주고 할머니가 이야기할 때도 조용조용하게 잘 이야기 해주었다. 「색시로 변한 도깨비」 외에도 「구렁이 이야기」를 해주었다. “장에를 가 옛날에는. 그랬는...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음력 7월에 집안의 안녕을 기원하며 우물에 지내는 고사. 우물고사는 용왕을 신앙의 대상으로 하는 집에서 우물에 고사를 지내는 것을 말하며 ‘샘굿’이라고도 한다. 음성에서는 칠성맞이와 함께 주로 음력 7월에 행하는 세시풍속이다. 음력 7월 7일은 양수인 7이 겹치는 날로 길일에 해당된다. 이 칠석날에는 칠석차례라 하여 햇벼가 익으면 사당에 천신(薦新)하거나 우물을...
-
강당말마을 뒤편으로 마을을 지나 오르면 밭들이 나오고 옛집터들이 골짜기가 있는데 옛날에 마을터였다고 하여 텃골이라 부른다, 이곳에서 부용산 쪽으로 텃골 골짜기가 끝나는 지점에서 조금 오른 지점에 샘 하나가 있는데 이 샘을 샘둥치라 한다. 강당말 김두일 새마을지도자는 샘둥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였다. “예전에 마을 뒤 부용산에서 나무를 하고 한 짐 잔뜩 해서 지고 내려오다...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태생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태생리 북쪽 지역에 위치하는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소천곡, 남쪽으로 밤나무골, 서쪽으로 안산과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 앞에 큰 샘이 있었던 까닭에 처음에는 샘이슬이라 부르다가 훗날 샘이실, 새미실이라 하였다고 한다. 본래 충주군 대조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생동, 태티리...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능산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능산1리 남쪽 지역에 있으며, 남쪽으로 황새말·삼성면 대정리 아랫두리실, 북쪽으로는 능머루와 각각 접하고 있다.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샛터, 신대리(新垈里)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 두의곡면 신대리에 포함된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능산리에 속하게 되었고, 이후 음성군 삼성...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5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삼성면 덕정5리 동북쪽 지역에 있으며, 마을 남쪽으로 금정, 서쪽으로 윗말과 각각 접하고 있다.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샛터, 신대(新垈), 새터말이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 지내면 금정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삼성면 덕정리에 속하게 되었다. 마을 서북쪽으로 낮은 구릉지가 있...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원당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샛터(원당리)는 감곡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약 8㎞ 지점에 위치해 있다. 동쪽으로는 상평리, 서쪽으로는 경기도 율면 총곡리, 남쪽으로는 생극면 방축리, 북쪽으로는 주천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본래는 충주군 감미곡면의 선곡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고종 43)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원당리에 속한 마을이...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생골은 북쪽으로 윗생골과 큰골, 서쪽으로는 소여리, 남쪽으로는 신천리의 냇말과 각각 접하고 있다. 예전에 송사인(宋舍人)이 기거한 마을이라 하여 사인동(舍人洞)이라 부르기도 한다. 생골은 본래 음성군 동도면 사인동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용산리에 소속되어 음성면에 편입되었다가 음성읍이 되었다. 조선시대에 송사인...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에 있는 시외버스 정류소. 음성군 생극면 지역 주민들의 대중 교통 수단의 편리성을 위해 6·25전쟁 이후 시외버스 공동 정류소 면허를 받아 영업을 하고 있다. 대지 면적은 717㎡이고, 건축 면적은 약 200㎡이다. 2007년 7월 통계로 1일 시외버스 운행 대수는 150대이며, 목적지별 운행 노선의 빈도는 경기도 이천시가 29회로 가장 많고, 그 다음...
-
충청북도 음성군에 속하는 행정면. 음성군의 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충주시 신니면, 북으로는 감곡면, 서로는 경기도 이천시 율면과 음성군 삼성면, 남으로는 금왕읍과 각각 접하고 있다. 신양리·병암리·도신리·관성리·팔성리·임곡리·송곡리·방축리·차평리·차곡리·오생리·생리 등 12개의 법정리를 관할하고 있다. 생동(笙洞)의 ‘생(笙)’자와 무극(無極)의 ‘극(極)’자를 따서 생...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에 있는 체육 단체. 지역 체육회의 발족으로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면민 화합을 도모함과 더불어 우수 선수 발굴 및 지도·육성을 통해 생극면의 체육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창립되었다. 1981년 생극면 체육회가 창립되면서 초대 회장에 김기옥이 취임하였다. 그후 회장에는 제2·3대 정근희(1984~1987), 제4·5·6대 이준구(1988~1...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에 있는 음성군의 하부 행정 기관. 충청북도 음성군을 구성하고 있는 2개 읍(음성읍·금왕읍), 7개 면(소이면·원남면·맹동면·대소면·생극면·삼성면·감곡면) 중 생극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생극면은 본래 충주군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생골의 이...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에 있는 시외버스 정류소. 음성군 생극면 지역 주민들의 대중 교통 수단의 편리성을 위해 6·25전쟁 이후 시외버스 공동 정류소 면허를 받아 영업을 하고 있다. 대지 면적은 717㎡이고, 건축 면적은 약 200㎡이다. 2007년 7월 통계로 1일 시외버스 운행 대수는 150대이며, 목적지별 운행 노선의 빈도는 경기도 이천시가 29회로 가장 많고, 그 다음...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에 있는 천주교 청주교구 소속 성당.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파하고 소외된 이웃과 함께하여 교회 공동체 안에서 미래에 대한 꿈과 영적 만족을 주는 성당을 세우기 위해 설립되었다.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 439-3번지에 40년간 공소로 있다가 2001년 6월 13일에 본당이 되었다. 지역 소외 계층을 일일이 찾아다니면서 어려움을 함께 나누고 사랑...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에 있는 천주교 청주교구 소속 성당.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파하고 소외된 이웃과 함께하여 교회 공동체 안에서 미래에 대한 꿈과 영적 만족을 주는 성당을 세우기 위해 설립되었다.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 439-3번지에 40년간 공소로 있다가 2001년 6월 13일에 본당이 되었다. 지역 소외 계층을 일일이 찾아다니면서 어려움을 함께 나누고 사랑...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에 있는 우편·전신·금융을 담당하는 기관. 우체국은 국장의 지위에 따라서 4급(서기관국), 5급(사무관국), 6급(주사국), 7급(주사보국)으로 분류되거나 기능에 따라서 체신청, 우편집중국, 집배국, 무집배국으로도 분류된다. 또한 설립 주체에 따라 일반우체국, 별정우체국, 우편취급소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4급과 5급우체국은 총괄국으로서 기초자치단체...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 실천 위주의 예절 교육을 강화하여 예절과 질서를 존중하고 근검·절약과 자율적인 생활을 하는 사람, 사고력과 창의성을 계발하고 미래 사회를 개척하는 과학 기술 교육의 강화로 탐구력과 창의력을 가진 사람,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여 자신의 진로를 개척하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시켜 스스로 배우고 익히는 자주적인 사람, 환경을 아름답게...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민주주의 원리를 익히고 기본적인 예절과 질서를 지키며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 기초 학력을 증진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진취적인 어린이, 체력을 튼튼히 하고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소질과 개성을 키우며 아름다움을 느낄 줄 아는 어린이, 지식 정보화 사회를 주도할 능력 있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에 속하는 법정리. 본래 충주군 생동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생동면은 폐지되고 중생리와 하생리를 통합하여 생리라 하고 생극면에 편입되었다. 생1리 중생에서 무극장으로 가는 곳에는 장고개(일명 오리나무골), 생2리 넘말 남쪽에는 어떤 사람이 술에 취해 굴렀다고 하여 이름이 붙여진 굴렁개, 생2...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생리 도장골에 있는 산제당. 생리 도장골 산제당은 도장골 뒷산에 있다. 산제당은 커다란 자연석으로, 바로 앞에 평평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몇 해 전 이곳에 컨테이너 박스를 가져다 놓고 제당으로 사용하고 있다. 제일이 정해지면 며칠 전에 생기복덕에 맞추어 제관을 뽑는다. 제관으로 뽑히면 목욕재계를 하고 제의 당일까지 근신을 한다. 산신제를 지내기 하루 전에...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생2리 만태동에서 음력 10월 산신에게 올리는 제의. 만태동은 마을 지형이 망태기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수레의산 밑에 자리하고 있다. 생극면 소재지로부터 4㎞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약 20여 가구가 살고 있다. 본래 수레의산에서 제의를 지내다가, 1998년 수레의산 자락인 마을 뒷산에 시멘트 블록으로 제당을 건립한 후 그곳에서 지내고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생리 만태동에 있는 산제당. 생리 만태동 산제당은 만태동 뒷산에 있다. 현재의 산제당은 1998년에 축조한 것으로, 시멘트 벽돌로 몸체를 쌓고 슬레이트로 지붕을 얹은 모습이다. 제의 날짜가 정해지면 며칠 전에 생기복덕에 맞추어 제관을 두 명 뽑는다. 제관으로 뽑히면 먼저 집 안팎에 황토를 뿌려 부정한 자의 출입을 금한다. 특히 제의 당일에는 온 마을 사람들이...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생리 벌말에서 음력 10월 26일 산신에게 올리는 제의. 벌말은 주막거리라고도 하며, 수레의산 남쪽 밑에 자리 잡고 있다. 생극면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4㎞ 지점에 위치하고, 동남쪽으로는 오생리, 서쪽으로는 신양리, 북쪽으로는 차곡리와 접해 있다. 셍리 벌말 산신제는수레의산의 산신에게 마을의 안녕과 결속,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고자 하는 데서 비롯되었다. 예전에...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생리 벌말에 있는 산제당. 생리 벌말 산제당은 벌말에 있는 수레의산 기슭에 있다. 산제당은 수레의산 기슭에 있는 ‘소바우’ 밑에 마련한 제단이다. 이 소바우는 예전에 소를 잡던 바위라고 알려진 곳이다. 소바우에서 약간 떨어진 아래쪽에는 작은 샘이 있는데, 제사 때 이 물을 정한수로 사용한다. 산신제를 지내기 전에 생기복덕에 맞추어 제관들을 뽑는다. 제관으로...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생리에 있는 선사시대의 선돌. 선돌은 큰돌〔巨石] 기념물의 한 종류로 자연석을 일부 다듬어 세워놓고 신앙의 대상으로 삼은 것이다. 선돌은 그 연대를 추정하기 어려우나 서유럽의 경우 신석기시대 후기부터 시장하여 청동기시대에 유행한 것으로 나타난다. 생리 선돌에는 전설이 있다. 옛날에 박장수라고 불리던 사람과 그의 아내가 모두 쌀을 몇 가마씩 들 수 있을 정도로...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생리에 있는 고려시대 청자가마 터. 생극면 면소재지가 있는 삼거리에서 충주 방향으로 3㎞ 정도 가다 보면 삼거리가 나타나고, 좌회전하여 북동쪽으로 들어서면 정면으로 수레의산이 보인다. 수레의산 정상에서 남서쪽 사면 일대에 동부컨트리클럽이 들어서 있다. 생리 청자가마 터는 동부컨트리클럽의 중심부인 해발 235~260m의 서쪽 계곡부에 자리 잡고 있다. 생리 청...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생2리 넘말 하생에서 매년 음력 11월에 지내는 산신제. 하생은 생극면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3㎞ 지점에 위치하며 마을의 동북쪽에는 수레의산과 도장골이라는 골짜기가 있다. 현재 산신제는 도장골의 산제단에서 지내지만 예전에는 수레의산에서 지냈다고 한다. 생리 하생 산신제는 음력 11월 동짓달에 택일하여 지내는데 대개 동지를 지나기 전에 지낸다. 제관은 산제를 지...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정생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생탕골은 정생2리의 서쪽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도관리, 남쪽으로는 각회리 각구실, 북쪽으로는 생극면의 도신리·병암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예부터 물이 좋은 곳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경기도 음죽군 무극면 생탕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도신리에 속한 마을로...
