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다농개는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 서쪽에 위치하는 마을로, 서쪽으로 팔성리, 동쪽으로 차평리 본말, 남쪽으로 서낭당이 새들과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의 토지가 비옥하여 농사가 잘 되었으며, 예전에 한강의 나룻배가 들어왔다 하여 다농개라는 이름이 붙었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생동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다농개는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 서쪽에 위치하는 마을로, 서쪽으로 팔성리, 동쪽으로 차평리 본말, 남쪽으로 서낭당이 새들과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의 토지가 비옥하여 농사가 잘 되었으며, 예전에 한강의 나룻배가 들어왔다 하여 다농개라는 이름이 붙었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생동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다농개는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 서쪽에 위치하는 마을로, 서쪽으로 팔성리, 동쪽으로 차평리 본말, 남쪽으로 서낭당이 새들과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의 토지가 비옥하여 농사가 잘 되었으며, 예전에 한강의 나룻배가 들어왔다 하여 다농개라는 이름이 붙었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생동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월정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감미곡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독정리, 무수동, 하티리, 월동을 병합하여 월동의 ‘월’ 자와 독정리의 ‘정’를 따서 월정리라 하고 감곡면에 편입되었다. 월정리에는 독정리, 무수동, 고니골, 다리골[月洞], 메티 등의 마을이 있다. 마을 동쪽으...
-
「풍감묻기 놀이」를 직접 놀면서 신이 난 이성순 할머니 등 9분의 할머니들은 이번에는 「다리세기놀이」를 보여주었다. 한 할머니는 “뭐 우리들이야 고무줄 하고, 이 거리 저 거리 갓 거리 하고, 풍감 가지고 놀고 그랬지 뭐. 윷놀이도 하고 강강술래도 하고. 그땐 뭐 장난감이나 있어? 죄다 이런 것만 하고 놀았지” 하고 말하였다. 조사자가 “이 거리 저 거리 갓 거리는 뭐지요?” 하...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천평3리와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사정리에서 다리를 세면서 노는 아이들의 민속놀이. 한거리 뒤거리는 다리세기놀이라고도 하며, 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의 이름을 따서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는 다리세기 혹은 다리셈하기, 발헤기,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 등으로 불리며 그 내용과 방식이 조금씩 다르지만 전국적으로 행해지는 유희요 및 놀이이다....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월정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감미곡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독정리, 무수동, 하티리, 월동을 병합하여 월동의 ‘월’ 자와 독정리의 ‘정’를 따서 월정리라 하고 감곡면에 편입되었다. 월정리에는 독정리, 무수동, 고니골, 다리골[月洞], 메티 등의 마을이 있다. 마을 동쪽으...
-
문촌리는 본래 충주군 거곡면 지역인데 조선 고종 광부 10년(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오리, 신촌, 장평리, 판요리, 문암리를 병합하여 문암(文岩)의 문(文)자와 신촌(新村)의 촌(村)자를 따서 문촌리(文村里)라 하여 감곡면에 편입되었다. 『음성읍지』의 기록을 보면 문촌리, 상오리, 신촌, 장평, 판요, 문암리가 병합된 것이 기록되어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일원에서 매년 6월 중순부터 7월 초에 개최되는 수박 축제. 다올찬맹동꿀수박축제는 수박의 주 생산지인 맹동면에서 개최하고 있다. 맹동 수박을 널리 홍보하기 위하여 시작된 다올찬맹동꿀수박축제는 맹동 수박의 우수한 상품성 홍보와 고품질 생산 그리고 농가 소득 증대를 위하여 지역민과 소비자, 유통업체 관계자와 생산자가 함께하는 축제로 발전, 매년 출하기에 맹동면민...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삼생리에 있는 조선 후기 단양장씨 일문의 효행과 정절을 기리는 정려각.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삼생리 삼생이마을 북쪽 산기슭에 위치한 단양장씨 일문의 정려각으로 장석영(張錫永)의 효행과 장택한(張宅漢)의 처 장수황씨(長水黃氏) 및 장동엽(張東曄)의 처 청주이씨(淸州李氏)의 정절을 기리기 위하여 세워졌다. 장수황씨는 1856년(철종 7) 만동묘(萬東廟)에서 효...
-
장정필을 시조로 하고 장언구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단양장씨(丹陽張氏)는 계보를 달리하는 두 계통이 있다. 선단양(先丹陽)으로 불리우는 계통은 장씨의 도시조(都始祖) 태사공(太師公) 장정필(張貞弼)의 증손인 장지현(張之賢)의 아들 장순익(張順翼)이 고려 때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로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올라 단양군(丹陽君)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본관을 단...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통동리에 있는 고개. 음성군 맹동면 통동리 중말에서 진천군 덕산면 두촌리로 넘어가는 193m 높이의 고개이다. 맹동면 통동리 사람들은 음성읍의 음성장이나 괴산군 괴산읍의 괴산장 보다는 말이장고개를 넘어 계곡의 저지를 따라서 보다 쉽게 진천군 진천읍 진천장으로 갈 수 있어 옛날에는 말이장고개를 많이 이용하였다고 한다. 말이장고개는 일명 말지라골, 단양재, 안양...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에 속하는 행정리. 단양리의 ‘단’자와 노평리의 ‘평’자 각 한 글자씩을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거곡면(巨谷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단양리(丹陽里)·노평리(老坪里)·대곡리(大谷里)와 경기도 음죽군 동면 노평리의 일부를 병합하여 단평리가 되어 감곡면에 편입되었다. 북쪽의 군계에는 199...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문등리에 있는 산. 문등리에 있는 무덤실(일명 무등실 또는 무듬실)은 옛날에 큰 무덤이 있어서 이름이 붙어졌다. 달걀봉은 무덤실 뒷산의 모양이 달걀과 같다고 붙어진 이름이다. 무덤실에서 괴산군 불정면 삼방리로 넘어가는 곳에 여우고개가 있다. 소이면 문등리는 북부의 후미리 장구실 동쪽의 계곡수가 동류하고, 동부의 불정면 삼방리 안촌의 계곡수가 동류하여 어래산[...
-
서진을 시조로 하고 서관준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달성서씨(達城徐氏)의 시조는 서진(徐晋)으로 고려 때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지고 부도판서 등의 벼슬을 역임하면서 서씨 성을 받았다. 현재까지 9개 파로 갈라져서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1960년 국세 조사에서는 6만 6,571가구에 인구 37만 7833명, 1985년도 조사에서는 가구 수 14만 4,320가구...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전승되고 있는 정월대보름 액막이 민속놀이.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정월대보름에 소나무가지나 대나무, 짚 등을 높고 크게 방추형으로 쌓아올려 달집을 만들고, 달이 뜨면 달집을 태우며 마을에 드는 액운을 막아 무사태평을 비는 민속놀이다. 전국에 유사한 놀이가 전승되는 곳이 많다. 특별한 도구는 없으며 장소는 마을에서 보름달이 가장 잘 보이는 높은 산이나 공터에서 주로...
-
이진말(병암1리)은 예전 방식 그대로 산신제를 지내는 마을로, 예전부터 전해오는 민속과 믿음을 거의 그대로 지켜오고 있다. 음력 정월 초이튿날에는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빌며 산신제를 지내고, 정월 대보름에는 이진봉에 올라가 달집을 태우고 망월을 하며 소원을 빈 뒤 마을로 내려와 마을 사람 전체가 줄다리기를 하였다. 그러나 지금은 산신제만 지켜지고 있고, 정월 대보름의 달집태우기와...
