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전에는 농사만 지어 가지고는 먹고 살기가 힘들어 마을 사람들은 겨울에 산에서 나무를 하다가 음성읍내 또는 무기(금왕) 읍내에 지고 나가서 팔아 생계를 유지하기도 하였다. 겨울에 시골에서는 돈이 되는 사업이 없는 관계로 많은 마을 사람들이 나무를 하여 땔감이 필요한 읍내 사람들에게 팔았다. 나무뿐만 아니라 부녀자들은 솔방울까지 따다가 팔아 생계에 보탰다. 마을 사람들은 나무 장사,...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인곡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마을이 나비처럼 생긴 큰 산 밑에 있다 하여 나분테라는 이름이 붙었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忠州郡) 맹동면(孟洞面)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송동과 하묵리 일부를 병합하여 맹동면에 편입되었다. 인곡리는 연안이씨가 살면서 단이곡, 단화동, 인곡이라 하였으며, 나분테,...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음력 2월 초하루에 나이 수대로 떡을 만들어 먹는 풍속. 예전부터 음력 2월 1일은 머슴날·일꾼날·나이떡 먹는 날이라고 하고, 한자어로는 노비일(奴婢日)·중화절(中和節)·중농일(重農日)이라고도 하였다. 이날은 자신의 나이 수대로 송편을 빚어 먹기 때문에 이날 먹는 송편을 나이떡이라 하고, 또 이날을 ‘나이떡 먹는 날’이라고 하였다. 한편 나이떡은 설날의 떡국과도...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자는 기지(耆之), 호는 나재(懶齋) 또는 청허자(淸虛子). 아버지는 부사를 지냈던 채신보(蔡申葆)이며 할아버지는 사예(司藝) 채윤(蔡倫)이다. 채수는 1468년(세조 14)에 생원시에 급제하고 1469년에 추장문과(秋場文科)에 장원하여 홍문관부수찬(弘文館副修撰)에 제수되었고, 춘추관기사관(春秋館記事官)이 되어 『세조실...
-
정덕성을 시조로 하고 정수곤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시조는 신라 때 사람인 정덕성(丁德盛)이다. 그는 원래 중국 당나라 사람으로 853년(문성왕 13)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도(押海島)에 유배되어 와 정착하였다. 실학을 집대성한 다산 정약용(丁若鏞)이 그 후손으로 그들이 나주정씨(羅州丁氏)의 주축을 이루고 있다. 정약용·정약전(丁若銓)·정약종(丁若鍾) 세 형제는...
-
조선 중기 무송윤씨 충청북도 음성군 입향조. 본관은 무송. 자는 자신(子新), 호는 낙옹(樂翁). 군자감정(軍資監正) 윤이관(尹李寬)의 아들이다. 1660년(현종 1) 경상북도 상주군에서 살다가 천연두가 크게 유행하자 이를 피하기 위해 선대의 고향인 경기도 여주군으로 가던 도중에 충청북도 음성군 당곡(唐谷)[지금의 하당리]에서 외숙부인 주부(主簿) 반운익(潘雲翼)을 만나 하노리 능...
-
※ 조사일: 2007년 1월 11일 ※ 조사지: 음성군 소이면 비산3리 마을회관 앞 마당 ※ 조사자: 황경수, 박종호, 고유리, 윤정아 ※ 구연자: 안병창 할아버지 (64세) 비산3리 돌뫼마을에서 만난 안병창 할아버지(64세)는 나이에 비해 아직도 건장한 체격에 청년 같은 모습이었다. 기억력도 매우 좋고, 이야기를 매우 조리 있게 하는 모습이었다. 할아버지는 돌뫼마을에서 태어나 자...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덕삼(德三), 호는 난계(蘭溪), 자호는 난곡(蘭谷). 음성의 시거조(始居祖) 김덕항(金德恒)의 증손이고, 김기제(金起悌)의 손자이며, 삼화부사 김각(金珏)의 둘째아들이다. 부인은 함양박씨로 조부는 현감 박내창(朴乃昌)이며, 아버지는 박상채(朴尙采)이다. 아들은 김중화(金重華)이다. 김일관(金一觀)[1684~172...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선비.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덕삼(德三), 호는 난계(蘭溪), 자호는 난곡(蘭谷). 음성의 시거조(始居祖) 김덕항(金德恒)의 증손이고, 김기제(金起悌)의 손자이며, 삼화부사 김각(金珏)의 둘째아들이다. 부인은 함양박씨로 조부는 현감 박내창(朴乃昌)이며, 아버지는 박상채(朴尙采)이다. 아들은 김중화(金重華)이다. 김일관(金一觀)[1684~172...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복원(服元), 호는 난파(蘭坡). 주부 반운익(潘雲翼)의 8세손이고, 반경제(潘景濟)의 아들이다. 반면주는 음성문묘 중수 때 도유사로 책임을 완수했고, 향시시관(鄕試試官)을 네 번이나 역임했다. 가풍이 있는 집안에서 자라 탁월한 품행으로 이름을 떨쳤다고 전하는데, 당시 음성현감 정현석(鄭顯奭)은 ‘겸손한 마음은 근...