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등금 장사 이야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11095
이칭/별칭 등짐장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죽전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안경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4년 - 「등금 장사 이야기」 『창원 군지』에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7년 - 「등금 장사 이야기」 『마산의 문화유산』에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7년 - 「등금 장사 이야기」 『마산 시사』에 수록
성격 민담
주요 등장 인물 등금 장사|할매|아들
모티프 유형 죽은 자와의 혼인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죽전리의 김점이에 의해서 채록된 창원 지역에 구전되는 민담.

[채록/수집 상황]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죽전리 김점이의 구술을 『창원 군지』[창원군, 1994], 『마산 시사』[마산 시사 편찬 위원회, 1997]와 『마산의 문화유산』[마산시, 1997] 등에 연이어 수록 되었지만, 구술자 김점이의 인적 사항은 파악하지 않았다.

[개설]

「등금 장사 이야기」는 등금 장사[등짐장사]가 어느 마을의 할머니와 정을 통한 후 가버리자 할머니는 등짐장사를 잊지 못하고 기다린다. 아들의 도움으로 등짐장사를 찾아 나선 할머니는 이미 죽어 개울가 언덕에 묻혀 있는 등짐장사와 해후하여 하늘로 올라가고 아들은 부자가 된다는 내용의 민담이다.

[내용]

등금 장사가 저 해가 다 졌는데 어느 할매가 똑 날 겉은기 좀 못땠던 갑다. 물레를 자슴서 자슨께네 아들이 나무를 해가 왔던가배. 아들이 산에 가 나무를 해가 누 잘 때가 있는가 좀 해도라 쿤께 우리 집에 어머이 혼자 누자는데 온 저녁 우리 집에 자고 가소 이리 됐는데, 이 할망구가 말만 항망구지 마음에 있었던가 우쨌던고 그 등금 장사 하고 고마 혼인이 졌던 모냥이라. 그래서 마 날이 새논께 마 등금 장사 짊어지고 가삣는 기라.

삼년 되모 찾아오끼라 쿠는기 되나. 물레를 뺑뺑뺑 삼년이 돼. 물레야 뺑뺑 돌아라. 삼년 되모 찾아 온다 쿠더니마는 안온다고 탄식을 하고 있은께네 고마 등금장사 죽어삤어. 그래서 아들이 나무를 비가 도 나무를 비가 와서 어머이 무슨 노래를 그리 부르냐꼬 그란께네, 아리 전에 내나 등금 장사 우리 집에 자고 간거 삼년 되모 오끼라 쿠더니만 안 오는데 우짜모 좋겄노 그러더라 쿠네. 그라모 어머이가 꼭 보고 싶으모 내가 짊어지고 골골이 내가 찾아 댕김스로 주낀께네 어머이 갈라요 이란께네. 그래 짊어지고 인자 참 두줌마리다 여어 가꼬 어마이로 인자 떡 고을을 댕기니께네 한 집에 드간께 불이 빤해가 있는데, 한 집에 들어간께네 죽었다 쿠거든. 그 등금 장사가. 그 마을에서 저 건너 저 물 졸졸졸 내리오는 저게 고랑 옆 언덕에 가모 거 묻어놨다고 가라 쿠더란다. 그래 가서 간께 아 참 하늘에서 참 무지개 같은 기 내리 오더니만 고마 달고 또 올라가 삐리더란다. 그래 그[청중 : 저거 오매로요] 하 그 영감 등금 장사 거기 언자 달고 올라가삤어. 혼인이 되가꼬. 그래 그 아들이 부자로 살아.

[모티프 분석]

「등금 장사 이야기」의 주요 모티프는 죽은 자와 산자의 영혼 결혼이다. 이 이야기는 민담의 하위 분류상 ‘본격담’에 해당하는데, 인물의 특성과 사건 해결 방법이 경험적 현실을 바탕에 두기보다는 다분히 초현실적이라는 점에서 ‘공상담’에 해당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