-
희원 스님은 명안 스님과 수덕사 소림초당에 가서 백일기도를 했던 이야기를 해 주었다. 희원 스님은 수덕사에서 공양주를 하며 지냈는데 몸에서 물이 흘러나가는 꿈이나, 주사를 맞는 이상한 꿈을 자주 꾸었다고 한다. 기도를 열심히 하고 300일째 되는 날 회양기도를 드리는 날인데 닭을 먹으라는 꿈을 꾸었다고 한다. “수덕사 가면은 그 정외사라는 데 올라가다 보면은 만공탑이라고 있어....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상업적 목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특화 작물. 원산지는 남아메리카 중앙부 고원지이며, 1558년 스페인 왕 필립2세가 원산지에서 종자를 가져와 관상용 및 약용으로 재배하면서부터 유럽에 전파되었다. 현재는 북위 60°에서 남위 40°에 걸쳐 전 세계에서 재배되고 있다.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품종으로는 재래종과 황색종, 벌리종(Burley), 터키종 등이 있다. 이...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행해지던 여자아이들이 벌이는 일종의 무당 놀이. 춘향각시놀이는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등지에 널리 전해지고 있으며,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에서는 금왕읍에서 보고된 자료가 있다. 놀이방법은 지역마다 거의 비슷한데 노래의 사설이나 주문 내용은 지역에 따라 조금 차이가 있다. 춘향각시놀이는 춘향이 놀이, 꼬대각시(꼭두각시) 놀이, 당골 놀이 등으로도 불린다. 당골 놀...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행해지는 서낭신에 대한 제사. 우리나라의 마을은 배산임수를 중심으로 하며, 산을 등지고 남쪽으로 향하여 자리 잡고 있다. 마을로 들어오는 입구에는 서낭신을 모시는 서낭당이 있으며 그 옆에 장승이나 솟대가 있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서낭신은 토지 수호신이며, 마을의 경계 또는 입구를 지켜 주는 신이다. 그리하여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마을의 방액(防厄), 농사...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대경(大卿), 호는 두산(斗山). 아버지는 반진홍(潘鎭洪)이고, 형은 반필순(潘弼淳)이며, 아들로는 반시동(潘始東)·반혁동(潘爀東)이 있다. 반달순은 문장과 학문에 있어 사람들이 아버지 반진홍, 형인 반필순과 함께 삼소(三蘇)라고 칭하였다. 아들 반시동과 반혁동도 문장과 학문에 조예가 깊었다. 묘는 충청북도 음성군...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 대경사(大京寺)에 있는 고려 전기 삼층석탑. 대경사 삼층석탑은 음성향교 앞 묘정사 부근에 있었는데, 누군가가 자기 집으로 옮겨놓았다가 6·25전쟁 때 파괴되었다고 한다. 방치되었던 탑을 50여 년 전에 지금의 위치로 옮겨와 복원하였다. 전체적으로 원형이 매우 훼손된 상태이다. 1매의 지대석 위에 기단석을 올려놓고 그 위에 바로 1층 탑신을 얹었다. 탑...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소석리에 있는 점착테이프 및 표면 도포 제품 제조업체. 필름 코팅과 증착 핵심 기술 및 품질 관리 기술을 접목하여 값싸고 좋은 품질의 가공 필름 소재를 생산하여 기업의 이윤 창출과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대경화학(주)은 1990년 3월에 설립되었고, 2001년 4월에 부설 연구소를 설립하였다. 대경화학(주)은 스템핑 포일, 알루미늄 증착필...
-
조선 중기의 종친이자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대년(大年). 태종의 아들 익령군(益寧君)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수천군(秀泉君) 이정은(李貞恩)이고 아버지는 귀기군(貴杞君)이다. 부인 우씨에게는 아들이 없었고, 감찰 정류(鄭鎦)의 딸에게서 영의정 이원익(李元翼)과 현령 이원보(李元輔)를 두었다. 1516년(중종 11) 사마시에 급제하여 귀후서별제, 의금부도사, 내섬시주부를...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차평리에 있는 콘크리트 블록과 옹벽 자재를 생산하는 제조공장. 대도물산은 친환경적인 시공 기술과 신공법 개발을 통하여 재해를 줄이고 후손에게 아름다운 환경을 물려줄 수 있도록 관련 기술 개발에 노력함으로써 기업의 이윤 창출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대도물산은 1986년 9월 유망 중소 기업체에 선정되었다. 1986년 10월 산업기...
-
대동회는 병암1리 이장인 원동철(59년생, 49세) 씨가 맡아서 하고 있는데, 예전에는 대동계장이 따로 있었지만 오덕욱 할아버지가 60년도 중반에 이장을 하면서부터 대동계장 역할까지 이장이 맡기로 했었다. 대동회 기금은 정해진 것이 없고 자유에 맡기고 있다. “대동회는 이장이 주관하는 거니까. 옛날에는 대동계장이 별도로 있었는데 지금은 누가 그걸 책임질라고 그래? 그러니까 이장이...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문암리에 있는 산. 원남면 문암리, 조촌리와 서쪽으로 도안면 석촌리와의 경계지점에 있으며 문암리 서쪽에 있다. 한글학회의 『한국지명총람』에서는 대마산과 종지봉을 동일한 산으로 보고 있으나 이들 산들은 분명하게 구별된다. 문암리의 복호는 마을 앞산이 호랑이가 엎드려 있는 형국이라 전하고 있다. 호랑이 형국인 앞산과 마주보고 있는 산의 이름을 커다란 말이라는 의...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음력 1월 15일을 전후해 행해지는 놀이와 풍습. 대보름은 설과 함께 1월의 큰 명절 중의 하나로 설 다음에 오는 명절이다. 상원(上元)이라고도 하였으며, 정초 명절이 끝나는 시기이다. 대보름에는 다양한 민속과 풍속이 전해지는데, 이는 음성과 같이 전통적으로 농업을 위주로 한 지역에서는 한 해 농사를 시작하기 위한 준비로 이해되기도 한다. 지금은 이러한 전승되는...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동리는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2㎞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덕정리, 서쪽으로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남쪽으로 용성리, 북쪽으로는 대사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동리는 양지울 동쪽 마을로 한절우, 대사동이라고도 한다. 대사동이라는 이름은 큰 절이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지내...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에 속하는 행정리. 마을의 이름은 큰 절이 있었으므로 한적골 또는 대사동이라 하였다. 본래 충주군 지내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대사서리 지역을 대사리라 하여 삼성면에 편입되었다. 온양터 앞에는 매산[마이산 또는 망이산, 472m]이 있고 서북쪽에는 도고리봉[354m]이 있다. 고개로는 수리티고개[이티 또는...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삼정리에 있는 점착테이프를 생산하는 제조업체. 점착테이프 관련 업계의 최고가 되겠다는 목표로 지속적으로 새로운 아이템 및 사업을 개발함으로써 기업의 이윤 추구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94년 1월 우성화학으로 시작하여 20년 넘은 유통 및 생산 경험을 바탕으로 점착테이프 전문 업체로 발전하였다. 2002년 중국 톈진[天津]에 대상 테이...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산리에 있는 군립 공공 도서관. 음성군 군민들의 정서 함양과 면학 공간을 확충하여 평생 교육 기반을 조성하고, 도서 열람을 통한 책 읽는 문화 정착과 지역 주민의 문화 활동 공간 확대, 지역 종합 문화 센터로 군민들에게 문화적 편의를 제공하고자 2006년 12월에 대소도서관을 건립하였다. 2003년 3월 29일에 2004년 농어촌 공공도서관 건립 국고보조금...
