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동쪽은 한벌리, 서쪽은 신천리, 남쪽은 하당리, 북쪽으로는 용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자갈촌은 1923년 기차역이 들어서면서 생긴 마을로 옛날에 음성천이 범람하여 자갈이 많게 되어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음성군 동도면 지역으로 음성군청이 있어 읍내리라 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읍상리·읍하리·역촌·평촌·남촌의 각 일...
-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는 토기나 도자기를 굽던 가마가 있던 터. 가마는 크게 한데가마[露天窯]와 굴가마[登窯]로 나눈다. 한데가마에서는 신석기시대 빗살무늬토기가 구워졌을 것으로 보이나 아직 발굴된 예가 없고, 확인되는 가마는 모두 굴가마이다. 전통시대의 가마는 대부분 파손되어 터만 남은 상태에서 확인되므로 가마 터 유적이라고 부른다. 가마는 연료를 연소시키는 방인 연소실(燃燒室)과...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초천리 길가에 있는 바위. 일명 자기석이라고도 하며, 바위가 산비탈에 엎드려 있었는데 무인년 6월에 비가 온 뒤 갑자기 스스로 일어나 움직여 길 아래의 계곡 옆에 우뚝 솟았다고 한다. 스스로 움직여서 일어난 바위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길이는 약 5m이고 둘레는 약 11m나 된다. 위는 뾰족하고 아래 부분은 소반 모양으로 달래의 형태와 같다고 한다....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초천리 길가에 있는 바위. 일명 자기석이라고도 하며, 바위가 산비탈에 엎드려 있었는데 무인년 6월에 비가 온 뒤 갑자기 스스로 일어나 움직여 길 아래의 계곡 옆에 우뚝 솟았다고 한다. 스스로 움직여서 일어난 바위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길이는 약 5m이고 둘레는 약 11m나 된다. 위는 뾰족하고 아래 부분은 소반 모양으로 달래의 형태와 같다고 한다....
-
자녀는 4남 1녀로, 5남매를 두었다. 다섯 남매의 태몽을 모두 기억하고 있었다. “이렇게 말하면 아나? 옛날에 여기(용대동 비 있는 곳) 샘 있었지? 옛날에 거기서 물동이를 이고 거기를 가는데, 빨간 감이 담 위에 하나가 올라가 있어. 딱 하나가 올라 앉았길래 감을 누가 볼까봐 얼른 감춰서, 여기다 감싸가지고 왔지. 그랬더니 벌써, 한쪽은 새파랗고 대가리는 새빨간 것이, 딸이여....
-
바쁘게 일을 하느라 아이들을 일찍 떼어놓고 다녔지만, 자장가만큼은 꼭 불러주었다. “자장 자장 우리 자장 우리 애기 잘도 잔다 자장 자장 자장 우리 애기 먹고 자고 먹고 놀고 잘도 잔다” 이렇게 불러주면 아이들은 울다가도 어느새 잠드는지 모르게 잠이 들었다. 가난해서 아이들을 제대로 가르치지 못한 게 한이다. 큰아들하고 딸은 초등학교까지만 보내고 나머지 두 아들은 무기고등학교까지...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자는 자룡(子龍), 시호는 안양(安襄). 할아버지는 양촌 권근(權近)이고 아버지는 지재(止齋) 권제(權踶)이다. 형으로 권람(權擥)이 있다. 여러 번 과거를 보았으나 급제하지 못하다가 음보(蔭補)로 현릉(顯陵)의 능지기가 되었고 후에 상서원승(尙瑞院丞)에 이르렀다. 형 권람과 함께 계유정난에 가담하여 1455년(세조 원년) 수충경절좌익공신(輸忠勁節...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단양. 자는 자류(子類), 호는 금리(琴里). 충신 장충범(張忠範)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장택한(張宅漢)이고, 어머니는 장수황씨(長水黃氏)이다. 글을 잘 지어 문행(文行)으로도 알려져 있다. 어머니의 병환에 손가락을 끊어서 피를 들게 하여 소생시켰다.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시묘를 하는데 커다란 범 한 마리가 매일같이 찾아와 같이 지냈...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음성(陰城). 자는 자복(子復). 박서(朴犀) 장군의 18세손이다. 아버지는 사정(司正) 박흥한(朴興漢)이다. 박래양은 1823년(순조 23)에 정시(庭試) 문과(文科) 병과(丙科)에 급제하여 벼슬이 정언(正言)에 이르렀다....
-
조선 중기 무송윤씨 충청북도 음성군 입향조. 본관은 무송. 자는 자신(子新), 호는 낙옹(樂翁). 군자감정(軍資監正) 윤이관(尹李寬)의 아들이다. 1660년(현종 1) 경상북도 상주군에서 살다가 천연두가 크게 유행하자 이를 피하기 위해 선대의 고향인 경기도 여주군으로 가던 도중에 충청북도 음성군 당곡(唐谷)[지금의 하당리]에서 외숙부인 주부(主簿) 반운익(潘雲翼)을 만나 하노리 능...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음성(陰城). 자는 자앙(子昻). 박서(朴犀) 장군의 12세손이고, 아버지는 사과(司果) 박충준이다. 아들로는 박문욱·박문술·박문빈·박문형·박문성의 다섯 명이 있다. 1605년(선조 38)에 이질수(李質粹) 화변에 무고로 연루되었다가 광해군 때 교부(校簿)가 되었다. 1613년(광해군 5) 폐모 후에 “비록 미물이라도 충효를 능히 아...
-
늘거리마을 의 이모저모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찾아간 마을회관에서 에메랄드 빛의 한복을 곱게 입으신 황경모 할아버지(82세)를 만날 수 있었다. 황경모 할아버지는 해마다 마을에 찾아온다는 왜가리번식지 이야기를 마을의 자랑이라고 하며 꺼내 놓았다. 경로당 바로 옆으로 나 있는 길을 따라 가다 보면 물고개를 넘어 마치 커다랗고 높은 산을 축소해 놓은 듯한 동산이 하나 나온다. 소나무...
-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의 단순한 자연 현상이 아닌 인간 생활의 자연적 기반. 음성군 북동부의 중립화강암은 동서 및 남북 등의 두 방향이 우세하고 북동 내지 북북동 방향의 계명산층은 구조적 요소로서 중요하다. 초평층군에서는 습곡이 잘 발달되어 있는데, 역시 북동 내지 북북동 방향이고 복향사와 복배사의 습곡 지형도 발견된다. 금왕읍 무극리 동쪽에서는 중생대 백야리층과 편마암 사이에 수직...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일대를 지칭하는 지명. 산의 내용(來龍) 세 마리가 어우러져 구슬을 쟁탈하고 있는 풍수 형국으로서 옛날부터 큰 인물이 난다고 하였는데 실제 조선시대에 훌륭한 인물들이 많이 배출되었다. 조선시대 음성현 원서면의 덕현·동악·설매·부모동·치동·곡내·하리·기리·양촌·삼티 등의 10개 동·리를 일괄하여 부르는 이름이다. 현재 ‘자은갈’은 잔갈’로도 불리고 있다...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자인(子仁), 호는 우헌(遇軒). 아버지는 정경례(鄭景禮)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도청리에서 생활하였으며, 1573년(선조 6) 17세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이어 3년 뒤인 20세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의금부도사, 병조정랑을 거쳤으며, 맹산군수를 지냈다. 1602년(선조 35) 46세에 별세하였다. 저서로는...
-
사정1리는 강당말과 용대동 두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두 마을은 각기 안동김씨와 경주이씨의 집성촌이어서 독자적인 문화와 생활권을 이루어 왔으나 행정구역상 한 리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마을 전체의 일을 의논할 때는 함께 모인다. 강당말에만 마을회관이 있고, 용대동에는 마을회관이 없다. 마을회관에는 주로 강당말 분들만 모이고, 용대동 분들은 잘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행정구역이 같...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자직(子直), 호는 동강(東岡). 예조판서 조형(趙珩)의 아들이며, 할아버지는 승지 조희보(趙希輔)이다. 조상우는 1657년(효종 8) 17세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천거되어 세자익위사세마(世子翊衛司洗馬)·연천현감(連川縣監)을 지냈다. 1675년(숙종 1)에는 스승인 송준길(宋浚吉)이 삭직을 당하자 홍득우(洪...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역사가.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자현(子賢), 호는 하석(荷石). 득우재(得寓齎) 송상철(宋相哲)의 후손으로, 송헌삼(宋憲三)의 손자이며, 정와(定窩) 송달용(宋達用)의 아들이다. 묘소가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유포리에 있다. 송석민은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유포리에서 출생하였다. 형 송석규(宋錫珪)와 함께 회당(晦堂) 윤응선(尹膺善) 문하에서 한학을 배...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자형(自馨), 호는 연균(緣筠) 또는 어수(漁叟). 유사근(柳士根)의 손자이고, 교리 유승순(柳承順)의 아들이며, 사육신(死六臣) 유성원의 큰 조카이다. 아들로는 서경(瑞卿) 유인종(柳鱗鍾)이 있다. 유계분은 1441년(세종 23) 20세에 진사(進士)가 된 후 1453년(단종 1)에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정자(承...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자화(子華). 청성군(淸城君) 손필영(孫弼榮)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손희언(孫希彦)이며, 아버지는 손계선(孫繼先)이다. 소과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손필영 이후 후손들이 주로 음성군에 세거하여 청주손씨이지만 음성군에서 대대로 살아왔다....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자화(子華). 가선대부 안응인(安應仁) 아들이다. 일찍이 벼슬길에 올라 동몽교관(童蒙敎官)을 지냈다. 54세로 죽자 승정원좌승지겸경연참찬에 증직되었다. 묘소가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각회리에 있다....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자는 자휴(子休), 호는 만계(灣溪). 아버지는 사예(司藝) 채륜(蔡倫)이고, 아들은 나재(懶齋) 채수(蔡壽)이다. 채신보는 1438년(세종 20) 18세에 진사(進士)가 되고 함창현감(咸昌縣監)을 거쳐 1458년(세조 4)부터 1465년(세조 11년)까지 7년간을 음성현감으로 재직했다. 그 후 경산현감(慶山縣監)·...
-
비산2리 오랫말에는 다른 마을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운 『대동보』라는 마을 역사를 기록하는 책이 있다. 마을에서 일어난 중요한 일들을 기록하여 엮어 놓은 책인데, 작은 일에서부터 큰 일들까지 동보를 보면 알 수 있을 정도로 정성스럽게 기록하여 놓은 책이다. 최병훈 할아버지(70세)는 동보를 직접 만드신 분으로 동보는 ‘살면서 필요한 재료를 적어 놓은 것’이라고 하였다. 동보에 적혀...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삼성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4㎞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은 덕정리, 서쪽은 상곡리, 남쪽은 청용리, 북쪽은 양덕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가산이 동쪽 냇가에 있는 몇 집 안 되는 작은 마을로 마을 앞에 작은 내[川]가 흐른다 하여 작은마실 또는 소천이라 부르고 있다. 본래 충주군 지내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삼성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4㎞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은 덕정리, 서쪽은 상곡리, 남쪽은 청용리, 북쪽은 양덕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가산이 동쪽 냇가에 있는 몇 집 안 되는 작은 마을로 마을 앞에 작은 내[川]가 흐른다 하여 작은마실 또는 소천이라 부르고 있다. 본래 충주군 지내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일대를 지칭하는 지명. 산의 내용(來龍) 세 마리가 어우러져 구슬을 쟁탈하고 있는 풍수 형국으로서 옛날부터 큰 인물이 난다고 하였는데 실제 조선시대에 훌륭한 인물들이 많이 배출되었다. 조선시대 음성현 원서면의 덕현·동악·설매·부모동·치동·곡내·하리·기리·양촌·삼티 등의 10개 동·리를 일괄하여 부르는 이름이다. 현재 ‘자은갈’은 잔갈’로도 불리고 있다...
-
조선 중기 음성현감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백후(伯厚), 호는 잠곡(潛谷). 아버지는 김흥우(金興宇)이다. 김육(金堉)은 9세 때 아버지 김흥우의 임지인 강동(江東)으로 따라가서 지산(芝山) 조호익(曺好益)의 문하에서 배웠다. 그러나 잇달아 상(喪)을 당하여 상제로 7~8년간을 지내며 곤궁하게 떠돌아다니다가 25세 때 장가들고, 1605년(선조 38)에 진사가...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에서 북쪽에 위치해 있으며, 동쪽은 가섭산, 서쪽은 신천리, 남쪽은 읍성읍 소재지, 북쪽으로는 신니면 광월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잣나무골은 새터 동북쪽에 있는 마을로 예전에 잣나무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음성군 동도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탄현리·월곡리·중산리·용추리·사인동을 병합하여 용추리...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후미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장구실은 후미3리의 동남부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로 문등리와 접해 있다. 마을 지형에 장구형의 명당이 있다 하여 장구실이라 이름붙였다. 장고실이라고도 부른다. 본래 충주군 사이포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후미1리와 후미2리, 후미3리의 일부를 병합하여 후미리라 하고 소이면에 편입하였다. 후미리에는...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쌍정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맹동면의 소재지이며, 동쪽은 함박산, 서쪽은 본성리, 남쪽은 두성리, 북쪽은 마신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배미 동쪽에 있는 마을로 마을 뒷산에 장기바위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정리와 하정리·중본리·율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맹동면에...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후미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장구실은 후미3리의 동남부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로 문등리와 접해 있다. 마을 지형에 장구형의 명당이 있다 하여 장구실이라 이름붙였다. 장고실이라고도 부른다. 본래 충주군 사이포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후미1리와 후미2리, 후미3리의 일부를 병합하여 후미리라 하고 소이면에 편입하였다. 후미리에는...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마을을 지켜 주는 장승에게 지내는 제사. 장승은 예부터 지역간의 경계표나 이정표 구실 외에도 마을의 수호신 역할을 담당하였다. 장군제(將軍祭)라고도 불리는 장승제는 마을의 수호신인 장승에게 지내는 동제(洞祭)로서, 액운을 막고 전염병을 물리치기 위하여 지낸다. 지역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보통 음력 정월 14~15일에 행한다. 현재 음성 지역에서 행해지는 장승제...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쌍정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맹동면의 소재지이며, 동쪽은 함박산, 서쪽은 본성리, 남쪽은 두성리, 북쪽은 마신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배미 동쪽에 있는 마을로 마을 뒷산에 장기바위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정리와 하정리·중본리·율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맹동면에...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단양. 자는 보도(普道), 호는 노포(老圃). 문헌공(文獻公) 장정필(張貞弼)의 후손이며 장석문(張錫文)의 아들이다. 장덕우는 부모에 대한 효성이 극진하였으며 형제와 이웃 간에 우애가 돈독하였다.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고 실천함에 게을리 하지 않았다. 어머니가 병이 나자 목욕재계하고 하늘에 빌며 눈물을 흘리니 그 눈물이 마르지 않았...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단양(丹陽). 자(字)는 성첨(聖瞻), 호(號)는 향초(香樵). 충신 장충범(張忠範)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장덕우(張悳雨)이다. 장동노는 항상 경로정신이 두터워 부친이 생존시에는 술과 고기를 항상 장만하여 드렸고, 이웃 어른과 노인을 정중히 모셔 부친의 뜻을 기쁘게 하여 드렸다. 부친상(父親喪)을 당하여서도 자신이 늙어서 몸과 마음이...
-
조선시대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살았던 열녀이자 효부. 김봉학(金鳳鶴)의 딸로, 16세에 장동민(張東旼)과 혼인하였으나 얼마 후 남편이 세상을 떠나자 90세 가까운 시부모를 정성껏 봉양하였다. 시부모가 돌아가시자 예를 다하여 장례를 치르고, 조카를 데려다 가문을 이었다. 군(郡)에서 그 효열(孝烈)을 포상하였다....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열녀. 본관은 청주. 아버지는 이정주(李鼎周)이고, 남편은 장석영(張錫永)의 손자인 장동엽(張東曄)이다. 청주에 거주하는 시부모에게 효성이 극진하였다. 26세 때 남편이 세상을 떠난 후, 삼년상을 치르는 동안 세수하지 않고 의복도 갈아입지 않았으며, 머리도 빗지 않고 음식은 죽만 먹었다. 삼년상이 끝난 후 세수하고 의복을 재개하고 머리를 빗고, 밥...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안동. 호는 포음(圃蔭). 조선개국일등공신 화산부원군(花山府院君) 장사길(張思吉)의 후손이다. 헌종(憲宗) 때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동음리에서 출생하였다. 9세에 부친상을 당하여 장지를 정할 때, 장지에 관한 송사(訟事)가 발생하자 장상기가 울며 관가에 호소하니 그 정성에 감복하여 장지 쓰는 것이 허가되었다. 장례를 지낼 때 호랑이...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단양. 자는 자류(子類), 호는 금리(琴里). 충신 장충범(張忠範)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장택한(張宅漢)이고, 어머니는 장수황씨(長水黃氏)이다. 글을 잘 지어 문행(文行)으로도 알려져 있다. 어머니의 병환에 손가락을 끊어서 피를 들게 하여 소생시켰다.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시묘를 하는데 커다란 범 한 마리가 매일같이 찾아와 같이 지냈...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삼생리에 있는 조선 말기 장석영의 효자문. 본관이 단양(丹陽)인 장석영(張錫永)은 충신 장충범의 후손으로, 어렸을 때부터 효성이 지극하기로 근동에 소문이 자자하였다. 어느 해 아버지가 병이 나자 변을 맛보면서 간호를 하고, 어머니가 병이 났을 때는 손가락을 잘라 피를 입 안으로 흘려 넣어 낫게 하였다. 이윽고 부모가 죽어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는데, 늙은...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마을을 지켜 주는 장승에게 지내는 제사. 장승은 예부터 지역간의 경계표나 이정표 구실 외에도 마을의 수호신 역할을 담당하였다. 장군제(將軍祭)라고도 불리는 장승제는 마을의 수호신인 장승에게 지내는 동제(洞祭)로서, 액운을 막고 전염병을 물리치기 위하여 지낸다. 지역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보통 음력 정월 14~15일에 행한다. 현재 음성 지역에서 행해지는 장승제...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이자 자선사업가. 본관은 단양(丹陽). 자는 성언(聖言), 호는 금범(錦帆). 선무공신(宣武功臣) 장충범(張忠範)의 후손이고, 동몽교관(童蒙敎官) 장석영(張錫永)의 아들이다. 장용묵은 어릴 때부터 성품이 효성스럽고 어버이를 섬김에 혼정신성(昏定晨省)을 다하였다. 어머니 최씨가 천어(川漁)를 좋아하여 춥거나 덥거나 날씨에 상관없이 매일 고기를 잡...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삼생리에 있는 조선 말기 장용묵의 불망비. 장용묵은 충신 장충범의 후손이며, 장석영(張錫永)의 아들이다. 자는 성언(聖言)이며 호는 금범(錦帆), 본관은 단양(丹陽)이다. 부모에 대한 효심이 깊었다. 어머니가 병을 앓게 되자 손가락을 잘라 피를 마시게 하여 삼일을 더 살게 하였다. 흉년이 들어 인근에 기황(饑荒)이 들자 곡식을 풀어 구휼하였다. 장용묵 보폐불...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단양(丹陽). 자는 천장(天章). 선무공신(宣武功臣) 장충범(張忠範)의 후손이고, 아버지는 장도홍(張道弘)이다. 장위한은 어버이를 섬김이 극진하였으며, 형제 6명의 우애가 특히 돈독하여 본받을만한 일화가 많이 전해진다. 나이가 차 분거(分居)하여 거처를 정함에 노구솥 하나와 송아지 한 마리, 그리고 간소한 농기구 등을 가지고 몸소 농...
