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102094 |
---|---|
한자 | 告祀- |
영어의미역 | Song by Traveling Shamanistic Groups |
이칭/별칭 | 「고사반」,「고사반 소리」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충청북도 음성군 |
집필자 | 이상임 |
성격 | 민요|세시의식요 |
---|---|
출현음 | 판소리에 가까운 선율형 |
기능구분 | 세시의식요 |
형식구분 | 4음보 1행 |
가창자/시연자 | 노희태[소이면 봉전1리]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세시의식요의 하나.
복을 부르고 액을 막아 준다는 「고사 소리」는 정월 대보름에 풍물패들이 마을을 돌며 지신밟기를 할 때 주로 부르는 세시의식요이다. 역대 왕조의 치국에 대한 풀이와 함께, 산세(山勢)가 명당인지에 대한 산세풀이에 이어, 가업이 번창하고 자손만대가 복을 받으라는 축원과 액막이에 관한 내용이 담겨 있다.
1992년 음성군 소이면 봉전1리에 있는 심곡사의 승려인 노희태에게서 채록하여 『한국민요대전』-충청북도편-에 수록하였다. 노희태는 서른 살에 출가했는데, 「고사 소리」는 출가한 후 동료 승려들에게서 배운 것이라고 한다.
4음보 1행으로, 전체 구성을 보면 달거리-살풀이-노정기-가정축원-장사축원-농사축원-삼재풀이-성주풀이-방안 치장-앞마당 치장-울 치장-바깥마당 치장-연못 치장-가축 축원-자손 축원-재액 풀이-반야심경 등의 순서로 이어진다.
나라의 도읍을 정하는 대목부터 때마다 닥치는 액을 막는 액막이 사설로 이어지고 있다. 가창자가 절에서 걸립을 다니면서 불렀던 소리여서 그런지, 다른 지역의 「고사 소리」에 비해 사설이 매우 풍부하다.
아 이 아/무시래방법지장소멸
자중긍심지 불심봉지 본몬지본전/본몬지개단 본몬지사해
팔본산행수전 본이나 종지/나무묘법연화경
천개우주 하늘 되고/지개조차 땅 생기니
오륜삼강 으뜸이라/국태민안 범윤전
어허 시화연풍 연연이 돌아와서/아태조대왕 등극시에
삼각산이 기봉하야/봉학이 주춤 생겼구나
학을 눌러 대궐 짓고/대궐방 육조로다
육조 앞에 우경문에/하각산은 종남산이 안산되고
동작강이 수귀 막아서/여천지무궁이라
은하는 금여로되/차일은 사바세계
남선을 부주잡아/해동유명에 조선국
경기는 경성네/삼십칠관에 대모관
충청도로 접어들어/오심삼관에 대모관
음성군래 대군래요/소이면래 대면래요
봉존리두 대동린데/에-건명에 모씨대주
곤명에 금상에 부인마마/건구곤명 양주부처는
금실지 동락하여/슬하로 백년유족 하실적에
전금같으네 험한 시절은/꿈결 잠시 넹깁시고
신년새해 인신년에 접어들어서/일년을 나자하니
일년도액 막어 가자네/일년이면 열두달이요
사구삼백 육십일에/한달이면 서른날
하루하구 스물네시 시시대때로 드는 액을/ 달거리로 막어 가자
정칠월 이팔월 삼구월 사시월/오동지 유섣달이요
정월에도 드는 액은/이월 영등에 막어내고
이월에 드는 액은도/삼월이라 삼짇날
강남서 나오시든/제비초리로 막어내고
삼월에두나 드는 액/사월이라 초파일날에
부처님에 관등불/등대로 막어 내고
사월에두 드는 액은도/오월이라 단오시에 추천에줄 막어내고
오월에 드는 액은/유월이라 유두날에도 뇌성소리로 막어내고
유월에 드는 액은/칠월이라 칠석날에도
오작교 다리 놓던/까치머리로 막어내고
칠월에도 드는 액은두/팔월이라 한가윗날 오리송편 많이 빚어
이 집 저 집 돌리시던/대접굽이로 막어내고
팔월에도나 드는 액은/구월이라 구일날에
국화능주 많이 빚어/사당차례로 막어내고
구월에 드는 액은두/시월상달 접어 들어 무시루떡으로 막어내고
시월에 드는 액은두/동짓달 동짓날에 동지마지루 막어 내고
동짓달에 드는 액은/섣달이라 그믐날에 흰떡가래로 막어 내고
섣달에도 드는 액은두/정월하구 열나흗날에 막걸리 한잔 명태 한 마리
소지 한 장에 뚤뚤 말아서/일년도액 힘으로다가
금일 이 정성에 대를 받쳐/원강천리에 소멸하니
만사는 대길하시고/소원성취 발원이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