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당리·마송리·보룡리에 걸쳐 있는 산. 마곡산은 행치의 북쪽에 있다. 『대동지지(大同地志)』 산수조에서는 음성현 남쪽 20리 떨어진 곳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북서쪽에는 큰산[509m, 일명 모래봉]이 있고 남서쪽에는 종지봉[389m]이 있으며 동쪽에는 오대산[400m]이, 남쪽에는 백마산[465m]이 있다. 마곡산은 상당리 웃행테[일명 웃행치]에서 남쪽의...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관성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마날미는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4.5㎞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병암리, 서쪽으로 금왕읍 호산리와 각회리, 북쪽으로 팔성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관말 남쪽 마날봉 밑에 있는 마을로 산의 이름을 따서 마날미(마날뫼)가 되었다. 본래 경기도 음죽군 무극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관성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마날미는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4.5㎞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병암리, 서쪽으로 금왕읍 호산리와 각회리, 북쪽으로 팔성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관말 남쪽 마날봉 밑에 있는 마을로 산의 이름을 따서 마날미(마날뫼)가 되었다. 본래 경기도 음죽군 무극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소여리·동음리에 걸쳐 있는 산. 일명 마당산이라고도 한다. 만생산은 비기(秘記)에 만인이 살만한 곳이 있는 산이라는 데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음성읍 소여리와 동음리에 걸쳐 있으며 높이는 401m이다. 보현산(477m, 일명 성주산)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만생산의 서부에서 남류하는 동음천과 동부에서 서남류하는 삼생천이 합류하여 음성읍 삼용저수지로 유입되...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부윤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마실안이는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소재지에서 동남쪽으로 약 8㎞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맹동면 봉현리, 서쪽으로 소석리, 남쪽으로 수태리, 북쪽으로 성본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옛날에 이곳에 마사(馬寺)라는 절이 있었는데 이 절의 스님이 바람이 나서 마실안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소탄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에 속하는 행정리. 마운동과 매산리의 이름을 합쳐 각 한자씩 따서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마운동·신평리·매산리와 하본리·봉암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구밤까실에서 봉현리로 넘어가는 곳에는 세곡고개(세곡), 신평에서 쌍정리로 넘어가는 곳에는 마산고...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에 속하는 행정리. 마피동리와 송오리에서 각 한자씩 따서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음성군 남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송오리와 마피동리 일부를 병합하고 마송리라 하여 원남면에 편입되었다. 남동쪽에는 백마산이 있으며, 백마산에는 백마굴·작은 박쥐굴·큰 박쥐굴·감투바위·평풍바위·삼선암 등이 있다. 송오리에서 괴산군 사리면 노송리로 넘어가는...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마송리 오미에서 매년 음력 보름에 장승에게 지내는 마을 제사. 마송리 오미의 돌장승들은 원래 마을의 서쪽과 남쪽, 북쪽에 각각 서 있었으나 충북선 복선철도 공사가 진행되면서 마을 앞 하천가 제방둑으로 옮겨 놓았다. 마송리 오미 장승제에서 제사를 올리는 돌장승은 모두 3호로, 그 중에 장승 1호는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관음보살형 미륵 장승으로 길쭉한 얼굴을 하고...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마송리 자라바위 사람들이 음력 정월 대보름날 공동으로 올리는 제의. 마송리 자라바위 동제는 원남면 소재지에서 북동쪽으로 약 1㎞ 지점에 위치한 마을로 동남쪽으로 오미, 북동쪽으로 윗행치와 접하고 있다. 마을 입구에 자라처럼 생긴 바위가 있어 마을 이름이 자라바위로 불린다. 동제당이자 신체는 마을로 들어오는 모든 액운을 막아 준다는 자라바위이다. 마송리 자라바...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주봉리에서 발원하여 마송리를 지나 서류하여 초평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백마산 동북쪽의 원남면 주봉리에서 발원하여 마송리를 지나 서쪽으로 흘러 보천리, 조촌리 등을 지나 진천군 초평면 초평천으로 유입되고 다시 미호천으로 유입되는 금강 수계이다. 길이는 9.0㎞이고 유역 면적은 20.50㎢이다. 하폭의 경우 원남면 마송리에서는 20m이고 초평천과의 합류 지점에서...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부윤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마실안이는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소재지에서 동남쪽으로 약 8㎞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맹동면 봉현리, 서쪽으로 소석리, 남쪽으로 수태리, 북쪽으로 성본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옛날에 이곳에 마사(馬寺)라는 절이 있었는데 이 절의 스님이 바람이 나서 마실안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소탄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
-
2월 28일 병암1리 이진말의 산 증인이라고 할 수 있는 오덕욱 할아버지를 만나기 위해 마을회관 맞은편의 파란색 지붕 집으로 찾아 갔다. 오덕욱 할아버지는 병암1리 이진말 토박이로 마을 이장과 노인회 총무 등을 역임하고, 마을 사업에 중추적 역할을 맡고 있다. 특히 병암1리 산신제에 있어 누구보다 많은 경험과 일화를 가지고 있어서 산신제 촬영 때도 많은 도움을 주었다. 아버지 적부...
-
늘거리마을 은 보충 조사를 위하여 찾아 갔는데 복숭아꽃이 만발을 하여 눈을 뗄 수 없을 만큼 아름다웠다. 마을 전체가 마을 근처에서 복숭아농사를 하다 보니 마을은 복숭아꽃으로 덮여 집을 찾아 볼 수가 없었다. 가장 큰 늘거리마을에 찾아가 이장님께 복숭아농사에 대한 여러 가지를 물어 보았다. 황용구 이장님(42세)은 1년 동안 복숭아농사를 수월히 하기 위하여 꽃을 떼어 내는 작업을...
-
‘바위배기 동제’의 준비과정을 지켜보다가 마침 올해에 제관으로 뽑힌 황경모 할아버지(82세)에게 동제에 관한 여러 가지 이야기를 들었다. 제사는 정월 초이튿날 밤 열두시에 지내며 부정이 들었을 때는 날짜를 옮길 수도 있다고 한다. 그리고 제를 올릴 때는 축관과 제사지내는 사람, 제를 도와주는 사람이 필요하며 끝나면 소지를 올리는데 도와주는 사람이 꼭 있어야 한다고 한다. 올해의 바...
-
황경모 할아버지(82세)께 제사를 지내는 구체적인 방법들에 대하여 계속해서 여쭤 보았다. 제사를 지낼 때는 먼저 음식을 차려 놓고 초를 켜고 잔을 올려 상차림을 갖추어 절을 하고 축을 읽은 뒤에 상에 올렸던 술을 근처에 붓는다고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동네 사라들의 안녕을 기원하는 소지를 개인별로 태워 올리는 것으로 진행된다고 한다. “제사 지낼 때 순서는 돼지머리, 밤, 대추...
-
비산2리의 오랫말은 양짓말과 음짓말로 나뉘어져 있는데 각각의 마을 입구에는 느티나무와 버드나무가 심어져 있다. 이 나무는 오랫말에 살던 분들이 마을을 떠나면서 기념으로 심은 것이 자라 현재의 굵은 아름드리나무가 된 것이라고 하였다. 최병훈 할아버지(70세)는 이 나무가 마을의 보호수로서 마을 사람들에게는 동네를 지켜주는 ‘호랭이 버드나무’라고 이야기해 주었다. “이 느티나무는 음...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대사리에 있는 산.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와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금산리, 이천시 율면 산양리 등에 걸쳐 있는 음성군의 명산이다. 조선 후기 고문헌에서 마이산은 충주현 서쪽 백 여리 떨어진 지점에 있고 산 정상에는 마이산 봉수대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외적을 망보는 산이라는 의미에서 붙어진 이름으로 망이산(望夷山)이 마이산(馬耳山, 馬夷山)으로 변한 것이고...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 망이산 일원에 축조된 고대 국방 시설. 그간 봉수대로 알려져 왔으나 1980년 단국대학교 학술 조사단에 의해 고구려의 남진 기지로 쓰인 산성으로 추정되었다. 산성에 대한 기록은 주로 조선시대에 편찬한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여지도서(輿地圖書)』·『대동지지(大東地志)』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이 기록들에...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마재는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4㎞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덕정리, 서쪽으로 상곡리, 남쪽으로 청용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의 모양새가 말 자욱 같다 하여 마재라고 하였다. 또한 원의 아래에 있는 마을이므로 원하리(院下理)라고도 부른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지내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자는 자휴(子休), 호는 만계(灣溪). 아버지는 사예(司藝) 채륜(蔡倫)이고, 아들은 나재(懶齋) 채수(蔡壽)이다. 채신보는 1438년(세종 20) 18세에 진사(進士)가 되고 함창현감(咸昌縣監)을 거쳐 1458년(세조 4)부터 1465년(세조 11년)까지 7년간을 음성현감으로 재직했다. 그 후 경산현감(慶山縣監)·...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본대리에 있는 산. 본대리 매터골(일명 매대, 응대리) 마을의 북쪽에 있는 산이다. 매터골 북쪽에는 만디기산, 매봉재, 삼선당 등의 산들이 있고 서북쪽에는 큰봉이 있으며 남쪽에는 꿩이 엎드린 형태의 복취형이라는 산이 있다. 매터골 앞에는 한들이 있고 북쪽에는 만네기보들이 있다. 만디기산의 남쪽에 있는 본대리에는 뒷들, 매터골, 명심이, 본리, 선돌배기 등의...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소여리·동음리에 걸쳐 있는 산. 일명 마당산이라고도 한다. 만생산은 비기(秘記)에 만인이 살만한 곳이 있는 산이라는 데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음성읍 소여리와 동음리에 걸쳐 있으며 높이는 401m이다. 보현산(477m, 일명 성주산)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만생산의 서부에서 남류하는 동음천과 동부에서 서남류하는 삼생천이 합류하여 음성읍 삼용저수지로 유입되...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이준성은 1890년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본대리에서 이순형(李舜衡)의 아들로 출생하였으며, 본관은 여흥(驪興), 호는 만오(晩梧)이다. 1931년부터 8년간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면의 면장으로 재임하면서 무극교(無極橋)를 가설하여 주민 교통의 편의를 도모하였고, 시장 시설을 현대화하여 거리 질서를 바로잡았다. 그 후 본대리에 간이학교를 유치하여 인재...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의 출신의 효자. 본관은 음성(陰城). 자(字)는 성원(聲元), 호(號)는 만오(晩悟). 효자 박정규(朴廷珪)의 손자이고, 박준흠(朴俊欽)의 아들이다. 박응한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다. 어머니가 염병에 걸리자 하늘에 빌며 정성을 다했는데, 갑자기 소나기가 쏟아지면서 잉어를 얻어 봉양하여 어머니의 병을 고쳤다. 또 어머니의 비병(痹病)을 침으로 고쳤으며...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안동. 자는 주백(周伯), 호는 만오(晩悟). 아버지는 권교삼(權敎三)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행제리에서 1848년(헌종 14)에 출생하였으며 여덟 살 때 부모를 잃었다. 1863년(철종 14)에 무과에 급제하여 비변랑이 되었고, 1881년(고종 18) 의정부공사관이 되었으며 1883년 훈련원첨정에 이르렀다. 1884년 선전관으...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구안동(舊安東). 자는 선여(善餘), 호는 만은(晩隱). 