-
이명희 할아버지(83세)께 마을 뒤편에 보이는 골짜기가 어떻게 형성돼 있는지를 물어보자, 할아버지는 불당골과 장자골의 위치 및 유래에 대해 이야기해 주었다. “불당골은 저쪽에 있는데, 불당골의 내력은 확실히 모르겠어. 장자골이라는 데는 그 장자골이라는 데 보면 밭 가운데 네모지게 돌을 한 길 가량 쌓고 거기가 평평하게 되어 있어. 거기가 장자터래. 거기에 장자가 살았대. 장자는...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병암리에 있는 산. 산의 형태가 자라 모양이라고 한다. 한자로는 장자봉(長者峰) 또는 장자청봉(長子靑峰)이라고 한다. 고려 중기에 이 산 기슭에 아무런 부족함이 없는 장자(長者)가 살고 있었는데, 장자는 부족을 모르고 산다는 것은 사람다운 생활이 아니라고 생각하여 물이 부족한 산 중턱으로 새집을 지어 이사하였다. 장자가 물이 부족하여 물 한 동이에 쌀 한말씩...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병암리 장자봉에 있는 토축 산성. 장자봉 산성은 문헌 기록이나 조사 자료는 전혀 없고 2002년의 지표 조사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어 학계에 보고된 산성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병암리와 만담리 뒤 해발 192m의 장자봉 봉우리를 감싸고 있다. 장자봉 산성의 동쪽으로는 북류하는 응천(鷹川)을 끼고 음성-장호원 간의 국도 37호선이 지나고 있고 북쪽으로는 삼성...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공문(公文)이며, 호는 송애(松崖). 아버지는 반서린(潘瑞麟)이다. 원래 재상가의 종이었으나 재상이 반석평의 재주와 성품을 사랑하여 글을 가르치고 아들 없는 부잣집으로 보내 공부에 힘쓰게 하였다.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김식(金湜) 등과 교유하였다. 1507년(중종 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어 예문...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제용(齊用). 화산부원군(花山府院君) 장사길(張思吉)의 후손이며, 동몽교관(童蒙敎官) 장상기(張相基)의 손자이다. 장제천은 어려서부터 효성으로 어머니를 봉양하였으며, 어머니를 위하여 항상 맛 좋은 음식을 준비하고 특별한 음식이 생기면 어머니께 제일 먼저 갖다 드렸다. 모친의 병환이 몹시 위중함에 하늘에 빌며 대신...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이자 의병. 본관은 단양(丹陽). 자는 효칙(孝則). 생원 장언구(張彦玖)의 아들이며, 부인은 청풍유씨(淸風劉氏)이다. 음보(蔭補)로 벼슬에 나아가 군자감주부(軍資監主簿)가 되었는데,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채유종(蔡有終), 조웅(趙熊) 등 여러 사람과 의병을 일으켜 5백여 명을 모아 6년간 싸우면서 가는 곳마다 승승장구하였다. 1597년(선조...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삼용리에 있는 임진왜란 때 활동한 장충범의 묘. 장충범의 본관은 단양(丹陽)이며, 자는 효칙(孝則)이다. 조선 선조 때의 충신 생원 장언구(張彦玖)의 아들이다. 음보로 군자감주부(軍資監主簿)를 지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충주에서 왜적과 싸우다가 부상당하자 향리인 삼생리로 피신하여 치료를 받았다. 1597년(선조 30)에 동지를 규합, 창의하여 생...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삼용리에 있는 임진왜란 때 활동한 장충범의 신도비. 장충범은 자는 효칙(孝則), 본관은 단양(丹陽)으로, 생원 장언구의 아들이다. 임진왜란 때 군자감주부로서 충주에서 왜적과 싸우다가 부상당하여 향리인 삼생리로 피신하여 치료를 받았다. 1597년(선조 30)에 동지를 규합, 창의하여 삼생리 구진터에서 왜군과 싸우다 전사하였다. 1605년(선조 38)에 교지로...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삼생리에 있는 조선 중기 장충범의 충신문. 본관이 단양(丹陽)인 장충범(張忠範)[?~1597]은 임진왜란 때 군자감주부로 충주에서 왜적과 싸우다가 부상당하여 향리인 삼생리에 와서 피신하며 치료하였다. 1597년(선조 30) 동지를 규합, 창의하여 삼생리의 구진터에서 왜군과 싸우다 전사하였다. 1605년(선조 38)에 선무원종공신녹권을 하사받고, 1857년(철...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아이들 놀이. 공치기로도 불리는 장치기는 한자어로 봉희(棒戱), 또는 타구(打毬)놀이라고도 불렀다. 금왕읍의 경우 주로 정월 대보름 전후로 행해졌는데, 농한기인 겨울철에 청소년들이 많이 하는 놀이였다. 1960년대까지도 많이 행해지던 놀이였으나, 오늘날에는 현대적인 스포츠에 밀려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 장치기의 연원은 고려시대에 크게 성행하였던 격...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에 살았던 열녀. 본관은 장수. 남편은 장택한(張宅漢)이고, 아들은 장석영(張錫永)이다. 시부모 봉양에 정성을 다하였으며, 시아버지가 병석에 눕자 마을 뒤에 있던 샘터에서 매일 샘물로 목욕재계하고 3개월 동안 치성을 드리니 시아버지의 병이 완쾌되었다. 1856년(철종 7)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화양동 만동묘(萬東廟)에 효부로 표창되었다. 1858년(철종...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왕장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주막거리(왕장리)는 왕장리의 감곡시장이 있는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오궁리와 상우리, 서쪽으로는 경기도 장호원읍, 남쪽으로는 오향리, 북쪽으로는 단평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주막거리(왕장리)는 옛날에 도로가 불편하던 시절 한양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한 마을이어서 주막이 많았는데, 이 때문에 자연스레 주막거리로 불렸다고 한다....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중동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한내는 소이면 소재지에서 동남쪽으로 약 6㎞ 지점에 자리 잡고 있는 중동1리의 북부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남쪽으로는 청룡안이 있고, 서쪽으로는 봉전리의 댁별, 북쪽으로는 후미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한천(漢川) 냇가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한내라 하였는데, 1960년대까지 1일과 6일에 장이 섰으므로 장터라고도 불렀다....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도청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진재는 도청2리의 남쪽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 도청1리의 자연 마을인 되자니가 있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 장현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금왕면 도청리에 포함되었다. 도청리에서 제일 큰 마을이다. 마을 앞산에 긴 고개가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장현(長峴)이라고...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장현근은 1909년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에서 장원기(張遠基)의 아들로 출생하였으며, 본관은 옥구, 자는 명옥(鳴玉), 이명(異名)은 송진표(宋鎭杓)이다. 개성상업학교 재학 중에 의주 신조준(申肇峻)의 딸 신정숙(申貞淑)과 결혼하였는데, 장인 신조준은 만주에서 독립 항쟁한 인물이다. 1926년 개성상업학교 재학 중 일본인 교장의...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장현팔은 1898년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에서 출생하였다. 1915년 음성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였으며, 서울시 배재중학교를 졸업하였다. 임시토지조사국 사무원급 기술원양성소를 졸업하였으며, 1922년 전라북도 도청에서 공무원을 시작하였다. 그 후 전라북도 임실, 정읍, 고창, 전주 등에서 군속을 하였으며, 만주국 봉천공서, 봉천, 용강...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에 있었던 조선시대 도로 이름. 장호원은 청미천을 경계로 현재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장호원리와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 등으로 행정구역이 분리되어 있다. 국도 3호선과 국도 38호선이 교차하고 있어 충청북도 음성군, 충주시, 경기도 안성시 등과의 교통이 매우 편리하다. 서울~동래로 통하였던 영남대로의 장후원 부근 큰 길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권재학은 1919년 4월 1일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한내장터에서 김을경, 이중곤, 추성렬, 이교필, 이용호 등과 함께 시위를 주동하였다. 권재학은 수백 명의 시위 군중을 이끌고 소이면사무소로 달려가 만세 삼창을 하였다. 이때 왜경이 김을경, 이중곤을 연행하자 주재소에 가서 석방할 것을 요구하였다. 당시 음성에 거주하던 일본인 후루미치...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영산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감곡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약 8㎞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은 원통산, 서쪽은 주천리, 남쪽은 월정리, 북쪽으로는 사곡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고개가 있어 붙여진 마을 이름이며, 영촌(嶺村)이라고도 한다. 본래 충주군 감미곡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거동·영촌·공산리·외주리·장...
-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는 인공 저수 시설. 저수지란 일반적으로 상수도용, 수력발전용 또는 관개용의 물을 하천이나 계류에서 끌어들여 저장할 목적으로 만들어 놓은 커다란 못을 지칭한다. 하천 다음으로 중요한 지표수 용수원으로 하천에서 충분한 용수를 확보할 수 없을 때 중요하게 이용된다. 하천 용수보다 시설비가 비싸고 수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나 풍부한 수량을 확보할 수 있고 수온도 흐...
-
감곡 복숭아 재배의 시작은 1940년경 오행2리 거일의 한동억(작고. 한효섭의 부) 씨와 노필우 씨 장호원 진암리의 일본인 고야 씨가 최초로 개원했다. 당시 복숭아 카탈로그를 보고 일본으로 신청서와 함께 묘목대를 보냈는데 수밀도 100주와 그 동안 가격이 내렸다며 남는 돈을 함께 보내왔다 한다. 이 묘목을 오행리 418번지(현재 한효섭의 과수원)에 심고, 성목이 되자 수확을 했는...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설성공원 일원에서 매년 4월 최귀동의 박애 정신을 기려 개최되는 축제. 어려웠던 지난 시절의 삶을 풍자와 해학과 신명으로 일궈온 각설이패를 재조명하고 음성 꽃동네 설립의 계기를 제공한 거지 성자 최귀동의 인류애 정신을 고취시켜 지역 발전과 군민 화합을 위하여 음성품바축제를 개최하였다. 음성품바축제는 참가자들이 행사를 통하여 서로 돕고 배려하고 함께 살...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여 공급·판매하는 산업. 전력산업은 발전(發電)을 통하여 전기를 생산·송전·판매하는 사업이다. 전기는 추상적인 상품이라는 특성 때문에 관리·경영면에서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며, 저장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수요·공급의 조절에 어려움이 있다. 종래에는 주로 수력·화력 발전에 의존했으나 현재는 우라늄 등을 이용하는 원자력 에너지의 비중이 점차 높아...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청용리에 있는 부직포 및 폴리프로필렌 생산공장. (주)전산텍스는 기업 활동을 통해 이윤을 추구하고 지역 경제 발전에 보탬이 되고자 설립되었다. 인조 피혁용 부직포와 필터백용 부직포, 폴리프로필렌 스테이플 파이버를 생산·판매하는 일이 주 업무이다. (주)전산텍스는 신발이나 가방 등 각종 피혁 제품의 소재인 인조 피혁용 부직포와 환경 오염 방지용 필터백(Filt...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정선(旌善), 자는 여견(汝見), 호는 석천(石泉). 정선전씨 안동파로, 아버지는 호조판서 전응조(全應祖)이며, 전용은 5명의 아들을 두었다. 성품이 헌칠하고 우뚝하여 일찍이 궁마(弓馬)와 기예(技藝)를 익혔다. 임진왜란을 만나 사복시(司僕寺)에 속하여 임금·세자 등이 탄 말을 끌던 종7품 잡직인 견마배(牽馬陪)로 선조를 호위하며 뒤...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전재명은 무극국민학교를 졸업한 후 평양기계학교를 졸업하고, 1945년 경성지방체신국 제일국무출장소 근무를 시작으로 서울에서 활동하였다. 1947년 서울중앙전신국 제2기술과에서 근무하다가 1954년 지방 공무원 전형 시험에 합격하였다. 그 후 음성군으로 내려와 생극면에서 근무하였으며, 1961년에는 원남면에서 근무하였다. 그리고 1962년에 생극면을...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열녀. 본관은 광주(廣州). 내사령(內史令) 이자성(李自成)의 후손인 이장회(李章會)의 셋째 딸이다. 전재학(全載學) 처 광주이씨(廣州李氏)는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에서 출생하였으며, 14세의 어린 나이에 전재학에게 출가(出嫁)하였다. 광주이씨는 남편이 병석에 눕게 되자 정성을 다하여 간호하였으나, 남편은 19세에 사망하였다. 이때 나이 2...
-
이한을 시조로 하고 이창완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시조는 신라 때 사공(司功)을 지낸 이한(李翰)이다. 태조 이성계의 후손 분파는 일반적으로 99파로 알려져 있으나 미혼으로 죽었거나 후사가 없는 대군(大君)과 군(君)이 20명 정도가 되므로 실제로는 그 수가 줄어든다. 2007년 현재 전주이씨대동종약원에 등록된 파 종회는 모두 89개이다. 태종의 8세손 동복현...
-
최순작을 시조로 하고 최우령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전주최씨(全州崔氏)의 시조는 고려 정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완주백(完州伯)에 봉해진 최순작(崔純爵)이다. 시조 최순작의 12세손 최우령(崔禹齡)이 한성에서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로 와 세거하였다. 전주최씨 음성 세거지는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이다. 조촌리 덕고개에 30여...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삼생리에 속하는 전주최씨의 동족 마을. 전주최씨 시조인 최순작(崔純爵)의 12대손 최우령(崔禹齡)이 한성에서 원남면 조촌리로 들어와 세거한 마을로 음성읍 삼생리 거문거리이다. 전주최씨가 한성에서 원남면 조촌리로 들어와 세거한 마을로 지명이 장갈, 무직이 등으로 불리는데 이곳을 통털어 장갈이라 하므로 장갈최씨라고 부른다. 전주최씨의 시조인 최순작(崔純爵)의 1...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오선리에 있는 콘크리트 펌프카 생산공장. 전진중공업(주)은 저비용 고효율의 성능을 갖춘 건설용 중장비 차량 부품을 제조하여 기업 발전과 지역 경제에 보탬이 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품질 경영, 기술 혁신이란 경영 목표 아래 건설 기계를 제작하고 있으며 콘크리트 펌프카, 플레싱붐, 타워크레인 제작을 주요 사업으로 하여 세계 80개국 이상에서 그 품질을 인정받고...
-
강당말은 행정구역으로는 사정1리에 속한 마을이다. 강당말은 안동김씨(신안동김씨) 집성촌으로 마을의 시작도 안동김씨로부터 시작되었다. 강당말은 안동김씨 18대인 김혜 공이 임진왜란을 피해 이곳에 들어온 이후 마을을 이루었으니 약 400여년의 역사를 가지게 되었다. 강당말이란 마을을 있게 한 강당은 언제 처음 건립되었을까. 안동김씨가 사정리로 들어오기 전에 이미 음성 지역과 연관을...
-
음성군 생극면 병암1리(이진말)는 매년 음력 정월 2일에 마을 뒤에 있는 산제당골에서 산신제를 지낸다. 2월 8일 병암1리 마을회관에서 오덕욱 할아버지(35년생, 73세)와 이순복 할아버지(31년생, 77세), 김지만 할아버지(27년생, 81세)를 만나 산신제에 대해 이야기를 들었다. 산신제는 마을 사람들이 아는 것만 해도 거의 140여년 전부터 지내왔으며, 전해 내려오는 책자나...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도청리에 있는 금속 압형 제품 제조업체. 기업 경영을 통한 이윤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고자 설립되었다. 1994년 1월 12일 전한전기를 포괄 양수하는 형태로 설립되었다. 1999년 11월 수출 100만 달러를 달성하였고 2001년 ISO 9002 인증을 받았다. 2003년 2월에는 제2생산공장을 인수하였다. 2004년에 중소기업청으로부터 유망...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불상을 모셔 놓고 공적으로 불교 신행을 행하는 장소. 음성 지역에서 확인되는 사찰로 그 연원이 가장 오랜 것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등의 지리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보면 음성읍에는 서가섭사(西迦葉寺)와 용산리의 상봉악사(上鳳岳寺), 감우리의 성주사(聖住寺) 등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가섭사를 제외하고는 모두 그 자취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에 있는 산. 절하는 모양 같은 바위[拜岩: 배암]가 산에 있으므로 절바우산 또는 모양이 뾰족하다고 하여 뾰족산으로 불리기도 한다. 계곡에는 농경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남쪽 하류에는 한벌천이 동쪽으로 흘러 음성천에 합류한다. 절바우산에는 절하는 모양의 바위인 절바우가 있다. 1930년대 돌뫼 동남쪽 절바우산에는 금광이었던 돌뫼광산 터가 있다. 절바우산...
