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노래기 아래쪽이라 하여 아래노래기 또는 하노리로 불린다. 본래 음성군 남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내가곡, 외가곡, 하촌, 능촌 등을 병합하여 하노리라 하고 원남면에 편입되었다. 하노1리 동남쪽에는 오성산[484m]의 줄기인 얼기서리산이, 동쪽에는 왕재(왕현)가, 서쪽에는 낙낙기산(낭나기산)이, 서남쪽에는...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노리 머치미에서 음력 정월 초 산신에게 올리는 제의. 머치미는 원남면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약 8㎞ 지점, 음성읍에서 남쪽으로 약 4㎞ 지점에 위치한다. 마을 동쪽으로는 가막산이 있고, 남쪽으로는 산의 형태가 매처럼 생긴 매봉재가 있다. 하노리 머치미 산신제를 언제부터 지냈는지 정확히 알려진 바는 없지만, 산신에게 제를 올려야 하는 해에 올리지 않으면 제관과...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민치상(閔致庠)[1825~1888]의 치적을 기리는 비(碑). 민치상은 조선 후기 문신으로 자는 경양(景養), 호는 하당(荷堂), 본관은 여흥이다.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 민유중(閔維重)의 5대손이며, 민용현(閔龍顯)의 아들이다. 1845년(헌종 11) 생원이 되었고, 이듬해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849년(철종 1)...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당골의 아래쪽에 있다하여 아래당골 또는 하당동이라 불리어왔다. 당골은 조선시대 양혜원이 있었던 곳으로 영남 지방에서 한양으로, 충주목에서 청주목 등으로 가는 길목으로서 숙박업과 마방 등이 번창하였고 주막이 있어 주막거리라고 불리는 곳이기도 하였다. 본래 음성군 남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음월촌, 양촌, 후...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질서와 예절을 존중하고 이웃과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과 태도를 가진 어린이, 스스로 배우고 익혀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있는 어린이, 기초 체력과 보건 위생의 철저한 지도로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알뜰한 경제생활과 봉사의 실천으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고운 심성을 가진 어린이, 미지의 세계에 끊임없이 도전하여...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상평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군 감곡면 상평1리의 남동쪽 지역에 있으며 마을 동쪽으로 외딴터, 서쪽으로 성뜰, 남쪽으로 벌말, 북쪽으로 윗상촌과 각각 접하고 있다. 예전에 안동김씨들이 이곳에 뽕나무를 많이 심어 상촌이라 하였으며, 상촌 아래쪽에 있다고 하여 하상촌(下桑村), 아랫상촌이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忠州郡) 감미곡면(甘味谷面)에 속해 있던 지역...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역사가.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자현(子賢), 호는 하석(荷石). 득우재(得寓齎) 송상철(宋相哲)의 후손으로, 송헌삼(宋憲三)의 손자이며, 정와(定窩) 송달용(宋達用)의 아들이다. 묘소가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유포리에 있다. 송석민은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유포리에서 출생하였다. 형 송석규(宋錫珪)와 함께 회당(晦堂) 윤응선(尹膺善) 문하에서 한학을 배...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부친상을 당하여 미처 탈상하지 않았는데 이어서 모친상을 당하여 6년간 시묘살이를 하는데 범이 와서 보호해 주었다고 전해진다. 1910년 8월 29일 한일합방이 되자 집에다 ‘이왕가지민하석환(李王家之民河碩煥)’이라고 문패를 달고는 세금도 내지 않고, 호적도 등재하지 않았다. 이에 음성경찰서에 구금되어 고문을 당하였으나 끝내 불응하고 단식...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덕정리에 있는 조선 말기 효자이며 애국지사인 하석환을 기리는 비. 하석환(河碩煥)은 하재철(河載鐵)의 아들로, 자는 광국(光國)이며 호는 일재(一齋)이고 본관은 진주(晋州)이다. 부모를 잘 봉양하였으며 1905년(고종 42)에 부친이 죽자 상복을 벗지 않았으며, 모친이 죽었을 때는 6년간 시묘를 살았다. 이때 큰 호랑이가 와서 지켜준 적이 있다고 전해진다....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내송리에 있는 (주)하선정종합식품의 생산공장. 1972년 액체육젓 발명 특허를 취득하였다. 1977년 10월 하선정식품상사로 설립되었다. 1992년 5월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농공단지에 하선정식품상사 음성공장이 준공되었다. 1995년 10월 하선정식품상사 음성공장이 (주)하선정종합식품으로 합병되었다. 2000년 7월 (주)하선정유통을 통합하였다. 2000년...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초천리에 있는 판유리 가공품 제조업체. 유리 가공업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제조업체로서의 역할 수행과 기업 이윤 창출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9년 7월 22일 하영특수유리(주)가 설립되었다. 설립 이후 꾸준한 기술 개발과 사업 확장을 꾀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판유리 가공품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주요 생...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오류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하오는 대소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4㎞ 떨어진 곳에 자리 잡고 있는 오류리의 서남부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밤나무골이 있고, 북쪽으로는 오류골과 접하고 있다. 오류골 남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아래오리골이라고도 부른다. 본래 충주군 사다산면 오하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쌍정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군 맹동면 쌍정3리 서북쪽 지역에 있는 마을로 동쪽으로 맹동면 면사무소 소재지, 서쪽으로 본성리, 남쪽으로 배미, 북쪽으로는 마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정내 아래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아랫정내 또는 하정(下呈)이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통...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진양(晋陽). 호는 지비당(知非堂). 5대조는 동지중추부사 하우명(河友明), 고조부는 옥과현감 하철행(河哲行), 증조부는 통덕랑 하영담(河永淡), 할아버지는 하승세(河承世), 아버지는 전라도수군절도사 하덕록(河德祿)이다. 어머니는 경주이씨로 이덕승(李德承)의 딸이다. 아들은 셋으로 첨지중추부사 하변(河汴), 하흡(河潝), 첨지중추부사...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동음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군 음성읍 읍사무소에서 서쪽으로 약 6㎞ 지점인 동음1리 남쪽 지역에 있는 마을이다. 동쪽으로 초천리 무직이, 서남쪽으로 바깥섬이, 북쪽으로 윗창골과 각각 접하고 있다. 조선시대 음성현의 사창(社倉)이 있던 마을이라 창골이라 하였으며, 이 창골 밑에 있다 하여 아랫창골, 하창동(下倉洞)이라 불린다. 본래 음성군 근서면에 속해...
-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에 분포하는 육지 표면에서 일정한 유로를 가지는 유수의 계통. 음성군의 하천은 한강 수계와 금강 수계로 나누어진다. 한강 수계는 달천(達川)으로 유입되는 하천과 남한강으로 직접 합류하는 청미천(淸渼川)이 있으며, 금강 수계는 미호천(美湖川)으로 유입되는 하천이다. 음성군을 관류하는 하천을 크게 지역별 하천과 읍면별 하천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1. 서부 지역...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수태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하태는 수태2리의 중앙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마을의 동북쪽으로 수태리의 자연 마을인 가잠이가 자리 잡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수인다랭이, 남쪽으로는 꾸억말과 가재월이 접하고 있다. 수태리의 자연 마을인 상태 밑에 있는 마을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마을에 응달이 들어 음달말이라고도 부른다. 본래 충주군 소탄면 하태리...
-
※ 조사일: 2007년 2월 6일 ※ 조사지: 음성군 감곡면 문촌4리 윤희 할아버지 댁 ※ 조사자: 황경수, 고유리, 김경희 윤희 할아버지는 음성군 감곡면 문촌리에서 나고 자랐다. 고등학교와 대학교는 다른 지역에서 다녔으며, 마을로 들어와 오갑초등학교에서 수학선생님을 하였다. 선생님을 해서 그런지 학생들에게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었으며 이야기를 하는 동안 마을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고...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학광(學光). 아버지는 이조참판 김세필(金世弼)이다. 김저(金儲)[1512~1547]는 1539년(중종 34) 별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검열(檢閱)을 거쳐 지평(持平)에 이르렀다. 1545년(인종 1) 을사사화로 심한 고문을 받고 삼수(三水)에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사사(賜死)되었다. 선조 초에 관작(官爵)이 복...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매년 설성문화제 기간에 개최하는 사물놀이경연대회. 학생사물놀이경연대회는 매년 설성문화제 기간에 음성 지역의 초·중·고등학교 학생으로 이루어진 사물놀이패가 경연을 펼치는 대회이다. 1999년 1회 대회를 시작으로 2007년 9회를 치르고 있다. 1999년 제18회 설성문화제에서 처음으로 음성군 지역 내의 초·중·고등학교 학생으로 이루어진 사물놀이패와 사물놀이 동아...
