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102145 |
---|---|
영어의미역 | Lice Song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능산리 |
집필자 | 강윤정 |
충청북도 음성군에 전해 내려오는 이에 관한 동요.
전국적으로 널리 불리던 동요로 사람의 옷에 사는 해충인 이의 발, 주둥이, 등, 배 등 생김새를 차례로 묘사하고 있다. 이는 사람에게 기생하며 사람의 피만 빨아먹을 뿐 사람에게 좋은 일이라고는 한 가지도 못하는 해충임을 강조하는 내용의 동요이다.
이경우(서원대 교수)가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능산리에서 채록하였다.
이는 발이 여섯 개이며, 주둥이가 뾰족하고, 등이 납작하며, 배가 먹통이라고 생김새를 자세히 묘사하면서 모양마다 시비를 걸고 있다. 여섯 개의 발을 가지고 있다 한들 그 다리로 아주 먼 길인 강남 구경이나 해보았겠느냐며 조소를 보내고, 피를 빨아 먹는 주둥이는 뾰족하니 길게 나와 있지만 그 주둥이로 아름다운 나팔 한 번 불어 보았느냐며 비난한다. 이는 그저 사람의 피나 빨아 먹는 입은 정말 가치 없다고 나무라는 의미로 보인다.
납작한 등으로는 공자님 무덤 만들 때 뗏장(분묘에 덮는 잔디) 한 장 옮겨 봤느냐고 비난한다. (음성에서 조사된 각 편에서는 공자님 무덤 만들 때라는 내용이 빠져있지만, 다른 각 편에서는 “공자님 출상할 때”라는 내용이 들어 있다.)
마지막으로 선생님이 죽었을 때 배의 먹통으로 북망(부고) 한 장 써 봤느냐고 힐난한다. 배의 먹통이란 이가 빨아 먹은 피로 가득한 이의 배 부분을 말한다.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니야니야 온통니야 니발이 육발인들/강남 구경 가봤느냐 니쥐둥이 떼뚝해도/나팔한번 불어봤냐 니등이 납작해도/떼장한번 져봤느냐 니배아지 먹통인들/니그선생 죽었을때 북망한장 써봤느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