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진말 사람들은 산신을 모시고 믿으며, 산제당 근처에 있는 나무도 함부로 베어서는 안 된다고 믿는다. 권순복 할머니(47년생, 61세)는 마을 사람 중 한 사람이 어떤 사람이 목매달아 죽은 나무를 베어 변소를 만들었다가 역시 목을 매달아 죽은 사람 이야기를 들려주었는데, 그 일이 일어나기 전 그 집에서 구렁이가 나타났다고 한다. 할머니들은 구렁이를 안 좋은 일, 즉 흉함이 일어날...
-
병암1리에서는 예전부터 정월 대보름이면 마을에서 제일 높은 이진봉에 올라가 달집을 태우고 소원을 빌었으며, 줄다리기도 하였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사람이 많이 줄어들어서 줄다리기는 하지 못하고 대신 온 마을 사람들이 모여 척사대회를 하고 있다. 3월 4일. 음력으로 정월 보름에 해당하는 날이었다. 이날 아침부터 잔뜩 찌푸린 하늘에서는 금방이라도 비가 쏟아 질 것처럼 보였다. 바람마...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에서 가섭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음성읍 용산리에서 널리 퍼진 이야기로, 1982년에 출간한 『전설지』에 수록되어 있다. 음성읍에서 북쪽으로 중원군 신니면과 접경을 이루는 곳에 해발 710m의 가섭산이 있는데, 옛날 가섭산으로 불리기 전 이 산의 중턱에는 조그만 암자가 하나 있었다. 이름도 없는 암자에는 스님이 한 명 머물고 있었다. 스님은...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각설이들이 남의 집 대문 앞이나 장터에서 구걸할 때 부르던 노래. 「각설이 타령」은 각 지방을 떠돌며 구걸을 다니는 각설이들이 주로 신세타령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장 타령」, 또는 「품바 타령」이라고도 부르는데, 지방마다 사설이 다르다. 음성군에서는 두 가지 유형의 「각설이 타령」이 채록되었다. 「각설이 타령」(1)은 음성군 삼성면 능산리에 사는 이경우가...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의 모래재에 있는 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 사람들이 ‘각시무덤’이라고 부르는 무덤은 소이면의 소재지인 대장리에서 서북쪽으로 1㎞ 떨어진 모래재라는 고개 중턱에 있다. 이 무덤은 조선 중기 음성군 원남면 마송리에 살던 청주고씨 집안의 고이후(高以厚)와 혼인을 앞두고 죽은 고흥유씨 처녀가 묻힌 곳이라고 전한다. 1982년에...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의 가섭사에 있는 우물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가섭산 마루턱에 있는 가섭사는 본래 초라한 암자였다가 고려 후기인 공민왕[1352~1374] 때 나옹화상 혜근(惠勤)이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감로정」은 아무리 많은 사람이 먹어도 바닥이 드러나지 않는다는 가섭사의 우물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이다. 음성군 평곡리에 사는 유영호가 구연한 것을 채록하...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서사민요의 하나. 「강실도령 노래」는 서사민요의 범주에 들어가는 길쌈노동요이다. 서사민요란 주로 부녀자들이 베를 짜거나 밭을 맬 때 일의 고단함과 지루함을 덜고, 생활 속에서 겪는 한을 풀기 위해 많이 부른 민요를 말한다. 이때는 간략한 내용보다 긴 내용의 노래가 적당하며, 줄거리가 있어야 지루하지 않고 짜임새와 재미를 갖출 수 있다. 이 때문에...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전래동요. 「거미 타령」은 거미를 주제로 한 전래동요이다. 「거미 타령」이란 이름으로 지역마다 다른 가사로써 불리는 노래이기도 한데, 전라남도 완도 지역에서 전해 오는 「거미 타령」은 거미줄을 쳐놓고 나비가 걸리기를 기다리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1995년에 삼성면 천평3리에 사는 신정님(여)이 부른 것을 임영택이 채록하여, 「전래동요의 음악교...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추석날 마을 사람들이 모여 민속놀이인 거북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민요. 거북놀이는 음성 지역에서 추석날 마을 사람들이 모여서 수수잎이나 옥수수잎·왕골·볏짚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거북이를 만들고, 거북이와 같이 온 마을 사람들이 한 해의 풍요에 감사하며 놀았던 민속놀이의 하나이다. 대동성과 기원성을 앞세워 지신밟기처럼 길놀이→문굿→샘굿(용궁굿)→터주굿→조왕굿→마당놀...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추석날 마을 사람들이 모여 민속놀이인 거북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민요. 거북놀이는 음성 지역에서 추석날 마을 사람들이 모여서 수수잎이나 옥수수잎·왕골·볏짚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거북이를 만들고, 거북이와 같이 온 마을 사람들이 한 해의 풍요에 감사하며 놀았던 민속놀이의 하나이다. 대동성과 기원성을 앞세워 지신밟기처럼 길놀이→문굿→샘굿(용궁굿)→터주굿→조왕굿→마당놀...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향리에서 거북 모양의 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음성군 감곡면 오향리 일대에서 채록하여, 2003년에 출간한 『감곡향토지』와 2005년에 출간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하였다. 먼 옛날 한 노승이 산길을 지나다가 아주 잘생긴 바위를 보고 가던 길을 멈추었다. 큰 산 아래로 뻗은 능선 줄기에 고즈넉한 마을이 있는 곳이었다. 보아하니 그 바위는...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세시의식요의 하나. 복을 부르고 액을 막아 준다는 「고사 소리」는 정월 대보름에 풍물패들이 마을을 돌며 지신밟기를 할 때 주로 부르는 세시의식요이다. 역대 왕조의 치국에 대한 풀이와 함께, 산세(山勢)가 명당인지에 대한 산세풀이에 이어, 가업이 번창하고 자손만대가 복을 받으라는 축원과 액막이에 관한 내용이 담겨 있다. 1992년 음성군 소이면 봉전...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세시의식요의 하나. 복을 부르고 액을 막아 준다는 「고사 소리」는 정월 대보름에 풍물패들이 마을을 돌며 지신밟기를 할 때 주로 부르는 세시의식요이다. 역대 왕조의 치국에 대한 풀이와 함께, 산세(山勢)가 명당인지에 대한 산세풀이에 이어, 가업이 번창하고 자손만대가 복을 받으라는 축원과 액막이에 관한 내용이 담겨 있다. 1992년 음성군 소이면 봉전...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세시의식요의 하나. 복을 부르고 액을 막아 준다는 「고사 소리」는 정월 대보름에 풍물패들이 마을을 돌며 지신밟기를 할 때 주로 부르는 세시의식요이다. 역대 왕조의 치국에 대한 풀이와 함께, 산세(山勢)가 명당인지에 대한 산세풀이에 이어, 가업이 번창하고 자손만대가 복을 받으라는 축원과 액막이에 관한 내용이 담겨 있다. 1992년 음성군 소이면 봉전...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상평1리 골상촌에 있는 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음성군 감곡면 일대에서 전해 오는 이야기로, 2003년에 출간한 『감곡향토지』에 수록되어 있다. 음성군 감곡면 상평1리의 골상촌 동쪽 산마루에는 바위가 하나 있는데, 예전에는 이 바위 밑에 여러 스님이 살던 절이 있어 절터골이라 불렸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스님이 하나둘 없어지더니 한 스님만 남게...
-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서 곱새치기 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 곱새치기는 돈이나 물건을 걸고 승부를 가리는 놀이이다. 「곱새치기 노래」는 이때 자신이 들고 있는 패의 숫자를 상대방에게 암시하며 부르는 노래로서, 상대방은 이 노랫말을 듣고 자신이 내야 할 숫자를 계산하며 놀이를 진행한다. 곱새치기는 1970년대까지 전국적으로 행해지던 놀이였으나 현재는 화투에 밀려서 거의 자취를 감춘...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평곡리에서 시루산 정상에 있는 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음성군에서 동쪽으로 약 700m 지점에 해발 393m의 수정산이 있다. 그리고 이 수정산에서 남쪽으로 마주보이는 곳에 속칭 시루산이라고도 하는 증산이 서 있다. 이 시루산 정상에는 직경이 3m 정도 되는 바위가 있는데, 사람들은 이 바위를 공기바위, 또는 장수바위·시루바위 등으로 부른다....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갑리에서 금구몰니형 명당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평산신씨 오갑 종중 약사에 채록되어 전하는 이야기로, 2002년에 출간한 『음성민속지』와 2003년에 출간한 『감곡향토지』에 수록되었다. 옛날에 도승으로 이름난 도선대사가 오갑땅을 지나게 되었다. 도선대사는 잠시 쉬었다 가려고 노인들이 모여 앉은 어느 정자나무 밑에 앉으며, “이곳에 천하 명당이 있...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부녀자들이 정월 대보름날 놋다리밟기를 하면서 부르던 민요. 놋다리밟기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 밤 부녀자들이 하는 민속놀이의 하나이다. 여자들이 촘촘히 서서 앞사람의 허리를 잡고 굽히면, 한 사람이 부축을 받으며 사람들의 등 위로 올라가 밟아 가는 놀이로, 이때 서로의 흥을 돋우고 놀이를 더욱 신명나게 이끌기 위하여 「기와밟기 노래」를 불렀다. 놋다리밟기는 경상북도...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논을 맬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 음성 지역에서는 논을 맬 때 초벌(애벌)과 재벌(두벌·이듬)·세벌로 나누어서 매는데, 보통 초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찌거매야)」를 부르고, 재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대허리)」, 세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방아호)」를 부른다. 「논매는 소리」는 초벌이나 재벌, 세벌에 상관없이 논일을 할 때 일반적으로 부르는 노래이다...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논을 맬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 음성 지역에서는 논을 맬 때 초벌(애벌)과 재벌(두벌·이듬)·세벌로 나누어서 매는데, 보통 초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찌거매야)」를 부르고, 재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대허리)」, 세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방아호)」를 부른다. 「논매는 소리」는 초벌이나 재벌, 세벌에 상관없이 논일을 할 때 일반적으로 부르는 노래이다...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사곡리에서 원통산에 있는 김생암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감곡면 사곡리 일대에서 오래 전부터 전해 오는 이야기로, 2003년에 출간한 『감곡향토지』와 2005년에 출간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되어 있다. 신라시대 명필로 유명한 김생이 원통산에서 암자를 지어 놓고 글씨를 연습하며 살 때의 일이다. 김생은 근처 숲속에 있는 나무에서 이파리를 따서...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차평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열녀 이야기. 「김선경의 처 성주이씨 이야기」는 임진왜란 때 죽음으로 치욕을 씻었던 김선경의 처 성주이씨에 관한 이야기이다. 음성군 생극면 차평리에는 훗날 성주이씨에게 나라에서 내린 열녀문이 세워져 있다. 음성군 생극면 차평리에 전해 오는 이야기로, 2005년에 발행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되어 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팔성리에 전해 내려오는 김성간의 과거 시험에 관한 이야기. 김성간(金成簡)은 자는 계화(季化), 호는 만재(晩齋)이며,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팔성리 말마리 사람이다. 유학자이자 시인이었으나 과거에 운이 없어 후진 교육에만 힘썼다. 음사시(音似詩) 1수가 전하는데, “개구리를 논하지 말고 족제비의 덕을 말한다네 고구마는 풀이 아니니 잎사귀엔 물이 없다네(勿論...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팔성리에서 김세필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김세필의 일화」는 음성 지역의 대표적인 유학자 김세필(金世弼)[1473~1533]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이다. 김세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04년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으로 풀려나왔다. 그후 기묘사화 때 조광조가 사사되자 중종의 과오를 규탄하다 유춘역에 장배되었다가 1522...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2리에 있는 샘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음성군 삼성면 덕정2리에서 오래 전부터 전해 오는 이야기로, 2002년에 출간한 『음성민속지』와 2005년에 출간한 『음성의 구비문학』 등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 말기에 정읍목사를 지내던 조씨라는 사람이 한양으로 가다 이곳 덕정리를 지나게 되었다. 다리가 아파서 잠시 쉬었다 가는 중에 마을 안에 있는 샘물...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평곡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까치섬에 얽힌 지명 전설. 제보자는 1982년 충청북도 『전설지』에 의하면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의 김동삼으로 전해지고 있다.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음성천을 따라 남쪽 원남면 보천리 방면으로 약 1㎞ 떨어진 지점에 오리정교와 구안천으로 흘러 들어가는 곳의 평야에 흡사 뭍에 있는 섬처럼 둥그런 모양을 한 구릉지를 볼 수 있다. 이...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어린아이들이 동무들과 어울려 말 이어가기 놀이를 하면서 부르던 전래동요. 「꼬리따기 노래」는 말 유희에 속하는 전래동요이다. 일상에서 사용하는 어휘를 두서없이 나열한 듯하면서도 어휘의 첫소리를 따서 적절하게 이어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노래를 통해 어린아이들은 말의 유희를 저절로 터득했을 터이다. 언어의 유희와 함께 놀이의 즐거움을 함께 느낄 수 있는 노래...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인곡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형식담의 하나. 1974년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인곡리에서 이종만(남, 66세)이 구연한 것을 한상수가 채록하여, 1974년에 출간한 『한국민담선』에 수록하였다. 옛날 옛적 갓날 갓적, 꼬부랑 할머니가 꼬부랑 꼬부랑 살고 있었다. 하루는 꼬부랑 할머니가 꼬부랑 지팡이를 짚고 꼬부랑고개를 꼬부랑 꼬부랑 넘는데, 꼬부랑 강아지가 꼬리를...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아이들이 놀면서 부르던 전래동요. 「꼴둑각시는 여깄는데」는 아이들이 저고리에서 팔을 빼고 팔없는 사람처럼 해서 흔들면서 부르던 동요이다. 꼴둑각시는 여자고 곰배팔이는 남자인데, 대부분 남자로 변장하여 곰배팔이처럼 놀았다고 한다. 경기도와 충청북도 등 주로 중부 지방에서 불렸다. 음성군 원남면 보천3리에 사는 고을출(여, 1915)이 부른 것을 임영택이 채보하여,...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인색한 친구 골려 준 이야기. 1983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에서 김정섭(남, 45세)이 구연한 것을 박재용이 채록하여, 1983년에 출간한 『민담 민요집』에 수록하였다. 배포 좋기로 소문난 한량이, 친구의 소실한테 은근히 눈독을 들여 오다 조용한 기회를 타서 수작을 걸었다. 원래 기생이었던 이 여자는 사내의 유혹에 마음이 끌리면서...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에서 남극년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664년 원남면 상노리 노악동(노래기)에서 태어난 남극년은 1689년(숙종 15)에 무과에 급제하고 벼슬길에 올라 병조참지까지 지냈다고 한다.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 일대에서 오래 전부터 전해 오는 이야기로, 1982년에 출간한 『전설지』에 수록되어 있다. 1686년(숙종 12)에 남극년은 부친상을 입자 지...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에서 남극년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664년 원남면 상노리 노악동(노래기)에서 태어난 남극년은 1689년(숙종 15)에 무과에 급제하고 벼슬길에 올라 병조참지까지 지냈다고 한다.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 일대에서 오래 전부터 전해 오는 이야기로, 1982년에 출간한 『전설지』에 수록되어 있다. 1686년(숙종 12)에 남극년은 부친상을 입자 지...