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한벌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예전에 한 스님이 마을로 시주를 하러 왔을 때 마을 사람들이 스님에게 일은 안하고 시주만 다닌다고 탓하면서 바랑에 인분을 한 바가지 퍼 넣었다. 이에 스님이 동네는 참 좋은데 앞산에 날이 서 있어 좋지 않으니 날을 끊으라고 하였다. 동네 사람들은 그 말에 따라 앞산의 날을 끊었다고 한다. 그 후 동네가 쇠하여 갔으며, 마을 이름도...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백선(伯善), 호는 남강(南岡). 서예가 유한지(兪漢芝)의 손자이며, 사복시판관 유능환(兪能煥)의 형이다. 1849년(헌종 15) 진사가 되고 1863년(철종 14) 문과에 급제하였다. 학문이 깊고 문장에 능하며 선대 3대의 필법(筆法)을 이어받아 글씨가 정묘(精妙)하였다. 벼슬에 나아가 정언, 교리, 사성, 승지, 대사간을 거쳐 이조...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경주. 자는 여망(汝望), 호는 남곡(南谷). 상촌 김자수(金自粹)의 후손으로, 증조부는 십청헌(十淸軒) 김세필(金世弼), 아버지는 별제 김중경(金重慶)이다. 어머니는 전주이씨로 보성군 이만년(李萬年)의 딸이다. 부인은 창녕성씨로 부제학 성진선(成晋善)의 딸이다. 아들로 김진곤(金振坤)·김약곤(金躍坤)·김우곤(金遇坤)이 있다. 김의는...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아버지는 남흔(南炘)이다. 1924년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유촌리에서 태어났다. 음성군 소이면과 금왕면에서 부면장을 역임하였다. 1961년 6월 금왕면장 재임 중 1965년에 퇴임하였다. 1975년 금왕농업협동조합장으로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1979년에는 『음성군지』 편집위원으로 활약하며 애향심 고취에 공헌하기도 하였다. 1989년 향년 66세로...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음성향교 앞에 있는 일제강점기 때의 구장 남궁은의 송덕비. 묘표형의 비석으로 가첨석은 없다. 전체 높이는 119㎝, 앞면 폭 46㎝, 측면 폭 19㎝의 규모이다. 비신 중앙에 ‘삼구장남궁은송덕비(三區長南宮恩頌德碑)’라 쓰여 있고, 왼쪽에 송덕 사실을 4언시로 옮겨놓았다. 사언시의 내용은 “십년 간을 부지런히 근무하였으니 좋도다 그 말씀이여! 사사로운...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 남기설은 1909년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에서 출생하였으며, 본관은 의령(宜寧)이다. 충북공립농업학교를 졸업하였다. 1941년 경기도 산업과 근무를 시작으로 서울에서 공무원으로 활동하다가 1952년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으로 내려와 원남면에서 근무하였다. 1956년 원남면장으로 임명되었다. 면 행정 발전과 지역사회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음성군...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1923년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 노래기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남윤원(南允源)이다. 음성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1941년 윤규섭·유근배·최규동 등과 흑민단(黑民團)을 조직하여 독립운동을 펼쳤다. 1942년 체포되어 대전지방법원에서 재판을 받고 약 1년간의 옥고를 치른 뒤 집행유예로 석방되었다....
-
조선시대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열녀. 본관은 청주(淸州). 고형진(高亨鎭)의 딸이고, 남석기(南錫驥)의 처이다. 고씨는 나이 17세에 시집을 갔으나 수개월 만에 남편이 병이 나고 시어머니도 병이 들었다. 손가락을 끊어 남편과 시어머니에게 차례로 피를 먹여 소생하게 하였다. 얼마 후 남편이 사망하자 장도를 품고 평생을 수절했다....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남석린(南錫麟)[1852~1918]은 1876년(고종 13)에 무과에 급제하고, 1887년(고종 24) 영월군수, 1891년(고종 28) 나주영장·삼수군수를 역임하였다. 1900년(고종 37)에 고향으로 돌아와 음성읍에 광명학교(光明學校)를 개설하고 박제익(朴齊翼), 조충하(趙忠夏), 남궁모(南宮模) 등과 함께 협력하여 교육 사업을 하여 지...