-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충청북도 음성군 지천서원에 배향된 인물.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문숙(文叔), 호는 학주(鶴洲). 김자수(金自粹)의 8세손이고, 아버지는 김적(金積)이다. 김홍욱(金弘郁)[1602~1654]은 1635년(인조 13)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고,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세자시강원설서(世子侍講院說書)를 지냈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으로...
-
할아버지는 8살 때 사정국민학교에 입학했는데, 일정 때여서 2학년까지밖에 못 다니고 6·25가 벌어졌다. 집이 워낙 가난해서 더 이상 진학도 못하고 진천 외가댁에 가 있다가 고등국민학교가 생기면서 3학년으로 들어갔다. “고등국민학교 입학을 하는데 제 날짜에도 못가고. 국민학교 나온 학생들하고, 나는 4년을 놀았으니깐 아무것도 모르겠더라고. 그래서 죽자사자, 지게 작대기 받쳐놓고 에...
-
시집오기 전에는 교회에 잠깐 다녔었는데 시집을 오고 나서는 시어머니가 절에 다니고 있어서 절에 다니기 시작했다. 그리고 아들을 절에 올린 뒤로 일 년에 다섯 번씩 꾸준히 절에 나가고 있다. “일 년에 정월달에 한 번 가고, 초파일에 가고, 칠월칠석날 가고, 인저 백중날은 우리 아들이 있어가지고 가고. 나 살 때까지 해 주게.” 한복실 할머니는 충주호에서 막내아들을 떠나보내고 절(용...
-
충청북도 음성에서 음력 8월 15일을 기리는 명절. 추석은 우리 고유어로 한가위·가위·가배라고 하며, 중국식 명칭으로 추석 또는 중추절이라고도 한다. 한가위는 정월대보름과 함께 양대 대보름 명절로, 정월대보름이 농사력이 시작되는 한 해의 첫 보름이라면 한가위는 농사력이 마무리되는 보름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이때는 봄부터 여름 동안 가꾼 곡식과 과일의 수확의 계절이고,...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도가(道可), 호는 한강(寒岡). 할아버지는 사헌부감찰 정응상(鄭應祥)이며, 아버지는 한훤당(寒喧堂) 김굉필(金宏弼)의 외증손으로 부사맹(副司猛) 정사중(鄭思中)이다. 어머니는 성주이씨(星州李氏)로 이환(李煥)의 딸이다. 1555년(명종 10) 13세에 덕계(德溪) 오건(吳健)을 스승으로 모셨고, 겸하여 퇴계(...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천평3리와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사정리에서 다리를 세면서 노는 아이들의 민속놀이. 한거리 뒤거리는 다리세기놀이라고도 하며, 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의 이름을 따서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는 다리세기 혹은 다리셈하기, 발헤기,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 등으로 불리며 그 내용과 방식이 조금씩 다르지만 전국적으로 행해지는 유희요 및 놀이이다....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사정리에 있는 한국농촌공사 충북본부 산하 기관. 음성·진천·여주 등 4,221㏊ 지역의 농·어촌 정비 사업, 농업 기반 시설 관리 및 농·어촌 지역 개발 사업 등을 추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838년 5월 10일 조선토지개량협회에 뿌리를 두고 있다. 1970년 2월 7일 농업진흥공사가 설립되었고 1990년 7월 2일 농업진흥공사를 흡수·확대하여 농어촌진흥공...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삼정리에 있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는 외국인 투자 기업으로 자동차 부품을 생산·수출하여 지역의 경제 부흥과 기업 이윤 추구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8년 3월 7일 한국보오그워너오토모티브(주)라는 이름으로 회사를 설립하였다. 2000년 6월 28일 한국보그워너티에스(주)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2007년 5월 제13회 싱글 PPM 대...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청용리에 있는 (사)한국샘물협회 산하 환경부 위탁 사업 기관. (사)한국샘물협회는 먹는 샘물의 품질 개발을 통해 먹는 샘물 영업의 건전한 육성과 발전을 도모하여 국민 보건 향상에 이바지하며, 회원 상호 간의 공동 이익 증진과 소비자 보호에 기여하기 위하여 창립된 단체이다. 먹는 샘물 수질 개선 부담금 부과 요율 하향 조정과 무자료 거래 정비를 위한 납부 증명...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예술 문화 단체.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음성지회는 비영리 사단 법인체로 일정한 요건을 갖추고 각종 예술 행사를 열고 있다. 음성문인협회, 음성국악협회, 음성미술협회, 음성음악협회, 음성문예협회 등의 회원단체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음성지회는 음성군의 예술 문화 발전과 회원 권익을 옹호하기 위하여 창립되었다. 1994년 4월...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예술 문화 단체.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음성지회는 비영리 사단 법인체로 일정한 요건을 갖추고 각종 예술 행사를 열고 있다. 음성문인협회, 음성국악협회, 음성미술협회, 음성음악협회, 음성문예협회 등의 회원단체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음성지회는 음성군의 예술 문화 발전과 회원 권익을 옹호하기 위하여 창립되었다. 1994년 4월...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3리에 있는 정부 투자 기관인 한국전력공사의 음성 지점. 음성 지역에 양질의 전력 공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전력 설비를 철저히 정비·관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1년 7월 한국전력주식회사 청주지점 음성출장소로 시작하여 1984년 5월에 한국전력공사 충주지점 음성출장소로 전환되었다. 1992년 7월에는 한국전력공사 충북지사 진천지점 음성지점(Ⅳ...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에 있는 한국화장품(주)의 생산공장. 고객 만족을 최우선 가치로 하는 제품을 생산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1961년 10월 10일 서울특별시 중구 다동에 가칭 한국화장품공업주식회사로 설립되었다. 1962년 3월 한국화장품공업주식회사로 법인 등록을 하였으며 초대 임광정 사장이 취임하였다. 같은 해 9월 21일 서울시 성동구 군...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중동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한내는 소이면 소재지에서 동남쪽으로 약 6㎞ 지점에 자리 잡고 있는 중동1리의 북부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남쪽으로는 청룡안이 있고, 서쪽으로는 봉전리의 댁별, 북쪽으로는 후미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한천(漢川) 냇가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한내라 하였는데, 1960년대까지 1일과 6일에 장이 섰으므로 장터라고도 불렀다....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중동리에서 개시되다가 1982년에 폐시된 재래 시장. 한천장(漢川場)은 일명 한내장터라고도 하며 1919년 3·1운동 당시 음성 지역에서 가장 치열한 독립 만세 운동이 일어난 곳으로도 유명하다. 한천장은 서쪽으로 20여 리 지점에 음성군 음성읍 음성장, 동남쪽 20여 리 지점에 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 목도장(牧渡場)이 있어 음성장과 목도장의 중간 지점에 있었...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대풍리에 있는 (주)한독의 주력 생산공장. (주)한독의 주력 생산 공장으로서 최첨단 시설을 갖추고 우수한 의약품을 제조하여 지역 경제 발전에 한 몫을 하고자 설립하였다. 1954년 연합약품으로 창립하여 1958년 한독약품으로 회사명을 변경하였다. 1959년 공장을 준공하고 제품 생산을 개시하였다. 1976년 6월 30일 기업을 공개하였다. 1992년 본사 사...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대풍리에 있는 의약 관련 박물관. 한독의약박물관은 (주)한독약품 김신권 회장이 점차 사라져가는 전통 의·약학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만든 우리나라 최초의 전문 박물관이다. 1964년 4월 27일 (주)한독약품 창립 10주년 기념 사업으로 한독약사관(韓獨藥史館)을 서울시 중랑구 상봉동에 건립하였다. 1974년 박물관 단독 건물의 준공과 더불어 한독의약박물관으로...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대장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한들은 소이면 소재지에 위치하고 있는 대장1리의 자연 마을로 대장리에서는 가장 큰 마을이다. 마을 앞의 들이 넓다 하여 한들 또는 대평(大坪)이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 사이포면 대평리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대장리에 포함되어 소이면에 편입되었다. 한들은 소이면의 면소재지로서 소이면의 각 기관이 자리하고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용촌리에 있는 건축용 소재 및 구조물 생산공장. 오랜 기간 환경 산업 전 분야에 걸쳐 축적된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국가 경제에 기여하며,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의 경제 활동을 활성화하여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되고자 건립되었다. 1962년 현대양행이 설립되었고, 1978년 환경 사업에 착수하였다. 1990년 한라중공업(주)로 상호가 변경되었고, 1999년에는 환...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 교회.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 음성 한마음교회의 설립 목적은 민족 복음화, 세계 복음화, 지역복음화에 있다. 1985년 6월 11일 전호성 목사가 설립하여 초대 담임목사로 2000년까지 재임하였다. 2대 담임목사는 정차기 목사로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재임하였다. 