아버지는 김두서(金斗瑞)이다. 김시경(金始慶)[1659~?]은 1682년(숙종 8) 진사가 되고, 이듬해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708년(숙종 34) 세자시강원필선(世子侍講院弼善), 1709년(숙종 35) 사헌장령겸지제교(司憲掌令兼知製敎), 1716년(숙종 42) 승정...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수부(秀夫), 호는 금호(琴湖)·만은당(晩隱堂). 병조참의 이상급(李尙伋)의 손자이고, 증좌승지 이련(李堜)의 아들이다. 부인은 안동권씨로 진사 권순열(權順悅)의 딸이다. 아들은 이세근(李世瑾), 이세진(李世璡)이다. 이지걸은 3세에 고아가 되어 작은아버지 이인(李寅)에 의탁하여 자랐다. 1654년(효종 5) 진사...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궁리에 있는 고개. 오궁리 궁장리의 남쪽에 있는 고개이며, 오갑산[609.4m] 남쪽의 사곡천 유역의 궁장리는 조선시대 영남대로의 중요한 길목이었던 장호원과 가까운 거리에 있으며, 군사훈련장이 있었던 곳이다. 궁장리(일명 군장)는 옛날 군대를 훈련시키고 군기를 저장하던 마을이었고 마을의 남쪽에 있는 말구리고개는 옛날에 말이 뒹굴었다는 전설이 있어 붙어진 이...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궁리에 있는 고개. 오궁리 궁장리의 남쪽에 있는 고개이며, 오갑산[609.4m] 남쪽의 사곡천 유역의 궁장리는 조선시대 영남대로의 중요한 길목이었던 장호원과 가까운 거리에 있으며, 군사훈련장이 있었던 곳이다. 궁장리(일명 군장)는 옛날 군대를 훈련시키고 군기를 저장하던 마을이었고 마을의 남쪽에 있는 말구리고개는 옛날에 말이 뒹굴었다는 전설이 있어 붙어진 이...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삼용리에 있는 고개. 원남면 삼용리 은행나무골에서 맹동면 통동리로 넘어가는 고개인데, 옛날 통동리에 군량창고가 있어서 통행이 빈번하였을 때 고개의 경사가 심하여 말이 굴렀다는 전설에 따라 말등구리재라 한다. 한자로 표기하면 도마치(倒馬峙)[일명 도마재]가 된다. 북쪽은 암솔[332m]과 덕솔[360m] 등의 높은 산으로 이어지고, 동남쪽의 조촌리에는 235고...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충도리 도남에 있는 삼국시대로 추정되는 고분. 이 유적은 말무덤[馬塚]으로 불리고 있다. 고려 때 거란병이 침입했을 때 원남면 구안리에 주둔하며 수정산성에 진을 친 박서 장군과 대치하던 거란장군이 만들었다는 전설이 있다. 이곳 형세가 장군이 탄생할 만한 곳이라 고갯길을 파헤쳐 혈을 끊으니 백마가 나왔고, 백마가 울며 죽은 곳에 말무덤을 만들어 장수의 탄생을...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쌍봉리에 있는 산. 산봉우리가 쌍으로 되어 있어 쌍봉산으로 불리기도 하고 쌍봉산 아래에 말무덤이 있어 말무덤산이라고도 한다. 쌍봉산 아래의 중터말(중대)에서 내곡리 주막거리로 넘어가는 곳에 말무덤이 있다. 서쪽에는 쌍봉리의 웃강거리·중터말 등의 마을이 있으며, 북쪽에는 재수리가, 동쪽에는 내송리의 소댕이·감바우 등의 마을이 있다. 남쪽에는 신평리의 아랫강거리...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육령리 말부리고개 아래 금석저수지 주변에 있는 유원지. 말부리고개(일명 말구리고개 또는 기령이고개)는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육령리 기령이마을에서 무극리로 넘어가는 고개로서 옛날에 말을 몰고 가던 사람이 이 고개에서 굴러 떨어졌기 때문에 말구리고개로 불렸다고 한다. 말부리고개의 서쪽에는 먹방이라는 골짜기가 있고 골짜기 아래에는 금석저수지(육령이저수지)를 비롯...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육령리에 있는 고개. 기령이고개는 기령이에 있는 고개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옛날에 말을 몰고 가다가 기령이고개에서 굴러 떨어진 사람이 있기 때문에 말구리고개라고 불렸다. 일명 말부리고개라고도 한다. 금왕읍 육령리의 기령이에서 무극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고개의 서쪽에는 먹방이골이라는 골짜기가 있고 골짜기 아래에는 금석저수지(일명 육령저수지)를 비롯하여 인근에...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통동리에 있는 고개. 음성군 맹동면 통동리 중말에서 진천군 덕산면 두촌리로 넘어가는 193m 높이의 고개이다. 맹동면 통동리 사람들은 음성읍의 음성장이나 괴산군 괴산읍의 괴산장 보다는 말이장고개를 넘어 계곡의 저지를 따라서 보다 쉽게 진천군 진천읍 진천장으로 갈 수 있어 옛날에는 말이장고개를 많이 이용하였다고 한다. 말이장고개는 일명 말지라골, 단양재, 안양...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통동리에 있는 고개. 음성군 맹동면 통동리 중말에서 진천군 덕산면 두촌리로 넘어가는 193m 높이의 고개이다. 맹동면 통동리 사람들은 음성읍의 음성장이나 괴산군 괴산읍의 괴산장 보다는 말이장고개를 넘어 계곡의 저지를 따라서 보다 쉽게 진천군 진천읍 진천장으로 갈 수 있어 옛날에는 말이장고개를 많이 이용하였다고 한다. 말이장고개는 일명 말지라골, 단양재, 안양...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전승되고 있는 정월대보름 민속놀이. 깡통이나 싸리가지를 묶어 만든 홰에 불을 붙여 돌리며 노는 놀이로, “망월이여!”라고 외치는 소리 때문에 망우리 돌리기라는 이름이 붙었다. 망우리 돌리기는 주로 사내아이들의 놀이이다. 망우리는 나이 수만큼 싸리가지를 묶어서 만드는데, 깡통에 구멍을 뚫고 줄을 매어 망우리 깡통을 만들기도 한다. 놀이는 전통적으로는 달집태우기를...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와 원남면 하당리 경계에 있는 산. 고문헌에서 옥천산은 음성현에서 남쪽으로 5리 떨어진 곳에 있고 보현산(477m, 일명 성주산)의 주맥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음성읍 신천리 새동네에서 원남면 하당리 하당으로 넘어가는 곳에 매봉재고개가 있다. 매봉재는 일명 옥천산(玉泉山, 玉川山) 또는 망월산(望月山)이라고도 하는데 망월산이라는 지명은 매년 정월이면 달맞...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내산리에 있는 산. 음성군 대소면 서단부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어 진천군 이월면 사당리·내촌리 등과 접하고 있다. 모래가 많아 사다산(沙多山)이라고 하였다고도 하고 또는 사다산면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도 한다. 일명 사산(沙山)·망월산(望月山)이라고도 한다. 대소면 내산리 마산 남쪽에 있는 비교적 낮은 산이다. 사다산의 동부는 미호천의 상류인 보원천 유역으로서...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대사리에 있는 산.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와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금산리, 이천시 율면 산양리 등에 걸쳐 있는 음성군의 명산이다. 조선 후기 고문헌에서 마이산은 충주현 서쪽 백 여리 떨어진 지점에 있고 산 정상에는 마이산 봉수대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외적을 망보는 산이라는 의미에서 붙어진 이름으로 망이산(望夷山)이 마이산(馬耳山, 馬夷山)으로 변한 것이고...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 망이산에 있는 전통시대의 통신 시설. 망이산 봉수에 대한 최초의 기록인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를 보면 망이성은 충주목 관내에 속하며, 동으로 음성의 가섭산에 이어지고, 서로는 경기도의 죽산 검단산으로 이어진다고 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도 역시 망이성 봉수는 충주목에 소속된 봉수로서 동으로 음성현 가섭산으로 이어지고...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합리적인 사고와 자기 주도적이고 창의력을 갖춘 민주적인 사람, 조화로운 인격과 성숙한 자아의식으로 양심적이고 도덕적인 사람, 지식 기반 사회를 창조적으로 열어갈 수 있는 유능한 사람, 가톨릭 정신에 따른 공동체 의식과 심신이 건전하고 건강한 사람, 세계화를 추구하여 21세기를 주도할 능력 있는 사람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에 있는 사립 여자중학교. 합리적인 사고와 자기 주도적이고 창의력을 갖춘 민주적인 사람, 조화로운 인격과 성숙한 자아의식으로 양심적이고 도덕적인 사람, 지식 기반 사회를 창조적으로 열어갈 수 있는 유능한 사람, 가톨릭 정신에 따른 공동체 의식과 심신이 건전하고 건강한 사람, 세계화를 추구하여 21세기를 주도할 능력 있는 사람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마송리에 있는 산. 산의 형태가 매처럼 생겼다하여 붙어진 이름이다. 일명 매봉재, 무봉 등으로도 불리고 있다. 매봉은 백마산[465m] 북쪽에 위치하고 있는 산으로서 멍석바위와 감나무골 등이 있다. 매봉에는 송오리에서 괴산군 사리면 노송리로 넘어가는 송오리고개와 주봉리로 넘어가는 내동고개 등이 있고 송오리의 서쪽에는 송오저수지가 있다. 매봉재 부근의 백마산에...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와 원남면 하당리 경계에 있는 산. 고문헌에서 옥천산은 음성현에서 남쪽으로 5리 떨어진 곳에 있고 보현산(477m, 일명 성주산)의 주맥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음성읍 신천리 새동네에서 원남면 하당리 하당으로 넘어가는 곳에 매봉재고개가 있다. 매봉재는 일명 옥천산(玉泉山, 玉川山) 또는 망월산(望月山)이라고도 하는데 망월산이라는 지명은 매년 정월이면 달맞...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마송리에 있는 산. 산의 형태가 매처럼 생겼다하여 붙어진 이름이다. 일명 매봉재, 무봉 등으로도 불리고 있다. 매봉은 백마산[465m] 북쪽에 위치하고 있는 산으로서 멍석바위와 감나무골 등이 있다. 매봉에는 송오리에서 괴산군 사리면 노송리로 넘어가는 송오리고개와 주봉리로 넘어가는 내동고개 등이 있고 송오리의 서쪽에는 송오저수지가 있다. 매봉재 부근의 백마산에...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대사리에 있는 산.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와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금산리, 이천시 율면 산양리 등에 걸쳐 있는 음성군의 명산이다. 조선 후기 고문헌에서 마이산은 충주현 서쪽 백 여리 떨어진 지점에 있고 산 정상에는 마이산 봉수대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외적을 망보는 산이라는 의미에서 붙어진 이름으로 망이산(望夷山)이 마이산(馬耳山, 馬夷山)으로 변한 것이고...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에 있는 산. 감곡면의 매산, 수풍거리, 여술, 왕대, 장터(일명 장대리), 중동 등의 마을을 일괄하여 음성 장호원 또는 왕장리라고 부른다. 산의 형태가 말처럼 생겼다고도 하지만 일설에 매화가 만발하는 형국이라고 하여 붙어진 이름이라고 한다. 매산[162m]의 안쪽에는 안골과 불당이 있는 불당골이 있으며 남쪽에는 황새처럼 생긴 황새바위가 있다. 매산의...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경주. 자는 징지(澄之), 호는 매죽헌(梅竹軒). 계림부원군 이수일(李守一)의 아들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영산리 정자촌에서 출생하였다. 1924년(인조 2) 무과에 급제하고 1627년 영유현령, 1629년 상원군수, 1630년 숙천부사, 1631년 평안도병마절도사에 올랐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 김자점 휘하의 별장으로...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본대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매터골은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10㎞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신평리, 서쪽으로 삼성면 천평리, 남쪽으로 대소면 성본리, 북쪽으로는 행제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지형이 매가 엎드린 것과 같다고 하여 매터골[鷹垈理]이라고 하였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법왕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입춘날 보리뿌리로 그 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풍속. 지역에 따라 맥근점(麥根占)이라고도 하는 보리뿌리점치기는 보리농사를 짓는 중부와 남부 지방에서 일반적으로 행해지던 풍속이다. 지역에 따라 정월 초하룻날이나 대보름, 동짓날 등 날짜가 다른 지역도 있으나 입춘날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음성 지역에서는 생극면과 금왕읍, 원남면 등지에서 입춘에 보리뿌리점을 친다고...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쌍정리와 두성리에 있는 국민 임대 산업 단지. 지방산업단지법에 의하여 산업 단지 내 사업장에게는 지방세 감면 혜택 또는 일정 기간의 법인세 유예 등의 기업 지원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맹동국민임대산업단지는 수도권 공장의 지방 이전 및 지방 중소기업의 저렴한 공장용지 확보를 위하여 지역 균형 발전 대책으로 공공 기반 시설을 100% 국고 보조로 조성하여 5년...