-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1889년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소여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남호중(南鎬重)이다. 천도교 음성교구에서 활발한 선교 활동을 하였다. 1923년 종리원(宗理院) 종리사에 임명되었고, 교인들과 함께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모금한 쌀을 천도교 중앙회에 보내는 직책을 맡았는데, 그 쌀이 독립군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면서 1925년 7월 일본 경찰에 연행...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충장공 남연년(南延年)의 9대손이자, 청양현감 남병추(南秉樞)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부인은 함평이씨로 이필헌(李弼憲)의 딸이다. 1875년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 천복동에서 출생하였다. 1891년(고종 28)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이 되었고, 1893년(고종 30) 별군직참하, 1897년(고종 34) 친위대부위,...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몸과 마음이 균형 있고 운동 기능이 있는 건강한 어린이, 기초 학습 능력을 기르고 생각과 느낌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어린이, 다양하고 흥미 있는 일의 세계와 지식·정보화 교육을 이해하는 능력 있는 어린이, 기본 생활 습관을 바르게 행하며 이웃과 나라를 사랑하는 기본자세를 갖춘 예절 바른 어린이, 미래를 대비하는 아름답고 다...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삼생리에 있었던 공립 초등학교인 남신초등학교의 분교. 1935년 7월 16일 삼생간이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같은 해 8월 27일 삼생개량서당을 보수하여 음성공립보통학교 부설 삼생간이학교로 개교하였다. 1936년 제1회 졸업식을 통해 20명(남자 16명, 여자 4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1938년 4월 1일 조선교육령 개정에 의하여 음성제2공립심상소학...
-
홍은열을 시조로 하고 홍재모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홍은열(洪殷悅)을 시조로 하는 남양홍씨(南陽洪氏)는 한국의 대표적인 가문의 하나로서 당홍(唐洪)과 토홍(土洪) 두 계열로 나눈다. 남양홍씨 당홍의 세계(世系)는 시조의 12세손에서 13파, 그밖의 2파, 도합 15파로 대별되는데, 그 중 벼슬을 지낸 내력과 후손의 수가 많은 파로는 남양군파(南陽君派)·문정공파...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어렸을 때부터 강개한 기질이 있어 『한서(漢書)』를 읽었고, “대장부가 눈을 씹어 먹고 담비 털로 잠을 자는 괴로움이 있어도 어찌 불가능이 있으랴”하고 열심히 무술을 연마하였는데 그때 남연년이 무술하던 초록바위가 노래기 중말 동쪽 산에 있다. 1689년(숙종 15)에는 부친의 병환에 손가락을 잘라 피를 드리는 효행이 있었으며, 아우 남극년(...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상노리에 있는 조선 후기 충신 남연년의 정려각. 1728년 무신난(戊申亂, 이인좌의 난) 때 청주영장(淸州營將)으로 순절한 조선 후기의 무신인 남연년(南延年)[1653~1728]의 충절을 기리는 정려각이다. 남연년의 본관은 의령, 자는 수백(壽伯)이다. 1676년(숙종 2) 무과에 급제, 선전관을 거쳐 1727년(영조 3)에 청주영장이 되어 토포사를 겸하였다...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태종의 부마(駙馬) 남휘(南暉)와 정선공주의 손자이고, 아버지는 남빈(南份), 어머니는 현감 홍여공(洪汝恭)의 딸이다. 부인은 태종의 외손인 좌의정 권람(權擥)의 4녀이다. 1457년(세조 3) 17세의 나이로 무과에 장원급제하여 세조의 지극한 총애를 받았다. 1467년에 이시애(李施愛)가 난을 일으키자 우상대장(右廂大...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상업적 목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특화 작물. 원산지는 남아메리카 중앙부 고원지이며, 1558년 스페인 왕 필립2세가 원산지에서 종자를 가져와 관상용 및 약용으로 재배하면서부터 유럽에 전파되었다. 현재는 북위 60°에서 남위 40°에 걸쳐 전 세계에서 재배되고 있다.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품종으로는 재래종과 황색종, 벌리종(Burley), 터키종 등이 있다. 이...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태초(太初), 호는 낭간(琅玕)이다. 사인(舍人) 유사근(柳士根)의 아들이며 조부는 한성부판윤 유호(柳滸)이다. 연균(緣筠) 유계분(柳桂芬)이 큰 조카이다. 유성원은 1444년 문과에 급제한 후 『의방유취(醫方類聚)』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3년 후에는 문과 중시에 합격, 집현전 학사를 지내며 세종의 총애를 받았다....