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100602 |
---|---|
한자 | 權近墓誌石 |
영어의미역 | Inscription Stone of Gwon Geun |
이칭/별칭 | 가원,양촌,길창부원군,문충공,추충익대좌명공신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유물(일반) |
지역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 산 7[능안로 377-15]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길경택 |
성격 | 묘지석 |
---|---|
제작시기/일시 | 1409년![]() |
재질 | 화강암 오석 |
높이 | 91㎝ |
소장처 | 안동권씨 문충공 종중 |
소장처 주소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 산7[능안로 377-15]![]() |
소유자 | 안동권씨 문충공 종중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권근의 묘지석.
권근은 1409년(태종 9) 2월에 서거했으며, 같은 해 4월에 경기도 양주군 오포면(현재의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으로 예장(禮葬)하였는데 이때 묘지석이 만들어졌다. 이후 1444년(세종 26) 3월 충주로 이장을 하였는데 이 묘지석은 가져가지 못하고 광 속에 보관하다가 1965년에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 권근 사당 구역 안으로 이전하여 관리해 오고 있다.
묘지석은 대석 위에 팔각형의 지석을 세우고 지석 위에 옥개석을 놓은 형태이다. 지석은 청석으로 만든 팔각형의 특이한 모습을 하고 있다. 높이는 50㎝이고, 너비는 8면 중 4면은 12㎝ 나머지 4면은 8㎝이며, 8면 중 5면에만 글씨를 새겼다. 처음에는 4면에만 새겼으나 충주로 이장한 후 추가로 각자한 것이다. 글자의 크기도 면마다 다르다.
대석은 화강암을 8각으로 다듬어 폭이 22㎝에서 26㎝로 일정하지 않고, 높이는 18㎝이며, 복련(復蓮) 형태의 연화문을 새겼다. 옥개석은 8각 지석 위에 16㎝ 높이의 거칠게 다듬은 원통형 화강석을 놓고 그 위에 올렸는데 4각으로 다듬었다. 옥개석의 한 변의 길이는 약 26㎝이며, 높이는 24㎝이다. 그 위로 연주받침과 보주를 놓아 상륜부를 만들었다. 지석은 본래의 것이나 대석과 옥개석은 후대에 만들어 세운 것이다.
이 묘지석은 영의정 하륜(河崙)이 비문을 썼다는 기록으로 보아 묘 앞에 세운 조선 초기의 묘비를 겸한 묘표일 것으로 추측된다. 제1면에는 ‘유명조선국추충익대좌명공신(有明朝鮮國推忠翊戴佐命功臣)’, 제2면에는 ‘길창군문충공양촌권씨지묘(吉昌君文忠公陽村權氏之墓)’, 제3면에는 ‘영락칠년기축윤사월기유장(永樂七年己丑閏四月己酉葬)’, 제7면에는 ‘정통갑오이장충주(正統甲午移葬忠州)’, 제8면에는 ‘영락계묘삼월초삼일갑신 이부인이씨부장(永樂癸卯三月初三日甲申以夫人李氏附葬)’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이 묘지석은 조선 초의 묘제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