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역리 영암 공원에 있는 김인신의 영정을 모셔놓은 사당. 노체정 영당(老體亭 影堂)은 김인신(金仁臣)을 기리는 영당이다. 김인신의 본관은 김해, 자는 원식(元植), 호는 노체정(老體亭)이다. 영암 출신으로 도사공 김련의 후손이다. 어렸을 때부터 총명하였으며 사서오경을 통달하고 무예가 출중하여 순조 때에 무과에 올라 위도 첨사와 오위부의 여러 관직을 거쳤고 만경...
-
조선 후기 영암 출신의 승려. 대우(大愚)[1676~1763]는 어머니 이씨(李氏)가 임신하였을 때 푸른 새가 어깨 위로 날아와 앉는 태몽을 꾸었다고 한다. 태어났을 때부터 미간에 하얀 털이 있어서 사람들의 이목을 끌었다. 성장하면서 모든 일을 슬기롭게 해결하여 신동 소리를 들었다. 소년 시절에 우는 새소리를 듣고 발심하여 출가를 하였다. 대흥사에 기거하며 불도를 닦았는데, 사서(...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동구림리에 있는 해주 최씨 문중 사당. 동계사(東溪祠)는 최충, 최만리, 최경창, 최석징, 최치헌 등 해주 최씨(海州崔氏)의 위패를 봉안한 사당이다. 최충(崔沖)[984~1068]의 자는 호연(浩然), 호는 성재(惺齋)이고, 해주 대녕(大寧) 사람이다. 고려 목종 때에 문과에 급제하여 나이가 많고 덕이 높은 사람으로서 정치를 논하고 국사를 경륜하여 국가를 위...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장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함양 박씨의 효열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문. 함양 박씨(咸陽 朴氏)는 오한(五恨) 박성건(朴成乾)의 후손으로 문규원(文奎源)의 처가 되어 정성껏 시부모를 봉양하고 종인(宗人)들의 모범이 되었다. 1854년에 나주의 친가에 가 있을 때 남편이 갑자기 죽었다. 박씨는 자결을 꾀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 슬픔을 참고 정성껏 3년간 초상을...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만수리에 있는 손훈립·손응호·손응록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문. 밀양 손씨 삼충 정려(密陽孫氏 三忠 旌閭)는 임진왜란 때 출정하여 왜군과 싸우다가 장렬히 전사한 밀양 손씨 손훈립(孫塤立)·손응호(孫應虎)·손응록(孫應祿)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정각이다. 특히 손훈립은 임진왜란 당시 최경회(崔慶會)·김천일(金千鎰)과 힘을 합하여 금산·무주·진주 지역...
-
조선 전기 영암 출신의 문인·학자. 박규정(朴奎精)[1493~1580]은 1528년 생원시에 합격한 뒤 평생 당대 명유(名儒)들과 함께 시와 문장을 논하면서 여생을 보냈다. 특히 현재까지도 유지되고 있는 구림 대동계의 중창자이며, 영암 향약을 창설하고 향안을 마련하는 데서 주동적 역할을 하는 등 조선 전기 영암 지역의 사족을 이끈 사람 중의 한 명이다.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
조선 시대 영암 출신의 효자. 박지검(朴之儉)은 18세에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며 부모에게 효도를 다하였다.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규정(糾正) 박현(朴鉉)의 후손이다. 박지검은 부모를 모시는 데 효성을 다하였다. 아버지가 병이 들었을 때는 대변을 맛봐 그 병을 진단하였고,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3년 동안 시묘 살이를 하였다. 어머니가 학질에 걸렸을 때는 자신의 허벅지를 떼어 드렸고...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개신리에 있는 현대의 사당. 1919년 세 명의 충신을 기리기 위해 삼충려(三忠閭)를 창건하였는데 1939년 훼철(毁撤)되었다. 광복 후에 다시 삼충사(三忠祠)를 세우고 박광춘(朴光春)[1550~1608]을 주벽으로 박광년, 박계원을 배향하였다. 박광춘의 자는 해화(海華), 호는 읍천(挹川), 본관은 밀양이며 전라남도 광주에서 태어났다. 이지함(李之涵)의 문...
-
조선 후기 영암 출신의 열녀. 본관은 김해(金海). 양무공(襄武公) 김완(金完)의 딸이며 서경택(徐景宅)의 처이다. 서경택 처 김해 김씨(金海金氏)는 열아홉 살에 시집을 갔으나 스물두 살이 되던 해에 남편이 천연두에 걸렸다. 병석에 누워 있는 남편의 병을 치료하고자 항상 옆에서 정성을 다하였으나, 결국 남편은 병석에서 일어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이에 남편을 따라 죽기를 각오하...
