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만취당을 모티프로 삼은 김문수의 단편 소설. 「만취당기」는 저자 김문수가 1989년에 『실천 문학』 여름호를 통해 발표하고, 같은 해 조선일보사가 주관한 제20회 동인 문학상을 수상한 작품으로 한국인의 출세 욕망과 그에 맞서는 청빈 사상을 풍자적으로 그린 단편 소설이다. 2004년에는 돋을새김에서 「만취당기」를 포함 12편의 중·단편을 엮어 같은 제목의 소설...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에서 전해오는 가사. 「망부가」는 죽은 남편을 그리워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망부가」는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이두리에 사는 김계수[여, 1921년생]가 소장하고 있는 가사 작품으로 2000년 의성 문화원에서 발행한 『의성의 민요』 530~538쪽에 악보가 수록되어 있는 상당히 장편의 가사이다.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망부가」는 가사체...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규방 가사.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몬녀형제붕우소회가」는 유영희가 제공해 준 가사로 2000년 의성 문화원에서 발행한 『의성의 민요』 665~668쪽에 악보가 수록되어 있다. 17세에 부모와 이별하고 시집을 가지만 낯선 곳에서 적응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시댁에 간청하여 친정에 가서 친정 부모와 붕우를 만나며 다음에 또 만나는 날을...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월소 1리에서 전해오는 가사. 「몽유가」는 작자 미상의 가사로 중국의 악양루를 시작으로 등왕각, 황학루 등을 오르고 중국에서 한국으로 건너와 명승지를 모두 유람하고 돌아오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하지만 이는 모두 작가의 꿈속 이야기로 낮에 잠깐 잠이 들었다가 중국에서부터 한국의 여러 곳을 탐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김동희가 소장하고 있는 작품으로 2000년...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지역에서 생각과 다른 시댁의 현실을 노래한 신세 한탄 가사. 「속은 혼담」은 13세에 열녀전의 효성 편을 익혔고, 침선방적(針線紡績)도 다 배웠으며, 예의범절을 지키며 부모님께 잘 순종하여 꾸중 한 번 안 듣고 명문가의 따님으로 곱게 자란 여성이 주체이다. 하지만, 15세가 되어 시골로 출가를 하여보니 듣던 것과 달리 몰락한 양반 댁이라, 주어진 운명을 한탄...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금천리에 전해 내려오는 『초한지』의 우미인을 노래한 규방 가사. 중국 『초한지』에 등장하는 우미인과 초패왕의 이야기를 우미인의 입장에서 가사체로 풀어쓴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우미인가」는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명당리 출생으로 16세에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금천 1리로 시집 온 조남숙[1924년, 여]이 부른 것으로, 2000년 의성 문화원에서 발행한 『...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월소리에 전해 내려오는 화전가. 의성군 안사면 월소 3리에 전해져 내려오는 「원유가」는 ‘화전가’ 형태의 작품이다. 작품의 제목은 화전가가 아니지만, 형식은 화전가 고유의 방식을 따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원유가」는 경상북도 예천군 호명면에서 출생하여 19세에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월소 3리로 시집 온 노을교[1925년, 여]가 부른 것으로, 200...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윷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가사체 노래. 「윷놀이 노래」는 원래 고려 시대 궁중에서 상원(上元) 놀이로 시작된 것이다. 음력 정초(正初)가 되면 동편과 서편으로 나누어 편 윷놀이를 하는데 도·개·걸·윷·모 중에서 적시(適時)에 필요한 것이 있으면 전원이 일어서서 흥겹게 해당되는 노래를 부른다. 즉, ‘개’가 필요할 때가 나오면 개송(介誦)을 부른다. 「윷놀이 노...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입암리에 전해 내려오는 제사를 지낼 때 쓰는 글.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입암 1리에 전해져 내려오는 「제문」은 지경리에서 출생하여 19세에 옥산면 입암 1리로 시집 온 가창자 이분수[1920년생, 여]가 시동생 권정직의 부탁으로 창작하였다. 2000년 의성 문화원에서 발행한 『의성의 민요』 658~659쪽에 수록되어 있다. ‘유세차 모월 모일’로 시작되어...
-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 연재리에서 『초한지』의 항우를 소재로 전해 내려오는 규방 가사. 「초한가」는 중국 『초한지』에 나오는 항우의 이야기를 가사로 노래한 것이다. 항우가 초나라를 잃고 초패왕으로 불리게 된 사건에 대한 것이 주를 이룬다. 의성 지역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초한가」는 배순철[1927년생, 남]이 부른 것으로, 2000년 의성 문화원에서 발행한 『의성의 민요』 543쪽...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 전해지는 이별의 고통과 상사의 정을 주제로 하는 서정 가사. 이별의 고통과 상사의 아픔을 노래한 「추풍감별곡」의 창작 시기는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지만 대략 19세기 말 무렵으로 추측하고 있으며, 20세기 초반까지 많은 인기를 얻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 전해지는 「추풍감별곡」도 이별과 상사의 아픔을 노래하고 있다. 「추풍감별곡」은 2000...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월소 3리에 전해져 내려오는 규방 가사. 의성군 안사면 월소 3리에 전해져 내려오는 「칠석가」는 직녀의 입장에서 이야기 하는 견우와 직녀의 이야기이다. 사랑하는 사람을 일 년에 한 번 만나게 된 사건의 경위와 그리움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칠석가」는 경상북도 예천군 호명면에서 출생하여 19세에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월소 3리로 시집 온 노을교[1925년,...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이두리와 구천면 모흥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화전가. ‘화전가’는 일반적으로 마을의 부녀자들이 3월에 다 같이 모여 일 년 동안의 회포를 풀기 위해 진행하는 화전놀이 때 부르는 노래이다. 의성군 비안면 이두리와 구천면 모흥 3리에도 「화전가」가 전해져 온다. 비안면 이두리에서 출생하여 18세에 구천면 모흥 3리로 시집온 김계수[1921년, 여]가 부른 것으로,...
-
경상북도 의성군 출신 소설가 김호운의 소설집. 『겨울 선부리』는 1988년에 청림 출판사에서 발행한 김호운의 첫 창작집으로 작가 생활 10년째를 맞이해 이룬 소설집이다. 김호운은 1950년 10월 20일에 의성군에서 태어나 1969년에 의성 종합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7년에 국립 철도 전문학교를 졸업했다. 그리고 이듬해인 1978년에 『월간 문학』의 신인상 단편 소설 부문을 수...