-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는 옛 절 터. 음성 지역에서 확인되는 사지(寺址)는 상당수가 있으나 기록에서 확인되는 것은 얼마 되지 않는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서가섭사 상봉악사 구재가섭산(西迦葉寺 上鳳岳寺 俱在迦葉山)”이라 하여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에서 확인되는 서가섭사지 곧 응진암지(應眞庵址)와 상봉악사지(上鳳岳寺址) 등이 확인된다. 1632년에 만들어진...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감우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군 음성읍에서 서남쪽으로 보현산고개 너머 산 중턱에 있는 마을이며, 남쪽으로 동음리와 접하고 있다. 예전에 성주사라는 절이 있었던 마을이라 하여 성주골, 절터골, 승주골이라 불린다. 본래 음성군 근서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성주동을 병합하여 감우리라 하여 음성면에 편입되었고, 1956년 음...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상곡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삼성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4㎞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은 용성리, 서쪽은 안성시 죽산면 두교리, 남쪽은 청용리, 북쪽은 양덕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옛날에 솥점[釜店]과 옹이집이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마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천기면 지역으로 천기면의 위쪽이 되므로 웃골 또는 상곡이라 하였다.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향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감곡면 남쪽 오향3리 중서부 지역에 있는 마을로 동남쪽으로 오근이, 북쪽으로 윗익금과 각각 접하고 있다. 예전에 옹기점이 있었으므로 점말, 점촌이라고도 불리며, 오향리에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신댓말, 신대촌(新垈村)이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忠州郡) 거곡면(居谷面)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으며,...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상우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군 감곡면 상우2리의 서부 지역에 있으며, 마을 동쪽으로 새터 또는 정동, 서쪽으로 이터골, 남쪽으로 오궁리 궁장과 각각 접하고 있다. 예전에 상아리와 하아리 경계에 마을이 있었다고 하여 아연이라고 불리며, 이 마을에 그릇점이 있었다고 하여 점말이라고도 불린다. 본래 충주군(忠州郡) 거곡면(居谷面)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동쪽은 한벌리, 서쪽은 신천리, 남쪽은 하당리, 북쪽은 용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점말은 옛 음성 기차역 뒤의 마을로 옛날에 옹기점이 있었다고 해서 붙여진 마을 이름이다. 오성동은 옛 음성 기차역이 있었던 부근의 마을로 점말을 제외하고는 1923년 충북선 기차역이 생김으로써 마을이 생겼다. 본래 음성군 동도면 지역으로 음성군청이...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향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감곡면 남쪽 오향3리 중서부 지역에 있는 마을로 동남쪽으로 오근이, 북쪽으로 윗익금과 각각 접하고 있다. 예전에 옹기점이 있었으므로 점말, 점촌이라고도 불리며, 오향리에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신댓말, 신대촌(新垈村)이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忠州郡) 거곡면(居谷面)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으며,...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동쪽은 한벌리, 서쪽은 신천리, 남쪽은 하당리, 북쪽은 용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점말은 옛 음성 기차역 뒤의 마을로 옛날에 옹기점이 있었다고 해서 붙여진 마을 이름이다. 오성동은 옛 음성 기차역이 있었던 부근의 마을로 점말을 제외하고는 1923년 충북선 기차역이 생김으로써 마을이 생겼다. 본래 음성군 동도면 지역으로 음성군청이...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차곡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때의 사찰. 1996년에 충주산업대학교 박물관이 조사하여 간행한 『음성군의 역사와 문화유적』에 있는 ‘음성군 사찰 현황표’에 따르면, 당시 음성군에 소재한 52개 사찰 가운데 태고종(太古宗)에 속하는 17개 사찰 중 하나였다. 창건 연대는 미상으로, 주지는 문호수이고, 신자 수는 50명이었다. 1940년에 설립되었고, 당시 주지는 임...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유호(攸好), 시호는 정간(貞簡). 정혁선(鄭赫先)의 아들이며 진주목사를 지낸 정동협(鄭東協)은 정석오의 손자이다. 정석오는 1715년(숙종 41)에 식년문과 병과로 급제한 후 검열·문학을 거치고 경종이 즉위하면서 부수찬·교리를 지냈다. 1721년 30세 때 지평으로 김일경(金一鏡)과 함께 노론 사대신(四大臣)을...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권람(權擥)의 신도비. 권람의 본관은 안동이고, 자는 정경(正卿), 호는 소한당(所閑堂)이다. 양촌 권근(權近)의 손자이며 문경공(文景公) 권제(權踶)의 아들이다. 1450년(세종 32)에 문과에 장원 급제하였고, 감찰(監察)을 거쳐 교리(校理)를 지냈다. 계유정란(癸酉靖難)에 앞장서 정난공신(靖難功臣) 1등으로 책록되었고, 세...
-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자는 정경(正卿), 호는 소한당(所閑堂). 할아버지는 문충공(文忠公) 권근(權近)이며, 아버지는 우찬성 권제(權踶)이다. 권람(權擥)[1416~1465]은 어려서부터 독서를 좋아하여 학문이 넓었으며, 뜻이 크고 기이한 계책이 많았다. 불교를 좋아하지 않았으며, 활을 잘 쏘고 문장에 뛰어났다. 35세까지 과거에 급제하지 못하고 있다가, 1450년(문...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홍문관교리 정수곤(丁壽崑)의 아들이다. 1520년(중종 15)에 생원시에 급제하였으며, 1530년(중종 25)에는 충무위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냈고, 나중에는 벼슬이 홍문관교리에 이르렀다. 묘소는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산봉우리 위에 있다....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도가(道可), 호는 한강(寒岡). 할아버지는 사헌부감찰 정응상(鄭應祥)이며, 아버지는 한훤당(寒喧堂) 김굉필(金宏弼)의 외증손으로 부사맹(副司猛) 정사중(鄭思中)이다. 어머니는 성주이씨(星州李氏)로 이환(李煥)의 딸이다. 1555년(명종 10) 13세에 덕계(德溪) 오건(吳健)을 스승으로 모셨고, 겸하여 퇴계(...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초계. 자는 공제(公濟). 아버지는 호조참판 정윤공(鄭輪公)이다. 정국노의 5형제가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여 마을을 5효촌이라 하였다. 정국노는 원래 집안이 가난하여 스스로 산에서 나물을 캐고 식량을 구하여 백여 리 길을 다니기를 거듭하였다. 새벽마다 아버지께 문안을 올렸는데 혹시 조금이라도 마음이 유쾌하지 못한 일이 있으면 근심...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공거(公擧). 정창(鄭昌)의 5세손으로, 아버지는 호조참판 정윤공(鄭輪公)이다. 그의 셋째 아들로, 형으로는 정국주(鄭國柱)와 정국추(鄭國樞)가 있으며, 동생으로는 정국노(鄭國櫓)와 정국빈(鄭國彬)이 있다.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상평리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의 상을 당하여 시묘하던 중, 임진왜란을 당하여 마을 사...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상평2리에 있는 조선시대 효자 정국량의 묘비. 정국량은 본관이 초계(草溪)이며, 자는 공거(公擧)이다. 부친상을 당하여 시묘(侍墓)하는데, 임진왜란이 일어나 마을 사람들이 모두 피난을 갔으나 정국량은 초막(草幕)을 떠나지 않았다. 이를 본 왜적이 정국량의 효성에 감동하여 물침기(勿侵旗)를 주었다. 이로 인하여 임진왜란 때에도 효(孝)를 다할 수 있었다. 이러...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상평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정국량의 효자각. 본관이 초계(草溪)인 정국량에게는 정국주, 정국추, 정국노, 정국빈 등의 형제가 있었다. 모두 효성이 뛰어나 마을 사람들은 이들을 오효자라고 불렸으나 그중 정국량의 효성이 단연 돋보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던 해 정국량의 부친이 오랜 질병 끝에 돌아가셨는데, 마침 장례도 치르지 못한 상황에서 왜병이 마을로 쳐들어왔다....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초계. 자는 공간(公幹). 정창(鄭昌)의 5세손으로, 아버지는 호조참판 정윤공(鄭輪公)이다. 그의 막내아들로, 형으로는 정국주(鄭國柱), 정국추(鄭國樞), 정국량(鄭國樑), 정국노(鄭國櫓)가 있다.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상평리에서 출생하였으며, 천성이 효성스럽고 인품이 맑고 높았다. 활쏘기와 말타기 등 무예가 출중하여 무과에 합격한...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충신이자 효자. 예로부터 효자 가문에서 충신이 난다고 하였으니, 정국주는 나라가 위급하고 어려운 일을 당할 때마다 충성을 바쳤으므로 그 효와 충이 아울러 장하다고 칭송을 받았다. 본관은 초계. 정창(鄭昌)의 5세손으로, 아버지는 호조참판 정윤공(鄭輪公)이다. 그의 맏아들로, 동생으로는 정국추(鄭國樞), 정국량(鄭國樑), 정국노(鄭國櫓), 정국빈(鄭...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공두(公斗). 정창(鄭昌)의 5대손이며, 아버지는 호조참판 정윤공(鄭輪公)이다. 5형제 중 둘째로 형이 정국주(鄭國柱)이며, 동생으로는 정국량(鄭國樑), 정국노(鄭國櫓), 정국빈(鄭國彬)이 있다. 정국추는 어려서부터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고 형과 아우들에게 우애와 정이 두터워 화목하였고, 충성과 의리 또한 남달...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초계. 자는 명여(命汝), 호는 일옥(一玉). 홍문공 정배걸(鄭倍傑)의 29세손이며 교리 정창(鄭昌)의 15세손이다. 아버지는 감역(監役) 정효선(鄭孝善), 어머니는 안동김씨이며, 부인은 양천허씨이다. 아들은 효자로 이름난 정인상(鄭寅尙)이다. 정규영은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였다. 일찍이 서울에서 지내던 중 9...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도청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규영의 효자비. 정규영의 호는 일옥(一玉)으로, 죽계(竹溪) 정창(鄭昌)의 후손이며 감역(監役) 정효선(鄭孝善)의 아들이다. 자는 명여(命汝)이며 본관은 초계(草溪)이다. 일찍이 서울로 올라왔다가 1882년(고종 19) 임오군란이 일어난 뒤에 고향으로 내려와 부모를 봉양하였다. 모친의 사후 3년 동안 상복을 벗지 않았고, 부친의 사...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회당 윤응선(尹膺善) 문하에서 배웠다. 약관의 나이에 사서육경을 통독하고 제자백가에도 통달하였다. 박세화·윤응선·신현국 세 사람의 문집 간행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또 효행이 지극하여 10년 동안이나 늙은 아버지의 대소변을 받아내고 세수를 시키며 망건을 씌워 드리는 등 봉양을 하루같이 실천하였고, 상을 당하여 6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였다. 『...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1919년에 음성읍 초천리 백양 백양서당(栢陽書堂) 훈장으로 있으면서 당시 서당 학생이던 정민영(鄭玟永), 최만득(崔萬得)과 아들 정대영(鄭大永)의 1919년 3월 28일 음성시장에서의 시위를 도와주는 등 음성 지역에서의 3·1운동에 이바지하였다. 공은 평생 일본인을 ‘왜놈’이라 증오하고 한일합방 후 들어온 양말을 ‘왜말’이라 부르고...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나주(羅州). 아버지는 교리(校理) 정수곤(丁壽崑)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덕고개에 살았던 인물로, 1498년(연산군 4)에 22세의 나이로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이 되었다. 1505년(연산군 11)에 사직(司直)이 되었으며, 3년 뒤인 1508년(중종 3)에는 현감을 지냈다. 그의 묘소는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이루어지는 각 정당들의 정치 활동. 일반적으로 정당은 동일한 정견을 가진 사람들이 정치권력의 획득·유지를 통하여 자신들의 정견을 실현시킬 목적으로 조직한 정치적 단체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정당은 권력의 획득을 목적으로 결성된 단체이기 때문에 사회·경제·학술·종교 등 여타의 목적으로 조직된 단체와는 구별된다. 한국의 정당법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정당은 국민의 이익...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자인(子仁), 호는 우헌(遇軒). 아버지는 정경례(鄭景禮)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도청리에서 생활하였으며, 1573년(선조 6) 17세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이어 3년 뒤인 20세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의금부도사, 병조정랑을 거쳤으며, 맹산군수를 지냈다. 1602년(선조 35) 46세에 별세하였다. 저서로는...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주천리에 있는 대한불교정불조계종의 종찰. 1996년에 충주산업대학교 박물관이 조사하여 간행한 『음성군의 역사와 문화유적』에 있는 ‘음성군 사찰 현황표’에 따르면, 당시 음성군에 소재한 52개 사찰 가운데 태고종(太古宗)에 속하는 17개 사찰 중 하나였다. 주지는 정지흥, 소속 종단은 태고종이었고, 신자 수는 910명이었다. 정도사는 정도사는 소속 종단이 한국...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1922년 2월 3일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도청리에서 출생하였으며, 행정 공무원으로 평생을 살다가 1991년 8월 26일 숙환으로 별세하였다. 정동헌은 음성군 무극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였으며, 1950년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면 면사무소 근무를 시작으로 행정 공무원으로서의 삶을 시작하였다. 음성군 원남면 재무담당과 호병계장을 거쳤으며, 음성군 금왕면...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사고(士皐). 할아버지는 좌의정을 지냈던 정석오(鄭錫五)이고, 아버지는 군수를 역임했던 정양순(鄭養淳)이다. 1768년(영조 44)에 음보(蔭補)로 사옹원봉사(司饔院奉事)가 된 이후 장흥고직장(長興庫直長), 의영고주부(義盈庫主簿)를 거쳐 1775년(영조 51)에 한성부판관(漢城府判官), 그리고 2년 뒤에 사복시판관...
-
충청북도 음성군에 살았던 충신·효자·열녀를 표창하기 위해 나라에서 내린 상징물. 정문은 일명 홍문(紅門) 또는 작계(綽契)라고도 한다. 액(額)에다 충(忠)·효(孝)·열(烈) 등의 글자를 새겨 표창의 종류를 표시하고 그 이름과 직함을 새겼다. 정려의 사례는 『삼국사기(三國史記)』의 효녀 지은(知恩)에 대한 포상 기록이 처음이다. 고려시대에 와서 역대 왕들이 효자와 열녀 등이 사는...