-
조선 후기 영암 출신의 문신이자 효자. 신사준(愼師浚)[1734년~1796]은 성리학을 전공하였으며, 궁핍한 생활에서도 책을 읽어 경전에 두루 통하였다. 성품이 지극히 효성스러워 어려서부터 부모를 섬김에 정성을 다하였다. 부모가 병에 걸렸을 때는 변을 맛보고 자기 손가락의 피를 내 간호를 하였고, 상을 치를 때도 예를 다하였다. 이러한 신사준의 효행을 보고 고을 사람들이 모두 공경...
-
조선 후기 영암 출신의 열녀. 본관은 완산(完山). 현감을 지낸 이감(李瑊)의 딸이며 안세웅(安世雄)의 처이다. 안세웅 처 이씨는 시집간 지 6개월 만에 남편이 알 수 없는 병을 얻자 정성을 다하여 간병하였으며, 남편을 대신하여 죽을 수 있게 해 달라고 밤낮으로 하늘에 빌었다. 그럼에도 얼마 지나지 않아 남편이 죽게 되자, 슬픔을 못 이겨 가슴을 치며 울다가 스스로 목을 매 자결하...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최몽암의 영정을 모셔놓은 사당. 양오당 영당(養吾堂 影堂)은 국암사(國巖祠) 내에 있는 최몽암(崔夢嵒)[1718~1802]의 영당이다. 최몽암은 낭주(郎州) 사람으로 호는 양오당(養吾堂)이다. 1750년(영조 26) 식년시 병과에 급제하여 높은 벼슬을 두루 거쳐 공조 참판을 지냈으며 자헌대부에 올랐다. 그 후 나이 때문에 스스...
-
박언침(朴彦忱)을 시조로 하고 박항(朴恒)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남도 영암군의 세거 성씨. 밀양 박씨 시조는 신라 경명왕의 맏아들인 밀성 대군(密城大君) 박언침이며, 밀양 박씨에서 분파된 영암 박씨(靈巖朴氏)는 박언침의 10세손으로 고려 시대에 좌정승을 지낸 박항[1227~1281]을 중시조로 하여 가계를 이어오고 있다. 박항의 5세손인 박기(朴璣)는 고려 충숙왕 때 은청광록대부(銀...
-
조선 시대 영암 출신의 열녀. 남편은 오석전(吳錫銓)이다. 이씨(李氏)는 결혼한 지 6개월 만에 남편 오석전이 모진 병을 얻자 정성을 다해 간병하였으나 결국 남편이 죽었다. 이씨는 슬픔을 못 이겨 자결을 하려 했으나 늙은 노비가 지키고 있어서 뜻을 이룰 수 없었다. 어느 날 집을 나서는 이씨를 수상히 여긴 동생이 뒤를 밟아 막 물속에 뛰어들려는 이씨를 발견하고 급히 손으로 잡아당기...
-
이신우(李申佑)를 시조로 하고 해남에 정착한 이영화의 후손들이 전라남도 영암군에 분거하여 기반을 마련한 세거 성씨. 원주 이씨(原州李氏)는 조선 시대 해남 지역의 유력한 세거 사족으로, 1445년 이영화의 해남 입향으로 해남 인근 지역에서 활발한 향촌 활동을 하였다. 다수의 인물이 중앙 관료로 진출하였고, 영암 옥천면에 살았던 옥봉 백광훈의 아들 백흥남을 사위로 맞이하는 등 해남과...
-
고려 후기 영암 지역에 부임한 문신. 유광식(柳光植)[?~1221]은 고려의 문신으로, 영암 수령으로 재임 시 청백하고 엄정하였다. 여러 차례 승진을 하다가 1221년(고려 고종 8) 문하시랑 동 중서문하 평장사(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로 있다가 벼슬을 사임하고 물러났다. 본관은 전주(全州), 시호는 대숙(戴肅)이다. 둘째 할아버지는 수사공좌복사로 시호가 충신공(忠愼公)인 유신(柳...