-
경상북도 의성군 출신 시인 박칠근의 시집. 『공중정원』은 2009년에 한국 문연에서 출간한 박칠근의 첫 시집으로, 격월간 『시를 사랑하는 사람들』[2008년 1·2월호] ‘박칠근 시인 특집’란에 소개된 작품을 중심으로 엮은 것이다. 저자 박칠근은 1959년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태어났으며, 2003년에 『시를 사랑하는 사람들』로 등단하였다. 『공중정원』은 4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
-
경상북도 의성군 출신 시인 조신호의 시집. 『구봉산 가는 길』은 1993년에 뿌리에서 출간한 의성 출신 시인 조신호의 첫 시집으로, ‘신라 지향성’과 ‘구봉산 지향성’이 잘 드러난다. ‘신라’는 역사적 유산을 통해 삶의 무상함과 나그네 의식을, 또 ‘구봉산’은 시인의 고향 이미지를 통해 1950년대의 정한을 표출하고 있다. 『구봉산 가는 길』은 5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51편이...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군위 의성 인터넷 뉴스사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발행되는 언론지. 의성과 군위 지역 뉴스와 경상북도 및 전국 뉴스를 실시간으로 컴퓨터 웹에서 신속하게 무료로 제공하는 인터넷 뉴스이다. 의성, 군위 지역의 뉴스와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여 지역민들이 원하는 내용을 원하는 시간에 무료로 쉽게 이용하도록 하고자 2005년 11월 1일 등록 후 설립되었다....
-
경상북도 의성군 출신 시인 김용락의 시집. 김용락은 1958년 5월 22일 단촌면 세촌리에서 태어났다. 1982년에 개인 시화전을 열고 소시집 『송사리 떼를 몰고 하늘로』를 펴냈다. 1984년 1월에는 창작과 비평사 신작 시집 『마침내 시인이여』를 출간해 문단에 공식 등단하였다. 김용락은 희망 숲 대구 교육 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으며, 교육자이자 언론인이며, 평론가이다. 대표 시집...
-
경상북도 의성군 출신 평론가 임헌영의 평론집. 『민족의 상황과 문학 사상』은 임헌영이 1983년 11월부터 1985년 말까지 2년 여 동안에 쓴 평론들을 모아 1986년 한길사에서 간행하였다. 임헌영은 본명이 임준열(任俊熱)이며 1941년 1월 15일 의성군에서 태어났다. 경향 신문사 기자를 역임했고, 1966년 『현대 문학』에 평론을 발표하고 조연현의 추천을 받아 문단에 등단하면...
-
경상북도 의성군 출신 하종오의 첫 시집. 시집 『벼는 벼끼리 피는 피끼리』는 1981년 창작과 비평사에서 출간한 의성군 출신 하종오의 첫 시집으로 ‘창비 시선’의 시인들 중 가장 젊은 나이로 시집을 엮어 냈다. 이 시집은 하종오가 20대 때 시를 통해 인간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길을 찾아보는 과정 속에서 탄생한 작품이다. 두 편을 제외하고는 모두 1979년부터 써온 작품을 실었다...
-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삼한 시대 부족 국가인 조문국을 소재로 한 박정수의 역사 소설. 경상북도 의성군 출신인 박정수의 장편 소설 『왕국의 부활』은 의성군 금성면 지역에 존재했던 조문국(召文國)을 소재로 한 역사 소설이다. 조문국과 관련해서는 『삼국사기(三國史記)』 권이(卷二) 벌휴이사금(伐休尼師今)조에 “三年春正月親祀如祖廟大赦二月 拜坡珍 仇道 一吉 仇須兮 爲左右軍主 代召文國 軍主之...
-
김종우가 경상북도 의성군의 지역 문화 자료를 모아 발간한 향토 자료집. 1996년에 발간된 김종우의 향토 자료집 『의성 다가서기』는 의성군의 역사 중에서 의성군만이 지닌 내용을 중심으로 실었다. 자료집 내용은 가급적 다른 문헌에 실리지 않은 『의성 신문』, 『의성 문화』, 『의성 군보』 등 지역 매체에 실린 글들을 모아 엮었다. 향토 자료집 『의성 다가서기』는 총 7부로 구성되었다...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한국 문인 협회 의성 지부에서 정기적으로 발간하는 연간 문학집. 1985년에 창립한 ‘의성 문학회’에서 의성 지역의 향토 문인과 출향 문인의 친목과 화합을 바탕으로 창조적인 문학 활동의 장을 제공하기 위해 1987년에 『의성 문학』이라는 제명으로 창간하였다. 『의성 문학』은 1987년 창간 이후 2013년 2월 현재까지 총 26집이 발간되었으며, 책의 판형은...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의성 문화원에서 정기적으로 간행하는 문화 소식지. 1984년에 개원한 의성 문화원에서 의성 지역의 향토 문화와 역사를 알릴 기회를 제공하고 의성 문화원의 활동상을 홍보하기 위해 1986년에 『의성 문화』라는 제명으로 창간하였다. 『의성 문화』의 판형은 현재까지 두 번 바뀌어 세 가지 크기이다. 1986년 창간호부터 1996년까지의 도서 판형은...
-
의성과 관련된 산길에 대한 정보를 수록한 안내서. 『의성산맥』은 의성과 인연 깊은 산길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포항시 죽장면에서 이어져 온 보현지맥과 석심산에서 분리되어 대구까지 남향한 뒤 북서진한 팔공지맥, 의성군의 남쪽과 북쪽을 동서로 지나는 선암지맥, 갈라지맥이 있다. 이들 4개 지맥을 산행해 보면 약 1,000리에 이른다. 의성과 인연 깊은 마루금이라고 하여 의성산맥이라...
-
1962년 박재구(朴在九)와 임태순(任台淳)의 주도로 편찬된 의성 지역 향토지.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인문 지리적 내용을 담은 읍지이다. 해방 이후 외래 문물이 밀려들고 우리 역사와 문화를 소홀히 하는 추세가 지속되자, 우선 우리 고을의 전통을 계승·유지하자는 의도에서 1962년 지역 유림들 주도로 편찬된 의성 지역의 읍지이다. 현대에 편찬된 읍지이나 구성은 전 근대 이전 편찬되었...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민요의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악보와 가사를 모아서 수록한 민요 모음집. 『의성의 민요』는 의성 지역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민요에 대해 설명하고 악보와 가사를 수록한 것으로 약 700쪽에 해당하는 분량이다. 의성 지역에서 전해져 내려오고 있는 민요의 거의 대부분을 수록하고 있어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2000년 의성 문화원에서 발행한 『의성...
-
경상북도 의성군의 산행지 20곳에 대한 정보를 담은 의성 지역 산길 안내서. 『의성의 산』은 의성 지역 금성산 등 20개 산에 대한 등산코스, 높이, 위치, 산 이름에 얽힌 유래와 전설 등 산행지의 특성을 사진과 함께 자세하게 설명해 준다. 산행 길을 또한 지도로 표시하였으며, 고도변화와 산행거리를 안내한다. 주변의 역사문화유적지 등에 대한 이야기도 수록하고 있으며 348쪽 분량이...
-
경상북도 의성군 출신의 아동 문학가 신현득의 동시집. 동시집 『참새네 말 참새네 글』은 1982년 창작과 문학사를 통해 발간한 신현득 작가의 대표작 모음집이다. 1956년부터 1981년까지 발표한 동시 중 대표작 115편이 수록되어 있다. 아동 문학가 신현득은 1933년에 의성군에서 출생하였다. 안동 사범 대학교와 대구 교육 대학교에서 학사를 취득하였으며, 한국 사회사업 대학에서...