-
조선시대 충청북도 음성군의 효부. 전의묵(全義黙)의 딸로, 시집오던 날부터 늙은 시어머니가 병석에 눕자 정성껏 간호를 하였다. 시집온 지 얼마 후 남편 정명환(鄭明煥)을 여의였으나 슬픔을 견디고 시어머니를 보살피며 살림을 꾸려 나갔다. 돌아가신 후에도 예법대로 상례를 행하여 마을에서 그 효와 절개를 포상하였다....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본관은 초계. 자는 응수(應壽), 호는 소죽(小竹). 정창(鄭昌)의 후손이며, 판관 정시혁(鄭時赫)의 9세손이다. 조부는 정홍유(鄭洪猷), 아버지는 정학일(鄭學一)이다. 어머니는 하동정씨로 통덕랑 정해승(鄭海昇)의 딸이다. 부인은 경주이씨로 이다연(李多延)의 딸이다. 아들은 정보영(鄭輔永)·정민영(鄭玟永)·정택영(鄭澤永)이다. 천거로 문묘직...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현감을 지낸 문신. 정문한은 1669년(현종 10)에 음성현감으로 부임하여 1673년까지 재임하였다. 재임 중 1670년과 이듬해인 1671년 두 해에 걸쳐 흉년이 들었는데, 힘을 다해 음성현민을 구휼하여 이름이 크게 알려졌다....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정민영은 1901년 1월 7일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초천리 881번지[초천로174번길 19-7]에서 문묘 직원이던 정모선(鄭謨善)의 차남으로 출생하였으며, 1970년 12월 6일에 향년 70세로 별세하였다. 1919년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초천리 백양서당에 다니고 있던 정민영은 평소 알고 지내던 김영익(金榮翼)으로부터 3·1운동이...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정범구는 1916년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산리에서 출생하였으며, 주로 충청북도의 북부 지역에서 행정가로 활동하였다. 1977년에 60세로 별세하였다. 정범구는 음성군 대소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36년 충청북도 읍·면 이원(吏員)강습소를 수료하였다. 1936년 9월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면사무소 근무를 시작으로 행정 공무원으로서의 삶을 시작...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불상을 모셔 놓고 공적으로 불교 신행을 행하는 장소. 음성 지역에서 확인되는 사찰로 그 연원이 가장 오랜 것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등의 지리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보면 음성읍에는 서가섭사(西迦葉寺)와 용산리의 상봉악사(上鳳岳寺), 감우리의 성주사(聖住寺) 등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가섭사를 제외하고는 모두 그 자취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언술(彦述). 할아버지는 교리를 지낸 정수곤(丁壽崑)이고, 아버지는 현감을 지냈던 정담(丁聃)이다. 1504년(연산군 10)에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에서 태어나 생활하였으며, 26세인 1530년(중종 25)에 생원시에 급제하고 이어 벼슬이 별좌에 이르렀다. 묘소는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산봉오리 위에...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덕삼(德三), 호는 정산(貞山). 박화철(朴和喆)의 아들이다. 박준우는 1844년(헌종 10) 39세로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후 수찬(修撰)·교리(校理)를 거쳐 1850년(철종 1) 50세에 좌승지가 되었다. 이어 5년 뒤에 사간원대사간이 되었다. 박준우의 묘소는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소여리(所餘里)에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갑산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소이면의 서남단에 위치하며, 동쪽은 중동리, 서쪽은 충도리, 남쪽은 소수면, 북쪽은 봉전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탑골 북쪽에 있는 마을이라 정산말이라 했다. 본래 충주군 소파면 지역으로 갑산 아래에 있다하여 갑산리라 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갑산1리·갑산2리·갑산3리를 병합하여 갑산리라 해서 음성군 소이면에 편입...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에 속하는 법정리. 본래 음죽군 무극면(無極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촌리(新村里)·도관리(道貫里)와 곤암리(昆岩里)·생탕리(生湯里) 각 일부와 금목면의 각회리 일부를 병합하여 도신리라 하고 생극면에 편입되었다. 1973년 7월 1일 금왕면이 금왕읍으로 승격되면서 도신2구와 도신3구가 읍에 편입되어 신설...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정서(廷瑞). 현감 신경진(申景進)의 증손이고, 용양위부호군 신상용(申尙容)의 아들이다. 신정은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관동리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총명하여 번거롭게 공부하지 않아도 학문이 일취하였다. 20세인 1671년(현종 12)에 과거에 올랐는데, 이 해에 모친상을 당하였다. 두 아우와 한방에서 거처하며 효우가 독실하였고,...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유호(攸好), 시호는 정간(貞簡). 정혁선(鄭赫先)의 아들이며 진주목사를 지낸 정동협(鄭東協)은 정석오의 손자이다. 정석오는 1715년(숙종 41)에 식년문과 병과로 급제한 후 검열·문학을 거치고 경종이 즉위하면서 부수찬·교리를 지냈다. 1721년 30세 때 지평으로 김일경(金一鏡)과 함께 노론 사대신(四大臣)을...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마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정석오의 묘. 정석오는 조선 영조 때 소론의 대표적인 인물로,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유호(攸好)이다. 1746년 우의정과 좌의정을 역임하였고, 1748년 동지겸사은사(冬至兼謝恩使)로 청나라로 가던 중 병사하였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묘역은 약 600㎡로, 묘비, 문인석, 망주석, 상석 등을 갖추었다. 비제(碑題)는 ‘...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마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정석오의 묘비. 정석오는 자는 수호(收好)이며, 본관은 동래(東萊)이다. 1715년(숙종 41)에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검열, 문학, 부수찬, 교리 등을 지냈다. 1721년(경종 1) 지평으로 김일경(金一鏡)과 함께 노론 사대신을 논척(論斥)하여 유배케 했으나, 1725년(영조 1) 소론의 실각으로 파직되었다. 1721년(영조 3...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불붕(不崩), 호는 월헌(月軒). 소격서령(昭格署令) 정자급(丁子伋)의 아들이며, 교리(校理) 정수곤(丁壽崑)의 아우이다. 정수강은 1474년(성종 5) 20세에 진사가 되고 1477년에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여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을 지냈다. 1482년에는 정조사(正朝使)의 서장관(書狀官)으...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불건(不騫). 소격서령(昭格署令)을 지낸 정자급(丁子伋)의 아들이며, 호조참판 정수강(丁壽崗)의 형이다. 정수곤의 아들은 현감을 지낸 정담(丁聃)이고, 처는 상주김씨(尙州金氏)다. 정수곤은 1472년(성종 3)에 식년(式年) 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 교리(校理)를 지내고, 그 후 공조...
-
조선시대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字)는 여균(汝均), 호(號)는 정암(精菴). 평소 효심이 지극했던 김순은 아버지 상을 당하자 마을 뒷산에 모시고 추운 겨울에도 매일 시묘를 하여 손가락이 얼어서 일곱 개가 떨어져나갔다. 그러므로 세상 사람들이 그를 칠지효(七指孝)라 불렀다. 그가 아버지 묘에서 시묘하는데 밤에는 큰 범이 와서 같이 지냈으며, 낮에는...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자는 문옥(文玉), 호는 정암(靜岩)이며 아버지는 조광하(趙光夏)이다. 충청북도 음성읍 평곡리(平谷里)에서 살았으며 어려서부터 한학을 배웠다. 조동환은 1910년 25세에 도지부주사(度支部主事)에 기용되었고 이어서 강원도 춘천재무소(財務所) 주사(主事)가 되었다. 1928년 43세에 음성면장을 지내고 2년 후 사직하였다가 1931년 음성면...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성공(聖功)이라 하다가 후에 회숙(晦淑)으로 고쳤다, 할아버지는 정혁선(鄭赫先)이며, 아버지는 좌의정을 지냈던 정석오(鄭錫五)이다. 1745년(영조 21)에 음보(蔭補)로 돈령부참봉(敦寧府參奉), 사옹원봉사(司饔院奉事)를 지내고 5년 뒤인 1750년(영조 26)에는 광흥창수(廣興倉守)가 되었다. 이듬해 개령현감에...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마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정양순의 묘비. 정양순은 좌의정 정석오(鄭錫五)의 아들이다. 자는 성공(聖功)이라 하다가 후에 회숙(晦淑)으로 고쳤다, 본관은 동래(東萊)이다. 1745년(영조 21)에 음보(蔭補)로 돈령부참봉(敦寧府參奉), 사옹원봉사(司饔院奉事)를 지내고 1750년(영조 26)에 광흥창수(廣興倉守)가 되었다. 세자우익위(世子右翊衛), 군위현감...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당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때 정억성의 효자비. 정억성은 집안이 가난하여 공부는 하지 못하였으나 효성이 지극하여 음성군 명륜회장으로부터 표창을 받았다. 그 밖의 자세한 행적은 미상이다. 총 높이가 205㎝이며 3단으로 구성되었다. 비의 규모는 비신(碑身)의 경우 높이 142㎝, 앞면 52㎝, 측면 24㎝이고, 가첨석(加檐石)은 높이 55㎝, 앞면 98㎝, 측면...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인.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경빈(敬賓), 호는 정와(定窩). 득우재(得寓齋) 송상철(宋相哲)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송헌삼(宋憲三)이다. 인효(仁孝)에 밝고 예법에 어긋남이 없었다. 송달용이 임종 때 “인간 일생이 오랜 것이 아닌데 어찌 영화만을 바라겠느냐”라고 탄식했다는 말을 전해 들은 마을 사람들이 감동하여 “현인(賢人)이 이제는 가고 말았...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자선사업가. 정운상은 충청북도 영동군 출신으로 음성군 소이면 금고리에 와서 행상을 하며 재산을 모아 공익을 위하여 돈을 사용하였다. 가난한 이웃을 위하여 세금을 대납하기도 하였으며,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갑산리에서 음성읍으로 통하는 3㎞ 길을 개인 사비로 개설하였다. 또한 음성군 소이면 갑산리 ‘죽실령(竹實嶺)’을 개인 사비로 길을 닦아 고장...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도숙(度叔). 교리 정창(鄭昌)의 13세손이고, 아버지는 동몽교관(童蒙敎官) 정석휴(鄭錫休)이다. 1746년(영조 22)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에서 출생하였다. 오효자로 이름난 정국주(鄭國柱)의 후예답게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학문에도 뛰어나 경학에 덕망이 높았으나 과거를 보아 출세하면 부모를 봉양하기 어려움을 깨닫...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에 있는 조선 말기 정운영의 효자각. 본관이 초계인 정운영은 일찍부터 공부를 많이 하여 학문이 깊었으나 과거를 보아 출사를 하게 되면 부모님을 봉양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오직 부모님께 효도하기 위하여 과거를 보지 않았다. 어느 해 아버지가 병석에 눕자 정성껏 간호하였으나 낫지 않았다. 그러던 중 잉어가 특효약이라는 말을 들었으나 겨울이라 잉어를 쉽게...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1890년 9월 27일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에서 출생하였으며, 1971년 11월 28일에 향년 82세로 별세하였다. 1910년 대종교에 입교하여 활동하였으며, 1912년 중국으로 건너가 상해에서 신규식(申圭植)이 조직한 동제사(同濟社)에 가입하여 항일운동을 하였다. 1918년 파리강화회의에 참석할 사절단의 자금을 간도 노령에서 14,...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음력 1월과 10월에 집안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가정의례. 안택고사는 안택(安宅)과 고사(告祀)가 합쳐진 말로 ‘안택’ 또는 ‘고사’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정월 안택’, ‘가을 고사’라 하여 정월에 지내는 의례를 안택, 가을에 지내는 의례를 고사라 일컫는다. 또는 전문적인 무당이나 앉은굿을 하는 법사 또는 복술자(卜術者)를 불러다 치성을 드리는 것을 안택...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의병. 시조 정배걸의 31세손이고, 내급사공파의 증좌승지 정인호(鄭仁鎬)의 현손이며, 정인성(鄭寅晟)의 아들로 음성군 금왕읍 내송리에서 출생하였으며, 자는 군소(君素)이며 본관은 초계이다. 정이헌은 1896년에 운강(雲崗) 이강년(李康秊) 의병진에 가담하여 충주 금목(金目)[금왕읍 쌍봉리] 일대에서 의병의 모집 및 전투에 참가하여 활동하였다. 이후...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경주. 자는 징지(澄之), 호는 매죽헌(梅竹軒). 계림부원군 이수일(李守一)의 아들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영산리 정자촌에서 출생하였다. 1924년(인조 2) 무과에 급제하고 1627년 영유현령, 1629년 상원군수, 1630년 숙천부사, 1631년 평안도병마절도사에 올랐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 김자점 휘하의 별장으로...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1918년 1월 1일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초천리에서 출생하였으며, 2001년 5월 26일 숙환으로 별세하였다. 우리나라 광업과 관련한 주요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대한광산학회, 대한광산지질학회 등에서 연구 활동을 하였다. 정인복은 청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만주 신경국립공업대학 채광공학과를 졸업하였다. 1945년 해방 전에는 미쓰이광산주식회...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초계. 자는 주노(周老), 호는 위은(渭隱). 아버지는 효자 정규영(鄭圭永)이고, 어머니는 양천허씨(陽川許氏)이며, 부인은 효부로 이름난 현풍곽씨이다. 1906년(고종 43) 현풍곽씨와 혼인하였다. 어려서부터 효심이 깊었던 정인상은 새로운 음식이 생기면 먼저 부모에게 드렸으며, 아침저녁으로 반드시 문안을 하였다. 8대에 걸친 조상의...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부. 곽대용(郭大鎔)의 딸로,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유포리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효심이 깊고 우애가 돈독하였다. 1906년(고종 43) 정인상(鄭寅尙)과 혼인하였다. 시부모를 섬김에 극진히 하였는데, 시아버지인 정규영(鄭圭永)이 일찍부터 약주를 좋아하니 넉넉지 않은 집안 살림에도 하루에 세 번씩 약주를 대접하였다. 흉년이 들어 술을 빚을 쌀...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도청리에 있는 조선시대 정인상의 효자비. 정인상의 본관은 초계(草溪)이며, 호는 위은(渭隱)이다. 어려서부터 효심이 극진하였다. 정인상은 새로운 음식이 생기면 먼저 어른에게 드렸고 아침, 저녁에는 반드시 문안을 올리는 등의 효행을 하였다. 8대에 걸친 조상의 묘소를 치산하고 비석을 세우기도 하였다. 또한 후진 양성을 위하여 일옥도장을 세우고 후세를 교육시켰다...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1942년 8월 25일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내송리에서 출생하였으며, 음성군청의 주요 요직을 두루 거치면서 음성 지역 발전을 위해 일하다가 2005년 11월 16일 숙환으로 별세하였다. 정인칠은 청주중학교, 세광고등학교를 졸업하였으며, 1968년 음성군 금왕읍에서 행정 공무원으로 근무를 시작하였다. 음성군청 내무과, 새마을과, 문화공보실에서 근무하...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경국(景國), 호는 유당(留堂). 정희조(鄭喜朝)의 아들이다. 정인학은 1870년(고종 7) 31세로 생원시에 합격하고 1880년 알성문과(謁聖文科) 병과에 급제하였다. 처음에 주서(注書)로 기용되어 다음해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와 응교(應敎)를 거쳐 병조정랑(兵曹正郞)이 되었다. 1884년에는 이조참판에 이어서...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도청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규영의 효자비. 정규영의 호는 일옥(一玉)으로, 죽계(竹溪) 정창(鄭昌)의 후손이며 감역(監役) 정효선(鄭孝善)의 아들이다. 자는 명여(命汝)이며 본관은 초계(草溪)이다. 일찍이 서울로 올라왔다가 1882년(고종 19) 임오군란이 일어난 뒤에 고향으로 내려와 부모를 봉양하였다. 모친의 사후 3년 동안 상복을 벗지 않았고, 부친의 사...
-
정자안 은 ‘정자촌, 정주안’ 등으로 불리고 있었다. 역시 경로당에 계시는 할아버지들께 여쭤보았다. “어, 여기는 정자가 있어서 정자안, 정주안으로 불리는거여.” 할아버지의 말처럼 마을 입구에는 정자가 있어 옛날부터 정자안, 정주안으로 불렀다고 한다. 정산말 은 정자안보다는 작은 마을이며 탑골보다는 큰 마을로 두 마을의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다. 정산말 마을회관에 들어가서 정산말에...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석인리와 소이면 충도리의 경계에 있는 산. 정자산 남쪽의 소이면 충도리와 원남면 하노리의 경계 지점에는 가막산[484m]이 있고 북쪽으로는 음성천 건너 음성읍 평곡리 뒤에 수정산[393m]이 있다. 정자산의 동사면은 소이면 충도리의 충도저수지의, 북사면은 음성천의, 서사면은 원남면 하당리의 하당저수지 등의 수원을 제공하고 있다. 정자산의 북사면에는 음성천 지...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에 있는 산. 품자산은 산의 세 봉우리가 品(품)자 모양이라서 붙여진 이름이고 품자산의 다른 명칭인 정자산은 오리정(梧里亭)이라는 정자가 있어서 유래된 이름이다. 신천리 석명동 돌명이는 음성읍 읍내리 음성향교 뒤에 있는 옥녀봉의 거울에 해당된다고 한다. 돌고개(석현 또는 분티)는 주막거리에서 초천리 풋내(초촌)로 가는 고개로 돌이 많다는 데서 유래한 이...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유림지도자. 위은(渭隱) 정인상(鄭寅尙)의 맏아들로 자는 성윤(聖倫), 호는 구봉(九奉)이다. 정조헌은 재주가 뛰어나고 영특하여 3세 때 천자문(千字文)을 통달하고 20세까지 도장제(道莊齊)에서 한학(漢學)을 깊이 연구하였다. 그 후 가사에 종사하면서 마을 이장직을 23년간 맡아 주민복지에 헌신하였으며 한약방을 경영하면서 30여 년 동안 연말마다 전국 수천...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음성향교 앞에 있는 유학자 정조헌(鄭祖憲)을 기리는 비. 음성향교 전교(典校)였던 정조헌(鄭祖憲)의 본관은 초계이며, 자는 성륜(聖倫)이고, 호는 구봉(九峯)이다. 시조 광유후(光儒候)의 31세손이고 효자 위은 정인상(鄭寅尙)의 아들로, 어머니는 효부 현풍곽씨이다. 정조헌은 평생 윤리와 도덕을 몸소 실천하고 유도(儒道) 진흥에 심신을 바쳤다. 이렇게...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갑산1리에 속하는 동족 마을. 안동권씨의 시조 권행(權幸)의 21대손 영풍군 권길(權吉)의 후손이 임진왜란 후에 소이면 갑산리에서 대대로 살게 되면서 안동권씨의 세거지가 되었으며, 갑산리 정자안 또는 정좌안, 동녘말이 안동권씨의 집성촌이 되었다. 임진왜란 당시 상주 판관을 하던 권길(權吉)이 상주에서 전사한 후 덕고개 부근에 묘를 썼다. 후손들이 갑산리에 살...
-
조선 전기 음성박씨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음성(陰城). 자는 정지(挺之). 음성백 박서(朴犀)의 7세손이고, 함흥차사로 알려진 박순(朴淳)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박흔(朴昕)이며, 동생은 박숙무(朴叔楙)이다. 박숙진(朴叔蓁)[1424~1481]은 1447년(세종 29) 사마시에 급제하고, 1453년(단종 1)에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455년 권지정자(權知正字)로 벼슬에 나...
-
2월 8일 병암1리를 찾아가서 마을회관 남자방에 있던 오덕욱 할아버지(35년생, 73세)와 이순복 할아버지(31년생, 77세), 김지만 할아버지(27년생, 81세)에게 지명이야기를 듣다가, 오덕욱 할아버지가 도끼골 지명에 얽힌 이야기를 해주었다. 원래는 정지골이라고 불렀는데 70년도쯤에 도끼로 사람을 죽인 사건이 나서 그때부터 ‘도끼골’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일명 ‘도끼골...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쌍정1리에서 개시되다가 1982년에 폐시된 재래 시장. 1938년 연간 거래액은 30,422원 정도로서 1930년대 음성 지역의 장시 가운데 감곡장과 함께 가장 규모가 작았다고 한다. 1976년 맹동장의 1일 거래액은 85만 원이었고 일반 이용자 50명, 고정 상인 8명, 이동 상인 15명 등으로 나타났다. 1980년 당시 시장 면적은 5,940㎡이었으며,...