-
시어머니가 건강 악화로 집으로 다시 돌아오고 얼마 후에 소를 도둑맞았다. 당시에는 소가 큰 재산이었기 때문에 소를 잃어버린 충격이 커서 시어머니가 화병에 걸리셨다. “옛날에는 소가 재산이었어. 면에서 사준 소여. 네 마리가 됐거든 그 소가. 그래가지고 소를 도둑을 맞아 잃어버렸어. 그래가지고 우리 어머니가 병이 나가지고 돌아가신겨. 밥을 안 드셔가지고.” 정부에서 소를 사줘서 당시...
-
첫날밤을 보내고 다음날 아침에 밥을 하러 광에 가보니 쌀독에는 아무것도 없고 팥만 서너지기 있었다. “집에서는 일꾼에, 세상에 막내딸에 큰집 작은집 우리집이 성들 오빠들 다 장개 보내고 나 하나 막내딸이라고 꽃방석에 앉혀놓고 키웠는게, 이게 무슨 짓인가 싶어서 눈물이 막 나더라고.” 눈물을 닦고 방으로 들어가려는데 인기척이 나서 대문을 내다보니 누가 둥그목을 슬쩍 지나갔다. 자세히...
-
남편은 제대 후 농사를 지었는데 남의집살이를 하며 1년에 7가마를 지으며 어렵게 시작했다. 남편은 품 팔고 자신은 방공일, 공공일에 식당에서 품 팔고, 그렇게 모아서 소도 사고 땅도 샀다. 가난했기 때문에 부모 덕 하나 안보고 자수성가할 수밖에 없었다. 남자가 3일을 일하면 쌀 한 말을 주었지만 여자는 5일을 일해야지 주었다. 그렇게 바쁘게 일하느라 아이들 데리고 놀 시간도 없었다...
-
함께 살고 있던 시아주버니가 광을 캐러 다녔는데, 도시락을 싸주면 밥을 다 먹고 엄지손가락만한 돌을 주워서 그 안에 넣어주었다. 맏동서와 돌을 깨서 맷돌에 갈아서 금가루를 모았다. “돌을 깨가지고 맷돌에 이렇게 갈면, 금은 시은이 다 집어 먹고 돌만 남아. 시은은 동글동글 하잖아. 시은이라고 있어. 금 빨아먹는 시은. 동글동글한 게 반짝반짝반짝하지, 윤이 나지. 그게 물이여, 물인...
-
김장일 할아버지는 20년 동안 이장을 했다. 45세에 시작했는데 그때 월급이 2만 3천원이었고 5년 전 쯤에 15만원으로 올랐다고 한다. 예전에 목수, 미장이 등 돈 주는 거는 별거 다 했다. 돈 없으면 나무도 이고 구들장 만드는 돌도 주워서 팔았다. 당시에 한 가마에 한 말씩 팔아서 먹고 살았다. 그렇게 하루 종일 일을 해도 품값이 얼마 안됐다. 탈곡기 가지고 벼 털고, 종일...
-
강당말에는 마을 생활 모습에 많은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옛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생활유산이 많이 남아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소 외양간, 마을 공동우물, 담배건조실 등이 남아 있다. ○ 소외양간 강당말 김장일 할아버지 댁에 외양간이 남아 있으며, 현재도 이 외양간에서 소를 먹이고 있다. 외양간의 구조는 헛간채 한가운데 위치하는데 흙벽돌집으로 되어 있다. 외양간 우측에는...
-
충청북도 음성군 읍성읍 용산리 가섭산에 있는 고려 후기의 사찰. 가섭사는 석가모니의 10대 제자 중 하나인 가섭존자(迦葉尊者)의 이름을 딴 사찰이다. 가섭존자는 두타행(頭陀行)을 가장 충실히 실천하였고, 영취산에서 석가모니 부처가 연꽃을 들어 그 의미를 물었을 때 유일하게 미소로 답하여 염화미소(拈花微笑)의 가르침을 전한 인물이다. 가섭사는 창건 사실을 기록한 문헌 기록과 관련 유...
-
조선 전기 음죽현감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서경(瑞卿). 아버지는 괴산군수 유계분(柳桂芬)이다. 유인종(柳麟種)[1450~1513]은 1472년(성종 3) 진사가 되고 8년 뒤인 1480년(성종 11)에 식년문과에 급제하였다. 1484년(성종 15)에 이조좌랑이 되었고 이듬해 음죽현감(陰竹縣監)이 되었다. 1487년(성종 18)에 헌납·사간을 지냈다. 정언으로...
-
서낭댕이는 이진말마을 북동쪽으로 마을이 끝나는 지점 새로 놓은 다리에서 200m 동쪽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진말마을의 서낭당은 이 마을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북쪽 맞은편 마을인 신양리 새천이마을에 한 곳, 개울 건너 중말에 한 곳 등 서낭당이 삼각형을 이루고 서 있었다. 서낭댕이에 대하여 오덕욱 할아버지(35년생, 73세)는 “서낭길이 어디 있었는가 보면 새로 다리 놓...
-
강당말에서 용대동 쪽으로 5분쯤 오르다 보면 고목과 비슷한 큰 아카시아나무 3그루가 서 있고 이곳에서 길이 세 갈래로 갈라지는데 이곳이 서낭댕이다. 그리고 서낭당이 있는 이곳의 들판 이름도 서낭댕이뜰이라 한다. 이 서낭댕이에 대해 강당말 김두일 새마을지도자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예전에는 서낭당에 흙벽돌 집으로 당집이 있었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어. 그리고 어릴 때 보면 이곳에...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행해지는 서낭신에 대한 제사. 우리나라의 마을은 배산임수를 중심으로 하며, 산을 등지고 남쪽으로 향하여 자리 잡고 있다. 마을로 들어오는 입구에는 서낭신을 모시는 서낭당이 있으며 그 옆에 장승이나 솟대가 있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서낭신은 토지 수호신이며, 마을의 경계 또는 입구를 지켜 주는 신이다. 그리하여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마을의 방액(防厄), 농사...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주봉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서당골은 주봉3리 중앙에 위치한 자연 마을로 남쪽으로는 수벽바위와 봄미터, 북쪽으로는 덕문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옛날에 마을에 서당이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는 음성군 남면 내동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주봉리에 포함되어 원남면에 편입되었다. 예전에는 주로 순흥안씨들이 모여 살았으나, 지금은 순흥안...