-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는 신선바위와 남이 장군의 출생에 관한 전설. 백족산 기슭에는 큰 절이 있고 절 뒷산 꼭대기에는 신선바위라는 바위가 있다. 백족산을 휘감아 도는 청미천이 흐르고 그 건너 동쪽에는 원통산 지맥에 자리한 남이 장군의 출생지라는 영산리 잔작골이 있다. 백족산 기슭에 있는 백여 명의 승려가 수도하던 큰 절에는 매년 부처님오신날에 승천을 희망하는 스님이 목욕재계를 하고...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남취오의 묘에 얽힌 이야기. 「남취오의 묘」는 남취오의 묘에서 흥겨운 소리가 들리면 사흘 뒤에 그 집안에 경사가 생긴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전설이다. 남취오의 묘는 원남면 상노리 아랫말에서 벌가마골로 향하는 중간 지점인 천복동(天卜洞)에 있는데, 근동에서는 드물게 보는 명당자리라고 한다.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에서 오래 전부터 전해 오...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잔치나 모임 등에서 흥이 나면 부르는 가창유희요의 하나. 「노랫가락」은 본디 경기 지방의 굿에서 불리던 무가인데 대중에게 널리 퍼져 민요로 정착한 노래이다. 음성 지역에서는 잔치나 모임 등에서 흥이 나면 많이 부르는 가창유희요의 하나이다. 가창유희요는 일정한 기능이 없어 술 마시고 춤추면서 어울려 노는 판에 특별한 절차를 무시하고 임의대로 부르는 노래이다. 흔히...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논을 맬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음성군에서는 보통 세 차례 정도 논을 맨다. 이를 초벌(애벌), 재벌(두벌), 세벌이라고 하는데, 「논매는 소리(찌거매야)」는 보통 초벌 맬 때 부르는 소리이다. 이외에도 재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대허리)」를 부르고, 세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방아호)」를 부른다. 초벌이나 재벌, 세벌에...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논을 맬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 「논매는 소리(대허리)」는 음성 지역에서 논을 맬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이다. 음성 지역에서는 논을 맬 때 보통 초벌(애벌)·재벌(두벌·이듬)·세벌로 나누어서 매는데, 「논매는 소리(대허리)」는 이중 재벌 맬 때 주로 부르는 노동요이다. 초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찌거매야)」를 부르고, 세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에서 논을 맬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 음성 지역에서는 논을 맬 때 초벌(애벌)·재벌(두벌·이듬)·세벌로 나누어서 매는데, 「논매는 소리(방아호)」는 세벌 맬 때 주로 부르는 노동요이다. 초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찌거매야)」를 부르고, 재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대허리)」를 부른다. 그 외에도 논일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 중에 「논매는 소리」가 있는데...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논을 맬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음성군에서는 보통 세 차례 정도 논을 맨다. 이를 초벌(애벌), 재벌(두벌), 세벌이라고 하는데, 「논매는 소리(찌거매야)」는 보통 초벌 맬 때 부르는 소리이다. 이외에도 재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대허리)」를 부르고, 세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방아호)」를 부른다. 초벌이나 재벌, 세벌에...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논을 맬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 음성 지역에서는 논을 맬 때 초벌(애벌)과 재벌(두벌·이듬)·세벌로 나누어서 매는데, 보통 초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찌거매야)」를 부르고, 재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대허리)」, 세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방아호)」를 부른다. 「논매는 소리」는 초벌이나 재벌, 세벌에 상관없이 논일을 할 때 일반적으로 부르는 노래이다...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에서 논을 맬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 음성 지역에서는 논을 맬 때 초벌(애벌)·재벌(두벌·이듬)·세벌로 나누어서 매는데, 「논매는 소리(방아호)」는 세벌 맬 때 주로 부르는 노동요이다. 초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찌거매야)」를 부르고, 재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대허리)」를 부른다. 그 외에도 논일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 중에 「논매는 소리」가 있는데...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논을 맬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 「논매는 소리(대허리)」는 음성 지역에서 논을 맬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이다. 음성 지역에서는 논을 맬 때 보통 초벌(애벌)·재벌(두벌·이듬)·세벌로 나누어서 매는데, 「논매는 소리(대허리)」는 이중 재벌 맬 때 주로 부르는 노동요이다. 초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찌거매야)」를 부르고, 세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에서 논을 맬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 음성 지역에서는 논을 맬 때 초벌(애벌)·재벌(두벌·이듬)·세벌로 나누어서 매는데, 「논매는 소리(방아호)」는 세벌 맬 때 주로 부르는 노동요이다. 초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찌거매야)」를 부르고, 재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대허리)」를 부른다. 그 외에도 논일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 중에 「논매는 소리」가 있는데...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논을 맬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음성군에서는 보통 세 차례 정도 논을 맨다. 이를 초벌(애벌), 재벌(두벌), 세벌이라고 하는데, 「논매는 소리(찌거매야)」는 보통 초벌 맬 때 부르는 소리이다. 이외에도 재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대허리)」를 부르고, 세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방아호)」를 부른다. 초벌이나 재벌, 세벌에...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논을 맬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 음성 지역에서는 논을 맬 때 초벌(애벌)과 재벌(두벌·이듬)·세벌로 나누어서 매는데, 보통 초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찌거매야)」를 부르고, 재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대허리)」, 세벌 맬 때는 「논매는 소리(방아호)」를 부른다. 「논매는 소리」는 초벌이나 재벌, 세벌에 상관없이 논일을 할 때 일반적으로 부르는 노래이다...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소설가 이무영이 1950년에 『한성일보』에 연재한 장편소설. 이무영(李無影)[1908~1960]은 1925년 일본으로 건너간 뒤 세이조중학교에 다니다가 일본작가 가토 다케오[加藤武雄] 문하에서 문학수업을 하였다. 1932년 장편소설 『지축을 돌리는 사람들』을 『동아일보』에 연재하고, 이어 「B녀의 소묘」·「창백한 얼굴」·「오후 영시(零時)」 등의 단편과 희곡...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능산리에서 아이들이 편을 갈라 다리빼기 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전래동요의 하나. 다리빼기 놀이는 여러 사람이 두 편으로 나누어 마주보고 앉은 뒤 엇갈리게 다리를 펴서 끼우고, 「다리 노래」의 종지에 맞아떨어지는 다리를 빼내는 놀이이다. 두 다리를 먼저 빼낸 사람은 임금이라 하여 우대를 하기도 하였다. 노랫말에 “이다리 저다리”란 표현이 들어 있기 때문인지 「이...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달을 소재로 전해 내려오는 유희요의 하나. 우리나라 사람들은 예부터 달에게 한 해의 풍요와 안녕, 출산 등의 소원을 빌어 왔다. 이는 달이 이지러졌다가도 다시 차오르는 생생력을 지니고 있고, 그 힘이 사람에게 전파되는 주술적 힘을 지니고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음성 지역에서 즐겨 부르는 「달 노래」는 소박한 집을 지어 부모님을 모시고 오래도록 살고 싶다는 소망...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할머니나 어머니가 어린아이들을 어를 때 부르는 전래동요. 전래동요의 하나인 「달강달강」은 할머니나 어머니가 아이를 어르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달강달강’은 ‘달가당달가당’의 준말로, 노래를 부를 때는 보통 어린아이를 세워 놓고 두 손을 잡은 뒤 앞뒤로 밀었다 당겼다 하면서 부른다고 한다. 1992년에 임영택이 음성군 삼성면 천평3리에 사는 서화순(여)에게서 채보...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할머니나 어머니가 어린아이들을 어를 때 부르는 전래동요. 전래동요의 하나인 「달강달강」은 할머니나 어머니가 아이를 어르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달강달강’은 ‘달가당달가당’의 준말로, 노래를 부를 때는 보통 어린아이를 세워 놓고 두 손을 잡은 뒤 앞뒤로 밀었다 당겼다 하면서 부른다고 한다. 1992년에 임영택이 음성군 삼성면 천평3리에 사는 서화순(여)에게서 채보...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무덤의 흙을 다지면서 부르는 장례의식요의 하나. 「달구질 소리」는 마을 사람들이 함께 무덤의 흙을 다지면서 죽은 사람이 좋은 곳으로 떠나기를 바라는 염원과 함께, 살아 있는 사람들이 복을 받기를 바라는 기대를 담고 부르는 장례의식요의 하나이다. 보통 무덤을 만들 때나 하관 후 흙을 덮고 빈틈을 없애기 위해 여러 사람이 막대기로 땅을 다지거나 발로 밟고 빙빙 돌면...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아이들이 부르는 전래동요의 하나. 1995년에 임영택이 음성군 원남면 보천3리의 고을출(여)에게서 채보하여, 『한국민요대전-충청북도 민요해설집-』(MBC, 1995)에 게재하였다. 「달두 달두 밝다」는 한가위와 같은 밝은 달빛 아래 남회장(저고리의 겨드랑이로부터 소매까지 남색으로 된 저고리) 저고리와 백항라(명주, 모시, 무명실 등으로 짠 하얀색 여름 옷감) 저...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아이들이 ‘닭잡기 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전래동요의 하나. 1995년에 임영택이 음성군 원남면 보천3리의 고을출(여)에게서 채보하여 『한국민요대전-충청북도 민요해설집-』(MBC, 1995)에 게재하였다. 「닭잡기 놀이 노래」라고도 불리는 「닭잡기 놀이」는 닭 역할을 맡은 사람과 닭을 잡는 술래(너구리) 역할을 맡은 사람의 문답 방식으로 되어 있다. 니 집은 어디...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아이들이 ‘닭잡기 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전래동요의 하나. 1995년에 임영택이 음성군 원남면 보천3리의 고을출(여)에게서 채보하여 『한국민요대전-충청북도 민요해설집-』(MBC, 1995)에 게재하였다. 「닭잡기 놀이 노래」라고도 불리는 「닭잡기 놀이」는 닭 역할을 맡은 사람과 닭을 잡는 술래(너구리) 역할을 맡은 사람의 문답 방식으로 되어 있다. 니 집은 어디...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담배의 유래와 재배 과정 등을 노래하고 있는 민요. 음성군에서는 일제강점기인 1920년경 담배 농사가 시범적으로 들어왔고, 그후 1933년경 음성읍 읍내리에 일본인들이 연초 시험장을 설치 운영하여 황색엽연초를 보급, 권장함에 따라 본격적인 담배 재배가 시작되었다. 1970년대 이후로는 정부에서 일괄 수매하는 안정된 작목이었을 뿐만 아니라 타작물에 비해 소득도 높...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담배의 유래와 재배 과정 등을 노래하고 있는 민요. 음성군에서는 일제강점기인 1920년경 담배 농사가 시범적으로 들어왔고, 그후 1933년경 음성읍 읍내리에 일본인들이 연초 시험장을 설치 운영하여 황색엽연초를 보급, 권장함에 따라 본격적인 담배 재배가 시작되었다. 1970년대 이후로는 정부에서 일괄 수매하는 안정된 작목이었을 뿐만 아니라 타작물에 비해 소득도 높...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담배의 유래와 재배 과정 등을 노래하고 있는 민요. 음성군에서는 일제강점기인 1920년경 담배 농사가 시범적으로 들어왔고, 그후 1933년경 음성읍 읍내리에 일본인들이 연초 시험장을 설치 운영하여 황색엽연초를 보급, 권장함에 따라 본격적인 담배 재배가 시작되었다. 1970년대 이후로는 정부에서 일괄 수매하는 안정된 작목이었을 뿐만 아니라 타작물에 비해 소득도 높...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대감굿이나 고사를 지낼 때 부르는 의식요의 하나. 음성군 금왕읍 금석2리의 이해룡(남, 64세)에게서 채록하여, 2005년에 출간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하였다. 대감굿이나 고사를 지낼 때 부르는 「대감풀이 노래」는 집터를 관장하는 여러 대감신을 부르며 집안이 잘되기를 축원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첫부분은 보통, “에~ 아무집 가지고야 이 정성을 드리지고...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에서 전해 내려오는 덕다리에 관한 지명 전설. 2002년 『음성민속지』에 수록되어 있다. 500~600여 년 전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한 마을 앞 하천에 다리를 놓아 통행을 했는데 해마다 홍수가 나면 파괴되고 홍수가 없어도 자연 파괴되곤 하였다. 그러므로 해마다 다리를 놓는 일이 큰일이었다. 농민들은 하도 이상하고 괴이하게 여겨 한 해는 술과 고기와 음식을...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금고리에 있는 도깝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금고리에 전승되어 오는 민담으로, 2005년 발행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 음성군 소이면 금고리에는 도깨비가 많이 살았다고 한다. 하루는 마을에서 보(洑)를 만들기 위해 70여 명의 마을 장정들이 수멍돌(보에 물을 가두어 두기 위해 막아 놓는 돌)을 얹으려고 하...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금고리에 있는 도깝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금고리에 전승되어 오는 민담으로, 2005년 발행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 음성군 소이면 금고리에는 도깨비가 많이 살았다고 한다. 하루는 마을에서 보(洑)를 만들기 위해 70여 명의 마을 장정들이 수멍돌(보에 물을 가두어 두기 위해 막아 놓는 돌)을 얹으려고 하...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도라지의 맛과 모습을 노래하는 신민요의 하나. 「도라지 타령」은 조선 후기에 생긴 신민요로, 전국에서 널리 불리는 타령조 노래이다. 지역마다 약간씩 다른 가사와 가락으로 불리는데, 음성 지역에서 불리는 「도라지 타령」은 세마치 장단에 의한 5음계로, 가락이 단순해서 따라 부르기가 쉽다. 감곡면 월정리에 사는 엄상수가 부른 것을 이경우가 채록하여, 1994년에 출...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천3리에 전해 내려오는 동요의 하나.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천3리에 거주하는 고을출(여)의 노래를 문화방송(주)에서 조사, 채록하고 임영택이 채보하였다. 「도랑건너 사둔댁」은 1995년 발행된 『한국민요대전 -충청북도민요해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아이들이 함께 놀면서 부르는 풍소유희요(諷笑遊戱謠)이다. 도랑 건너에 사는 사돈댁이 아들과 딸을 낳았다는...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충도리에서 지혜로운 원님에 관하여 전해 내려오는 민담. 1983년 박재용이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충도리에 거주하는 박옥용(여, 72세)에게서 채록하였고, 동년 발행된 『민담 민요집』에 수록되어 있다. 