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제내리와 수곡리에서 ‘내’ 자와 ‘곡’ 자 각 한 글자씩을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법왕면(法旺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제내리(堤內里)·수곡리(水谷里)·고봉리(高峯里)가 통합되어 내곡리라 하고 금왕면에 편입되었다. 1973년 7월 1일 금왕면이 금왕읍으로 승...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용대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용대리 중앙 지역에 위치한 마을로, 동쪽으로 바위안, 남쪽으로 마봉산, 서쪽으로 밥깨울과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의 지형이 삼태기처럼 둘러싸인 산 중간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충주군 두의곡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율리와 내내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삼생4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에서 서쪽으로 약 6㎞ 지점인 삼생리 서쪽 지역에 위치한 마을로 동쪽으로는 바깥섬이, 서남쪽으로 구진테고개와 각각 접하고 있다. 섬이 안쪽에 있는 마을로 함박산·옥녀봉·매봉재의 각 세 봉우리의 중앙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음성군 근서면 지역으로 삼싱이라 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동음리 일부와 맹...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주봉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백마산 아래 주봉리 안쪽 골짜기에 있다 하여 내동 또는 안골이라 하였다. 본래 충청북도 음성군 남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내동과 마피동 일부를 병합하여 이곳에 있는 주봉사라는 절 이름을 따서 주봉리라 하고 원남면에 편입되었다. 주봉리에는 내동, 수암, 덕문재, 서당골, 구밭매, 가경재, 봄미터...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소여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 읍사무소 소재지에서 서북쪽으로 약 5㎞ 지점인 소여1리의 남쪽 지역에 있는 마을이다. 소여1리 남쪽의 안쪽 깊은 골짜기에 있다 하여 안골이라 불린다. 본래 음성군 근서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산양테, 주천, 내동, 대촌, 선가동, 족지곡을 병합하여 소여리라 하여 음성면에 편입되었다....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봉곡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금왕읍 읍사무소 소재지에서 서남쪽으로 약 6㎞ 지점인 봉곡2리 중앙 지역에 있는 마을이다. 마을 남쪽으로는 오향골, 북쪽으로는 평짓말, 동쪽으로는 절골과 각각 접하고 있다. 예전에 부자가 많아 다부(多富)내라 하였으며, 다부내 중 가장 안쪽에 있다 하여 안다부네 또는 내봉(內逢)이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 지역이었으나 19...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에 속하는 행정리. 본래 충주군 사다면(沙多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영산리(領山里)·미산리(美山里)·대죽리(大竹里)·사산리(沙山里)의 일부와 진천군 만승면 검성리·사산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내산리라 하여 대소면에 편입되었다. 대소면의 경계에는 낮은 산이 있고, 마을 앞으로 실원천이 흐른다. 유역에 넓은...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삼생4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에서 서쪽으로 약 6㎞ 지점인 삼생리 서쪽 지역에 위치한 마을로 동쪽으로는 바깥섬이, 서남쪽으로 구진테고개와 각각 접하고 있다. 섬이 안쪽에 있는 마을로 함박산·옥녀봉·매봉재의 각 세 봉우리의 중앙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음성군 근서면 지역으로 삼싱이라 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동음리 일부와 맹...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태생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마을 생수가 좋고 많이 나서 생골이라 하였으며, 그 안쪽에 있다 하여 내생(안생골)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대조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생동, 태티리의 일부와 천기면의 법평리 일부, 사다면의 천곡리를 병합하여 대소면에 편입되었다. 태생리는 새미실...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에 속하는 법정리. 