-
충청북도 음성군의 산업 중 물자의 생산 대신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 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을 재화와 용역으로 구분하면, 재화와 같은 유형의 물건을 만들어내는 산업은 제조업으로, 용역을 만들어내는 산업은 서비스업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클라크(C. G. Clark)의 산업 분류에 따를 경우 농림·수산업과 같은 1차 산업, 제조업과 같은 2차 산업이 아닌 3차 산업이 서비스업에...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으로 은거한 문신. 본관은 평산. 자는 덕부(德夫), 호는 규정(葵亭)·서암(恕庵). 아버지는 현감 신항구(申恒耈)이다. 신후재는 1660년(현종 1) 사마시를 거쳐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승문원(承文院)에 등용되었다가 지평·부교리 등을 역임했다. 1679년(숙종 5) 강원도관찰사가 되었고 이듬해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남인(南人)이 제거될 때 삭직되었...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병암리에 있는 광학 부품 제조업체. 전문화·다양화·고급화한 광학 제품을 연구·개발하고 판매하여 기업의 이윤을 추구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자 설립되었다. 1974년 9월 6일 회사를 설립하였고, 1980년 12월 일본 노리타광학과 합작하였으며, 1984년 부설로 서울광학연구소를 건립하였다. 서울광학산업(주)은 각종 비구면 렌즈 가공에 주력하고 있다. 브라운...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문촌리에 있는 화학 비료와 질소 화합물 제조업체. 비료 생산을 통한 기업 이윤 추구와 함께 지역 경제의 활성화에 일조하고자 설립되었다. 1987년 10월 서울농자재를 창업하였고, 1988년 1월 음성 비료공장을 신축하였다. 1997년 1월 상토공장을 증축하였고, 2005년 4월 연구소 및 신사옥 건물 준공을 거쳐, 2006년 2월 (주)서울농자재에서 (주)서...
-
조선시대에 향사 및 교육을 위해 충청북도 음성군에 설치되었던 민간 기관. 조선왕조 최초의 서원은 1543년(중종 38) 풍기군수 주세붕(周世鵬)이 고려 말 학자 안향(安珦)을 배향하고 유생을 가르치기 위하여 경상도 순흥에 세운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이다. 사림들은 성리학적 지배 질서를 확립하여 재지 사족층의 사회적 역할을 제도적으로 구체화하기 위해 서원 건립에 적극적이었으며, 실제...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서원말은 서쪽 지역에 있는 자연 마을이다. 마을에 운곡서원이 있어서 서원말 또는 원동이라 부른다. 본래 충주군 지내면 원동리에 속한 지역이었다가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용성리에 포함되어 삼성면에 편입되었다. 안동권씨가 세거하면서 마을을 이루었으며, 운곡서원이 건립된 이후 큰 마을이 되었다....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상업적 목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특화 작물. 원산지는 남아메리카 중앙부 고원지이며, 1558년 스페인 왕 필립2세가 원산지에서 종자를 가져와 관상용 및 약용으로 재배하면서부터 유럽에 전파되었다. 현재는 북위 60°에서 남위 40°에 걸쳐 전 세계에서 재배되고 있다.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품종으로는 재래종과 황색종, 벌리종(Burley), 터키종 등이 있다. 이...
-
조선시대 충청북도 음성군에 살았던 열녀. 본관은 안동(安東). 김상하(金相夏)의 딸이고, 서효순(徐孝淳) 처이다. 남편 서효순이 일찍 죽자 부인 안동김씨는 장례를 잘 치른 후 시부모를 위로하고 저녁에 침실로 들어가 목매달아 죽었다. 모두가 경탄하였으며 열녀로 칭송하였다....
-
조선 후기의 유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이견(而見), 호는 석농(石農). 숙헌공(肅憲公) 오빈(吳䎙)의 8세손이다. 어려서부터 재예가 뛰어나고 학문이 깊어 간재(艮齋) 전우(田愚)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0세에 사서육경을 통달하고, 20세 이전에 여러 책을 두루 익혀 문장이 널리 알려졌다. 사학(史學)에 정통하여 역사의 대가인 육당(六堂) 최남선(崔南善)도 경의를 표하였다...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돌명이는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에서 서쪽으로 1㎞ 지점에 있으며, 동쪽으로 읍내리, 서쪽으로 초천리, 남쪽으로 하당리, 북쪽으로 용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이 음성향교 뒷산인 옥녀봉의 옥녀 거울에 해당되는 형국이며, 돌에서 빛이 난다 하여 돌명이[石明]라고 하였다. 신천리는 본래 동도면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병암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석병무는 생극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약 4㎞ 지점에 있는 병암3리 서쪽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남동쪽으로 병암2리의 자연 마을인 만담이 있고, 서쪽으로는 관성리, 북동쪽으로는 병암4리의 자연 마을인 안곤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 뒷산에 있는 바위가 병풍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병산리라고도 불린다. 본래 경기도...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상우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돌마래미는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상우리 북동부 지역에 위치하며, 마을 남쪽으로 새터(정동), 서쪽으로 아연이, 동쪽으로는 문촌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예부터 마을에 돌이 많아 돌마래미[石遇]라는 이름이 붙었다. 본래 충주군 거곡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아리,...
-
충청북도 음성군 읍성읍에 속하는 법정리. 사람의 모양을 한 자연석이 있어 석인이라 하였다. 본래 음성군 동도면(東道面)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충주군 사이면(沙伊面)의 원충리(元忠里) 일부를 병합하여 석인리가 되었다. 1956년 7월 8일 음성면이 읍성읍으로 승격되었다. 지형은 북쪽과 남쪽이 대부분 200m 내외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충이와 오리골 사이에는 북...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석인리에 있는 고대의 산성. 석인리 산성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으며,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에 ‘석인리 성지, 석인리의 서북 약 5백간에 있음. 석축으로 둘레 71간, 높이 3척, 두께 3척, 완전함’이라고 하여 처음으로 산성의 존재가 소개되어 있고, 『전국유적목록』에 ‘석축, 주위 70간, 높이 3척, 두께 3척’이라고 간단히 소개되어 있다. 그리고 『문화...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정치가. 1910년 한성외국어학교에서 영어를 배우고, 함경남도 함흥군 재무주사를 역임하였다. 갑부로 이름난 음성의 김병태(金炳台)와 처남매부 관계로 1920년에 음성에 와서 김병태의 토지를 관리했다. 1945년 해방이 되자 음성군 치안유지회장, 대한독립촉성국민회의 음성군 회장을 지내고, 1948년 제헌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향년 78세로 세상을 마쳤고...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정선(旌善), 자는 여견(汝見), 호는 석천(石泉). 정선전씨 안동파로, 아버지는 호조판서 전응조(全應祖)이며, 전용은 5명의 아들을 두었다. 성품이 헌칠하고 우뚝하여 일찍이 궁마(弓馬)와 기예(技藝)를 익혔다. 임진왜란을 만나 사복시(司僕寺)에 속하여 임금·세자 등이 탄 말을 끌던 종7품 잡직인 견마배(牽馬陪)로 선조를 호위하며 뒤...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에 있는 고개. 고개에 돌이 많아서 붙어진 이름으로 돌고개를 한자로 표기하면 석현(石峴)이 된다. 음성읍 읍내리, 용산리, 한벌리에 걸쳐 있는 높이 245m의 옥녀봉은 산의 형태가 마치 옥녀가 산발한 모양이라서 붙어진 이름인데 돌고개는 옥녀봉의 옥녀가 화장을 할 때 쓰는 분(粉)에 해당되고 신천리의 돌명이(일명 석명동)는 옥녀의 거울에 해당된다고 풍수지...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선거권을 가진 지역민이 공직에 임용될 사람을 뽑는 행위. 선거는 현대 사회에 있어 국민을 정치적으로 통합하는 주요한 방식으로서 대의제 민주주의 하에서 국민이 정책 결정 등에 참가하는 가장 기본적인 행위이다. 이러한 선거는 ① 대표의 선출, ② 선택 대안의 제공, ③ 정부 구성의 통로, ④ 정부에 대한 정통성의 부여, ⑤ 정치 교육, ⑥ 정당 구조의 정비 등과 같...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원당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선골은 감곡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약 8㎞ 지점에 위치한 원당리의 남부 지역에 있는 원당1리의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 생극면 방축리가 있고, 북쪽으로는 큰원당과 접하고 있다. 예전에 선비가 놀다 간 자리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감미곡면의 선곡리 지역이었다가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쌍정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선녀골은 맹동면 소재지에서 서남쪽에 있는 쌍정2리 중앙부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배미, 서쪽으로는 중돈, 북쪽으로는 아랫정내와 각각 접하고 있다. 본래는 충주군 맹동면 율리에 속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쌍정리에 포함되어 맹동면에 편입되었다. 선녀골은 쌍정2리에 속...
-
음성의 전통가옥은 대부분이 조선시대의 건축물들이고, 유교적 특징이 강조되어 있다. 옛사람들의 생활 가옥이었던 고택들, 유교 이념을 교육하였던 향교, 유교 이념을 연구·전승하였던 서원들, 선현 제향과 풍속 교화의 장소인 사우들, 자연을 즐기는 여유가 담긴 누정들은 모두 조선의 시대정신이었던 선비 정신과 그에 입각한 건축미가 담겨진 전통가옥들이다. 이처럼 음성 지역에 유독 조선의 선비...
-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역사 기록이 존재하지 않은 시대의 유적과 유물. 선사시대는 주로 고고학의 대상으로서 구석기·신석기·청동기시대가 포함되고 있다. 그러나 선사시대의 출현이나 각 단계별 존재 형태는 지역의 자연환경과 인문 환경 등의 차이와 사회·경제·문화 등의 발달 단계에 따라 시기나 양상의 편차가 크다. 따라서 당시의 문화를 반영하는 유적과 유물도 그에 비례하여 존...