아주 오랜 옛날 어느 곳에 스무 살의 젊은 나이로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있었다. 몇 해 후 그는 한 고을의 원님으로 부임하게 되었다. 어떠한 원님이 올지 몹시...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상우3리의 돌마람골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풍수 전설.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상우3리에 전승되어 오는 이야기로, 2003년 발간된 『감곡향토지』에 수록되어 있다. 아주 오랜 옛날 음성군 감곡면 상우3리에 배씨 성을 가진 부자(富者)가 살았는데, 벼슬은 없었으나 인근에서 인정 많고 마음씨 좋기로 소문이 자자하였다. 이런 소문이 널리 퍼져 마을을 지나가던 손...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어린아이들이 동아따기 놀이를 하면서 부르던 전래동요의 하나. 동아따기는 원래 대보름이나 한가윗날 많이 행했던 강강술래 놀이에 부속된 놀이인데, 음성 지역에서는 독립된 놀이로 전해 오고 있다. 한 아이가 앞장을 서고 뒤에 여러 아이가 앞에 선 아이의 허리를 잡고 줄을 지어 서면, 줄 밖에 있던 한 아이가 줄의 끝에 있는 아이부터 차례대로 따내어 자기 뒤에 붙여 새...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디딜방아를 찧으면서 부르던 노동요의 하나. 「디딜방아 찧는 소리」는 오늘날 전해 오는 민요 중에서는 찾기 어려운 디딜방아 찧기와 관련한 노래로, 놀면서 부르는 「방아 타령」이 아닌 실제로 방아를 찧으면서 부르던 노동요였다. 삼성면 천평3리에 사는 신정님(여)에게서 채록하여 1995년에 발행된 『한국민요대전 -충청북도편-』에 수록하였다. 디딜방아를 찧는 일꾼들을...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떡의 모양을 묘사하면서 떡이름을 풀이하는 언어유희요의 하나. 1977년에 생극면 차평1리에 사는 김의례(여, 80)에게서 이경우가 채록하여, 1994년에 출간한 『충북민요집』에 수록하였다. 「떡풀이 노래」는 각종 떡의 모양을 떡이름과 연결시켜 재미있게 표현하고 있다. 얼씨구좋네 지화자좋아/아니노지는 못하리라 떡이로구나 떡이로구나/검구두둥군건 시루떡이요 전봇대같은...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갑산리에 있는 무덤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갑산리 살구고개에서 남쪽으로 600m 쯤 떨어진 너치살이라고 불리는 산마루에 무덤 하나가 있는데, 마을 사람들은 이 무덤을 말무덤[馬塚]이라고 한다.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갑산리에 전승되어 오는 이야기로, 1982년 발행된 『전설지』에 수록되어 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팔성리에서 말마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말마리 전설」은 음성군 생극면 팔성1리의 자연 마을인 말마리의 지명유래담이다. 1525년(중종 20)을 기점으로 십청헌(十淸軒) 김세필(金世弼)과 눌재(訥齋) 박상(朴祥) 사이에 있었던 이야기가 근간이 되어 ‘말마리’라는 지명을 얻게 되었으며, 지금도 마을 주민들의 기억 속에 연연히 이어져 오고 있다. 김...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갑산리에 있는 무덤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갑산리 살구고개에서 남쪽으로 600m 쯤 떨어진 너치살이라고 불리는 산마루에 무덤 하나가 있는데, 마을 사람들은 이 무덤을 말무덤[馬塚]이라고 한다.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갑산리에 전승되어 오는 이야기로, 1982년 발행된 『전설지』에 수록되어 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볏가마에 벼를 담으면서 부르던 노동요의 하나. 「말질하는 소리」는 가을철 추수를 하고 나서 탈곡한 벼를 양을 재는 도구인 ‘말’을 이용하여 볏가마에 담으면서 일의 고됨을 풀어내는 노래이다. 「말질하는 소리」를 보면 한 말에서 열 말이 될 때까지 연관된 가사를 볼 수 있는데, 소리와 실제의 말질은 상관이 없었다고 한다. 즉 말질하는 사람은 숫자와 상관없이 노래만...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향리에 있는 망가리고개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향리에 전승되어 오는 지명 관련 전설로, 2002년 발행된 『음성민속지』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 옛적에 중년의 부부가 부모를 모시고, 아이들과 함께 행복하게 살고 있었다. 어느 해 가을, 남편이 벼 타작을 도와달라는 이웃 마을 친구 집에 다녀오던 길이었다. 일이 늦게 끝나 깊...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리에 있는 맹골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리에 전승되어 오는 이야기로, 1998년 발행된 『음성지명지』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 원남면 하당리에는 호랑이가 많이 살았다고 한다. 소몰이꾼이 소들을 끌고 가려면 맹골이라는 고개를 거쳐 가야 했는데, 소가 지나갈 때면 갑자기 호랑이가 나타나 소에게 모래를 막 끼얹으며 해를 끼쳤...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메밀과 관련하여 전해 오는 농업노동요의 하나. 「메밀 노래」는 음성 지역뿐만 아니라 밭농사를 짓는 지역에서 전해 오는 노래이다. 음성 지역뿐만 아니라 밭농사를 주로 짓는 내륙 중부 산간 지역에서 전승된 농업노동요로서, 메밀 씨를 뿌려서 성장한 메밀을 도정한 뒤 메밀국수를 만들기까지의 과정을 서술하고 있다. 모밀이나 메물로도 불리는 메밀은 요즈음엔 건강식품으로 각...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평곡리 음성천 변에 있는 멱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평곡리에 전승되어 오는 이야기로, 1998년 발행된 『음성지명지』에 수록되어 있다. 음성천 냇가에 있는 바위로, 이 바위 주변 냇가에서 미역을 채취했다는 전설이 있어 미역바위라 하다가 멱바위가 되었다고 한다. 또한, 멱바위는 선비들이 한가로이 놀다가 바위에 ‘용암(龍巖)...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전해 내려오는 명의 염두경에 관한 이야기.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전승되어 오는 이야기로, 1982년 발행된 『전설지』에 수록되어 있다. 염두경은 고려 말의 명재상 염제신의 17세손이다. 어려서부터 뛰어나게 깨달음이 빠르고 학문에 전심하는 끈기가 있어 지식이 일취월장하였으나 과거를 보아 출세하는 데는 뜻을 두지 않고 질병에 허덕이는 만민을...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논에 모를 심으면서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 「모심는 소리」는 모를 못자리에서 논으로 옮겨 심는 과정에서 주로 부르는 농업노동요이다. 여러 사람이 집단적으로 일을 하면서 부르기 때문에 집단노동요에 속하기도 한다. 원래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노동요들은 ‘아라리 소리’, ‘아라성 소리’, ‘하나 소리’, ‘정자 소리’, ‘상사 소리’로 구분되는데, 음성에서 불리는...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논에 모를 심으면서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 「모심는 소리」는 모를 못자리에서 논으로 옮겨 심는 과정에서 주로 부르는 농업노동요이다. 여러 사람이 집단적으로 일을 하면서 부르기 때문에 집단노동요에 속하기도 한다. 원래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노동요들은 ‘아라리 소리’, ‘아라성 소리’, ‘하나 소리’, ‘정자 소리’, ‘상사 소리’로 구분되는데, 음성에서 불리는...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논에 모를 심으면서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 「모심는 소리」는 모를 못자리에서 논으로 옮겨 심는 과정에서 주로 부르는 농업노동요이다. 여러 사람이 집단적으로 일을 하면서 부르기 때문에 집단노동요에 속하기도 한다. 원래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노동요들은 ‘아라리 소리’, ‘아라성 소리’, ‘하나 소리’, ‘정자 소리’, ‘상사 소리’로 구분되는데, 음성에서 불리는...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논에 모를 심으면서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 「모심는 소리」는 모를 못자리에서 논으로 옮겨 심는 과정에서 주로 부르는 농업노동요이다. 여러 사람이 집단적으로 일을 하면서 부르기 때문에 집단노동요에 속하기도 한다. 원래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노동요들은 ‘아라리 소리’, ‘아라성 소리’, ‘하나 소리’, ‘정자 소리’, ‘상사 소리’로 구분되는데, 음성에서 불리는...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모판에 모를 찔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1983년에 소이면 비산3리에 사는 정태철(남, 52)이 부른 것을 채록하여 2005년에 출간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하였다. 선소리꾼이 느린 중중모리로 앞소리를 메기면, 여럿이 “밀쳤네 떨쳤네 떠들썩하더니 또한춤”이라는 사설로 받는 선후창 형식이다. 주로 남성들이 많이 불렀다. 이모판에 자란모를/밀쳤네 떨쳤네 떠들썩하...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모판에 모를 찔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1983년에 소이면 비산3리에 사는 정태철(남, 52)이 부른 것을 채록하여 2005년에 출간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하였다. 선소리꾼이 느린 중중모리로 앞소리를 메기면, 여럿이 “밀쳤네 떨쳤네 떠들썩하더니 또한춤”이라는 사설로 받는 선후창 형식이다. 주로 남성들이 많이 불렀다. 이모판에 자란모를/밀쳤네 떨쳤네 떠들썩하...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모판에 모를 찔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1983년에 소이면 비산3리에 사는 정태철(남, 52)이 부른 것을 채록하여 2005년에 출간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하였다. 선소리꾼이 느린 중중모리로 앞소리를 메기면, 여럿이 “밀쳤네 떨쳤네 떠들썩하더니 또한춤”이라는 사설로 받는 선후창 형식이다. 주로 남성들이 많이 불렀다. 이모판에 자란모를/밀쳤네 떨쳤네 떠들썩하...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모판에 모를 찔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1983년에 소이면 비산3리에 사는 정태철(남, 52)이 부른 것을 채록하여 2005년에 출간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하였다. 선소리꾼이 느린 중중모리로 앞소리를 메기면, 여럿이 “밀쳤네 떨쳤네 떠들썩하더니 또한춤”이라는 사설로 받는 선후창 형식이다. 주로 남성들이 많이 불렀다. 이모판에 자란모를/밀쳤네 떨쳤네 떠들썩하...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평곡리 음성천 변에 있는 멱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평곡리에 전승되어 오는 이야기로, 1998년 발행된 『음성지명지』에 수록되어 있다. 음성천 냇가에 있는 바위로, 이 바위 주변 냇가에서 미역을 채취했다는 전설이 있어 미역바위라 하다가 멱바위가 되었다고 한다. 또한, 멱바위는 선비들이 한가로이 놀다가 바위에 ‘용암(龍巖)...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리에 전해 내려오는 민동량의 효행에 관한 이야기. 2005년 발행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되어 있다. 민동량은 어려서부터 영특하여 5세 때 글을 읽고 그 뜻을 해독하니 마을 사람들이 “민씨 문중에 신동이 나타났다”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효행 또한 지극하여 민동량이 8세 때 그의 노모가 병석에 눕자 잠시도 곁을 떠나지 않고 어머니를 간호하는 데 온...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리에 전해 내려오는 민동량의 효행에 관한 이야기. 2005년 발행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되어 있다. 민동량은 어려서부터 영특하여 5세 때 글을 읽고 그 뜻을 해독하니 마을 사람들이 “민씨 문중에 신동이 나타났다”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효행 또한 지극하여 민동량이 8세 때 그의 노모가 병석에 눕자 잠시도 곁을 떠나지 않고 어머니를 간호하는 데 온...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급 유촌리 능골에 전해 내려오는 민발에 관한 이야기. 2005년 발행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되어 있다. 금왕읍 소재지 남쪽 진천 방향으로 5㎞ 위치에 유촌리 윗가래들이 있고, 이곳에서 남북으로 뻗은 차도를 따라 아래가래들로 들어가는 곳에 유촌리 능골이 있는데, 이곳에 조선 전기의 공신 민발(閔發)의 묘가 있다. 민발이 세상을 떠난 후 백여 년이 지난 어느...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급 유촌리 능골에 전해 내려오는 민발에 관한 이야기. 2005년 발행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되어 있다. 금왕읍 소재지 남쪽 진천 방향으로 5㎞ 위치에 유촌리 윗가래들이 있고, 이곳에서 남북으로 뻗은 차도를 따라 아래가래들로 들어가는 곳에 유촌리 능골이 있는데, 이곳에 조선 전기의 공신 민발(閔發)의 묘가 있다. 민발이 세상을 떠난 후 백여 년이 지난 어느...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신평리에 전해 내려오는 민정현의 효행에 관한 이야기. 2005년 발행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되어 있다. 선조 대의 효자 집안에서 태어난 민정현은 가풍의 영향을 받은 것도 있겠지만, 그의 효행은 철부지 어린 시절부터 특이하고 탁월하였기 때문에 ‘천근지효(天根之孝)’로 표현되었다. 태어난 지 7일 밖에 되지 않는 아기가 너무 지나치게 울고 야단이자, 그 외...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용계리에 전해 내려오는 바람부처에 관한 이야기. 금왕읍 소재지인 무극리에서 남쪽의 맹동면 방면으로 약 5㎞ 이르는 곳에 오향골이 있다. 이곳에서 동남쪽으로 소속리산[432m]이 있고, 소속리산에서 동쪽으로 능선을 넘어 상촌으로 넘어가는 고개가 있는데, 이곳을 꽃너미재라고 한다. 「바람부처」는 꽃너미재에 있던 꽃너미절에 관한 이야기이다. 2005년 발행된 『음...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마송리에 전해 내려오는 박주헌에 관한 이야기. 2005년 발행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되어 있다. 박주헌이 아직 벼슬에 오르지 않고 백수의 몸으로 향리에 있을 때, 나이 30을 전후한 어느 봄날의 일이다. 박주헌은 벗들과 더불어 음성장에서 놀다가 술이 거나하게 취해서 건지봉(乾芝峰) 아래 집으로 돌아오는 길이었다. 인적도 없는 캄캄한 밤길을 갈지자로 걸어...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천리에 전해 내려오는 반광섬에 관한 이야기. 2005년 발행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되어 있다. 반광섬이 세상을 떠난 후, 반광섬의 후손들은 그의 글씨를 가보로 간직하기 위해서 책고리에 넣어서 항상 아랫방 시렁 위에 얹어 놓고 귀한 손님들이 찾아오거나 제사를 지내고 난 후, 가족끼리 모여 앉아 반광섬의 필적을 감상하는 것을 보람과 영광으로 삼아 왔다....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발인할 때 부르는 장례의식요의 하나. 의식요는 세시풍속이나 통과의례에 해당하는 의식을 치르면서 부르는 노래를 말한다. 우리 민족은 예부터 노래를 신앙 행사나 장례의식 등에서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그런 의미에서 장례의식요는 다른 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우리 민족만의 특징으로, 우리 민족의 사상이 함축적으로 담겨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음성 지역에서 불리는...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능산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방귀에 관한 유희요. 결혼한 여성들이 주로 부르던 노래로, 시댁 식구들의 특징과 미국, 일본, 우리나라를 방귀에 비유하여 표현하였다. 전국에 걸쳐 많이 불리는 유희요 중 하나이며 유희요의 특성상 지역적 특색이 드러나지 않는다. 2행씩 대구를 이루고 있으며 3음보이다. 방구야 진두야 나가신다/방구 하고도 나가신다 시아버님 방구는 호령방...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여자들이 혼자 밭을 매면서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 이경우가 채록하여 2005년에 출간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하였다. 