-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서 정초에 행해지던 세시풍속. 정초(正初)는 정월의 시초라는 말로서, 음력 정월 초하루부터 보름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우리 조상들은 이 기간 동안 일을 쉬면서, 특별히 전승되는 의례를 치르며 한 해를 새롭게 맞이할 준비를 하였다. 음성 지역에서는 정초의 10일 안에 지지(地支)에 따라 유모일(有毛日: 털이 있는 짐승의 날), 곧 쥐날[子日]과 소날[丑日], 호랑...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지역민을 통해 획득한 권력을 행사하여 지역 발전을 도모하는 총체적 활동. 공동생활을 영위하는 인간 사회에는 다양한 이해관계로 인하여 항상 희소 자원의 획득과 배분을 둘러싼 대립이나 분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대립이나 투쟁을 조정하여 통일적인 질서를 유지하는 주요 수단으로서 정치라는 현상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정치는 주로 국가나 정부라는 제도적인...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에 있는 폐기물 이용 조형 미술 전시관. 정크아트갤러리는 환경 친화적이며 동시에 보다 나은 인간 생활에 기여하는 예술 작품 전문 전시관이다. 정크아트갤러리는 현대 사회의 각종 산업 폐기물 등을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예술 작품화하는 조형 예술 분야의 한 장르이며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새 곤충 테마는 어린이들에게 환경의 소중함과 예술...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에 있는 폐기물 이용 조형 미술 전시관. 정크아트갤러리는 환경 친화적이며 동시에 보다 나은 인간 생활에 기여하는 예술 작품 전문 전시관이다. 정크아트갤러리는 현대 사회의 각종 산업 폐기물 등을 재활용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예술 작품화하는 조형 예술 분야의 한 장르이며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새 곤충 테마는 어린이들에게 환경의 소중함과 예술...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본관은 나주. 아버지는 교리 정수곤(丁壽崑)이다. 형으로 정담(丁聃)이 있다. 1510년(중종 5)에 생원시에 급제했으나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묘소는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산봉(山峰) 위에 있다....
-
조선 후기 음성현감을 역임한 문신이자 화가. 본관은 평산(平山). 초명은 신명한(申命漢), 자는 정평(正平), 호는 소하(小霞). 아버지는 신위(申緯)이며, 동생은 신명연(申命衍)이다. 1831년(순조 31) 생원시에 합격하고 헌종(憲宗) 때 음성현감을 역임하였다. 그림에 뛰어났으며 시도 잘 지어 동생 신명연과 함께 이름이 알려졌으나 4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저서로는 『소하...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입지(立之). 할아버지는 소윤 김백은(金伯隱)이고, 아버지는 사직 김우전(金雨田)이다. 부인은 윤씨이며, 아들은 김숭종(金崇宗)이다. 1466년(세조 12) 급제하였고, 승문원주서(承文院注書)가 되어 『세조실록(世祖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다. 1469년(예종 1) 예문관검열, 1471년(성종 2) 승정원주서·춘추관...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백헌(佰憲), 호는 해관(海觀). 아버지는 동래부사를 지낸 정인학(鄭寅學)이다.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태어났으며, 1885년(고종 22) 22살에 증광문과 병과에 급제하였으며, 4년 뒤인 1889년(고종 26)에는 부교리, 사간을 지내고 이듬해에 응교(應敎), 장령(掌令)을 지냈다. 1891년(고종 28) 28살에는...
-
조선 중기 음성군 출신으로 음성현감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성진(聖珍), 호는 정헌(靜軒), 율리사옹(栗里蓑翁).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이지걸(李志傑)이다. 이세근은 윤증(尹拯) 문하에서 학문을 익혔으며, 1697년에 정시문과에 갑과 2등으로 급제하여 사헌부지평이 되었다. 1699년에 음성현감으로 부임하여 사직사우를 창건하였고, 고마청(雇馬廳)을 창설하였다. 또...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음성현감 정현석의 선정비. 정현석은 철종 대의 음성현감이었으며, 자세한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다. 비문으로 보아 음성현감 재직 때 선정을 베풀었던 것으로 보인다. 선정비는 1860년(철종 11)에 세워졌고, 현재 음성향교 앞에 다른 비석군들과 함께 있다. 총 높이는 129㎝이며 비신과 개석 2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신(碑身)은 높이...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의병. 본관은 초계. 자는 행원(行源), 호는 농은(農隱). 내급사공파의 참봉 정국로(鄭國櫓)의 11세손이다. 조부는 중추부사 정민수(鄭民秀), 아버지는 정인희(鄭寅羲)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내송리에서 출생하였다. 부인은 성주현씨(星州玄氏) 현광일(玄光一)의 딸과 해평윤씨(海平尹氏)이다. 을사륵약 이후 전국 곳곳에서 의병들이 궐기할 때 정효...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초계. 자는 향숙(饗叔). 아버지는 호조참의를 역임한 효자 정국노(鄭國櫓)이다. 조선 선조 때에 태릉참봉을 지내고, 봉사(奉事), 찰방(察訪), 부호군(副護軍)을 거쳐 절충장군(折衝將軍)에 올랐다. 만년에 고향으로 내려와 김정현, 조옥 등과 함께 향산의 고사(중국 당나라의 향산거사 백낙천의 향산구로회)를 본받아 칠십회(七十會)를 만들...
-
산신제를 준비하는 중에 산신제에 대해 더 자세한 이야기를 듣기 위해 세 제관과 인터뷰를 하였다. 세 분 중 제관 경험이 제일 많은 오덕욱 할아버지께 먼저 여쭈었다. 예전에는 산제당이 목재로 지은 초가여서 1년에 한 번씩, 가을에 대동계를 하고 나면 마을 사람들이 다 같이 올라와 새로 수리를 했었다. 마을에서 가장 먼저 하는 행사가 산제당 수리였다. 산신제 지내는 방식은 예전에 비해...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쌍봉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금왕읍 소재지에서 북쪽으로 약 4㎞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은 각회리, 서쪽은 내곡리, 남쪽은 내송리, 북쪽은 구계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제수리는 마을 둘레에 못이 여러 개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법왕면 지역으로 쌍으로 된 봉우리가 있어 쌍산봉이라고 하였는 데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제용(齊用). 화산부원군(花山府院君) 장사길(張思吉)의 후손이며, 동몽교관(童蒙敎官) 장상기(張相基)의 손자이다. 장제천은 어려서부터 효성으로 어머니를 봉양하였으며, 어머니를 위하여 항상 맛 좋은 음식을 준비하고 특별한 음식이 생기면 어머니께 제일 먼저 갖다 드렸다. 모친의 병환이 몹시 위중함에 하늘에 빌며 대신...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행해지던 정월대보름 액막이 풍속. 제웅 버리기는 제웅치기, 허재비 버리기라고도 한다. 이 풍속에 대해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정월 상원조에 기록되어 있는데 ‘남녀의 나이가 나후직성(羅睺直星, 제웅직성)에 들면 짚으로 제웅을 만들어 머리 속에다 동전을 집어넣고 정월대보름 전날 초저녁에 길에 버려 액을 막는다’고 하였다. 충청북도 음성군의 풍속도 이와 비슷하다....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행해지던 정월대보름 액막이 풍속. 제웅 버리기는 제웅치기, 허재비 버리기라고도 한다. 이 풍속에 대해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정월 상원조에 기록되어 있는데 ‘남녀의 나이가 나후직성(羅睺直星, 제웅직성)에 들면 짚으로 제웅을 만들어 머리 속에다 동전을 집어넣고 정월대보름 전날 초저녁에 길에 버려 액을 막는다’고 하였다. 충청북도 음성군의 풍속도 이와 비슷하다....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 자는 제향(濟鄕). 조부는 반윤기(潘潤沂)이고, 아버지는 반계영(潘啓榮)이다. 반주석은 1720년(숙종 46)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었다....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조관식은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중국으로 건너가서, 1921년부터 중국에서 독립운동을 하다가, 1924년 사상범으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15년 집행유예 판결을 받았다. 1945년 해방이 되자 귀국하여 경기도 경찰간부로 복무하다가, 대한국군준비위원회 부회장으로 창군에 참여하였다. 그 후 이승만 박사의 경호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대풍리에 있는 조광페인트(주)의 제조공장. 조광페인트(주)는 1947년 3월에 산업용 자재 전문 생산업체로 출발하여 오늘날 최고의 도료 제품과 도장 감리 및 기술 서비스를 갖춘 도료 제조업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07년도 매출액은 1,260억 원, 자산 총계는 1,022억 원, 자본 총계는 554억 원 그리고 당기 순이익은 44억 원이었다. 조광페인트(주...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풍양. 자는 경관(景觀), 호는 설죽(雪竹). 아버지는 참봉 조유백(趙惟白)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금석리 바디실에서 출생하고 그곳에서 살았다. 1606년(선조 39) 진사시에 합격하고 바로 증광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1608년(선조 41) 승정원가주서로 선조의 임종을 지켰으며, 광해군이 즉위하자 예문관검열에 임용되어, 1...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순창(淳昌). 자는 경여(敬汝), 호는 유헌(柳軒). 문정공(文貞公) 조무(趙廡)의 후손이며, 효자 조용하(趙用夏)의 아들이다. 아들은 조헌용(趙憲瑢), 조헌영(趙憲瑛), 조헌옥(趙憲玉) 3명을 두었다. 부친 조용하가 병에 걸리어 위중하게 되자 조기순이 밤중에 맑은 물을 길어다가 백일 동안 탕약 물로 사용하였더니 병에 효험이 있어 부...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자는 문옥(文玉), 호는 정암(靜岩)이며 아버지는 조광하(趙光夏)이다. 충청북도 음성읍 평곡리(平谷里)에서 살았으며 어려서부터 한학을 배웠다. 조동환은 1910년 25세에 도지부주사(度支部主事)에 기용되었고 이어서 강원도 춘천재무소(財務所) 주사(主事)가 되었다. 1928년 43세에 음성면장을 지내고 2년 후 사직하였다가 1931년 음성면...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때 조동환의 비. 조동환의 자는 문옥(文玉), 호는 정암(靜岩)이며, 본관은 풍양(豊壤)이다. 음성읍 평곡리에서 살았으며 어려서부터 한학을 배웠다. 신정왕후(神貞王后) 조대비(趙大妃)와 혈연 관계가 있어, 1910년 탁지부주사(度支部主事)에 기용되었고 강원도 춘천재무소 주사가 되었다. 1928년부터 2년간 음성면장을 지냈고, 1931...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청용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이곳 지형이 청용의 꼬리 부근에 해당된다고 하여 조룡미라 불리었다. 본래 충주군 천기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영청리와 용산리 일부를 병합하여 영청의 ‘청’자와 용산의 ‘용’자를 따서 청용리라하여 삼성면에 편입되었다. 골짜기로는 영청골 남서쪽에 가진개라는 골이 있고, 뒷산과 용산...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자선 사업가. 조륵(趙玏)은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삼봉리에서 출생하였다. 조륵이 재산을 모은 일과 관련하여 음성 지역과 충주 지역에는 많은 일화와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지금은 자린고비라 하여 구두쇠의 대명사로 쓰이고 있지만 실은 자선 사업가를 의미하는 대명사로 씀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관은 한양(漢陽). 선조 때 성균진사(成均進士)를 지낸 조경...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의병. 본관은 순창(淳昌). 형은 조복(趙服)이다. 조반은 1592년 임진왜란 때 형 조복과 더불어 의병을 일으켰다. 월고산(月高山) 국사봉(國師峯)[소이면 금고리 소재]에서 힘을 다해 왜군과 싸웠으나 중과부적(衆寡不敵)으로 우목야(牛牧野)[소이면 갑산리 소재]에서 형과 함께 전사하였다. 임진왜란 때의 의병 활동으로 공조참판(工曹參判)으로 증직...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의병. 본관은 순창(淳昌). 동생은 조반(趙胖)이다. 조복은 1592년 임진왜란 때 동생 조반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월고산(月高山) 국사봉(國師峯)[소이면 금고리 소재]에서 목숨을 바쳐 왜군과 싸웠으나, 중과부적(衆寡不敵)으로 우목야(牛牧野)[소이면 갑산리 소재]에서 동생과 함께 전사하였다. 임진왜란 때의 의병 활동으로 병조판서(兵曹判書)에...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자직(子直), 호는 동강(東岡). 예조판서 조형(趙珩)의 아들이며, 할아버지는 승지 조희보(趙希輔)이다. 조상우는 1657년(효종 8) 17세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천거되어 세자익위사세마(世子翊衛司洗馬)·연천현감(連川縣監)을 지냈다. 1675년(숙종 1)에는 스승인 송준길(宋浚吉)이 삭직을 당하자 홍득우(洪...
-
1392년에서 1910년까지 조선왕조가 지속되었던 시기의 충청북도 음성군의 역사. 조선 초기 음성 지방은 고려의 지방제도와 같이 충주목에 속한 4속현(영춘·제천·음성·연풍)의 하나였다. 음성현은 1413년(태종 13)의 지방제도 개편 때 현감을 두었으나 규모가 매우 작아서,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의하면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충주 제천에 이르기까지 7리, 서쪽으로 충...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의학 박사이자 해군 장교. 조성두는 1949년 서울보성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 입학하여 재학 중이던 1951년 해군에 지원·입대하여 종군하다가 1954년 의과대학을 졸업하였다. 진해(鎭海) 해군병원에서 근무하였고, 1967년 「폐 침수시의 심장 박출량과 혈압의 변동」이라는 논문을 제출하여 서울대학교로부터 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1년 해...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순창. 자는 윤집(允執). 문정공(文貞公) 조무(趙廡)의 후손이고, 부인은 평택임씨(平澤林氏)이다. 조용하는 아버지가 위독하자 손가락을 끊어 수혈하여 아버지를 소생시켰다. 부인 임씨는 남편이 위독하자 두 차례나 손가락을 끊어 수혈하여 남편을 소생시켰다. 1888년(고종 25) 임금이 조용하에게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을 증직하고 조용하...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충도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조용하와 열녀 평택임씨의 효열각. 본관이 순창인 조용하와 처 평택임씨는 아버지가 병환으로 의식이 불명하자 손가락을 잘라 피를 먹여 의식을 돌아오게 하였다. 그후 언젠가는 조용하가 병이 들어 생사의 갈림길에서 헤매자 부인 임씨가 손가락을 잘라 피를 흘려 넣어 병을 낫게 하였다. 이와 같은 효행과 효열이 세상에 알려지자 고종 때 조...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한양. 자는 탁이(卓爾), 호는 삼외옹(三畏翁). 아버지는 조변(趙卞)이다. 1605년(선조 38)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유촌리 가평(가래들)에서 출생하였다. 황실해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성품이 온아하고 효성이 지극하였다. 아버지가 병석에 눕자 향을 피우고 아버지 대신 죽기를 하늘에 빌었으며, 대변을 맛보아 가며 아버지를 정성껏...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유촌리에 있는 조선 중기 조유안의 효자문. 조유안은 어렸을 때부터 부모님을 극진하게 모셔 근동에서는 하늘이 내린 효자라고 칭찬이 자자하였다. 어느 해 아버지가 병이 나자 향을 피우고 하늘에 아버지 대신 죽기를 빌면서, 아버지의 변을 손에 받아 맛을 보면서 병을 간호하였다. 그러나 아버지의 병이 차도를 보이지 않자 손가락을 끊어 피를 먹여서 소생시켰다. 그러던...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1894년 9월 9일에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임곡리에서 조태영(趙泰永)의 아들로 출생하였으며, 서울시 종로에서 살았다. 1950년 7월 15일 6·25전쟁 시에 폭탄에 맞아 57세로 전사하였다. 묘소는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임곡리에 있다. 조윤식은 서울에서 보통학교를 마치고 독학하면서 주권 회복의 뜻을 품고 일본으로 건너갔다. 대성...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의병. 본관은 한양. 아버지는 조희윤(趙喜允)이다. 1875년 8월 14일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유촌리에서 출생하였다. 조병관(趙炳觀)의 양자가 되었고, 1956년 6월 25일 향년 82세로 별세하였다. 1907년 8월 23일 33세에 조응삼은 관북창의대장(關北倡義大將) 정봉준(鄭奉俊) 휘하에 입진(入陣)하였다. 강원도 원주를 중심으로 100여...