-
충청북도 음성군에 속하는 행정면. 대조곡면과 소탄면에서 ‘대’ 자와 ‘소’ 자 각 한자씩을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지역이며, 고려 때 대조곡처가 있었으므로 그 이름을 따서 대조곡면(大鳥谷面)이라 하여 생동(生洞)·태티[泰峙]·소당(韶堂)·석격(石格) 등의 10개 동·리를 관할하다가 1906년 지방 행정구역 정리에 의하여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에 있는 체육 단체. 지역 체육회의 발족으로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면민 화합을 도모함과 더불어 우수 선수 발굴 및 지도·육성을 통해 대소면의 체육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창립되었다. 송병호 초대 회장을 중심으로 발족되었으며, 봉하용, 김진택, 박용직, 민태성, 최영규, 이기재 등이 역대 회장을 역임하였다. 2008년 현재 이대웅 회장이 역...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에 있는 음성군의 하부 행정 기관. 동쪽으로는 금왕읍, 서쪽으로는 진천군 광혜원면과 이월면, 남쪽으로는 진천군 덕산면, 북쪽으로는 삼성면과 각각 경계를 이루고 있다. 2020년 7월 31일 현재 면적은 총 38.2㎢이고, 관할 인구는 7,655세대 18,385명(남자 10,501명, 여자 7,884명)이다. 관할 행정구역은 12개의 법정리(오산리, 태생...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산리에 있는 천주교 청주교구 소속의 성당. 1997년 6월 30일 본당으로 설립되면서 신성국(노엘) 신부가 부임하였다. 2001년에는 이원순(요한) 신부가 부임하였으며, 2003년에 김태언(요셉) 신부가 부임하였다.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지역은 주변에 공단이 조성되어 있어서, 외국인 근로자가 많이 상주하고 있다. 문화적 차이뿐만 아니라 의사소통에도 어려움...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산리에 있는 천주교 청주교구 소속의 성당. 1997년 6월 30일 본당으로 설립되면서 신성국(노엘) 신부가 부임하였다. 2001년에는 이원순(요한) 신부가 부임하였으며, 2003년에 김태언(요셉) 신부가 부임하였다.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지역은 주변에 공단이 조성되어 있어서, 외국인 근로자가 많이 상주하고 있다. 문화적 차이뿐만 아니라 의사소통에도 어려움...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산리에 있는 재래식 탁주를 생산하는 양조장.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산리는 행정 중심지로서 행정 기관과 공공 단체들이 들어서 있고 3일과 8일에는 대소장이 열리고 있다. 최근의 탁주 소비 감소로 대소양조장의 탁주 생산도 크게 감소하고 있다. 1950년대에는 사람들이 탁주를 많이 애용하였고 정부 정책 또한 밀주를 단속하였으나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일대 농...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산리에 있는 우편·체신·금융을 담당하는 기관. 우체국은 국장의 지위에 따라서 4급(서기관국), 5급(사무관국), 6급(주사국), 7급(주사보국)으로 분류되거나 기능에 따라서 체신청, 우편집중국, 집배국, 무집배국으로도 분류된다. 또한 설립 주체에 따라 일반우체국, 별정우체국, 우편취급소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4급우체국과 5급우체국은 총괄국으로서 기초자치...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산리에 있는 재래 시장.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산리는 면사무소 소재지로서 대소면의 행정·문화·종교·서비스 등의 중심지를 이루고 있다. 음성군 대소면 주민들은 주로 대소장을 이용하고 있지만 일부 주민들은 무극장과 광혜원장도 이용하고 있다. 1960년대부터 농촌 지역을 개발하고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부의 시책이 시행되어, 1964년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삼정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자신을 알고 전통을 가꾸어 가는 조화로운 사람, 스스로 학습하고 진로를 탐색해 가는 슬기로운 사람, 질서를 존중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자주적인 사람, 건강한 심신을 기르고 환경을 가꾸어가는 활동적인 사람, 열린 생각을 가지고 정보화 사회를 주도해 가는 진취적인 사람을 길러 21C 미래를 열어갈 슬기롭고 진취적이며 창의적인 사람을 육...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대풍리에 있는 지방 산업 단지. 지방산업단지법에 의하여 산업 단지 내 사업장에게는 지방세 감면 혜택 또는 일정 기간의 법인세 유예 등의 기업 지원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대소지방산업단지는 수도권 공장의 지방 이전 및 지방 중소기업의 저렴한 공장 용지 확보를 위하여 지방 정부의 계획적인 산업 단지 개발 지원과 행정 지원을 통한 지역 산업의 생산성 제고 및 지...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산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라를 사랑하고 국가와 고장의 발전에 기여하는 어린이, 남과 더불어 생활하고 예절과 질서를 알고 실천하는 어린이, 기본 학습 능력을 기르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어린이, 기초 체력을 튼튼히 하고 환경을 아름답게 가꾸어 심신이 건강한 어린이, 정보화 사회를 이끌어 갈 능력 있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29년 5...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에 속하는 행정리. 지형이 대야처럼 생겼으므로 대실 또는 대야곡이라 하였다. 윗대실은 아래대실 위쪽에 있는 마을로서 고려시대 왕족이 와서 살았다고 하며 마이산[472m] 아래에는 왕족이 세웠다는 절 터가 있어 왕절터라고 부른다. 본래 충주군 두의곡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율리와 내대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육영사업가. 순천박씨 중시조 대제학 박숙정(朴淑貞)의 20세손이고, 부사과 박종현(朴宗鉉)의 아들이다. 이조판서를 지낸 박장생(朴長生)이 사육신 사건 때 화를 입어 설성(雪城)에 유배된 뒤 은둔하면서 후손들이 대대로 살게 되었다. 1940년에 육영사업을 위하여 쌀 500석을 내놓았고, 음성보통학교(현 수봉초등학교) 강당을 새로 지었다. 음성고등실습학교(현 음...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장리는 소이면의 면소재지로서 동쪽으로 후미리, 서쪽으로 비산리, 남쪽으로 금고리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대평리(大平里)의 ‘대’ 자와 장막리(長幕里)의 ‘장’ 자를 따서 대장리라는 이름이 붙었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사이포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장막리, 대평리, 금정리 일부와 소파면의 후미3리 일부를...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대장리에 있던 공립 초등학교.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로 강인한 체력과 의지가 굳은 어린이, 소질과 개성을 키우며 아름다움을 가꾸어 가는 어린이, 질서를 존중하고 서로 도우며 더불어 사는 어린이, 스스로 학습하며 탐구하는 창조적인 어린이, 합리적인 생활과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었다. 1947년 4월 1일 소이초등학교 대장분교로...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에 속하는 행정리. 본래 충주군 두의곡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하리와 구정리를 병합하고 대정리라 하여 삼성면에 편입되었다. 윗두리실 북쪽에 다홍산[122m]이 있고 동쪽에는 망월산[140m]이 있다. 윗두리실천이 대정1리에서 대정2리를 거쳐 아랫두리실천으로 유입되어 능산리를 지나 한촌으로 유입되고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구계리에 있는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는 제조업체. 자동차 부품 제조를 통하여 기업의 이윤 추구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1990년 7월 11일 대지금속(주) 설립을 시작으로, 1992년 12월 15일 대우자동차 국민차 티코용 Air Cleaner Assembly 양산 체제를 마련·공급하였고, 2006년 6월 3일에 벤처기업으로 지정되었다....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대사리에 있는 합성수지 및 기타 플라스틱 물질 제조업체. 화학 합성물 제조를 통하여 기업의 이윤을 추구하고, 지역 발전에 보탬이 되고자 설립되었다. 1988년 7월 7일 (주)대촌이 설립되었고, 1994년 10월 28일 유망 중소 기업에 선정되었다. 1995년 11월 27에는 병역 특례 업체로 선정되었고, 1996년 12월 1일에는 중소기업은행 선정 우량 업...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룡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큰말(보룡리)은 보룡1리의 중앙부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동남쪽으로는 큰산밑이 자리 잡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관말, 서쪽으로는 양짓말, 북쪽으로는 새터[보룡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보룡리에서 제일 큰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대촌(大村)이라고도 불린다. 본래 음성군 원서면 보천리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소여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큰말(소여리)은 음성읍에서 서북쪽으로 약 5㎞ 지점에 위치한 소여2리의 서부 끝 지역에 자리 잡고 있는 자연 마을이다. 음성군 근서면에 속했을 때는 면소재지가 있던 마을이었다. 소여리에서 가장 큰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대촌(大村)이라고도 부른다. 본래 음성군 근서면 대촌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소여리에...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대장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한들은 소이면 소재지에 위치하고 있는 대장1리의 자연 마을로 대장리에서는 가장 큰 마을이다. 마을 앞의 들이 넓다 하여 한들 또는 대평(大坪)이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 사이포면 대평리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대장리에 포함되어 소이면에 편입되었다. 한들은 소이면의 면소재지로서 소이면의 각 기관이 자리하고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에 속하는 행정리. 마을 이름은 마을에 큰 풍년이 든다는 뜻이다. 본래 충주군 사다산면(沙多山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서당리(書堂里)·계두리(鷄頭里)·풍동(楓洞)과 진천군 만승면(광혜원면)의 검성리·광동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대풍리라 하여 대소면에 편입되었다. 동쪽에는 100m 정도의 낮은 산이 있으며...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대풍리에 있는 지방 산업 단지. 지방산업단지법에 의하여 산업 단지 내 사업장에게는 지방세 감면 혜택 또는 일정 기간의 법인세 유예 등의 기업 지원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대풍지방산업단지는 수도권 공장의 지방 이전 및 지방 중소기업의 저렴한 공장 용지 확보를 위하여 지방정부에서 기본 인프라를 제공하고 지리적으로 수도권과의 접근성이 뛰어나며, 중부권 공장 용지...
