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관동별곡」[정철]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0658
한자 關東別曲-鄭澈-
영어의미역 Song of Gwando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강원도 강릉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한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가사
작가 정철
창작연도 1580년연표보기

[정의]

조선 중기의 문인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로 강릉 등 동해안의 절경을 읊은 작품.

[개설]

정철[1536~1593]은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계함(季涵), 호는 송강(松江)이다. 인종의 귀인이 된 첫째 누이와 계림군의 부인이 된 둘째 누이 덕택으로 어려서부터 궁중 출입이 잦았는데, 1545년 을사사화 때 계림군이 연루되면서 아버지가 유배되고 큰형이 죽는 화를 당하였다. 이때 아버지를 따라 유배지인 관북 지방에서부터 전라도 담양으로 옮겨다니며 생활하였다.

[창작경위]

「관동별곡」정철이 1580년 강원도관찰사가 되어 강원도 지역을 순방할 때 지었다.

[구성]

이 작품은 정철의 또 다른 대표작인 「사미인곡」, 「속미인곡」 등과 더불어 『송강가사』에 전한다. 『송강가사』는 목판본으로서 황주본, 의성본, 관북본, 성주본, 관서본 등 다섯 종류가 전하며, 그 외 필사본도 더러 있다.

[내용]

정철의 「관동별곡」 중에서 강릉 지방을 읊은 대목은 다음과 같다.

羽우蓋개之지輪륜이 鏡경浦포로 려가니

十십里리 氷빙紈환을 다리고 고텨 다려

長댱松숑 울 소개 슬장 펴더시니

믈결도 자도 잘샤 모래 혜리로다

孤고舟쥬 解ㅣ纜람하야 亭뎡子 우ㅣ 올나가니

江강門문橋교 너믄 겨틔 大대洋양이 거긔로다

從容댜 이 氣긔像샹 闊활遠원댜 뎌 境경界계

이도곤  ㅣ 또 어듸 잇닷 말고

紅홍粧장古고事 헌타 리로다

江강陵능 大대都도護호 풍속이 됴흘시고

節졀孝효旌졍門문이 골골이 버러시니

比비屋옥可가封봉이 이제도 잇다 다

십리나 되는 경포호의 얼음처럼 맑은 물결과 울창한 낙락장송이 주위에 펼쳐져 있고 배를 몰아 경포대에 올라가니 저 멀리 바닷가 쪽으로 강문다리가 보인다. 경포대에는 고려말 관찰사 박신과 기생 홍장이 관련된 유명한 전설이 있다. 또한 충효의 고장답게 정려각(旌閭閣)이 곳곳마다 서있다.

[특징]

「관동별곡」숙종김만중(金萬重)은 「서포만필(西浦漫筆)」에서 아동방지이소(我東方之離騷)라고 찬탄하였으며, 또 효종홍만종(洪萬宗)은 「순오지(旬五志)」에서 악보지절사(樂譜之絶詞)라고 극찬하였다.

관동의 절경을 노래한 「관동별곡」에는 강릉의 경포대를 비롯한 구절 외에도 삼척 죽서루(竹西樓), 울진 망양정(望洋亭), 양양 낙산의 의상대(義相臺), 고성 삼일포(三日浦)·선유담(仙遊潭)·영랑호(永郞湖)·청간정(淸澗亭)·만경대(萬景臺), 통천 금란굴(金幱窟)·총석정(叢石亭) 등의 동해안 절경을 읊었다.

[의의와 평가]

박영주는 「관동별곡」에서 보여주는 감각적 표현과 이미지의 청신성을 송강 문학의 주요특징으로 파악했는데, 그만큼 「관동별곡」의 참신함은 시대를 앞서가는 바가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4.08.26 항목명 수정 관동별곡[정철]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