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운악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1913
한자 雲岳山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기도 포천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정흥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517년 - 「운악산」 저자 양사언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584년 - 「운악산」 저자 양사언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626년 - 「운악산」을 수록한 『봉래시집』 간행
배경 지역 운악산 -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화현리
성격 한시
작가 양사언

[정의]

조선 전기 포천 출신의 양사언이 포천 운악산을 찾아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개설]

「운악산(雲岳山)」은 조선 전기의 문인 봉래(蓬萊) 양사언(楊士彦)[1517~1584]이 경기도 포천의 명산 운악산을 찾아가서 느낀 당시의 감흥을 표현한 한시이다. 「운악산」양사언의 시집 『봉래시집(蓬萊詩集)』 권(卷) 2에 수록되어 있다. 양사언은 포천에서 태어나고 묻힌 포천의 인물로서, ‘영평 8경’을 비롯하여 왕방산, 반월산 등 포천의 여러 명승지에 대한 시를 남겼다. 운악산운악산 안에 있는 현등사 또한 포천의 명승지로서, 조선 시대 많은 문인(文人)들의 창작의 대상이 되었다.

[내용]

천작고산압진방(天作高山壓震方)[하늘이 높은 산 만들 때 동쪽에 솟게 하고]

방명류전소금강(芳名流轉小金剛)[아름다운 이름 소금강이라 전하였네]

위봉율율참소한(危峯聿聿參霄漢)[아슬아슬하게 높은 봉우리 그려 내니 하늘과 나란하고]

적취창창접대황(積翠蒼蒼接大荒)[푸른 기운은 하늘 밖까지 이었구나]

천상범종뢰발향(天上梵鐘雷發響)[하늘에선 범종 소리 우레처럼 울리고]

수두금찰일분광(樹頭金刹日分光)[나무 뒤의 금빛 사찰은 햇빛처럼 빛나네]

유연하시삼천계(猶然下視三千界)[나직이 아래로 삼천 세계 내려 보니]

안저건곤량요망(眼底乾坤兩窅茫)[눈 밑에 하늘과 땅 모두 아득하여라]

[의의와 평가]

성호(星湖) 이익(李瀷)[1681~1763]은 『성호사설(星湖僿說)』「시문문(詩文門)」에서 “사람들은 그의 글씨가 진속(塵俗)을 벗어난 줄만 알고, 그의 시가 세상 사람의 말이 아니라는 것은 알지 못한다.”라 하고 양사언의 「제발연반석상(題鉢淵磐石上)」을 들어 칭송하였다. 이 시에 대해서는 허균(許筠)[1569~1618]도 “선표발속(仙標拔俗)”이라는 평을 한 바 있다. 또한 「증최고죽(贈崔孤竹)」이라는 시는 널리 인구에 회자되었다고 하며, 「장항령(獐項嶺)」이라는 시는 「동문선(東文選)」에 수록되어 있다. 양사언의 한시는 이러한 평가를 받고, 오늘날까지도 사람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