지금은 정충일 목사가 3대 담임목사로 부임하여 재임하고...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에 속하는 행정리. 마을이 큰 벌판이므로 한벌이라 하였다. 본래 음성군 동도면(東道面)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한상리(閑上里)와 한하리(閑下里)를 병합하여 한벌리가 되었다. 1956년 7월 8일 음성면이 읍성읍으로 승격되었다. 북쪽에 가섭산[710m]이 있고, 남쪽에 수정산[393m] 등이 있어 대체로 높은 지형이다. 이들 산 사이에서 발...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한벌리에 있었던 조선시대 도로 이름. 충청북도 음성현에서 한벌리를 거쳐 동쪽의 한벌고개 또는 충주현과의 경계인 선선동에 이르던 대로로서 충주현으로 통하는 중요한 교통로였다. 조선시대에 역원제도가 발달함에 따라 충청북도 음성현 관문에서 한벌리를 지나 충주현으로 왕래할 목적으로 한벌리 대로를 만들었다. 현재는 국도 36호선이 4차선으로 포장되어 있어 음성읍과 충...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한벌리에서 소이면 대장리를 거쳐 음성천에 합류하는 하천. 한벌천은 가섭산에서 발원하여 한벌리를 거쳐 낡은터 앞에서 수정산 북쪽에서 내려오는 하천과 합류하여 방죽안을 거쳐 소이면 비선거리 앞에서 비산천으로 흘러 음성천에 유입되는 한강 수계이다. 큰 들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마을 이름인 한벌리에서 발원하는 하천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한벌리는 옛날 한가하게 생을...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에 있는 (주)한불화장품의 생산공장. 고품격 화장품으로 차별화 전략을 진행하고 있는 (주)한불화장품의 주력 생산 공장으로 지역주민들을 고용하면서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이바지하고자 건립되었다. 1989년 2월 18일 (주)한불화장품 법인을 설립하였다. 1989년 8월 센세이션 브랜드를 출시하였다. 1990년 7월 상제리에 브랜드를 출시하였다. 1991년...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삼봉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한삼은 삼봉1리의 북쪽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자연 마을이다. 동북쪽으로는 주막거리가 있고, 남쪽으로는 거루목과 접하고 있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 한삼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삼봉리에 속하여 금왕면에 포함되었다. 1973년 금왕면이 금왕읍으로 승격되어 금왕읍의 한 마을이 되었다...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원실(元實), 호는 한송(寒松). 민휘계(閔徽繼)의 5세손이다. 민정현(閔鼎顯)[1783~1812]은 3세에 글을 읽고 10세에 경서를 통달하였으며 아버지를 따라 경기도 안성시 칠장사(七長寺)에서 노승과 같이 경서(經書)와 시부(詩賦)를 토론하는데 막힘이 없어 30여 명의 중들이 경탄하였다. 학식이 탁월하여 먼 곳...
-
조지수를 시조로 하고 조경과 조도흥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한양조씨(漢陽趙氏)의 시조는 고려 때 첨의중서사인(僉議中書舍人)을 지낸 조지수(趙之壽)이다. 한양조씨 가문에서는 조선 개국공신이 2명이 배출되었는데, 태조 때 이조판서를 지낸 조인옥(趙仁沃)과 태종 때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조온(趙溫)이다. 조인옥의 후손인 조경(趙經)이 임진왜란 후 음성군 금왕읍 유...
-
조선시대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부. 본관은 동래. 아버지는 정형조(鄭亨朝)이다. 일찍이 남편이 죽고 반나절을 기절하였으나 시부모가 살아 있음을 알고 일어나 효를 다하였다. 시부모가 죽은 뒤 장례를 마치고는 “내 할 일을 다 하였으니 살아서 무엇 하랴, 지아비를 따라가겠노라.”하고 탄식하며 죽으니 동리에서 효부로 칭하였다....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사곡리에 있는 조선 중기 문신 한이원의 묘비. 한이원은 한치상(韓致相)의 아들로 자는 숙기(叔起), 본관은 곡산(谷山)이다. 1675년(숙종 1) 사마시를 거쳐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고, 이후 감찰이 되었다. 1692년(숙종 18)에는 결성현감을 지낸 후 전적을 역임하였다. 1715년(숙종 41) 『가례원류(家禮源流)』 사건으로 소론인 교리 송성명(宋成明...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 실천 위주의 인성 교육 활동을 강화하여 바른 품성을 갖추게 하며 경애와 신의를 존중하는 민주 시민, 자기 계발에 충실하는 질 높은 교육으로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시대를 주도하는 민주 시민, 실험·실습 위주의 과학 기술 교육을 충실히 수행함으로써 지적 기반을 튼튼히 하고 변화를 거듭하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국민을 기른다....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동리는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소재지에서 서쪽으로 약 2㎞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덕정리, 서쪽으로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남쪽으로 용성리, 북쪽으로는 대사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동리는 양지울 동쪽 마을로 한절우, 대사동이라고도 한다. 대사동이라는 이름은 큰 절이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지내...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내곡리에서 발원하여 진천군 초평면 오갑리에 이르는 하천. 물이 적게 흐른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생각된다. 내곡리의 동쪽에는 우등산[227m]이 있고 서쪽에는 137고지가 있으며 남서쪽에는 143고지가 있으며 북서쪽에는 마봉산[186m]과 다홍산[122m]이 있다. 동북쪽에는 마날봉[227m]이 있다. 한천은 내곡리에서 북류하여 구계리에서 구계저수지(일명...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중동리에서 개시되다가 1982년에 폐시된 재래 시장. 한천장(漢川場)은 일명 한내장터라고도 하며 1919년 3·1운동 당시 음성 지역에서 가장 치열한 독립 만세 운동이 일어난 곳으로도 유명하다. 한천장은 서쪽으로 20여 리 지점에 음성군 음성읍 음성장, 동남쪽 20여 리 지점에 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 목도장(牧渡場)이 있어 음성장과 목도장의 중간 지점에 있었...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동음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한테골은 음성읍에서 서쪽으로 약 6㎞ 지점에 자리 잡은 동음리의 서쪽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본래 음성군 근서면 동음암리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동음리에 속하여 군내면에 편입되었다. 군내면은 후에 음성면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56년에 음성읍으로 승격되었다. 한테골은 원래 동음리의 자연 마을인 바깥섬이...
-
어린 시절에 잘하던 소리도 시집와서 안 해서 다 잊어버렸다. 시어머니 시집살이 때문에 문밖으로 나가지를 못해서 할 기회도 없었다. 시댁 형님들이 담벼락 너머로 놀러 나오라고 해도 시어머니 때문에 나가지 못했다. 하다못해 자녀들이 이리저리 상 받으러 다니고, 선수로 뽑혔을 때도 가지 못했다. 남의 속도 모르는 동네사람들이 “자식이 상 받고 그러는데 왜 안 따라 가냐”고 이야기 할 정...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의 오대산 정상부에 있는 고대 국방 시설. 오대산성은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와 괴산군 소수면 옥현리 사이의 해발 약 399.7m 오대산 정상부에 있는 테뫼식 토축 산성으로 오성산성 또는 할미성이라고 불려진다. 산성에 대한 고문헌 기록은 전혀 없으며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에 “원남면 상노리, 오대산성, 상노리 동남 약 300간, 음성·괴산 경계에 있음, 토...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평곡리의 경계에 있는 산. 수정산은 성재산·수리봉 등으로도 불리고 있는데, 수정산에는 할미산성이 있어 할미성산으로도 부르고 있다. 산의 모양이 마치 독립된 섬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서쪽에는 옥수정 우물이 있고 산 중턱에는 토끼 모양의 장수바위가 있다. 장수바위에 올라서면 음성읍의 전경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산의 정상 부근에 있는 수정산성은 높이...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노리·구안리와 소이면 충도리의 경계에 있는 산. 수정산성(할미성)과 관련된 축성의 설화로 인하여 오성산(烏城山)은 할아비산 또는 할애비산이라고도 하며, 일명 가막산 또는 오두산이라고도 한다. 서남부의 사면에 있는 원남면 구안리의 구안저수지에서 북류하는 구안천에 수원을 제공하며, 동북부의 사면은 소이면 충도리의 충도저수지와 음성천에 수원을 각각 제공하고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노리·구안리와 소이면 충도리의 경계에 있는 산. 수정산성(할미성)과 관련된 축성의 설화로 인하여 오성산(烏城山)은 할아비산 또는 할애비산이라고도 하며, 일명 가막산 또는 오두산이라고도 한다. 서남부의 사면에 있는 원남면 구안리의 구안저수지에서 북류하는 구안천에 수원을 제공하며, 동북부의 사면은 소이면 충도리의 충도저수지와 음성천에 수원을 각각 제공하고 있다...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노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축 산성. 기존에는 남쪽 국도 37호선을 사이에 두고 가막산과 서로 대치하고 있는 오대산성이 가막산성 또는 할애비성이라 불려왔다. 그런데 2002년 지표 조사에 의해 오대산성과 가막산성은 별개의 산성으로서 오대산성은 할미성으로, 가막산성은 할애비성으로 불려졌음이 확인되었다.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노리의 가막산성은 음성-괴산 사이...
