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김제문화대전 > 김제향토문화백과 > 삶의 이야기(구비전승과 어문학) > 구비전승 > 민요·무가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무당이 구연하는 사설이나 노래. 무가는 무(巫)에 의하여 무속적 제의에서 가영(歌詠)되는 구비물이다. 무는 무속의례를 집전하는 주제자이며, 신분은 특수 계층에 속한다. 원래 무는 무속의례를 집전하는 여자만을 지칭하였고, 남자에 대해서는 격(覡)이라는 말을 사용하였다. 오늘날에도 무라고 하면 주로 여자 무당을 일컬으며, 남자 무당에 대해서는 박수·박사·화랭이...
-
전라북도 김제 지역의 민중 속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져 전해 내려오는 노래. 민요는 예로부터 민중들 사이에 자연 발생적으로 오랫동안 불려오던 소박한 노래이다. 전문적인 소리꾼에 의해 불리는 통속민요와 각 지방에 따라 불리던 소박하고 향토적인 토속민요로 구분된다. 민요는 민중들의 사상·생활·감정 등을 담고 있으며, 작사자·작곡자가 따로 없고 민중들 사이에서 구전되어 전해 오는 노래이다...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장터의 각설이가 기층들의 한과 아픔을 풍자에 섞어 노래한 민요. 「각설이 타령」은 백제가 나당 연합군에 의해 멸망한 후 지배계층이 나그네로 혹은 거지·정신병자·병신 등으로 위장하여 걸인 행각을 하거나, 광대·백정·줄타기 등의 재인으로 전락하여 불렀던 구전민요이다. 음지에 사는 인간들이 속악한 세상을 향하여 던지는 야유, 풍자, 해학, 무심, 허무, 영탄 등은...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모심기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 「모심기 노래」는 논에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이다. 논농사는 무엇보다도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논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서로 호흡을 맞추고 일의 능률을 높이기 위해서 「모심기 노래」 같은 노동요가 불리게 되었다. 특히 김제 지역은 ‘징게맹게 외애밋들’이라고 하는 금만경평야가 있기 때문에 수많은 「모심기 노래」...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논에 모를 심으면서 부르는 소리. 노동요는 일의 지루함을 잊고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부르는 노래이다. 「상사소리」는 모를 심으면서 부르는 소리로, 약간 빠른 4박자로 되어 있으며 늦은 잦은몰이 장단에 맞는다. 선소리꾼이 어깨에 북을 메고 소리를 하면 모를 심는 사람들이 뒤에서 받아서 소리를 하는 육자배기토리로 되어 있다. 시김새가 단순하며 소박하게 들린다...
-
전라북도 김제 지역의 상례의식에서 상여를 메고 갈 때 부르는 의식요. 「상여 소리」는 우리나라에서 전통 장례의식을 치를 때 상여를 나르면서 부르는 장례의식요이다. 이를 「오행 소리」라고도 한다. 죽은 사람의 상여가 집을 떠나면서부터 관을 장지에 내리는 순간까지 상당히 긴 시간을 부르게 된다. 이때 소리를 먹이는 사람 그리고 상주와 문상객들이 소리를 나누어서 부른다. 소리를 먹이는...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온갖 새들의 울음소리와 그에 얽힌 뜻을 엮어서 부르는 민요. 「새타령」은 온갖 새들의 울음소리와 노는 모습을 그린 남도민요이다. 판소리 「적벽가」에 나오는 새타령과 달리 전라도 새타령은 육자배기토리를 사용하며 즐거운 느낌을 준다. 조선 후기 헌종 때의 이석순, 철종 때의 명창 박유전와 이날치, 고종 때의 이동백 등이 전라도 「새타령」을 잘 부른 것으로 전해지...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가신(家神)인 성주에게 복을 빌기 위해 부르는 민요. 「성주풀이」는 집 자체의 내력, 과거에 행한 일, 가장(家長)이 건강하고 돈을 잘 벌기를 바라는 소원을 담은 무가로 성주굿·안택(安宅) 등에서 구연된다. 굿거리 장단에서 경토리로 된 유절무가는 민요화되어 민요 「성주풀이」가 되었다. 1981년 10월 입석 줄다리기 연습 무렵에 농민들에게서 채록한 자료가 1...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일원에서 농업노동요를 부르면서 농사일을 하는 전통 민속놀이. 만경(萬頃)은 글자 그대로 풀면 두둑이 만개라는 뜻으로, 이는 곧 들이 넓다는 뜻이다. 금만평야의 광활한 농토에 사는 사람들은 대부분 농경과 관련되어 생활을 한다. 금만경 들놀이는 ‘품앗이’, ‘두레’ 등 집단적인 공동 작업이다. 모심기와 김매기, 벼베기, 등짐하기 등 농사일을 하는 가운데 피로를...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음력 정초에 걸립패가 집집마다 돌며 지신을 달래고 복을 비는 민요. 「지신밟기요」는 정월 초사흗날부터 대보름까지의 사이에 지신을 진압함으로써 악귀와 잡신을 물리치고 마을의 안녕과 풍작을 기원하는 벽사진경(辟邪進慶)을 목적으로 부르는 민요이다. 지신밟기는 지방에 따라서 ‘마당밟기’, ‘매구[매귀(埋鬼)]’, ‘걸립(乞粒)’, ‘걸궁’ 등이라고도 한다. 괭과리·...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칠성신이 되는 유래를 밝혀 주는 서사무가. 「칠성풀이」는 칠성신의 근원을 풀어 밝히는 서사무가이다. 이를 「살풀이」, 「성신굿」, 「문전분풀이」 등이라고도 한다. 「칠성풀이」는 전국적인 전승 분포를 보이는 서사무가 유형의 하나로, 마음씨 나쁜 계모로부터 죽음을 모면한 전실 소생의 아들들이 칠성신이 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칠성신의 명칭은 함흥의 「살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