-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군계(君啓). 판도판서(判圖判書) 조돈(趙暾)의 아들이다. 조인옥은 1373년(공민왕 22)에 음보(蔭補)로 산원(散員)이 되고 1387년(우왕 13) 판전의시사(判典儀寺事)를 거쳐 이듬해 우군도통사(右軍都統使) 이성계의 휘하에 종군하여 최영(崔塋) 등 구세력 숙청에 가담하였다. 위화도에서 회군할 때 남은(南誾) 등과 더...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유촌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조인옥(趙仁沃)의 사우. 조인옥은 본관이 한양이며, 자가 군계(君啓)로,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돈의 아들이다. 1373년(공민왕 22)에 음보(蔭補)로 산원(散員)이 되었고, 1387년(우왕 13)에는 판전의시사(判典儀寺事)를 거쳐 이듬해 이성계의 휘하에서 종군하였다가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구세력 숙청에 가담하였다. 정도전 등과...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1894년 9월 9일에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임곡리에서 조태영(趙泰永)의 아들로 출생하였으며, 서울시 종로에서 살았다. 1950년 7월 15일 6·25전쟁 시에 폭탄에 맞아 57세로 전사하였다. 묘소는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임곡리에 있다. 조윤식은 서울에서 보통학교를 마치고 독학하면서 주권 회복의 뜻을 품고 일본으로 건너갔다. 대성...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본래 충주군 원서면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자은갈(自隱葛)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야동, 동막곡, 곡내, 덕현, 설매, 하리, 기리, 양촌, 삼기동 등을 병합하여 조촌리라 하고 원남면에 편입되었다. 조촌리에는 두루봉[349m], 국사봉[410m], 삼봉산[200m], 문수봉, 연산, 바다골산 등이 있으며 삼용리로 넘어가는...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1921년 10월 17일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충도리에서 출생하였다. 행정 공무원으로 활동하였으며, 특히 토목 건설 사업 부분에서 역량을 발휘하였다. 2006년 숙환으로 별세하였다. 조태철은 음성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경성실천상업학교를 수료하였다. 1943년 충청북도 중원군 노은면 면사무소 근무를 시작으로, 1948년에는 음성군 소이면 면사무소...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군헌(君獻), 호는 취병(翠屛). 승지(承旨) 조희보(趙希輔)의 아들이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낸 조상우(趙相愚)는 그의 아들이다. 조형은 어려서 장난이 심하였으나 일찍부터 공부를 시작하여 9세에 경서(經書)를 해득하여 세상 사람들이 경탄하였다. 1630년(인조 8)에 식년문과(式年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여...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생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조형(趙珩)의 묘소. 조형은 본관이 풍양(豊壤)이며, 자는 군헌(君獻), 호는 취병(翠屛)이다. 1651년 사은사(謝恩使)의 서장관으로 북경에 다녀와 보덕을 거쳐 승지가 되었다. 이듬해 충청감사를 거쳐 1657년 도승지, 대사간이 되었다. 1669년에는 평안도 외방별시의 시관이 되었고, 이듬해 좌참찬을 지냈으며, 1673년 예조판...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생리에 있는 조선 중기 문신 조형의 묘비. 조형(趙珩)은 승지 조희보(趙希輔)의 아들로, 자가 군헌(君獻)이고 호는 취병(翠屛)이며 본관은 풍양이다. 1603년(선조 36)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이 되었고, 부교리, 응교, 부수찬을 역임하였다. 1650년(효종 1) 춘추관수찬관(春秋館修撰官)으로 『인조실록(仁祖實錄)』의 편찬에 참여했고, 사은사(謝恩...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생리에 있는 조선 중기 문신 조형의 신도비. 조형은 자가 군헌(君獻)이고 호는 취병(翠屛)이다. 1603년(선조 36)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검열이 되었고, 1643년(인조 21)에 부교리를 역임했다. 1650년(효종 1) 춘추관수찬관(春秋館修撰官)으로 『인조실록(仁祖實錄)』의 편찬에 참여했고, 사은사(謝恩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왔고, 통신사로...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소여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족지골은 음성읍에서 서북쪽으로 약 5㎞ 떨어진 소여1리의 남쪽 지역에 자리 잡고 있는 자연 마을이다. 서북쪽으로는 같은 소여1리의 자연 마을인 산양재가 있고, 동쪽으로는 신천1리의 자연 마을인 냇말이 있다. 음성읍 읍내리의 음성향교 뒷산이 옥녀봉인데, 이 옥녀봉에 비유하여 옥녀의 족집게에 해당한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 족지골이다....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음성현감 이숭운의 선정비. 이숭운의 본관은 함평(咸平), 자는 사진(士鎭), 호는 존암(存庵)으로 서울 태생이다. 부친은 성균관사성 이수덕(李壽德)이다. 1759년(영조 35) 식년시 진사 3등 30위로 입격하였다. 1776년(정조 즉위년) 만녕전참봉(萬寧殿參奉)에 임명되었고, 이듬해 현릉참봉, 1781년(정조 5)에 음성현감으로 부...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사언(思彦), 호는 습재(習齋), 졸부(拙夫)이다. 동몽교관 이희선(李喜善)의 아들이다. 부인은 밀양박씨로 첨지중추부사 박주(朴冑)의 딸이고, 음애(陰崖) 이자(李耔)의 외손이다. 이상급은 문과에 급제하여 1603년(선조 36)에 성균관진사가 되었으며, 1606년 증광문과 중시에 병과로 급제하여 권지승문원정자(權知...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청용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이곳 지형이 청용의 꼬리 부근에 해당된다고 하여 조룡미라 불리었다. 본래 충주군 천기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영청리와 용산리 일부를 병합하여 영청의 ‘청’자와 용산의 ‘용’자를 따서 청용리라하여 삼성면에 편입되었다. 골짜기로는 영청골 남서쪽에 가진개라는 골이 있고, 뒷산과 용산...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행해지고 있는 신앙 활동 및 그 신념 체계. 한국사에서 외래 종교로서 처음 수용되었던 것은 불교였다. 고구려에 불교가 공식적으로 들어온 해는 372년(소수림왕 2)이고 백제는 384년(침류왕 1)이며 신라는 눌지왕 때이다. 불교는 이후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국가는 물론 일반인들에게까지 깊게 신앙되며 상당한 영향력을 끼쳤다. 유교는 언제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는 상세...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룡리·문암리의 경계에 있는 산. 종지봉은 높은 능선을 형성하고 있다. 종지봉의 동반부의 경우 증평읍과 음성읍 사이는 비교적 낮은 저지대이고 서반부는 북쪽의 보덕산(큰산)에서 종지봉을 거쳐 남서 방향으로 뻗쳐 있어 일대가 모두 산지를 이루고 있다. 종지봉의 북부사면에서 흘러내린 물은 서류하여 삼용댐에서 흘러들어 오는 물과 함께 조천리의 원남저수지로 유입된다....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룡리·문암리의 경계에 있는 산. 종지봉은 높은 능선을 형성하고 있다. 종지봉의 동반부의 경우 증평읍과 음성읍 사이는 비교적 낮은 저지대이고 서반부는 북쪽의 보덕산(큰산)에서 종지봉을 거쳐 남서 방향으로 뻗쳐 있어 일대가 모두 산지를 이루고 있다. 종지봉의 북부사면에서 흘러내린 물은 서류하여 삼용댐에서 흘러들어 오는 물과 함께 조천리의 원남저수지로 유입된다....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행해지던 여자아이들이 종지를 돌리며 노는 민속놀이. 종지놀이는 풍감묻기라고도 한다. 이 놀이는 실내에서 하는 여자아이들 놀이로 주로 정월 명절 무렵에 많이 하였다. 전국적으로 행해지던 놀이로 충청북도 음성군에서는 금왕읍에서 보고된 자료가 있다. 놀이방법은 수건돌리기와 유사하다. 놀이도구는 사기 종지이며, 주로 방안에서 노는 실내 놀이이다. 여자아이들이 둥그렇게...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룡리·문암리의 경계에 있는 산. 종지봉은 높은 능선을 형성하고 있다. 종지봉의 동반부의 경우 증평읍과 음성읍 사이는 비교적 낮은 저지대이고 서반부는 북쪽의 보덕산(큰산)에서 종지봉을 거쳐 남서 방향으로 뻗쳐 있어 일대가 모두 산지를 이루고 있다. 종지봉의 북부사면에서 흘러내린 물은 서류하여 삼용댐에서 흘러들어 오는 물과 함께 조천리의 원남저수지로 유입된다....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왕장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주막거리(왕장리)는 왕장리의 감곡시장이 있는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오궁리와 상우리, 서쪽으로는 경기도 장호원읍, 남쪽으로는 오향리, 북쪽으로는 단평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주막거리(왕장리)는 옛날에 도로가 불편하던 시절 한양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한 마을이어서 주막이 많았는데, 이 때문에 자연스레 주막거리로 불렸다고 한다....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용계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주막거리(용계리)는 금왕읍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약 2㎞ 지점에 자리 잡고 있는 용계1리의 중앙부에 있는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 천양촌이 있고, 북쪽으로는 오룡골과 접하고 있다. 예전에 마을 안에 주막이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 오룡리에 속한 마을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으로 편입되었다. 그후 1914...
-
사정리 강당말과 용대동 마을에 들어서면 밭과 논, 산비탈에 잘 다듬어 놓은 정원을 옮겨놓은 듯한 인상을 들게 하는 주목밭들이 눈에 들어온다. 이 아름다운 주목나무가 마을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고 있다. 강당말과 용대동 마을에서 예전에는 벼농사, 고추농사와 담배농사, 인삼농사, 과수농사를 주로 하였으나, 오늘날은 원예농사인 주목나무 재배와 과수농사가 주산업이 되었다. 강당말과 용대동...
-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는 지역 주민을 위해 운영하는 문화 복지 편익 시설.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 주민의 편의 및 복리 증진을 도모하고 주민 자치기능을 강화하여 지역 공동체 형성에 기여하도록 설치된 각종 문화·복지·편익 시설과 프로그램을 총칭한다. 충청북도 음성군의 각 읍·면 단위로 설치되어 있으며 총 9개의 주민자치센터가 운영 중이다. 2002년 3월 26일 ‘음성군 주민자치센터 설...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안동. 자는 주백(周伯), 호는 만오(晩悟). 아버지는 권교삼(權敎三)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행제리에서 1848년(헌종 14)에 출생하였으며 여덟 살 때 부모를 잃었다. 1863년(철종 14)에 무과에 급제하여 비변랑이 되었고, 1881년(고종 18) 의정부공사관이 되었으며 1883년 훈련원첨정에 이르렀다. 1884년 선전관으...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주백(周伯). 사과 최두수(崔斗壽)의 증손이며, 할아버지는 동중추 최덕립(崔德立)이다. 아버지는 서부참봉 최기선(崔起先), 어머니는 진천임씨(鎭川林氏)로 임대성(林大誠)의 딸인데, 외할아버지는 판관 임수무(林秀茂)이다. 부인은 안동권씨로 권서(權澨)의 딸인데 자식 하나를 두었으며, 부인 단양우씨(丹陽禹氏)는 진사...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주봉사의 이름을 따서 주봉리라 불린다. 본래 음성군 남면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바랑골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내동, 마피곡 일부를 병합하여 주봉리라 하고 원남면에 편입되었다. 주봉1리 내동의 백마산[465m]에는 범바위, 병풍바위 등이 있고 백마산의 동쪽에는 공수골이 있다. 봉3리 서당골 동쪽에는 오봉산이 있고 오봉산...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주봉리 내동에서 음력 1월 5일에 지내는 산신제. 내동은 백마산 골짜기 아래 자리하고 있으며 원남면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3㎞ 지점에 위치한다. 내동에서는 동네가 생길 때부터 산신제를 지냈다고 한다. 1979년 산제당이 철거된 이후에는 마을에서 약 1㎞ 떨어진 백마산 팔부능선의 산제단에서 제를 올리고 있다. 주봉리 내동 산신제는 매년 정월 초닷샛날 밤에 지내는...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주봉리에 있는 산제당. 주봉리 산제당은 주봉리 내동에서 약 1㎞ 떨어진 산기슭에 있다. 원래는 백마산 정상에 있었으나 철거된 이후 현재의 자리로 옮겨졌다. 가로 4m, 높이 3m 가량의 바위 앞에 터를 닦아 제당으로 사용하고 있다. 제당 주위로 참나무들이 숲을 이루고 있다. 산신제를 올리기 며칠 전에 생기복덕에 맞추어 제관을 뽑는다. 제물은 마을 대동계에서...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주봉리에 있는 수목신당. 주봉리 수목신당은 원남면 주봉리로 들어가는 마을 입구에 있다. 수목신당은 수령이 4백 년 정도 된 느티나무로, 둘레가 3.5m, 높이 20m 정도 된다. 이 수목 아래에 제단으로 사용하는 직경이 5m인 수벽바위가 있다. 주봉리 수목신당에서는 음력 정월 보름에 마을 사람들이 망월을 보면서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동제를 지낸다. 제물은...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주봉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때의 사찰. 1996년에 충주산업대학교 박물관이 조사하여 간행한 『음성군의 역사와 문화유적』에 있는 ‘음성군 사찰 현황표’에 따르면, 당시 음성군에 소재한 52개 사찰 가운데 법화종에 속하는 8개 사찰 중 하나였다. 그에 따르면 창건 연대는 1933년으로, 주지는 서부남이었다고 한다. 한편 음성문화원이 1998년에 제작한 『음성지명지...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주거를 근거로 정착하여 생활하는 삶. 선사시대의 가옥은 마을 자체가 풍수지리의 영향을 받는 지형에 만들어졌다. 가옥의 집합으로 취락이 형성되고 한 곳에 정착을 하여 오랜 역사를 통하여 지연을 갖는다. 음성군의 취락 발달은 음성군 삼성면 양덕2리 양지울의 고인돌 유적에 의하여 추정할 수 있다. 이 지역에서 발굴된 고인돌의 덮개돌은 310㎝×290㎝×140㎝이며,...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선비. 본관은 신안(新安). 자는 광여(光汝). 문공 주희(朱憙)의 26대손이다. 주응동은 청빈하게 살았으나 서원을 건립할 자격이 없었다. 이에 사림회의(士林會議)를 통하여 서류를 관아에 제출하여, 순영(巡營)으로부터 당우를 건축하라는 단자(單子)를 받았다. 1856년(철종 7)에 주응동은 안성에 사는 김문웅으로부터 문공 주희(朱憙)의 영정을...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5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주주골은 음성읍에서 서쪽으로 1㎞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신천5리의 자연 마을이다. 동남쪽으로는 신천3리의 찬샘뜰이 있고, 서쪽으로는 신천2리의 중리, 북쪽으로는 신천1리의 주막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주주골이란 마을의 형새가 용산리의 생골에 있는 닭이봉(계봉)이 닭이 모이를 먹는 형세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주주골은 신천...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소여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 읍사무소 소재지에서 서북쪽으로 약 5㎞ 지점인 소여1리의 북쪽 끝 지역에 있는 자연 마을이다. 예전에 마을 부잣집에서 손님을 대접하느라 매일 술을 걸러, 냇물에서 늘 술 냄새가 났다 하여 수릿내 또는 주천(酒川)이라 불린다. 본래 음성군 근서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산양테, 주천, 내...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에 속하는 행정리. 청미천의 동남쪽 냇가에 있으므로 주내 또는 주천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감미곡면(甘味谷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내주리(內舟里)와 외주리(外舟里)를 병합하여 주천리라 하여 감곡면에 편입되었다. 주변의 지형은 대체로 낮으며, 괘월 동쪽에는 장군이 막은 것이라는 주천저수지가 있어 이 지역...
-
주추배기 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이 ‘주추배기’라고 하는 푯말과 넓은 들이다. 마을과 넓은 들 사이에는 언뜻 보기에도 백년이 넘은 듯한 둘레를 자랑하는 보호수가 우뚝 서 있다. 보호수는 바닥을 작은 자갈들로 보기 좋게 꾸며 놓았고 마을 사람들이 언제든 쉴 수 있도록 의자와 넓은 평상이 놓여 있었다. 보호수를 감상하다가 마침 길가에 계신 어른께 인사를 드리고 주추배기마을에...
-
고려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무신. 본관은 죽산(竹山). 귀주대첩에서 공을 세워 음성백(陰城伯)에 봉해진 후 음성박씨(陰城朴氏)의 시조가 되었다. 아버지는 호부상서(戶部尙書) 박인석(朴仁碩)이다. 박서는 무과에 급제한 후 1202년(신종 5)에 아버지가 진주도 안찰부사(按察副使)로 도적을 평정한 공에 의해 내시(內侍)로 근무하게 되었다. 봉선고판관(奉先庫判官)에 임명된 후...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음성(陰城). 자는 여진(汝進), 호는 죽남(竹南). 아버지는 부사용 박상채(朴尙彩)이다. 도암(陶菴) 이재(李縡)에게 배웠는데, 학문을 좋아하며 대의를 위한 절개가 있었다. 1721년(경종 원년) 태학생 윤지술(尹志述)의 피화 사건을 듣고는 더 이상 서울에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고기를 잡고 나무를 하며 지냈다....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죽말은 음성읍에서 북쪽으로 2㎞ 지점에 있는 용산리의 중앙부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북쪽으로 용산6리의 자연 마을인 새터와 접하고 있다. 마을에 대나무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음성군 동도면 중산리에 속하였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용산리에 포함되었다. 조선 말기 동학농민군의 충청북도 접주였던 이헌창이 살았던 마...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갑산리에 있는 산. 조선 후기의 문헌에서는 금봉산은 음성군 동남쪽 20리 떨어진 곳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금봉산은 산 모양이 봉황이 날개를 드리운 것과 같다고 하여 붙어진 이름이다. 길이 험해서 말의 통행이 불편하였는 데 자선가 정운상이 거액을 내어 길을 닦아 평탄하게 만들었다고 한다. 일명 죽실령(竹實嶺)이라고도 한다. 갬봉산은 금봉산이 변하여 만들어진...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 자는 희순(羲舜), 호는 죽재(竹齋). 판서 반석평(潘碩坪)의 후손이며, 반진두(潘鎭斗)의 아들이다. 반성순은 학식이 뛰어나 향리에서 신망이 두터웠고, 후학들로부터 추앙되었다....