-
늘거리 에서 나고 자랐다는 황경모 할아버지(82세)는 현재 둘째 아들인 이장 황경구(42세) 씨와 함께 살고 있다. 늘거리에 들어서자마자 왼편으로 보이는 2층으로 된 커다란 집이 황경모 할아버지 댁인데, 이장님도 뵐 겸 집안으로 들어갔다. 집 안에는 아이들이 재잘거리는 소리로 가득했고 명절 끝이라 가족들이 많이 모여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할아버지 손자 손녀가 많아서 좋으시...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군자리·쌍정리·두성리의 경계에 있는 산. 전설에 의하면 천지개벽을 할 때 물에 잠겼으나 함지박 하나를 놓을 자리가 남아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함박산에서 발원하는 정천은 서쪽으로 흘러 본성리 냇물과 합류한다. 함박산의 남단에는 솔태라는 산이 있고 동쪽에는 맹동저수지를 사이에 두고 북쪽으로 덕솔·암솔 등의 산이 있으며, 남쪽에는 알랑산·알봉 등의 산이...
-
조선 중기의 종친이자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대년(大年). 태종의 아들 익령군(益寧君)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수천군(秀泉君) 이정은(李貞恩)이고 아버지는 귀기군(貴杞君)이다. 부인 우씨에게는 아들이 없었고, 감찰 정류(鄭鎦)의 딸에게서 영의정 이원익(李元翼)과 현령 이원보(李元輔)를 두었다. 1516년(중종 11) 사마시에 급제하여 귀후서별제, 의금부도사, 내섬시주부를...
-
다른 할머니들이 도깨비 이야기를 하자 박옥금 할머니도 항아리 도깨비 이야기를 해 주었다. 이 도깨비에 들려서 그 집이 망했다고 한다. “그전에 동네에 시집을 왔는데 시집을 올 때 바리바리 싣고 왔어. 그랬는데 친정에서 뭐가 따라왔댜. 따라왔다는데 저녁이 되면 그 마루에다 그 큰 항아리를 데구루루 굴리고, 데구루루 굴리고 막 그런다네. 그래서 식구들이 죄 겁이 나서 죄 저기하고 그랬...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백헌(佰憲), 호는 해관(海觀). 아버지는 동래부사를 지낸 정인학(鄭寅學)이다.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태어났으며, 1885년(고종 22) 22살에 증광문과 병과에 급제하였으며, 4년 뒤인 1889년(고종 26)에는 부교리, 사간을 지내고 이듬해에 응교(應敎), 장령(掌令)을 지냈다. 1891년(고종 28) 28살에는...
-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에 분포하는 식물의 종류. 식물상은 분류학상의 소속이나 명칭으로 생육하는 모든 식물의 종명(種名)을 바르게 정하는 정성적(定性的)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식물상에는 넓이의 개념이 한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한국의 식물상, 미국의 식물상과 같이 넓게도 사용되고, 한라산의 식물상과 같이 국지적으로도 사용된다. 또한 세균 식물상·제3기 식물상과 같이 대분류군(大分...
-
충청북도 음성군의 상·공업자 등이 동종 업계나 조직의 경제적인 이익을 대변하기 위하여 조직한 단체. 경제 단체가 설립되는 가장 큰 이유는 동일 업계나 동일 조직 공동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때로는 정부가 일정한 업종을 영위하는 기업들이나 노동자들이 단체를 구성하도록 유도하기도 한다. 이는 경제 단체가 구성될 경우 업계나 조직의 목소리가 통일되어 정부가 산업 정책을 수...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과실의 수확을 목적으로 과실나무를 재배하는 것을 직업으로 삼는 일. 충청북도 음성군은 사과, 복숭아, 배, 포도, 수박 등 각종 과수의 재배 요건이 우수한 지역이다. 그 중 사과의 재배 요건이 가장 좋아 1970년대 이후로 재배 면적이 크게 확대되었다. 그러나 재배법의 미숙과 소극적인 관리·운영, 무분별한 품종 선택에서 오는 각종 문제점이 야기되자 많은 재배 농...
-
충청북도 음성군의 산업 중 광업과 공업을 포함하는 업종. 광공업은 광물을 탐사, 채굴, 선광하여 제련하는 광업과 1차 산업에서 얻어진 수확물을 원료로 하여 가공하는 제조업을 함께 지칭하는 말이다. 한국산업분류표의 중분류에 의하면 모두 21개 업종을 광공업에 포함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석탄·원유 및 우라늄 광업, 비금속 광물 광업, 음·식료품 제조업, 섬유 제품 제조업, 봉제 의...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재배·생산되는 관상용 식물 및 화초. 원예는 채소, 과일, 화초 등을 심어서 가꾸는 일이나 기술을 말하며 화훼 원예는 이들 원예 식물 중에서도 과수나 채소와 같은 식용이 아니라 분재나 화초 등과 같이 순수히 관상을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원예를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 화훼 원예는 백제 때 중국으로부터 난과 국화, 모란 등을 들여와 왕실의 뜰에서 재배하면서부터 시작되...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향토 민속자료 전시관. 음성 지역의 역사 유물과 조상의 생활 문화 등을 담은 문화 유적과 민속자료 등을 통하여 음성 지역의 역사와 문화 발전상을 알리고 교육하고자 건립되었다. 1993년 8월 4일에 음성군 향토민속자료전시관 공사에 착공하였으며, 1994년 3월 30일에 공사를 완공하였다. 1994년 4월 20일 음성군 향토민속자료전시관을 개관하...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평곡리·석인리에 있는 평야. 음성읍의 평곡리와 석인리의 음성천 유역에 있는 평야 지역이다. 음성팔경의 하나로 평곡리 토계울 냇가의 고기잡이와 풀피리 소리(兎溪漁笛, 토계어적)를 들고 있을 정도로 경치가 좋은 곳이다. 바다뫼(해산)가 변하여 바다미라고 불리기도 한다. 평곡리 토계 앞의 바다뫼들 냇가에서 바다 미역을 채취하였다는 미역바위 전설이 있다. 현재 바다...
-
최온을 시조로 하고 최유창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시조는 ‘해동공자(海東孔子)’로 널리 알려진 최충(崔沖)의 아버지 최온(崔溫)이다. 여러 벼슬을 거친 후 해주의 수양산 아래에서 세거하였다. 이에 후손들이 본관을 해주로 하여 세계(世系)를 계승하고 있다. 후손 중 대표적 인물은 유학의 비조인 최충, 최충의 아들 최유선(崔惟善)과 최유길(崔惟吉)이 있고, 『상정...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 일원에서 매년 8월 감곡복숭아의 홍보와 판매를 위하여 개최하는 지역 축제. 햇사레감곡복숭아축제는 음성의 특산물인 감곡복숭아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재배 농민의 소득 증대를 꾀하기 위하여 복숭아 수확기인 매년 8월 주생산지인 감곡면 일원에서 개최되는 축제이다. 감곡복숭아의 품종은 백도·황도·엘바도가 주종이며, 감곡면의 지형이 동북향은 막히고 남서향이 완...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 일원에서 매년 8월 감곡복숭아의 홍보와 판매를 위하여 개최하는 지역 축제. 햇사레감곡복숭아축제는 음성의 특산물인 감곡복숭아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재배 농민의 소득 증대를 꾀하기 위하여 복숭아 수확기인 매년 8월 주생산지인 감곡면 일원에서 개최되는 축제이다. 감곡복숭아의 품종은 백도·황도·엘바도가 주종이며, 감곡면의 지형이 동북향은 막히고 남서향이 완...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향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행군이는 감곡면 소재지에서 동남쪽으로 약 2㎞ 지점에 자리 잡고 있는 오향2리의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오궁리가 있고, 서쪽으로는 청미천, 남쪽으로는 상평리, 북쪽으로는 왕장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옛날에 마을 안에 살구나무 정자가 있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행공(杏公)이라고도 부른다. 본래 충주군 거곡면 행공리 지역이었...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향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행군이는 감곡면 소재지에서 동남쪽으로 약 2㎞ 지점에 자리 잡고 있는 오향2리의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오궁리가 있고, 서쪽으로는 청미천, 남쪽으로는 상평리, 북쪽으로는 왕장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옛날에 마을 안에 살구나무 정자가 있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행공(杏公)이라고도 부른다. 본래 충주군 거곡면 행공리 지역이었...