-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었던 조선시대 도로 이름. 충청북도 음성현 음성읍에서 10리 지점에 있었던 좁은 길로 충원현과 경계를 이루었다. 충청북도 충주시로 연결되어 있던 선선동 소로는 오늘날 국도 36호선과 거의 일치한다. 『여지도서(輿地圖書)』의 충청도 음성현 도로조(道路條)에 ‘동선선동십리소로충원계(東善善洞十里小路忠原界)’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선선동 소로에서 선선동은 비선동(碑仙洞...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구안동(舊安東). 자는 선여(善餘), 호는 만은(晩隱). 아버지는 김두서(金斗瑞)이다. 김시경(金始慶)[1659~?]은 1682년(숙종 8) 진사가 되고, 이듬해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708년(숙종 34) 세자시강원필선(世子侍講院弼善), 1709년(숙종 35) 사헌장령겸지제교(司憲掌令兼知製敎), 1716년(숙종 42) 승정...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송선(松仙)의 ‘선(仙)’자와 금정(金井)의 ‘정(井)’자를 따서 선정리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 천기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송선리, 신대리, 금정리, 율산리 일부를 통합하여 선정리라 하고 삼성면에 편입되었다. 선정3리 홍태동에서 북류하여 덕정리의 모리내로 흐르는 모리내개...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원당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선골은 감곡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약 8㎞ 지점에 위치한 원당리의 남부 지역에 있는 원당1리의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 생극면 방축리가 있고, 북쪽으로는 큰원당과 접하고 있다. 예전에 선비가 놀다 간 자리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감미곡면의 선곡리 지역이었다가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음력 정월 초하루에 지내는 명절. 설은 좁은 의미로는 음력 정월 초하루를 의미하지만, 옛사람들은 넓은 의미로 대보름까지를 설로 보았다. 이에 따라 음력 1월 1일은 한자어로 원일(元日)·정일(正日)·원정(元正)이라 하고, 새해의 첫머리는 정초(正初)·세수(歲首)·연수(年首)·연두(年頭)라고 하였는데, 특히 첫날의 시작인 설날 아침은 원단(元旦)이라 하여 중요시하...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본관은 청주. 자는 순칠(舜七), 호는 설남(雪南). 선무공신 고응연(高應淵)의 11세손이고, 아버지는 충훈부도사 고익현(高益顯)이다. 고재선(高在璿)은 문학으로 이름이 났으며, 효도와 우애가 독실하여 일대의 추앙을 받았다. 부모상을 당해서는 비바람을 피하지 않고 3년간 시묘하였다. 한시 「가섭사(迦葉寺)」와 1890년(고종 27)에 지은...
-
757년(신라 경덕왕 16)에서 1895년(고종 32)까지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 음성은 잉홀(仍忽)·설성(雪城)·잉근내(仍劤內)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음성현의 지명으로는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의 향교말과 감원역에서 유래한 역말 등이 남아 있고 음성향교가 아직 현존하고 있지만 음성현시대의 유적과 유물 등은 거의 사라졌다. 삼국을 통일한 신라는 확대된 영토와...
-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 고구려가 설치한 행정 구역. 음성은 잉홀(仍忽)·설성(雪城)·잉근내(仍劤內)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는데 잉홀의 지명은 서기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 12월에 음성으로 변경되었다. 음성군 음성읍 평곡리 약물제 동쪽에 터골이라는 마을이 있는데 거북 모양의 바위가 있어 구문동(龜文洞)이라고도 하는 이 마을은 고구려 때 잉홀현의 관청이 있어 ‘터골’이라고 하였고 ‘...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일대에 조성된 근린공원. 음성군 음성읍 지역 주민들에게 문화,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자 1995년 당시 공설운동장이 있던 위치에 설성공원을 조성하였다. 설성공원 내의 경호정은 1934년에 건립되어 연풍정으로 불리다가 근래에 와서 경호정으로 고쳐 부르고 있으며, 음성군 향토문화유적 제9호로 지정되었다. 1990년 이무영 문학비가 건립되었으며, 1994년...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음성공설운동장과 설성공원 일원에서 매년 9월 지역 문화의 계승·발전과 군민 화합을 위하여 개최하는 문화 제전. 음성군의 향토 문화를 계승하고 군민의 화합을 도모하기 위하여 개최하는 음성군 고유의 종합 문화 예술 축제이다. 매년 가을에 음성군 9개 읍·면 주민들이 참석하여 농악, 줄다리기 등의 경연대회와 각종 문화 예술 공연, 향토 민속 행사 시연, 전...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생산되는 특산물. 설성진미와 다올찬쌀은 음성군이 상표 등록한 쌀 제품의 통합 브랜드로 음성을 대표하는 쌀의 명칭이다. 설성진미의 ‘설성’은 음성의 옛 지명이며, ‘다올찬’은 매우 알차고 야무지다라는 뜻의 ‘올차다’와 풍성하고 많다는 뜻의 ‘많을 다(多)’가 합쳐진 합성어이다. 벼의 원산지는 중국 남부, 미얀마, 타이, 인도 동부 지역 등이라고 한다. 그 중 타이...
-
조선시대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의성(義城). 호는 설암(雪巖). 김득수(金得洙)의 아들이다. 김예숙은 어느 날 김승선(金承宣)의 집에서 공부를 하던 중 갑자기 마음이 놀랍고 온몸에 땀이 나서 주위 사람들의 만류함을 무릅쓰고 급히 집에 돌아와보니, 어머니의 병환이 위독하여 온 집안이 겁에 질려 있었다. 그가 곧 손가락을 잘라 주혈(柱血)하자, 어머니는 회생하여 20여...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풍양. 자는 경관(景觀), 호는 설죽(雪竹). 아버지는 참봉 조유백(趙惟白)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금석리 바디실에서 출생하고 그곳에서 살았다. 1606년(선조 39) 진사시에 합격하고 바로 증광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1608년(선조 41) 승정원가주서로 선조의 임종을 지켰으며, 광해군이 즉위하자 예문관검열에 임용되어, 1...
-
조선 말기에 음성군수를 지낸 문신. 본관은 고령. 자는 길보(吉甫), 호는 설초(雪樵). 아버지는 승지(承旨)를 지냈던 박준우(朴浚遇)이다. 35세인 1864년(고종 1)에 생원시에 합격하고 교하현감과 횡성군수를 지냈다. 이때 여러 치적이 있어서 군민들에게 만인산(萬人傘)을 받았다. 79세 되던 해인 1908년(순종 2) 3월 12일 음성군수로 부임하였다가 8월 29일 그만 두었다...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항(汝恒), 호는 설파(雪坡). 1819년(순조 19)에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서 태어나 1851년(철종 2) 32살에 정시문과에 급제하였다. 사헌부집의까지 지냈으나,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에 돌아와 시와 술을 벗 삼으며 여생을 보냈다. 저서로 『설파집(雪坡集)』을 남겼다. 묘소는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새고...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 자는 치우(致于), 호는 설포(雪圃). 초명은 진정(鎭楨)·진홍(鎭鴻).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반석평(潘碩坪)의 13세손이다. 아버지는 반우택(潘禹澤)이고, 동생은 반진간(潘鎭幹)이다. 반진홍은 문학이 뛰어났으며 사람됨이 단정하고 말이 적었다. 고종 때 수직(壽職)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 묘소가 충청북도 음성군 원...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설화는 일반적으로 신화와 전설, 민담으로 구분된다. 신화는 보통 신에 관한 이야기나 신적인 능력에 대한 이야기로, 신화의 전승자는 신화를 진실되고 신성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전설은 구체적인 장소나 증거물, 인물이 제시되는 이야기로 대개 결말이 비극적인 특성을 띤다. 민담은 흥미 위주로 꾸며진 이야기로, 장소나 시간·인물이 구체...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더덕으로 만드는 향토 음식. 섭산삼의 ‘섭’은 두들긴다는 의미로, 더덕을 두들겨서 음식을 만들면 산삼만큼 좋다는 뜻으로 이름이 붙어졌다. 섭산삼은 더덕으로 요리하는 음식으로, 술안주와 폐백 음식, 이바지 음식 등으로 많이 만들었다. 더덕의 쌉쌀한 맛이 식욕을 북돋운다. ‘섭산삼 당절임’은 더덕을 찹쌀가루, 식용유, 꿀, 생강 등과 함께 절여 당절임을 만든 뒤 후...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더덕으로 만드는 향토 음식. 섭산삼의 ‘섭’은 두들긴다는 의미로, 더덕을 두들겨서 음식을 만들면 산삼만큼 좋다는 뜻으로 이름이 붙어졌다. 섭산삼은 더덕으로 요리하는 음식으로, 술안주와 폐백 음식, 이바지 음식 등으로 많이 만들었다. 더덕의 쌉쌀한 맛이 식욕을 북돋운다. ‘섭산삼 당절임’은 더덕을 찹쌀가루, 식용유, 꿀, 생강 등과 함께 절여 당절임을 만든 뒤 후...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소여리에 있는 산. ‘문수산의 아침노을(文秀朝霞, 문수조하)’은 음성팔경의 2경에 속하는 아름다운 산이다. 음성읍 평곡리 터골의 기곡십영(基谷十詠)의 4영(詠)으로서 ‘문수산의 저녁노을(文秀夕照, 문수석조)’을 들고 있다. 일명 문수봉[385m] 또는 섭족산이라고도 한다. 문수산 아래의 소여리 성가마골(일명 선가마골 또는 선가동)은 옛날 신선이 하강하여 야인...
-
전통시대 충청북도 음성군의 관에서 축조한 방어 시설. 방어 시설은 도랑 파기와 같은 형태의 해자(垓子), 나무 울타리를 만드는 목책(木柵)이나 나무 말뚝인 목익(木杙) 등을 거쳐 보다 견고한 형태로 발전되었다. 순수한 우리말인 ‘잣’을 한자로 성(城)이라 하며, 성벽이 여러 겹을 가지면서 안쪽의 성(혹은 내성)과 바깥쪽의 곽(혹은 외성)을 아울러 ‘성곽’이라 한다. 방어 시설인 성...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소여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성가마골은 소여2리의 자연 마을 가운데 하나로, 음성읍에서 서북쪽으로 5㎞ 정도 떨어진 소여리의 서북쪽 지역에 위치해 있다. 동남쪽으로는 소여1리의 자연 마을인 수릿내와 접하고, 서북쪽으로는 기름고개(감우재고개)와 접하고 있다. 성가마골에 사람이 살지 않았던 오랜 옛날에, 신선이 하강하여 야인(野人)과 인연을 맺고 살다 승천하였...
