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김제문화대전 > 김제향토문화백과 > 삶의 주체(성씨와 인물) > 전통시대인물 > 유생·학자
-
조선 후기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 낙향한 문신이자 유학자.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사우(士遇), 호는 주은(酒隱). 나중우(羅仲佑)의 6세손이다. 나협(羅悏)은 이이(李珥)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아울러 김장생(金長生)으로부터 학문과 덕을 쌓았다. 1575년(선조 8) 성균관 생원(生員)에 급제한 뒤 여러 번 승진하여 1607년(선조 40) 남대(南臺)[학행(學行)이 높다고 인정되...
-
조선 전기 김제 출신의 학자. 본관은 김제(金堤). 자는 가헌(可獻), 호는 백천당(百千堂). 아버지는 공조참판을 역임한 조원우(趙元祐)이며,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조윤침(趙潤琛)[1476~1545]은 어려서부터 글을 즐겨 읽고, 효성 또한 극진하여 주위의 칭송이 자자했다. 사람을 대하는 데 성(誠)과 예(禮)를 다했고, 생활은 한 치도 예의범절에 어긋남이 없었다. 중종 때에 조...
-
조선 후기 김제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김제(金堤). 자는 복행(福行), 휘(諱)는 환복(煥福). 아버지는 조익성(趙翊成)이다. 조환용(趙煥容)은 1823년 전라북도 김제에서 태어났다. 그가 활동하던 조선 후기에는 지방의 납세 물품을 납세자들이 직접 지정된 창고가 있는 데까지 운반하게 되어 있었다. 배를 이용하여 물품을 운반하는 군현민은 그나마 고통이 덜하지만 김제와 금구, 만경,...
-
조선 후기 김제 출신의 자선가. 김천석(金千石)은 순조 때 지금의 김제시 백학동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가계에 대해서 밝혀진 기록은 없다. 그는 찰방(察房) 고씨의 머슴으로 있으면서 근검절약하여 재산을 모아 이웃들이 가뭄이나 재난을 당할 때마다 식량을 고루 나누어 주는 등 인정을 베풀었다고 한다. 결혼을 하지 않아 자손이 없던 김천석은 김제시 황산면 용마리 고잔마을에서 세상을 떠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