-
경상북도 의성군 출신 시인 이태수의 시집. 시집 『회화나무 그늘』은 2008년에 문학과 지성사에서 출간한 이태수 시인의 열 번째 시집이다. 5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67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이태수는 1947년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출생하였다. 1974년 『현대 문학』을 통해 등단했으며 ‘자유시’ 동인으로 활동했다. 시집 『그림자의 그늘』[1979], 『우울한 비상(飛翔)의...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가래라는 어구를 이용하여 물고기를 잡는 전통 풍습.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는 가을에 추수를 한 이후에 저수지나 강가에서 가래치기를 하여 물고기를 잡는 풍습이 있다. 의성 지역에서 가래치기가 언제부터 시작됐는지는 정확히 알 수는 없다. 가래치기는 예전에 의성 지역에서 벼 수확을 끝내고 보수를 위해 물을 뺀 저수지에서 가래를 이용하여 물고기를 잡는 것이다. 통 안...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매년 추석 때 다리를 사이에 두고 남과 북으로 편을 짜서 가마를 지고 겨루는 민속놀이. 매년 음력 8월 15일 추석에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아사천(衙舍川)을 중심으로 유다리를 사이에 두고 행해졌던 기마 싸움은 서당 학동들이 남쪽과 북쪽으로 나누어 가마를 지고, 상대편의 가마를 먼저 부수거나 기(旗)를 많이 빼앗은 편이 승리하게 되는 민속놀이이다. 의성읍 내...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외정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가산 저수지는 대구에서 국도 5호선, 중앙 고속 도로를 이용하여 의성 IC에서 내려 안계 방면 국도 28호선을 따라 가면 다인면 외정 2리 동쪽 1㎞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외정리의 뒷쪽에 있어서 ‘뒷못’이라고 불렀던 가산 저수지는 1951년 한해 대책 사업으로 설치된 2종 저수지이다. 국도 28호선을 따라 경상북도 예천...
-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병합된 가상동·가중동·가하동과 계산동의 이름에서 한 글자씩을 따서 가산동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인 고바우는 임진왜란 때 피난민이 이 곳 바위 밑에서 하룻밤을 지낸 것에서 유래한 마을 이름이며, 그 후 산 아래 냇가에 있는 마을이라 해서 계산(溪山)이라 불렸다. 들감 마을은 들을 낀 아름다운 산...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집안을 지켜주는 신들에게 제의를 올리며 평안을 기원하는 신앙. 가신 신앙은 가정의 안녕과 화목을 기원하기 위해 집안 곳곳에 신을 모셔 섬기는 신앙 행위이다. 이를 ‘가택 신앙’, ‘가정 신앙’ 으로도 부른다. 가신 신앙에는 성주·삼신·조왕·용단지·측간신 등이 있다. 이 밖에도 객구 물리기나 아이 팔기 등과 같은 민간 의료도 가신 신앙에 포함될 수 있다. 가신...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다인면의 남단에 위치하고 있다. 가원 1리와 가원 2리로 나누어져 있으며 비봉산(飛鳳山)에서 흘러내리는 개울이 마을 앞을 흐르고 있다. 동쪽으로 외정리, 서쪽으로 서릉리, 남쪽으로 신락리, 북쪽으로 송호리와 면하고 있다. 동북쪽으로는 구릉성산지, 남서쪽으로는 저평한 들판이 펼쳐져 있어 논농사와 과수 재배가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1914년 행...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매년 가을에 개최되는 지역 축제. 가을빛 고운 축제는 의성 지역 최대의 군민 화합 축제이다. 매년 가을에 진행되던 군민의 날 기념식, 군민 체육 대회, 문화제, 쌀 문화 축제, 종목별 체육 대회 등을 2007년부터 가을빛 고운 축제 추진 위원회 주관 하에 하나의 축제로 묶어서 진행하고 있다. 의성군청은 시기와 장소를 각각 분산하여 개최하던 의성 군민의 날 기념식...
-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양지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가음 저수지는 의성읍에서 국도 28호선을 이용하여 탑리리까지 이동한 후 춘산 방향 지방도 68호선의 약 6㎞ 지점에 있는 양지동(陽地洞)에서 버스를 내려 좌측 춘산 쪽으로 300m 지점에 있는 1종 저수지이다. 탑리리에는 국보 제77호인 오충 석탑이 있으며, 못 위쪽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사화산인 금성산(金城山)[530.1m...
-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장리에 있었던 공립 중학교. 이웃을 배려하고 마땅히 할일을 실천하는 학생[도덕인], 자기 소질을 계발하고 끊임없이 탐구하는 학생[창조인], 자기 주도적 공부습관으로 높은 지성을 갖추는 학생 [실력인], 심신을 굳세게 단련하여 역경을 이겨내는 학생[건강인], 이웃을 돕는 선행으로 보다 큰 나를 실현하는 학생[봉사인]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자조,...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행정 구역. 가음면의 북쪽에는 날아가는 봉황의 형상을 한 비봉산(飛鳳山)이 있는데, 어느 날 산 아래로 봉황이 날아와 아름다운 소리로 울어 아름다울 가(佳), 소리 음(音) 자를 써서 가음이라 하였다 한다. 일설로는 면의 남동쪽에 있는 선암산(船岩山)을 주봉으로 하여 삼천리 산이 동서로 가로 지른 것이 여자가 가야금을 튕기면서 춤추는 형국이라 하여 그 아름다...
-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에서 같은 본관의 성씨들이 모여 사는 마을. 가음면은 북쪽의 비봉산을 비롯하여 동남부에 북두산·선암산 등이 솟아 산지가 많다. 면의 중앙을 가로질러 흐르는 쌍계천 유역에 평야가 발달했고 촌락도 주로 이 일대에 분포하고 있다. 장리(長里)·이리(梨里)·양지리(陽地里)·가산리(佳山里)·귀천리(龜川里)·순호리(蓴湖里)·현리리(縣里里) 등 7개 법정리와 18개 행정리...
