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100838
한자 李澤
영어음역 Yi Taek
이칭/별칭 운몽(雲夢)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서산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홍제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51년연표보기 - 이택 생
활동 시기/일시 1676년연표보기 - 무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718년연표보기 - 평안도병마절도사
몰년 시기/일시 1719년연표보기 - 이택 졸
특기 사항 시기/일시 1675년연표보기 - 서산 여미리 비자나무를 심음
묘소|단소 묘소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 등고재
사당|배향지 신도비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 등고재
성격 무신
성별
본관 전주
대표 관직 평안도병마절도사

[정의]

조선 후기 서산 출신의 무신.

[가계]

본관은 전주. 자는 운몽(雲夢). 정종의 넷째 아들인 선성군(宣城君)의 8세손으로, 할아버지는 호조참판에 증직된 이정방(李定邦)이며, 아버지는 참판 이진백(李震白), 어머니는 청송 심씨이다. 동생은 이연(李沇)이다.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전주 이씨들의 동족 마을로, 이곳에 세거하는 전주 이씨를 속칭 ‘예미 이씨’라고도 부른다. 전주 이씨서산시 운산면 여미리에 처음 입향하게 된 연원을 마련한 인물은 경연참찬관을 지낸 이창주(李昌冑)[1567~1648]이다. 이창주가 여미리 마을에 세거한 이래 이정방-이진백-이택(李澤)으로 가계가 이어지면서 향촌 사회에서 영향력을 행사하였으며 서산의 유력 성씨들과 혼맥으로 교유하였다.

특히 이웃한 서산시 운산면 갈산리에 건립되어 있는 안동 김씨 김가근(金可近)의 정려 역시 전주 이씨와 관련이 있다. 김가근의 처가 이진백의 동생 이동백의 딸이라는 사실을 볼 때 김가근의 정려 건립 역시 전주 이씨와 무관하지는 않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택을 비롯한 이창주와 자손들의 묘소가 모두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에 위치하고 있다.

[활동 사항]

이택[1651~1719]은 품성이 순결하고 청렴하여 이름이 높았다. 1676년(숙종 2) 무과 급제한 후 훈련판관‚ 고산리첨사‚ 공주영장‚ 부산진첨사‚ 전라좌수사‚ 영종방어사‚ 태안군수‚ 춘천병사‚ 황해병사‚ 북병사 등을 역임하였다. 남구만(南九萬)·이상진(李尙眞) 등과 교유하였는데, 이들의 추천으로 도총부경력(都摠府經歷)이 되었다. 이어 사복시내승(司僕寺內乘)을 거쳐 훈련원정을 역임한 뒤, 전라좌도수군절도사와 삼도수군통제사에 이르렀다.

이택은 부모 봉양에도 힘써 아버지와 절친한 노인들을 초빙하여 시와 노래로 즐겁게 해드리기로 주변에 소문이 자자하였다.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의 마을회관 뒤편에는 서산 여미리 비자나무가 있다. 이 비자나무는 이택이 1675년(숙종 1) 현직에 있을 때 제주도의 비자나무를 흙과 같이 가져와 심었다고 전해지는데 수령은 약 330년 이상으로 전주 이씨 가문과 함께 해 온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는 나무이다. 특히 중부 지방 이북에서 자라고 있는 드문 예에 속해 주목되고 있으며, 충청남도 기념물 제174호로 지정되었다. 1718년(숙종 44) 병중에 평안도병마절도사에 제수되어 재직하던 중 병사하였다.

[학문과 저술]

문예에도 조예가 깊다고 알려져 있으며 실기로 『사주록(泗洲錄)』이 전한다. 이 책의 대부분은 이택의 가계와 출생‚ 출사‚ 관력 등의 행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아들 이의천(李倚天)이 기록한 것이며, 포암(圃巖) 윤봉조(尹鳳朝)가 찬한 신도비명은 불에 타서 없어진 것을 재구성하여 수록하였다. 이택의 연보 뒤에 아들 이의천이 사주성(泗洲城)에서 쓴 것이라는 기록으로 보아 책명은 이 사주성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묘소]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여미리 등고재 술좌에 있으며, 신도비는 윤봉조가 찬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