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102266
한자 民謠
영어의미역 Traditional Folk So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북도 음성군
집필자 임영택

[정의]

충청북도 음성군의 민간에서 자연발생적으로 만들어져 전해 내려오는 노래.

[특징]

음성 지역에서는 예부터 여타의 다른 지방과 크게 다르지 않게 토속민요가 많이 불렸다. 그 중에서도 특히 논농사나 밭농사와 관련한 「모찌기 소리」나 「모심기 소리」, 「논매는 소리」 등은 음성 지역의 특유하고 순수한 전통을 간직하고 있는 노래들이다.

음성 지역의 민요는 전체적으로 메나리 토리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보인다. ‘미솔라도레’의 기본 5음 음계를 바탕으로 하는 아라리 곡조가 대부분으로, 특히 그 가운데서도 ‘미라도’의 3음 음계를 주로 사용하는 특징을 보인다. 「모심기 소리」의 경우 「정선 아라리」의 곡조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아마도 경기도·강원도 지방과 접하고 있는 지리적 영향 때문인 듯하다.

논농사와 관련하여 불리는 농업요들은 대개 한 사람이 앞소리를 메기면 나머지 사람들이 뒷소리를 받는 선후창 형식으로 불린다. 특히 노래를 부르는 사람에 따라 가사나 가락에서 차이가 많이 나는데, 이 역시 토속민요만이 가지는 특징이라 할 수 있는 부분이다.

[종류]

음성의 민요는 크게 노동요(농업요, 어업요, 기타 노동요)와 의식요(세시의식요, 장례의식요, 신앙의식요), 유희요, 타령, 전래동요, 연정요(戀情謠), 생활요, 잡가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노동요 중에서는 특히 밭농사나 논농사 등의 일을 할 때 부르는 농업요가 많이 보인다. 지금도 음성 지역에서는 「모찌는 소리」와 「모내기 노래」, 「모심는 소리」, 「논매는 소리(찌거매야)」, 「논매는 소리(대허리)」, 「논매는 소리(방아호)」, 「밭매기 소리」, 「메밀 베는 소리」 등의 농업요들이 많이 불리고 있다.

의식요로 분류되는 「거북이 노래」나 「거북놀이 용궁굿 덕담」, 「거북놀이 조왕고사 덕담」, 「거북놀이 터주굿 덕담」, 「거북놀이 도장굿 덕담」, 「고사 소리」 등은 세시풍속과 관련하여 전해 오는 민요들이다. 특히 「거북이 노래」 등은 7월부터 8월 추석 전후까지 농신(農神)과 용신(龍神)에 대한 기농(祈農) 놀이에서 불리던 노래들이다. 타령류로는 「화투 노래」, 「각설이 타령」, 「도라지 타령」, 「신고산 타령」, 「성주풀이」, 「담바구 타령」 등 전국적으로 불리는 노래들이 가사만 조금씩 변형된 채 전해 오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음성의 민요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