-
충청북도 음성군에 속하는 행정면. 맹골 이름을 따서 맹동면이라 하였다. 본래 충주군 지역으로서 맹동면이라 하여 인곡·송동·하묵·마운·신평·매산·상본·봉암·신계·개현·상정 등 27개 동·리를 관할하다가 1906년 지방 행정구역 정리에 의하여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진천군 소담면의 용소리 일부를 병합하여 인곡·마산·봉현·쌍정·용촌·신돈 등 10개 동·리를...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쌍정리에 있는 체육 단체. 지역 체육회의 발족으로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면민 화합을 도모함과 더불어 우수 선수 발굴 및 지도·육성을 통해 맹동면의 체육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창립되었다. 1982년 맹동면 체육회가 창립되면서 초대 회장에 박동규가 취임하였다. 그후 회장에는 제2대 강대식, 제3대 민만식, 제4대 강수원, 제5대 박근현이 취임하여...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쌍정리에 있는 음성군의 하부 행정 기관. 2020년 7월 31일 현재 면적은 총 34.7㎢이다. 관할 인구는 5,902세대에 13,990명(남 7,611명, 여 6,379명)이다. 행정 구역은 11개의 법정리(쌍정리, 인곡리, 마산리, 봉현리, 용촌리, 신돈리, 본성리, 두성리, 통동리, 군자리, 동성리), 25개 행정리, 99개 반 및 46개 자연 마을로...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쌍정리에 있는 우편·체신·금융을 담당하는 기관. 우체국은 국장의 지위에 따라서 4급(서기관국), 5급(사무관국), 6급(주사국), 7급(주사보국)으로 분류되거나 기능에 따라서 체신청, 우편집중국, 집배국, 무집배국으로도 분류된다. 또한 설립 주체에 따라 일반우체국, 별정우체국, 우편취급소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4급우체국과 5급우체국은 총괄국으로서 기초자치...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쌍정1리에서 개시되다가 1982년에 폐시된 재래 시장. 1938년 연간 거래액은 30,422원 정도로서 1930년대 음성 지역의 장시 가운데 감곡장과 함께 가장 규모가 작았다고 한다. 1976년 맹동장의 1일 거래액은 85만 원이었고 일반 이용자 50명, 고정 상인 8명, 이동 상인 15명 등으로 나타났다. 1980년 당시 시장 면적은 5,940㎡이었으며,...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쌍정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가정, 이웃, 나라를 사랑할 줄 알며 기본예절과 질서를 잘 지키는 어린이, 학습하는 방법을 익혀 자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생각을 올바르게 표현하는 어린이, 아름다움을 추구하며 취미와 소질을 계발하여 진로를 개척하는 어린이, 전통 문화의 이해와 기초 체력을 바탕으로 건강한 신체와 강인한 정신력을 가꾸는 어린이, 기본 학습력과 탐...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일원에서 매년 6월 중순부터 7월 초에 개최되는 수박 축제. 다올찬맹동꿀수박축제는 수박의 주 생산지인 맹동면에서 개최하고 있다. 맹동 수박을 널리 홍보하기 위하여 시작된 다올찬맹동꿀수박축제는 맹동 수박의 우수한 상품성 홍보와 고품질 생산 그리고 농가 소득 증대를 위하여 지역민과 소비자, 유통업체 관계자와 생산자가 함께하는 축제로 발전, 매년 출하기에 맹동면민...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열지(烈之), 호는 맹암(孟巖). 아버지는 상서(尙書) 김굉(金紘)이다.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에 음성의 인물로 등재되어 있다. 김영렬(金英烈)[?~1404]은 1394년(태조 3)에 전서(典書)로 있던 중 그해 경기우도수군첨절제사가 되었다. 그 때 연해를 노략질하는 왜구를 물리치는 계책을 올려, 1395년...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육령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먹방이는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에서 동남쪽으로 3㎞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생극면 오생리, 서쪽으로 용계리, 남쪽으로 음성읍 사정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예전에 마을에 먹을 만드는 먹방이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금목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본대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멍심이는 충청북도 금왕읍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10㎞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신평리, 서쪽으로 삼성면 천평리, 남쪽으로 대소면 성본리, 북쪽으로는 행제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본래는 충청북도 충주군 법왕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본리, 응대리, 후평리와 금왕면...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인이자 효자. 본관은 음성(陰城). 자(字)는 천경(天卿), 호(號)는 면헌(勉軒). 충민공(忠民公) 박순(朴淳)의 8대손이다. 박호원은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의 문인(門人)이다. 문예(文藝)에 뛰어나고 필법이 정교했다. 1618년(광해군 16)에 창경궁이 중건(重建)되자 문 위에 거는 편액(扁額)을 썼다. 광해군은 이 글씨를 보고 가상히...
-
조선 중기 음성현감을 지낸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자는 명보(明甫), 호는 오소재(吾巢齋). 아버지는 좌찬성에 증직된 김로(金簵)이며, 어머니는 배천조씨로 조헌(趙憲)의 딸이다. 김여량(金汝亮)[1603~1683]은 1633년(인조 11)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듬해 권지승문원부정자(權知承文院副正字)으로 사환을 시작하여 봉상시주부겸승문원박사(奉常寺主簿兼承文院博士)·성균관전...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 출신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명서(明瑞).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이지걸(李志傑)이고, 형은 이세근(李世瑾)이다. 이세진은 1725년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726년 지평으로 붕당의 폐해를 논하는 ‘파붕당(罷朋黨)’을 상소했다가 삼수부로 귀양을 갔다. 1727년 유배에서 풀려난 뒤 필선, 장령, 헌납, 사간을 역임하였다. 1729년 박필...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본관은 광산. 호는 희근(希芹). 증조부는 주부 김덕항(金德恒), 아버지는 통덕랑 김기효(金起孝)이다. 어머니는 초계정씨로 음성현감 정경례(鄭景禮)의 증손녀이며, 부인은 전의이씨로 진사 이수전(李壽全)의 딸이다. 12세에 사서에 통달하여 학문과 문장이 뛰어나 통덕랑에 제수되었으나 평생 독서만 하였다.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에 묘가 있...
-
희원 스님(57세)의 어머니는 미타사를 오가며 기도를 하였다고 한다. 그 당시 희원 스님이 아픈 것을 알고 명안 스님이 집을 찾아오면 항상 괜찮냐는 안부를 묻곤 했다고 한다. “스님이 항상 우리 집에를 오시면 ‘얘, 너 나랑 같이 가 살자, 살자.’ 그래. 근데 살기를 어떻게 살아 아파죽겠는데, 그렇게 그러다 병원에 입원하면 스님이 문병도 오시고 책도 가져다주시고, 그렇게 인연이...
-
희원 스님은 오랜 병으로 약을 먹다 보니 위도 좋지 못할 뿐더러 살이 찌기 시작했다고 한다. 의사도 하루하루 달라지는 모습에 안타까워했다고 한다. 그렇게 아프게 지낼 때에는 열아홉 살까지 사는 것이 소원이었다고 한다. “소원이 열아홉 살까지 사는 것이 소원이었었어. 너무 아파가지고 내가 죽는다는 것이 억울하다는 생각에 열아홉 살이면은 엄청 어른인 줄 알고, 열아홉 살까지만 살아봤...
