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전해 오는 길쌈하면서 부르는 노래. 「길쌈 노래」는 영암 지역에서 부녀자들이 길쌈을 하면서 부르는 민요이다. 다만 「길쌈 노래」는 전국적으로 보편적인 연행 양태를 보이기 때문에 영암만의 특징이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여성들이 부르는 노동요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편이며, 오랜 시간 일의 지루함을 덜기 위해 부르다 보니 사설이 비교적 길어져 서사 민요로도 구분된다...
-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전해지는 꿩을 소재로 만든 유희요. 영암군에는 꿩이 많아 꿩에 관련된 노래가 많다. 꿩은 한자어로 ‘치(雉)’라고 하나 화충(華蟲), 개조(介鳥), 야계(野鷄)라고도 하며, 우리말로는 수컷을 ‘장끼’, 암컷을 ‘까투리’라 한다. 호남 일대에서 전승되는 동요 중에는 “꿩꿩 장서방 뭐 먹고 산가/ 아들 낳고 딸 낳고 뭐 먹고 산가/ 아들네 집서 콩 한 섬 딸네 집서...
-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여성들이 남편에 대한 연정을 읊은 민요. 전 영암 문화원장이던 김희규가 1997년에 편찬한 『낭주골의 옛 노래』에 수록되어 있다. 여성들의 유희요 중의 하나로, 부부간의 애틋한 정이 잘 나타난 민요이나 주로 어느 때 부른 것인지는 알 수가 없다. 「흥그레 타령」이나 「베틀가」처럼 여성들이 일반적으로 유희요를 구연할 때 가창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낭주골의 옛...
-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전해지는 늙은 영감을 소재로 한 민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채록되거나 전승된 민요 중에는 다른 지역과 비교하였을 때 유독 특이한 놀이나 장면들을 연상하게 하는 노래들이 많다. 「늙은 영감 장가간 노래」도 그런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다. 「늙은 영감 장가간 노래」는 늙은 영감이 새장가를 간 것을 소재로 하여 유쾌하게 그려 낸 유희요이다. 처녀와 영감이 서로 주고받으...
-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전해지는 닭을 소재로 인간의 삶의 애환을 노래한 민요. 영암군에서 전해지는 「닭타령」은 닭을 소재로 서정적인 감상을 표현한 민요이다. 이와 유사한 노래가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채록되어 그 일면을 엿볼 수도 있다. 영암군 뿐만이 아니라 “닭아 닭아 우지 마라 네가 울면 나 죽는다.” 등의 닭을 소재로 한 민요는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판소...
-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전해지는 무명 솜을 타면서 부르던 민요. 「둥당애 타령」은 ‘둥당애당’, ‘둥당기당’, ‘둥덩애덩’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영암군을 비롯한 호남 전역에서 애창되던 여성 전유의 유희요이다. 유희의 농도에 따라 남성들도 참여한다. 일반적으로는 목화솜을 탈 때 활방구를 치면서 갖은 사설을 늘어놓고 후렴을 ‘둥당애’로 받는다. 바가지 장단, 옴박지 장단이라고 해서 물을...
-
전라남도 영암군 지역에서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노래. 영암 지역의 논일 노래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것이 모심을 때 하는 소리이다. 「모내기 소리」라고도 하며 남도 민요로 분류한다. 영암 지역에서는 「영암 갈곡리 들소리」가 영산강 유역 논일 노래 중에서 으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외에도 각 면에서 전승되어 왔다. 「모심기 소리」에는 농부가형이나 상사소리형이 있는데 영...
-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주로 여성들이 방아를 찧으며 부르던 민요. 영암군에서도 디딜방아나 절구를 찧으며 「방아 타령」을 불렀다. 「방아 타령」은 노동요의 일종이지만, 사실상 유희요에 가깝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성적인 상황을 비유하거나 모사하는 가사를 통해 익살맞고 풍자적인 생활상들을 노랫말 속에 펼침으로써 유희요의 특징을 더하기 때문이다. 이명순[영암군 시종면 신연리 2구 방축 마을...
-
전라남도 영암군에 전해 오는 베틀에서 베를 짜면서 부르는 부녀자들의 민요. 「베틀가」는 베틀에 베를 짜면서 부르는 노래로, 「길쌈 노래」의 하나이다. 「길쌈 노래」가 「물레 타령」 등을 다 포함하는 개념이라면 「베틀가」는 베틀에 베를 짜는 과정을 그린 보다 하위 개념의 노래라 할 수 있다. 베틀을 소재로 하여 “하늘에다 베틀 놓고”로 시작하는 「베틀가」와 축음기판에 의해 보급된 「...