-
이진말에서는 정월 대보름날 밤에 마을 사람 전체가 두 패로 나누어 줄다리기를 하였다. 이진봉에 올라 망월을 하며 달집태우기가 끝난 뒤 내려와서 농악을 치면서 줄을 다렸다. 매년 하지는 않고 3년에 한 번 정도 하였으며, 6·25 이후까지도 했다고 한다. 암줄과 수줄로 나누어 줄을 엮었으며, 암줄과 수줄을 끼운 뒤 비녀목을 채워 고정시켰다. 줄을 다리는 패는 골목을 기준으로 나누었...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있는 조선 전기의 문인 권념의 묘비. 권념(權念)의 본관은 안동으로, 자는 중경(仲經), 초휘(初諱)는 권응(權應)이다. 양촌(陽村) 권근(權近)의 손자이며, 정난공신 안천군 권준의 차남이다. 모친은 영춘현부인 해주정씨(永春縣夫人 海州鄭氏)로, 정도공(貞度公) 정역(鄭易)의 딸이다. 음보로 군기시판관(軍器寺判官)을 거쳐 옥천(沃川), 마전(麻田) 등...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월정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중고개는 감곡면 소재지에서 동남쪽으로 약 12㎞ 떨어진 지점에 자리 잡고 있는 월정리의 자연 마을이다. 서쪽으로는 상평리와 접하고, 남쪽으로는 생극면 차곡리와 북쪽으로는 영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고개의 중간 지점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중현(中峴)이라고도 부른다. 본래 충주군 감미곡면 하치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고종...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이며 지천서원 배향 인물.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중길(重吉), 호는 추곡(秋谷), 자호는 송림(松林). 십청헌(十淸軒) 김세필(金世弼)의 고손이다. 할아버지는 원종공신 김선경(金善慶)이며 아버지는 생원 김순(金峋)이다. 어머니는 청주한씨로 한광윤(韓匡胤)의 딸이며, 부인은 나주정씨로 정언규(丁彦珪)의 딸이다. 아들은 김방(金滂), 김만(金...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쌍봉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중터말은 쌍봉리의 중앙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서쪽으로는 윗강거리가 있고, 북쪽으로는 쌍봉2리의 자연 마을인 제수리가 자리 잡고 있다. 쌍봉리의 중앙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중대(中垈)라고도 부른다. 본래 충주군 법왕면 쌍산봉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쌍봉...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본성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중돈은 본성리의 중앙부에 있는 자연 마을로 동남쪽으로는 중맹골이 있고, 서쪽으로는 신돈리의 하돈, 동북쪽으로는 아랫맹골과 각각 접하고 있다. 신돈리의 상돈과 하돈 사이 중간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 중돈리였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그후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중돈리와 두북리,...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에 속하는 법정리. 중동리는 충주군 소파면의 사무소가 있었던 곳이라 하여 소파 또는 중동리라고 불린다. 본래 충주군 소파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오상동, 중동1리, 중동2리, 중동3리, 중동4리, 중동5리, 갑산1리 일부와 괴산군 불정면 문등리 일부를 병합하여 중동리라 하고 음성군 소이면에 편입되었다. 중동2리 중말의 서쪽에...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중동리의 절터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부재. 음성군 소이면 중동리의 오상동 폐사지에는 유물들이 남아있는데 초석·장대석·탑 부재 등과 기와·토기·자기 등 생활 유물들도 많이 눈에 띤다. 이 중동리 사지는 음성에서 가장 뛰어난 석부재와 막새기와가 수습되는 곳이다. 정밀 지표 조사 결과 기와에서 간패사(間珼寺)라는 절 이름이 나왔다. 유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부터 조...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중동리 상촌에 있는 산제당. 중동리 산제당은 중동리에서 괴산군 소수면 수리로 넘어가는 용고개 아래에 있다. 산제당은 벽돌로 몸체를 쌓고 지붕은 슬레이트로 되어 있다. 산신제를 지내기 며칠 전에 생기복덕에 맞추어 마을 사람 중에서 제관 네 명을 뽑는다. 제관으로 뽑히면 먼저 계곡물로 목욕재계하고 근신을 한다. 특히 산신제를 지내는 날에는 마을 전체가 칼을 사용...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중동3리 용현에서 음력 1월 14일 산신에게 올리는 제의. 용현은 읍성읍에서 11㎞ 지점, 소이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4㎞ 지점에 위치하며 충청북도 괴산군 소수면 수리로 넘어가는 용현(龍峴) 밑에 자리하고 있다. 예전에는 바리봉 옆 대골에 있는 산제당에서 지냈으나 산제당이 철거된 후, 현재는 산 밑에 당집을 새로 지어 제를 올리고 있다. 용현 산제당은 마을에...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중동리 한내에 있는 수목신당. 중동리 한내 수목신당은 소이면 소재지에서 동남쪽으로 6㎞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중동리의 자연 마을 한내 입구에 자리잡고 있다. 중동리 한내 수목신당은 아카시아나무 두 그루이다. 두 그루 모두 수령이 약 70년 정도로, 높이는 20m쯤 된다. 한 그루의 둘레는 1.2m이고, 또 한 그루의 둘레는 0.7m 정도 되는데, 예전에는...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중리는 음성읍에서 서남쪽으로 2㎞ 정도 떨어진 신천2리의 서남부에 자리 잡고 있는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주주골이 있고, 북쪽으로는 신천1리의 자연 마을인 주막거리와 접하고 있다. 신천1리의 냇말과 신천3리의 찬샘뜰 중간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중리라고 불렀다. 중리는 광산김씨가 입향하면서 이루어진 마을로 1914년 행정구역...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중말(신양리)은 신양3리 남쪽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새천이와 접하고, 남쪽으로는 병암리의 이진말, 서쪽으로는 생극면 소재지와 각각 접하고 있다. 본래 충주군 생동면에 속해 있던 양곤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그후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신평리와 신창리, 양곤리 일부와 함께 신양리로...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중동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중말(중동리)은 소이면 소재지에서 동남쪽으로 약 6㎞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중동2리의 중심부에 자리 잡고 있는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두들기, 남쪽으로는 상촌, 서북쪽으로는 청용안과 각각 접하고 있다. 중말(중동리)은 중동리의 중앙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예전에는 마을 안에 일곱 개의 바위가 있다고 하여 바위말 또...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통동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중말(통동리)은 통동리의 중앙부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 중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그후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새터와 창리, 중리, 천곡과 함께 통동리에 포함되었다. 통동리 저수지 축조 당시에 경주김씨 집성촌이던 중리가 수몰되었는데, 이때 경주김씨들이 대부분 중말(통동리)로 이주...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본성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중맹골은 본성리의 행정리인 본성2리 남부에 자리 잡고 있는 자연 마을이다. 동남쪽으로는 두성리의 자연 마을인 윗맹골이 있고, 서북쪽으로는 중돈, 북쪽으로는 쌍정리의 선녀골과 각각 접하고 있다. 중맹골은 맹동면 본리(本里)의 중간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중본(中本)이라고도 부른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 본리에 속해 있던 마을이...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본성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중맹골은 본성리의 행정리인 본성2리 남부에 자리 잡고 있는 자연 마을이다. 동남쪽으로는 두성리의 자연 마을인 윗맹골이 있고, 서북쪽으로는 중돈, 북쪽으로는 쌍정리의 선녀골과 각각 접하고 있다. 중맹골은 맹동면 본리(本里)의 중간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중본(中本)이라고도 부른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 본리에 속해 있던 마을이...
-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과 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을 잇는 고속국도 중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 구간. 중부고속국도는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과 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 간의 77.1㎞ 구간으로,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대사리에서 대소면 미곡리를 지난다. 우리나라 중부 지방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고속국도이기 때문에 중부고속국도라는 이름이 붙었다. 기존 경부고속국도의 서울~대전 간 교통 체증을 해소...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단평리에서 문촌리까지 연결되는 4차선 고속국도. 중부내륙고속국도는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에서 경상남도 마산시 내서읍까지 265㎞의 고속국도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에서 괴산군 연풍면 주진리까지의 충청북도 구간은 64㎞이며, 4차선으로 폭은 22.4m이다. 중부내륙고속국도의 충청북도 구간은 1997년에 착공하여 총 사업비 2조 8,303억 원을 투입하여 20...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생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중생은 생1리의 중앙부에 자리 잡고 있는 자연 마을이다. 동북쪽으로 안터가 자리잡고 있으며, 동남쪽으로는 다락개, 서북쪽으로는 주막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예전에는 벌말이라고도 불렸다. 본래 충주군 생동면 생동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생동면을 폐지하고 중생리와 하생리를 병합하여 생리...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권제(權踶)의 신도비. 권제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안동, 자는 중의(仲義), 중안(仲安), 호는 지재(止齋)이다. 음보로 관직에 나아갔다. 1440년(세종 22)에 『고려사』 편찬에 참여하였고, 정인지 등과 『용비어천가』를 지어 바쳤다. 영의정에 추존되었고, 시호는 문경(文景)이다. 이런 업적을 기리고자 18대손 권오호...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자는 중안(仲安), 호는 지재(止齋). 아버지는 권근(權近)이다. 부인은 판사 이휴(李携)의 딸이다. 음보로 경승부주부(敬承府主簿)에 기용되었고 후에 감찰이 되었다. 1414년(태종 14) 문과에 급제하고, 병조정랑·예문관응교를 역임하고, 1416년(태종 16) 성균관사예, 1418년 의정부사인·전사소윤·세자시강원문학을 지냈다. 1419년(세종 원...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전주. 자는 중여(重汝), 호는 신암(愼庵). 이시성(李蓍聖)의 6세손이고, 아버지는 이징현(李澂鉉)이다. 이승권은 금계(錦溪) 이근원(李根元) 문하에서 학문을 익혔다. 이승권은 오갑산 아래 세운 옥산영당(玉山影堂)에 선조인 직재(直齋) 이기홍(李箕洪)을 배향하였다. 또한 춘추로 석전제(釋奠祭)를 지내면서 학생들과 더불어 학문을 연...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광산. 자는 중옥(仲玉). 증조부는 군자감주부 김덕항(金德恒), 아버지는 선교랑 김기제(金起悌)이다. 부인은 천안전씨로 전이종(全爾宗)의 딸과 전주이씨로 별검 이성장(李星長)의 딸이다. 김각은 1672년(현종 13)에 무과에 급제하여 삼화도호부사(三和都護府使)를 지내고, 1695년(숙종 21)에 정평도호부사(定平都護府使)가 되었다....
-
조선시대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벽진. 자는 중온(仲蘊). 증조부는 충강공(忠剛公) 이상급(李尙伋)이고, 아버지는 이지달(李志達)이다. 생후 몇 개월 만에 어머니가 죽었는데 나중에 자라서 추복(追服) 3년을 하였다. 계모를 친어머니처럼 모셨으며, 아버지가 병이 나자 변을 맛보며 간호하고 하늘에 빌었다. 상을 당하자 4일을 먹지 않고 석 달간 말하지 않았으며 3년간 죽...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권제(權踶)의 신도비. 권제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안동, 자는 중의(仲義), 중안(仲安), 호는 지재(止齋)이다. 음보로 관직에 나아갔다. 1440년(세종 22)에 『고려사』 편찬에 참여하였고, 정인지 등과 『용비어천가』를 지어 바쳤다. 영의정에 추존되었고, 시호는 문경(文景)이다. 이런 업적을 기리고자 18대손 권오호...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 중리에서 발원하여 신천리 점말로 흐르는 하천. 풋내고개에서 발원하여 신천리 중리에서 신천교를 거쳐 신천리 점말로 흐르는 중천은 소여천에 유입되는 하천으로 한강 수계에 속한다. 신천리의 중리 앞으로 흐르는 하천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음성읍 신천리 중리 옷골에서 밤나무재로 넘어가는 곳에는 풋내고개가 있다. 풋내고개에서 발원하여 동북류하는 중천은 구릉성...
-
충청북도 음성에서 음력 8월 15일을 기리는 명절. 추석은 우리 고유어로 한가위·가위·가배라고 하며, 중국식 명칭으로 추석 또는 중추절이라고도 한다. 한가위는 정월대보름과 함께 양대 대보름 명절로, 정월대보름이 농사력이 시작되는 한 해의 첫 보름이라면 한가위는 농사력이 마무리되는 보름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이때는 봄부터 여름 동안 가꾼 곡식과 과일의 수확의 계절이고,...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쌍봉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중터말은 쌍봉리의 중앙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서쪽으로는 윗강거리가 있고, 북쪽으로는 쌍봉2리의 자연 마을인 제수리가 자리 잡고 있다. 쌍봉리의 중앙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중대(中垈)라고도 부른다. 본래 충주군 법왕면 쌍산봉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쌍봉...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생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중턱은 생3리의 중북부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서쪽으로는 생3리의 안터가 자리 잡고 있으며, 서남쪽으로는 중생, 동남쪽으로는 오생리의 북각동과 각각 접하고 있다. 본래 충주군 생동면 중생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생극면 생리에 포함되었다. 북쪽으로 수레의산[679.4m]이...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권재학은 1919년 4월 1일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한내장터에서 김을경, 이중곤, 추성렬, 이교필, 이용호 등과 함께 시위를 주동하였다. 권재학은 수백 명의 시위 군중을 이끌고 소이면사무소로 달려가 만세 삼창을 하였다. 이때 왜경이 김을경, 이중곤을 연행하자 주재소에 가서 석방할 것을 요구하였다. 당시 음성에 거주하던 일본인 후루미치...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초등학교 과정을 수료한 학생에게 3년간 중등 교육을 실시하는 교육 기관. 1949년 교육법이 공포되면서 중등 교육은 수업 연한 각 3년의 중학교 과정과 고등학교 과정을 운영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음성군에도 6개 공립 중학교와 3개의 사립 중학교가 개교하여 학생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교육기본법 제8조 ‘의무 교육은 6년의 초등 교육 및 3년의 중등 교육으...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월정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중고개는 감곡면 소재지에서 동남쪽으로 약 12㎞ 떨어진 지점에 자리 잡고 있는 월정리의 자연 마을이다. 서쪽으로는 상평리와 접하고, 남쪽으로는 생극면 차곡리와 북쪽으로는 영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고개의 중간 지점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중현(中峴)이라고도 부른다. 본래 충주군 감미곡면 하치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고종...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중현(仲賢), 호는 혜인(兮人). 서예가 유한지(兪漢芝)의 손자이며, 이조참의 유초환(兪初煥)의 아우이다. 1855년(철종 6) 사마시에 급제하여 창릉참봉, 제용봉사, 오위사과 등을 거쳐, 1871년(고종 8) 통례원인의, 한성부주부, 판관을 역임하고, 태조태종추상존호도감낭청을 담당하였다. 1872년 의령현감, 1874년 평강현감, 1...
-
조선 후기의 유학자. 본관은 우봉(牛峰). 자는 중호(仲浩), 호는 행남(杏南). 아버지는 이함(李涵)이다. 도암(陶庵) 이재(李縡)의 문인이 되어 학문으로 감역(監役)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고, 서울에서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행제리로 내려와 살았다. 세상 사람들이 처사(處士)라 불렀다. 묘소가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행제리에 있다. 문암(文菴) 이의철(李宜哲)이 묘갈을 찬...
-
이진말 사람들은 정월 초순경 그해 처음으로 맞는 쥐날에 쥐불놀이를 했다고 한다. 당시에는 다른 동네 사람들하고 쥐불놀이를 했는데, 아주 크게 싸움을 벌였다. 이진말은 주로 곤재 사람들하고 싸웠다. 마을 앞 개울에 가서 뚝방에다 불을 놓고 양쪽에서 마주보면서 ‘니가 잘했네 내가 더 잘하네’ 하면서 싸웠다. 그러다가 개울 건너까지 서로 돌을 던지면서 싸우는 ‘석전’까지 하기도 했다....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주봉리에 있는 산. 산의 모양이 시루처럼 생겼다고 하여 시루산이라고도 하는 데, 시루산을 한자로 표기하면 증산(甑山)이 된다. 시루산을 세루산(洗陋山)으로 쓰기도 한다. 소수면 옥현리 북쪽에는 오대산이 있고 남서쪽에는 백마산이 있으며, 남쪽에는 내동고개가 있다. 북쪽에는 도로가 통과하고 있는 보천고개가 있다. 증산 정상에는 직경 3m의 시루바위(일명 공기바위...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6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지검말은 음성읍에서 북쪽으로 약 4㎞ 떨어진 곳에 자리 잡은 용산6리의 자연 마을이다. 본래 음성군 동도면 중산리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용산리에 포함되어 음성군 음성면으로 편입되었다. 1956년 7월 8일 음성면이 음성읍으로 승격됨에 따라 음성읍의 한 개 리가 되었고, 1993년에 새터와 잣나무골과 함께 용산...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집터를 다질 때 부르는 노동요. 집을 새로 지을 때 가장 먼저 하는 것이 땅을 다지는 작업인데 현대에는 포크레인 등 기계장치를 이용하지만 과거에는 ‘지경이’라 부르는 굵은 통나무 토막이나 돌덩이를 여럿이 높이 들었다가 떨어뜨려 집터를 다졌다. 이렇게 여럿이 함께 새로 지을 집터를 다지는 작업을 할 때 부르던 노동요이다. 음성군에서 불리는 「터 다지...