-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장리에 있는 가음면 관할 행정 기관. 경상북도 의성군을 구성하고 있는 1개 읍 17개 면 중 가음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가음면사무소는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가음면으로 개칭한 이후 1928년 24개 동으로 분동하였으며, 1931년...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윤암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각곡 저수지는 지방도 79호선 의성 길안로에서 학림사 방면 쪽에 위치해 있는 2종 저수지이다. 각곡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44년 1월 1일 착공하여 1945년 12월 30일 준공하였다. 총 공사비는 5만 원이 소요되었고, 국고 보조로 충당되었다. 총 저수량 4,000㎥, 유효 저수량...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와 안동시 남선면에 걸쳐 있는 산. 예로부터 이 산의 능선에는 칡이 많이 자생한다 하여 갈라산(葛蘿山)이라 불리기도 했으며, 옛날에 풍수에 의하여 칡꽃이 많이 피었다고 하여 이와 같은 명칭이 유래했다고 한다. 또한 세간에 전해 오기를 “신라의 명필(名筆) 김생(金生)이 이곳에서 글씨를 공부했다.”고 하여 문필봉(文筆峯)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갈라산은 높...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의성군 옥산면의 상감동, 하감동, 옥계동을 병합하여 감동과 옥계의 이름을 따서 감계동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 하감(下甘)은 감바대 아래쪽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감바대는 본래 강바다로 불리었는데 홍수가 날 때마다 강물이 흥건히 고여 있다가 빠지지 않고 물로 잠겨 있어서 그렇게 불렀고 이후 변음되어 감바...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활동하는 기독교의 한 분파. 의성의 개신교 전래는 한 미국인 선교사의 전도 여행으로부터 시작된다. 1891년 한국에 첫발을 디딘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배어드는 부산을 거점으로 선교 활동을 펼치다가, 1893년 4월 17일부터 약 한 달 동안 경상북도 전역을 순회하는 긴 선교 여행을 떠났다. 그러던 어느 날 배어드가 경상북도 청도의 한 장터에서 노방 전도를 하...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개일리와 청로리를 연결하는 다리. 개일 육교는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개일리 지역에 남북 방향으로 건설된 교량이다. 우보면사무소가 있는 경상북도 군위군 우보면 이화리에서 금성면사무소가 있는 의성군 금성면 탑리리를 종단하는 국도 28호선의 개일 휴게소 북쪽 300m 지점에 위치해 있다. 개일 육교의 명칭은 교량이 가설된 지역인 개일리에서 유래되었으며, 하천을...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개일리(開日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 개일(開日)에서 나온 명칭이다. 원래 골이 넓다고 개곡(開谷)이라 부르다가, 그 후 개일로 바뀌었다고 한다. 또 다른 유래로는 약 400년 전 이 마을을 개척할 당시 산 너머 산운리와는 달리 항상 구름이 걷혀 있어, 개일이라 불렀다고도 한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의성군 산운면 개일동에...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봉양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개천 저수지는 봉양리에 있는 1종 저수지이다. 1530년에 간행된 『동국여지승람』에는 비안 현감 이변(李忭)이 시축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순조 때에 현인복(玄仁福)과 홍병도(洪秉道), 고종 때에 남정린(南廷麟) 등 역대의 비안 현감과 1913년에는 강기덕(姜基德) 등이 오랜 세월에 황폐된 개천 저수지를 크게 중수하였다는...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객구를 물리치기 위하여 행하는 민간 의료.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는 다른 집의 음식을 얻어먹거나 집에 들어온 음식을 잘못 먹고 배가 아프면 객구가 들린 것이라 한다. 객구가 들리면 시름시름 앓고 하품이 나며, 배가 아프게 된다. 이때 확실하게 객구가 들린 것인지 확인하는 과정이 있다. 쌀을 모아 그 중간에 숟가락을 세우면서 객구가 맞으면 보여 달라고 주문을...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에 있는 지역 친목 봉사 단체. 건우회는 1989년 12월 20일에 의성군 내 선·후배 상호간의 친목과 유대를 강화하고 상부상조의 협동 정신을 발휘하여 향토 의성 발전을 위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의로운 의성인으로서의 기상과 긍지를 길러 애향 정신을 함양하는 데 목적을 두고 설립되었다. 건우회는 회원 상호간의 친목과 유대 강화를 위한 각종 행사를 주...
-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본래 비안군 정북면 지역으로서 거밀 또는 검곡이라 하였다 하나 그 뜻은 알 수 없다. 자연 마을로 큰마을, 방등골, 솔티뱅이가 있는데, 큰마을은 마을이 크다 하여 1567년 경부터 부르게 된 명칭이며, 솔티뱅이는 마을 안에 솔숲이 있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방등골의 유래는 현재 전해지지 않고 있다. 장군묘 고개는 장군이 날 터라 하여 붙여진...
-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 검곡리와 안평면 금곡리를 연결하는 고개. 검곡리의 또 다른 이름인 검실에서 유래된 듯하다. 검실재는 신평면과 안평면 그리고 안사면의 경계이며, 국사봉[520.5m]과 고도산[494m] 사이의 420.4m 고지와 노동령[434.4m] 사이의 가장 낮은 안부로서 높이는 230m 정도이다. 검실재는 안평천과 광산천의 발원지에 해당된다. 검실재의 남쪽 계곡은 안평천...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도서리에 있는 경북 농아인 협회의 의성군 지부. 경상북도 의성 지역 700여 청각·언어 장애인의 복지 증진을 위해 설립된 비영리 단체로서 청각·언어 장애로 인한 의사소통의 장애, 일상생활 및 전반의 어려움과 소통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불이익을 감소시키고 농아인의 사회 통합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농아 복지와 관련된 제반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농아인의 사회적·경제...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원당리에 위치한 시각 장애인 단체. 경북 시각 장애인 연합회 의성 지회는 의성군 시각 장애인들의 자립 의욕을 고취시키며 시각 장애인의 복지 증진과 권익을 옹호하기 위하여 2004년에 설립되었다. 1981년 5월에 사단 법인 한국 맹인 복지 협회 경상북도 지회가 법인 등록을 마쳤고, 1998년 2월에는 경북 점자 도서관을 개관하였다. 2002년 2월에 사단 법...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철파리에 있는 장애인 종합 복지관. 경상북도 장애인 종합 복지관 의성 분관은 종합적인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인 복지 센터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2000년 3월에 개관하였다. 의성군 보건소 내 주차장 30평가량 되는 조립식 건물에서 2000년 3월에 개관한 경상북도 장애인 종합 복지관 의성 분관은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충효로 88에 있는 컬링 경기장. 컬링은 4명[후보 1명]의 선수가 1팀이 되어 빙판 위에 스톤을 미끄러뜨려 표적에 가까이 정지시키도록 하는 경기로 한 게임이 10end로 구성된 동계 스포츠이다. 전국에서 유일한 컬링경기장인 경북컬링훈련원은 경상북도 컬링 연맹에서 관리하고 있는 한국 컬링의 메카이다. 경북컬링훈련원 개장 이후 선수 발굴·육성 및 기량 향상 등...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상리리에 있는 경상북도 농업 기술원 산하 전문 연구소. 경상북도 농업 기술원 유기 농업 연구소는 경상북도 농업 기술원 산하 9개 지역 특화 전문 연구소 중 한 곳이다. 경상북도 농업 기술원은 1908년 4월 권업 모범장 대구 출장소로 설치되어 1910년 9월 권업 모범장 대구 지장, 1914년 1월 경상북도 종묘장, 1932년 10월 경상북도 농사 시험장,...