내동과 송당리에서 각 한 글자씩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금목면(金目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내동리(內洞里)·송당리(松堂里)·시일리(時日里) 일부를 병합하고 내송리라 하여 금왕면에 편입되었다. 1973년 7월 1일 금왕면이 금왕읍으로 승격되었다. 184m의 산이 있으나...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내숙(內叔), 호는 월창(月窓). 광양군(光陽君) 안황(安滉)의 증손이고, 동몽교관 안시수(安時秀)의 아들이다. 1666년(헌종 7)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정원가주서를 지냈다. 1670년 주서에 임명되었으며 1674년 이후 장령, 필선, 정언을 거쳤다. 1680년(숙종 6) 다시 장령, 정언이 되어 유명견·...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주천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마을 서쪽의 냇물 지형이 행주형(行舟形)으로 되어 있는데 이곳은 배가 머무는 항구로 배의 안쪽이라 하여 배내라 하고, 안쪽 골짜기라는 뜻으로 골배내라 하였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忠州郡) 감미곡면(甘味谷面)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청미천 냇가에 있었으므로 주내·주천이라 하였다.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사정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에서 북쪽으로 약 6㎞ 지점인 사정리의 중앙부 지역에 위치한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강당말, 서쪽으로는 본말·벌터, 북쪽으로는 황새골과 각각 접하고 있다. 사정리의 벌터 안쪽 골짜기에 있다 하여 안말이라 한다. 본래 음성군 근서면 지역으로, 모래우물이 있어 모래물 또는 사정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강당리...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동음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에서 서쪽으로 약 6㎞ 지점에 위치하며, 동쪽은 신천리와 소여리, 서쪽은 맹동면, 남쪽은 삼생리, 북쪽으로는 감우리 보현산과 각각 접하고 있다. 조선시대 음성현의 사창(社倉)이 있어 창골이라 했다. 또한 일제강점기 때 금광 발파를 하기 위한 탄약창이 있어 창골이라고도 했다. 본래 음성군 근서면 지역에 속하여 동음암이라 하였다...
-
이명희 할아버지(73세)는 비산1리가 비석거리로 불리게 된 유래에 대해 이야기해 주었다. 비석은 현재, 비석거리 입구에 마을 보호수와 함께 자리하고 있는데, 그 역사가 오래된 만큼 부식이 되어서 비석에 쓰인 정확한 이름조차 알 수가 없는 상황이라고 하였다. 할아버지는 비석이 있는 위치를 손으로 가리키며 말을 이었다. “여기는 비산리 1구인데 자연부락명은 비석부락. 저…, 저기 저...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봉곡리에 있는 전력·통신 케이블 제조업체. 전력·통신 케이블 제조를 통하여 기업의 이윤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3년 2월 (주)대영전선을 설립하였다. 1994년 KS 마크를 획득하였다. 1996년 9월 제1공장, 1999년 3월 제2공장을 각각 등록하였다. 1999년 3월에는 대영전선과 대호전선 상표를 등록하였다. 19...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전주. 자는 유응(幼應), 호는 노가당(老稼堂). 귀천군(龜川君) 이수(李晬)의 5세손으로, 직재 이기홍(李箕洪)의 손자이며, 경묵당 이시성(李蓍聖)의 아들이다. 어려서 가학(家學)을 계승하여, 중형 이능제(李能濟)와 같이 윤봉구(尹鳳九) 문하에서 배워 덕을 쌓았다. 1755년(영조 31) 안윤중(安允中)이 올리는 상소에 가담하였다...
-
충청북도 음성군의 노동자 계층이 생활 조건 유지·향상을 위해 벌이는 조직적인 운동. 노동 운동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노동조합 운동이나 노동 운동이 모두 노동조합 운동인 것은 아니다. 노동 운동은 목적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째로 생산자로서의 임금 노동자들이 임금과 노동 시간 등 노동 조건의 유지·개선을 목적으로 벌이는 노동조합 운동이다. 둘째로 선거권을 가진...
-
병암1리 산신제가 끝나고 그 다음 날인 2월 20일에 마을 잔치가 끝나자 마을회관 여자 방으로 마을 할머니들이 모두 모였다. 할머니들에게 옛날이야기와 노래를 들려 달라고 하자 모두 고원남 할머니를 추천하였다. 고원남 할머니는 일명 ‘태수할머니’로 앞서 2월 8일 병암1리를 찾아 갔을 때도 마을 분들이 입을 모아 노래를 잘한다고 이야기해준 할머니이다. 고원남 할머니는 올해 82세로...
-
병암1리 노인회 회장은 이순복 할아버지(31년생, 77세)가 맡고 있고, 총무는 오덕욱 할아버지가 맡아서 하고 있다. 노인회 회원은 남녀 합쳐서 27명이며, 그 중 남자가 10명, 여자가 17명이다. 노인회 회원들은 마을에서 젊은 사람들에게 농사방법 등 많은 생활의 조언들 주고 특히 오랜 기간 산신제를 지내며 쌓은 경험으로 꾸준히 산신제를 이끌어 나가고 있다. “노인회는 확인해가...