-
전통시대 충청북도 음성군의 관에서 축조한 방어 시설. 방어 시설은 도랑 파기와 같은 형태의 해자(垓子), 나무 울타리를 만드는 목책(木柵)이나 나무 말뚝인 목익(木杙) 등을 거쳐 보다 견고한 형태로 발전되었다. 순수한 우리말인 ‘잣’을 한자로 성(城)이라 하며, 성벽이 여러 겹을 가지면서 안쪽의 성(혹은 내성)과 바깥쪽의 곽(혹은 외성)을 아울러 ‘성곽’이라 한다. 방어 시설인 성...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음성현감 성규주를 기리는 비. 성규주는 영조 때에 음성현감으로 애민선정(愛民善政)을 하여, 후세 사람들이 그의 치적을 기리기 위하여 불망비를 세웠다. 성규주 불망비는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서 충주로 가는 구 도로를 따라 1㎞쯤 올라가면 음성향교가 나오는데 그 앞에 있다. 비석은 이수(螭首)를 얹은 것처럼 표현하기 위해 화강암...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음성현감 성규주를 기리는 비. 성규주는 영조 때에 음성현감으로 애민선정(愛民善政)을 하여 후세 사람들이 그의 치적을 기리기 위하여 선정비를 세웠다. 성규주 선정비는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리 하당저수지로 올라가는 길옆 하당1리 마을회관 근처 비닐하우스 앞에 있다. 비석은 이수(螭首)를 얹은 것처럼 표현하기 위해 화강암 1매석을 요...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자선사업가. 창령성씨 시조 성인보(成仁輔)의 23세손이고, 할아버지는 성덕후(成德厚)이며, 아버지는 성예하(成禮夏)이다. 부인으로는 밀양박씨인 박철진(朴喆鎭)의 딸과 곡산연씨[1907~1948]이다. 성균관박사를 역임하였다. 어려서 부모를 잃고 친척의 손에 자랐다. 근검 절약 정신이 뛰어났는데, 밀양박씨 부인도 베를 짜며 내조하였다. 내외가 쌀 한 톨과 실...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리에 있는 성기환(成耆煥)의 공적을 기리기 위한 비. 성기환의 자는 경문, 호는 경은. 본관은 창녕이다. 성기환은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가난하게 자랐으나 근검절약하여 살림이 넉넉해지자 흉년에 가난한 사람을 구휼하였다. 충주시에서 청주시로 가는 국도 36호선 변인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2리에서 500m 못 미친 도로변 오른쪽에 위치한다. 성기환 구휼불...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유학자이자 효자.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성노(聖魯), 호는 국사(菊史).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 김제남(金悌男)의 후손이고, 아버지는 김문수(金文秀)이다. 김사구(金思逑)은 의당(毅堂) 박세화(朴世和)에게서 사사(師事)하였으며, 나이 70세에 노모가 살아 계셔 그 곁을 떠나지 않고 봉양하였다. 상을 당하여서는 산이 높고 험준한데도 팔순에 이르...
-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는 천주교의 종교 의식이 행해지는 회당. 성당은 일반적으로 건물이라는 물적인 기능과 함께 그리스도의 신비체로서의 성역이라는 정신적 기능을 구체화한 장소라는 의미도 가진다. 충청북도 음성군에는 7개의 성당과 성당보다 규모가 작고 주임 사제가 없는 공소가 12개가 있다. 그 중 감곡성당과 음성성당은 역사적인 가치가 매우 높은 성당이다. 1. 감곡성당 충청북도 음성군...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리에 있는 천주교 청주교구 소속 성당. 삼성성당의 주보성인은 성 마티아 사도이며, 성 마티아 성당으로도 불린다.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과 대소면 지역에 천주교의 복음을 전달하고 미사 집전을 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삼성성당은 본래 청주교구 소속의 무극공소였다가 1991년 6월 29일 본당으로 승격되었으며 초대 오웅진 신부가 부임하였다. 제2대 주임신부인 가...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성본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최성미는 성본1리의 중동부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금왕읍 유포리가 있고, 남쪽으로는 홍창골, 동북쪽으로는 소탄 등의 자연 마을과 각각 접하고 있다. 예부터 해주최씨가 많이 사는 마을이라 하여 최성미라 불렀다. 본래 충주군 소탄면 성산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성...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성미는 삼성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4㎞ 정도 떨어진 용성리의 중앙부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연미실과 건너말, 북쪽으로는 마재, 남쪽으로는 조룡미와 각각 접하고 있다. 성미는 마을 뒤쪽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는 산이 성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안동권씨가 많아 권성촌(權姓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본래 충주군...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성본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최성미는 성본1리의 중동부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금왕읍 유포리가 있고, 남쪽으로는 홍창골, 동북쪽으로는 소탄 등의 자연 마을과 각각 접하고 있다. 예부터 해주최씨가 많이 사는 마을이라 하여 최성미라 불렀다. 본래 충주군 소탄면 성산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성...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에 속하는 행정리. 성산리의 ‘성’자와 본리의 ‘본’자의 각 한 글자씩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소탄면(所呑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본리(本里)·성산리(城山里)와 대조면(大鳥面)의 각동(角洞)을 병합하고 성본리라 하여 대소면에 편입되었다. 지형은 높은 편은 아니며, 각골저수지에서 형성된...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성본1리에 있는 해주최씨(海州崔氏)의 재실.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에서 대소면으로 가는 국도 52호선를 따라가다 보면 왼쪽으로 최성미 입구가 나온다. 이곳에서 1㎞쯤 들어가면 소탄 새마을회관이 보이는데 그 옆에 숭모재가 있다. 정면 3칸, 측면 1칸의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로, 현대식 시멘트 청기와를 올렸다. 목조건물에 벽돌로 벽을 쌓았으며 주위에는 벽...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성본리에 있는 연대 미상의 토성. 성본리 토성에 대한 고문헌 기록은 전혀 없고,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에 “성산동의 동북 약 600간에 있음. 토축으로 둘레 600간, 폭 10간, 높이 2간, 완전함.” 이라고 처음으로 소개되어 있다. 그리고 『전국유적목록』에는 앞의 자료를 인용하여 “토축, 둘레 600간. 폭 10간, 높이 2간”이라고 간략하게 기록하고 있...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오선리에 있는 철강 로프 제조업체. 철강 로프 생산을 통해 기업의 이윤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고자 설립되었다. 1988년 9월 성산강재(주)가 설립되었으며, 1990년 1월부터 수출을 하기 시작했다. 1991년 9월 연간 생산 1,000톤 설비 확장에 이어 1993년 3월에는 연간 생산 능력 1,500톤 규모로 설비를 확장하였다. 철강 로프 제작...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대사리에서 발원하여 대소면 삼호리에 이르는 하천.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과 죽산면과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마이산 부근의 음성군 삼성면 대사리에서 남류한다. 다시 대소면 오류리와 호산리를 거쳐 삼호리 부근에서 미호천에 유입되는 하천으로 금강 수계이다. 음성 망이산성 부근의 음성군 삼성면 대사리에서 발원하는 하천이라서 성산천이라 이름을 붙인 것이다. 경기도 안성시...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함종. 자는 성순(聖淳). 아버지는 어용인(魚用仁)이고, 형은 어재연(魚在淵)이다. 어재순은 형인 어재연을 따라 군직(軍職)에 있다가 1871년(고종 8) 신미양요가 일어나자 광성진(廣城鎭)에서 싸우다가 형과 함께 전사하였다. 묘소가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성본리에 있다. 이조참의(吏曹參議)에 증직되었다. 묘 아래에 쌍충재(雙忠齋)를...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안동(安東), 자(字)는 성시(性施), 호(號)는 농은(農隱), 증조부는 권종석(權鍾奭), 아버지는 권영목(權寧穆)이며, 어머니는 수원백씨(水原白氏)이다. 13세에 정덕영(鄭德永)의 딸과 결혼하여 3남 1녀를 두었다. 증조부 권종석의 유훈을 받아 남다르게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의 뜻을 한 번도 거역한 일이 없었다. 모친 수원백씨의 가정...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각회리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자동차 부품 제조를 통해 이윤을 추구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일조하고자 설립되었다. 1996년 3월 (주)성신을 설립하였고, 1996년 5월 (주)성신케불로 상호를 변경하였다가 1999년 (주)성신테크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2003년 12월 (주)성신테크를 현 인팩에서 인수하였고, 2013년 3월 인팩케이블로 사명을 변경...
