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101733
한자 李尙安墓-神道碑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능묘
지역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산7-1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김주홍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묘역
양식 원형 쌍분
관련인물 이상안
높이 1m
지름 3.2m
소재지 주소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산7-1 지도보기
소유자 광주이씨 대종회

[정의]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이상안(李尙安)의 묘.

[개설]

이상안[1575~1627]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정이(靜而)이다. 아버지는 충의위(忠義衛) 이광록(李匡祿)이며, 어머니는 권적(權適)의 딸이다. 큰아버지 이광국(李匡國)에게 입양되었다. 1603년(선조 36) 식년무과(式年武科)에 급제하고 이듬해 선전관(宣傳官)이 되었으며 1615년(광해군 7) 해주판관(海州判官)에 제수되었으나 얼마 후 병으로 사직하였다. 이후 공산군수와 가산군수를 역임하였으며, 1623년(인조 1) 절충장군(折衝將軍)에 오르면서 창주첨사(昌州僉使)를 지냈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남이흥(南以興)의 별장(別將)이 되어 안주전투에서 전사하였다. 숭정대부우찬성(崇政大夫右贊成)에 추증되었으며 남이흥과 더불어 안주의 충열사(忠烈祠)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충민(忠愍)이다.

[위치]

이상안 묘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 산7-1에 위치하며 광주이씨 대종회에서 소유·관리하고 있다.

[형태]

안주전투에서 전사한 이상안의 시신을 찾을 수 없어 생시에 입었던 옷을 묻은 의관장(衣冠葬)이다. 증정경부인 청주한씨와의 원형 쌍분으로 특이하게 봉분이 맞붙어 있으며, 바로 아래에는 정려각이 있다. 봉분의 중앙에는 혼유석, 상돌, 향로석, 장명등과 상돌 좌우로 동자석, 망주석, 문인석이 한 쌍씩 배치되어 있다.

이 가운데 원래의 석물은 동자석과 문인석 뿐이다. 동자석은 높이 85㎝로 머리에 총각이 있고 허리의 옷 매듭이 수려하다. 문인석은 높이 170㎝로 머리 부분 56㎝인 3등신의 신체 비율이며 머리에 삼량관(三梁冠)을 쓰고 있다. 이목구비가 뚜렷하여 늠름한 모습이며, 엄지를 치켜들어 홀(忽)을 마주잡고 있다.

[금석문]

이상안의 신도비는 묘역 입구에 남서향하여 있는데, 비좌와 비신 및 팔작지붕의 지붕돌[옥개석] 형태이다. 1631년(인조 9) 건립되었던 비가 비바람으로 파손되고 비문이 닳아 없어진 것을 1839년(헌종 5)에 개수한 것이다. 비좌는 대부분 지표에 파묻혀 있으며 상부에 앞뒤 다섯 개의 잎, 좌우 한 개의 잎의 단판복련문이 조각되어 있다.

비신은 백색대리석제로 순백색을 띠며 보존상태 양호하여 비문은 거의 판독이 가능한 상태이다. 비문은 앞뒤 양면에 있는데 상부의 전액(篆額)은 ‘증우찬성이공신도비명(贈右贊成李公神道碑銘)’이며, 비제는 ‘有明朝鮮國 贈崇政大夫議政府右贊成兼判義禁府事行通政大夫江界都護府使李公神道碑銘 幷序(유명조선국 증숭정대부의정부우찬성겸판의금부사행통정대부강계도호부사이공신도비명 병서)’이다. 비문은 이경석(李景奭)이 짓고 이기수(李基守)가 추기하였다. 1631년 처음 세워놓았던 구비의 경우 글씨를 쓴 사람은 사위인 이식(李埴)이며, 전자(篆者)는 김광현(金光炫)이다. 반면, 1839년 개수한 새 비의 글씨를 쓴 사람은 이기렴(李基廉)이며, 전자(篆者)는 이상중(李尙中)이다.

지붕돌은 비신의 규모에 비해 커서 비례가 안 맞으며 양 끝이 뾰족하여 날렵한 인상이다. 비의 규모는 잔존 총 높이 199㎝로 비좌 높이 20㎝, 너비 100㎝, 두께 68㎝, 비신 높이 141㎝, 너비 66㎝, 두께 22.5㎝, 지붕돌 높이 38㎝, 너비 113㎝, 두께 74㎝이다.

[현황]

이상안 묘하대원동 둔촌 이집 묘역 오른쪽의 맞은편 구릉 사면에 서향하여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