-
조선 말기의 무신. 본관은 안동. 자는 명여(命汝). 아버지는 만오(晩悟) 권종석(權鍾奭)이다. 1868년(고종 5)에 출생하였다. 1885년(고종 22) 무과에 급제하여, 1890년 선전관, 1891년 훈련원주부, 1892년 사헌부감찰 등을 역임하였다. 1899년 31세로 별세하였다. 묘소는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사창리에 있다....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초계. 자는 명여(命汝), 호는 일옥(一玉). 홍문공 정배걸(鄭倍傑)의 29세손이며 교리 정창(鄭昌)의 15세손이다. 아버지는 감역(監役) 정효선(鄭孝善), 어머니는 안동김씨이며, 부인은 양천허씨이다. 아들은 효자로 이름난 정인상(鄭寅尙)이다. 정규영은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였다. 일찍이 서울에서 지내던 중 9...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장현근은 1909년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에서 장원기(張遠基)의 아들로 출생하였으며, 본관은 옥구, 자는 명옥(鳴玉), 이명(異名)은 송진표(宋鎭杓)이다. 개성상업학교 재학 중에 의주 신조준(申肇峻)의 딸 신정숙(申貞淑)과 결혼하였는데, 장인 신조준은 만주에서 독립 항쟁한 인물이다. 1926년 개성상업학교 재학 중 일본인 교장의...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회당 윤응선(尹膺善) 문하에서 배웠다. 약관의 나이에 사서육경을 통독하고 제자백가에도 통달하였다. 박세화·윤응선·신현국 세 사람의 문집 간행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또 효행이 지극하여 10년 동안이나 늙은 아버지의 대소변을 받아내고 세수를 시키며 망건을 씌워 드리는 등 봉양을 하루같이 실천하였고, 상을 당하여 6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였다. 『...
-
병암1리는 현재 노인회, 청년회(상조회), 대동회, 부녀회 총 4개의 모임이 조직되어 있다. 병암1리는 각성들로 이루어진 마을이기 때문에 따로 문중 모임은 없다. 마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노인회와 상조회 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청년회, 산신제와 대동놀이, 척사대회 등 마을의 주요 행사를 맡아 하고 있는 대동회와 명절 때 제물을 팔아 기금을 모으고 있는 부녀회가 있다....
-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서 명절에 특별히 만들어 먹는 음식. 명절은 계절이나 자연적 정서, 또는 민속적 요소가 내포되어 우리 민족이 전통적으로 지내 온 축일이다. 명절에는 차례와 제례·벌초·성묘 등의 조상 섬기기와 지신밟기 등의 마을행사를 통하여 가족이나 마을 사람간의 공동체 의식을 높였다. 또한 절식(節食)이라 하여 명절에만 특별히 먹는 음식을 만들어서 조상에게 제사를 올리고 가족과...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구만재는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의 문인으로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이후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일월리, 지금의 쌍봉리에 은거하였다. 구만재가 살던 곳을 명촌(明村)이라 하였다.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구계리에 있다. 부제학 이단상(李端相)이 행장을 지었다....
-
음양(陰陽)은 밝고 어둡다는 뜻이지만 본질적으로는 조화의 극치라는 깊은 의미가 있다. 물은 음(陰) 속에 양(陽)을 지니고 있으며, 불은 양 속에 음을 지니고 있는 포용의 어우러짐이다. 음성 지역에서 열리는 축제들은 하나같이 만나서 어우렁더우렁 어울리는 만남의 장이다. 음양을 아우름으로써 어울려 피어오르는 화합과 사랑을 상징하는 음성의 축제로는 설성문화제와 전국품바축제, 음성청결고...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에 있는 오리 도축 가공업체. 누구나 믿고 즐길 수 있는 오리육 가공을 통해 기업의 이윤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일익을 담당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1년 12월에 모란유통을 설립하였고, 2000년 12월에 모란식품영농협동조합법인으로 상호를 변경, 법인을 승계하였다(자본금 2억 4천만 원). 2003년 12월에 제1공장을 완공하였고(1일 24,00...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에서 발원하여 덕정리를 지나 한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삼성면 양덕리에서 발원한 모래내는 덕정리를 지나 한천으로 유입되어 미호천으로 흘러가는 금강 수계이다. 하천 폭은 8m이고, 길이는 2.6㎞이며, 유역 면적은 2.36㎢이다. 모래내는 삼성면 덕정리 모래내(일명 사천, 장터, 수청바다)로 흐르고 있는 소하천이라서 붙여진 하천 이름이다. 일명 사천 또는...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1리에 있는 재래 시장. 덕정장이 열리는 지역의 명칭에 따라 삼성장 또는 모래내장이라고도 한다. 모래내는 장터 북쪽에 있던 마을로 지금은 장터와 수청바다 등의 마을이 모두 합쳐져 행정구역상으로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1리에 속한다. 덕정장에 관한 기록이 조선 후기의 각종 문헌과 지도에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1930년대 초에 장시가 열렸던 것으로 추...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삼봉리·유천리에 걸쳐 있는 산. 모래봉은 산에 모래가 많다고 하여 붙어진 이름이다. 금왕읍 백야리와 맹동면 인곡리에 걸쳐 있는 소속리산[432m]의 서사면에서 발원하는 삼선천과 동산천이 서류하여 유촌리와 삼봉리 간의 계곡을 지나 한천으로 유입되고 있다. 모래봉 앞의 유촌리 웃가래들의 남쪽에는 상촌저수지가 있고 동쪽에는 여우박골, 남쪽에는 척축박골, 동쪽에는...
-
마을 이름을 사정리라 부르게 된 것에 대하여 강당말의 김두일 새마을지도자(52년생, 56세)는 “이 곳에는 아무리 가물어도 모래톱에서 똑같은 양의 물이 솟아나는 모래우물이 있어 모래샘, 한자로 사정(沙井)이라 하고 마을 이름도 사정리라 했다고 어른들이 말들을 했어. 그리고 예전에는 이 우물물을 먹었었어.”라고 마을 이름의 유래에 대하여 이야기를 하였다. 사정리 마을은 북쪽 뒷산인...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에서 발원하여 덕정리를 지나 한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삼성면 양덕리에서 발원한 모래내는 덕정리를 지나 한천으로 유입되어 미호천으로 흘러가는 금강 수계이다. 하천 폭은 8m이고, 길이는 2.6㎞이며, 유역 면적은 2.36㎢이다. 모래내는 삼성면 덕정리 모래내(일명 사천, 장터, 수청바다)로 흐르고 있는 소하천이라서 붙여진 하천 이름이다. 일명 사천 또는...
-
오덕욱 할아버지는 현재 5개의 모임을 하고 있다. 생극에 사는 사람들끼리 하는 ‘생락회’, 같은 고향 출신 중에 뜻이 맞는 사람들의 모임인 ‘향지회(鄕志)’, 갑술생 동갑내기 모임인 ‘동갑네’, 생극초등학교 졸업회 모임인 ‘동창회’, 그리고 병암1리 노인회이다. ‘생락회’를 10년 전부터 모임을 시작하였고 매월 한 번씩 모이는 먹자계이다. 현재 13명이 회원이고 2만원씩 회비를...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 북쪽에 있으며 동쪽으로 가섭산, 서쪽으로 신천리, 남쪽으로 음성읍, 북쪽으로 신니면 광월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가섭산 밑에 있는 마을로 과수원이 많아 목골이라 불렀다. 본래 음성군 동도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탄현리, 월곡리, 중산리, 용추리, 사인동을 병합하여 용추리의 ‘용’자와 중산리의 ‘산’자를...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비산1리에 있는, 조선시대에 충주목사를 역임한 엄찬의 선정비. 목사 엄찬 진휼비(牧使 嚴讚 賑恤碑)는 총 높이가 168㎝이고, 비신은 높이 110㎝, 앞면 67㎝, 측면 34㎝이며, 개석(蓋石)은 높이 59㎝, 앞면 76㎝, 측면 40㎝이다. 방부(方趺)는 높이 9㎝, 앞면 75㎝, 측면 40㎝이다. 비석 앞면에는 ‘목사엄후찬진휼혜선비(牧使嚴侯讚賑恤惠善碑)’...
-
문촌3리인 새목이마을의 마을회관에 찾아가니,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옹기종기 모여서 화투놀이도 하고 여담도 나누고 있었다. 특히 할아버지들 중 금 뱃지를 하고 앉아 있는 분이 있어서 “할아버지 그 뱃지는 무슨 뱃지인가요?” 여쭤보니, “아, 이거 6·25때 나가서 싸웠다고 주는 거지 뭐.” 하였다. 그래서 할아버지께 6·25를 겪었던 이야기를 들려달라고 하니 주위 어르신들의 호응에...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으로 유배된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차야(次野), 호는 음애(陰崖)·몽옹(夢翁)·계옹(溪翁)·풍림거사(楓林居士). 이색(李穡)의 후손이며, 참판 이형증(李亨增)의 손자로, 대사간 이예견(李禮堅)의 아들이다. 부인은 인천채씨로 채수(蔡壽)의 딸이다. 1504년(연산군 10) 식년문과에 장원 급제하였다. 이후 사헌부감찰에 제수되어, 천추사(千秋使)...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충장공 남연년(南延年)의 9대손이자, 청양현감 남병추(南秉樞)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부인은 함평이씨로 이필헌(李弼憲)의 딸이다. 1875년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 천복동에서 출생하였다. 1891년(고종 28)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이 되었고, 1893년(고종 30) 별군직참하, 1897년(고종 34) 친위대부위,...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용계리 오룡골에 있는 폐광산. 1891년 중국인이 최초로 사금을 발견하였으나 본격적인 개발을 하지 못하다가, 1913년 일본인이 채광권을 취득하고 1930년대에 광산이 본격적으로 개발되면서 금광 제3광구 부근에 마을이 생겼으며, 이 마을을 일본어로 ‘제3’을 의미하는 다이상이라 하였다. 지금은 바리고래라 불리고 있다. 음성군 금왕읍 용계리는 1930년대 광산...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행제리에 있는 도예 작품 연구소. 도예가 권신은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으로 단국대학교와 단국대학교 대학원 요업공예과를 나와 1981년부터 상지대학교, 단국대학교, 숭의여자대학, 청주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등에서 후학을 가르쳤다. 각종 도예 연구를 진행하여 지역 관광 상품과 도예 산업 발전에 힘쓰고 있다. 1996년 7월 21일 음성군 금왕읍 행제리에 작업장과...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에 속하는 법정리. 냇가 또는 벌판이 되므로 무기 또는 무극이 되었다. 일설에는 무극 지역이 금이 많이 매장되어서 나침판의 자침이 극(남극과 북극)을 나타내지 못하므로 극(極)이 없다는 의미로 무극이 되었다고도 한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金目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반의리(班衣里)와 금곡리(金谷里)의 각...