-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 효제리에 있는 경상북도 농업 자원 관리원의 산하 기관. 경상북도 농업 자원 관리원 의성 분원은 주요 밭작물의 우량 종자를 생산·공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4년 8월 경상북도 농산물 원종장 의성 분장으로 설립되었다. 1998년 10월 경상북도 농업 기술원 농산물 원종장으로 소속이 변경되었으며, 2008년 9월 경상북도 농업 자원 관리원 의성 분원으로 직...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도동리에 있는 의성군 관할 교육 행정 기관. 1952년 7월17일 「교육법」제167조에 따라 교육 자치제가 시행됨으로써 의성 군수를 교육감 직무 대리로 하는 의성 교육구 교육청을 개청하였다. 1964년 1월 1일 의성군 교육청으로 개칭되었다. 1966년 12월 23일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도서리에 있던 청사를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로 이전하였다. 1991년...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철파리에 있는 경상북도 지체 장애인 협회 산하 단체. 경상북도 지체 장애인 협회 의성군 지회는 의성군 지역 3,100여 명 지체 장애인의 복지 증진을 위해 설립된 비영리 단체이다. 지체 장애로 인한 일상 생활의 어려움을 감소시키고 지체 장애인에 대한 사회 인식 개선, 사회 참여 확대, 재활 및 자립을 도모하여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경...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에 있는 도립 도서관. 경상북도교육청 의성도서관은 의성 지역민의 정보 이용, 평생 교육, 문화 활동 등의 기회를 제공할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1973년 8월 7일 의성 군립 도서관으로 개관한 이래 1992년 4월 24일 경상북도립 의성 공공 도서관으로 관리 주체가 변경되었으며, 1995년 7월 1일 증축 개관하였다. 2002년 10월 20일 디지털 자료...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재화와 용역의 생산·분배·소비와 관련된 전반적인 활동과 영역. 일반적으로 경제·산업은 인간의 공동 생활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사회 관계와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활동 전반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보통 농업·공업·수산업·임업·광업 등이 포함되지만, 넓게는 생산과 직접 관계되지 않는 상업·금융업·서비스업 등도 포함된다. 의성군의 대표적인 경제·산업 분...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주민들끼리 경제적인 도움을 주고받거나 친목을 도모하기 위하여 만든 전통적인 협동 조직. 계(契)는 오래전부터 조상들이 상부상조, 친목 등의 목적으로 만든 전통 협동 조직으로 ‘계회’·‘회(會)’라고도 부른다. 경상북도 의성 지역 대부분의 마을에서는 공통적으로 상여계, 수리계, 친목계 등이 조직되어 있다. 1. 상여계 상여계는 상여의 운반 및 장례에 관계되는...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 있는 산등성이 봉우리 사이의 낮은 부분. 의성군에 분포하고 있는 고개는 산지와 산지 사이의 낮은 안부이다. 고개는 높은 산지로 가로막혀 있을 경우, 이를 통과하는 최단 거리에 해당하는 곳으로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을 오갈 때 길목으로 활용된다. 의성군의 고개는 주로 의성읍을 중심으로 주변 지역을 오가는 데 이용되었던 고개와 의성군의 동쪽 경계에 있는 고개, 남...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용연리에 있는 고아 정공 전기 자재 제조 공장. 고아 정공은 1995년 7월에 코어 제조 판매를 목적으로 전 대표 이사 김달호에 의해 대구광역시 달서구 두류동 87-12 성안 오피스텔에서 설립되었으며, 포스코와 일본 다무라 전기의 거래 업체로 선정되어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1999년 3월 모터 코아를 전문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고아 정공 의성 공장을 준공하...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 고운사에 있는 사찰 음식 문화 연구소. 고운사 사찰 음식 문화 연구소는 산채 음식과 웰빙 음식 등이 개별적으로 전수되는 것을 자료화하고 육성하며, 일반인들에게는 브랜드화 된 사찰 음식을 선보여 관광, 체험 기능을 살리기 위한 필요에서 설립되었다. 고운사 사찰 음식 문화 연구소는 2011년 1월에 연구소 설립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였다. 2011년 2월에...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탑리리에 있는 대한 예수교 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고현 교회는 학미 교회에 다니던 이상근 외 다수 교인들이 탑리리에 교회를 설립하려는 뜻을 모아 1967년 2월 26일 설립되었다. 1994년 4월 현 예배당을 신축하였다. 예배와 선교 활동에 주력하고 있는데, 주일 예배는 일요일 오전 11시, 오후 2시에 보며, 평일에는 새벽 5시에 기도회를 연다. 해외...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양곡리와 안사면 만리리에 걸쳐 있는 산. 과거 이 산에 물이 샘솟는 구멍이 있어 큰 습지가 형성되었는데, 이 습지가 말라 건지(乾池)가 되었다고 해서 곤지봉이라는 명칭이 붙었다고 전한다. 곤지봉은 곤지산으로도 불리지만 일반적으로 곤지봉으로 불리고 있다. 곤지봉은 높이가 327.8m로 매우 낮은 구릉이다. 산지의 남쪽 사면은 안계면 양곡리에 속하는 동시에 위천...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국가의 감독 아래 공적 이익을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관. 「공공 기관의 개인 정보 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공공 기관은 국가 행정 기관, 지방 자치 단체, 기타 공공 단체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관으로서 「초·중등교육법」 및 「고등 교육법」이나 기타 법률에 의하여 설치된 각 급 학교, 「정부 투자 기본 관리법」 제2조의 규정에 의한 정부 투자 기관, 「특...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전문 의료 기관. 공생 병원은 의료 시설이 충분하지 못한 의성 지역에서 지역민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1977년 설립되었다. 1977년 8월 3일 이종주(李鍾周)가 29실 39병상으로 개원하였다. 당시 진료 과목은 외과, 내과, 산부인과, 소아과, 정형외과였다. 1982년 10월 21일 피부과, 비뇨기과 증설 허가를 받았고, 1985...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군민의 보건·휴양·놀이 등을 위해 마련한 휴식 공간. 공원은 국가나 지방 공공 단체가 공중의 보건·휴양·놀이 따위를 위하여 마련한 정원, 유원지, 동산 등의 사회 시설을 의미한다. 지정 및 관리 주체에 따라 국립·군립·시립 공원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원의 유형은 크게 도시 공원과 자연 공원으로 분류된다. 군립...
-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산마동, 행정동, 형동, 공곡동, 공수동을 병합하여 공곡과 행정의 이름을 따서 공정동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 공실[孔谷]은 임진왜란 당시 피난민들이 와서 마을을 개척하였는데 마을 입구 산기슭에 작은 굴이 있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공수골[孔水谷]은 공곡의 아래 마을이고 골짜기의 냇물이 유난히 맑고 깨끗하여 붙...