-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 거주하거나 연고가 있는 동일 혈연 집단. 성씨에서 성(性)은 혈연관계를 나타내며 씨(氏)는 지역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성에는 관(貫)이 있는데 적·본관·관·관향이라고도 한다. 음성 지역에는 조선 후기로 내려오면서 새로운 성씨를 가진 씨족이 지속적으로 이주하여 와서 살았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의하면 토성(土姓)으로 박(朴)·채(蔡)의 두 성이...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이자 자선사업가. 본관은 단양(丹陽). 자는 성언(聖言), 호는 금범(錦帆). 선무공신(宣武功臣) 장충범(張忠範)의 후손이고, 동몽교관(童蒙敎官) 장석영(張錫永)의 아들이다. 장용묵은 어릴 때부터 성품이 효성스럽고 어버이를 섬김에 혼정신성(昏定晨省)을 다하였다. 어머니 최씨가 천어(川漁)를 좋아하여 춥거나 덥거나 날씨에 상관없이 매일 고기를 잡...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의병.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성언(聖言), 호는 일와(一窩). 할아버지는 의병 윤병의(尹秉義)이다. 윤정학은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에서 출생하였다. 유인석(柳麟錫) 문인으로, 고종 때 진사가 되었다. 1895년과 이듬해에 의병이 되어 스승 유인석, 조부 윤병의와 의거에 가담하여 충주와 제천 싸움에 참여하였다. 충주 싸움에서 패한 뒤 물러나 충...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본관은 창녕(昌寧). 창녕성씨 시조 성인보(成仁輔)의 22세손이고, 성일교(成一敎)의 6세손이다. 성덕주(成德周)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성덕후(成德厚)의 양자가 되었다. 부인은 순흥안씨(順興安氏) 안진하(安鎭夏)의 딸로 문성공 안유(安裕)의 후손이다. 성기동(成耆東), 성기형(成耆亨), 성기환(成耆煥) 세 아들을 두었다. 1834년 충청북도...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청일(淸一), 호는 성와(惺窩). 아버지는 의관(議官)을 지낸 김정훈(金正勳)이다. 김수홍(金壽洪)은 최익현(崔益鉉)에게서 학문을 익혀 문장이 탁월하고 의리가 뚜렷하여 춘추회(春秋會)에서 유생들에게 예(禮)를 강술하였다. 문묘와 태교사(泰喬祠)에 봉안되었다....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안동. 자는 성우(聖友), 호는 야춘(惹春). 참판 김낙회(金樂會)의 아들이다. 김태희가 완도군수로 있을 때 문덕(文德)으로 백성을 이끌어서 군민들이 강무정(降務亭)을 세워 자취를 기록하였다. 벼슬은 참판에 이르렀으나,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1894년 갑오변란 이후 임천(林泉)에 은거하며 지내다가, 1908년(순종 2) 7월 2일...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함종. 자는 성우(性于). 아버지는 어용인(魚用仁)이고, 아우는 어재순(魚在淳)이다. 어재연은 1866년(고종 3) 충청도병마절도사, 회령부사를 지냈고, 이 해 병인양요(丙寅洋擾)가 일어나 우선봉장(右先鋒將)으로 적을 격퇴하였다. 1871년(고종 8) 2월 도총관을 제수받았으며, 같은 해 6월 신미양요가 일어나자 진무중군(鎭撫中軍)으...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의 출신의 효자. 본관은 음성(陰城). 자(字)는 성원(聲元), 호(號)는 만오(晩悟). 효자 박정규(朴廷珪)의 손자이고, 박준흠(朴俊欽)의 아들이다. 박응한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다. 어머니가 염병에 걸리자 하늘에 빌며 정성을 다했는데, 갑자기 소나기가 쏟아지면서 잉어를 얻어 봉양하여 어머니의 병을 고쳤다. 또 어머니의 비병(痹病)을 침으로 고쳤으며...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경주, 자는 성원(聖遠). 십청헌 김세필(金世弼)의 13세손이다. 1882년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팔성리에서 김석용(金奭容)의 셋째아들로 태어났다. 김필제는 한일합병이 되자 서울로 상경하여 의거 활동을 하다가 왜경에게 쫓기게 되었다. 이때 왜경이 난사한 총탄에 오른팔을 맞았으나 구사일생으로 살아났다. 서재필 박사의 도움으로 팔...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유림지도자. 위은(渭隱) 정인상(鄭寅尙)의 맏아들로 자는 성윤(聖倫), 호는 구봉(九奉)이다. 정조헌은 재주가 뛰어나고 영특하여 3세 때 천자문(千字文)을 통달하고 20세까지 도장제(道莊齊)에서 한학(漢學)을 깊이 연구하였다. 그 후 가사에 종사하면서 마을 이장직을 23년간 맡아 주민복지에 헌신하였으며 한약방을 경영하면서 30여 년 동안 연말마다 전국 수천...
-
조선시대 충청북도 음성군에 살았던 열녀. 본관은 안동(安東). 성인하(成仁夏)의 처이다. 남편 성인하가 죽자 정절(貞節)을 지켰다. 1909년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리에 높이 210㎝의 비석을 세우고, 전면에 ‘성인하부인권씨정열비(成仁夏夫人權氏貞烈碑)’라고 기록했다....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리에 있는 조선시대 성인하 처 안동권씨가 정절을 지킨 것을 기리는 비. 성인하 처 안동권씨 정렬비는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청주로 가는 국도 36호선 변 원남면 하당리에서 왼쪽 하당저수지 쪽으로 올라가면 하당초등학교가 나오고 이 학교의 교정 끝부분에 있다. 비석은 방형(方形) 대석 위에 비신을 세우고 지붕돌을 얹은 모습으로 대석을 보호하기 위하여 시멘트로 바...
-
한복실 할머니는 병암1리 부녀회장이다. 처음 병암1리를 찾아 갔을 때 조사자들이 시집살이에 대해 여쭈자, 시집살이를 아주 심하게 겪었다고 할머니들이 입을 모아 한복실 할머니를 지목하였다. 한복실 할머니는 현재 병암1리 부녀회장을 맡고 있고, 병암1리 부녀회 이야기와 각종 계모임에 대해서 많은 도움 말씀을 해 주었다. 한복실 할머니는 할머니라고 부르기가 무색할 만큼 젊고 고운 모습...
-
어머니 생전에는 꽃단장하고 예쁘게 하고 다녔는데 어머니 돌아가시고 난 후 고생을 많이 했다. 신파가 동네에 들어왔을 때 동네 사람들이 김숙자 할머니가 어머니가 없다고 데려다가 신파를 가르쳤다. 그 당시에는 마을마다 명절 때 천막을 지어놓고 마을 청년, 학생들이 동네잔치 식으로 신파를 가르쳐줬었다. “옛날에, 내가 엄마가 없었시유. 그랬는데 동네에서 신파를 했어. 나를 엄마가 없으니...
-
친어머니가 낳은 오빠는 의용군으로 갔다가 병이 걸려서 집으로 돌아왔다. 아버지가 얼른 낳으라고 사다준 약이, 열이 들어가는 약을 사다줘야 하는데 열이 폭발하는 약을 사다줘서 집에 오고 3일 만에 죽었다. 당시에 올케가 아들을 낳았었는데 그 아들도 곧 죽고 말았다. 오빠가 그렇게 죽고 아들도 죽자 아버지가 소 판 돈 반을 주면서 친정으로 내쫓았고, 남은 돈으로 그때부터 부인을 얻기...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평곡리의 경계에 있는 산. 수정산은 성재산·수리봉 등으로도 불리고 있는데, 수정산에는 할미산성이 있어 할미성산으로도 부르고 있다. 산의 모양이 마치 독립된 섬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서쪽에는 옥수정 우물이 있고 산 중턱에는 토끼 모양의 장수바위가 있다. 장수바위에 올라서면 음성읍의 전경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산의 정상 부근에 있는 수정산성은 높이...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감우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군 음성읍에서 서남쪽으로 보현산고개 너머 산 중턱에 있는 마을이며, 남쪽으로 동음리와 접하고 있다. 예전에 성주사라는 절이 있었던 마을이라 하여 성주골, 절터골, 승주골이라 불린다. 본래 음성군 근서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성주동을 병합하여 감우리라 하여 음성면에 편입되었고, 1956년 음...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음성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충청북도 괴산군(槐山郡) 사리면(沙梨面) 근무를 시작으로 금왕면(金旺面)을 거쳐 3년간 음성군(陰城郡)에서 근무한 후 원남면장(遠南面長)으로 임용되어 2년간 고향을 위해 헌신·노력하다가 퇴임하였다. 원남면 의회 의장을 8년간 지냈고 원남면 농업협동조합장을 역임하였다. 내무부장관 표창과 전국엽연초연합회장상을 수상하였다....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감우리 보현산 기슭 ‘성주골’에 있는 고려시대의 절터. 음성에서 금왕 쪽으로 국도 37호선를 따라가다 보면 왼쪽으로 동음리로 향하는 길이 나온다. 이 길로 고개를 하나 넘으면 처음 나타나는 곳이 승주인데, 이곳에 성주사지가 있다. 현재 성주사지는 폐허가 되어 있고, 잡초와 수목이 무성하여 건물지 등의 흔적을 찾기 어려운 상태이다. 1910년경에 빈 절로 남아...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감우리 성주사지에 있는 조선 중기의 부도. 성주사는 빈 절로 남아 있다가 1910년경에 자연 붕괴되었다고 전해진다. 현재 성주사지는 폐허가 되었고, 옛 터의 남쪽 언덕에 2기의 부도가 남아 있다. 성주사는 언제 건립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등에 보현산에 성주사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것으로 보아 17세기 후...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감우리·동음리의 경계에 있는 산. 성주사(聖住寺)라는 절이 있었으므로 일명 성주산이라고도 한다. 보현산 북쪽에는 부용산[644m]이 있으며, 보현산과 부용산 사이에는 사정이고개와 기름고개가 있다. 사정이고개는 음성읍 용산리와 사정리를 연결하는 고개이고 기름고개는 신천리에서 감우리를 지나 사정리로 통하는 고개이다. 『비기』에 의하면 보현산에는 “명당 만인가활지...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차평리에 있는 조선 후기 김선경의 처 성주이씨의 정절을 기리는 열녀문. 충청북도 충주시에서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으로 가는 국도 33호선 변인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차평2리에서 오른쪽 양재 쪽으로 난 농로를 따라 300m쯤 가면 왼편으로 열녀각이 보인다. 성주이씨는 인문관 이휘의 딸로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임곡리에서 출생하였다. 1592년(선조 25)에...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에 활동한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성중(成仲), 호는 사우당(四友堂). 관찰사 최상익(崔商翼)이 형이다. 1674년(현종 15)에 40세에 사마시에 합격한 후 군자감직장(軍資監直長)을 지냈다.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소의장씨(昭儀張氏)의 아들을 원자로 세우려는 숙종의 뜻을 서인 송시열(宋時烈) 등이 반대하였다. 이에 실각...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성지(聖之), 호는 고산(孤山). 아버지는 반정익(潘廷翼)이다. 1626년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태어났다. 송시열의 문인이다. 아버지가 아프자 병을 낫게 하기 위하여 세 번이나 손가락을 끊어 피를 내어 먹였다. 재주와 인품이 훌륭하고 문장이 뛰어나 향리 사람들에게 추앙을 받았다. 과거를 보지 않고 학문에 몰두하였다....
