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0030
한자 濕地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집필자 강만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6년 - 물영아리 오름습지 람사르 습지 등록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8년 - 한라산 1100 고지 습지람사르 습지 등록
연안습지 성산 오조리 철새 도래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오조리 57-1지도보기
연안습지 신양리 해안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고성리 603번지 지도보기
연안습지 표선리 해안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표선리 44-4번지 지도보기
연안습지 태흥2리 소금밭 해안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태흥리 358번지 지도보기
연안습지 천지연 하류 해안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귀동 해안지도보기
연안습지 강정동 해안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강정동 지도보기
연안습지 화순리 해안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화순리 813-8번지 지도보기
연안습지 일과리 해안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일과리 지도보기
내륙습지 한라산 1100 고지 습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색달동, 중문동 산간지역지도보기
내륙습지 물영아리 오름 습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납원읍 수망리 지도보기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습한 땅으로, 항상 물이 있는 지역.

[개설]

「습지 보전법」제2조에서는 습지(濕地)를 “담수(淡水)·기수(汽水) 또는 염수(鹽水)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지역”으로 규정하고 있다. 습지는 내륙 습지(內陸濕氣)와 연안 습지(沿岸濕地)로 구분된다. 내륙 습지는 육지 또는 섬 안에 있는 호(湖) 또는 소(沼)와 하구(河口) 등의 지역이고, 연안 습지는 만조(滿潮) 시에 수위선(水位線)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으로부터 간조(干潮) 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까지의 지역이다.

람사르(Ramsar) 협약에서의 습지는 소택지·습원·이탄지 또는 물로 된 지역을 말하며, 여기에서 간조 시에 수심이 6m를 넘지 않는 해역을 포함한다. 즉 갯벌·호수·하천·양식장·해안은 물론 논도 포함된다.

서귀포시 지역에는 연안 습지와 내륙 습지가 존재한다. 한라산 백록담을 비롯하여 남원읍 수망리 물영아리 오름 산정 화구호, 표선면 성읍리 '넙은못'과 같은 내륙 습지와 마을 주변에 분포하고 있는 크고 작은 연못이 모두 습지에 해당된다. 각종 개발 사업을 진행하면서 습지를 매립하거나 훼손하는 사례가 있어 보호가 시급하다.

[기능과 가치]

습지는 생산성이 높아 생물학적 다양성을 제공하는 장소이다. 즉, 수많은 야생 동식물이 습지에 의존하고 있으며, 벼와 같은 식물 유전 물질을 저장하는 장소 역할을 한다. 생태계의 연결 고리이면서 생물 다양성의 보고이다. 뿐만 아니라 습지는 수질 정화 기능, 홍수 조절, 용수 공급, 온도 및 습도 조절 기능을 한다. 따라서 습지를 포함한 습지 주변의 환경이 보호되지 않으면 인간과 자연의 공존은 불가능할 수 있다.

[현황]

서귀포시 지역의 습지 중 연안 습지로 대표적인 것은 성산 오조리 철새 도래지, 신양리 해안, 표선리 해안, 태흥2리 소금밭 해안, 천지연 하류 해안, 강정동 해안, 화순리 해안, 일과리 해안 습지가 있다.

내륙 습지로 대표적인 한라산 1100 고지 습지[서귀포시 색달동, 중문동 산간 지역]와 물영아리 오름 습지[남원읍 수망리]는 2008년과 2006년에 람사르 등록 습지가 되었다. 서귀포시 호근동에 위치한 마르형 분화구인 하논 습지는 최근 복원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