-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는 고등 교육 기관. 대학은 원래 인문적 내용의 교수를 주요 핵심으로 하는 것이었는데, 과학 기술의 진보와 사회 기능의 세분화에 수반하여 미분화된 학문 영역에서 정밀한 개별 과학이 파생·독립하게 됨으로써 급속히 전문 교육의 아성으로 변모하였다. 이러한 전문 교육의 필요에 따라 음성군에도 극동대학교와 극동정보대학이 설립되어, 고등 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대한노인회 산하의 음성군 지부. 음성군 노인들의 권익 신장과 복지 증진 및 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려는 목적에서 창립되었다. 1969년 1월 15일 전국 노인정이 중심이 되어 창립총회를 개최하여 연합회장에 황한영이 선출되었고, 1969년 4월 15일 단체의 명칭을 사단법인 대한노인회로 바꾸면서 초대회장에 황한영이 선출되었다...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금석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의 교회. 선교활동을 통하여 지역을 깨우고 복음화하는 일에 앞장서며, 주변의 어려운 이웃과 함께하여 소망을 주는 교회를 세운다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48년 3월 5일 충청북도 청주시 청주제일장로교회에서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면 금석리에 초가 4칸 1동을 사들여 예배 처소를 마련하였다. 1948년 6월에 설립자 전종무의 인...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단평리에 있는 대한적십자사 산하 혈액 센터. 1903년 대한제국이 제네바협약에 가입하고 1905년 고종황제 칙령 제47호로 대한적십자사 규칙을 제정함으로써 대한적십자사가 탄생하였다. 1919년 중국 상해 임시정부 아래에서도 독립군과 재외 거주 동포를 위한 인도적 활동을 펼쳤으며, 그 후 1949년 대한적십자사 조직법이 공포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2007...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에 있는 토지 측량 등의 업무를 하는 한국국토정보공사의 음성군 지사. 지적법에 의한 국민의 재산권 보호와 지적 측량 기술의 개발 및 지적 제도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토지와 건축물 등의 부동산에 관한 위치, 지번, 지목, 면적, 경계, 좌표 따위의 물리적 현황과 법적 권리 관계의 등록 및 공시 등 영속적인 국가 제도를 집행하고 있다. 측량...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항일운동가.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덕경(德卿), 호는 우춘(又春)이다. 참판 김낙회(金樂會)의 손자이며, 참판 김태희(金泰熙)의 아들이다. 사천현감을 역임하던 중 1910년에 한일합방이 되었다. 김기명은 나라가 망했다는 소식을 듣고 사흘간 통곡하였고 열흘이 지나도록 음식을 먹지 않았다. 그리고 “깊은 골짜기에서 태어나 충(忠)을 본받지 않아...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성용은 1875년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선정리에서 이호성(李鎬聖)의 아들로 출생하였으며, 본관은 우봉, 자는 덕경(德敬)이다. 1919년 4월 2일 밤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선정리 뒷산에서 마을 주민 수십 명과 독립 만세를 부른 후, 약 80여 명의 군중을 지휘하고 천평리 소재 경찰주재소로 달려가 독립 만세를 계속 고창하였다. 가...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각회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마을의 지형이 삼태기처럼 생겨 마을로 ‘덕이 많이 들어오라’는 뜻에서 덕동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금목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동촌, 덕동을 병합하여 각회리라 칭하고 금왕면에 편입되었으며, 1973년 금왕읍에 속하게 되었다. 각회리에는 각구실,...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상평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텃골(상평리)은 감곡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약 8㎞ 지점에 위치한 상평2리의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월정리가 있고, 서쪽으로는 주천리, 남쪽으로는 생극면 방축리, 북쪽으로는 영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덕동(德洞)이라고도 불린다. 본래 충주군 감미곡면 덕동 지역이었으나 1906년(고종 43)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으로 은거한 문신. 본관은 평산. 자는 덕부(德夫), 호는 규정(葵亭)·서암(恕庵). 아버지는 현감 신항구(申恒耈)이다. 신후재는 1660년(현종 1) 사마시를 거쳐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승문원(承文院)에 등용되었다가 지평·부교리 등을 역임했다. 1679년(숙종 5) 강원도관찰사가 되었고 이듬해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남인(南人)이 제거될 때 삭직되었...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덕삼(德三), 호는 난계(蘭溪), 자호는 난곡(蘭谷). 음성의 시거조(始居祖) 김덕항(金德恒)의 증손이고, 김기제(金起悌)의 손자이며, 삼화부사 김각(金珏)의 둘째아들이다. 부인은 함양박씨로 조부는 현감 박내창(朴乃昌)이며, 아버지는 박상채(朴尙采)이다. 아들은 김중화(金重華)이다. 김일관(金一觀)[1684~172...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덕삼(德三), 호는 정산(貞山). 박화철(朴和喆)의 아들이다. 박준우는 1844년(헌종 10) 39세로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후 수찬(修撰)·교리(校理)를 거쳐 1850년(철종 1) 50세에 좌승지가 되었다. 이어 5년 뒤에 사간원대사간이 되었다. 박준우의 묘소는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소여리(所餘里)에 있다...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음성(陰城). 자는 덕여(德汝), 호는 입암(立庵). 박서(朴犀) 장군의 16세손이고, 아버지는 아산현감 박정규(朴廷珪)이며, 어머니는 경주이씨 장령 이행민의 딸이다. 박준흠은 어려서부터 글을 좋아하여 한번 읽은 글은 반드시 기억하여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 또한 성장하면서 경학을 연구하였고, 의문점은 도암 이재와 여호 박필주에게 배...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덕정리 독정이에서 음력 1월 초에 지내는 산신제. 독정이는 원남면 소재지에서 4㎞ 지점에 위치하며 사향산 밑 문수봉 아래에 있다. 신당은 산신각이라 부르며 콘크리트 벽체에 슬레이트 지붕을 하고 있다. 본래 있던 신당은 1979년 산림 내 불법 건축물 철거 때 철거되었는데 그 해 마을의 젊은이가 7명이나 죽는 일이 발생하자 다시 조그만 산신각을 지었다고 한다....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에 속하는 행정리. 덕지(德地)의 ‘덕(德)’자와 금정(金井)의 ‘정(井)’자를 따서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지내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금정리·덕지리·가동리·가서리를 병합하고 덕정리라 하여 삼성면에 편입되었다. 마이산[472m]에서 흐르는 물을 막아서 만든 덕정저수지가 있고 모래내에서 영덕리...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에 속하는 행정리. 마을에 큰 우물이 있다 해서 독정이 또는 독정리라 하였다. 본래 음성군 원서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용당리 일부를 병합하고 덕(德)이 있으라는 뜻에서 덕정리라 하여 원남면에 편입되었다. 동북쪽에는 문수산[385m]이 있고 서북쪽에는 사향산[340m]이 있다. 주요 고개로는 자작이고개·우리실고개·팔테고개 등이 있다. 문...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1리에 있는 재래 시장. 덕정장이 열리는 지역의 명칭에 따라 삼성장 또는 모래내장이라고도 한다. 모래내는 장터 북쪽에 있던 마을로 지금은 장터와 수청바다 등의 마을이 모두 합쳐져 행정구역상으로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1리에 속한다. 덕정장에 관한 기록이 조선 후기의 각종 문헌과 지도에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1930년대 초에 장시가 열렸던 것으로 추...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덕휘(德輝), 호는 기원(綺園). 산청현감 유언수(兪彦繡)의 아들이다. 사마시에 급제하여 벼슬에 나아가 감역, 영춘현감을 역임하고, 선공감부정(繕工監副正)에 이르렀다. 아버지의 필법을 이어받아 필재(筆才)로 명성을 얻어 “동방 전예(篆隸)의 으뜸”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해동호보(海東號譜)』에 “유기원은 전예를 잘해서 그 명성이 일세(...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용촌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덴언덕은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용촌리 남쪽에 위치하며, 마을 동북쪽의 황새자리, 서쪽의 용미머리, 골말 등과 함께 용촌리를 이루고 있다. 마을 이름은 본래 돈덕(敦德)이었는데 이후에 덴언덕으로 소리가 변하였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맹동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도가(道可), 호는 한강(寒岡). 할아버지는 사헌부감찰 정응상(鄭應祥)이며, 아버지는 한훤당(寒喧堂) 김굉필(金宏弼)의 외증손으로 부사맹(副司猛) 정사중(鄭思中)이다. 어머니는 성주이씨(星州李氏)로 이환(李煥)의 딸이다. 1555년(명종 10) 13세에 덕계(德溪) 오건(吳健)을 스승으로 모셨고, 겸하여 퇴계(...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 자는 도기(道器). 아버지는 박근순(朴謹淳)이다. 26세 때인 1780년(정조 4)에 음보(蔭補)로 인릉참봉(仁陵參奉)이 되었고 1801년(순조 1) 화순현감으로 부임하여 초하루와 보름에 청소년을 모아 향약을 베풀고 경서를 강의하였다. 문장이 뛰어나고 글을 잘하여 명성이 높았고 효자로도 널리 알려졌다. 묘소는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충도리 벳돈마을...
