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까치밥」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81688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쌍계리
시대 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배혜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96년 12월 7일 - 「까치밥」 김학조로부터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2년 - 「까치밥」『한국 구비 문학』Ⅱ에 수록
채록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쌍계 2리 고양 마을
성격 설화|신이담|까치밥 유래담
주요 등장 인물 까치|노인|임금|역적
모티프 유형 까치의 예언|수수께끼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쌍계리에서 까치밥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까치밥」은 까치의 도움으로 다가올 위기에서 벗어났다는 신이담(神異譚)이다. 또한 까치로 인하여 죽음을 면한 왕이 까치를 기리기 위해 날을 정하여 밥을 주게 했을 뿐만 아니라, 제사를 지내고 내놓는 밥을 '까치밥'으로 일컫게 했다는 까치밥 유래담이기도 하다. 「까치밥」은 신라소지왕 또는 비처왕이 못 속에서 나온 노인의 편지 때문에 죽을 위기를 넘겼다는 「사금갑(射琴匣)」과 같은 모티프를 지닌 설화이다.

[채록/수집 상황]

2002년 김광순이 편찬하고 국학 자료원에서 발행한 『한국 구비 문학』Ⅱ의 514~515쪽에 실려 있다. 이는 1996년 12월 7일 달성군 유가면[현 유가읍] 쌍계 2리 고양 마을 주민 김학조[남, 당시 73세]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내용]

요즘 제사를 지내고 나서 내놓는 밥을 '까치밥'이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실상 다른 연유가 있다고 전해져 온다. 그 연유인즉, 신라 24대 왕이 말을 타고 수렵을 하러 갔다가 거기서 까치를 보고 활을 쏴서 잡으려고 했는데, 활에 맞은 까치가 퍼덕퍼덕거려 종을 시켜 잡아오라 하였더니 붙잡으려고 하면 자꾸 도망가고, 따라가다보니 한 등성이를 훨씬 넘어 쫓아가게 되었다. 그런데 까치는 어디 가고 없고 그 앞의 큰 웅덩이에서 한 노인이 나타나 편지를 건네주고는 이내 사라졌다. 종은 그 편지를 임금에게 가져다 바쳤는데 편지의 겉봉에 '편지를 뜯어보면 둘이 죽고, 안 뜯어보면 하나가 죽는다'라고 적혀 있었다.

그 길로 궁궐에 돌아온 왕은 정승과 신하들을 모아 의견을 물었다. 결국 왕은 다른 사람이 뜯어 죽게 되느니 자기가 죽는 것이 낫다고 생각하여 편지를 뜯어보게 되었다. 편지에는 '관을 쏴라'라는 글씨가 쓰여 있었다. 그것을 본 왕은 자기가 죽은 후에 쓰기 위해 옻칠을 하여 준비해 둔 관을 향해 활을 쏘았다. 그런데 그 관 속에는 임금을 죽이기 위해 역적이 2명 숨어 있었다. 즉, 편지를 뜯어 시킨대로 한 왕은 역적 2명을 죽여 둘이 죽은 셈이 되고, 편지를 뜯지 않았더라면 왕이 죽어 한 명이 죽게 되는 것이었다. 까치로 인해 목숨을 건진 임금은 그 후 까치를 국조(國鳥)로 받들고, 날을 정하여 까치밥을 주게 하였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까치밥」의 주요 모티프는 '까치의 예언', '수수께끼' 등이다. 한국에서 까치는 길조로 여겨지며,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진 동물 중 하나이다. 그런 까치에게 인간이 남겨두는 까치밥 또한 길조인 까치에 대한 경외감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까치밥」 설화에서 중요한 요소인 수수께끼는 그 해결과는 상관없이 사람이 죽게 되어 있는 '목수수께끼'의 일종이며, 까치의 도움으로 이를 왕이 풀었다는 것은 그 수수께끼가 사회적·국가적 문제를 해결하는 제의적(祭儀的) 기능을 지녔음을 나타내고 있다.

[참고문헌]
  • 김광순, 『한국구비문학』Ⅱ: 비슬산 지역을 중심으로(국학자료원, 200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