-
통일신라시대 음성 지역에서 활동했다고 전하는 서예가. 자는 지단(知端), 별명은 구(玖). 『삼국사기』권 48 열전 김생조에 부모가 두드러지지 않아 가계를 알 수 없다고 적혀 있다.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원통산 아래에서 오로지 글씨에만 정진하였다는 전설과 함께 “낙엽에 먹물로 글씨를 썼는데 그 낙엽이 계곡으로 모여 계곡물이 검어졌다”는 얘기가 전한다. 어려서부터 글씨를 잘 썼는데...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대리에서 생극면 신양리까지 연결되는 지방도. 지방도 318번은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에서 시작하여 음성군 읍내리까지 27.2㎞ 길이의 지방도이며, 일죽~음성길이라고도 불린다. 지방도 318번은 포장 도로로서 2차선이 17.7㎞, 4차선이 9.5㎞이다. 노견 포장은 좌 7.3㎞, 우 5.8㎞이다. 지방도 318번의 음성군 구간은 삼성면 용대리에서 생극면 신양리...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내곡리에서 금왕읍 호산리까지 연결되는 지방도. 지방도 383번은 경기도 이천시 대포동에서 시작하여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을 연결하는 지방도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에서 경기도 이천시 율면을 통과하여 국도 38호선과 통행할 수 있는 경기도의 지방도이다. 지방도 383번의 음성군 구간은 금왕읍 내곡리에서 삼성면 능산리를 거쳐 금왕읍 호산리까지 6㎞의 2차선...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오선리에서 대소면 수태리까지 연결되는 지방도. 지방도 513번은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에서 음성군 금왕읍까지 18.3㎞의 2차선 포장 도로이며, 노견 포장은 좌우가 16.1㎞이다. 초평~금왕길이라고도 한다. 지방도 513번의 음성군 구간은 음성군 금왕읍 오선리에서 맹동면 봉현리를 거쳐 대소면 수태리 간의 8㎞의 2차선 지방도이다. 금왕읍 오선리에서 국가지원...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천리에서 삼성면 덕정리까지 연결되는 지방도. 지방도 515번은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에서 경기도 이천시 율면 간의 총 연장 86.4㎞의 도로이며, 2차선 도로가 78.6㎞, 4차선 도로가 1.3㎞, 비포장 도로가 6.5㎞이고 노견 포장은 좌 1.6㎞, 우 1.6㎞이다. 청천~율면길이라고도 한다. 지방도 515번의 음성군 구간은 원남면 보천리에서 맹동면 통동...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서 소이면 중동리까지 연결되는 지방도. 지방도 516번은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에서 괴산군 불정면 간의 42.25㎞의 2차선 지방도이며, 초평~불정길이라고도 한다. 진천군 초평면에서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까지는 지방도 515번과 국도 37호선을 같이 이용하고 있으며, 음성읍 읍내리에서 소이면 중동리까지는 지방도 516번으로 이용되고 있다. 지방도 516...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원당리에서 월정리까지 연결되는 지방도. 지방도 520번은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원당리에서 충주시 노은면 문성리까지 14.3㎞의 2차선 지방도이며, 노견 포장은 좌·우 모두 3.5㎞이다. 감곡~충주길이라고도 한다. 지방도 520번의 음성군 구간은 감곡면 원당리에서 상평리를 거쳐, 감곡면 월정리 간의 7.25㎞의 2차선 지방도이다. 음성군 감곡면 원당리에서 국...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에서 삼성면 대사리까지 연결되는 지방도. 지방도 583번은 음성군 금왕읍 내송리에서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화봉리까지 연결되는 15.4㎞의 지방도이며, 2차선 14.5㎞, 4차선 0.9㎞의 포장 도로이다. 지방도 583번의 음성군 구간은 금왕읍 내송리에서 금왕읍 쌍봉리를 거쳐, 삼성면 덕정리, 양덕리, 삼성면 대사리까지 연결되는 9.84㎞의 지방도이다....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대장리에서 후미리까지 연결되는 지방도. 지방도 599번은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에서 충주시 소태면 덕은리 간의 총 연장 41.7㎞의 지방도이며, 소이~소태길이라고도 한다. 지방도 599번의 음성군 구간은 소이면 대장리에서 소이면 후미리까지 4㎞ 길이의 지방도이다. 음성군 소이면 대장리에서 국가지원 지방도 49번과 지방도 516번이 분기한다. 음성군 소이면에서...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이루어지는 주민이 정치·행정에 스스로 참여하여 지역 현안을 결정·운영하는 제도. 지방자치는 일정한 구역의 주민들이 법률에 따라 일정한 권한을 갖는 지방자치단체를 구성하여 중앙정부로부터 상대적인 자율성을 가지고 그 단체를 구성하는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생활과 관련된 지방적인 사무, 즉 지방의 정치와 행정 사무를 주민들 스스로의 의사와 책임 아래 선임한 자치기관을...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진양(晋陽). 호는 지비당(知非堂). 5대조는 동지중추부사 하우명(河友明), 고조부는 옥과현감 하철행(河哲行), 증조부는 통덕랑 하영담(河永淡), 할아버지는 하승세(河承世), 아버지는 전라도수군절도사 하덕록(河德祿)이다. 어머니는 경주이씨로 이덕승(李德承)의 딸이다. 아들은 셋으로 첨지중추부사 하변(河汴), 하흡(河潝), 첨지중추부사...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세거한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공석(公碩), 호는 십청헌(十淸軒)·지비옹(知非翁). 두문동충신 김자수(金自粹)의 고손이다. 할아버지는 원종공신 김영유(金永濡)이고 아버지는 충주목사 김훈(金薰)이다. 어머니는 진천송씨로 군수 송학(宋翯)의 딸이고, 부인은 고성이씨로 부사 이탁(李鐸)의 딸이다. 아들은 김숙(金䃤), 김구(金瞿), 김저(金䃴)이...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1890년 9월 27일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에서 출생하였으며, 1971년 11월 28일에 향년 82세로 별세하였다. 1910년 대종교에 입교하여 활동하였으며, 1912년 중국으로 건너가 상해에서 신규식(申圭植)이 조직한 동제사(同濟社)에 가입하여 항일운동을 하였다. 1918년 파리강화회의에 참석할 사절단의 자금을 간도 노령에서 14,...
-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돌무덤. 고인돌은 거대한 돌을 이용해 만든 선사시대 거석 건조물의 일종으로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이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한국이 약 30,000여 기로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전라남도 지방에 집중적으로 20,000여 기가 밀집 분포되어 있다. 한국의 고인돌은 외형적 형태에서 크게 탁자식·기반식·개석식 등 3종류로 구분된다. 고...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쌍봉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금왕읍 소재지에서 북쪽으로 약 4㎞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은 각회리, 서쪽은 내곡리, 남쪽은 내송리, 북쪽은 구계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제수리는 마을 둘레에 못이 여러 개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법왕면 지역으로 쌍으로 된 봉우리가 있어 쌍산봉이라고 하였는 데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정초 또는 정월대보름에 복을 기원하며 지내는 세시풍속. 음성군에서는 정초부터 시작해서 대보름까지 행해졌던 민속놀이로 주로 정월대보름날 마을별로 마을의 단합을 위한 행사로 진행되어 왔다. ‘지신(地神)’은 집안에 우환을 몰고 오는 잡신을 의미하는데 지신을 발로 밟으면 터주가 흡족해 하여 복을 가져다주고 풍년이 들게 해준다고 한다. 음성군에서 행해지는 지신밟기는 농...
-
가섭산에서 동쪽으로 뻗어 내린 산줄기의 동남향 골짜기에는 음성군에서 가장 큰 사찰이자 가장 많이 알려진 사찰, 미타사가 자리 잡고 있다. 충주와 청주를 잇는 국도 36호선으로 가다 보면 동양 최대 크기의 지장보살입상이 금방 눈에 띈다. 관광객들의 발걸음은 자연스럽게 미타사로 옮겨지는데, 마치 지장보살의 중생 구제에 의 강렬한 염원이 사람들을 미타사로 이끄는 것 같다. 미타사의 기원...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권제(權踶)의 신도비. 권제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안동, 자는 중의(仲義), 중안(仲安), 호는 지재(止齋)이다. 음보로 관직에 나아갔다. 1440년(세종 22)에 『고려사』 편찬에 참여하였고, 정인지 등과 『용비어천가』를 지어 바쳤다. 영의정에 추존되었고, 시호는 문경(文景)이다. 이런 업적을 기리고자 18대손 권오호...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자는 중안(仲安), 호는 지재(止齋). 아버지는 권근(權近)이다. 부인은 판사 이휴(李携)의 딸이다. 음보로 경승부주부(敬承府主簿)에 기용되었고 후에 감찰이 되었다. 1414년(태종 14) 문과에 급제하고, 병조정랑·예문관응교를 역임하고, 1416년(태종 16) 성균관사예, 1418년 의정부사인·전사소윤·세자시강원문학을 지냈다. 1419년(세종 원...
-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의 토양 및 암석의 종류와 분포 상태. 음성군의 지질 구조는 절리, 습곡, 단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중생대에 퇴적된 초평층군은 구조 운동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음성군 북동부의 중립화강암은 동서 및 남북 등 두 방향의 절리가 우세하고 반상화강암은 북동~남서 및 이와 직각인 방향의 절리가 측정되고는 있으나 미약하다. 음성군 관내에 분포하고 있는 계명산층의 편리주향...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팔성리에 있는 조선 중기 하진민의 충효를 기리는 비.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많은 일본 군사가 충주에 침입하여 음성군 생극 지역까지 왔을 때 김선경(金善慶) 부인 성주이씨(星州李氏)가 딸을 데리고 생극 지역 수리산으로 피난을 왔다. 이때 하진민은 곤경에 빠진 이씨 부인을 구출하였다. 조정에서는 하진민의 충의를 가상히 여겨 음직으로 훈련...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팔성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서원. 지천서원(知川書院)의 시초는 조선 중종 때 이조참판을 지낸 김세필(金世弼)[1473~1533]이 벼슬에서 물러난 뒤 팔성산 아래에 지은 초옥으로, 김세필은 이곳에서 산수를 벗삼아 여생을 보내며 후학을 교육하였다고 한다. 초옥은 당시 충주목사 박상(朴祥)의 재정적 도움으로 건립되었는데, 박상은 자주 김세필을 찾아와 격의 없이...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팔성리 지천서원에서 제향하는 의례. 김자수(金自粹), 김세필(金世弼), 김저(金儲), 김의(金嶷), 김정현(金鼎鉉), 김홍욱(金弘郁), 김종현(金宗鉉), 박상(朴詳) 등을 매년 봄(음력 3월 초정일)과 가을(음력 9월 초정일)에 음성 지역 유림과 경주김씨 문중에서 제향하고 있다. 조선 중종 때 이조판서를 지낸 십청헌 김세필이 벼슬에서 물러나 음성군 생극면 팔...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팔성리 지천서원 입구에 세워진 하마비(下馬碑). 하마비는 그 앞에서는 신분의 고하(高下)를 막론하고 누구나 타고 가던 말에서 내리라는 뜻을 새긴 석비(石碑)이다. 주로 관아(官衙), 향교(鄕校), 서원(書院), 사우(祠宇) 등의 입구나 능묘(陵墓) 앞에 세워 경의(敬意)를 표하게 하였다. 음성군에는 지천서원(知川書院), 음성향교(陰城鄕校), 운곡서원(雲谷書院...
-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 있던 삼한시대의 소국. 한강 이남의 지역은 기원전 4~3세경 이후에 철기 문화가 전파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이 지역의 원시 사회는 부족 사회로 바뀌고 새로운 정치 세력이 형성되는데, 『사기』「조선전(朝鮮傳)」에 나타나는 진국(辰國)이 그것이다. 이 무렵 한족의 침입으로 고조선이 멸망하고 한의 군현이 설치되자 유민들이 진국으로 유입되면서 한강 이남의 지역에서 새...
-
충청북도 음성군의 지표면의 기복 및 모양이나 형태. 음성군 지역에는 음성군 중부의 노령산맥을 중심으로 북서부의 차령산맥과 남동부의 소백산맥, 중앙부의 소속리산 산맥과 종지봉 산맥 등 여러 산맥들이 지나고 있으며, 그 중 음성군 지역은 차령산맥에 치우쳐 있다. 음성군의 지체 구조는 화강암이 분포하는 서부 지역, 퇴적암 및 편마암류가 북북동 방향으로 분포하는 중부 지역, 화강암류와 계...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유학자.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사현(士賢), 호는 직당(直堂). 신숭겸(申崇謙)의 후손으로, 조부는 신태원(申泰元)이며, 아버지는 가정(稼亭) 신만균(申萬均)이다. 어머니는 함평이씨로 이설서(李卨緖)의 딸이다. 1869년(고종 6) 12월 8일 경기도 여주군 소곡리에서 출생하였다. 8세에 외종조 국포(菊圃) 이직서(李稷緖)에게 배웠으며 재...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개인이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경제·사회적인 활동. 직업은 직(職)과 업(業)의 합성어로서, ‘직’은 사회적 지위나 위상을 나타내는 말이고, ‘업’은 생업을 뜻하는 의미로 구체적인 활동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따라서 사람은 누구든지 자신의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사회적 역할을 분담해야 하고, 이 분담된 역할이 충실히 수행될 때에 사회는 유지·발전되고 개인의...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백실(伯實), 호는 직재(直齋). 아버지는 현감 반윤기(潘潤沂)이다. 부인은 임천조씨(林川趙氏)이다.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문장이 뛰어나 세상에 알려졌다. 관계(官階)가 통덕랑(通德郞)에 이르렀다. 묘소는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천리 능골에 있다....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 초명은 기주(箕疇). 자는 여구(汝九), 호는 직재(直齋). 귀천군(龜川君) 이수(李晬)의 증손이고, 부사과 이숙(李塾)의 아들이다. 이기홍은 어려서부터 지혜가 뛰어나 수년 만에 사서삼경을 모두 읽었고, 약관의 나이에 위기지학(爲己之學)에 뜻을 두어 이지렴(李之濂)에게 수학했다. 1665년 송준길(宋浚吉)에게 학문의 요결을 배우고, 송시열(宋時烈)...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관성4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진골은 관성4리 남쪽에 위치해 있는 자연 마을이다. 북서쪽으로 관성3리의 자연 마을인 마날미와 관성2리의 자연 마을인 무술(무수동)이 있다. 임진왜란 때 진을 친 곳이라 하여 진골 또는 진동(陣洞)이라 불린다. 본래 경기도 음죽군 무극면 진동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관성리라...
-
강당말의 할머니들에게 시집살이노래, 나물노래 같은 것이 없느냐고 여쭈니, 이구동성 용대동의 ‘전라도 할머니’가 그런 노래를 잘 안다고 했다. ‘전라도 할머니’는 전라도에서 시집온 강정순 할머니를 이르는 것이었다. 3월 8일 용대동의 강정순 할머니 댁을 찾아가니 할머니 혼자서 누워 계시다가 조사팀을 반갑게 맞았다. 강정순 할머니는 할아버지는 돌아가시고 혼자 사는데, 막내아들이 검사...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관성4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진골은 관성4리 남쪽에 위치해 있는 자연 마을이다. 북서쪽으로 관성3리의 자연 마을인 마날미와 관성2리의 자연 마을인 무술(무수동)이 있다. 임진왜란 때 진을 친 곳이라 하여 진골 또는 진동(陣洞)이라 불린다. 본래 경기도 음죽군 무극면 진동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관성리라...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도청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진재는 도청2리의 남쪽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 도청1리의 자연 마을인 되자니가 있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 장현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금왕면 도청리에 포함되었다. 도청리에서 제일 큰 마을이다. 마을 앞산에 긴 고개가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장현(長峴)이라고...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 자는 치우(致于), 호는 설포(雪圃). 초명은 진정(鎭楨)·진홍(鎭鴻).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반석평(潘碩坪)의 13세손이다. 아버지는 반우택(潘禹澤)이고, 동생은 반진간(潘鎭幹)이다. 반진홍은 문학이 뛰어났으며 사람됨이 단정하고 말이 적었다. 고종 때 수직(壽職)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 묘소가 충청북도 음성군 원...
-
강이식(姜以式)을 시조로 하고 강시양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진주강씨(晋州姜氏)는 시조를 고구려의 무장 강이식으로, 본관을 진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강계용(姜啓庸)을 파조(派祖)로 하는 박사공파(博士公派), 강위용(姜渭庸)을 파조로 하는 소감공파(少監公派), 강원로(姜元老)를 파조로 하는 관서공파(關西公波), 강민첨(姜民瞻)을 파조로 하는 은열공파...
-
조선 말기에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에 세워졌던 진주정씨의 열녀 정문. 진주정씨는 삼성면 용성리 출신인 권종원의 처로 시부모님을 극진히 봉양하여 근동의 칭송이 자자하였는데, 남편이 갑작스레 세상을 떠나자 일부종사할 목적으로 자결하였다. 이를 조정에서 알고 조선 말기인 고종 연간에 용성리에 열녀 정문을 세우도록 하였으나, 현재는 현판만 후손의 집에 남아 있을 뿐 흔적을 찾을 수...
-
송순공을 시조로 하고 송저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진천송씨(鎭川宋氏)는 당나라 호부상서(戶部尙書) 송주은(宋柱殷)의 7세손 송순공(松荀恭)의 후손으로 전하나 계대(繼代)가 불명하여 고려 때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낸 송인(宋仁)을 일세조(一世祖)로 하고 있다. 1125년(인조 3)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두촌리에서 출생한 송인은 여러 관직을 두루 거...
-
임희를 시조로 하고 임광하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진천임씨(鎭川林氏)의 시조 임희(林曦)는 고려 혜종의 비(妃)인 의화왕후(義和王后)의 아버지로, 벼슬이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에 오르고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으로 상산백(象山伯)에 봉해졌다. 가문의 인물로 임간은 우문관대제학(右文官大提學)과 대사성(大司成)을 역임하였으며, 임희정이 금자광록대부(金紫光...
-
충청북도 음성군 남부 지역인 대소면·삼성면·맹동면과 진천군 진천읍·광혜원면·이월면·덕산읍·문백면·초평면에 펼쳐있는 미호천 유역의 평야. 진천평야는 음성군 삼성면 마이산에서 발원한 미호천이 남류하면서 미호천의 지류들이 유입되고 있는 음성군의 남부 지역과 진천군 지역 등에 전개된 평야를 말한다. 진천평야는 충청북도의 3대 곡창 지대의 하나로서 진천군과 음성군에 걸쳐 있는데, 음성군 관...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 자는 치우(致于), 호는 설포(雪圃). 초명은 진정(鎭楨)·진홍(鎭鴻).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반석평(潘碩坪)의 13세손이다. 아버지는 반우택(潘禹澤)이고, 동생은 반진간(潘鎭幹)이다. 반진홍은 문학이 뛰어났으며 사람됨이 단정하고 말이 적었다. 고종 때 수직(壽職)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 묘소가 충청북도 음성군 원...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동일 본관의 가구가 다수를 이루는 마을. 집성촌은 동족 마을이라고도 부르며 동성 동족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집성촌은 동일 조상에 대한 제향, 마을의 대동계, 문중의 크고 작은 일 등을 공동으로 하고 있는 사회·경제적 공동체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는 마을이다. 음성 지역의 집성촌은 한 종족이 어느 한 마을에서 계속해 여러 대에 걸쳐서 살아온 경우와, 여러 대를...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경주. 자는 징지(澄之), 호는 매죽헌(梅竹軒). 계림부원군 이수일(李守一)의 아들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영산리 정자촌에서 출생하였다. 1924년(인조 2) 무과에 급제하고 1627년 영유현령, 1629년 상원군수, 1630년 숙천부사, 1631년 평안도병마절도사에 올랐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 김자점 휘하의 별장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