-
조선 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단양. 자는 보도(普道), 호는 노포(老圃). 문헌공(文獻公) 장정필(張貞弼)의 후손이며 장석문(張錫文)의 아들이다. 장덕우는 부모에 대한 효성이 극진하였으며 형제와 이웃 간에 우애가 돈독하였다.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고 실천함에 게을리 하지 않았다. 어머니가 병이 나자 목욕재계하고 하늘에 빌며 눈물을 흘리니 그 눈물이 마르지 않았...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내송리에 있는 (주)녹십자의 제품 생산공장. (주)녹십자는 국내 생명 공학 산업을 선도해 온 대표적인 연구 개발 중심 기업이다. 1967년 창립 이후 혈액분획제제 사업을 시작하였으며,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분야에서 국제적인 생명 공학 전문 기업으로 성장하였다. B형 간염 백신, 유행성 출혈열 백신, 수두 백신, AIDS 진단 시약 등의 개발로 바이오 의약품 분...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본대리에 있는 (주)놀부엔비지의 제품 생산공장. (주)놀부엔비지의 전국 체인점에 보낼 제품을 생산·조달하기 위한 생산 거점 공장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일조하고자 건립되었다. 1987년 3월 골목집 설립을 시작으로, 1987년 5월 놀부보쌈을 설립하였다. 1990년 1월 (주)농원식품으로 법인을 전환하였다. 1991년 3월 음성공장을 준공하였으며, 1993년...
-
충청북도 음성군에 있는 농·어촌 지역에 주민의 소득 증대를 위해 조성된 공업 단지. 농·어촌의 지역 주민이 농업 또는 어업과 병행하여 공장에도 취업할 수 있도록 하여 도시 지역과의 경제적 격차를 해소함과 더불어 도·농 간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농·어촌 지역에 조성된 공업 단지이다. 1983년 말 제정된 농어촌소득원개발촉진법에 의해 농공단지가 지정되었으며, 이듬해 전국...
-
오덕욱 할아버지는 따로 직장을 다녀본 적이 없고 계속 농사만 지었다. 어릴 때부터 집안이 부유하였는데 오덕욱 할아버지가 군대를 가서 잠시 집안이 기울었다가 제대 후 다시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 집안이 일어났다. “옛날에 우리 조부님이 때는 생극면 부자 노릇 했었어요. 몇 년도인지 몰라? 8·15 해방 전이지. 4학년 때인가? 장마 져서 70마지기를 떠내려 보낸 겨 홍수에다가. 지...
-
이명희 할아버지(83세)는 정자에서 비산1리 동쪽에 형성된 산등성이를 바라보며 과거에 농사를 짓기 위해 만든 소류지와 샘에 대해 이야기를 하였다. “저기 다 전부 농토였지 뭐. 버들골이라는 데는 거기가 그냥 골짜긴데 생수라는 큰 샘이 있었어. 그래서 거기서 내려오는 물로 농사를 짓고 화상골에서 내려오는 도랑물로 농사를 짓고, 짐너머에는 논이 없고 밭이 많았는데, 소류지를 하나 만...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매년 설성문화제 기간에 개최하는 농악경연대회. 음성의 농악경연대회는 매년 설성문화제 기간에 음성군의 읍과 면에 있는 농악단이 실력을 겨루는 경연대회이다. 1982년 1회 대회를 시작으로 2007년 26회를 치르고 있다. 농악경연대회는 1982년 음성의 향토 축제인 설성문화제를 개최하면서 각 읍·면별로 농악경연대회를 시작하였다. 농악경연대회를 통하여 농악을 계승하...
