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101860
한자 申厚載肖像
영어의미역 Portrait of Sin Hujae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궁리 29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길경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6년 4월 28일연표보기 - 신후재 초상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54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신후재 초상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성격 영정
제작시기/일시 조선 후기
소장처 평산신씨 문중[신현익]
소장처 주소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궁리 29 지도보기
소유자 평산신씨 문중[신현익]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정의]

충청북도 음성군평산신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신후재의 초상화.

[개설]

신후재(申厚載)[1636~1699]는 1660년(현종 원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강원도관찰사 등을 지냈으나, 1694년에 일어난 갑술옥사에 연루되어 옥살이를 한 후에는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형태 및 구성]

정장 관복을 입고 의자에 앉은 전신상으로 의관이나 단령의 관복 등 복식은 조선 숙종 연간의 제식을 따랐다. 그러나 초상화의 상용 형식을 보면, 동시대의 다른 초상화의 경우 공수자세를 취하는 데 반해 양손에 홀을 받들어 쥐고 손을 노출시켰으며 긴 손톱을 표현하였다.

단령 위에는 각대를 나타내지 않았고 의좌와 족좌대가 겹쳐져 있는 등 불합리한 형태로 표현하였다. 바닥에는 양탄자나 화문석을 깔지 않았으며, 의자가 인물에 비하여 큰 편이다. 호피의 표현은 거친 편이나 초상화의 안면 세부묘사는 뛰어나다.

[의의와 평가]

후손가에 전해 오는 이야기대로 신후재가 청나라에 사은사로 갔다가 돌아올 때 가지고 온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으로 조선 후기의 초상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1986년 4월 28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54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