「밭매기 소리」의 노랫말은 죽은 남편에 대한 그리움으로 점철되어 있다. 회령청진 가신낭군은/돈많이벌면은 오련만 공동묘지야 가신낭군/어느때나 오느냐 농업노동요 중 논농사와 관련한 민요가 남성들의 노래라면, 밭농사와 관련한 민요는 여성들의 노...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여자들이 혼자 밭을 매면서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 이경우가 채록하여 2005년에 출간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하였다. 「밭매기 소리」의 노랫말은 죽은 남편에 대한 그리움으로 점철되어 있다. 회령청진 가신낭군은/돈많이벌면은 오련만 공동묘지야 가신낭군/어느때나 오느냐 농업노동요 중 논농사와 관련한 민요가 남성들의 노래라면, 밭농사와 관련한 민요는 여성들의 노...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여자들이 혼자 밭을 매면서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 이경우가 채록하여 2005년에 출간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하였다. 「밭매기 소리」의 노랫말은 죽은 남편에 대한 그리움으로 점철되어 있다. 회령청진 가신낭군은/돈많이벌면은 오련만 공동묘지야 가신낭군/어느때나 오느냐 농업노동요 중 논농사와 관련한 민요가 남성들의 노래라면, 밭농사와 관련한 민요는 여성들의 노...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여자들이 혼자 밭을 매면서 부르는 농업노동요의 하나. 이경우가 채록하여 2005년에 출간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하였다. 「밭매기 소리」의 노랫말은 죽은 남편에 대한 그리움으로 점철되어 있다. 회령청진 가신낭군은/돈많이벌면은 오련만 공동묘지야 가신낭군/어느때나 오느냐 농업노동요 중 논농사와 관련한 민요가 남성들의 노래라면, 밭농사와 관련한 민요는 여성들의 노...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주봉1리에 있는 백마산에 관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99년 발행된 『괴산군설화집』과 2005년 발행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 매바위(지금의 괴산군 사리면)에 한 부부가 살았는데 자식이 없어 늘 근심하다 절에 가서 백일기도를 드렸더니 그 달부터 태기가 있었다. 열 달이 지나 아들이 태어나자 부부는 몹시 기뻐하였다. 그런데 태어난 지...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늙어감을 슬퍼하는 유희요. 전국에 걸쳐 많이 불리는 유희요 중 하나이며 유희요의 특성상 지역적 특색이 드러나지 않는다. 늙어 백발이 되어가는 슬픈 마음을 자연에 비유하여 인생무상을 노래하였다. 독창의 형식으로 시조에 가락을 붙여 부른 노래이기 때문에 박자는 다소 느리다. 산은 첩첩 청산이 되고/물은 흘러서 유수로다 인생도 늙어지면 못노나니/공도라드...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에 있는 백운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백운산(白雲山)[345m]은 삼성면 소재인 덕정리의 서쪽 약 4㎞ 지점인 용성리 서쪽에서 상곡리와 경기도 안성시와 도계를 이루고 있는 경계에 있다. 2005년 발행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되어 있다. 고려 중엽 안성군 이죽면 칠장리 칠장사에 머무르는 한 도승이 있었다. 어느 날 아침, 칠장사 법당에서...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남자들이 고기잡이 그물을 끌어올리며 부르는 어업노동요의 하나. 어업노동요에 속하는 「뱃노래」는 여럿이 그물을 끌어올리며 박자를 맞추어 뒷소리를 메기는 집단노동요이다. 「뱃노래」와 같은 어업노동요들은 대부분 힘겨운 작업에 수반되어 불리기 때문에 사설은 그다지 풍부하지 않으나, 가락은 다른 노동요에 비해 힘차고 빨라서 신명을 돋운다. 1974년에 소이면 비산리에서...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능산리에서 여자들이 베를 짜면서 부르는 길쌈노동요의 하나. 베를 짜는 지루함과 고단함을 달래기 위해 부르는「베짜기 노래」는 보통의 노동요보다 훨씬 길다. 이는 베틀로 베를 짜는 작업이 단기간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 한자리에 앉아서 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베짜기 노래」는 베틀의 부분품 하나하나를 자세하게 거론하면서 베틀 짜는 과정을 부르는 교술적인...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능산리에서 여자들이 베를 짜면서 부르는 길쌈노동요의 하나. 베를 짜는 지루함과 고단함을 달래기 위해 부르는「베짜기 노래」는 보통의 노동요보다 훨씬 길다. 이는 베틀로 베를 짜는 작업이 단기간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 한자리에 앉아서 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베짜기 노래」는 베틀의 부분품 하나하나를 자세하게 거론하면서 베틀 짜는 과정을 부르는 교술적인...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능산리에서 여자들이 베를 짜면서 부르는 길쌈노동요의 하나. 베를 짜는 지루함과 고단함을 달래기 위해 부르는「베짜기 노래」는 보통의 노동요보다 훨씬 길다. 이는 베틀로 베를 짜는 작업이 단기간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 한자리에 앉아서 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베짜기 노래」는 베틀의 부분품 하나하나를 자세하게 거론하면서 베틀 짜는 과정을 부르는 교술적인...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능산리에서 여자들이 베를 짜면서 부르는 길쌈노동요의 하나. 베를 짜는 지루함과 고단함을 달래기 위해 부르는「베짜기 노래」는 보통의 노동요보다 훨씬 길다. 이는 베틀로 베를 짜는 작업이 단기간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 한자리에 앉아서 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베짜기 노래」는 베틀의 부분품 하나하나를 자세하게 거론하면서 베틀 짜는 과정을 부르는 교술적인...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베를 짤 때 부르는 노동요. 1977년 소이면 비산리에 사는 홍종화(남, 66)가 구연한 것을 채록하였다. 부녀자들이 베를 짜면서 그 과정을 노래한 대표적인 노동요이자 부요(婦謠)이다. 영남 지방에서 비롯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지방마다 내용이 조금씩 다르다. 4·4조의 4음보로 구성되어 있고 내용은 베틀 기구들을 여러 가지로 의태화(...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베를 짤 때 부르는 노동요. 1977년 소이면 비산리에 사는 홍종화(남, 66)가 구연한 것을 채록하였다. 부녀자들이 베를 짜면서 그 과정을 노래한 대표적인 노동요이자 부요(婦謠)이다. 영남 지방에서 비롯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지방마다 내용이 조금씩 다르다. 4·4조의 4음보로 구성되어 있고 내용은 베틀 기구들을 여러 가지로 의태화(...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향리에 있는 벼락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향4리(오근리) 산 밑 농로 옆에는 가로 4m, 세로 3m, 높이 2m 정도인 벼락바위가 있다. 그런데 약 40년 전 한 석수가 이 벼락바위를 파손하여 석재로 가져가고 현재는 본래 크기의 1/3 정도만 남아 있다. 그 앞에 있는 들을 오향4리에서 가장 기름진 벼락바위들이라 한다...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천리에 전해 내려오는 보천장에 관한 이야기. 2005년 발간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되어 있다.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룡리 기자터에 가면 보천장과 관련된 송병표(宋炳豹)의 무덤이 있다. 송병표는 1885년(고종 22) 원남면 보룡리 기자터에서 태어났다. 조상 대대로 재부를 이어받아 풍족한 생활을 하고 있던 송병표에게는 보천주막을 나올 때마다 한 가지...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어린아이를 달래거나 놀아 줄 때 부르는 가사노동요의 하나. 「불무 노래」는 원래 대장장이들이 풀무질을 하면서 부르던 노동요이다. 재화가 불같이 활활 타오르라는 기원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어른이 아이들에게 불러주는 노래로 성격이 변한 것이다. 음성 지역에서는 어른들이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하는 아이에게 걸음마 연습을 시킬 때 부른다고 한다. 「...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어린아이를 달래거나 놀아 줄 때 부르는 가사노동요의 하나. 「불무 노래」는 원래 대장장이들이 풀무질을 하면서 부르던 노동요이다. 재화가 불같이 활활 타오르라는 기원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어른이 아이들에게 불러주는 노래로 성격이 변한 것이다. 음성 지역에서는 어른들이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하는 아이에게 걸음마 연습을 시킬 때 부른다고 한다. 「...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어린아이를 달래거나 놀아 줄 때 부르는 가사노동요의 하나. 「불무 노래」는 원래 대장장이들이 풀무질을 하면서 부르던 노동요이다. 재화가 불같이 활활 타오르라는 기원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어른이 아이들에게 불러주는 노래로 성격이 변한 것이다. 음성 지역에서는 어른들이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하는 아이에게 걸음마 연습을 시킬 때 부른다고 한다. 「...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노리에 전해오는 천연두에 관한 설화. 숙종 때 원남면 하노리 능모롱이에 살던 윤청이란 자가 천연두를 앓다가 세상을 떠났다. 그리고 얼마 후 윤씨 문중에 천연두 환자가 발생했다. 당시 풍습대로 역신(疫神)을 쫓아내기 위해 무녀를 데리고 와서 굿을 했는데, 굿을 하던 중 무녀가 “윤씨댁에는 마마(천연두의 별칭)를 앓다가 돌아가신 할아버지가 계시는데 그 할아버지...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아이들이 비둘기 울음소리를 흉내 내며 부르는 유희요의 하나. 흉내를 내는 것은 아이들의 특성인데, 아이들은 흉내놀이를 통해 그 대상의 속성을 깨친다. 흉내를 낼 때는 주로 ‘소리’에 관심을 두기 때문에 우리나라에는 옛날부터 새나 곤충의 소리를 흉내 내며 부르던 노래들이 많이 전해 오고 있다. 「비둘기소리 흉내 노래」는 비둘기의 ‘구국’거리는 울음소리를 흉내 내며...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궁리에 전해오는 비석돌에 관한 설화. 「비석돌」이야기는 감곡면 오궁리 오갑의 신씨 문중의 일화에서 비롯되었다. 인천 강화에 가면 돌들이 모두 별다르고 기이하다. 그 중에서도 물 속에 있는 해중석은 돌의 품질이 특이하고 비석을 새기는 데 우리나라에서 제일로 꼽으며, 풍화 작용에 강하여 수백 년이 지나도 변질되는 일이 없다고 한다. 그러한 돌이 많이 나는 강화...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에 전해오는 생바위에 관한 설화. 큰 바위에 얽힌 기원담으로 성불을 소재로 인간으로서 가져야 할 마음가짐과 버려야 할 마음가짐에 대한 이야기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대장리에서 남북으로 약 4㎞ 지점에 비선거리가 있고 그 북쪽으로 충주시 신니면 화안리와의 군경에 해발 400m의 비산이 있다. 주봉인 가섭산의 줄기가 동쪽으로 내리뻗어 오다가 이곳에 이...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금고리에 전해오는 지명 설화. 삼고심이는 김장골 서북쪽에 있는 마을로, 조선 태조 이성계(李成桂)[1335~1408]가 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 삼방리로 배극렴(裵克廉)[1325~1392]을 찾아갈 때 이곳을 지나다가 세 번 돌아보고 갔다는 전설에 의해 석 삼(三), 돌아볼 고(顧), 마음 심(心), 마을 리(里) 자를 써서 ‘삼고심리’라 이름 붙여진 곳이다....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삼국지』의 내용 일부를 민요풍으로 부르는 노래. 「삼국지 노래」는 옛 중국의 이야기로 잘 알려진 『삼국지(三國志)』에 등장하는 항우와 자룡, 유비의 아들인 아두를 등장시켜 노래로 부른 민요로서, 힘만 믿고 다른 사람들을 억압하려는 사람을 빗대어 풍자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세상을 살아가는 이치는 힘만으로는 되지 않으며 지혜가 필요하다는 의미를 내포하...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월정리에서 상여를 메고 발인지까지 가면서 부르는 장례의식요의 하나. 의식요 중 장례의식요에 속하는 「상여 소리」는 상여를 메고 발인지까지 옮기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천천히 갈 때와 빨리 갈 때, 언덕길을 오를 때 등 경우에 따라 후렴과 사설이 달라지는데, 장례의 슬픔과 인생의 허무함을 주내용으로 다룬다. 특히 죽어서 무덤에 묻히는 망자의 입장에서 살아 있는...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월정리에서 상여를 메고 발인지까지 가면서 부르는 장례의식요의 하나. 의식요 중 장례의식요에 속하는 「상여 소리」는 상여를 메고 발인지까지 옮기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천천히 갈 때와 빨리 갈 때, 언덕길을 오를 때 등 경우에 따라 후렴과 사설이 달라지는데, 장례의 슬픔과 인생의 허무함을 주내용으로 다룬다. 특히 죽어서 무덤에 묻히는 망자의 입장에서 살아 있는...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인곡리에 전해오는 민담. 설화들과는 달리 증명하고자 하는 것들과는 거리가 먼 민담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1974년에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인곡리에 살고 있는 이종만(남, 당시 66세)이 제보한 내용이 『한국민담선』에 실려 있다. 지붕 없는 집에 눈 없는 영감이 대통 없는 담뱃대로 담배를 태워 물고, 문살 없는 문을 열고 앞산을 바라보니 나무 없는 앞산...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생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지명 유래 전설. 1996년 『음성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생리에 조 참판의 묘가 있다. 이 묘는 조선 인조 때 참판을 지낸 양반의 묘로 풍수지리상 피리혈이라고 한다. 그런데 묘를 몇 장만 썼어야 하는데 그 후손이 밑에다 자꾸 묘를 써서 피리 소리가 나는 곳을 막아 버렸다. 그 후부터 후손이 번성하지 못했다고 한...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에 전해오는 생바위에 관한 설화. 큰 바위에 얽힌 기원담으로 성불을 소재로 인간으로서 가져야 할 마음가짐과 버려야 할 마음가짐에 대한 이야기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대장리에서 남북으로 약 4㎞ 지점에 비선거리가 있고 그 북쪽으로 충주시 신니면 화안리와의 군경에 해발 400m의 비산이 있다. 주봉인 가섭산의 줄기가 동쪽으로 내리뻗어 오다가 이곳에 이...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에 전해오는 생바위에 관한 설화. 큰 바위에 얽힌 기원담으로 성불을 소재로 인간으로서 가져야 할 마음가짐과 버려야 할 마음가짐에 대한 이야기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대장리에서 남북으로 약 4㎞ 지점에 비선거리가 있고 그 북쪽으로 충주시 신니면 화안리와의 군경에 해발 400m의 비산이 있다. 주봉인 가섭산의 줄기가 동쪽으로 내리뻗어 오다가 이곳에 이...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에 전해오는 생바위에 관한 설화. 큰 바위에 얽힌 기원담으로 성불을 소재로 인간으로서 가져야 할 마음가짐과 버려야 할 마음가짐에 대한 이야기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대장리에서 남북으로 약 4㎞ 지점에 비선거리가 있고 그 북쪽으로 충주시 신니면 화안리와의 군경에 해발 400m의 비산이 있다. 주봉인 가섭산의 줄기가 동쪽으로 내리뻗어 오다가 이곳에 이...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에 있는 백운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백운산(白雲山)[345m]은 삼성면 소재인 덕정리의 서쪽 약 4㎞ 지점인 용성리 서쪽에서 상곡리와 경기도 안성시와 도계를 이루고 있는 경계에 있다. 2005년 발행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되어 있다. 고려 중엽 안성군 이죽면 칠장리 칠장사에 머무르는 한 도승이 있었다. 어느 날 아침, 칠장사 법당에서...
-
1511년 조선 전기 음성 출신의 문인 채수(蔡壽)가 지은 고소설. 『중종실록』에서는 「설공찬전(薛公瓚傳)」, 어숙권(魚叔權)의 『패관잡기(稗官雜記)』에서는 「설공찬환혼전(薛公瓚還魂傳)」, 국문본에서는 「설공찬이」로 표기하고 있다. 한문 원본은 1511년 9월 그 내용이 불교의 윤회화복설(輪廻禍福說)을 담고 있어 백성을 미혹한다 하여 왕명으로 모조리 불태워진 이래 전하지 않고 있다...
