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주봉리에 있던 철강 구조물 생산업체. 철강 구조물 생산의 전문화를 통해 관련 산업을 발전시키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주)타이거엔지니어링은 철강 구조물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수도권 공장 증설 규제에 따라 안산공장과 합병하여 2006년 11월 13일에 설립되었다. 2007년에 타이거구조건설(주)로 개칭되었다. 2008년 7월 9일 최종...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정월 대보름날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며 행하던 모의(模擬) 타작놀이. 보리타작놀이라고도 하는 타작놀이는 가농작(假農作), 또는 내농작(內農作)의 일종인 모의 타작놀이이다. 가농작은 풍농을 기원하던 의례적 놀이로, 종류도 다양하고 전국적으로 행해졌다. 조선시대에는 농사의 중요성을 알리고 풍농을 기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궁중에서 행한 기록들이 있는데, 민간의 것보다 규...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효자. 본관은 한양. 자는 탁이(卓爾), 호는 삼외옹(三畏翁). 아버지는 조변(趙卞)이다. 1605년(선조 38)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유촌리 가평(가래들)에서 출생하였다. 황실해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성품이 온아하고 효성이 지극하였다. 아버지가 병석에 눕자 향을 피우고 아버지 대신 죽기를 하늘에 빌었으며, 대변을 맛보아 가며 아버지를 정성껏...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에 있었던 조선시대 도로 이름. 탄현(炭峴)을 순우리말로 숯고개라고 한다. 따라서 탄현 소로를 숯고개 소로라고도 하였다. 탄현은 부용산과 가섭산의 중간에 있는 고개로, 옛날부터 충청북도 음성현에서 충주현으로 통하는 교통로로서 매우 중요하였다. 현재는 충청북도 음성읍에서 충주시 신니면으로 연결되는 지방도로 변모하였다. 고문헌에 따르면 탄현 소로는 충청북도...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4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음성읍 읍사무소 소재지에서 북쪽으로 약 5㎞ 지점인 용산4리 북부 지역에 있는 마을이다. 동쪽으로 가섭산, 서쪽으로 부용산, 남쪽으로 지검말, 북쪽으로 무수막과 각각 접하고 있다. 예전에 숯을 많이 구웠다 하여 숯고개 또는 탄현(炭峴)이라 불린다. 본래 음성군(陰城郡) 동도면(東道面)에 속해 있던 지역으로 1912년 조선총독부에...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무극리 보현암에 있는 고려 전기의 석조 불상. 보현암 석조약사여래좌상은 한 덩어리의 화강암을 다듬어 주형거신광(周形去身光) 형태로 만들어졌고, 좌불상과 광배를 정교하게 부조하였으며, 뒷면은 둥글게 처리하였으나 정교하지는 않다. 불상의 현존 상태는 오른쪽 하단의 광배 일부가 파손되었으나 전체적으로 양호한 편이다. 머리에는 낮은 육계가 남아 있고 두건을 쓴 듯한...
-
정산말 바로 건너편에 탑골말이 있다. ‘탑골’, ‘중탑골’로도 불리는 마을로, 예로부터 7층석탑이 서 있는 마을이라서 ‘탑골’이라고 불리는 곳이라고 한다. 하지만 연방계장인 민병두 할아버지(77세)는 “어떤 놈들이 글쎄 탑을 다 훔쳐갔지 뭐야. 그래서 지금 서 있는 탑은 가짜여. 그냥 모양으로 세워 놓은 거지.” 할아버지의 이야기는 매우 충격적이었다. 문화재로서 가치가 있기에 이...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청주. 자는 태경(台卿), 호는 퇴암(退庵). 선무공신 고응연(高應淵)의 증손이고, 호조참의 고경후(高景厚)의 둘째 아들이다. 형제는 고몽설(高夢說)이 있다. 고상설(高相說)은 1680년(숙종 6)에 무과에 급제하였고, 벼슬은 첨정(僉正)을 거쳐 첨절제사(僉節制使)에 이르렀다. 일을 처리함에 있어 법도에 맞는 것으로 널리 알려졌다....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큰골은 용산1리의 서부 지역에 있는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 역시 용산1리의 자연 마을인 거린내가 있고, 남쪽으로는 윗생골, 서쪽으로는 소여리의 자연 마을인 수릿내와 각각 접하고 있다. 태곡(泰谷)이라고도 불린다. 본래 음성군 동도면 사인동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용산리에 소속되어 음성면에 포함되었다. 그 후...
