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향포천도중」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1978
한자 向抱川道中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기도 포천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흥모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658년 - 「향포천도중」 저자 김창업 출생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1702년연표보기 - 「향포천도중」 김창업 창작
저자 몰년 시기/일시 1721년 - 「향포천도중」 저자 김창업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820년 - 「향포천도중」을 수록한 『노가재집』 간행
성격 한시
작가 김창업

[정의]

1702년 김창업이 포천을 향해 가는 도중에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개설]

「향포천도중(向抱川道中)」은 1702년(숙종 28) 조선 후기의 문신 노가재(老稼齋) 김창업(金昌業)[1658~1721]이 포천을 향하여 가는 길에 지은 한시이다. 「향포천도중」김창업의 문집 『노가재집(老稼齋集)』 권(卷) 2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차로평생주기순(此路平生走幾廵)[이 길을 평생 동안 몇 번이나 다녔는가]

금래황사몽중신(今來怳似夢中身)[이제 와서 황홀함은 꿈속에 있는 것 같다]

의의이십년전사(依依二十年前事)[이십 년 전 일들이 선명히 그려져 지나가고]

욕화동행무구인(欲話同行無舊人)[이야기 하고 싶어도 같이 가는 옛 동행 없네]

증수백씨향봉산(曾隨伯氏向蓬山)[일찍이 큰형을 따라 봉산[금강산]을 가는데]

초출도문숙차간(初出都門宿此間)[도성문을 나와 첫 밤에 여기서 잠을 잤다]

희심월명무몽매(喜甚月明無夢寐)[달빛이 너무 좋아 꿈이 아니기를 바랐고]

야심상여보형관(夜深相與步荊關)[깊은 밤에 형과 같이 사립문으로 걸어갔네]

[의의와 평가]

 김수항(金壽恒)[1629~1689] 일가는 포천과 연고가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김수항과 그의 형 곡운(谷雲) 김수증(金壽增)[1624~1701], 김창업을 비롯한 김수항의 여섯 아들이 모두 영평에 은거하거나 빈번하게 왕래하였다. 「향포천도중」은 이러한 이유와 더불어 약 20년 전 김창업이 큰형 몽와(夢窩) 김창집(金昌集)[1648~1722]과 금강산을 유람했던 추억이 떠올라 읊은 시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