-
1511년 조선 전기 음성 출신의 문인 채수(蔡壽)가 지은 고소설. 『중종실록』에서는 「설공찬전(薛公瓚傳)」, 어숙권(魚叔權)의 『패관잡기(稗官雜記)』에서는 「설공찬환혼전(薛公瓚還魂傳)」, 국문본에서는 「설공찬이」로 표기하고 있다. 한문 원본은 1511년 9월 그 내용이 불교의 윤회화복설(輪廻禍福說)을 담고 있어 백성을 미혹한다 하여 왕명으로 모조리 불태워진 이래 전하지 않고 있다...
-
1511년 조선 전기 음성 출신의 문인 채수(蔡壽)가 지은 고소설. 『중종실록』에서는 「설공찬전(薛公瓚傳)」, 어숙권(魚叔權)의 『패관잡기(稗官雜記)』에서는 「설공찬환혼전(薛公瓚還魂傳)」, 국문본에서는 「설공찬이」로 표기하고 있다. 한문 원본은 1511년 9월 그 내용이 불교의 윤회화복설(輪廻禍福說)을 담고 있어 백성을 미혹한다 하여 왕명으로 모조리 불태워진 이래 전하지 않고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성줏굿의 내용을 담아 부르는 민요. 「성주풀이」는 원래 집터를 지키고 보호한다는 성주신과 성주부인에게 성줏굿을 지낼 때 무당이나 판수가 굿을 하면서 부르던 노래였다. 민간에 전승되면서 민요화되어 전국에서 널리 불렸으나 근래 들어 사라져 가는 추세이다. 1994년에 음성군 음성읍에서 최왕근(남, 72)이 부른 것을 이경우가 채록하여 『충북민요집』에 수록하였다. 음...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권람과 세조에 관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권람(權擥)[1416~1465]은 1453년의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한명회와 같이 공을 세워 일등공신으로 이조참판이 되고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에 진봉된 뒤 좌의정의 벼슬까지 지냈다. 죽은 뒤에는 세조묘(世祖廟)에 배향되었는데, 권람의 묘소가 생극면 방축리에 있다. 1982년에 출간한 『전설지』에 수록되어 전한다....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소를 몰고 도살장으로 가면서 부르던 민요. 음성군 삼성면 능산리에서 이경우가 채록하여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하였다. 전반부는 소를 부리는 사람이 도살장에 소 잡으러 가는 것을 ‘유랑’에 비유하는 내용이고, 후구는 살과 뼈, 가죽까지 사람들의 잔치나 기생의 머리빗, 북장구의 재료로 쓰이게 될 것을 우의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죽음을 관조하는 소에 대해...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차곡리에 전해오는 권근의 묘 이장(移葬)에 관한 일화. 조선 초기 권근(權近), 권제(權踶), 권람(權擥)에 이르는 유명한 인물들을 배출한 명문 집안에 얽힌 이야기이다. 묘가 음성군에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그에 관한 이야기도 많이 들을 수 있다. 1409년(태종 9)에 양촌 권근이 죽자 광주에 묘를 썼다가 1440년(세종 22)에 방축리 능안에 좋은 땅을...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아이들이 수박치기 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 수박치기 놀이는 두 명 이상의 아이들이 노래에 맞추어 다양한 동작으로 손뼉을 치면서 노는 놀이이다. 오늘날에도 흔히 볼 수 있는데, 옛날에는 여자아이들이 많이 했다. ‘손바닥치기 놀이’라고도 하는 수박치기의 ‘수박(手搏)’은 손뼉을 의미한다. 「수박치기 노래」는 이때 부르는 노래이다. 1995년에 삼성면 천평3리에서...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유희요의 하나. 「숫자풀이 노래」는 을사오적의 한 명이었던 이완용을 소재로 하여 나라와 민족을 팔아먹은 행위를 비난하는 내용의 노래이다. 일제강점기 이후 전국적으로 널리 불렸다고 전하는 노래인데, 음성 지역에서는 언제부터 불렸는지 알 수 없다. 1974년에 음성읍 읍내리에 사는 박승호(남, 6세)가 구연한 것을 이경우가 채록하여 『한국민속종합조사보...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에서 전해 내려오는 유희요. 「신고산 타령」은 함경도에서 가장 많이 불리는 민요 중 하나인데 충청북도 음성군으로 전해 오면서 가사가 변형되었다. 「신고산 타령」은 가사의 첫 어절인 ‘신고산이’에서 나온 이름이고, ‘어랑 어랑’하는 후렴구에서 따와서 「어랑 타령」이라고도 부른다. 1994년 음성읍에서 박경신(남, 62)이 구연한 것을 이경우가 채록하여 『충북민요...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주천리에 전해오는 신선바위에 관한 설화. 옛날 신선바위라는 바위가 있었다. 이 바위에 앉아서 불공을 드리면 신선이 되어 올라간다는 전설이 있었고, 전설대로 과연 하루에 승려 한 명씩 승천하여 사라지는 것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마지막 승려가 자신의 어머니가 고춧가루를 넣어 만들어 준 옷을 입고 불공을 드리는데, 커다란 지네 한 마리가 하늘에서 쾅! 하고 떨어...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쌍봉리에 전해오는 애 업은 바위에 관한 설화. 이 이야기는 장자못 전설로서 못된 시아버지와 착한 며느리의 모습이 대조되어 권선징악의 양상을 띤다. 금왕읍 쌍봉리 동쪽에 해발 266m의 우등산이 있는데, 그 우등산으로 향하는 계곡 산길을 따라 올라가다 보면 바위가 하나 있다. 그 바위의 모양이 흡사 여인이 어린 아기를 업고 있는 듯하여 사람들은 이 바위를 ‘애...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관성리에서 주로 불리는 비기능요에 속하는 민요. 생극면 관성리에서 불리는 「아리랑」은 노동요나 의식요·유희요와는 달리 일정한 기능 없이 지역·성별·계층에 상관없이 전국적으로 두루 불리는 비기능요에 속하는 민요이다. 비기능요는 노동이나 특정한 상황에 관계없이 가창자의 심리적인 상태만을 다양하고 풍부하게 그려내고 있기 때문에 사랑과 그리움을 노래하거나 자신의 처...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에 전해오는 아치내에 관한 설화. 음성군 오갑산의 웃오갑에서 큰 개울까지 흐르는 개울을 왕장리 사람들은 아치내라 부른다. 아주 먼 옛날 오갑산에 힘이 좋고 몸이 날랜 장수가 비호같이 빠르고 건장한 좋은 말과 같이 살았다. 이 장수는 말을 타고 오갑산을 중심으로 원통산과 금봉산 그리고 인근의 큰 산을 오가며 장래 나라의 큰일에 대비하기 위해 열심히 무예를...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쌍봉리에 전해오는 애 업은 바위에 관한 설화. 이 이야기는 장자못 전설로서 못된 시아버지와 착한 며느리의 모습이 대조되어 권선징악의 양상을 띤다. 금왕읍 쌍봉리 동쪽에 해발 266m의 우등산이 있는데, 그 우등산으로 향하는 계곡 산길을 따라 올라가다 보면 바위가 하나 있다. 그 바위의 모양이 흡사 여인이 어린 아기를 업고 있는 듯하여 사람들은 이 바위를 ‘애...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상평리에 전해오는 민담. 민담 중 동물의 행색을 빌려 이야기를 하는 동물담이다. 1974년도에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상평리에 살고 있는 안민(남, 당시 36세)이 제보한 내용이 『한국민담선』에 실려 있다. 온갖 새들이 어울려 살고 있는 큰 대나무 숲에 불이 났다. 하늘을 날며 놀고 있던 앵무새는 깜짝 놀랐다. “내 집이 타네! 내 집이 타네!” 숲까지 단숨...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전해오는 권근과 조선 태조에 관한 설화. 권근(權近)[1352~1409]은 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에 걸쳐서 크게 활약한 대학자이며 문학가이다. 1352년(공민왕 원년)에 검교정승 권희(權僖)의 넷째아들로 태어났다. 처음 이름은 권진(權晋)이었으며 자는 가원(可遠) 또는 사숙(思叔)이요, 호는 양촌(楊村)이다. 고려 말 충주로 유배되어 와 양촌에 살...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아이들이 어깨동무 놀이를 하며 불렀던 전래동요의 하나. 「어깨동무 노래」는 음성 지역에서 전해 오는 몇 곡 되지 않는 전래동요 중의 하나이다. 친구들과 서로 어깨동무를 하고 길을 걷거나 놀이를 하면서 부르던 노래로, 특히 어깨동무를 하고 노래를 부르며 박자에 맞춰 걸음을 옮기면서 양팔을 옆으로 뻗어 새가 날 듯 손짓을 하거나, 친구와 함께 박자에 맞춰 제자리에...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에 전해지는 어래산(御來山)에 관한 설화. 어래산은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浮石面)과 강원도 영월군 하동면(下東面),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永春面)의 경계에 있으며, 높이는 1,064m이다. 설화의 주인공인 배극렴(裵克廉)[1325~1392]은 조선조의 개국공신으로, 고려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진주, 상주의 목사를 역임하고 이후 이성계와 함께 여러 차례...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차평리에 전해오는 여기소(麗妓沼)에 관한 설화. 이 설화는 안타까운 생을 산 한 여인의 이야기이다. 생극면 소재지인 신양리에서 동북으로 약 5㎞ 지점에 ‘여기소’라고 불리는 못[沼]이 있다. 조선 초기 이 곳 못이 내려다보이는 평탄한 암반은 글을 좋아하는 선비 유생들이 앉아 천하사를 공론하고 시를 읊으며 즐기던 곳이었다. 어느 해 여름, 지나가던 보부상 하나...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육령리에 전해오는 예순티고개에 관한 설화. 예순티고개는 부용산의 한 고개로 예순 사람 이상이 함께 가야 봉변을 면할 수 있다 하여 예순티고개라 부른다. 육령1리의 자연 마을인 예순터의 지명 역시 여기서 비롯되었다. 예순티에서 능말로 넘어가는 고개로 옛날에는 인가도 없고 수목이 우거져 산적떼가 이곳에 은거해 살았다고 한다. 그래서 사람들이 고개를 넘다가 산적들...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에 전해오는 용당(龍堂)에 관한 설화. 용당이라 불리던 곳은 현재 음성군 삼성면에 있는 양덕저수지이다. 일제강점기 말기에 착공하여 8·15해방 후에 준공하였다. 양덕리 주민들의 말에 의하면 양덕저수지에 용이 살고 있다고 한다. 아무리 가뭄이 있어도 물을 모두 뺀 적이 없고, 설계가 막통을 다 열어도 수심이 5~6m는 고여 있으며, 10여 년 전에 별세한...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원당리에 전해오는 용머리에 관한 설화. 옛날 원당리의 빨래터에 용 한 마리가 살았다. 용의 횡포가 두려웠던 마을 사람들은 힘을 합쳐 용을 죽이기로 하였다. 마을 젊은이들이 모여 힘을 모아 대항하려 했지만 오히려 희생자만 생겨나고 화가 난 용의 횡포는 더욱 심해져만 갔다. 그러던 어느 날 한 선비가 원당리를 지나다가 용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자신이 한번 용을...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원당리에 전해오는 용머리에 관한 설화. 옛날 원당리의 빨래터에 용 한 마리가 살았다. 용의 횡포가 두려웠던 마을 사람들은 힘을 합쳐 용을 죽이기로 하였다. 마을 젊은이들이 모여 힘을 모아 대항하려 했지만 오히려 희생자만 생겨나고 화가 난 용의 횡포는 더욱 심해져만 갔다. 그러던 어느 날 한 선비가 원당리를 지나다가 용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자신이 한번 용을...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평곡리 음성천 변에 있는 멱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평곡리에 전승되어 오는 이야기로, 1998년 발행된 『음성지명지』에 수록되어 있다. 음성천 냇가에 있는 바위로, 이 바위 주변 냇가에서 미역을 채취했다는 전설이 있어 미역바위라 하다가 멱바위가 되었다고 한다. 또한, 멱바위는 선비들이 한가로이 놀다가 바위에 ‘용암(龍巖)...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평곡리 음성천 변에 있는 멱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평곡리에 전승되어 오는 이야기로, 1998년 발행된 『음성지명지』에 수록되어 있다. 음성천 냇가에 있는 바위로, 이 바위 주변 냇가에서 미역을 채취했다는 전설이 있어 미역바위라 하다가 멱바위가 되었다고 한다. 또한, 멱바위는 선비들이 한가로이 놀다가 바위에 ‘용암(龍巖)...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자연을 벗삼아 풍류를 즐기면서 불렀던 민요의 하나. 「유산가」는 산으로 놀러가서 눈에 보이고 마음에 느껴지는 다양한 자연의 모습을 적절하게 표현하고 있는 노래이다. 특히 계절에 따라 바뀌는 자연의 모습을 사실적 표현에 바탕을 두고 묘사와 비유를 써서 매우 아름답게 표현하고 있다. 보슬보슬 내리는 봄비와 그다지 화려하지는 않지만 봄의 소식을 처음으로 들려주는 봄의...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삼한리에 전해오는 역사(力士) 유상재에 관한 설화. 유상재라는 역사(力士)에 관한 이야기로 역사와 힘겨루기 하는 상대는 나오지 않고 평소 생활에 대한 이야기를 강조하고 있다. 대소면 오산리에서 동쪽으로 약 500m 차도를 따라가면 대소면 삼한리 석막산에 유상재의 묘가 있다. 유상재는 1823년(순조 23) 대소면 삼한리에서 태어났는데 본시 기골이 장대하고 힘...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에 있는 인간의 소원을 들어준다는 샘물에 관한 설화. 용성리 운곡서원 뒤편에 위치한 샘물의 유래담이다. 그러나 약수에 관한 이야기가 넓게 분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볼 때 물의 생명 치유력에 근간을 둔 전설로 볼 수 있다. 병에 걸린 아내를 업고 길을 떠나는 한 나그네가 6월 폭염에 기진맥진하여 나무 그늘에 쓰러지듯 누웠다. 병든 아내는 겨우 숨을 연명하는...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문촌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효성스런 두 형제 이야기. 음성군 감곡면 문촌리 일대에서 채록하여, 1982년에 출간한 『내고장 전통가꾸기-음성군-』에 수록하였다. 조선 후기 정조대에 감곡면 문촌리에 살던 윤기손과 윤기진 형제는 효자로 소문이 자자하였다. 어느 날, 홀어머니 원씨가 병환으로 자리에 드러눕자 형제는 밤낮없이 어머니 곁을 떠나지 않고 지극정성으로 병간호...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초대 음성현감 이야기. 「음성 초대현감 옹몽진」은 음성현의 초대 현감으로 선정을 베풀어 지역민의 존경을 받았던 옹몽진(邕夢唇)과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이다. 옹몽진은 조선 중기 명종 때의 사람으로 순창옹씨 시조이기도 하다.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음성향교 앞뜰에는 역대 현감과 군수, 읍면장들의 공덕비가 열을 지어 서 있는데, 그중에 가장 오래된...