-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 공정 2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 공정 2리는 마을에서 100m 정도 못 미친 곳 산기슭의 동제당에서 매년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동제당은 공정 1리에서 공정 2리로 이어지는 도로를 따라 가다가 공정 2리 마을을 100m 정도 못 미친 곳의 산기슭에 위치하고 있다. 공정리...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연구되고 있는 자연 과학, 응용 과학 및 생산 기술의 총칭. 과학 기술이라는 용어는 과학과 기술의 총칭이라고 볼 수 있다. 과학은 자연 세계에서 보편적인 진리나 법칙의 발견을 목적으로 한 체계적인 지식을 말하며 기술이란, 물적 재화를 생산하는 기술이라는 뜻으로 인간의 욕구나 욕망에 적합하도록 주어진 대상을 변화시키는 모든 인간적 행위를 말한다. 의성군에서는...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 위치한 풍경, 풍습, 문물 등을 둘러보는 유람 활동. 의성군은 삼한 시대에 조문국이 있던 곳으로, 고유의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고 선비 정신을 면면히 이어 많은 충의열사를 배출한 곳으로 유명하다. 산세가 수려하여 문화 관광 자원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품질을 인정받고 있는 마늘을 비롯하여 한우, 고추, 사과 등의 특산물을 가지고 있어, 생산지와 연계한...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관덕 2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관덕 2리 주민들은 매년 음력 1월 열 나흗날 자정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서낭당은 단촌면 관덕 2리 마을 남쪽 야산의 정상부에 위치한다. 행정 주소로는 단촌면 관덕리 산16이다. 관덕 2리 동제의 연원은 알 수 없다. 관덕 2리 동제의...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관덕 1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관덕 1리 마을 입구에 위치한 당목에서 매년 음력 1월 열나흗날 자정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관덕 1리 당목은 마을 입구의 쉼터와 함께 조성된 곳에 위치한다. 관덕 1리 동제는 입향조인 박운천을 기리기 위한 목적으로 18세기 초에 시작되...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관덕(觀德)[관덕쟁이]은 마을 앞산의 경관이 좋아서 붙여진 이름으로 옛날 이곳에는 관덕정이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졌다. 목촌(木村)이라는 지명은 박웅천(朴雄川)이란 현령이 1450년경에 정착하여 살았는데, 그 당시 큰 나무가 울창하게 서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은행(銀杏)[은행쟁이]은 마을 입구에 큰 은행나무가 많이 있어서 붙여진 지명이다....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에 있는 대한 불교 조계종 16교구 고운사의 포교당. 1912년 10월 24일 의성 지역에서의 불교 포교를 목적으로 대한 불교 조계종 16교구 본사인 고운사와 60여 말사의 시주금으로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도서 1리에 불교 포교당 관음사를 창건하였다. 관음사라는 명칭은 자비의 보살인 관세음보살[관음보살]에서 유래되었다. 1914년 음력 4월 초파일에...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광물을 채굴·제련하는 산업과 원료를 가공하여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산업을 통칭하는 용어. 일상생활에 필요한 자재와 원료를 얻기 위해 지하자원을 캐내는 광업과 이를 원료로 하여 가공하는 공업을 통틀어 광공업이라 한다. 인류의 생활은 석기 시대를 출발하여 청동기 시대 및 철기 시대로 이어져 왔으며 기술 혁명과 산업 혁명을 거치면서 첨단 과학 문명을 꽃피우고 있다...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도암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광덕지는 경상북도 다인면 도암리에 있는 2종 저수지이다. 국도 28호선을 따라 경상북도 예천 방면으로 가다 다인 중학교를 지나면 저수지가 나타나며 저수지 주변에는 연밭, 갈대, 부들이 우거져 있으며, 저수지 위쪽에는 비봉산[579.3m] 푸른 숲길과 1368년(공민왕 17)에 왕사인 지공 국사와 나옹 선사가 창건한 천년 고...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용연리에 있는 부직포 생산 업체. 1991년 6월에 광동 산업이 설립되었으며, 1992년 8월에 광동 산업 의성 공장이 준공되어 NEEDLE PUNCH 부직포 제조 설비를 도입하였다. 1995년 5월에는 고강도 부직포를 양산하기 위해 생산 공장 제2동을 증축하여 P-02 신규 설비를 도입하였다. 품질 향상 노력으로 2002년 6월에 유망 중소기업으로 지정되었...
-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 용봉리 노동령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흘러 안동시 풍천면 신성리에서 낙동강으로 합류하는 하천. 광산천은 준용 하천으로 총 유로 연장은 20.75㎞이다. 하천 차수는 5차 하천에 해당되며, 신평면 신기동 마을에서 4차수 하천과 합류하면서 5차 하천이 된다. 전체 유역면적 91.19㎢이며, 유역의 둘레 길이는 50.05㎞이다. 하천의 가장 높은 지점의 표고는 51...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괴촌동, 동산동, 죽전동을 병합하여 괴촌과 동산의 이름을 따서 괴산동이라 하였다. 괴촌(傀村)은 1640년 장씨라는 선비가 이 마을을 개척할 당시에 마을 주변에 숲이 울창하게 에워싸고 있었는데 그 나무가 대부분의 회나무[槐]였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라 한다. 자연 마을 죽전동(竹田洞)은 1678년 김씨라는...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신월리에서 발원하여 안평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괴촌천은 의성군 안평면 신월리 윗재에서 발원하여 석탑리와 경계를 형성하며 북서쪽으로 흐르다가 박곡리와 괴산리의 경계로 넘어가 사방들 부근에서 유로를 서남쪽으로 변경하여 안평 초등학교 부근에서 안평천으로 유입되는 지방 2급 하천이다. 총 길이는 7㎞ 정도이며, 하천의 최대 하폭은 40m이다. 괴촌천은 3개의 3차...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송내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교곡 저수지는 지방도 79호선 일직 점곡로 모운재 방면 동북쪽에 위치해 있는 2종 저수지이다. 교곡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65년 1월 1일 착공하여 1966년 12월 30일 준공하였다. 총 공사비는 3만 원이 소요되었고, 국고 보조로 충당되었다. 2003년 11월 21일부터 12월 3...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하천이나 철도, 도로 등과 같은 지형지물의 위로 건널 수 있도록 만든 인공 구조물. 의성군은 경상북도의 중앙에 위치한 지역으로, 북쪽은 안동시와 예천군이 인접하고, 동쪽은 청송군, 남쪽은 군위군과 구미시, 서쪽은 상주시와 접해 있다. 울진군을 제외하면 도내의 모든 시군과 직선거리 80㎞ 이내의 거리에 위치해 있다. 때문에 의성군은 예부터 참(站)이나 원(院)...