-
1744년 주응동이 주희의 영정을 봉안하기 위하여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에 건립한 사당. 음성 태교사의 설립자인 주응동(朱應東)의 본관은 신안(新安)이고 자는 광여(光汝)이다. 음성 출신으로, 주희(朱憙)[1130~1200]의 26대손으로 알려져 있다. 음성 태교사는 1744년(영조 20)에 주응동이 조선 초기의 문신 김여지(金汝知)[1370~1425]가 명에서 가져온 주희...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에 있는 태교사에서 제향하는 유교 의례. 태교사는 1744년(영조 20)에 주응동이 안성에 거주하는 김문웅으로부터 주자의 영정을 기증받아 주씨 문중에서 문곡영당이라는 사당을 세운 것이 시초였다. 서원훼철령으로 철폐되었다가 복구되면서 사당의 명칭을 태교사라 고치고 매년 춘추향제를 지내왔다. 제관은 음성군수·부군수·운곡서원과 관련된 음성 유림 중에서 유덕한...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신천리에 있는 산. 임금의 태(胎)를 묻었다는 전설로 태봉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음성분지에 위치하고 있는 음성읍 신천리의 남쪽에 태봉이 있다. 태봉의 서쪽에는 신천리의 주주골이, 동쪽에는 찬샘뜰 등의 자연 마을이 있고 주주골에는 주주방죽이라는 소류지가 있으며, 그 아래에도 방죽들이 있다. 찬샘뜰에는 참샘이들 평야가 있다. 태봉 서쪽에 있는 주주골에는...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에 속하는 행정리. 태티리의 ‘태’자와 생동의 ‘생’자, 한 글자씩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본래 충주군 대조면(大鳥面)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생동(生洞)·태티리[太峙里]의 일부, 천기면의 법평리 일부와 사다면의 천곡리를 병합하고 태생리라 하여 대소면에 편입되었다. 서낭고개(안생골~소석리 소댕이)가 있...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태생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태인말은 태생리 북동부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남쪽으로는 외생이 자리 잡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삼성면 천평리의 자연 마을인 소천곡과 태생리의 자연 마을인 새미실과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 뒷산인 태미봉을 넘는 큰 고개가 있다고 하여 태인말로 불리는데, 태치리(泰峙里)라고 부르기도 한다. 본래 충주군 대조면 태치리 지역이었...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태초(太初), 호는 낭간(琅玕)이다. 사인(舍人) 유사근(柳士根)의 아들이며 조부는 한성부판윤 유호(柳滸)이다. 연균(緣筠) 유계분(柳桂芬)이 큰 조카이다. 유성원은 1444년 문과에 급제한 후 『의방유취(醫方類聚)』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3년 후에는 문과 중시에 합격, 집현전 학사를 지내며 세종의 총애를 받았다....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태생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태인말은 태생리 북동부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남쪽으로는 외생이 자리 잡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삼성면 천평리의 자연 마을인 소천곡과 태생리의 자연 마을인 새미실과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 뒷산인 태미봉을 넘는 큰 고개가 있다고 하여 태인말로 불리는데, 태치리(泰峙里)라고 부르기도 한다. 본래 충주군 대조면 태치리 지역이었...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미곡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텃골(미곡리)은 미곡2리의 남부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마을의 동북쪽으로는 갯골이 자리잡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진천군 이월면 미잠리가 있다. 기곡(基谷)이라고도 불린다. 본래 충주군 대조곡면 미곡리 지역이었으나 1906년에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정곡리 일부와 사다산면의 우두리 일부와 함께 미곡...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상평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텃골(상평리)은 감곡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약 8㎞ 지점에 위치한 상평2리의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월정리가 있고, 서쪽으로는 주천리, 남쪽으로는 생극면 방축리, 북쪽으로는 영산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덕동(德洞)이라고도 불린다. 본래 충주군 감미곡면 덕동 지역이었으나 1906년(고종 43)에 음성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
충청북도 음성군 읍성읍 평곡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토계울은 평곡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로 수정산 남쪽에 있는 음성천 건너 오성산 북쪽 산 밑에 자리하고 있다. 토계리(兎溪里)라고도 부른다. 본래 음성군 동도면 토계리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평곡리에 속하여 음성면에 편입되었다. 1956년 7월 8일 음성면이 읍성읍으로 승격되면서 음성읍에 속한 마을이 되었다. 토...