-
조선시대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안동(安東). 자(字)는 성진(聲振), 호(號)는 우헌(愚軒). 김낙영(金樂英)의 아들이다. 김정훈의 어머니인 계모 박씨(朴氏)는 성격이 엄하였으며 힘을 기울여 그를 공직(供職)하게 하였다. 그 결과 김정훈은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을 지냈다. 추운 겨울 어머니가 병이 나자 그는 눈 속에서 눈물을 흘리며 얻기 어려운 약초를 구하여 어머니...
-
조선 중기 음성군 출신으로 음성현감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성진(聖珍), 호는 정헌(靜軒), 율리사옹(栗里蓑翁).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이지걸(李志傑)이다. 이세근은 윤증(尹拯) 문하에서 학문을 익혔으며, 1697년에 정시문과에 갑과 2등으로 급제하여 사헌부지평이 되었다. 1699년에 음성현감으로 부임하여 사직사우를 창건하였고, 고마청(雇馬廳)을 창설하였다. 또...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본관은 창녕(昌寧). 창녕성씨 시조 성인보(成仁輔)의 13세손이고, 성담명(成聃命)의 5세손이며, 성축(成軸)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진천송씨(鎭川宋氏) 송근(宋瑾)의 딸이며, 부인은 순천박씨(順天朴氏) 박민(朴敏)의 딸이다. 성담(成紞), 성유(成維), 성적(成績), 성표(成縹) 네 아들을 두었다. 1572년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태...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단양(丹陽). 자(字)는 성첨(聖瞻), 호(號)는 향초(香樵). 충신 장충범(張忠範)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장덕우(張悳雨)이다. 장동노는 항상 경로정신이 두터워 부친이 생존시에는 술과 고기를 항상 장만하여 드렸고, 이웃 어른과 노인을 정중히 모셔 부친의 뜻을 기쁘게 하여 드렸다. 부친상(父親喪)을 당하여서도 자신이 늙어서 몸과 마음이...
-
음성 출신의 조선 말기 문신. 김태희의 본관은 경주로, 김재(金在)의 5세손이고, 김성우(金聖雨) 아들이다. 김태희의 초명은 수인(秀仁)이고, 자는 성칠(性七)로, 법부주사(法部主事)를 지냈다. 『음성읍지』에 이름이 올라 있다. 음성군 생극면 도신리 신대에 있다....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 자는 성칠(成七). 시조 반충(潘忠)의 18세손이고, 통덕랑 반세영(潘世榮)의 9세손이다. 아버지는 반진국(潘鎭國)이다. 어머니는 경주이씨(慶州李氏)로 이현도(李賢道)의 딸이다. 부인은 충주최씨(忠州崔氏)이다. 아들로 반필동(潘必東)·반한동(潘漢東)·반회동(潘淮東)이 있다. 부모에 대한 효도와 형제에 대한 우애가 돈독하여 향리에...
-
조선시대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부모가 중병을 앓자 손가락을 잘라 피를 흘려드려 소생시키고 3일을 더 살게 하였다. 성필창의 효행이 알려져 복호(復戶)되어 조세·부역을 면제받았다....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행해지는 서낭신에 대한 제사. 우리나라의 마을은 배산임수를 중심으로 하며, 산을 등지고 남쪽으로 향하여 자리 잡고 있다. 마을로 들어오는 입구에는 서낭신을 모시는 서낭당이 있으며 그 옆에 장승이나 솟대가 있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서낭신은 토지 수호신이며, 마을의 경계 또는 입구를 지켜 주는 신이다. 그리하여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마을의 방액(防厄), 농사...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본관은 안동. 자는 성흥(聖興). 권휴(權休)의 아들이다. 권점은 선조의 유훈에 따라 도학(道學)에만 전념하였다. 향년 93세로 죽자 수직(壽職)으로 가선대부호조참판겸동지의금부오위도총부부총관(嘉善大夫戶曹參判兼同知義禁府五衛都摠府副摠管)에 증직되었다. 묘소가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능산리 산직말에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세고개는 원남면 소재지에서 서쪽에 위치한 조촌리의 남부 끝 지역에 있는 자연 마을이다. 세고개 밑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삼티라고 부르기도 한다. 본래 음성군 원서면 삼기동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조촌리에 포함되어 원남면에 편입되었다. 오래전부터 신안주씨가 마을을 이루고 살면서 문곡영당이란 사당...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삼봉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마을에 작은 골짜기가 많아 가느실이라 불린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忠州郡) 금목면(金目面)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증삼리, 정단리, 봉계리, 한삼리 일부와 맹동면 개현리 일부를 병합하여 한삼리의 ‘삼’자와 봉계리의 ‘봉’자를 따서 삼봉리라 명명하고 금왕면에 편입되었다. 1973년 금왕면이 금왕...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주봉리에 있는 산. 산의 모양이 시루처럼 생겼다고 하여 시루산이라고도 하는 데, 시루산을 한자로 표기하면 증산(甑山)이 된다. 시루산을 세루산(洗陋山)으로 쓰기도 한다. 소수면 옥현리 북쪽에는 오대산이 있고 남서쪽에는 백마산이 있으며, 남쪽에는 내동고개가 있다. 북쪽에는 도로가 통과하고 있는 보천고개가 있다. 증산 정상에는 직경 3m의 시루바위(일명 공기바위...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이루어지는 세금을 매기고 거두어들이는 일에 관한 사무. 조세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일반 국민으로부터 강제적으로 징수하는 재물을 말한다. 조세에는 국가가 거두어들이는 국세와 지방자치단체가 거두어들이는 지방세로 나누어진다. 지방세는 보통세(취득세·등록세·레저세·면허세·주민세·재산세·자동차세·주행세·농업소득세·담배소비세·도축세·종합토지세 등)와 목적세(도시계획세·지...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일 년을 기간으로 철에 따라 행해지는 전승적 행사. 세시(歲時)·세사(歲事)·월령(月令)·시령(時令) 등으로도 불리고 있으며, 쉽게 풀이한 말로 연중 행사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세시풍속의 시간적 배분은 태음력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일 년을 매 달로 나누어 행사를 지내고 있다. 음성은 전통적으로는 농경을 주로 하는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세시풍속이 농경...