-
2월 28일 강당말 마을회관에 마을 이야기를 조사하기 위하여 방문했을 때 할머니들이 많이 모여 앉아 있었다. 이미 여러 번 왔었기 때문에 할머니들과는 어느 정도 친숙해져 있었다. 할머니들께 예전에 들었던 옛날이야기를 들려달라고 청하니 다 잊어버렸다며 선뜻 이야기를 꺼내려 하지 않았다. 시집살이하던 이야기라도 해주십사고 하니 시집살이 이야기는 남들한테 흉 보이는 것이라며 다들 안하고...
-
함옥희 할머니는 또 도깨비불을 만나 혼이 난 이야기도 들려주었다. “옛날에 누에고치를 먹였는데 많이 안 먹여가지고 이만한 둘갱이(광주리)에다 해 이고 비가 추줄추줄 오는데 밭으로 갔었어요. 밭으로 갔는데 이놈의 사람이 많아 가지고 앞에 많아 가지고 차례차례로 들어가니까 저물었어. 어두웠어. 어두웠는데 오는 길이 한 20리 되요. 집에 오는 길이 한 20리 되는데 오면 큰 수리조합...
-
함옥희 할머니는 「색시로 변한 도깨비」에 이어 실제 자신의 할아버지가 도깨비에 홀려 돌아가셨다면 이야기를 해주었다. “산골에서 아주 산골에서 살았는데 몇 집이 안 살았어. 거기 사랑꾼들이 매일 우리 아버지 사랑방에 모여서 노셨대. 그리고 우리 할아버지는 예전에 마차라고 있었어. 구레마차라고 이렇게 있는데 소가 끌고 다녀. 그런데 그것을 매일 끌고 다녔었는데, 뭐 하러 끌고 다녔는...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충도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도래원충이는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6㎞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금고리, 서쪽으로 원남면 구안리, 남쪽으로 갑산리, 북쪽으로 음성읍 석인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사이포면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도남리, 양전리에 해당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도남리, 양전리, 삼고리, 원충리...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행해지는 서낭신에 대한 제사. 우리나라의 마을은 배산임수를 중심으로 하며, 산을 등지고 남쪽으로 향하여 자리 잡고 있다. 마을로 들어오는 입구에는 서낭신을 모시는 서낭당이 있으며 그 옆에 장승이나 솟대가 있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서낭신은 토지 수호신이며, 마을의 경계 또는 입구를 지켜 주는 신이다. 그리하여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마을의 방액(防厄), 농사...
-
도둑골은 이진말에서 남쪽으로 도신리 방향으로 가다보면 이진말과 도신리 경계지점에 이르고, 이 지점에서 병암2리로 가는 길로 갈라지는 곳이 있는데 이 지점에서 동쪽 방향으로 보이는 왼쪽골짜기(구렁)이다. 도둑골에 대하여 오덕욱 할아버지는 “병암2리 들어가는 그 커브머리. 그 구렁이 제일 질지 왜”라고 위치를 이야기하며, 도둑골이라 부른 유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이야기 하였다. “...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감우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에서 서북쪽으로 약 5㎞ 지점인 감우리의 서북쪽 끝에 위치한 마을이다. 감우재고개를 지나 산모퉁이를 돌아 있는 마을이라 하여 도람말이라 하였다. 본래 충청북도 음성군 근서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성주동을 병합하여 감우리라 하고 음성면에 편입되었다. 1956년에 음성면이 음성...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오생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도랑말은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소재지에서 북쪽으로 약 5㎞ 지점인 오생리 남부 지역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못고개, 북쪽으로 오룡과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이 도랑가에 있다고 하여 도랑말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며, 예전에 물레방아가 있었다 하여 물방아거리라고도 한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생동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충도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도래원충이는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6㎞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금고리, 서쪽으로 원남면 구안리, 남쪽으로 갑산리, 북쪽으로 음성읍 석인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사이포면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도남리, 양전리에 해당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도남리, 양전리, 삼고리, 원충리...
-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에 있는 인간이나 차가 다니는 비교적 넓고 큰 길. 음성군 관내에는 12.32㎞의 중부고속국도, 6.94㎞의 중부내륙고속국도 등의 고속국도 2개 노선과 일반국도 5개 노선(79.827㎞), 국가지원 지방도 2개 노선( 31.09㎞, 미 개통 도로 1.15㎞, 포장률 96.3%), 지방도 7개 노선(미 포장 도로 0.2㎞, 포장률 99.8%), 군도 25개 노선(...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삼용리에 있는 고개. 원남면 삼용리 은행나무골에서 맹동면 통동리로 넘어가는 고개인데, 옛날 통동리에 군량창고가 있어서 통행이 빈번하였을 때 고개의 경사가 심하여 말이 굴렀다는 전설에 따라 말등구리재라 한다. 한자로 표기하면 도마치(倒馬峙)[일명 도마재]가 된다. 북쪽은 암솔[332m]과 덕솔[360m] 등의 높은 산으로 이어지고, 동남쪽의 조촌리에는 235고...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삼용리에 있는 고개. 원남면 삼용리 은행나무골에서 맹동면 통동리로 넘어가는 고개인데, 옛날 통동리에 군량창고가 있어서 통행이 빈번하였을 때 고개의 경사가 심하여 말이 굴렀다는 전설에 따라 말등구리재라 한다. 한자로 표기하면 도마치(倒馬峙)[일명 도마재]가 된다. 북쪽은 암솔[332m]과 덕솔[360m] 등의 높은 산으로 이어지고, 동남쪽의 조촌리에는 235고...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도숙(度叔). 교리 정창(鄭昌)의 13세손이고, 아버지는 동몽교관(童蒙敎官) 정석휴(鄭錫休)이다. 1746년(영조 22)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에서 출생하였다. 오효자로 이름난 정국주(鄭國柱)의 후예답게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학문에도 뛰어나 경학에 덕망이 높았으나 과거를 보아 출세하면 부모를 봉양하기 어려움을 깨닫...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에 속하는 행정리. 도관의 ‘도’자와 신촌에서의 ‘신’자를 따서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무극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촌·도관리·곤지리·생탕리의 각 일부와 충주군 금목면의 각회리의 일부를 병합하고 도신리라 하여 생극면에 편입되었다. 1973년부터 생극면의 경짐말·생탕동·애금바위·수은관·신대·연화...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도신리 가정개에서 음력 정월 초 산신에게 올리는 제의. 가정개는 생극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약 2㎞ 지점에 위치하며 도관리 남쪽에 있다. 마을 뒤에 정자가 있어 가정(佳亭)이라고 하였는데 가정이 변해서 가정개가 된 것이다. 매년 정월 초를 기준으로 날을 잡아 도신리 가징개 산신제를 올리는데 부정한 일이 있으면 3일 정도 연기한다. 제관은 40세 이상의 사람...