-
조선 후기의 유학자. 본관은 우봉(牛峰). 자는 중호(仲浩), 호는 행남(杏南). 아버지는 이함(李涵)이다. 도암(陶庵) 이재(李縡)의 문인이 되어 학문으로 감역(監役)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고, 서울에서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행제리로 내려와 살았다. 세상 사람들이 처사(處士)라 불렀다. 묘소가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행제리에 있다. 문암(文菴) 이의철(李宜哲)이 묘갈을 찬...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의병. 본관은 초계. 자는 행원(行源), 호는 농은(農隱). 내급사공파의 참봉 정국로(鄭國櫓)의 11세손이다. 조부는 중추부사 정민수(鄭民秀), 아버지는 정인희(鄭寅羲)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내송리에서 출생하였다. 부인은 성주현씨(星州玄氏) 현광일(玄光一)의 딸과 해평윤씨(海平尹氏)이다. 을사륵약 이후 전국 곳곳에서 의병들이 궐기할 때 정효...
-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겉씨식물 은행나무목 은행나뭇과의 낙엽 교목. 은행나무는 충청북도 음성군을 상징하는 나무이며, 전통적인 성목수로 수세가 곱고 수명이 길다. 순결하면서도 노력하고 바르게 사는 군민 상과 무궁한 발전과 군민의 화합·단결을 상징하는 나무이다. 열매껍질이 희다 하여 은빛의 ‘은(銀)’ 자와 열매가 살구 비슷하게 생겼다 하여 살구 ‘행(杏)’ 자를 합하여...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행제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행정은 행제리의 중앙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마을의 동쪽으로 신평리가 자리 잡고 있으며, 서남쪽으로는 본대리의 매터골과 본리, 동북쪽으로는 신평리의 아랫강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예전에 오래된 은행나무와 살구나무로 만든 정자가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향정이라고도 부른다. 본래 충주군 법왕면 행정리 지역이었으나...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이루어지는 공공 문제 해결 및 공공 서비스의 생산·분배와 관련된 활동. 지방 행정은 일정 지역 내에서 공공 목적을 위하여 집행되는 일체의 행정 작용으로서 그 특성은 일정한 지방과 지역을 단위로 한 지역 행정이고, 지방 차원의 소정부로서 종합 행정이고, 지역 주민의 행정 수요의 충족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생활 행정을 본질로 한다. 또한 지방 행정을 수행함에 있어...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향6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감곡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약 3㎞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서쪽으로는 이천시 장호원, 동쪽으로는 오궁리, 남쪽으로는 상평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옛날에 살구나무가 많아서 살구나무쟁이라 하였다. 지금의 김택진 가옥 근처에 큰 고목과 우물이 있었다. 주막(묵집·대포집)이 많았고, 장날이면 사람들의 왕래도 잦았다. 본래는 충주군 거곡...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에 속하는 법정리. 행정리와 연제리에서 ‘행’ 자와 ‘제’ 자, 각 한 글자씩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법왕면(法旺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행정리(杏亭里)·연제리(蓮堤里)·천방리(川防里)와 천기면 금정리(金井里)의 일부를 병합하고 형제리라 하여 금왕면에 편입되었다. 1973년 7월 1일...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초계. 자는 향숙(饗叔). 아버지는 호조참의를 역임한 효자 정국노(鄭國櫓)이다. 조선 선조 때에 태릉참봉을 지내고, 봉사(奉事), 찰방(察訪), 부호군(副護軍)을 거쳐 절충장군(折衝將軍)에 올랐다. 만년에 고향으로 내려와 김정현, 조옥 등과 함께 향산의 고사(중국 당나라의 향산거사 백낙천의 향산구로회)를 본받아 칠십회(七十會)를 만들...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향6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감곡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약 3㎞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서쪽으로는 이천시 장호원, 동쪽으로는 오궁리, 남쪽으로는 상평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옛날에 살구나무가 많아서 살구나무쟁이라 하였다. 지금의 김택진 가옥 근처에 큰 고목과 우물이 있었다. 주막(묵집·대포집)이 많았고, 장날이면 사람들의 왕래도 잦았다. 본래는 충주군 거곡...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행제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행정은 행제리의 중앙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마을의 동쪽으로 신평리가 자리 잡고 있으며, 서남쪽으로는 본대리의 매터골과 본리, 동북쪽으로는 신평리의 아랫강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예전에 오래된 은행나무와 살구나무로 만든 정자가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향정이라고도 부른다. 본래 충주군 법왕면 행정리 지역이었으나...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단양(丹陽). 자(字)는 성첨(聖瞻), 호(號)는 향초(香樵). 충신 장충범(張忠範)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장덕우(張悳雨)이다. 장동노는 항상 경로정신이 두터워 부친이 생존시에는 술과 고기를 항상 장만하여 드렸고, 이웃 어른과 노인을 정중히 모셔 부친의 뜻을 기쁘게 하여 드렸다. 부친상(父親喪)을 당하여서도 자신이 늙어서 몸과 마음이...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많이 나는 식품 재료를 이용하여 독특한 맛이 나도록 개발한 음식. 농경지와 산간 지역이 같은 비율을 이루고 있는 지리적 특징이 말해 주듯 음성군의 주요 특산물은 고추와 복숭아, 인삼, 수박 등이다. 이 때문에 음성 지역의 향토음식들은 주로 이러한 특산물을 이용한 것이 대부분이다. 음성 하면 고추를 떠올릴 정도로 고추 생산이 많아서 향토음식으로 흔하게 해먹는 것이...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행해지던 정월대보름 액막이 풍속. 제웅 버리기는 제웅치기, 허재비 버리기라고도 한다. 이 풍속에 대해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정월 상원조에 기록되어 있는데 ‘남녀의 나이가 나후직성(羅睺直星, 제웅직성)에 들면 짚으로 제웅을 만들어 머리 속에다 동전을 집어넣고 정월대보름 전날 초저녁에 길에 버려 액을 막는다’고 하였다. 충청북도 음성군의 풍속도 이와 비슷하다....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이자 효자. 본관은 음성(陰城). 자(字)는 헌지(獻之), 호(號)는 이락(二樂). 충민공 박순(朴淳)의 11세손이고, 효자 박호원(朴浩遠)의 손자이며, 동지중추부사 박진구(朴震龜)의 아들이다. 박정규는 후제 김간(金幹)에게 배우고, 1721년(경종 1)에 생원시에 급제하고 선릉참봉(宣陵參奉)을 지내다가 아산현감(牙山縣監)에 이르렀다. 어렸을...