-
충청북도 음성군에 전해 내려오는 이에 관한 동요. 전국적으로 널리 불리던 동요로 사람의 옷에 사는 해충인 이의 발, 주둥이, 등, 배 등 생김새를 차례로 묘사하고 있다. 이는 사람에게 기생하며 사람의 피만 빨아먹을 뿐 사람에게 좋은 일이라고는 한 가지도 못하는 해충임을 강조하는 내용의 동요이다. 이경우(서원대 교수)가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능산리에서 채록하였다. 이는 발이 여섯...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능산리에서 아이들이 편을 갈라 다리빼기 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전래동요의 하나. 다리빼기 놀이는 여러 사람이 두 편으로 나누어 마주보고 앉은 뒤 엇갈리게 다리를 펴서 끼우고, 「다리 노래」의 종지에 맞아떨어지는 다리를 빼내는 놀이이다. 두 다리를 먼저 빼낸 사람은 임금이라 하여 우대를 하기도 하였다. 노랫말에 “이다리 저다리”란 표현이 들어 있기 때문인지 「이...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행제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효자 이광하 이야기. 음성군 금왕읍 행제리에는 1893년(고종 30) 이광하에게 내린 효자정문이 세워져 있다. 당시 조정에서는 이광하의 지극한 효성을 치하하여 이조참의를 증직하고 정문을 내렸다고 전한다. 「이광하의 효」는 음성군 전역에서 전해 오는 이야기로, 1982년에 출간한 『내고장 전통가꾸기-음성군-』에 수록되었으며, 그후에 출...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감우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효자 이신 이야기. 음성군 음성읍 감우리 일대에서 채록하여, 1982년에 출간한 『전설지』에 수록하였다. 조선 중기 음성읍 감우리에는 홀아버지를 모시고 사는 이신이란 사람이 있었다. 성정이 바르고 효성이 지극했던 이신은 아버지가 병석에 눕자 온 동네 어른들을 찾아다니며 약과 치료 방법을 배워서 정성껏 병간호를 하였으나 아버지의 병은...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에서 효자 권국화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삼성면 소재지인 덕정리의 모래재 사거리에서 남쪽으로 약 2㎞ 떨어진 곳에 용성리 성미가 있다. 성미 앞에는 금강 상류인 미호천 지류가 있는데, 이 미호천을 중심으로 펼쳐진 비옥한 들판을 이곳 사람들은 이양골이라고 부른다. 「이양골 이야기」는 1982년에 출간한 『내고장 전통가꾸기-음성군-』에 수록된 후...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영산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이완 대장 이야기. 조선 중기 효종이 북벌을 준비할 때 그를 도운 신하로 유명한 이가 송시열과 이완(李浣)[1602~1674]이다. 이완은 판서 이수일의 아들로, 훗날 훈련대장 등을 역임하였다. 음성군 감곡면 영산리에서 채록되어, 1979년에 출간한 『음성군지』와 1982년에 출간한 『전설지』 등에 수록되어 전한다. 이완은 어려서부터...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이이첨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이이첨(李爾瞻)[1560~1623]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에서 태어났다. 선조 때 대북파의 영수로서 광해군이 적합함을 주장했고, 광해군 즉위 후 조정에서 소북파를 숙청했다. 영창대군을 죽게 하고 김제남을 사사시킨 뒤 폐모론을 주장하여 인목대비를 유폐시켰다가 인조반정 뒤 참형되었다. 음성군에는 이이첨과...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마송리에 있는 자라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자라바우」에 등장하는 자라바위는 음성군 원남면 마송리 국도변에 자리잡고 있다. 자연석으로 길이가 2.5m, 넓이가 1.5m 정도 되고, 흑빛으로 자라가 목을 움츠리고 있는 듯한 모양을 하고 있어 주변 사람들이 자라바위, 또는 자라배라고 부른다. 음성군 원남면 마송리에서 오래전부터 전해 오는 이야기로,...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노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고씨 부인 이야기. 「청주고씨와 운명」은 음성군 원남면 일대에서 세거하는 청주고씨 집안에서 전해 오는 이야기이다. 고씨 부인은 1821년(순조 21)에 원남면 마송리에서 고순석의 딸로 태어났다. 열여섯 살 때 윤씨 집으로 출가하여 슬하에 두 아들을 두었는데, 고종 8년 음력 11월 20일 향년 5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삼봉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자린고비 조륵의 인물 이야기. 자린고비는 예부터 ‘구두쇠’, ‘지독하게 인색한 사람’, ‘지독하게 절약하는 사람’ 등의 뜻으로 통한다. 한때 조선 제일의 자린고비로 불렸던 조륵[1649~1714]은 음성군 금왕읍 삼봉리 사람으로, 근검절약하여 큰 부자가 된 뒤 어려운 백성들을 많이 도와 가자(加資: 정3품 통정대부 이상의 품계를 올리...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천평3리에서 아기를 재울 때 불리어지는 민요. (주)문화방송이 음성군 삼성면 천평3리의 서화순(여, 1921생)에게서 채록하였다. 잠든 아이가 깨지 않도록 개가 짖지 않고, 닭이 울지 않기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은 노래이다. 아이의 잠든 얼굴과 그 얼굴에 깃들어 있는 달의 모습을 아름답게 조화시켜 표현하고 있다. 음성 지역의 자장가는 4·4조의 형식이나 노랫말...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주천리에 있는 자점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자점보」에서 이름이 오르내리는 김자점(金自點)[1588~1651]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이귀 등과 인조반정을 성공시켜 출세가도를 달렸으나 효종이 즉위하고 송시열 등 산림 세력의 등용으로 북벌론이 대두되자 위협을 느끼고, 청나라에 누설하였다. 이후 유배되었다가 아들 김익의 역모사건이 발생하자 처형되었다...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천3리에 전해 내려오는 여성들이 일하며 부르는 노동요. (주)문화방송이 1995년 8월 2일 음성군 원남면 보천3리 개미산에서 고을출(여, 1915생)에게서 채록하였다. 여성의 시집살이에서 생겨나는 고난과 설움을 한탄하는 노래로 서정성이 강하게 드러나 있다. 가사는 다음과 같다. 날 가라네 날 가라네/삼베 질쌈 못한다고 날 가라네/삼베 질쌈 못하는건 배우면...
-
충청북도 음성군에 전해 내려오는 가정의 평안함을 축원하는 내용의 의식요. 음성군 생극면 차평1리에서 이정순(여, 73세)에게서 채록하였다. 소년들에게 학문을 권장하고 수신제가하여 부모를 봉양할 것을 권하며 집안 식구들의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노래이다. 회갑연 같은 연회석에서 축원과 덕담을 담아 부른다. 앞부분은 판소리 단가 「장부가」의 일부와 유사하고, 뒷부분은 고사덕담 소리와 유사...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천3리에 전해 내려오는 잠자리를 잡으며 부르는 동요. (주)문화방송이 1995년 8월 2일 음성군 원남면 보천3리 개미산 고을출(여, 81)에게서 채록하였다. 잠자리를 쫓으며 아이들이 부르던 노래로 잠자리를 유인하는 내용이다. 음성에서는 잠자리를 ‘나마리’라고 한다. “나마리 동동 파리 동동”이라는 경쾌한 의성어가 두드러진다. 가사는 다음과 같다. 나마리...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각설이들이 남의 집 대문 앞이나 장터에서 구걸할 때 부르던 노래. 「각설이 타령」은 각 지방을 떠돌며 구걸을 다니는 각설이들이 주로 신세타령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장 타령」, 또는 「품바 타령」이라고도 부르는데, 지방마다 사설이 다르다. 음성군에서는 두 가지 유형의 「각설이 타령」이 채록되었다. 「각설이 타령」(1)은 음성군 삼성면 능산리에 사는 이경우가...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삼용리에서 조선 중기 의병으로 활동했던 장충범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장충범[?~1597]은 음보로 군자감주부를 지냈는데,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충주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부상을 당하여 향리인 삼생리에 피신하여 치료를 받았다. 그후 1597년에 의병을 모아 구진터(지금의 생극면 생리)에서 싸우다 전사하였다. 「장공의 전사를 알려준 애마」는...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아이들이 부르는 전래동요. 「장사꾼 노래」는 아이들이 물건을 파는 모습과 물건의 형상을 흉내내며 부르는 전래동요의 하나이다. 독장사나 사발장사, 접시장사, 종발장사, 양푼장사, 붓장사, 바늘장사, 미역장사 들의 행상을 익살스럽게 노래하며, 그러한 물건들이 필요한 구체적인 장소들을 열거하면서 재미있게 내용을 전개해 가고 있다. 1995년 8월 2일 음성군 원남면...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병암리에 있는 장자봉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음성군 생극면 병암리에서 오래전부터 전해 오는 이야기로, 1982년에 출간한 『내고장 전통가꾸기-음성군-』에 수록된 이후 『음성지명지』와 『음성군지』 등에 실려 전한다. 고려 중기 병암리 북쪽의 산기슭 마을에는 아무런 부족 없이 유복하게 사는 부자가 있었다. 하나부터 열까지 아무 불평 없이 살다 보니,...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마산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죽은 사람의 영혼이 고향으로 돌아온 이야기. 「정석오의 혼」에 나오는 정석오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청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십리보에서 죽었다고 한다. 음성군 맹동면 마산리 뒤편에 정석오의 묘소가 있다. 음성군 맹동면 마산리에서 채록하여, 1982년에 출간한 『내고장 전통가꾸기-음성군-』에 수록하였다. 『음성의 구비문학』과 『음성...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효자 정한철 이야기. 조선 중기 사람인 정한철은 원래 충청남도 천원군 목천면에서 태어났으나 집이 가난하여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의 외가에서 자랐다. 본래 천성이 착하고 부지런하여 자수성가한 뒤 목천면 고향집의 노부모와 형을 잘 돌보아서 주변의 칭찬이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 정한철의 묘소는 현재 조촌리의 야동 효자골에 있다. 「정한철과...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에 전해 내려오는 중의 모습을 묘사한 노래. 이경우(서원대 교수)가 음성군 음성읍 교동에 사는 최영수(남, 63)에게서 채록하였다. 중이 탁발을 하기 위해 갓을 쓰고, 장삼을 걸쳐 입고, 염주를 목에 걸고 내려오는 모습을 노래로 형상화하였다. 중이 집집마다 탁발을 하며 다니는 모습은 예전에는 흔한 광경이었다. 중이 탁발을 하며 아이를 점지하고 아이의 수명장수를...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에 전해 내려오는 중의 모습을 묘사한 노래. 이경우(서원대 교수)가 음성군 음성읍 교동에 사는 최영수(남, 63)에게서 채록하였다. 중이 탁발을 하기 위해 갓을 쓰고, 장삼을 걸쳐 입고, 염주를 목에 걸고 내려오는 모습을 노래로 형상화하였다. 중이 집집마다 탁발을 하며 다니는 모습은 예전에는 흔한 광경이었다. 중이 탁발을 하며 아이를 점지하고 아이의 수명장수를...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집터를 다지며 부르는 노동요의 하나. 음성군에서 불리는 「터 다지는 노래」는 새집을 지을 때 집터를 다지며 부르는 노래로, 「집터 다지는 소리」라고도 부른다. ‘지경닦기’, ‘지신밟기’, ‘땅다지기’, ‘안택가’라고 불리는 노동요로, 대개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에게 효도하며, 형제간에 화목하고 이웃끼리 서로 아끼는 내용 등과 충신·효자·열녀 등 삼강오륜의 도덕률에...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주천리 백족산 위에 있는 지네굴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음성군 감곡면 주천리 일대에서 채록하여, 2005년에 출간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하였다. 오랜 옛날 감곡면 주천리 백족산 위에는 절이 하나 있었는데, 법당에서 만 번 절을 하면 승천을 한다는 전설이 내려오고 있었다. 전설에 따라 다른 스님들은 모두 승천을 하여 떠나고, 이제 제일 젊은 스...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천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진정한 친구 이야기. 1983년에 음성군 원남면 보천리에 사는 반재풍(남, 64세)이 구연한 것을 김영진이 채록하여, 1983년에 출간한 『민담 민요집』에 수록하였다. 옛날 어느 부자가 외아들을 두었는데, 아들이 늘 먹을 것을 주고 다니니 친구들이 잘 따랐다. 그래서 아버지는 틈만 나면, “얘야, 친구는 먹을 것이 아니라 진실한 우정...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문촌리 집은골에서 풍수 비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음성군 감곡면 문촌리 일대에서 전해 오던 이야기를 채록하여, 2005년 출간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하였다. 문촌리 늘거리 음달만 뒤편 집은골에는 조선 후기 철종 때 오위장을 지낸 진백수란 사람의 조부모 산소가 있는데, 풍수지리적으로 괘등형(卦燈型) 자리라고 한다. 진백수는 조부모가 돌아가시자...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집터를 다질 때 부르는 노동요. 집을 새로 지을 때 가장 먼저 하는 것이 땅을 다지는 작업인데 현대에는 포크레인 등 기계장치를 이용하지만 과거에는 ‘지경이’라 부르는 굵은 통나무 토막이나 돌덩이를 여럿이 높이 들었다가 떨어뜨려 집터를 다졌다. 이렇게 여럿이 함께 새로 지을 집터를 다지는 작업을 할 때 부르던 노동요이다. 음성군에서 불리는 「터 다지...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집터를 다지며 부르는 노동요의 하나. 음성군에서 불리는 「터 다지는 노래」는 새집을 지을 때 집터를 다지며 부르는 노래로, 「집터 다지는 소리」라고도 부른다. ‘지경닦기’, ‘지신밟기’, ‘땅다지기’, ‘안택가’라고 불리는 노동요로, 대개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에게 효도하며, 형제간에 화목하고 이웃끼리 서로 아끼는 내용 등과 충신·효자·열녀 등 삼강오륜의 도덕률에...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민망나니에 관한 설화. 1996년 『음성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 말기 흥선대원군과 민비가 서로 지지 않으려고 세력 다툼이 한창이던 때에 나라는 극도로 혼란해지고 국가 재정이 어려워 매관매직까지 하고, 각 지방의 토호들은 여기저기서 토구질로 민심을 극도로 혼란하게 만들었다. 토구질은 양민들이 부지런히 일하여 근근이 모은 재산을 미...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유희요의 하나. 「창부 타령」은 원래 경기도 한강 이북에서 노랫가락과 함께 무당들이 부르던 장절무가였다. 가락이 멋스럽고 굴곡이 많아 여러 지역으로 퍼져 민요화된 노래의 하나이다. 혼자서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며, 주로 연희나 놀이판에서 흥을 돋우기 위해 불린다. 부채춤이나 무당춤 등의 반주 음악으로도 불리는데, “얼시구나좋다 지화자좋은데 아니놀지는...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에서 조선 중기 문신 채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2년에 출간한 『내고장 전통가꾸기-음성군-』에 수록된 이후 『전설지』와 『음성민속지』 등의 책자에 수록되어 전하고 있다. 음성군 출신인 채수가 어린 손자(채무일)를 데리고 살았다. 어느 날 채수가 “孫子夜夜讀書不(손자야야독서불: 손자는 밤마다 글을 읽지 않는구나.)” 하니 손자가, “祖父朝朝飮酒...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삼용리에 있는 채신보의 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2년에 출간한 『내고장 전통가꾸기-음성군-』에 수록된 이후 『음성의 구비문학』과 『음성군지』 등에 실려 전한다. 채신보(1420~1489)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458년(세조 3)에는 음성현감을 지내기도 하였다. 1482년(성종 13)에 남양도호부사를 지내고 퇴임한 뒤 음성군 삼용리 물언덕...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다리에 있는 산봉우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음성군 삼성면 덕다리 인근에서 채록하여, 2005년에 출간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하였다. 청룡뿌리는 음성군 삼성면 덕다리 뒷산 남쪽 끝에 있는 봉우리 이름이다. 