-
조선 시대 영암 출신의 효자. 육만태(陸萬泰)는 효성이 지극하여 아버지의 치질병과 담병(痰病)을 치료하기 위해 몸을 아끼지 않고 한겨울에 얼음을 깨고 고기를 잡고, 산에 올라가 노루를 잡아 아버지의 병을 구완하는 효행을 보였다. 본관은 옥천(沃天), 자는 래숙(來叔), 호는 은산(隱山)이다. 옥천 육씨 덕곡공파(德谷公派) 육보의 후손이며, 육세록의 손자이다. 육만태는 효성이 지극하...
-
조선 후기 영암 출신의 열녀. 본관은 영광(靈光). 의병장 김여중(金汝重)의 딸이며 윤유성(尹惟誠)의 처이다. 윤유성 처 김씨는 시부모를 봉양하고 남편의 병환을 고치기 위해 백방으로 수소문하다가 결국 남편이 22세의 나이로 죽자 따라 죽었다....
-
조선 전기 영암 출신의 문신. 이후백(李後白)[1520~1578]은 어려서부터 글을 잘하여 호남(湖南)에서 명망(名望)이 높았으며, 호남 암행어사·대사간·이조 판서·호조 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종계변무(宗系辨誣)[조선 건국 초기부터 선조 때까지 200여 년간 중국 명나라에 잘못 기록된 이성계의 세계(世系)를 고쳐 달라고 주청하던 일]의 공으로 1590년 광국공신(光國功臣) 2등과...
-
조선 후기 영암 출신의 열녀. 남편은 임자근노미(林者斤老味)이다. 임자근노미 처 유소사(劉召史)는 남편이 죽자 친히 시체를 씻겨 옷을 입힌 뒤 낫으로 자결하였다. 『영암읍지』에서는 남편이 죽으니 친히 스스로 염습을 하고 낫을 가져다가 자살하여 죽으니 영조 계미년에 이 사실을 듣고 정려를 내렸다고 한다. 1763년(영조 39)에 나라에서 임자근노미 처 유소사를 정려(旌閭)하였다....
-
고려 후기 영암 출신의 열녀. 정만(鄭滿)의 처 최씨(崔氏)[?~1379]는 1379년(고려 신우 5)에 왜구들이 진주에 침입하였을 때 위협에 굴하지 않고 끝까지 저항하여 왜구로부터 절개를 지킨 열부이다. 도염서승(都染署丞) 최인우(崔仁祐)의 딸이며 진주 호장(晉州戶長)을 지낸 정만의 처이다. 자녀 4남매를 두었다. 정만 처 최씨는 영암에서 남편이 있는 진주로 시집을 갔다. 137...
-
전라남도 영암군 금강리 당산 마을에 있는 함풍 이씨의 효열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각. 함풍 이씨(咸豊 李氏)는 사인(士人) 정몽열(丁夢說)의 처로 효심이 높아 시부모를 잘 섬겼다. 남편이 괴질에 걸려 4년간 지성으로 간호를 하였으나 회복하지 못하고 죽자 정성을 다해 장례를 치렀다. 남편의 장례를 마친 이씨는 약을 먹고 자결을 하여 남편의 뒤를 따랐다. 이때 나이는 25세였다. 이...
-
조선 후기 영암 출신의 승려. 성은 임씨(林氏)이며, 호는 하의(荷衣)이다. 정지(正持)[1779~1852]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태어나 17세 때 부모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두륜산 대흥사로 들어갔다. 대흥사에서 열심히 수행하여 대흥사 13대 강사 완호 윤우 대사(玩虎玩湖大師)에게 구족계(具足戒)를 받은 후 법제자가 되었다. 이후 약 20여 년 동안 달마산(達摩山), 덕룡산(德龍山)...
-
전라남도 영암군 용흥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홍제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각. 영암군 영암읍 용흥리 452-1번지에 있다. 정홍제 정려각(鄭弘濟 旌閭閣)은 하동 정씨 정홍제(鄭弘濟)[1725-1810]의 정려각이다. 정홍제가 1873년 효행으로 정려를 받아 건립되었다. 정홍제 정려각은 맞배지붕 형식이며 정면 1칸이다. 편액에는 ‘효자 하동 정홍제지려(孝子河東鄭弘濟之閭)’라고...
-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금강리 당암 마을에 있는 조선 시대 양직과 그의 처 장수 황씨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문. 제주 양씨 쌍효문(濟州 梁氏 雙孝門)은 당암 마을 제주 양씨 문중의 효자 양직과 효부 장수 황씨를 표창하여 세운 문이다. ‘효자(孝子) 국음 처사(菊陰處士) 양직지려(梁稷之閭)’와 ‘효부(孝婦) 장수 황씨지려(長水黃氏之閭)’로 이루어졌다. 영암군 덕진면 금강리 당...