-
이진말에는 풍물패가 없었는지 여쭈니 오덕욱 할아버지는 예전에는 농악놀이를 많이 했다고 했다. 달집 태우러 올라갈 때도 치고, 내려와 집집마다 지신밟기를 하러 다니면서 치기도 했다. 들에 일을 하러 나갈 때도 농악을 치면서 나가고, 농요를 신명나게 부르기도 했다. 그러나 지금은 농악을 잘 치던 분들이나, 농요를 잘 부르던 이들도 다 돌아가셔서 예전처럼 놀 수가 없다고 하였다. 예전...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토지를 이용하여 인간에게 유용한 동·식물을 길러 생산물을 얻어내는 활동. 농업은 토지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거나 가축을 사육하여 의식주에 필요한 자재를 생산하는 인간의 경제 활동 중 가장 기본이 되는 1차 산업이다. 농업은 유기적인 생물을 생산하기 때문에 토지와 기후 등 자연 조건에 크게 좌우되며 그 방법과 내용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안동(安東), 자(字)는 성시(性施), 호(號)는 농은(農隱), 증조부는 권종석(權鍾奭), 아버지는 권영목(權寧穆)이며, 어머니는 수원백씨(水原白氏)이다. 13세에 정덕영(鄭德永)의 딸과 결혼하여 3남 1녀를 두었다. 증조부 권종석의 유훈을 받아 남다르게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의 뜻을 한 번도 거역한 일이 없었다. 모친 수원백씨의 가정...
-
조선 말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의병. 본관은 초계. 자는 행원(行源), 호는 농은(農隱). 내급사공파의 참봉 정국로(鄭國櫓)의 11세손이다. 조부는 중추부사 정민수(鄭民秀), 아버지는 정인희(鄭寅羲)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내송리에서 출생하였다. 부인은 성주현씨(星州玄氏) 현광일(玄光一)의 딸과 해평윤씨(海平尹氏)이다. 을사륵약 이후 전국 곳곳에서 의병들이 궐기할 때 정효...
-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에 있는 인삼·약용 작물 중점 연구소. 고려인삼과 약용 작물을 국가의 성장 동력 산업으로 발전시키고 부가 가치를 증대하여 소득 향상과 농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자 2007년에 대통령령 제20079호에 의거, 설치되었다. 인삼 재배와 효능 연구를 담당했던 한국인삼연초연구원이 1996년 인삼산업법에 따라 민영화되면서 업무가 농림부로 이관되면서 2002년...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오선리에 있는 (주)농협목우촌의 계육 가공공장. (주)농협목우촌은 1995년부터 ‘깨끗하고 신선한 자연의 선물’을 슬로건으로 하여 전라북도 김제에 최첨단 가공 공장을 설치하고 순 국내산 원료를 사용하여 햄, 삼겹살, 냉동식품 등 고품질의 안전한 축산물을 공급하고 있다. ‘우수 축산물 브랜드 인증’, ‘마케팅상’, ‘히트 상품 선정’ 등 정부와 언론 기관,...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에 있는 농협중앙회의 음성 지부. 음성군 지역 농업인의 권익을 향상하고, 조합원들의 복지를 증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9년에 농협중앙회 음성군지부가 설립되었다. 1988년 6월 1일에 농협중앙회 음성군지부 문화지소를 설립하였고, 1993년 11월 30일에는 농협중앙회 음성군지부 읍내지소를 설립하였다. 1997년 11월에는 소이농업협동조합을 흡수·...
-
2월 28일 사정1리 경로회장을 맡고 있는 김장일 할아버지를 만나기 위해 강당말 경로회관에서 굽이굽이 골목을 지나 마을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할아버지댁으로 찾아 갔다. 집 앞 밭에서 한가롭게 일광욕을 즐기고 있는 누렁 암소가 우리를 먼저 반겨 주었다. 마당으로 들어서자 외양간을 가득 채운 농기구들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왔다. 지게, 쇠스랑 등 지금은 보기 힘든 농기구들과 오래된 나...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마룻바닥을 지면보다 높게 지어 사방을 볼 수 있도록 만든 누각이나 정자. 누정은 전통시대 자연 경관과 어우러져 휴식과 학문을 행하던 공간이다. 일반적으로 이름 뒤에 누(樓)·정(亭)·각(閣)·당(堂)·정사(精舍)·대(臺)·원(院)·헌(軒)·재(齋)·와(窩) 등의 명칭이 붙는데, 누·대·정 등은 유관(遊觀)의 공간에, 객사·각·원 등은 공공건물에, 헌·당·재·와...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문암리에 있는 산. 『대동지지(大同地志)』산수조에는 음성현 서남쪽 40리 떨어진 곳에 있는데 청안현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문암리 남쪽의 눌문리(일명 누구리) 마을에 있는 산이라서 붙어진 이름이다. 원남면 문암리 송곡(일명 송개올) 북쪽에 있는 산으로 음성군 원남면과 괴산군 도안면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동북쪽에는 원남면 보천리 서쪽의 종지봉...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활동한 문신. 본관은 충주(忠州). 자(字)는 창세(昌世), 호(號)는 눌재(訥齋). 아버지는 성균관진사 박지흥(朴智興)이고, 어머니는 생원 서종하(徐宗夏)의 딸이다. 박상은 성품이 강직·충정하였으며 문장이 뛰어났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강직하며 몸가짐이 정숙하여 언행을 함부로 하지 않았다. 1496년(연산군 2)에 진사가 되었고, 1501년(연산군...