-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는 토기나 도자기를 굽던 가마가 있던 터. 가마는 크게 한데가마[露天窯]와 굴가마[登窯]로 나눈다. 한데가마에서는 신석기시대 빗살무늬토기가 구워졌을 것으로 보이나 아직 발굴된 예가 없고, 확인되는 가마는 모두 굴가마이다. 전통시대의 가마는 대부분 파손되어 터만 남은 상태에서 확인되므로 가마 터 유적이라고 부른다. 가마는 연료를 연소시키는 방인 연소실(燃燒室)과...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도원(道源). 아버지는 반명익(潘溟翼)이다. 1617년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태어났다. 1646년(인조 24)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고, 1648년(인조 26) 식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춘추관기주관(春秋館記註官), 호조정랑·형조정랑을 거쳐 흥양현감과 회덕현감을 지냈다. 1674년 향년 58세로 사망하였다. 충...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도청1리에 있는 초계정씨의 사우. 도원사는 초계정씨(草溪鄭氏)의 사우(祠宇)로, 초계정씨는 정배걸(鄭倍傑)을 시조로 하고 있다. 정배걸은 초계성산에 정착해 살았으나 그 선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정배걸은 1017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문종 때 예부상서, 중추원부사를 지냈다. 홍문광학추성찬화공신(弘文廣學推誠贊化功臣)으로 문하시중상주국광유후(門下侍...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도청리에 있는 초계정씨의 중시조를 봉안한 사우. 도장사에는 취금헌(醉琴軒) 박팽년(朴彭年), 죽계(竹溪) 정창(鄭昌), 우헌(愚軒) 정덕기(鄭德麒), 정국주(鄭國柱), 정국추(鄭國樞), 정국량(鄭國樑), 정국로(鄭國櫓), 정국빈(鄭國彬) 등 여덟 사람을 봉안하고 있으며 매년 3월 중정(中丁)과 9월 중정(中丁)에 제사하고 있다. 도장사는 조선 숙종조에 창건되...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도청리에 있는 도장사에서 봄과 가을에 제향하는 의례. 박팽년(朴彭年)·정창(鄭昌)·정덕기(鄭德麒)·정국주(鄭國柱)·정국추(鄭國樞)·정국량(鄭國樑)·정국로(鄭國櫓)·정국빈(鄭國彬) 등을 모셔놓고 매년 봄(음력 3월 중정일)과 가을(음력 9월 중정일)에 음성의 유림과 초계정씨 종중에서 제향하고 있다. 도장사는 초계정씨의 중시조를 봉안한 사당으로 조선 숙종조에 창...
-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었던 조선시대 도로 이름. 충청북도 음성현에서 남송대로(南松大路)를 지나 괴산현과의 경계에 도차고개[道車峴]가 있었는데, 이 이름을 따서 도차현 대로라고 불렀다. 조선시대에 역원제도가 발달함에 따라 충청북도 음성현 역말에서 남송대로를 지나 도차고개를 넘어 괴산현으로 왕래할 목적으로 도차현 대로을 만들었다. 그러나 주변 도로 교통의 발달로 도차현 대로는 쇠퇴하였다...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에 속하는 법정리. 도장리와 청일리에서 ‘도’ 자와 ‘청’ 자, 각 한 글자씩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金目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본리(本里)·도장리(道庄里)·청일리(晴日里)·장현리(長峴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도청리라 하여 금왕면에 편입되었다. 1973년 7월 1일 금왕면이...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도청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고분. 고려시대의 분묘는 신분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인다. 왕족이나 귀족의 무덤은 삼국시대 돌방 무덤의 전통을 이어받아 돌방을 만들고 흙을 쌓아 올려 봉분을 만들었으며, 일반인의 무덤은 돌을 정연하게 쌓아 석곽을 조성하였다. 음성군 금왕읍 소재지에서 대소면 방향으로 82번 도로를 따라가다가 중원휴게소에 500m 못 미치는 지점의 오른...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도청리에서 발원하여 금왕읍 본대리를 지나 미호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금왕읍 도청리 방아다리에서 발원한 도청천은 도청리, 신평리, 본대리를 지나 삼성면과 대소면의 평야 지대를 관개하고 미호천으로 유입되는 금강 수계이다. 길이 7.0㎞의 준용하천으로서 유역 면적은 17.50㎢이다. 도청천은 금왕읍 도청리를 흐르는 하천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되자니(일명 도장...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 산7번지에 있는 3성(공자, 주자와 안향) 및 9현을 봉안한 사우. 공자, 주자, 안향을 비롯하여 국재(菊齋) 권부(權溥), 역동(易東) 우탁(禹倬), 동암(東庵) 이진(李瑱), 이재(彛齋) 백이정(白頤正), 매운당(梅雲堂) 이조년(李兆年), 덕재(德齋) 신천(辛蕆), 노당(露堂) 추적(秋適), 근재(謹齋) 안축(安軸), 경재(敬齋) 안보(安輔) 등의...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있는 도통사에서 제향하는 의례. 공자(孔子)·주자(朱子)·안향(安珦)·권부·우탁·이진·백이정·이조년·신천·추적·안축·안보 등을 모셔놓고 매년 봄(음력 2월 말정일)과 가을(음력 8월 말정일)에 음성의 유림들이 제향하고 있다. 도통사는 본래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화안리에 건립되었던 사당이었는데 1980년대 군사시설 관계로 철거되었다가 1995년 현재...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설성공원 안에 있는 독립기념비. 1945년 일제로부터의 독립을 기념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총 높이가 283㎝이고, 비신의 경우 높이 200㎝, 앞면 폭 85㎝, 측면 폭 43㎝이고, 가첨석(加檐石)은 높이 52㎝, 앞면 폭 94㎝, 측면 폭 51㎝이며, 방부(方趺)는 높이 31㎝, 앞면 폭 164㎝, 측면 폭 122㎝이다. 비석 앞면에는 ‘독립기념비...
-
1919년 3월부터 4월까지 충청북도 음성군 일원에서 전개된 독립만세운동. 일제의 한국 강점과 무단통치에 대항하여 1919년 3월 1일 독립선언과 만세운동이 시작되어 전국적으로 파급되었다. 충청북도 음성군 일원에서도 이에 호응하여 1919년 3월 하순부터 4월 상순에 걸쳐 군내 각지에서 만세운동이 전개되었다.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에서는 초전리 서당에 다니던 김영익·정민영·최만득·...
-
충청북도 음성시에서 조선 말기와 일제강점기에 국권회복운동과 항일독립운동에 헌신한 애국지사. 음성 지방은 1905년의 중기 의병 때부터 의병 활동과 관련한 구체적인 기사들이 보이는데, 특히 1907년 구한국군대의 강제 해산 이후 봉기한 후기 의병에서 더욱 활발한 양상을 보인다. 또한 3·1운동 때에는 군내 각지에서 만세시위가 벌어지는 등 독립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조선 후기 국...
-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는 서울에서 약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되는 거리에 있다. 비산리에 가기 위해서는 중부고속도로를 타야 한다. 자가용을 이용하면 중부고속도로 동서울IC를 출발하여 청주 방면으로 향하면 호법 분기점을 지나 일죽을 거쳐 음성IC에 이르게 된다. 음성IC를 나와서 좌회전을 하면 82번 지방도를 탈 수 있는데, 15분쯤 직진을 하면 금왕대교를 지나 37번 국도와 만날...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에 있는 고개. 고개에 돌이 많아서 붙어진 이름으로 돌고개를 한자로 표기하면 석현(石峴)이 된다. 음성읍 읍내리, 용산리, 한벌리에 걸쳐 있는 높이 245m의 옥녀봉은 산의 형태가 마치 옥녀가 산발한 모양이라서 붙어진 이름인데 돌고개는 옥녀봉의 옥녀가 화장을 할 때 쓰는 분(粉)에 해당되고 신천리의 돌명이(일명 석명동)는 옥녀의 거울에 해당된다고 풍수지...