-
충청북도 음성군 읍성읍 평곡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토계울은 평곡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로 수정산 남쪽에 있는 음성천 건너 오성산 북쪽 산 밑에 자리하고 있다. 토계리(兎溪里)라고도 부른다. 본래 음성군 동도면 토계리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평곡리에 속하여 음성면에 편입되었다. 1956년 7월 8일 음성면이 읍성읍으로 승격되면서 음성읍에 속한 마을이 되었다. 토...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팔성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토끼실은 팔성리의 남부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남쪽으로는 병암리의 자연 마을인 안곤재가 자리 잡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팔성리의 자연 마을인 지부내(지비천)·말마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 뒷산이 토끼처럼 생겨 토끼봉이라 하고 마을 이름도 토끼실이라 불렀다. 토실(兎室) 또는 토곡(兎谷)이라 부르기도 한다. 본래 충주군...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사곡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톡실은 감곡면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약 7㎞ 지점에 위치한 사곡2리의 자연 마을이다. 사곡리의 동쪽으로는 충주시 앙성면 지당리가 자리 잡고 있고, 서쪽으로는 오궁리, 남쪽으로는 원통산, 북쪽으로는 문촌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톡실은 토곡(土谷)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마을 곳곳에 토기(土器)를 굽던 자리가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발견하거나 보관하고 있는 선사시대와 고대에 제작된 용기. 토기는 신석기시대 이래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과거의 수럽·채집 생활에서 농경을 바탕으로 하는 정착 생활로 전환하면서 식량을 저장하고 식수를 담아두는 용기가 필요하게 되면서 출현하였다. 토기는 보통 500~1000℃ 이하에서 구워지지만 그 이상에서 구워진 것은 도기(陶器)라 부르고, 유약을 바른 것을 자기(...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팔성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토끼실은 팔성리의 남부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남쪽으로는 병암리의 자연 마을인 안곤재가 자리 잡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팔성리의 자연 마을인 지부내(지비천)·말마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 뒷산이 토끼처럼 생겨 토끼봉이라 하고 마을 이름도 토끼실이라 불렀다. 토실(兎室) 또는 토곡(兎谷)이라 부르기도 한다. 본래 충주군...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팔성3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토끼실은 팔성리의 남부 지역에 위치한 자연 마을이다. 남쪽으로는 병암리의 자연 마을인 안곤재가 자리 잡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팔성리의 자연 마을인 지부내(지비천)·말마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마을 뒷산이 토끼처럼 생겨 토끼봉이라 하고 마을 이름도 토끼실이라 불렀다. 토실(兎室) 또는 토곡(兎谷)이라 부르기도 한다. 본래 충주군...
-
충청북도 음성군 지역의 육상의 지각을 덮고 있는 기반암 풍화 물질에 생물체의 유기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부드러운 물질. 음성군의 토양은 크게 송산~청산~음성 토양군, 예산~삼각~오산 토양군, 지산~상주~옥천 토양군, 안룡~덕평~송정 토양군, 석천~강서~청원 토양군, 남계~고천~황룡 토양군 등의 6개 토양군으로 나눌 수 있다. 송산~청산~음성 토양군은 산악지나 배수가 양호한 화강편마...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사곡2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톡실은 감곡면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약 7㎞ 지점에 위치한 사곡2리의 자연 마을이다. 사곡리의 동쪽으로는 충주시 앙성면 지당리가 자리 잡고 있고, 서쪽으로는 오궁리, 남쪽으로는 원통산, 북쪽으로는 문촌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톡실은 토곡(土谷)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마을 곳곳에 토기(土器)를 굽던 자리가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지형이 통처럼 생겨서 통골 또는 통동이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새터, 창리, 중리, 천곡을 병합하여 통동리라 하고 맹동면에 편입되었다. 