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000257 |
---|---|
한자 | 1872年 郡縣地圖 高山縣 |
영어공식명칭 | 『1872 Gunhyeonjido』「Gosan-hye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문헌/문서 |
지역 | 전라북도 완주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한상호 |
[정의]
1872년(고종 9)에 제작된 군현지도에 수록되어 있는 전라도 「고산현(高山縣)」 지도.
[개설]
『1872년 군현지도』는 고종 9년(1872)에 국가 지도 편찬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전국 군현지도집이다. 1872년 3월부터 6월까지 전국의 각 군현에서 자체적으로 제작된 지도를 도(道) 별로 수합하였는데, 그 수는 모두 461점으로 경기도 40점, 충청도 52점, 전라도 84점, 경상도 106점, 강원도 28점, 황해도 42점, 평안도 85점, 함경도 24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안에는 영진(營鎭), 산성(山城) 목장(牧場) 지도 139점도 포함되어 있다. 이 중에서 「고산현」 지도는 전라도 편에 수록되어 있으며, 현재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동상면, 경천면, 운주면, 화산면, 비봉면 일대 지역의 모습을 담고 있다.
[제작 발급 경위]
『1872년 군현지도』는 흥선대원군이 주도하여 중앙집권적 통치체제를 확립하고 정치적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각 지방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흥선대원군은 세도정치로 인한 정치적 혼란과 삼정(三政)의 문란을 바로잡고 민생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1871년에 전국적인 읍지(邑誌) 편찬사업을, 이듬해인 1782년에는 전국적인 차원의 지도제작 사업을 추진하였다. 1872년 3월부터 6월까지 전국의 각 군현에서 자체적으로 제작된 지도를 도(道) 별로 수합하여 중앙으로 진달하였는데 전국 각지에서 취합된 지도는 모두 461점이다.
[형태]
『1872년 군현지도』는 전국 각지 군현의 지도뿐만 아니라 영진, 산성, 목장 지도 등 군사시설을 그린 지도가 함께 포함되어 있다. 각 지도들은 대체로 큰 낱장의 지면에 그린 채색 필사본으로, 지역마다 한 장씩 그려져 있다. 지도를 펼쳤을 때, 가장 작은 지도는 34.4㎝×50㎝, 가장 큰 지도는 146.7㎝×114㎝로 크기가 서로 다르지만 첩장(帖裝)의 크기는 35㎝×25㎝로 동일하다. 일부 지도첩에는 지도를 간행한 날짜와 관직명이 새겨진 관인(官印)이 찍혀 있어 제작시기와 참여자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구성/내용]
「고산현」 지도는 지금의 완주군 고산면, 동상면, 경천면, 운주면, 화산면, 비봉면 일대의 지리적 공간적 정보를 담고 있는 지도이다. 지도의 하단 중앙에는 현내면이 위치하고 있고, 읍치의 모습이 보인다. 읍치 안에는 객사(客舍), 관청(官廳), 내아(內衙), 동헌(東軒), 향교(鄕校), 향청(鄕廳), 군기고(軍器庫), 급창청(吸唱廳), 사령청(使令廳), 통인청(通引廳), 작청(作廳), 창고(倉庫), 책실(冊室), 형리청(刑吏廳) 등 행정관서의 모습이 상세하고, 도로는 붉은 색 실선으로 이어지고 있는데, 큰 도로(大路)는 굵은 선으로 작은 도로(小路)는 가는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큰 도로는 전주와 여산으로 이어져 있으며, 작은 도로는 고산현 내의 읍면으로 이어져 있다. 고산현은 산간 지역으로 산이 많으며, 그 사이로 흐르는 수계는 만경강 수계로 전주 방향으로 흐른다. 산은 산줄기와 봉우리들로 녹색과 갈색 등으로 채색하였고, 물길은 푸른 색으로 나타내었다. 관내 읍면으로는 현내면(縣內面), 운동상면(雲東上面), 운동하면(雲東下面), 서면(西面), 남면(南面), 동상면(東上面), 북상면(北上面), 북하면(北下面), 동하면(東下面), 운북면(雲北面), 운서상면(雲西上面), 운서하면(雲西下面) 등이 있다. 사창은 각 읍면에 따라 12개가 있고, 역원(驛院)으로는 용계원(龍鷄院), 삼포역(三浦驛)이 현의 북서쪽과 중앙에 나타나 있다. 주요 사찰로는 운문사(雲門寺), 화암사(花巖寺), 안심사(安心寺)가 있다. 고산현 관내 주요 산으로는 대둔산(大芚山), 불명산(佛明山), 연석산(鍊石山), 오산(五山), 운제산(雲梯山)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1872년 군현지도』는 조선왕조에서 시행한 전국 군현지도 편찬사업의 마지막 성과물로 평가되고 있다. 이 지도는 이전의 관찬(官撰) 군현지도집과 달리 단 기간 내에 작성되면서 통일성은 결여되었지만 당시 지방사회의 모습을 여과 없이 가장 상세히 보여주는 사료로서 최고의 가치가 있다. 19세기 말 변화된 정치, 경제, 군사, 행정, 인문, 사회, 역사적 내용을 담고 있으며 기존의 회화식 군현지도 중 가장 화려하고 아름답게 제작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더욱이 「고산현」 지도는 다양한 채색을 통해 행정구역, 산천, 도로, 건물 등 지리적 공간적 정보를 구분하고 있으며, 약 166개의 지명이 수록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인문 사회적 정보를 담고 있어 당시 고산현의 모습을 상세히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