-
1950년 7월 4일부터 7월 10일까지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 일대에서 벌어진 전투. 북한군은 1950년 6월 25일 새벽, 기습적으로 전쟁을 도발하여 파죽지세로 남하하였다. 국군 제6사단 제7연대는 장호원에서 충청북도 음성군 방향으로 남하하는 북한군 제15사단을 저지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이에 7월 4일, 음성군 방면으로 이동하여 방어망을 구축하고 북한군에 대비하게 되었...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에 있는 시외버스터미널. 충청북도 음성군은 중부고속국도와 국도 3호선·국도 21호선·국도 36호선·국도 37호선·국도 38호선, 중부고속국도 음성IC를 연결하는 국가지원 지방도 82번이 지역 내의 간선 도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지방도 513번·지방도 516번·지방도 518번·지방도 520번·지방도 583번이 지역 내의 집산 도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에 있는 재래 시장. 무극장은 옛 충주목 금목면 소재지인 무극 지역에서 열렸던 장시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는 동쪽으로 충주 지역, 서쪽으로 음성군 맹동면, 남쪽으로 음성군 음성읍, 북쪽으로 음성군 생극면과 장호원 지역 등 서울로 통하는 도로 교통의 주요 지점에 있어 무극장이 자연적으로 발생하였다. 무극장은 1770년(영조 46)에 편찬된 『...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금석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의 교회. 선교활동을 통하여 지역을 깨우고 복음화하는 일에 앞장서며, 주변의 어려운 이웃과 함께하여 소망을 주는 교회를 세운다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48년 3월 5일 충청북도 청주시 청주제일장로교회에서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면 금석리에 초가 4칸 1동을 사들여 예배 처소를 마련하였다. 1948년 6월에 설립자 전종무의 인...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사정리 일대에 조성된 농업 용수 공급 저수지. 음성군 음성읍 사정리 벌터 앞의 저수지로 일명 사정저수지라고도 한다. 음성읍 사정리 무극저수지, 금왕읍 육령리 금석저수지, 금왕읍 백야리 용계저수지는 도수터널로 연결되어 있어 수면의 높이가 서로 같으며, 일명 음성군 삼형제저수지라고도 불린다. 이들 저수지는 낚시터들로 유명하다. 삼형제저수지의 몽리 면적은 초평천...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예의 바르고 근검 절약하며 질서를 지키는 민주 시민, 다양한 소질 계발로 개성을 추구하는 사람,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으로 창조적인 사람, 심신이 건강하고 환경을 깨끗이 하는 사람, 지식 정보화 사회를 주도할 정보화 인재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46년 7월 9일 3년제 무극공립농업초급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자신의 독특한 소질을 찾아 남과 다르게 키우고 가꿀 줄 아는 어린이, 지식정보화 사회의 기본적 자질과 능력을 갖춘 건강하고 지혜로운 어린이, 진취적 사고와 과학적 탐구 자세로 자신의 미래를 꿈꾸고 개척하는 어린이, 우리 문화에 대한 사랑과 이해 위에서 나날이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어린이, 올바른 민주 시민 의식으로 인간의 존귀...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에 속하는 법정리. 냇가 또는 벌판이 되므로 무기 또는 무극이 되었다. 일설에는 무극 지역이 금이 많이 매장되어서 나침판의 자침이 극(남극과 북극)을 나타내지 못하므로 극(極)이 없다는 의미로 무극이 되었다고도 한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金目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반의리(班衣里)와 금곡리(金谷里)의 각...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문등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무등실은 소이면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약 6㎞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불정면 웅동리, 서쪽으로 대장리, 남쪽으로 중동리, 북쪽으로 후미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원래 충주군 불정면 지역으로 1895년(고종 32)에 괴산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고현리 일부를 병합하여 문등리라 하였고, 1973년에 소이면...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문등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무등실은 소이면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약 6㎞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불정면 웅동리, 서쪽으로 대장리, 남쪽으로 중동리, 북쪽으로 후미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원래 충주군 불정면 지역으로 1895년(고종 32)에 괴산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고현리 일부를 병합하여 문등리라 하였고, 1973년에 소이면...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마송리에 있는 산. 산의 형태가 매처럼 생겼다하여 붙어진 이름이다. 일명 매봉재, 무봉 등으로도 불리고 있다. 매봉은 백마산[465m] 북쪽에 위치하고 있는 산으로서 멍석바위와 감나무골 등이 있다. 매봉에는 송오리에서 괴산군 사리면 노송리로 넘어가는 송오리고개와 주봉리로 넘어가는 내동고개 등이 있고 송오리의 서쪽에는 송오저수지가 있다. 매봉재 부근의 백마산에...
-
윤양비를 시조로 하고 윤청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시조는 고려시대에 보승낭장(保勝郞將)으로 호장(戶長)을 지낸 윤양비(尹良庇)이다. 윤양비의 증손 윤택(尹澤)은 정당문학(政堂文學)·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냈고, 윤택의 손자 윤소종(尹紹宗)은 조선시대에 『고려사(高麗史)』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회군공신(回軍功臣) 3등에 책록되었다. 2000년 인구 조사에서...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관성리에서 발원하여 병암리에서 응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생극면 관성리에서 발원하여 관말, 마날미, 무술, 진골 등의 자연 마을을 지나 병암리에 이르러 응천에 합류하는 한강 수계이다. 하천 폭은 20m이고, 길이는 3.5㎞이며, 유역 면적은 7.08㎢이다. 무술은 황새 서식지로 유명하였다. 무수천은 생극면 관성리의 무술을 일명 무수동(無愁洞) 또는 무수리(無愁...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관성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생극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4.5㎞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병암리, 서쪽으로는 금왕읍 호산리, 남쪽으로는 금왕읍 각회리, 북으로는 팔성리와 각각 접해 있다. 원래 경기도 음죽군 무극면에 속하였으나 1906년(고종 43)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진동, 무수동, 관촌, 병산리 일부를 병합하여...
-
사정1리 강당말과 용대동은 부용산을 뒤로 하고, 산자락에 자리를 하고 있는 지형 특성상 대부분의 경작지가 밭이며 논이 적은 편이며 이 논들도 천수답이 많은 편이다. 옛날에 이 마을도 다른 마을과 마찬가지로 먹고 살아가는 방편으로 쌀, 보리, 밀, 콩 등의 곡물 위주로 하여 농사를 지었는데 생계를 겨우 유지하는 정도에 불과하였으며, 그렇게 부자는 없었다. 강당말과 용대동은 논이 적...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이루어지는 수·출입 현황. 무역은 한 국가의 기업 또는 개인과 외국의 기업 또는 개인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거래 행위, 즉 국가간에 이루어지는 모든 경제적 거래를 총칭하는 것이다. 초창기의 무역은 주로 상품 거래만을 의미하는 말이었으나 현재는 단순한 상품의 교환과 같이 보이는 무역(visible trade)뿐만 아니라 기술, 용역 등과 같이 보이지 않는 무역(in...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설성공원 일원에서 매년 4월에 작가 이무영을 기리기 위해 개최되는 문학 축제. 무영제는 작가 이무영(李無影)[1908~1960]의 문학적 업적과 그 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작가의 타계일인 4월 20일을 전후하여 매년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소재 설성공원과 이무영의 생가 터인 음성읍 석인리 오리골 일대에서 개최되는 순수 문학 축제이다. 1985년...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덕정리에서 음력 7월에 지내는 기우제. 무우제(舞雩祭)는 음성군 생극면 병암리 이진말과 감곡면 왕장3리에서 지내던 기우풍속과 함께 음성군 원남면 덕정리에서 행하던 기우제의 일종으로 화암사(華巖寺)에서 개를 잡아 비를 오게 한다는 이야기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화암사는 음성군 원남면에 있으며 1937년 무렵 김승원(金承元)이 절을 세우고 청진암(淸眞庵)이라고...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삼생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에서 서쪽으로 약 6㎞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초천리, 서쪽으로는 맹동면, 남쪽으로는 삼용리, 북쪽으로는 동음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원래 음성군 근서면 지역에 속했으며 삼싱이라 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동음리 일부와 맹동면 중삼리 일부를 병합하여 삼생리라 하고, 음성면에 편입되었다. 1956년 음성면...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음력 12월 31일에 집안 어른들에게 절하는 풍속. 음력 섣달 그믐날에 한 해를 무사히 보냈다는 의미로 집안 어른들에게 절을 올리는데 이를 묵은세배 또는 구세배(舊歲拜)라 한다. 섣달 그믐날에는 조상의 산소를 찾아가 성묘도 하고 집 안팎으로 대청소를 하여 지난해의 잡귀와 액을 물리치고 새롭게 새해를 맞이하는 준비를 하였다. 이러한 연유로 섣달 그믐날을 ‘작은 설...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자(字)는 창세(昌世), 호(號)는 눌재(訥齋). 아버지는 성균관진사 박지흥(朴智興)이고, 어머니는 생원 서종하(徐宗夏)의 딸이다. 박상은 성품이 강직·충정하였으며 문장이 뛰어났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강직하며 몸가짐이 정숙하여 언행을 함부로 하지 않았다. 1496년(연산군 2)에 진사가 되었고, 1501년(연산군...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세거한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공석(公碩), 호는 십청헌(十淸軒)·지비옹(知非翁). 두문동충신 김자수(金自粹)의 고손이다. 할아버지는 원종공신 김영유(金永濡)이고 아버지는 충주목사 김훈(金薰)이다. 어머니는 진천송씨로 군수 송학(宋翯)의 딸이고, 부인은 고성이씨로 부사 이탁(李鐸)의 딸이다. 아들은 김숙(金䃤), 김구(金瞿), 김저(金䃴)이...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자는 중안(仲安), 호는 지재(止齋). 아버지는 권근(權近)이다. 부인은 판사 이휴(李携)의 딸이다. 음보로 경승부주부(敬承府主簿)에 기용되었고 후에 감찰이 되었다. 1414년(태종 14) 문과에 급제하고, 병조정랑·예문관응교를 역임하고, 1416년(태종 16) 성균관사예, 1418년 의정부사인·전사소윤·세자시강원문학을 지냈다. 1419년(세종 원...