-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교동과 마안동의 이름을 따서 교안동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 광산(光山)은 임진왜란 때에 장석경(張錫京)이라는 선비가 마을을 개척하면서 이름 붙였다고 하며, 변음되어 강생이라 불리기도 한다. 새터[新基]는 새로 생긴 마을이라는 뜻이다. 이외에 황서등, 마안이라는 명칭도 전해지고 있는데, 황서등은 골의 모양...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에 있는 농촌 체험 마을. 교촌 체험 마을은 안계면 교촌리 350번지에 위치한 구 교촌 초등학교를 활용하여 만들어진 시설로서, 이용객들에게 농촌에 대해 알 수 있고 자연을 가까이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교촌리는 안계면의 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2.06㎢이고 남북으로 길게 뻗은 형태로 자리 잡고 있으며 국도 28호선과 이어지는 군도 1...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 속하는 법정리. 비안 향교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향교 마을, 즉 교촌이라 불리게 되었다. 원래의 향교가 비안읍에 있었을 때에는 이 마을도 안정동에 속하여 있었고 1597년 조선 선조 때 비안 향교가 이곳으로 옮겨짐에 따라 향교 마을이라 칭하였다 한다. 자연 마을로는 새마을[건넛 마을], 선돌, 관어대가 있다. 새마을은 1940년 새로 조성된 마을이라 붙여진...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마을 제사,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는 교촌 마을 입구에 위치한 당집에서 2년마다 한번씩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교촌리 당집은 교촌 마을 입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행정 주소로는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 353-1이다.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 동제의 연원은 과거 한 선비가 있었는데 먹을 것이 없...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주요 도로와 교통수단 및 관련 시설. 교통수단은 일반적으로 육상 교통, 수상 교통, 항공 교통으로 나누어지고, 육상 교통은 다시 도로, 자동차 교통, 철도 교통 등으로 나누어진다. 교통의 발달은 정치 중심지를 핵으로 하여 사방으로 확산되어 나간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지형과 지세의 복잡성은 교통로 발달을 저해하였고, 교통로의 미발달은 지역간 문화적 차이는 물론...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 있는 개신교인들의 의례 및 집회 장소.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비봉리에 살던 김수영은 1893년 봄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 장터에서 선교사 배어드의 노방 전도를 듣고 감화를 받아 의성 지역 최초의 개신교 신도가 되었다. 1900년 고향으로 돌아온 김수영의 전도로 하나 둘 교인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개신교 전래 초기에는 교인의 수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교인들 가...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구계(龜溪)’라는 지명은 동네 앞으로 흐르는 냇가의 바닥이 거북등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구곗니라고도 한다. 머리기[외천]는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산촌으로 구계동의 머리 쪽에 위치하여 이름 붙여졌다. 사가리[살가리]는 땅을 네 등분으로 분할하여 관리해서 붙여졌다 한다. 지동골[枝同谷]은 지씨 성을 가진 사람이 처음으로 마을을 이루어 살...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구련리에 있는 대한 예수교 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구련 교회는 삼산 교회를 다니던 구련리 신도들의 수가 증가하자 1950년 삼산 교회에서 분립하면서 설립되었다. 예배와 전도 업무를 위주로 활동하고 있다. 주일 예배는 일요일 오전 11시, 오후 2시에 보고, 평일 예배는 수요일 오후 8시[동절기 오후 7시]에 열린다. 평일 새벽 기도회는 오전 4시 30분[...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뒷산 모양이 거북[龜]처럼 생겼고, 마을 앞에 연못[蓮池]이 있어서 동 이름을 구련(龜蓮)이라 하였다고도 한다. 또는 마을에 거북 모양의 바위가 있어서라고도 한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구상과 연화동의 한 글자씩을 따서 구련동이라 하였다고도 한다. 자연 마을 윗구지미는 위쪽에 있는 마을이며, 아랫구지미는 아래쪽의 마을이라는...
-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 연제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구룡 저수지는 지방도 923호선 단북 다인로 동쪽, 국도 28호선 서쪽 사이에 자리하고 있는 농업용 2종 저수지이다. 구룡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45년 1월 1일 착공하여 1946년 12월 30일 준공하였다. 총 공사비는 1만 원이 소요되었고, 국고 보조로 충당되었다. 구룡 저수지의...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대사리와 사곡면 공정리 그리고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화목리에 걸쳐 있는 산. 구무산의 산기슭에는 큰 바위가 자리 잡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신증동국여지승람』에 “현에서 동쪽으로 25리 떨어진 사곡리(舍谷里)에 혈동(穴洞)이 있다. 바위 구멍이 아주 깊어서, 음수(陰獸)가 숨어 있는지 의심스럽다”는 기록이 있다. 이러한 기록과 함께 옛날에 이 바위의 구멍...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구미리와 구산리를 연결하는 다리. 구미교는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구미리 지역에 남북 방향으로 건설되어 있는 교량으로, 의성군을 북서류하는 쌍계천을 따라 나란히 달리는 지방도 927호선과 국도 5호선이 합류하는 구미 삼거리의 남쪽에 위치해 있다. 구미교의 명칭은 교량이 가설된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구미리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구미교에서 교량 길이는 84.0...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구미리는 자연 마을 구미(龜尾)에서 나온 명칭으로, 마을 앞의 산 모양이 거북처럼 생겼으며, 거북의 꼬리 쪽에 위치한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자연 마을 못안[지내촌(池內村)]은 마을 가운데 큰 못이 있어 유래된 지명이다. 자연 마을 중 구미의 동쪽에 있는 마을을 동부 마을, 서쪽에 있는 마을을 서부 마을이라 하였다. 신당 마을(神堂...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팔성리와 원당리에 걸쳐 있는 산. 단촌면의 등운산(騰雲山)과 옥산면의 황학산(黃鶴山), 춘산면의 빙산(氷山), 금성면의 금성산(金城山)과 비봉산(飛鳳山), 그리고 사곡면의 오토산(五土山)을 연결하는 아홉 봉우리의 산이라는 의미에서 구봉산(九峰山)이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 원래는 구성산(九聖山)으로 불리었으나 일제 강점기에 구봉산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구봉산은...