-
조선 시대 영암 출신의 열녀. 남편은 조도명(趙道明)이다. 허소사(許召史)는 19세에 조도명에게 시집을 갔지만 그해에 남편이 죽었다. 성복(成服) 전에 자결을 시도하였으나 실패로 돌아가자 제사상 밑에 엎드려 7일 동안 금식하여 조용히 죽었다.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허소사는 일찍이 남편이 죽었지만 밤낮으로 빈소를 지켰으며 제사도 소홀함 없이 정성껏 치렀다고 한다....
-
고려 후기 영암 출신의 열녀. 조안정(趙安鼎) 처 김씨(金氏)는 고려 말 왜구들의 침입으로 인해 아버지와 남편이 일찍 죽고, 어머니까지 돌아가시자 청상과부가 되었다. 정신적으로 힘든 시기였지만, 가족들의 삼년상을 모두 시묘하였으며 생업을 일삼지 않았다. 사위로는 최덕지(崔德之)가 있다. 조안정 처 김씨는 17세에 아버지가 죽고, 이듬해 18세 되던 해에는 이른 나이에 중랑장의 중책...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 죽정 서원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무신박성오의 영당. 조양재 영당(朝陽齋 影堂)은 박성오(朴省吾)[1589~1651]의 영당이다. 박성오의 본관은 함양, 자는 자안, 호는 조양재(朝陽齋)이다. 인품과 학식을 겸비하여 인조 때 함경도 병마절도사를 지냈고, 이괄의 난이 일어났을 때는 공주에서 임금이 탄 수레를 호위하였으며, 병자호란에는 남한산성에서 호가(扈...
-
조선 시대 영암 출신의 효자. 본관은 창녕(昌寧)이다. 조인수(曺麟壽)는 천성이 착하고 어버이를 공경할 줄 알았으며, 열다섯 살에 아버지가 일찍 죽자 어머니를 43년 동안 섬기며 끝까지 효행을 다했다. 『영암읍지』에 “편모를 섬김에 있어 하루같이 하니 고을 사람들이 감탄을 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항상 행동과 몸가짐을 바르게 하니 인근 주민뿐만 아니라 선비나...
-
조선 후기 영암 출신의 승려. 책활(策活)[1781~1862]의 속성은 장씨(張氏)이고, 법호는 자행(慈行)이다. 1781년 영암에서 출생하여 17세에 해남 두륜산(頭輪山) 대흥사(大興寺)로 출가하였다. 외모는 왜소하였으나 학덕(學德)은 뛰어났으며, 호훈(好訓)에게 전수받은 범패(梵唄)가 매우 뛰어났다. 해남 두륜산(頭輪山) 대흥사(大興寺)로 출가하여 대흥사 13대 강사 주 완호...
-
전섭을 도시조, 전낙을 중시조로 하고 전승문, 전승무 형제를 입향조로 하는 전라남도 영암군의 세거 성씨. 천안 전씨(天安全氏)는 조선 시대 영암 지역의 유력한 세거 사족으로, 1504년(연산군 10) 전승문, 전승무 형제가 강진군 퇴동 마을에서 서호면 엄길촌에 입향한 이후 많은 인재들을 배출하였다. 입향조 전승문의 맏아들인 전윤은 흥양 현감과 사헌부 감찰을 역임하였으며, 충순위사정...
-
조선 시대 영암 출신의 열녀. 남편은 최상두(崔尙斗)이다. 최상두 처 이씨(李氏)는 남편이 죽자 남편의 관 옆에서 끊임없이 울다가 조용히 목을 매어 자결하였다.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남편이 죽자 관 옆에서 곡을 하였는데 그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 장례 시간이 되자 광중(壙中)[시체가 놓이는 무덤의 구덩이 부분]에 들어가고자 힘을 써서 시아버지가 겨우 끌어냈으며,...
-
조선 후기 영암 출신의 문인·학자. 최선석(崔宣錫)은 학문과 덕행이 바르고, 수학과 경전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과거에는 뜻을 두지 않고 시문을 즐겼다.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초당(草堂)이다. 참봉 최진(崔璡)의 손자이며 부인은 이덕온(李德溫)[1562~1635]의 증손녀인 전주 이씨(全州李氏)이다. 사교당(四矯堂) 유준(柳浚)[?~1660]의 문하에서 수학과 경전을 깊이 연구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