-
고려 중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고려시대 호부원외랑(戶部員外郞) 민의(閔懿)의 아들이다. 처는 배씨(裵氏)이며 아들로 민식(閔湜)·민공규(閔公珪)가 있다. 배씨의 동생은 유익겸(柳益謙)의 처가 되었다. 민영모는 인종·의종·명종 때 활동한 인물로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였다. 민영모가 처음 과거에 응시했을 때 부(賦)를 지었는데 격식에 맞지 않아서 동지공거(同知貢擧) 이지저...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에 속하는 행정리. 큰 무덤이 있었으므로 무덤실 또는 문등곡이라 하였다. 본래 충주군 불정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고현리 일부를 병합하여 문등리라 하고 1973년 음성군 소이면에 편입되었다. 무덤실 뒤에는 달걀봉과 월포산이 있는데, 달걀봉은 모양이 달걀처럼 생겼고 월포산에는 가마처럼 생긴 가마바위가 있다. 횟돌모루의 남동쪽에는 도둑골이,...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덕정리와 음성읍 조촌리에 걸쳐 있는 산. 1840년대 발간된 『충청도읍지』 「음성읍지」산천조에는 문수봉 백운굴이 음성현 서쪽 20리에 있고 10여 평의 굴 안에는 화사(花寺)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실제로 문수봉 서쪽에는 화사가 있는데 일명 꽃절이라고도 한다. 덕정리 동북쪽의 문수봉 아래 움푹 파인 곳에 있는 절은 양지쪽에 있어 다른 곳보다 꽃이 먼저 핀...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소여리에 있는 산. ‘문수산의 아침노을(文秀朝霞, 문수조하)’은 음성팔경의 2경에 속하는 아름다운 산이다. 음성읍 평곡리 터골의 기곡십영(基谷十詠)의 4영(詠)으로서 ‘문수산의 저녁노을(文秀夕照, 문수석조)’을 들고 있다. 일명 문수봉[385m] 또는 섭족산이라고도 한다. 문수산 아래의 소여리 성가마골(일명 선가마골 또는 선가동)은 옛날 신선이 하강하여 야인...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소여리에 있는 산. ‘문수산의 아침노을(文秀朝霞, 문수조하)’은 음성팔경의 2경에 속하는 아름다운 산이다. 음성읍 평곡리 터골의 기곡십영(基谷十詠)의 4영(詠)으로서 ‘문수산의 저녁노을(文秀夕照, 문수석조)’을 들고 있다. 일명 문수봉[385m] 또는 섭족산이라고도 한다. 문수산 아래의 소여리 성가마골(일명 선가마골 또는 선가동)은 옛날 신선이 하강하여 야인...
-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충청북도 음성군 지천서원에 배향된 인물.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문숙(文叔), 호는 학주(鶴洲). 김자수(金自粹)의 8세손이고, 아버지는 김적(金積)이다. 김홍욱(金弘郁)[1602~1654]은 1635년(인조 13)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고,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세자시강원설서(世子侍講院說書)를 지냈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으로...
-
고려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아들은 학문에 힘써 인종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른 김약온(金若溫)이다. 1070년(문종 24) 상서우승(尙書右丞)·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에 이어 서북로병마부사(西北路兵馬副使)가 되었다. 1074년에 태복시경(太僕寺卿)으로 사은사가 되어 송나라에 가서 고려 사신들이 이용하는 등주(登州)를 요(遼)의 이목을 피하기 위...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봉곡리 소속리산 줄기에서 발원하여 봉곡리로 흐르는 하천. 금왕읍 부근을 흐르고 있고 한천(漢川)으로 유입되는 금강 수계이다. 동부는 소속리산맥이 남북으로 뻗어 남쪽에는 소속리산[432m]이 있고 북부와 서부는 구릉성 저지로 되어 있다. 문안천 유역의 봉곡리는 금왕읍에서 서남쪽으로 2㎞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데, 구개천(일명 구계말)·평지말·음달·안다부네...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에 속하는 행정리. 눌문(訥文)의 ‘문(文)’자와 팽암(彭岩)의 ‘암(岩)’자를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음성군 원서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눌문리 일부와 팽암리를 병합하고 문암리라 하여 원남면에 편입되었다. 복한의 동북쪽에는 종지봉[389m]이 있고 복한에서 보천리 도람말로 가는 곳에는 백마령고개[240m]가 있다. 복한의 서...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문암리에서 발원하여 증평군 도안면 화성리에서 보강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원남면 문암리 백마산고개에서 발원하여 남류하여 증평군 도안면 석곡리를 지나 화성리에서 보강천으로 합류한다. 길이는 6.50㎞이고 유역 면적은 28.75㎢이다. 하폭의 경우 원남면 문암리에서는 18m이고 증평군 도안면의 보강천과의 합류 지점에서는 37m이다. 문암천은 음성군 원남면 문암리에...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자는 문옥(文玉), 호는 정암(靜岩)이며 아버지는 조광하(趙光夏)이다. 충청북도 음성읍 평곡리(平谷里)에서 살았으며 어려서부터 한학을 배웠다. 조동환은 1910년 25세에 도지부주사(度支部主事)에 기용되었고 이어서 강원도 춘천재무소(財務所) 주사(主事)가 되었다. 1928년 43세에 음성면장을 지내고 2년 후 사직하였다가 1931년 음성면...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으로 유배된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차야(次野), 호는 음애(陰崖)·몽옹(夢翁)·계옹(溪翁)·풍림거사(楓林居士). 이색(李穡)의 후손이며, 참판 이형증(李亨增)의 손자로, 대사간 이예견(李禮堅)의 아들이다. 부인은 인천채씨로 채수(蔡壽)의 딸이다. 1504년(연산군 10) 식년문과에 장원 급제하였다. 이후 사헌부감찰에 제수되어, 천추사(千秋使)...
-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충청북도 음성군 지천서원에 배향된 인물.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문숙(文叔), 호는 학주(鶴洲). 김자수(金自粹)의 8세손이고, 아버지는 김적(金積)이다. 김홍욱(金弘郁)[1602~1654]은 1635년(인조 13)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고,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세자시강원설서(世子侍講院說書)를 지냈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으로...
-
조선 중기 음성현감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백후(伯厚), 호는 잠곡(潛谷). 아버지는 김흥우(金興宇)이다. 김육(金堉)은 9세 때 아버지 김흥우의 임지인 강동(江東)으로 따라가서 지산(芝山) 조호익(曺好益)의 문하에서 배웠다. 그러나 잇달아 상(喪)을 당하여 상제로 7~8년간을 지내며 곤궁하게 떠돌아다니다가 25세 때 장가들고, 1605년(선조 38)에 진사가...
-
효열각을 둘러본 후에 우리는 마을에서 윤희 할아버지(81세)댁을 찾아갔다. 할아버지가 살아온 이야기 속에서 칠원윤씨 문중이 문촌리에 와서 살아온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그리고 문중 어르신들과 관련된 고서와 과거시험지도 볼 수 있는 행운을 얻을 수 있었다. “이거는 과거시험 때 글 지은 거로 지금으로 말하면 시험지지. 이때는 아버지가 누구, 할아버지가 누구, 외조부가 누구인지를...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에 속하는 행정리. 문암리의 ‘문’자와 신촌리의 ‘촌’자 각 한자씩을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거곡면(巨谷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오리(上梧里)·신촌리(新村里)·장평리(壯坪里)·판요리(板腰里)·문암리(文岩里)를 병합하여 문촌리라 하여 감곡면에 편입되었다. 옥녀봉과 이진봉 등의 산이 있...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문촌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토기산포지. 오갑초등학교에서 북동쪽으로 문촌제방을 따라 약 1㎞ 거슬러 올라가면 옥산사(玉山祠)와 삼효각(三孝閣)이 있다. 유적은 여기에서 문촌제방 건너편 남동쪽으로 약 250m 떨어진 지점에 있는 과수원으로 개간된 밭에 위치한다. 토기는 과수원을 중심으로 하여 과수원 북쪽으로 잇대어 있는 밭 일대에 산포되어 있다. 범위는 동서 10...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문촌리 중간말 사람들이 음력 정월 초 공동으로 올리는 제의. 중간말은 문촌리 새터와 새말 중간에 있는 마을로 감곡면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8㎞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동제당이자 신체는 중간말 입구의 느티나무 아래에 있는 큰 바위이다. 예로부터 중간말, 새터, 새말 주민들은 느티나무 아래에 있는 큰 바위에서 수구제 계를 조직하여 제를 올렸다고 한다. 문촌리 중간...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문촌2리에 있는 조선 중기 철화백자가마 터. 철화백자(鐵畵白磁)는 백토로 빚은 그릇 표면에 철분이 많은 안료인 철사로 문양을 그린 후 투명한 백자유를 씌어 고온에서 구운 것으로, 문양은 적갈색 계통이다. 문촌리에서 이러한 철화백자를 만들었던 가마 터 흔적이 확인되고 있어 학계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채집된 유물로 미루어보아 조선 중기에 지방에서 주로 사용...
-
고려 말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학자. 본관은 안동. 초명은 권진(權晉), 자는 가원(可遠), 호는 양촌(陽村). 증조부는 권부(權溥)이다. 1368년(공민왕 17) 성균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급제하여 춘추관검열·성균관직강·예문관응교 등을 역임하였다. 공민왕이 죽자 정몽주(鄭夢周)·정도전(鄭道傳) 등과 함께 위험을 무릅쓰고 배원친명(排元親明)을 주장하였다. 1390년(공양왕 2) 윤이...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권근의 묘비. 권근(權近)은 자는 가원(可遠), 호는 양촌(陽村)이며, 본관은 안동이다. 1398년(태조 7) 1차 왕자의 난 이후 사병(私兵) 폐지를 주장하여 왕권 확립에 큰 공을 세웠다. 1401년(태종 1) 좌명공신(佐命功臣) 1등으로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에 봉해지고 의정부좌찬성(議政府左贊成)에 올랐다. 사후 좌의정에 추...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권근의 묘지석. 권근은 1409년(태종 9) 2월에 서거했으며, 같은 해 4월에 경기도 양주군 오포면(현재의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으로 예장(禮葬)하였는데 이때 묘지석이 만들어졌다. 이후 1444년(세종 26) 3월 충주로 이장을 하였는데 이 묘지석은 가져가지 못하고 광 속에 보관하다가 1965년에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 권근 사...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권근을 봉안한 사묘. 문충공(文忠公) 권근(權近)[1352~1409]은 본관은 안동, 초명은 진(晉), 자는 가원(可遠)·사숙(思叔), 호는 양촌(陽村)이다. 고려 말엽의 정승 권박의 증손이며 검교정승 권희의 아들이다. 1409년(태종 9)에 58세로 별세하자 문충(文忠)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지은 책으로 『입학도설(入學圖說)...