통동리 저수지 서쪽에는 도마재(일명 도마티)가 있고 암솔[322m] 입구에는 삼형제굴이 있다. 창말의 서쪽...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지형이 통처럼 생겨서 통골 또는 통동이라 불린다. 본래 충주군에 속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06년 음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새터, 창리, 중리, 천곡을 병합하여 통동리라 하고 맹동면에 편입되었다. 통동리 저수지 서쪽에는 도마재(일명 도마티)가 있고 암솔[322m] 입구에는 삼형제굴이 있다. 창말의 서쪽...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통동리와 군자리 일대에 조성된 농업 용수 공급 저수지. 통동리 저수지인 맹동 1댐은 음성군 맹동면 통동리와 군자리 일대에 건설된 댐으로 하류 개발과 소속리산을 관통시켜 맹동면 서부 지역의 관개 용수원을 확보하는 데 주 목적을 두고 있다. 통동리 저수지는 맹동 1댐이고, 음성군 원남면 삼용리의 삼룡저수지는 맹동 2댐이라고 부르고 있다. 통동리 저수지와 삼룡저수...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마송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고덕수의 묘비. 고덕수는 자는 군명(軍明), 호는 퇴암(退庵),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중랑장 고천연(高天連)의 손자이다. 1432년(세종 14)에 식년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사간원헌납(司諫院獻納)과 연풍현감을 지냈다. 1456년(세조 2)에 취금헌(翠琴軒) 박팽년과 재종매부(再從妹夫)라는 이유로 화를 입어 관(官)에...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무신. 본관은 청주. 자는 태경(台卿), 호는 퇴암(退庵). 선무공신 고응연(高應淵)의 증손이고, 호조참의 고경후(高景厚)의 둘째 아들이다. 형제는 고몽설(高夢說)이 있다. 고상설(高相說)은 1680년(숙종 6)에 무과에 급제하였고, 벼슬은 첨정(僉正)을 거쳐 첨절제사(僉節制使)에 이르렀다. 일을 처리함에 있어 법도에 맞는 것으로 널리 알려졌다....
-
조선 전기 충청북도 음성군 청주고씨 입향조. 본관은 청주. 자는 군명(君明), 호는 퇴암(退庵). 할아버지는 중랑장 고천련(高天連), 아버지는 고유렴(高有廉)이다. 부인은 순천박씨로 박장생의 손녀이다. 동생으로 고덕칭(高德稱), 고덕부(高德符)가 있다. 1419년(세종 1) 생원시에 합격하고 1432년(세종 14) 식년문과에 급제하였다. 1439년(세종 21) 강음현감(江陰縣監)에...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감우리에 있는 산. 산봉우리 모양이 투구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다. 투구봉 북쪽의 생극면과의 경계에 부용산이 있고 감우리 남쪽에는 보현산이 있다. 서쪽의 금왕읍 경계의 북서단에는 242고지가 있다. 남서단에는 346고지가 있어 감우리 일대는 높은 산지로 둘러싸여 산간오지를 이루고 있다. 투구봉 남쪽의 감우재고개는 음성읍 감우리에서 소여리로 넘어가는 고개로서...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사정1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용대동은 음성읍에서 북쪽으로 약 6㎞ 지점에 위치한 사정1리의 자연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용산리가 자리 잡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금왕읍 백야리, 남쪽으로는 감우리, 북쪽으로는 금왕읍 육령리와 각각 접하고 있다. 옛날에 퉁쇠로 농기구를 만들던 곳이라서 퉁뱅이라고도 부른다. 본래 음성군 근서면 지역으로, 마을 안에 모래우물이 있어...
-
용대동은 사정1리 제일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로서 역사가 오래된 마을이다. 오늘날 용대동은 경주이씨가 집성촌을 이루며 살고 있으나, 용대동이라 부르는 마을이 생기기 전에 이미 마을이 있었는데 바로 퉁뱅이이다. 따라서 용대동은 이 퉁뱅이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퉁뱅이란 퉁쇠로 농기구 등을 만드는 곳으로 천민 취급을 받던 수공업자들이 모여 살던 곳이라 전해지는 까닭에,...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생산되는 특별한 생산물. 음성 특산물은 음성 지역에서 재배·생산·판매되는 특별한 생산물을 일컫는다. 특산물의 종류에는 곡물류, 과일류, 채소류, 화초류, 조수류(鳥獸類), 어패류, 약재류, 광물류, 공예품류 등이 포함된다. 음성 지역의 특산물로는 고추, 고춧가루, 복숭아, 사과, 배, 수박, 쌀, 인삼, 화훼 등이 있으며, 이 중 고추, 복숭아, 인삼, 수박,...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신돈리에 있었던 건축 자재 생산 업체인 (주)티이씨시스템의 생산공장. 1979년 7월에 상공부로부터 자동차 부품 전문 공장으로 지정받았다. 1985년 5월 31일 동해실업(주)으로부터 철 구조물 사업 부문을 인수하였다. 같은 해 6월 1일 (주)엔지니어링 동해법인으로 설립되었다. 1983년에는 美 I.B. Fuller사와 기술 제휴와 더불어 외벽 단열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