옛날 이 봉우리에 청룡과 황룡이 살았는데, 비가 엄청나게 내리는 날 두 용이 승천하였다고 한다. 이때부터 이 산의 끝봉을 청룡뿌리라고 부...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노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고씨 부인 이야기. 「청주고씨와 운명」은 음성군 원남면 일대에서 세거하는 청주고씨 집안에서 전해 오는 이야기이다. 고씨 부인은 1821년(순조 21)에 원남면 마송리에서 고순석의 딸로 태어났다. 열여섯 살 때 윤씨 집으로 출가하여 슬하에 두 아들을 두었는데, 고종 8년 음력 11월 20일 향년 5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유희요의 하나. 「청춘가」는 주로 노인들이 지나간 세월을 뒤돌아보며, 인생의 덧없음과 지나간 청춘을 탄식하며 부르는 노래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곱던 홍조를 띠고 있던 처자는 혼인을 하여 아이 엄마가 되고 할머니가 되어 간다. 이렇게 젊은 처자를 아이 엄마로, 할머니로 만들어 가는 것이 바로 시간이며 세월이다. 「백발가」와 더불어 늙음을 한탄하는 노...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유희요의 하나. 바람이나 외부의 자극에 하늘하늘 날리는 치맛자락을 소재로 하여 익살스럽게 꾸며 부른 노래로서, 여인들의 의생활 문화를 소재로 삼은 노래이다. 음성군 삼성면 능산리에 사는 이정순(여, 73)이 부른 것을 이경우가 채록하여 『충북민요집』에 수록하였다. 치마는 여인들의 옷가지 가운데에 필수품이었다. 어린아이들은 이러한 어머니의 치마 폭에...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태종과 권제 이야기.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에 실려 전해 오던 이야기로, 『전설지』와 『내고장 전통가꾸기-음성군-』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 전기 태종 신오년에, 태종이 친히 선비를 뽑기로 하고 과거시험을 치렀다. 마침내 시험이 끝나고, 독권관(讀券官) 하륜이 우등에 든 세 사람의 시험지를 들고 왔다. 태종이 이르기를, “마땅히 향을 피우고 장원...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집터를 다지며 부르는 노동요의 하나. 음성군에서 불리는 「터 다지는 노래」는 새집을 지을 때 집터를 다지며 부르는 노래로, 「집터 다지는 소리」라고도 부른다. ‘지경닦기’, ‘지신밟기’, ‘땅다지기’, ‘안택가’라고 불리는 노동요로, 대개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에게 효도하며, 형제간에 화목하고 이웃끼리 서로 아끼는 내용 등과 충신·효자·열녀 등 삼강오륜의 도덕률에...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통동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모기가 없어진 이유에 대한 전설.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통동리를 중심으로 한 마을 일대에는 한여름에도 모기가 없는 것으로 유명해서 이곳을 찾아드는 피서객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 제보자는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통동리의 김주희(金周熙)이며, 1982년 충청북도 『전설지』에 수록되어 있다. 강감찬 장군이 군사를 이끌고 이동 행군을 하다...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에 있는 팔장사 샘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음성군 삼성면 덕정리 일대에서 채록하여 2005년 출간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하였다. 지금으로부터 2백여 년 전에 덕정리 덕다리에 샘이 있었는데 수질이 좋지 않았다. 마을 사람들이 샘을 다시 파려고 자리를 보는데 여간해서 좋은 자리가 나지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 도승이 찾아와 샘자리를 찾아주면...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각설이들이 남의 집 대문 앞이나 장터에서 구걸할 때 부르던 노래. 「각설이 타령」은 각 지방을 떠돌며 구걸을 다니는 각설이들이 주로 신세타령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장 타령」, 또는 「품바 타령」이라고도 부르는데, 지방마다 사설이 다르다. 음성군에서는 두 가지 유형의 「각설이 타령」이 채록되었다. 「각설이 타령」(1)은 음성군 삼성면 능산리에 사는 이경우가...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용계리에 전해 내려오는 바람부처에 관한 이야기. 금왕읍 소재지인 무극리에서 남쪽의 맹동면 방면으로 약 5㎞ 이르는 곳에 오향골이 있다. 이곳에서 동남쪽으로 소속리산[432m]이 있고, 소속리산에서 동쪽으로 능선을 넘어 상촌으로 넘어가는 고개가 있는데, 이곳을 꽃너미재라고 한다. 「바람부처」는 꽃너미재에 있던 꽃너미절에 관한 이야기이다. 2005년 발행된 『음...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통동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효자 김순 이야기. 음성군 맹동면 통동리 일대에서 채록하여, 1982년에 출간한 『내고장 전통가꾸기-음성군-』에 수록하였다. 또한 2005년에 출간한 『음성의 구비문학』에도 실려 전한다. 김순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님의 말씀을 한 번도 어긴 일이 없었다. 아침 저녁으로 문안을 드리는 것은 물론이고, 부모님이 잠자리에 드실...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리에서 조선 말기와 일제강점기의 효자이며 의인으로 이름난 하석환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하석환[?~1918]은 조선 말기와 일제강점기에 음성군 삼성면 덕정리에서 살았던 인물이다. 효자이며 의인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음성군 삼성면 덕정리에서 채록하여 1982년에 출간한 『내고장 전통가꾸기-음성군-』에 수록하였다. 2005년에 출간한 『음성의 구...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한글 자모음의 운에 따라 가사를 엮어 나가는 유희요의 하나. 몇십 년 전만 해도 학교를 제대로 다니지 못하는 부녀자나 서민들은 민요 가락에 한글을 넣어 만든 노래로 한글을 익혔다. 이 때문에 「국문노래」나 「언문노래」, 또는 「한글풀이 노래」 등 지방마다 제목이나 가사, 음률은 다르지만 한글을 익히는 노래들이 많았다. 음성군에서 채록된 「한글풀이 노래」는 다른...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에 있는 오갑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한씨 부인과 오갑산」은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 일대에서 전해 오는 지명유래담으로, 2005년 출간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 중기 병자호란 당시 감곡면 왕장리 왕대에 한씨 성을 가진 젊은 부부가 노모를 모시고 살고 있었다. 부부는 효성이 지극한데다 주변의 불쌍한 사람들을 측은하게 여기어...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에서 ‘함흥차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함흥차사 박순 일화」는 조선 초기 태조에게 문안사로 갔다가 안타깝게 죽은 박순(朴淳)의 일화이다.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 오리골에 박순의 충신문과 부인 장흥임씨의 열녀문이 있다.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에서 채록하여, 1982년에 출간한 『내고장 전통가꾸기-음성군-』에 수록하였다. 그후 2005년과 200...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덕정리 사향산에 있는 화암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2005년에 출간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되어 전한다. 화암바위는 덕정리 사향산에 있는 화암사터 옆에 있는 바위이다. 옛날부터 가뭄이 들면 이곳에서 사람들이 기우제를 지냈는데, 그 제라는 것이 살아 있는 개를 잡아 피를 바위에 칠하면, 마치 핏물을 닦기라도 하듯 비가 왔다고 한다. 고개 너머...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덕정리에 있던 화암사의 샘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음성군 원남면 일대에서 채록하여, 2005년 출간한 『음성의 구비문학』에 수록하였다. 덕정리의 사향산에는 예전에 화암사가 있던 절터에 약물로 이름난 샘이 있다. 이 샘은 겨우 한 사람이 떠먹을 정도로 크기가 작으나 수량이 일정하여 가뭄이나 홍수 등의 기상 변화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이 샘...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여성들이 봄에 화전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 화전놀이는 음력 3월 중순경 교외나 야산 등지에서 행해지는 꽃놀이이다. 진달래꽃이 필 때 꽃을 얹어 전을 부치거나 떡에 꽃을 넣거나 하여 여럿이 모여 먹는 놀이라는 데서 화전놀이라는 명칭이 생겼다고 한다 음성읍 교동에 사는 이은영(남, 66세)이 부른 것을 이경우가 채록하여, 1994년에 출간한 『충북민요집』에 수록...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화투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유희요의 하나. 화투는 원래 일본에서 들어온 노름의 하나였으나 현재는 전국민이 놀이로서 즐기는 오락거리가 되었다. 화투로 즐기는 놀이의 종류도 많아서 민화투와 육백·나이롱뽕·고스톱·섰다·(돌이)짓고땡·구삐 등이 있으며, 그밖에도 혼자서 화투의 그림을 맞추거나 숫자를 맞추면서 운수나 재수를 점치기도 한다. 「화투 노래」는 화투를 가지고 놀...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의식요의 하나. 「회심곡」은 원래 조선 중기의 승려인 휴정(休靜)[서산대사]이 지은 불교 포교 가사이다. 가사의 내용이 불교적이면서도 유교와 도교, 무속 외에 민속적 요소들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특징을 가진다. 생전에 공덕을 많이 쌓아야 극락에 갈 수 있다는 교훈적인 내용 때문에 음성 지역에서는 장례의식요로도 많이 불린다. 일부에서는 「회심곡」을 불...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효자 권국화 이야기. 음성군에는 권국화의 지극한 효성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들이 여러 가지 전해 온다. 이들 중에는 「이양골 이야기」처럼 지명유래담으로 전해 오는 것도 있는데, 각편을 들여다보면 비슷한 내용의 이야기들이 조금씩 변용되어 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양골 이야기」에서는 장호원으로 약을 구하러 가는 권국화를 호랑이가 나타...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통동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효자 김순 이야기. 음성군 맹동면 통동리 일대에서 채록하여, 1982년에 출간한 『내고장 전통가꾸기-음성군-』에 수록하였다. 또한 2005년에 출간한 『음성의 구비문학』에도 실려 전한다. 김순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님의 말씀을 한 번도 어긴 일이 없었다. 아침 저녁으로 문안을 드리는 것은 물론이고, 부모님이 잠자리에 드실...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효자 박정규 이야기.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에서 태어나 자란 박정규는 1721년(경종 1)에 진사시험에 합격하여 선릉참봉이 되었다. 그후 아산현감으로 부임하였는데, 선정을 베풀어 칭찬이 자자했다.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 일대에서 채록하여 1982년에 출간한 『내고장 전통가꾸기-음성군-』에 수록하였다. 그후 2005년에 출간한 『음성의 구...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3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정운영의 효행에 관한 설화. 정운영(鄭運永)[1746~1820]의 자는 도숙(度叔), 본관은 초계(草溪)이다. 교리 정창(鄭昌)의 13세손이며 동몽교관(童蒙敎官) 정석휴(鄭錫休)의 아들이다. 1746년(영조 22) 덕다리 외서촌(현재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에서 출생하였으며, 효행이 지극한 인물로 1843년(헌종 9) 정려(旌閭)...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효자 정한철 이야기. 조선 중기 사람인 정한철은 원래 충청남도 천원군 목천면에서 태어났으나 집이 가난하여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의 외가에서 자랐다. 본래 천성이 착하고 부지런하여 자수성가한 뒤 목천면 고향집의 노부모와 형을 잘 돌보아서 주변의 칭찬이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 정한철의 묘소는 현재 조촌리의 야동 효자골에 있다. 「정한철과...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에서 전해 내려오는 흔행이고개의 지명 전설. 조선시대 형장이면서 풍장을 하던 장소가 시대가 흐르면서 지명이 되었다. 흔행이고개는 흉한 일이 행해지던 고개라는 뜻을 지닌 흉행이고개[兇行峙]가 음전되어 불리는 지명이다. 전해지는 바에 의하면 조선시대 헌종 때 음성현감이 죄수를 잡아 사형을 집행하던 장소라고 하며, 전염병에 걸려 죽은 시체를 더금뫼[仮葬法: 풍장제의...
-
조선 후기에 음성현감을 지낸 이세근이 1733년에 열성조(列聖朝) 19대의 업적을 서술한 책. 이세근(李世瑾)[1664~1735]은 음성군 맹동면 쌍정리의 배미에서 태어났다. 1699년(숙종 23) 문과 갑과로 급제한 뒤 사헌부지평(地平)이 되고, 1699년(숙종 25)에 음성현감을 지냈다. 『갱장록(羹墻錄)』은 『성조갱장록』·『열조갱장록』·『어정갱장록』이라고도 하는데, 그 뜻은...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대풍리의 한독의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초기 의학 서적. 『구급간이방(救急簡易方)』은 1489년(성종 20) 윤호(尹壕)와 임원준(任元濬), 허종(許琮) 등이 성종의 명을 받들어 구급의방을 집대성하여 민간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한글로 쓴 한의학 서적이다. 우리나라의 구급방서(救急方書)로서는 가장 완비된 책으로, 보물 제1236호로 지정된 한독...
-
1712년(숙종 38)에 간행된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 이지걸의 시집. 이지걸(李志傑)은 자는 수부(秀夫), 호는 금호(琴湖)·만은당(晩隱堂)이다. 1687년(숙종 13)에 사복시주부(司僕寺主簿), 흡곡현령, 내자시주부(內資寺主簿),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공조좌랑(工曹佐郞) 등을 거쳤으며, 1688년(숙종 14) 영덕현령으로 부임하였다. 이지걸은 한시에 능하여 1,500여 수를...
-
1674년에 간행된 조선 전기의 문신인 채수의 시문집. 본관이 인천인 채수(蔡壽)[1449~1515]의 호는 나재(懶齋)이다. 이석형과 함께 조선 개국 이래 삼장에서 연이어 장원한 두 사람 중의 한 사람으로 유명한데, 『세조실록(世祖實錄)』·『예종실록(睿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한성부좌윤·호조참판을 지냈다. 산경(山經)·지지(地誌)·시문(詩文)에 능했다. 『나재집(懶齋集)』...
-
1748년에 간행된 남연년의 시고(詩稿)를 모은 책. 남연년(南延年)[1653~1728]은 감찰 남두명(南斗明)의 아들로, 1653년(효종 4)에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에서 출생하였다. 어릴 때부터 의협심이 남달랐으며, 「소무전(蘇武傳)」을 읽고 깨달은 바가 있어 벼슬길에 올라 1676년(숙종 2)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1705년(숙종 31)에 황해도 병마우후(兵馬虞候)가 되었을 때...
-
충청북도 음성군 의령남씨 양정공파 대종회가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 무신 남연년의 유고 시집의 목각 판각본. 남연년의 자는 수백(壽伯)이고, 본관은 의령이며, 이인좌 반란 때 청주영을 지키다가 청주성의 함락으로 순직하였다. 남연년은 사후에 좌찬성에 추증되었고 1729년(영조 5)에는 숭선군에 추존되어 청주 표충사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충장으로, 충신 정려가 내려졌다. 남충장공의 유...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 지역 출신 의원들이 편찬한 의학 서적. 『사의경험방(四醫經驗方)』은 조선 중기 음성 출신으로 민간에서 의관으로 활동하던 허임(許任)과 이석간(李碩幹)·채득기(蔡得沂)·박렴(朴濂) 등이 중국과 조선의 전래 의서들 중 일상 생활에 필요한 내용을 뽑고 자신들의 임상(臨床)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서술한 민간 의방서이다. 일상 생활에서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는 약...
