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보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046
한자 天寶山
영어공식명칭 Cheonbosa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홍산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천보산 - 충청남도 부여군
해당 지역 소재지 천보산 -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 천보리|홍산면 상천리지도보기
성격
높이 330m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내산면 천보리홍산면 상천리에 걸쳐 있는 산.

[명칭 유래]

천보산(天寶山)은 『한국지명유래집』에 따르면 “가물 때 기우제를 지내면 이 산으로부터 비구름이 밀려와 비가 내린다”고 하여 명칭이 붙여졌다고 전한다. 『여지도서(輿地圖書)』 ‘홍산현’에 “관아의 북쪽 13리[5㎞]에 있다. 거차산에서 뻗어 온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산경표(山經表)』의 금북정맥의 기맥(岐脈)에 해당하는 산이기도 하다.

[자연환경]

천보산은 부여군의 서북부 산지 지역에 속하는 곳이다. 서북부 산지는 부여군에서 가장 경사가 심한 지역으로, 차령산맥이 지나며 만수산[432.2m], 아미산[581.9m], 월명산[544m] 등의 험준한 산을 이루어 놓는다. 따라서 대체로 해발 400m 이상의 높은 산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산사면이 급하고, 큰 바윗덩어리들이 넓게 쌓여 있는 화강암 지형이 발달하여 있다.

천보산은 서북부 산지에서 부여군의 중앙부 저지로 이어지는 경계에 위치한 산이기 때문에, 다른 산들에 비하여 높이가 330m로 비교적 낮은 편이며, 주변에서 보기 힘든 암봉산이다. 천보산 자락인 내산면 천보리에 있는 저수지인 신기지, 하륵소류지에서 지류가 발원하여 천보천을 이룬다. 천보천은 북동쪽으로 흘러 율암리 구룡천에 유입되며, 하천 주변에는 평야가 있다. 천보산에서 홍산면 상천리 쪽으로는 상천저수지가 있으며 여기에서 교원천이 남동 방향으로 흐른다.

천보산이 있는 부여군은 온대림 지역에 속한다. 자연 상태의 온대림에서는 신갈나무·떡갈나무·상수리나무 등의 참나무류를 주임목(主林木)으로 하는 낙엽활엽수림이 우세하게 나타나며, 하층 식생으로 진달래·철쭉·싸리나무 등의 관목이 자란다. 그리고 느티나무·팽나무·서어나무 같은 수종이 섞이고, 높은 산지로 올라갈수록 전나무·분비나무·가문비나무 등의 수종이 늘어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소나무가 주임목이거나 각종 활엽수와 혼효림(混淆林)을 이루고 있다. 한편, 6·25 전쟁을 거치며 부여 지역의 삼림이 심하게 황폐화되어 식목에 의하여 밤나무 단지가 많이 조성되었다. 또한 식목을 할 때 외래 수종 중에서는 리기다소나무·낙엽송·은사시나무 등이 장려되어 곳곳에 집단적으로 분포한다.

[현황]

천보산천보산을 세로로 관통하는 등산로가 홍산면 상천리에서 내산면 저동리까지 이어진다. 천보산 북쪽 자락에는 높이 30m의 부여저동리쌀바위미암사가 있다. 천보산 중턱에 있는 쌀바위는 ‘음경석’, ‘촛대바위’, ‘부처바위’ 등으로도 불린다. 부여저동리쌀바위 아래에 있는 미암사는 1997년 시멘트로 새로 지은 강당 겸 법당 1채와 목조 요사 1채로 된 절이다.

천보산 동쪽으로는 남북 방향으로 지방도 제613호가 지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