-
병암1리 할머니들이 풍감묻기를 보여준 후 다음에 ‘돌려라 돌려라’를 보여주었다. ‘돌려라 돌려라’는 앞서 보여준 ‘풍감 묻기’와 비슷한 방식으로, 다 같이 동그랗게 앉아서 한다. 조사 당시에는 촬영 때문에 반원의 형태로 앉아서 보여주었다. ‘돌려라 돌려라’의 놀이 방식은 술래를 한 명 정하고 나머지 사람들이 원을 만들어 다리를 굽혀 세워서 조밀하게 붙어 앉는다. 그리고 술래가 보...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상우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돌마래미는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상우리 북동부 지역에 위치하며, 마을 남쪽으로 새터(정동), 서쪽으로 아연이, 동쪽으로는 문촌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예부터 마을에 돌이 많아 돌마래미[石遇]라는 이름이 붙었다. 본래 충주군 거곡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아리,...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돌명이는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에서 서쪽으로 1㎞ 지점에 있으며, 동쪽으로 읍내리, 서쪽으로 초천리, 남쪽으로 하당리, 북쪽으로 용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이 음성향교 뒷산인 옥녀봉의 옥녀 거울에 해당되는 형국이며, 돌에서 빛이 난다 하여 돌명이[石明]라고 하였다. 신천리는 본래 동도면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금석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돌모루는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에서 동쪽으로 1㎞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육령리, 서쪽으로 무극리, 남쪽으로 용계리, 북쪽으로 정생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 모퉁이에 돌이 많다고 하여 돌모루라 하였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금목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으로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석...
-
비석거리 에 서서 남쪽을 바라보면 바로 보이는 두 고개가 있는데, 큰 길을 건너 작은 고개와 큰 고개가 나란히 자리 잡고 있는 모습이다. 큰 고개 동쪽으로 논으로 이용되고 있는 뱀터가 있으며 비산리 서쪽으로 조그맣게 형성되어 있는 방죽안 옆쪽으로는 진등, 진등산 등으로 불리는 나지막한 산이 자리 잡고 있다. 비산리의 대표적인 고개로는 화산고개, 작은 고개, 모래고개 등이 있다....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자직(子直), 호는 동강(東岡). 예조판서 조형(趙珩)의 아들이며, 할아버지는 승지 조희보(趙希輔)이다. 조상우는 1657년(효종 8) 17세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천거되어 세자익위사세마(世子翊衛司洗馬)·연천현감(連川縣監)을 지냈다. 1675년(숙종 1)에는 스승인 송준길(宋浚吉)이 삭직을 당하자 홍득우(洪...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쌍정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맹동면의 소재지이며, 동쪽은 함박산, 서쪽은 본성리, 남쪽은 두성리, 북쪽은 마신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배미 동쪽에 있는 마을로 마을 뒷산에 장기바위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정리와 하정리·중본리·율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맹동면에...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갑산1리에 속하는 동족 마을. 안동권씨의 시조 권행(權幸)의 21대손 영풍군 권길(權吉)의 후손이 임진왜란 후에 소이면 갑산리에서 대대로 살게 되면서 안동권씨의 세거지가 되었으며, 갑산리 정자안 또는 정좌안, 동녘말이 안동권씨의 집성촌이 되었다. 임진왜란 당시 상주 판관을 하던 권길(權吉)이 상주에서 전사한 후 덕고개 부근에 묘를 썼다. 후손들이 갑산리에 살...
-
정회문을 시조로 하고 정한철과 정동협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시조는 고려 안일호장(安逸戶長) 정회문(鄭繪文)이다. 그 후손이 고려 초기 보윤호장을 지낸 정지원(鄭之遠)이다. 조선시대에 17명의 영의정·좌의정·우의정을 비롯한 많은 명신을 배출하여 전주이씨·안동김씨와 더불어 3대(大) 상신(相臣) 가문으로 유명하다. 동래정씨는 정지원의 5세손 대에서 교서랑공파(校...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동리는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2㎞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덕정리, 서쪽으로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남쪽으로 용성리, 북쪽으로는 대사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동리는 양지울 동쪽 마을로 한절우, 대사동이라고도 한다. 대사동이라는 이름은 큰 절이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지내...
-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동물의 종류. 동물군은 동물의 양(量)적인 개념인 데 비하여, 동물상은 동물의 종에 대하여 분류학 상의 소속이나 명칭을 정하는 정성적(定性的)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특정 동물군에 대해서는 곤충상·연체동물상 등으로, 지역에 대해서는 한국의 동물상, 남극의 동물상 등으로, 환경에 대해서는 삼림동물상·토양동물상·호소동물상 등으로, 생활양식에 대해...
-
경기도 평택시 안중면과 강원도 삼척시를 잇는 고속국도 중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 구간. 2020년 완공을 목표로 건설 중인 동서고속국도는 경기도 평택시 안중면과 강원도 삼척시 간의 동서를 횡단하는 222.0㎞ 구간으로, 충청북도 음성군 북부 지방의 금왕읍, 삼성면, 대소면, 감곡면 일대를 경유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동서를 횡단하는 고속국도이기 때문에 동서고속국도라는 이름이 붙었다....
-
충청북도 음성군 읍성읍에 속하는 법정리. 본래 음성군 근서면(近西面) 지역으로서 동음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창리(上倉里)·삼생리(三生里)의 일부와 맹동면의 중삼리(中三里) 일부를 병합하고 동음리라 하였다. 1956년 7월 8일 음성면이 읍성읍으로 승격되었다. 옥녀봉[289m]과 함박산 등의 지형이 300~400m 내외로 이루어져 있어 대부분 지형이 높다....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동음리에 있는 조선 후기 백자가마 터. 음성읍에서 무극 방면 국도 37호선을 타고 달리다 보면 유현고개를 넘어 500m 거리에 감우리가 있고, 이곳에서 서쪽으로 가면 보현산이 있다. 입구에서부터 도로를 따라 동음리 승주를 지나면 동음리 백자가마 터에 이르게 된다. 동음리 입구에 있는 민가 바로 옆과 인삼밭에 자기 조각과 도지미, 불탄 흙 등이 널리 산포되어...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동음리 아래창골에서 음력 정월 초 산신에게 올리는 제의. 아래창골은 만생산 서남쪽에 위치한 마을로 음성읍에서 서쪽으로 약 6㎞ 지점에 위치한다. 아래창골의 북동쪽 만생산 중턱에 제단과 신목이 있으며, 당집은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 동음리 아래창골 산신제는 삼년마다 정초에 길일을 잡아 제를 올린다. 마을 회의에서 마을 사람들 중 생기복덕(生氣福德)을 가려...
-
갑산리 정산말 과 정자안에 들러 할머니들을 만나 예전에 하던 놀이를 여쭤 보았다. 할머니들이 가장 공통적으로 이야기 해 준 것은 「바가지북 치며 놀기」가 있었고 좀 더 나이가 든 할머니가 「품가묻기」라는 놀이를 알려주었다. 그리고 일종의 점을 치는 놀이 중 하나인 「채패노름」이라는 특이한 놀이도 알 수 있었다. 갑산리 할머니들께, 처녀 적에 했던 놀이에 대해서 여쭤 보니 직접 북...
-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서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올리는 의례. 마을의 수호와 안녕, 풍요를 위해서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지내는 동제는 지역에 따라 서낭제, 부군당제, 도당제, 거리제, 동제, 당산제, 본향당제, 촌제 등 다양하게 불린다. 동제는 특정 신분이나 집안의 것이 아니라 마을 사람 모두의 집단 제사로서 마을 단위로 이루어지며, 마을 사람들이 제의...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행해지는 서낭신에 대한 제사. 우리나라의 마을은 배산임수를 중심으로 하며, 산을 등지고 남쪽으로 향하여 자리 잡고 있다. 마을로 들어오는 입구에는 서낭신을 모시는 서낭당이 있으며 그 옆에 장승이나 솟대가 있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서낭신은 토지 수호신이며, 마을의 경계 또는 입구를 지켜 주는 신이다. 그리하여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마을의 방액(防厄), 농사...