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이루어진 1945년 8·15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역사. 음성군은 1895년 5월 26일 칙령 제98호로 충청북도 음성군이 된 이후 1906년 충주군의 금왕면·생극면·대소면·맹동면·삼성면·감곡면 등 6개 면이 편입되었다. 그후 일제강점기인 1914년에 충주군 소이면의 일부가 편입되었고, 1956년 7월 8일 법률 제393호로 음성면이 음성읍으로 승격되었다. 1...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관성리에 있는 신경정신과 전문 병원.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관성리의 큰바위얼굴조각공원 주변에는 노인치매센터를 운영하는 의료법인 음성정신병원과 알코올 중독요양소를 운영하는 의료법인 현대정신병원이 거의 한 곳에 자리를 잡고 있다. 1998년 4월 6일에 의료법인 음성정신병원 정근희(鄭根喜) 이사장이 의료법인 현대정신병원을 설립하였고, 1998년 6월에 300개...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노리에 있는 일회용 종이컵 용기 제조업체. 식품 위생용 종이 제품 제작·판매를 통한 기업 이윤 창출과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설립되었다. 1998년 3월 19일 현대크린상사(주)가 설립되었다. 2003년 11월 13일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으로 공장을 이전하였다. 소주 컵, 일회용 자판기 컵, 테이크아웃용 컵, 음료용 자판기 컵, 투명 컵, 다용도 그릇...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어렸을 때부터 강개한 기질이 있어 『한서(漢書)』를 읽었고, “대장부가 눈을 씹어 먹고 담비 털로 잠을 자는 괴로움이 있어도 어찌 불가능이 있으랴”하고 열심히 무술을 연마하였는데 그때 남연년이 무술하던 초록바위가 노래기 중말 동쪽 산에 있다. 1689년(숙종 15)에는 부친의 병환에 손가락을 잘라 피를 드리는 효행이 있었으며, 아우 남극년(...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 자는 치정(致楨), 호는 현포(玄圃).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반석평(潘碩坪)의 13세손이다. 아버지는 반우택(潘禹澤)이고, 형은 반진홍(潘鎭洪)이다. 반진간은 효도와 우애로 덕망이 있어 사우간에 공경을 받았다. 고종 때 수직(壽職)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
-
곽경을 시조로 하고 곽영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현풍곽씨(玄風郭氏)는 중국 관서 홍농 사람인 곽경(郭鏡)을 시조로 하고 있다. 곽경은 송나라에서 문연각(文淵閣) 한학사(翰學士)가 되었고, 1133년(인종 11) 일곱 명의 학사들과 함께 고려에 왔다. 1138년(인종 16)에 등과하여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를 지냈고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에 올라 포산...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중현(仲賢), 호는 혜인(兮人). 서예가 유한지(兪漢芝)의 손자이며, 이조참의 유초환(兪初煥)의 아우이다. 1855년(철종 6) 사마시에 급제하여 창릉참봉, 제용봉사, 오위사과 등을 거쳐, 1871년(고종 8) 통례원인의, 한성부주부, 판관을 역임하고, 태조태종추상존호도감낭청을 담당하였다. 1872년 의령현감, 1874년 평강현감, 1...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전승되고 있는 버드나무 가지로 풀피리를 부는 민속놀이. 3월에 행해지는 세시풍속으로 호디기 불기라고도 한다. 3월이면 버드나무가지에 물이 올라 부드러워지고, 껍질이 잘 벗겨진다. 이 시기의 버드나무 잔가지를 꺾어서 호드기를 만들어 부는데, 호드기는 일종의 풀피리라고 할 수 있다. 호드기 불기는 호드기를 만드는 것에서부터 시작되는데, 적당한 굵기의 버드나무 가지를...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전승되고 있는 버드나무 가지로 풀피리를 부는 민속놀이. 3월에 행해지는 세시풍속으로 호디기 불기라고도 한다. 3월이면 버드나무가지에 물이 올라 부드러워지고, 껍질이 잘 벗겨진다. 이 시기의 버드나무 잔가지를 꺾어서 호드기를 만들어 부는데, 호드기는 일종의 풀피리라고 할 수 있다. 호드기 불기는 호드기를 만드는 것에서부터 시작되는데, 적당한 굵기의 버드나무 가지를...
-
병암1리에서는 참외농사가 끝나면 그루갈이로 호박농사 즉 애호박농사를 지었다. 애호박농사에 대해 오덕욱 할아버지는 “참외농사 하구 후반기로 호박을 심어요. 애호박. 수확이 곱이 나오는 거야. 참외 나오는 거만큼 거의 다 나와. 참외농사를 져서 다 끝나고 참외를 뽑아내고 다시 호박을 심는 거야. 그때 호박 시세가 참 좋았어요. 그게 언제 나쁜가 하면은 장마철에 값이 비싼데 그땐 물건...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에 속하는 법정리. 호일리와 산막리에서 ‘호’ 자와 ‘산’ 자, 각 한 글자씩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법왕면(法旺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산직리(山直里)·호일리(湖一里)·치산리(雉山里)·석원리(石院里) 일부와 두의면(豆衣面)의 산막리(山幕里)·신대리(新垈里)의 각 일부 그리고 경기도 음...
-
조선 중기의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여흥(驪興). 자(字)는 미윤(美胤), 호(號)는 호암(湖巖). 민홍로(閔弘魯)의 아들이다. 민휘계는 집안이 가난하여 낮에는 산에 가서 나무를 하고, 밤에는 경전(經典)을 읽으면서 생활하니 몸에 걸칠 옷이 없을 정도였다. 그러나 형제간에 우애가 두터워 한 상에서 밥을 먹고 한 이불에서 자고 같이 글을 읽으면서 잠시라도 떨어지지 않아...
-
어머니가 충청도는 조용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아랫동네에 있는 사람의 딸을 통해 중신을 넣었다. 그 딸이 지부네(생극 부근)에 살고 있었는데, 그 이웃에 현재 남편의 당숙이 살고 있었다. 그렇게 “연줄 연줄을 통해서” 1950년, 당시 21세에 이곳으로 시집을 오게 되었다. 남편은 경주이씨 ‘이경우’씨로 당시 29세였다. 혼인을 하기 위해 아버지와 전라도에서 기차를 타고 음성역으로...
-
3월 22일 강당말 마을회관 할머니방에서 김숙자 할머니의 혼인 이야기를 듣던 중 주변에 앉아 있던 할머니들로부터 예전에 강당말에서 행해지던 혼인 풍속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주로 김숙자 할머니, 김영수 할머니(73세), 이성순 할머니(29년생, 79세) 등이 적극적으로 이야기해 주었다. 다른 할머니들도 너도나도 끼어들어 얘기를 해주어서 미처 카메라가 따라가지 못할 정도였다. 신...
-
1962년 음력 12월 초 닷샛날, 할아버지 26살, 할머니 23살에 혼인을 했다. 중매는 김장일 할아버지 사촌 당고모가 했는데 당고모가 박재순 할머니 옆 동네에 살아서 올케 언니가 당고모한테 중신을 부탁했다. 신랑감 세 명을 보여주었는데 그 중 제일 좋은 사람으로 할아버지와 혼인을 하신 거라 말씀한다. “뻥이 반이여. 손재주도 좋고 머리도 좋고 어느 공장에 가서 어느 무슨 공장장...
-
혼인이야기를 듣기 위해 먼발치에서 이야기를 듣고 계시던 김금자 할머니를 오덕욱 할아버지 옆으로 모셔왔다. 뭘 그런 걸 물어보냐면서 두 분 모두 멋쩍은 웃음을 보였다. 오덕욱 할아버지가 21세, 김금자 할머니가 20세였던 1955년에 혼인하였는데 당시에는 스무살만 되면 혼인을 하였다고 설명해 주었다. 오덕욱 할아버지의 부인인 김금자 할머니는 1936년 경기도 율면에서 4녀 중 첫째로...
-
남편은 청송심씨, ‘심대웅’씨로 전라도 광주에서 살다가 아주 어릴 때 병암1리로 이사를 왔다. 시아버지는 광주에 살고 있을 때 일찍 돌아가셨다고 한다. 남편의 형제로 남동생만 있었고, 남동생의 장모가 한복실 할머니 친정 근처에 살고 있어서 그 분의 중매로 혼인을 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잘 사는 줄 알고 시집을 왔는데 와보니 속아서 왔다며 거듭 말하였다. “여기는 어떻게 소개해 가지...