-
전라남도 영암군에 전승되어 오는 비단을 소재로 한 민요. 전국적으로 전승되어 오는 「비단 타령」은 「흥보가」에 나오는 판소리를 일컫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영암군에서 전해 오는 「비단 타령」은 판소리가 아니라 민요이다. 전 영암 문화원장이던 김희규가 편찬한 『낭주골의 옛 노래』에 영암군 시종면 신연리에 사는 나명순이 구술한 「비단 타령」의 가사가 실려 있다. 『낭주골의 옛 노래』에...
-
전라남도 영암군에 전해지는 사슴을 소재로 한 민요. 채록이나 수집 상황을 알 수 있는 정보가 없으나 전 영암 문화원장이던 김희규가 편찬한 「낭주골의 옛 노래」에 관련 사설이 남아 있다. 사슴과 서로 말을 주고받는 이루어져 있으며, 연의 구분이 없는 10행의 연속체 형식이다. 음원 자료가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영암군에서는 어떻게 구연되었는지 알 수 없다. 금정면 남송리에 사는 정윤...
-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전해지는 등짐을 지고 나를 때 부르는 민요. 「산아지 타령」은 영암군을 비롯한 호남 지역 사람들에게 애창되는 민요 중의 하나로, 「진도 아리랑」의 모태가 된 민요이기도 하다. 볏짐이나 나뭇짐 등 등짐을 지게를 이용해 지고 갈 때 부르거나 일과 상관없이 놀 때 부르는 노래이다. 김세원[영암군 도포면 수산리]과 김일덕[영암군 덕진면 용산리 1구]의 창이 문화재청 문...
-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전해지는 소의 처지를 소재로 한 민요. 영암군에서는 「소타령」이 두 곡 채록되었다. 말 그대로 소의 처지를 노래한 것과, ‘사래질고 장찬밭에’로 시작하는 노래이다. 노동요라기보다는 「흥타령」이나 「육자배기」류의 신세타령으로 부른 것으로 추정된다. 시종면 옥야리 최창덕이 구연한 「소타령」을 이경엽 외 연구진이 채록하여 한국학 중앙 연구원 왕실 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
전라남도 영암 지역에서 전해 오는 시집살이의 어려움을 읊은 노래. 전라남도에서 「시집살이 노래」는 ‘흥그레 타령’, ‘흥그레 소리’, ‘부녀요’, ‘신세타령’ 등으로 불린다. 영암 지역에서는 「시집살이 노래」라고 해서 여성들이 자신의 고달픈 시집살이 생활을 신세타령하듯 사설로 읊는 형식이다. 그만큼 토로할 내용이 많다는 뜻이기도 하고 서사적 줄거리 속에 자신의 애환을 담아낸다는 뜻...
-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전해지는 첩 장가가는 내용을 소재로 한 유희요. 전 영암 문화원장이던 김희규가 1997년에 편찬한 『낭주골의 옛 노래』에 정길순[영암군 시종면 봉소리]이 구술한 사설이 수록되어 있다. 「첩 장가가는 소리」의 사설을 살펴보면 남편에 대한 원망이 직설적으로 토로되어 있다. 음원 자료가 없기 때문에 음악적 면모를 살피기는 어렵지만 ‘한다리 만다리’류의 매우 단순한 선...
-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활방구를 치며 부르던 민요. 무명을 타는 활을 입에 물거나 들고 퉁기면서 노래 장단을 맞추는 악기를 활방구라 한다. 일반적으로 활방구는 여성들을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놀이 속에서 연주되는 악기라고 할 수 있다. 주로 농한기 때 여성들이 모여서 놀 때 악기를 대신하여 활용하는 것이 활방구이기 때문이다. 전 영암 문화원장 김희규가 펴낸 『낭주골의 옛 노래』에서는 활...
-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져 사람들 사이에 전해 오는 노래. 민요는 민족 집단의 노래로서, 오랜 세월 속에서 민중들의 소박하고 순수한 생활 감정이 자연 발생적으로 불리면서 다듬어진 노래다. 그러기에 민요는 국가나 사회 또는 관리들을 거침없이 비판하거나 풍자하며 민중의 한을 노래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작자나 작곡자도 알 수 없으며, 곡도 가사도 정확하지 않은 것이 많다....
-
전라남도 영암 지역에서 소리를 통해 이루어지는 예술 활동. 영암 지역의 고유한 예술 정신이 담겨 있는 음악으로는 민요, 농악, 산조, 강강술래 등의 민속 음악을 들 수 있다. 김창조를 산조의 시조로 추앙하는 것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영암 지역은 전반적인 민요의 전승이 활발한 것은 물론 격조 높은 산조 음악을 탄생시킬 만큼 음악적 토양이 풍부한 곳이라 할 수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