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포천족형가우우이일」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1969
한자 抱川族兄家遇雨二日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기도 포천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이병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797년 - 「포천족형가우우이일」 저자 허전 출생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1846년연표보기 - 「포천족형가우우이일」 허전 창작
저자 몰년 시기/일시 1886년 - 「포천족형가우우이일」 저자 허전 사망
성격 한시
작가 허전

[정의]

1846년 허전이 포천의 친척 형 집에서 비가 내리는 이틀 동안에 정도화와 주고받으며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개설]

「포천족형가우우이일(抱川族兄家遇雨二日)」은 1846년(헌종 12) 조선 후기의 문신 성재(性齋) 허전(許傳)[1797~1886]이 포천에 있는 족형(族兄)의 집에서 비를 피하는 이틀 동안에 정도화(鄭道和)와 주고받으며 지은 한시이다.

허전의 자는 이로(而老), 호는 성재, 성암(性庵), 공암(孔巖), 냉천(冷泉), 불권당(不倦堂) 등이다. 본관은 양천(陽川)이고, 시호는 문헌(文憲)으로 황덕길(黃德吉)의 문인이다. 1828년(순조 28) 승보시(陞補試)에 합격하고, 1835년(헌종 1) 별시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권지부정자가 되었다. 1862년(철종 13) 우부승지, 김해 도호부사를 지내고, 1873년(고종 10) 형조 판서, 이조 판서와 한성부 판윤을 지냈다.

「포천족형가우우이일」은 허전의 문집 『성재선생문집(性齋先生文集)』 속편(續編) 권(卷) 1의 시(詩)에 실려 있다. 『성재선생문집』은 원집 32권, 속편 6권, 부록 6권 합 23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속편의 권 1은 시 52수, 소(疏) 8편이고, 시는 연대순으로 편차되어 있다.

[내용]

「포천족형가우우이일」[포천에 있는 족형의 집에서 이틀 동안 비를 만나다]의 제목에는 “수정후 도화 병오(酬鄭侯 道和 丙午)[정도화와 주고받다 병오년]”이라는 주석이 달려 있어 병오년(1846, 헌종 12)에 정도화와 시를 주고받았음을 알 수 있다. 「포천족형가우우이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추도과약야견여(騶徒寡約夜肩輿)[하인들이 밤늦도록 견여(肩輿)를 메고 간]

연촉생광설호려(椽燭生光雪縞廬)[초가에서 눈인 양 밝은 촛불이 흘러나오네.]

낙사의관향사극(洛社衣冠鄕社屐)[한양에서는 의관을 갖추었으나 고향에서는 나막신을 신고]

관주어육야주소(官厨魚肉野厨蔬)[관가의 부엌은 생선과 고기가 넘치지만 시골의 부엌은 소소하네.]

구종리졸포시주(久從吏卒拋詩酒)[따르는 수하들을 위해 시와 술을 던져 버린 지 오래인데]

잠위빈붕각부서(暫爲賓朋卻簿書)[벗들을 위해 서류만은 잠시 물렸네.]

기일동유금일악(幾日東遊今日樂)[동쪽으로 길을 잡은 지 며칠 만에 느끼는 오늘의 즐거움.]

객거환부승가거(客居還復勝家居)[객지가 다시 돌아갈 집보다 낫네.]

[특징]

「포천족형가우우이일」은 칠언 율시로 1846년 허전의 나이 50세에 지은 것이다. 허전은 포천에서 태어났고, 출향 후에도 친척들이 계속 살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포천족형가우우이일」은 오랜만에 고향을 찾아와 소박하지만 여유로운 한 때를 보내는 정경이 잘 그려져 있는 작품이다.

[의의와 평가]

허전은 성호(星湖) 이익(李瀷)[1681~1763],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1712~1791], 하려(下廬) 황덕길(黃德吉)[1750~1827] 등으로 이어지는 성호학파의 적통을 이은 근기(近畿) 남인계(南人系)의 학자로서 문인들도 기호 지방뿐만 아니라 영남 지방에도 많이 있었다. 허전의 작품 중에 「백운가(白雲歌)」는 친구인 조석룡(趙錫龍)[1721~1793]이 포천의 궁벽한 백운산 속에 은거해서도 유유자적하는 생활을 영위하고 있음을 칭송한 것이다. 포천과의 각별한 인연이 있는 인물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