-
조선 후기에 음성현감을 지낸 이세근이 1733년에 열성조(列聖朝) 19대의 업적을 서술한 책. 이세근(李世瑾)[1664~1735]은 음성군 맹동면 쌍정리의 배미에서 태어났다. 1699년(숙종 23) 문과 갑과로 급제한 뒤 사헌부지평(地平)이 되고, 1699년(숙종 25)에 음성현감을 지냈다. 『갱장록(羹墻錄)』은 『성조갱장록』·『열조갱장록』·『어정갱장록』이라고도 하는데, 그 뜻은...
-
조선 전기 세종 대에 간행된 고려 후기와 조선 전기의 문신 권근의 유고 문집. 『양촌집(陽村集)』은 저자 권근(權近)[1352~1409]의 아들인 권도(權蹈)가 부친의 글을 모아 편찬한 것으로, 간행자와 초간본의 정확한 간행연대는 불분명하다. 다만 권수의 「양촌선생영가권씨세계도(陽村先生永嘉權氏世系圖)」에 실려 있는 저자의 네 아들의 당시 관직명을 통해 세종대에 편찬, 간행된 것으로...
-
조선 후기에 음성현감을 지낸 이세근이 1733년에 열성조(列聖朝) 19대의 업적을 서술한 책. 이세근(李世瑾)[1664~1735]은 음성군 맹동면 쌍정리의 배미에서 태어났다. 1699년(숙종 23) 문과 갑과로 급제한 뒤 사헌부지평(地平)이 되고, 1699년(숙종 25)에 음성현감을 지냈다. 『갱장록(羹墻錄)』은 『성조갱장록』·『열조갱장록』·『어정갱장록』이라고도 하는데, 그 뜻은...
-
1608년에 간행된 허준의 산부인과 계통 의서. 주로 부인과(婦人科)에 속하는 잉태에서부터 출산과 육아·보호에 이르기까지의 여러 처방과 치료 방법을 부문별로 수집하여 편찬한 책이다. 산부인과 계통의 의학서로는 원래 세종 때의 산서(産書)와 노중례의 『태산요록(胎産要錄)』, 연산군 때의 『임신최요방(姙娠最要方)』 등이 있었으나 이들은 모두 한문으로 쓰여 있어 부녀자가 쉽게 볼 수가...
-
조선 후기에 음성현감을 지낸 이세근이 1733년에 열성조(列聖朝) 19대의 업적을 서술한 책. 이세근(李世瑾)[1664~1735]은 음성군 맹동면 쌍정리의 배미에서 태어났다. 1699년(숙종 23) 문과 갑과로 급제한 뒤 사헌부지평(地平)이 되고, 1699년(숙종 25)에 음성현감을 지냈다. 『갱장록(羹墻錄)』은 『성조갱장록』·『열조갱장록』·『어정갱장록』이라고도 하는데, 그 뜻은...
-
1744년에 간행된 조선 중기의 문인인 이후경의 유고 시문집. 음성 출신의 이후경(李厚慶)[1558~1630]은 조선 중기의 학자로 본관은 벽진(碧珍), 호는 외제(畏齊)이다. 정구(鄭逑)에게서 수학하였는데, 학행이 높아 영남 지방의 명유로 추앙을 받았다. 이후경의 사후에 외손 곽명세(郭鳴世)가 한강 정구(鄭逑)의 언행록(言行錄)과 연보, 예곡(禮谷) 곽부(郭赴)의 행장, 대암(大...
-
1897년에 간행된, 충청북도 음성군의 운곡서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운곡서원 중건 기록문. 1990년 12월 14일에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11호로 지정된 운곡서원은, 1602년(선조 35) 충주목사로 있던 정구(鄭逑)[1543~1620]가 이미 있던 서원을 새로 확장한 것으로, 1661년(현종 2)에 정구를 배향하고 서원 이름을 운곡서원(雲谷書院)이라 하였다. 정구는 조선 중기의...
-
1542년에 간행된 조선 전기·중기의 문신인 정수강의 유고 시문집. 『월헌집(月軒集)』은 음성군 출신으로 조선 전기와 중기에 문신으로 활약했던 정수강(丁壽崗)[1454~1527]의 글을 엮은 시문집이다. 초간과 중간을 거쳐 삼간을 할 때에 정수강의 글뿐만 아니라 정수강의 아버지 정자급(丁子伋)의 시와 형인 정수곤(丁壽崑)[1452~1486]·손자 정응두(丁應斗)[1508~1572]...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음성뉴스사에서 발행하는 지역 주간 신문. 2003년 5월 29일 등록번호 충북 다 01131번으로 등록한 지역 주간 신문이다. 대표 한순교, 부사장 최병칠, 발행 편집인 이규홍 등이 주축이 되어 창간하였다. 신문 대판(395㎜X545㎜) 8면 체제로 발행하고 있다. 『음성뉴스』는 한 주에 음성군에서 발생한 사건·사고·행사 등의 사회 뉴스를 중심...
-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는 음성신문사가 발행하는 주간 신문. 1994년 10월 지역 언론에 뜻을 둔 지역 주민들이 창간 모임을 갖고 기금을 모금하여 창간 기금으로 1억 2천만 원을 확보하였고, 1995년 1월 문공부로부터 『설성신문』이라는 제호로 등록증을 교부받았다. 『음성신문』은 종이 매체로 매주 1회 발행하고 있다. 또한 신문의 속보성을 보완하고 글로벌시대에 부응하여 세계 어느 곳...
-
1754년에 간행된 조선 전기 문신 이자(李耔)의 시문집. 6대손 이도흥(李道興)과 족종손(族從孫) 영남백(嶺南伯) 이이장(李彝章)이 집안 대대로 전해 내려오던 유고(遺稿)를 수록하고 제가(諸家)의 문집(文集), 야승(野乘), 패설(稗說) 및 『인가고첩(人家古帖)』, 『충재일록(冲齋日錄)』 등에서 채록하여 4권 2책으로 편집하고, 새로 편집한 연보를 합하여 1754년(영조 30)에...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대풍리의 한독의약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조선 중기 의학서적. 『의방유취(醫方類聚)』는 1445년(세종 27) 왕명에 의해 편찬된 한방의학 백과사전이다. 한독의약박물관 소장본은 1477년(성종 8) 금속활자로 다시 찍어낸 총 266권 264책 가운데 201권 1책으로 1996년 보물 제1234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
-
충청북도 음성군의 한독의약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중기의 의학서. 『찬도방론맥결집성(簒圖方論脈訣集成)』은 원래 중국 육조시대의 고양생(高陽生)이 편집했다는 『찬도맥결(纂圖脈訣)』을 1581년(선조 4) 허준(許浚)이 왕명에 따라 교정해 1612년(광해군 4)에 간행한 침구서(鍼灸書)이다. 찬도방론맥결집성 권1, 3은 1991년 12월 16일 보물 제1111호로 지정되었고, 2...
-
1680년에 간행된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인 정구의 유고 문집. 정구(鄭逑)[1543~1620]는 오건(吳健)[1521~1574]·이황(李滉)[1501~1570]·조식(曺植)[1501~1572]의 문인이며 허목(許穆)[1595~1682]의 스승으로 조선조 예학과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다. 뿐만 아니라 명문장가로 알려져 있었는데, 1602년 충주목사로 부임한 뒤 지금의 음성군 삼성면...
-
충청북도 음성군의 한독의약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전기에 편찬된 의약서. 『향약제생집성방(鄕藥濟生集成方)』은 조선 전기의 의학자인 조준(趙浚)[1346~1405], 권중화(權仲和)[1322~1408], 김희선(金希善)[?~1408], 김사형(金士衡)[1333~1407] 등이 김희선 등이 모은 『삼화자향약방(三和子鄕藥方)』과 권중화가 펴낸 『향약간이방(鄕藥簡易方)』을 중심으로,...
-
병암1리에 인민군이 들어오던 낮부터 술렁거렸는데, 당시 이장을 보고 있던 오덕욱 할아버지의 아버지와 함께 마을 뒷산 떡갈참나무로 피신을 갔다. 그렇게 들어온 인민군들은 병암1리를 사이에 두고 한국군과 포격전을 벌였다. 그리고 오덕욱 할아버지가 18세에 되던 때에 1·4후퇴를 하였다. 그때 청주시 남일면까지 피난을 갔었다. “그러다가 한국군이 저 압록강까지 올라갔다가 또 내려오면서...
-
※ 조사일: 2007년 1월 25일 ※ 조사지: 음성군 소이면 비산2리 마을회관 ※ 조사자: 황경수, 박종호, 고유리, 윤정아 ※ 구연자: 이상열 할아버지(81세) 이상열 할아버지(81)는 비산2리 오랫말에서 연세가 많으신 편으로 연장자에 속한다. 안경을 쓰고 보통의 할아버지 같은 모습이지만 차분하게 이야기를 매우 잘해 주었다. 항상 존댓말을 쓰며, 굵은 목소리로 이야기를 조리 있...
-
할아버지 이야기가 끝나자, 할머니가 차와 과일 등을 내왔는데, 할아버지께서는 현재 할머니가 아파서 병원에 다니고 있다며 안타까워 하였다. 할머니 할아버지의 사이 좋은 모습을 보며 할머니와의 혼인에 대한 이야기를 여쭤 보았다. 할아버지는 18살의 어린 시절에 아무것도 모른채 결혼을 했다는 이야기를 아주 재미있게 들려주었다. “일찍 했어요, 18살에. 18살에 장가를 안 갈려고 그러는...
-
1919년 3월부터 4월까지 충청북도 음성군 일원에서 전개된 독립만세운동. 일제의 한국 강점과 무단통치에 대항하여 1919년 3월 1일 독립선언과 만세운동이 시작되어 전국적으로 파급되었다. 충청북도 음성군 일원에서도 이에 호응하여 1919년 3월 하순부터 4월 상순에 걸쳐 군내 각지에서 만세운동이 전개되었다.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에서는 초전리 서당에 다니던 김영익·정민영·최만득·...
-
비산2리 오랫말에 찾아가 마을 어르신들을 만나 마을의 가장 자랑거리가 무엇인지 물어보니 모두들 날샘을 이야기해 주었다. 날샘은 365일 물이 솟아나오는 샘으로 오랫말 앞에 넓게 펼쳐져 있는 두레들 중간에 위치한다. 오랫말에서 태어나 자라신 이상열 할아버지(81세)를 만나 날샘에 대해서 여쭤 보았다. 할아버지는 할머니와 함께 있었는데 서로 주거니 받거니 하며 날샘 자랑에 신이 나...
-
6·25 이후 침체돼 있었던 강당말과 용대동에 새로운 바람이 분 것은 1960년대의 4-H 운동과 1970년대의 새마을 운동이었다. 1960년대에는 마을 사람들이 함께 잘 살아보고자 강당 4-H 회원들이 마을에 감나무를 심기도 하고 일심회를 조직해 마을을 모범부락으로 만들었다. 1970년대는 새마을 운동으로 초가집을 없애기 위해 초가지붕을 걷어내고 슬레이트 지붕으로 개량을 했으며,...
-
6·25 때 사정리에서 시가전이 벌어졌다는 이야기를 듣고 그때 이야기를 해달라고 부탁드리자, “나가니깐 탄피가 이만큼 있는데, 뜨거워서 집을 순 없고 이거 내 꺼라고 막 끌어안고” 라고 말한다. 자칫하면 죽을 수도 있는 위험한 상황에서 왜 그렇게 탄피에 집착하였는지, 혹시 탄피가 돈이 돼서 그랬던 거냐고 여쭈니 웃으면서 당시에는 어렸기 때문에 그냥 가지고 놀려고 그랬다고 한다. 마...
-
6·25전쟁 때 사정1리 부근인 음성읍 감우리, 소여리, 충주시 신니면 동락리에서 큰 전투가 벌어졌다. 사정1리 강당말, 용대동 앞산을 넘으면 감우리인데 이곳에서 전개된 감우재 전투는 6·25전쟁 때 국군이 최초로 이긴 전투이다. 감우재를 가기 전 마을인 사정1리에서 일어난 전투에 대해 이야기를 해달라고 부탁드리자, 용대동에 사는 강정순 할머니, 김장일 할아버지(37년생, 71세)...
-
전라도에서 이 먼 곳까지 어떻게 오게 되었냐고 물어보자, “시집올 때 세상이 지금 같았으면 이런 곳으로 시집 안 왔다.”며 다시금 강조하여 말하였다. 처음 충청도에 왔을 때 너무 조용하다고 생각했다. 전라도에 살 때는 밥도 제대로 못 먹고 칼끝에 앉은 것 마냥 불안하고, 매일같이 순경들에게 붙들려가서 문초 당하고 두들겨 맞았다. 빨갱이 한 패가 지나가고 나면 가슴이 철렁 하고 내...
-
이진말마을은 서울에서 내려오다 충주와 음성, 청주로 갈라지는 길목에 있었으며, 6·25전쟁에서 국군의 최초 승전인 감우재 전투가 벌어진 전장에서 가까운 마을로 인민군이 머물기도 하면서 6·25전쟁의 피해가 심했던 마을이다. 특히 생극면 소재지인 신양리와 병암리는 교통의 요지로 충부와 음성으로 통하는 길목이었으므로 전쟁지구였다. 이진말마을도 여기에 포함이 되어 있었고 인민군이 오랫...
-
무극전적국민관광지는 1950년 7월 4일 음성군 음성읍의 감우재와 부용산, 동락리 일대에서 국군 제6사단 7연대와 제1사단 11연대가 5일 동안의 전투 끝에 북한군을 물리친 것을 기념하여 세운 국민 관광 단지이다. 1986년에 조성하였는데, 18,479㎡의 면적에 감우재전승기념관과 음성 감우재전승기념비·충혼탑·감우재전승기념탑·음성타임캡슐2000·월남참전기념탑 등이 건립되어 있어 연...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대풍리에 있는 HK이노엔의 의약품 제조공장. HK이노엔는 건강, 즐거움, 편리 중에서 건강을 추구하는 대표적인 제약 회사이다. 1984년에 사업을 시작한 이래 전문 의약품과 건강 기능식, 드링크 부문에서 국내의 대표적인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2004년 한일약품을 인수함으로써 제약업계에서 그 위치를 강화하고 있다. 10여 년간의 지속적인 완제 의약품 수출...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인터넷 방송국. 종전 활자 매체의 의존도에서 벗어나 매스미디어를 활용하는 젊은 세대들이 늘어나게 됨에 따라 이에 발맞추어 카메라 영상으로 뉴스를 제공하면서 음성군의 역사를 새롭게 조명하고 기록하는 매체로서 활동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5년 10월 1일 ESB음성방송(ESB NEWS)이 개국되었다. 초기에는 매일 뉴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추진하...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담배 회사인 KT&G의 음성 지점. KT&G 충북본부 음성영업지점은 음성군에서 생산되는 담뱃잎을 수매하고 생산된 담배를 소매상에게 공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21년 7월 1일 ‘조선전매령’에 의거하여 청주연초원 음성영업소로 발족하였다. 명칭은 여러 차례 바뀌어, 1931년 7월 1일 경성전매국 청주출장소 음성판매소, 1946년 4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