-
2월 28일 사정1리 강당말의 마을회관을 방문했다. 마을회관은 할아버지, 할머니 방으로 나뉘어 있었다. 할아버지들께 옛날부터 마을에 전해 내려오는 풍속에 대해 여쭤보았다. 설에는 집집마다 제사를 지낸 뒤 마을 세배를 한다. 그전에는 집집이 세배를 올리고 젊은이들을 어른들을 찾아 세배를 드렸는데, 한 7~8년 전부터는 마을회관에 모여 어린이들이 어른들께 한 자리에서 세배를 드리는 행...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궁리에 있는 건축 강구조물 제조공장. (주)세화개발은 건축 강구조물 생산을 통한 이윤 추구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한국능률협회인증원으로부터 1997년 6월 1일 ISO 9002를 인증받았다. 상시 근로자 수는 30여 명이다. 2006년 매출액은 130억여 원, 자본금은 6억 5천만 원이다. (주)세화개발 음성공장에서는 건축물용 철골을...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봉곡리에 있는 통신·전력 케이블 제조업체. 통신·전력 케이블 제조를 통해 기업의 이윤 추구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90년 11월 19일 세화전선(주)이 설립되었다. 1992년 7월 29일 1종 전기용품 제조업을 등록하였고 1992년 10월 19일 한국전기용품안전관리협회에 가입하였다. 1993년 7월 6일 무역업(갑류)을 등록하였으며,...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쌍정리에 있는 연소물 및 흡연 용품 제조업체. 기업 활동을 통한 이윤 창출과 지역 경제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4년 12월 3일 설립 후 1998년 3월에 (주)셀로 상호를 변경하였고, 1998년 9월에는 (주)셀화학과 합병하였다. 그리고 2004년 5월 31일에는 (주)신평을 흡수 합병하였다. 연초용 필터, 아세테이트 토우, 트리아세틴,...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내송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소댕이는 내송2리의 서쪽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내송1리의 자연 마을인 큰비선거리와 맞닿아 있고, 서쪽으로는 내송2리의 자연 마을인 갓바위와 접하고 있다. 원래 이름은 소당리였는데 음이 변하여 소댕이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 송당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
도깨비는 옛날부터 우리 민족정서와 함께 어우러져 갖가지 민담의 형태로 현재까지 활발하게 전해지고 있다. 도깨비는 여타의 다른 귀신들과는 달리 악하거나 사람을 해하는 것 보다 씨름을 제안한다든지, 내기를 한다든지, 솥뚜껑을 솥 안으로 밀어 넣어 밥을 못 하게 만드는 등의 장난기 어린 행동들을 많이 한다. 도깨비가 사람들이 사용하던 빗자루, 가마니, 짚신 등에서 태어나 사람들 곁에서...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이루어지는 화재의 진압 및 예방과 관련된 활동. 소방이라는 용어의 사용과 근대적인 소방 행정은 갑오경장 이후부터이다. 1894년 7월 14일 지금의 경찰청에 해당하는 경무청(警務廳)을 설치하고 행정경찰장정(行政警察章程)을 제정하여 치안 업무뿐만 아니라 소방 업무까지 관장하게 하였다. 이듬해인 1895년 4월 29일에는 경무청 직제를 제정하여 경무청에 경무사관방(...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에 속하는 행정리. 소당리의 ‘소’자와 석격리에서의 ‘석’자의 각 한 글자씩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대조면(大鳥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소당리(韶唐里)·석격리(石格里)·삼한리(三閑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소당리라 하여 대소면에 편입되었다. 북쪽에는 137m의 산이 있고, 삼한이고개(원...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 자는 경렬(景烈), 호는 소성(小醒). 아버지는 효자 최재기(崔在沂)이다. 1852년(철종 3) 10월 16일에 창경궁 춘당대에서 열린 생원시에서 장원을 하여 철종의 찬사를 받았다. 입격한 시부(試賦)가 남아 있다. 묘소는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매봉재에 있다....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자는 자휴(子休), 호는 만계(灣溪). 아버지는 사예(司藝) 채륜(蔡倫)이고, 아들은 나재(懶齋) 채수(蔡壽)이다. 채신보는 1438년(세종 20) 18세에 진사(進士)가 되고 함창현감(咸昌縣監)을 거쳐 1458년(세조 4)부터 1465년(세조 11년)까지 7년간을 음성현감으로 재직했다. 그 후 경산현감(慶山縣監)·...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동음리·금왕읍 백야리·맹동면 인곡리의 경계에 있는 산. 보은군 속리산의 줄기가 서쪽을 향하여 이루어졌고 산세가 속리산과 비슷하고 아름다워 작은 속리산이라는 의미에서 소속리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동부는 산지 지대로서 동북쪽의 용계리에는 용계저수지가 있고 서부는 저평한 구릉지로 되어 있다. 산 남쪽에 있는 명암(鳴岩)은 아래가 자리처럼 펼쳐져 있고 덮개...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에 속하는 법정리. 본래 음성군 근서면(近西面) 지역으로서 소렷골 또는 소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산양티[山陽峙]·주천(酒川)·내동(內洞)·대촌(大村)·선가동(仙駕洞)·족지곡(足芝谷)을 병합하여 소여리가 되었다. 1956년 7월 8일 음성면이 읍성읍으로 승격되었다. 사면이 300~500m 내외로 이루어져 있어 대체로 지형이 높다. 이들...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소여리에 있는 산제당. 소여리 산제당은 소여리의 안골 뒤쪽 산골짜기에 자리잡고 있다. 산제당은 높이 2.1m, 폭 4.5m로, 슬레이트 지붕에 흙벽으로 지어져 있는데, 기둥에 1967년 음력 4월 16일 개축했다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산제당 주위에는 굴참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다. 제사를 지내기 며칠 전에 생기복덕에 맞추어 제관을 뽑는다. 제관으로 뽑히면 산...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소여리 안골에서 음력 정월 초 산신에게 올리는 제의. 안골은 소여리 안쪽 골짜기에 있다는 데서 유래하였으며, 음성읍에서 서북쪽으로 약 3㎞ 지점에 위치한다. 동쪽으로는 산양재, 북쪽으로는 감우리와 접하고 있다. 산제당은 안골 뒷산 정상부에 있는데, 흙벽돌집으로 방 1개와 조그만 아궁이가 있는 부엌으로 이루어져 있다. 소여리 안골 산신제는 음력 정월 초 길일을...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소여리 만생산에서 발원하여 평곡리에 이르는 하천. 만생산[410m]에서 발원하여 소여리 중앙부와 신천리 남동쪽 새터말을 지나서 흐르는 하천으로 신천리 돌명이(일명 석명동) 앞에서 음성천과 합류한다. 소여천은 음성읍 소여리에 흐르고 있는 하천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서부에는 보현산(477m, 일명 성주산)이, 북쪽에는 385고지가, 동쪽에는 304고지가,...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음성(陰城). 자는 덕여(德汝), 호는 입암(立庵). 박서(朴犀) 장군의 16세손이고, 아버지는 아산현감 박정규(朴廷珪)이며, 어머니는 경주이씨 장령 이행민의 딸이다. 박준흠은 어려서부터 글을 좋아하여 한번 읽은 글은 반드시 기억하여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 또한 성장하면서 경학을 연구하였고, 의문점은 도암 이재와 여호 박필주에게 배...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야수(野叟), 호는 소옹(素翁). 아버지는 병조참의 이상급(李尙伋)이다. 아들은 이지술(李志述), 이지도(李志道), 이지규(李志逵)이다. 15세에 사서삼경을 통달하였고 장성하여 장유(張維)에게 수학하였다. 1635년(인조 13)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 진사에 올랐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남한산성으로 호종하여 원종...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정치가이자 행정 관료. 1936년 동흥중학교(東興中學校)와 1938년 만주 길림사범학교를 졸업하고, 교직에 몸담아 1939년 신선국민우급학교(神仙國民優級學校) 교장을 역임한 후 1945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비상국민회의 대의원을 역임하였다. 1948년에는 대동청년단 소속으로 충주에서 제헌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54년 제3대 총선에서 자유당으로 국회의원에...
-
비산리는 높은 산을 찾아볼 수는 없지만 비석거리에 서서 마을을 한 바퀴 돌며 바라보면 낮은 고개와 봉우리들이 마을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모습이다. 이명희 할아버지(83세)는 마을 중간에서 바로 앞쪽에 가장 높게 보이는 산을 가리키며 산과 바위의 지명에 대해 설명해 주었다. 그 산의 이름은 ‘괸돌산’이라고 하며 그 산 위에 공기바위라는 큰 바위가 있다고 한다. “여기선 산 이름을...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대장리에서 후미리까지 연결되는 지방도. 지방도 599번은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에서 충주시 소태면 덕은리 간의 총 연장 41.7㎞의 지방도이며, 소이~소태길이라고도 한다. 지방도 599번의 음성군 구간은 소이면 대장리에서 소이면 후미리까지 4㎞ 길이의 지방도이다. 음성군 소이면 대장리에서 국가지원 지방도 49번과 지방도 516번이 분기한다. 음성군 소이면에서...
-
충청북도 음성군에 속하는 행정면. 충청북도 음성군이 관할하고 있는 2읍 7개 면 중의 하나이다. 소이면은 대장리·후미리·중동리·문등리·갑산리·봉전리·금고리·충도리·비산리 등 9개의 법정리를 관할하고 있으며 행정리 26개, 91반, 49개의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소파면(蘇坡面)의 ‘소(蘇)’자와 사이포면(沙伊浦面)의 ‘이(伊)’자를 따서 소이면이라 하였다. 본래 충주군 사이포...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대장1리에 있는 소이면 주민들의 체육 단체. 면민들이 체육 활동을 통하여 체력을 키우고 건전하고 명랑한 생활 기풍을 진작시키며, 면내 아마추어 경기 단체를 총괄 지도하고 우수 선수의 양성 및 발굴로 소이면 체육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창립되었다. 제1대는 남모원 회장(1974~1980)이 이끌었고, 제2대는 이강문 회장이 맡았다. 이후 신화철이 3대~6대 회...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대장1리에 있는 음성군의 하부 행정 기관. 충청북도 음성군을 구성하고 있는 2개 읍(음성읍·금왕읍), 7개 면(소이면·원남면·맹동면·대소면·생극면·삼성면·감곡면) 중 소이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소이면은 본래 충주군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사이포면...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대장리에 있는 충북선 복선철도의 통과역. 1922년 3월 5일 중앙철도주식회사에 편입되어 영업을 개시하였으며, 청주~충주 간 국도 36호선에서 남동쪽으로 약 2㎞ 떨어져 있다. 1928년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에서 충청북도 충주 간 충북선이 개통됨에 따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28년 12월 25일 충북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소이역은 198...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대장리에 있는 우편·전신·금융을 담당하는 기관. 우체국은 국장의 지위에 따라서 4급(서기관국), 5급(사무관국), 6급(주사국), 7급(주사보국)으로 분류되거나 기능에 따라서 체신청, 우편집중국, 집배국, 무집배국으로도 분류된다. 또한 설립 주체에 따라 일반우체국, 별정우체국, 우편취급소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4급우체국과 5급우체국은 총괄국으로서 기초자치...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대장리와 후미리 일대에 조성된 지방 산업 단지. 소이공업단지는 1994년에 완공되었으며, 1996년에 소이지방산업단지로 전환되었다. 음성군청 공업경제과에서 소이지방산업단지라는 명칭을 부여하였고 음성군수가 관리하고 있다. 소이지방산업단지에는 2016년 현재 7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 소이지방산업단지는 음성군에서 충청북도 음성군 개발의 지역적 불균등을 없애고 음...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금고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취미와 소질을 신장하여 슬기롭게 세상의 아름다움을 느끼는 어린이, 예의 바르고 질서를 존중하며 남과 더불어 사는 건전한 도덕적 심성을 지닌 어린이, 자율적인 학습 태도로 탐구 능력을 익히는 창조적인 어린이, 체육 보건과 안전에 대한 기초 지식과 기능을 익히는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수영의 기초 기능을 익혀 평생체육으로 건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