-
문촌리의 5개 리 중 가장 큰 마을인 문촌2리는 ‘늘거리’라고 불리고 있었다. 마을 어른들에게 늘거리라는 지명에 대해서 물어보니 예전에는 늘허리라고 불렀다고 말을 해 주었다. 늘거리 마을회관 오른쪽에는 좁은 길이 있다. 이 길은 ‘물고개’라고 불리며 예전에 우물이 마을회관 자리에 있어 물을 떠가기 위해 오갔던 길이라 물고개라 부른다 한다. 물고개를 넘어 가면 오른쪽으로 왜가리들이...
-
문촌리는 마을의 경계와 이름이 자연부락명이 쓰여 있는 푯말로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다. 하지만 생소한 단어인 ‘늘거리’라는 말만 보고는 마을의 이름이 왜 ‘늘거리’인지는 정확하게 알 길이 없었다. 늘거리에 대해서 더 명확하게 알기 위하여 어른들이 있는 마을회관을 찾아갔다. 마을회관에는 여러 켤레의 신발이 놓여 있었으며, 신발이 많은 것으로 보아 어르신들이 많이 있다는 것을 짐작할...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초천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능골은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초천리 남쪽에 위치하는 마을로, 서북쪽으로는 풋내와 샛골, 동쪽으로는 밤나무재와 접하고 있다. 예전에 마을 어귀에 큰 능이 있었기 때문에 능골[陵谷]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본래 충청북도 음성군 근서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덕전리를 병합하여 초천리라 하고 음성면에 편...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초천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능골은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초천리 남쪽에 위치하는 마을로, 서북쪽으로는 풋내와 샛골, 동쪽으로는 밤나무재와 접하고 있다. 예전에 마을 어귀에 큰 능이 있었기 때문에 능골[陵谷]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본래 충청북도 음성군 근서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덕전리를 병합하여 초천리라 하고 음성면에 편...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에 속하는 행정리. 능동(陵洞)에서의 ‘능(陵)’자와 황산(黃山)의 ‘산(山)’자를 따서 현재의 이름으로 되었다. 본래 충주군 두의곡면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능동·황상·신대·산직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능산리라 하여 삼성면에 편입되었다. 산직말에는 팔승산[377m]이 있고 뒤쪽에는 십자산이 있으며, 능동 서...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능산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절 바른 생활 태도와 자세를 가지고 이웃과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씨를 가진 어린이, 기본 생활 습관화와 바른 가치관 형성으로 생각과 행동이 올바른 어린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고 사고하여 창의성을 지닌 어린이, 튼튼한 몸과 아름다운 마음을 가꾸는 어린이, 우리의 ‘효’ 전통을 익히고 실천하며 지역 공동체와 함께 하는 어린이 육...
-
구존유를 시조로 하고 구만재를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음성군 세거 성씨. 능성구씨(綾城具氏)의 시조는 고려 말 검교상장군(檢校上將軍)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을 지낸 구존유(具存裕)로 신안주씨(新安朱氏) 주잠(朱潛)의 사위이다. 주잠이 1224년(고종 11) 송나라의 한림학사(翰林學士)로 있을 때 몽골의 침입을 피하여 고려로 망명하여 능성(綾城)[현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마을에 양촌 권근 삼대(권근·권제·권람) 묘소가 있는데, 묘소 크기가 꼭 능만 하다고 하여 능안이라 하였다. 본래 충청북도 충주군 생동면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고, 방축동에 야동리 일부를 병합하여 생극면에 편입되었다. 양촌 권근 삼대묘소를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에서 이곳으로 이장한 후로 능안이라 하였다....
-
조선 말기의 무신. 본관은 무송(茂松). 자는 군익(君翼), 호는 능호(凌湖). 아버지는 윤택진(尹宅鎭)이다.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노리에서 출생하였는데, 날 때부터 기골이 장대하였다. 1861년(철종 12) 무과에 급제하여 선공감역이 되었다가, 1870년(고종 7) 승지 민병승(閔丙承)의 천거로 훈련원첨정이 되어 훈련원도정에 올랐다. 1882년 임오군란이 일어나자 사직하고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