-
김숙자 할머니의 당고모부가 자기 며느리 친정에 중신을 넣어서 혼인이 이루어졌다. 울산이씨 ‘이윤섭’씨로 당시 23세였고 군인이었다. 남편은 할아버지 대부터 강당말에 살았다고 한다. 신랑은 4남 2녀 중 넷째로 시집을 왔을 때 시부모님과 형님 부부, 시동생 2명이 살고 있었다. 그리고 혼인하고 3년 만에 시어머니가 돌아가셨는데, “어머니 정을 못 붙여서 시어머니 정을 붙여서 살면...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 자는 찬교(讚敎) 또는 원춘(元春), 호는 홍암(弘菴). 시조 반충(潘忠)의 19세손이다. 조부는 설포 반진홍(潘鎭洪), 아버지는 두산 반달순(潘達淳)이다. 부인은 옥구장씨(沃溝張氏)로 장기화(張基華)의 딸과 단양장씨(丹陽張氏)로 장동관(張東觀)의 딸 그리고 순천박씨(順天朴氏)로 박두현(朴斗鉉)의 딸이다. 1903년에 법부법률...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성본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홍창골은 성본리의 남부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최성미가 자리잡고 있고, 남쪽으로는 부윤리, 서쪽으로는 소석리의 참나무배기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예전에 마을 안에 사창(社倉)이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홍창곡(弘倉谷)이라고도 불린다. 본래 충주군 소탄면 성산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성본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홍창골은 성본리의 남부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최성미가 자리잡고 있고, 남쪽으로는 부윤리, 서쪽으로는 소석리의 참나무배기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예전에 마을 안에 사창(社倉)이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홍창곡(弘倉谷)이라고도 불린다. 본래 충주군 소탄면 성산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청용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이곳 지형이 청용의 꼬리 부근에 해당된다고 하여 조룡미라 불리었다. 본래 충주군 천기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영청리와 용산리 일부를 병합하여 영청의 ‘청’자와 용산의 ‘용’자를 따서 청용리라하여 삼성면에 편입되었다. 골짜기로는 영청골 남서쪽에 가진개라는 골이 있고, 뒷산과 용산...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덕정리에 있는 전통 사찰. 화암사는 1938년에 김승원(金承元)이 옛 절터에 절을 세우고 청진암(淸眞庵)이라 부른 데서 연유하고 있다. 조선총독부에서 1942년에 간행한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에는 “덕정리 북방 이백문의 계곡에 있다. 초석과 와편이 존재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1996년에 충주산업대학교 박물관이 조사하여 간행한 『음성군...
-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자는 자룡(子龍), 시호는 안양(安襄). 할아버지는 양촌 권근(權近)이고 아버지는 지재(止齋) 권제(權踶)이다. 형으로 권람(權擥)이 있다. 여러 번 과거를 보았으나 급제하지 못하다가 음보(蔭補)로 현릉(顯陵)의 능지기가 되었고 후에 상서원승(尙瑞院丞)에 이르렀다. 형 권람과 함께 계유정난에 가담하여 1455년(세조 원년) 수충경절좌익공신(輸忠勁節...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덕정리에 있는 전통 사찰. 화암사는 1938년에 김승원(金承元)이 옛 절터에 절을 세우고 청진암(淸眞庵)이라 부른 데서 연유하고 있다. 조선총독부에서 1942년에 간행한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에는 “덕정리 북방 이백문의 계곡에 있다. 초석과 와편이 존재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1996년에 충주산업대학교 박물관이 조사하여 간행한 『음성군...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신평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황골은 금왕읍의 법정리이자 행정리에 속하는 신평리의 중앙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자연 마을이다. 남쪽으로는 역시 신평리의 자연 마을인 도도물이 있고, 서북쪽으로는 아랫강거리와 접하고 있다. 황곡(黃谷)이라고도 불린다. 본래 충주군 법왕면 신평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신평리에 속하여...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신평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황골은 금왕읍의 법정리이자 행정리에 속하는 신평리의 중앙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자연 마을이다. 남쪽으로는 역시 신평리의 자연 마을인 도도물이 있고, 서북쪽으로는 아랫강거리와 접하고 있다. 황곡(黃谷)이라고도 불린다. 본래 충주군 법왕면 신평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신평리에 속하여...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쌍정리에 있는 목공예품 생산 기업. 고품질의 목공예 제품을 일반에게 제공하여 목공예 예술의 대중화와 문화적 만족을 얻게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김종석은 지방의 목공예품 공장에서 오랜 동안 목공예 기능을 연마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1980년대 후반 황산아트라는 목공예품 생산 기업을 지금의 자리에 설립하여 20여 년째 운영하고 있다. 목공예품으로는 소품과 대...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과 생극면에서 서식하던 황새과에 속한 새. 황새는 황새목 황새과의 조류로 학명은 Ciconia boyciana이며, 1968년 5월 31일 천연기념물 제19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천연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한국에 서식하는 황새는 러시아와 중국 북동부 및 일본 등에서 번식하는 황새와 같은 아종...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각회리에 있는 산. 과거에 황새(백로)가 산에 많이 날아 왔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북서부의 생극면 경계에는 우등산이, 동쪽에는 덕골이, 북쪽에는 여우골 등의 골짜기가 있다. 그리고 각회리 덕동에서 금왕읍 쌍봉리로 넘어가는 곳에는 덕고개가 있다. 황새봉의 서사면에서 흘러내린 물이 서쪽으로 흘러 구계저수지로 흘러든다. 또한 황새봉 동사면에서 흘러내린 물은...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용촌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황새자리는 용촌리의 중앙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자연 마을이다. 마을의 동남쪽으로는 역시 용촌리의 자연 마을인 덴언덕이 있고, 서쪽 역시 용촌리의 자연 마을인 용머리와 골말이 접하고 있다. 예전에 황새가 많이 날아들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맹동면 용계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
-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서 황토를 이용하여 천에 물을 들이는 천연 염색법. 예부터 황토는 건축 재료로 집의 벽체나 바닥, 부엌아궁이 등을 쌓고 바르는 데 사용하였으며, 토기나 기와 등의 요업 원료뿐만 아니라, 논이나 밭의 토양을 개량하기 위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황토는 황토·적토·주토·황적토·적황토 등이 있는데, 음성 지역의 황토는 주로 가는 모래로 되어 있으며 다량의 탄산칼슘을 함...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파평. 자는 군서(君瑞), 호는 회당(晦堂). 좌의정 윤사흔(尹士昕)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윤교명(尹敎明)이다. 지금의 경기도 양근군 남시면 지탄리에서 출생하였다. 어머니는 고령신씨로 신각모(申慤模)의 딸이다. 부인은 영월신씨로 신석하(辛錫河)의 딸이다. 1866년(고종 3) 병인양요가 일어나자 아버지가 가족을 데리고 청풍의 산중...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성공(聖功)이라 하다가 후에 회숙(晦淑)으로 고쳤다, 할아버지는 정혁선(鄭赫先)이며, 아버지는 좌의정을 지냈던 정석오(鄭錫五)이다. 1745년(영조 21)에 음보(蔭補)로 돈령부참봉(敦寧府參奉), 사옹원봉사(司饔院奉事)를 지내고 5년 뒤인 1750년(영조 26)에는 광흥창수(廣興倉守)가 되었다. 이듬해 개령현감에...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 출신의 문신이자 효자. 본관은 음성. 자는 경지(敬之). 고조부는 충민공 박순(朴淳), 아버지는 박윤진(朴胤陳)이다. 부인은 해평윤씨로 사과 윤렬(尹洌)의 딸, 그리고 전주이씨로 군수 이회(李檜)의 딸이다. 박유경은 부친에게 공부하여 문장을 잘 짓고 학우가 많았으며, 효행이 지극하여 명정(命旌)되었다. 장사랑(將仕郞)으로 있던 1519년(중종 14)에 기묘...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청주. 자는 효백(孝伯), 호는 삼소헌(三笑軒). 선무공신 고응연(高應淵)의 9세손이고, 아버지는 고우한(高羽漢)이며, 어머니는 순천박씨이다. 고봉래(高鳳來)는 품성이 온화하였으며, 12세에 학문에 몰두하여 몇 년 만에 문리(文理)에 통달하였다. 17세가 되면서는 낮에는 밭을 갈고 밤에는 글을 읽었다. 후학을 가르치니 문하에서 많은...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도청리에 있는 현풍곽씨의 효열 행적을 기리는 비. 1969년 성균관 유림에서 추천하여 정인상의 아들인 정조헌이 1978년 건립한 비각인 상모각(常慕閣) 안에 시아버지인 효자 정일옥의 효자비, 정규영 효자비, 남편인 정인상 효자비와 함께 놓여 있다. 비 앞면에는 ‘효부유인현풍곽씨기적비(孝婦孺人玄風郭氏紀蹟碑)’라고 쓰여 있다. 현풍곽씨의 효열 사실은 『한국효열록...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인.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효선(孝先). 할아버지는 반석권(潘碩權)이며, 아버지는 선교랑(宣敎郞) 반사렴(潘士濂)이다. 1557년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였고 효성이 깊었다. 1598년(선조 31) 효행으로 천거되어 국자감주부(國子監主簿)에 제수되었으나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다. 정경세(鄭經世), 이준(李埈) 등...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충도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조용하와 열녀 평택임씨의 효열각. 본관이 순창인 조용하와 처 평택임씨는 아버지가 병환으로 의식이 불명하자 손가락을 잘라 피를 먹여 의식을 돌아오게 하였다. 그후 언젠가는 조용하가 병이 들어 생사의 갈림길에서 헤매자 부인 임씨가 손가락을 잘라 피를 흘려 넣어 병을 낫게 하였다. 이와 같은 효행과 효열이 세상에 알려지자 고종 때 조...