-
황경모 할아버지(82세)께 동제를 지내기 전에 동제가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대한 여러 가지 이야기를 듣고 난 후, 다시 마을 경로당으로 돌아와 동제 음식을 준비하고 있는 할머니들을 만났다. 문촌리로 시집오셔서 오랜 세월을 바위배기 동제 지내는 것에 참여했다는 임애자 할머니(70세)는 바위배기 동제가 어떻게 행해져 왔는지에 대하여 말해 주었다. 특히 진설품에 대해 돼지 한 마리를 통...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서예가. 본관은 진주, 자는 동진(東震), 호는 사헌(思軒)으로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노리 가곡에서 출생하여 61세에 사망하였다. 묘소는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노리 가곡에 있다. 유만형은 어려서 한문과 의학을 배웠으며 음성읍에서 만춘당 한약방을 경영하였다. 행서와 초서를 잘 썼고 1935년 평안남도 평양에서 열린 조선전도문인대회에 참가하여...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송곡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동편은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소재지에서 북쪽으로 약 6㎞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방축리, 서쪽으로 임곡리, 남쪽으로는 팔성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송림의 동쪽에 있어 동편이라 부른다. 송림은 동편과 서편을 통틀어 부르는 이름으로, 예전에 송림을 개간해 마을을 이루었다고 한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생동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
-
웃오갑마을 과 주추배기마을은 본래 한 마을이었고, 행정구역상 나뉘어 진지 얼마 되지 않아 마을 사이의 관계가 매우 돈독하다고 한다. 주추배기를 찾아갔다가 윤희 할아버지(81세)와 이야기를 나누던 중 할아버지께서는 웃오갑마을과의 우애 돈독한 사이임을 자랑하며 두 마을이 함께하는 계모임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였다. “할아버지, 마을에서 하는 계가 있나요?” “계야 있지. 여 위에 웃오...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차평리에서 발원하여 차곡리천을 합류하고 응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생극면 차평리 본말 남쪽의 넓은 들 옆에 흐르는 소하천으로 응천에 유입되는 한강 수계이다. 폭은 4m이고, 길이는 0.8㎞이며, 유역 면적은 0.52㎢이다. 생극면 차평리 본말에서 남쪽 서낭당으로 가는 길 옆에 있는 넓은 들을 두들기번던이라고 하는 데 두들기번던 옆에 흐르는 하천이라서 붙여진 이...
-
예전에는 들에 일하러 다닐 때 두레도 있었고 품앗이도 있었다. 두레패를 조직해 함께 일할 때에는 주로 웃계를 한다고 하였다. 웃계는 정해진 목표량을 채우는 것으로 한 마지기 얼마로 정하고, 다 같이 가서 목표량만큼 일을 하였다. 웃계는 목표량 계여서 얼마나 걸리든 채우기만 하면 되었다....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대정리 두리실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흘러 한천으로 유입되는 하천. 두리실은 삼성면 대정리에서 으뜸이 되는 마을로서 조선시대에 두의곡면이 있었으므로 두의곡이라고 하였는 데, 두의곡이 두리실로 변하였다. 두리실천은 두리실에 흐르고 있는 하천이라서 붙여진 이름으로 일명 두의곡천이라고도 한다. 삼성면 대정리 윗두리실 북쪽에는 다홍산[122m]이 있다. 동쪽 능산리와...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대경(大卿), 호는 두산(斗山). 아버지는 반진홍(潘鎭洪)이고, 형은 반필순(潘弼淳)이며, 아들로는 반시동(潘始東)·반혁동(潘爀東)이 있다. 반달순은 문장과 학문에 있어 사람들이 아버지 반진홍, 형인 반필순과 함께 삼소(三蘇)라고 칭하였다. 아들 반시동과 반혁동도 문장과 학문에 조예가 깊었다. 묘는 충청북도 음성군...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대풍리에 있는 (주)테크팩솔루션의 생산공장. 지역 주민을 고용함으로써 지역 경제에 이바지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1950년대 국내 최초로 유리병 산업에 진출하여, 주류, 식음료와 제약 산업에 필요한 포장 용기를 생산하여 국내 유리병 산업을 선도해 왔다. 1956년 2월 (주)해남초자공업이라는 상호를 가지고 출발했으며, 1976년 11월 두산그룹에서 경영권을 인...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에 속하는 행정리. 두서(斗西)의 ‘두(斗)’자와 부성(夫城)에서의 ‘성(城)’자를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부성리·두중리·두동리·두서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두성리라 하여 맹동면에 편입되었다. 맹골에서 군자리로 넘어가는 곳에 맹골고개, 저수지로 넘어가는 곳에는...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두성리에 있는 수령 약 280년의 보호수.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이며, 길이는 2~12㎝, 폭은 1~5㎝이고 표면은 매우 거칠거칠하며 끝이 점차 뾰족해진다. 두 그루의 나무로 되어 있는데, 수령은 약 280년이며, 높이는 각각 17m, 둘레는 각각 3.08m, 4.8m이며, 수관 폭은 각각 25m이다. 보호수의 민속 관련 행사로는 약 2...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말이장고개에서 발원하여 두성리에서 북류하여 부윤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두성리천은 맹동면 두성리의 마을 이름에서 붙여진 하천 이름이다. 맹동면 통동리와의 경계에는 북으로 함박산[339m]이 있고 동쪽에는 살테[200m]가 있으며 서남쪽에는 솔태가 있고 남쪽에는 말이장고개[193m]가 있다. 서쪽은 구릉지이고 북쪽은 산간 저지를 이루고 있다. 남쪽의 말이장고개와...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대정리 두리실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흘러 한천으로 유입되는 하천. 두리실은 삼성면 대정리에서 으뜸이 되는 마을로서 조선시대에 두의곡면이 있었으므로 두의곡이라고 하였는 데, 두의곡이 두리실로 변하였다. 두리실천은 두리실에 흐르고 있는 하천이라서 붙여진 이름으로 일명 두의곡천이라고도 한다. 삼성면 대정리 윗두리실 북쪽에는 다홍산[122m]이 있다. 동쪽 능산리와...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대장리에 있는 산. 1890년대 발간된 것으로 추정되는『충주군읍지(忠州郡邑誌)』의 경우 장막리는 충주군에서 서남쪽으로 50리 떨어진 지점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1870년대의 『호서읍지(湖西邑誌)』에서는 사이포면 장막동 토굴을 사이포면·소파면·주류면의 3개 면이 함께 설치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비선팔경의 하나로서 ‘둔진산에 서려 있는 흰구름(屯鎭歸雲,...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본대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뒤뜰은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10㎞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신평리, 서쪽으로 삼성면 천평리, 남쪽으로 대소면 성본리, 북쪽으로 행제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1560년경 조선의 효령대군 증손의 묘지가 있다 하여 마을 이름을 본리라 했고, 매터골 서쪽에 있다 하여 뒤뜰이라고 부른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본대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뒤뜰은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10㎞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신평리, 서쪽으로 삼성면 천평리, 남쪽으로 대소면 성본리, 북쪽으로 행제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1560년경 조선의 효령대군 증손의 묘지가 있다 하여 마을 이름을 본리라 했고, 매터골 서쪽에 있다 하여 뒤뜰이라고 부른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원당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뒷벌은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약 8㎞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상평리, 서쪽으로 경기도 이천시 율면과 총곡리, 남쪽으로 생극면 방축리, 북쪽으로 주천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뒷벌은 용머리 뒤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과수원이 많아 과수원촌이라고도 하는 데 특히 복숭아를 많이 재배하고 있다. 본래 충청북...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득여(得輿), 호는 관송(觀松)·쌍리(雙里). 좌찬성 이극돈(李克墩)의 후손이며, 이우선(李友善)의 아들이다. 이이첨은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에서 출생하였다. 천성이 효우하고 제행(制行)이 고결하여 어려서부터 부모를 섬김이 지극하였다. 1593년(선조 26) 광릉참봉에 제수되고 1594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생원. 본관은 음성. 자는 득지(得之). 박서(朴犀) 장군의 18세손이다. 할아버지는 첨지 박취도(朴就道)이고, 아버지는 박경세(朴慶世)이다. 박래태는 1786년(정조 10)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었으나, 그 해 28세로 아깝게 세상을 떠났다....
-
비산리의 대표라고 하면 미타사를 빠뜨릴 수 없다. 동양 최대의 지장보살입상은 보는 이들로 하여금 감탄을 불러일으킨다. 현재 주지스님이신 희원 스님(57세)은 흔쾌히 미타사와 관련된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미타사는 신라 시대 원효 스님이 창건하였다고 한다. 그 후 조선 중엽 불이 나 폐사가 되었는데, 당시 숭유억불정책으로 인해 복원하지 못하고 300년 간 빈터로 내려왔다.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