-
조선 중기의 종친이자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대년(大年). 태종의 아들 익령군(益寧君)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수천군(秀泉君) 이정은(李貞恩)이고 아버지는 귀기군(貴杞君)이다. 부인 우씨에게는 아들이 없었고, 감찰 정류(鄭鎦)의 딸에게서 영의정 이원익(李元翼)과 현령 이원보(李元輔)를 두었다. 1516년(중종 11) 사마시에 급제하여 귀후서별제, 의금부도사, 내섬시주부를...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이루어지는 언어를 표현 매체로 하는 작품이나 활동. 1980년대 이전까지 문학의 불모지나 다름없는 음성의 문학을 언급할 때 그 첫 자리에 꼽히는 이는 이 지역 출신 작가로 중앙문단에서 활동한 이무영[1908~1960]이다. 음성읍 석인리 오리골에서 태어난 이무영은 일제강점기 말 경기도 군포의 궁말에 정착하면서 「제일과 제일장」·「흙의 노예」 등을 발표하며 ‘농민...
-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는 군민의 문화 향유를 위해 설치·운영되는 시설. 음성군의 문화 시설은 크게 도서관, 다목적 용도의 문화 시설, 전시 시설로 나눌 수 있다. 도서관은 음성도서관, 금왕도서관, 대소도서관의 3개 소가 있다. 다목적 용도의 문화 시설에는 음성복지회관, 음성군 야외음악당, 음성청소년문화의집 등이 있다. 회사 및 개인이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는 특정 분야의 전시 시설에는...
-
공원이란 공공 녹지로서 자연지(自然地)나 인공적으로 조성한 후생적 조경지를 말한다. 흔히 전자, 곧 자연지를 자연공원이라 하고 인공적으로 조성한 후생적 조경지를 도시공원이라고 부른다. 음성 지역의 대표적인 문화 휴식 공간으로 자리잡은 설성공원과 큰바위얼굴조각공원은 인공적으로 조성한 도시공원으로 음성군민이 즐겨 찾는 쉼 터이자 자랑거리로 자리잡고 있다. 음성읍 읍내리는 동쪽으로는 한...
-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는 지역 예술 문화인들이 친목과 권익 옹호를 위하여 활동하는 단체. 음성군의 문화 예술 단체는 법인 문화 예술 단체와 일반 문화 예술 단체가 있다. 음성의 법인 문화 예술 단체로는 음성문화원·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음성지부·한국문인협회 음성지부·한국국악협회 음성군지부·한국미술협회 음성지부·한국음악협회 음성지부·환경미술협회 음성군지부·윤진꽃꽂이회·화정꽃예술중앙회...
-
류차달을 시조로 하고 류호와 류광총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시조 류차달(柳車達)의 10세손 내지 12세손 대에서 14파로 크게 나뉘는데, 그 중 큰 파는 충경공파·좌상공파·하정공파·검한성공파·지후사공파 등 다섯 파이다. 명종 때 소윤 세력에 의해 사사된 좌의정 류관(柳灌), 임진왜란 때의 공으로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봉된 류사원(柳思瑗), 조선 중기의 사상가...
-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는 국가 및 지방 지정 문화 유산.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영산리 239-1번지의 음성 김주태(金周泰) 가옥은 1984년 1월 10일 국가중요민속문화재 제141호로 지정된 전통 가옥이다. 300여 년 전에 이익이 건립한 것으로 전해지며 충주목사를 지낸 참판 박규희 가문이 오랜 동안 거주하였다 하여 박참판댁으로도 불리고 있다.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영산리 585...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오생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도랑말은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소재지에서 북쪽으로 약 5㎞ 지점인 오생리 남부 지역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못고개, 북쪽으로 오룡과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이 도랑가에 있다고 하여 도랑말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며, 예전에 물레방아가 있었다 하여 물방아거리라고도 한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생동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삼용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원남면 소재지에서 서북쪽으로 약 8㎞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덕정리, 서쪽으로 도마티[倒馬峙], 남쪽으로 조촌리, 북쪽으로 사항산과 각각 접해 있다. 원래 음성군 원서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음성군 근서면 삼생동 일부와 맹동면 단월동, 하삼리의 일부를 병합하여 삼용리라 하고, 원남면에 편입시켰다. 인...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에 속하는 행정리. 미호천 냇가에 있으므로 갯골 또는 가곡이 변하여 미곡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대조면(大鳥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정곡리(井谷里) 일부와 사다면(沙多面)의 우두리 일부를 병합하고 미곡리라 하여 대소면에 편입되었다. 지형은 높은 편은 아니며, 남쪽 면의 경계에는 102m의 산이 있다. 서...
-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서 공간 및 시각의 미를 표현하는 예술. 1. 조선시대 미술인으로는 조선 중기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에서 출생한 정수강(丁壽崗)[1454~1527]이 있다. 1482년(성종 13) 정조사(正朝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글씨와 문장이 유창하여 한문 소설 「포절군절(抱節君節)」을 저술하였다.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에 천묘(遷墓)한 유언수(兪彦鏽)[1...
-
조선 중기의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여흥(驪興). 자(字)는 미윤(美胤), 호(號)는 호암(湖巖). 민홍로(閔弘魯)의 아들이다. 민휘계는 집안이 가난하여 낮에는 산에 가서 나무를 하고, 밤에는 경전(經典)을 읽으면서 생활하니 몸에 걸칠 옷이 없을 정도였다. 그러나 형제간에 우애가 두터워 한 상에서 밥을 먹고 한 이불에서 자고 같이 글을 읽으면서 잠시라도 떨어지지 않아...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본관은 청주(淸州). 청성군(淸城君) 손필영(孫弼榮)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손지(孫漬)이다. 섬계(剡溪) 이잠(李潛)의 문인으로, 선조 때 사마시에 합격하여 벼슬이 중추부동지사에 이르렀다. 손희성(孫希聖), 손희철(孫希哲), 손희준(孫希濬) 형제 모두가 사마시에 급제하였다....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 가섭산에 있는 고려 전기에 창건된 대한불교조계종단의 법주사 말사(末寺). 미타사는 630년(진덕여왕 8) 원효에 의해 창건된 이후 876년(헌강왕 2)에 도선국사가 중창하였고 1370년에 무학대사가 중창하였다고 전한다. 그러나 창건과 관련된 유적과 유물은 보이지 않는다. 현존하는 유물로 보아 미타사는 늦어도 고려 전기에는 창건되었다고 이해되고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 미타사에 있는 고려 후기의 아미타불좌상. 미타사 석조여래좌상은 화강암으로 아미타상을 조각한 불상으로 미타사 삼성각에 봉안되어 있는 석불이다. 불상의 머리와 양손은 파손된 것을 시멘트로 보수한 것으로, 매우 조잡하다. 졸속하게 보수를 하였지만 양팔의 형태로 보아 불상이 결한 수인(手印)은 아미타 수인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법의는 통견(通肩)으로 등 뒤...
-
미타사 의 현재 주지 스님인 희원 스님(57세)은 미타사 건립에 관련된 이야기 외에도 여러 가지 신비한 전설들을 들려주었다. 불상의 손을 잘라 벌 받은 머슴, 부처님을 옮기려다 실패한 무당, 돌배나무 목신 이야기 등 미타사와 불상의 영험함에 대한 비산리 사람들의 믿음이 오랜 세월 동안 내려오며 전설로 이루어진 이야기들이다. 미타사 법당에 들어서면 가장 왼쪽에 삼성각이 있다. 삼성...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덕정리에서 발원하여 대소면 미곡리를 거쳐 청원군 북이면 보강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북쪽 삼성면에서 남쪽으로 흘러 대소면 서부 지역을 통과하여 흐르는 하천으로 소속리산 이서 지방인 금왕읍·삼성면·대소면·맹동면 등의 4개 면에 걸쳐 흐르는 금강 수계이다. 하천의 이름은 아름다운 호수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음성군 대소면과 미호천 유역에는 화강암이 널리 분포하여...
-
충청북도 음성군의 민간에서 오래전부터 믿어 온 주술적인 신앙 체계. 민간신앙은 공동체의 일상 생활 층위에서 생활하는 소위 서민층에 그 기층을 두고 있으며, 지역적인 범위에 머물고 있기 때문에 지역적인 색채가 강하다. 또한 오랫동안 전승되어온 경험의 반복에 따른 판단에 그 신앙 구조의 근거를 두고 있다. 이러한 민간신앙은 음성군 지역에서 먼저 집안에 성주신·토지신·제석신·업왕신·수문...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흥. 아버지는 효자 민동량(閔東亮)이다. 큰아버지 민동상(閔東尙)에게 출계(出系)하였다. 아버지가 했던 효의 덕업을 이어받아 어버이에게 대한 효도를 실천하여 온 집안사람들의 칭송을 받았고 집안의 자랑이 되었다.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상평리에 있다. 호조참판에 증직되었다....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여흥(驪興). 자(字)는 군삼(君三), 호(號)는 송암(松巖). 첨정 민휘정(閔鰴鄭)의 아들이다. 민동량은 5세 때 글을 깨우쳐 주위에서 신동이라고 소문이 났으며 5~6세 때 부모가 병이 났을 때는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부모 곁을 떠나지 않고 병을 간호하였다. 10세에 어머니 병환이 위중하자 하늘에 기도하였고, 15세 때인 1674...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민동량의 묘. 민동량의 본관은 여흥(驪興)이고, 자는 군삼(君三), 호는 송암(松巖)이다.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에는 “증병조판서(贈兵曹判書) 민심언(閔審言)의 후손으로, 첨정(僉正) 민휘정(閔徽鄭)의 아들이다.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누가 아버지를 부르면 문득 눈물을 흘렸다. 10살에 어머니가 아프자 향을 피워 하늘에 기...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민동량의 유허비. 총 길이는 158㎝이고, 비신(碑身)의 높이는 116㎝, 앞면 47㎝, 측면 11㎝이며, 가첨석(加檐石)은 높이 38㎝, 앞면 61㎝, 측면 38㎝이다. 하단의 방부(方趺)는 높이 4㎝, 앞면 67㎝, 측면 40㎝이다. 비석 앞면에는 ‘효자증통훈대부호조좌랑송암민공동량유허비(孝子贈通訓大夫戶曹佐郞松巖閔公東亮遺墟碑)...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신평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민동량의 정려각. 민동량은 본관은 여흥, 자는 군삼, 호는 송암이다. 1806년(순조 6)에 정려와 복호(復戶)가 내려졌다. 7, 8세 때부터 부모가 병이 나면 곁을 떠나지 않고 보살폈으며 좋은 약이라면 가리지 않고 구하여 썼다. 부모가 아프자 병을 낫게 하기 위하여 피를 내어 먹이려고 왼손 네 손가락을 잘랐으며, 대변을 살펴...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분충(奮忠). 증좌찬성(贈左贊成) 민수산(閔壽山)의 아들이고, 증문하시중(贈門下侍中) 여원군(驪源君) 민백훤(閔佰萱)의 손자이다. 친형은 민서(閔叙)이다. 민발은 어려서부터 기골이 크고 힘이 세어 13세 때 무술 연마를 위해 마을 앞 큰 바위를 움직여 등에 지고 사장(射場) 터로 옮겨놓았다고 한다. 음보(蔭補)로...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유촌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무신 민발의 묘소. 민발은 조선 전기 이시애의 난을 평정한 공로로 적개공신(敵愾功臣) 3등에 올랐다. 묘역은 약 150㎡인데 묘 앞에는 상석, 망부석, 대리석 묘표, 신도비가 있다. 신도비는 높이 총 227㎝이다. 신도비의 전액(篆額)은 ‘위양공민발신도비명(威襄公閔發神道碑銘)’이다. 1707년(숙종 33)에 세워진 이 비의 비문(碑文...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유촌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무신 민발(閔發)[1419~1482]의 신도비. 민발 신도비는 민발의 사후에 평생의 행적을 담은 글을 돌에 새겨 세운 비로, 1707년 (숙종 33)에 세워졌다. 민발의 본관은 여흥(驪興)이고, 민수산(閔壽山)의 아들이며, 시호는 위양(威襄)이다. 1453년(단종 1)에 사복시대호군(司僕寺大護軍)으로 있으면서 무과(武科)에 합격하여...