-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서 전통시대에 부모를 효성으로 극진하게 섬긴 자녀. 효 사상은 삼국시대에 이미 전개되었다. 고구려에서는 태학(太學)에서 오경(五經)과 중국의 사서들을 교육하였고, 신라도 국학(國學)에서 『논어(論語)』와 『효경(孝經)』 등을 교육하였다. 고려시대에는 국자감(國子監)을 설치하여 유교 경전을 학습하고, 『논어』와 『효경』을 필수 과목으로 하여 유교적 충효 사상을 중...
-
이 효열각은 윤기손, 윤기진 형제의 효성과 윤득성의 처 청풍김씨의 정절을 기리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윤기선, 윤기진 형제는 부모에 효성이 극진하였다. 어머니가 병으로 드러 누워 있으면서 고생을 하였는데 한여름에 기러기 고기가 먹고 싶다고 하였다. 그래서 신령님께 열심히 백일기도를 드린 결과 기러기 고기를 구하여 드리고 어머니가 운명하기 직전에 자기 손가락을 잘라 어머니에게 피를...
-
주추배기 는 웃오갑마을과 과거에 한 마을이었다가 분리가 되어 지금은 그 경계가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두 마을의 경계라고도 할 수 있는 중간 지점에는 방아다리들이라고 하는 매우 넓은 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현재는 복숭아밭으로 이용되고 있다. 주추배기로 들어서 경로당을 찾아가 할머니들에게 주추배기마을의 자랑거리가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서 여쭤 보니, 모두들 입을 모아 ‘효자각’에 대...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이자 의병. 본관은 단양(丹陽). 자는 효칙(孝則). 생원 장언구(張彦玖)의 아들이며, 부인은 청풍유씨(淸風劉氏)이다. 음보(蔭補)로 벼슬에 나아가 군자감주부(軍資監主簿)가 되었는데,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채유종(蔡有終), 조웅(趙熊) 등 여러 사람과 의병을 일으켜 5백여 명을 모아 6년간 싸우면서 가는 곳마다 승승장구하였다. 1597년(선조...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자직(子直), 호는 동강(東岡). 예조판서 조형(趙珩)의 아들이며, 할아버지는 승지 조희보(趙希輔)이다. 조상우는 1657년(효종 8) 17세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천거되어 세자익위사세마(世子翊衛司洗馬)·연천현감(連川縣監)을 지냈다. 1675년(숙종 1)에는 스승인 송준길(宋浚吉)이 삭직을 당하자 홍득우(洪...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에 속하는 법정리. 지역이 후미진 곳에 있다하여 후미리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 소파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후미1리, 후미2리, 후미3리의 일부를 병합하여 후미리라 하고 음성군 소이면에 편입되었다. 후미1리에는 매봉산과 미름산이 있다. 후미3리에는 월포산, 두루봉[132m], 갈미봉이 있다. 또한 후미리에는 아래고개, 무너미...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후미리에 있는 고려 전기의 석탑. 석탑은 부처님의 사리를 봉안하기 위해 마련된 공간으로 일반적으로 사찰의 중심에 세운다. 후미리의 석탑도 절터의 중심에 세웠던 것으로, 원래는 5층이었으나 현재 1층만 남아 있다. 후미리 석탑이 있는 후미리 사지의 창건 시기나 연혁을 알려주는 고문헌 기록은 없다. 단지 1942년에 간행된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에 처음으로 “후...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후미리 동막골과 탑상골에서 발원하여 후미리 동양말과 양짓말로 흐르는 하천. 후미천은 후미리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하천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동북쪽의 충주시 불정면 삼방리와의 경계에는 어래산[383m]이 있고 동남쪽의 소이면 문등리에는 316고지가 있으며, 어래산과 316고지로 이어지는 동부는 산지로 되어 있다. 후미리의 북단에는 동양말에서 불정면 삼방리로 넘...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병암리에 있는 자동차용 플라스틱 사출성형 제품 제조업체. 고객 만족 및 친환경 경영을 추구하며 플라스틱 사출성형 전문 업체로 성장하여 끊임없는 발전과 기업 이윤 추구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 활성화에 보탬이 되고자 설립되었다. 1986년 5월 30일 인천광역시 북구 작전동에서 대성I.P(주)로 설립되었다. 1987년 12월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으로 확장·이전하...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산. 자는 휴경(休卿).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신오성(申五星)이다. 자세한 행적은 알 수 없으며, 경종 때 대사간(大司諫)에 추증되었다....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평산. 자는 취경(聚卿), 호는 휴정(休停). 어사 신윤평(申尹平)의 후손이며 신대방(申大防)의 아들이다. 벼슬이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1689년(숙종 15) 인현왕후(仁顯王后) 폐비에 반대하고 귀향한 뒤 대궐을 향하여 통곡하고 서궁(西宮)을 배례하는 절의를 지켰다. 대사헌에 추증되었다....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본관은 광산. 호는 희근(希芹). 증조부는 주부 김덕항(金德恒), 아버지는 통덕랑 김기효(金起孝)이다. 어머니는 초계정씨로 음성현감 정경례(鄭景禮)의 증손녀이며, 부인은 전의이씨로 진사 이수전(李壽全)의 딸이다. 12세에 사서에 통달하여 학문과 문장이 뛰어나 통덕랑에 제수되었으나 평생 독서만 하였다.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에 묘가 있...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본관은 광산. 호는 희근(希芹). 증조부는 주부 김덕항(金德恒), 아버지는 통덕랑 김기효(金起孝)이다. 어머니는 초계정씨로 음성현감 정경례(鄭景禮)의 증손녀이며, 부인은 전의이씨로 진사 이수전(李壽全)의 딸이다. 12세에 사서에 통달하여 학문과 문장이 뛰어나 통덕랑에 제수되었으나 평생 독서만 하였다.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에 묘가 있...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 자는 희순(羲舜), 호는 죽재(竹齋). 판서 반석평(潘碩坪)의 후손이며, 반진두(潘鎭斗)의 아들이다. 반성순은 학식이 뛰어나 향리에서 신망이 두터웠고, 후학들로부터 추앙되었다....
-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자는 계수(季守), 호는 희암(希菴)·송국주인(松菊主人). 아버지는 현령 윤해(尹海)이다. 한성에서 출생하여 4세에 책을 읽고 글씨를 써서 세상 사람들이 신동이라 칭하였다. 1554년(명종 9) 정산(鼎山) 박형(朴泂)의 문인이 되어 장차 대유(大儒)가 될 인물이라 하였다. 1580년 이조판서 윤국형(尹國馨)의 천거로 희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노리의 안가마골에 있는 무송윤씨의 재실. 원남면 하노리에 무송윤씨(茂松尹氏)들이 들어와 살기 시작한 것은 3백여 년 전이다. 당시 무송윤씨의 시조인 윤양비(尹良庇)의 14대손 윤청(尹暒)이 현종(顯宗) 때 경상북도 상주에서 살다가 원남면 하노리 능촌에 세거한 것이 처음이다. 희암재(希庵齋)는 1965년에 세운 것으로, 희암(希庵)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학...
-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에 서식하는 까마귀과의 새. 소규모 무리생활을 하며 몸 길이는 45㎝, 날개 길이는 19~22㎝로 까마귀보다 조금 작은데, 꽁지는 까마귀보다 더 길어 대략 26㎝에 이른다. 머리·가슴·윗면은 금속성 광택이 나는 검정색이고 어깨와 배·허리는 흰색으로 암·수가 같은 빛깔이다. 음성군을 상징하는 새로 반가운 소식을 전하여 주는 아름다운 길조이며, 누구에게나 친근감을...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본관은 음성(陰城). 자(字)는 희천(希天), 호는 오촌(梧村). 박서(朴犀) 장군의 20세손이고, 박기혁(朴基赫) 아들로 태어났으나 큰아버지 박지혁(朴趾赫)에게 양자로 입양되었다. 자기가 사는 오류골의 이름을 따서 호를 정하였다. 박시중은 어질고 효행이 깊었으며, 온화하고 공손하며 겸손하였다. 누구라도 착하지 않으면 사귀지 않았고, 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