-
고려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흥(驢興). 아버지는 서운부정(書雲副正)을 지낸 민함계(閔咸啓)이고, 아들은 조선 초기 문신인 민수산(閔壽山), 손자는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공신에 오른 민발(閔發)이다. 민백훤은 어렸을 때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전평리 새눈이에서 살았으며 1374년(우왕 즉위) 11월에 전공판서(典工判書)로 사신이 되어 밀직사...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삼용리와 음성읍 삼생리의 경계에 있는 산. 사향산 서쪽의 맹동면·원남면·음성읍의 경계에 암솔이 있고 암솔 북쪽에는 덕솔이 있다. 사향산의 북사면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물이 삼생리 부근에서 남류하여 삼용저수지에 유입되고 남사면의 물은 덕정리 앞에서 서류하여 삼용리의 삼용저수지로 유입된다. 사향산의 모든 산록에는 소나무 군락이 형성되어 있다. 사향산의 7부 능선에...
-
충청북도 음성군에 전해 내려오는 민간의 생활 습속. 민속은 민중에 의하여 역사적으로 전승되어 온 전통으로 민중 일반의 경제적·사회적·종교적·예술적 생활 형태와 내용을 말하며, 서민 사회에서 전승되는 하층 문화, 더 나아가 기층 문화를 뜻하는 것이고 따라서 민속이란 상층보다 기층에, 도시보다는 농촌에 더 많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민속은 본래 민간 신앙 행사인 집단 신에게 무사태...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고려시대 서운부정(書雲副正)을 지낸 민함계(閔咸啓)의 손자이고, 고려 후기 문신이었던 민백훤(閔伯萱)의 아들이다.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민발(閔發)이 아들이다. 민수산은 어려서부터 글을 잘하여 1382년에 어전 시회(詩會)에서 장원하였다. 1411년(태종 11)에 어머니가 죽자 형제인 민방보(閔邦寶)와...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성공(聖功)이라 하다가 후에 회숙(晦淑)으로 고쳤다, 할아버지는 정혁선(鄭赫先)이며, 아버지는 좌의정을 지냈던 정석오(鄭錫五)이다. 1745년(영조 21)에 음보(蔭補)로 돈령부참봉(敦寧府參奉), 사옹원봉사(司饔院奉事)를 지내고 5년 뒤인 1750년(영조 26)에는 광흥창수(廣興倉守)가 되었다. 이듬해 개령현감에...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흥. 할아버지는 민동량(閔東亮)이고 아버지는 민경연(閔景淵)이다. 조상의 덕업을 받들어 모셔 어버이에게 효도하여 집안의 명성을 높였다. 정조조에 동지중추부사를 지냈다. 아들 민백원(閔百元)과 손자 민국현(閔國顯)은 경서에 능하였고 증손 민치경(閔致慶)은 문예에 숙달하여 사람들이 산동(山東) 문장이라 칭하였다. 묘소는 충청북도 음성군...
-
고려 중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고려시대 호부원외랑(戶部員外郞) 민의(閔懿)의 아들이다. 처는 배씨(裵氏)이며 아들로 민식(閔湜)·민공규(閔公珪)가 있다. 배씨의 동생은 유익겸(柳益謙)의 처가 되었다. 민영모는 인종·의종·명종 때 활동한 인물로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였다. 민영모가 처음 과거에 응시했을 때 부(賦)를 지었는데 격식에 맞지 않아서 동지공거(同知貢擧) 이지저...
-
조선시대 건립된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사창리에 있는 고려 전기의 문신 민영모의 묘단. 민영모는 『여지도서(輿地圖書)』 여주(驪州)의 「인물조」에 “고려 인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이 문하시랑(門下侍郞)에 올랐다”고 기록되어 있다. 다른 기록에서는 고려 인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이부원외랑(吏部員外郞)을 지냈고, 명종 즉위 후 왕의 총애를 받아 문하시랑평장사를 거쳐 태자태사(太子太...
-
충청북도 음성군의 민간에서 자연발생적으로 만들어져 전해 내려오는 노래. 음성 지역에서는 예부터 여타의 다른 지방과 크게 다르지 않게 토속민요가 많이 불렸다. 그 중에서도 특히 논농사나 밭농사와 관련한 「모찌기 소리」나 「모심기 소리」, 「논매는 소리」 등은 음성 지역의 특유하고 순수한 전통을 간직하고 있는 노래들이다. 음성 지역의 민요는 전체적으로 메나리 토리의 영향을 많이 받은...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원실(元實), 호는 한송(寒松). 민휘계(閔徽繼)의 5세손이다. 민정현(閔鼎顯)[1783~1812]은 3세에 글을 읽고 10세에 경서를 통달하였으며 아버지를 따라 경기도 안성시 칠장사(七長寺)에서 노승과 같이 경서(經書)와 시부(詩賦)를 토론하는데 막힘이 없어 30여 명의 중들이 경탄하였다. 학식이 탁월하여 먼 곳...
-
1860년대부터 발생하여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종교. 한국에서의 종교는 무속과 고유 민간 신앙으로부터 시작하여 불교와 유교 그리고 도교, 근대에 들어온 기독교와 민족 신앙에 이르기까지 상당히 다양하다. 특히 한국의 신종교는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 사이의 사회 변혁기에 대두된 새로운 종교 운동을 가리키는데, 보통 1860년 최제우가 제창한 동학을 그 효시로 이해하고 있...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민치상(閔致庠)[1825~1888]의 치적을 기리는 비(碑). 민치상은 조선 후기 문신으로 자는 경양(景養), 호는 하당(荷堂), 본관은 여흥이다.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5대손이며, 민용현(閔龍顯)의 아들이다. 1845년(헌종 11) 생원이 되었고, 이듬해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849년(철종 1)...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아버지는 절충장군(折衝將軍) 민충길(閔忠吉)이다. 민침(閔忱)[1600~?]은 1627년(인조 5) 27살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1651년(효종 2) 51살에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승지 정창주(鄭昌胄)가 “세무(世務)에 통달하고 강어(强禦)를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천거하여 사헌부감찰을 지내고 이어서 문의현감(文...
-
조선시대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여흥(驪興).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 된섬이에 큰 바위가 있는데, 민해준의 효행은 이 바위와 관련되어 전하고 있다. 민해준이 어머니와 같이 밭에서 김을 매다가 소낙비를 만났는데, 비를 피하기 위하여 바위 밑으로 들어갔다. 얼마 후 바위가 조금 움직이는 것 같더니 곧 굴러 내릴 위험에 있었다. 이 때 민해준은 어머니를 밖으로 밀어...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있는 조선시대 민해준의 효자각. 민해준이 어머니와 함께 밭에서 김을 매다가 소낙비를 만났다. 이때 비를 피하기 위하여 바위 밑으로 들어갔다 무너지려 하자 어머니를 밖으로 밀어내곤 자신은 바위에 깔려 죽음을 당하였다. 이 같은 민해준의 효행을 기려 훗날 유림과 동리에서 효자각을 세웠다. 정면 1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기와집으로 ‘효자민해준지려(孝子...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전주. 자는 경렬(景烈), 호는 소성(小醒). 아버지는 효자 최재기(崔在沂)이다. 1852년(철종 3) 10월 16일에 창경궁 춘당대에서 열린 생원시에서 장원을 하여 철종의 찬사를 받았다. 입격한 시부(試賦)가 남아 있다. 묘소는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매봉재에 있다....
-
조선 중기의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여흥(驪興). 자(字)는 미윤(美胤), 호(號)는 호암(湖巖). 민홍로(閔弘魯)의 아들이다. 민휘계는 집안이 가난하여 낮에는 산에 가서 나무를 하고, 밤에는 경전(經典)을 읽으면서 생활하니 몸에 걸칠 옷이 없을 정도였다. 그러나 형제간에 우애가 두터워 한 상에서 밥을 먹고 한 이불에서 자고 같이 글을 읽으면서 잠시라도 떨어지지 않아...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신평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효자 민휘계와 민정현의 정려문. 민휘계·민정현 효자각은 민씨 가문의 두 효자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정문이다. 민휘계는 가난하였으나 글을 좋아하고 주경야독을 했다. 학행(學行)이 좋고 부모에 효심이 지극했다. 1808년(순조 8)에 감영(監營)에서 상계(上啓)하자 왕이 특명을 내려 민휘계의 행적을 간행토록 하였다. 이 책의 이...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신평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효자 민휘계와 민정현의 정려문. 민휘계·민정현 효자각은 민씨 가문의 두 효자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정문이다. 민휘계는 가난하였으나 글을 좋아하고 주경야독을 했다. 학행(學行)이 좋고 부모에 효심이 지극했다. 1808년(순조 8)에 감영(監營)에서 상계(上啓)하자 왕이 특명을 내려 민휘계의 행적을 간행토록 하였다. 이 책의 이...
-
박언침을 시조로 하고 박안명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거주 세거 성씨. 시조는 신라 경명왕의 제1왕자인 밀성대군(密城大君) 박언침(朴彦忱)이다. 밀양박씨의 세계는 밀성대군의 7세손인 박언부(朴彦孚)를 중시조로 하는 문하시중공파(門下侍中公派)를 비롯하여 도평의사사사공파(都評議使司使公派)·좌복야공파(左僕射公派)·밀직부사공파·판도공파·좌윤공파 등으로 대별되고, 각 파는 아랫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