-
경상북도 의성군 내에서 말과 기억에 의존하여 대대로 전해져 내려오는 민간 문화. 구비 전승은 구비 문학(口碑文學)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구비 문학이 설화, 민요, 무가, 판소리, 민속극, 속담, 수수께끼 등을 가리킨다면 구비전승은 구비 문학 외에 금기어, 길조어, 방언, 속어, 은어 등과 같은 언어까지 포함하기 때문에 좀 더 광범위이다. 의성군에서는 판소리나...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구산리(龜山里)는 자연 마을 구산(龜山)에서 나온 명칭으로, 마을 뒤쪽에 있는 산이 거북이 모양으로 생겼다 하여 이렇게 불렀다. 구산은 가옥이 길게 붙어 있는 형태여서 마을이 긴 곳[방언으로 진 곳]이라는 뜻의 마질기라고도 부른다. 사구는 마을 앞 하천의 모래가 깨끗하고 주변 경관이 아름다워 붙여진 이름이다. 사부랭이 또는 사부랑으로도 부른...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구성리는 자연 마을 구성에서 유래되었다. 뒷산이 마을을 감싼 구석진 곳이라 구엉 마을이라 불렀고, 이것이 변음이 되어 구엉말·구성이라 부르게 되었다. 자연 마을 마전은 14세기 중엽 박선산(朴善山)이라는 사람이 처음 이 마을을 개척하여 땅이 기름지고 삼이 잘 된다고 하여 마전(麻田)이라 불렀다. 또한 마전[큰말밭]은...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구성 1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구성 1리 주민들은 옥산 중학교 뒤편 옥산 교회로 올라가는 언덕 정상 부근에 위치한 당목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매년 동제를 지내고 있다. 행정 주소는 옥산면 구성리 33-2이다. 구성리 동제의 연원 은 알 수 없다. 제수 물품은 간소화되었지만 당목 둘레에...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화전리에 있는 아동 복지 시설. 지역 아동 센터는 아동이 가난이나 기타 이유로 방치, 또는 방임되거나 적절한 보호를 받기 어려운 환경에 놓였을 때 아동의 생존권·복지권·문화권·발달권·학습권이 보장되도록 돕고, 아동·청소년에게 열린 문화 공간으로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건강한 성장을 돕기 위해 설립된 복지 시설이다. 의성군 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지역 아동...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자연 마을 구암에서 유래되었다. 구암[거북 바우]은 1450년경 서양우라는 사람이 이주하여 새로운 땅이란 뜻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새터[新峴]라고 이름하였다가, 그 후 마을 뒷산 산등성에 거북 모양의 바위가 있다고 하여 새롭게 이름 붙였다. 실바우[시루 바위]는 1630년경 안동 김씨 김만진이 이주하여 마을을 이루었다. 마을 어귀에 시루떡같이...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옥연리와 서부리를 연결하는 다리. 구연교는 의성군 비안면 옥연리 지역에 동서 방향으로 준공되어 있는 교량으로, 교량의 서쪽 군위군 소보면 사리리에서 크게 곡류하며 동쪽으로 흘러가는 위천을 따라 건설된 군도 1호선에 건립된 다리이다. 구연교의 명칭은 교량이 가설된 지역인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옥연리의 옛 지명인 구연리라는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1997년에 성...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구련리와 봉양면 상산리에 걸쳐 있는 산. 구련리(龜蓮里)의 명칭은 1559년(명종 14) 풍천인 임륜이 마을을 개척하면서 이곳 마을 앞에 연꽃이 피는 연못이 있으며, 마을 뒷산의 산세가 거북처럼 생겼다 하여 이와 같은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구지봉에 대한 직접적인 명칭 언급은 없지만 산이 거북과 같이 생겨 구지봉(龜旨峯)으로 불리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내산리에 있던 옛 나루터 구천 나루터는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내산리와 안계면 용기리를 이어 주던 나루터였다. 주로 구천면 주민의 안계 시장 방문에 이용되었다고 한다. 나룻배가 통행하는 하천 양안에 구천면과 안계면 두 지역이 위치해 있는데, 구천면 주민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구천 나루터라 이름이 붙었다. 구천면의 지명은 구천면 위성리에 있었던 구천...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내산리와 안계면 토매리를 연결하는 다리. 구천교는 의성군 구천면 내산리 지역에 남북 방향으로 건설된 교량으로, 구천면을 종단하는 지방도 923호선 상에 동쪽으로 흐르고 있는 위천을 수직으로 교차하는 다리이다. 구천교의 명칭은 교량이 가설되어 있는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의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구천교에서 교량 길이의 합인 연장은 360.0m, 교량의 총 폭은...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행정 구역. 1721년(경종 1) 위성리에 세워진 구천 서원(龜川書院)의 이름을 따서 구천면이라 하였다.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비안군(比安郡) 내서면(內西面)의 구천동·산구동·용점동·용천동·조성동·신촌동·조개동·흥암동·모고동·흥전동 등 10개 동과 비안군 외서면(外西面)의 하리동·팔미동·천동·가리동·율지동·원산동·내동·모고동·유산동·...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에서 같은 본관의 성씨들이 모여 사는 마을. 구천면은 남쪽에 비교적 높은 청화산이 솟아 있을 뿐 대체로 100~300m의 구릉지를 이루고 있다. 북부를 곡류하는 위천 연안에 비교적 넓은 평야가 전개되어 일찍부터 전통 촌락이 발달하였다. 유산리(酉山里)·위성리(渭城里)·모흥리(慕興里)·장국리(長局里)·소호리(小湖里)·용사리(龍蛇里)·내산리(內山里)·미천리(美泉里...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유산리에 있는 구천면 관할 행정 기관. 경상북도 의성군을 구성하고 있는 1개 읍 17개 면 중 구천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구천면사무소는 의성군 구천면 주민들에게 필요한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구천면은 원래 비안군에 속하였으나 1907년 6월 1일 의성군으로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도원리와 단촌면 세촌리를 거쳐 경상남도 거제시와 자강도 중강군간을 연결하는 일반 국도. 국도 5호선은 경상남도 거제시에서 자강도 중강군을 연결하는 총 연장 1,252㎞의 도로로, 남한에서는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져 있다. 남한의 총 길이는 551.032㎞[전용 연장]이다. 국도의 노선 번호는 남북 방향은 홀수, 동서 방향은 짝수를 부여한다. 또한 국토를 종단...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개일리에서 다인면 용곡리를 거쳐 경상북도 영주시와 포항시를 연결하는 일반 국도. 국도 28호선은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경상북도 영주시를 연결하는 도로로, 총 길이는 196.4㎞이다. 노선은 영주시~예천군~의성군~군위군~영천시~경주시~포항시로 연결되었다. 국도의 노선 번호는 남북 방향은 홀수, 동서 방향은 짝수 번호를 부여한다. 주요 간선도로는 1~10번의 번호...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분토리에 있는 국립 농산물 관리원 산하 기관. 국립 농산물 품질 관리원은 농산물의 품질과 유통을 관리하기 위해 설립된 농림 수산 식품부 소속 기관이며 산하에 시험 연구소와 9개 지원과 109개 출장소를 두고 있다. 경북 지원 산하에는 14개 출장소가 있다. 1932년 7월 곡물 검사소 부산 지소 의성 출장소로 개소했으며 1940년 2월 농산물 검사소 대구 지...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국민 건강 보험 공단 산하 의성, 군위 지역 지사. 국민 건강 보험 공단은 6개 지역 본부, 178개 지사가 있으며, 의성 군위 지사는 대구 지역 본부에 소속이 되어있다. 대구 지역 본부는 대구 지역에 7개 지사, 경상북도 지역 14개 지사, 10개 출장소가 있으며, 의성 군위 지사는 의성군과 군위군 지역을 관할하고 있다. 국민의 질병·부상에...
-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 교안리와 안사면 안사리, 중하리에 걸쳐 있는 산. 국사(國師)란 나라의 스승이 될 만한 고승대덕(高僧大德)에게 부여하던 존호(尊號) 또는 법계(法階)를 말한다. 의성에 있는 국사봉은 옛날 임금의 스승으로서 덕이 높은 도승이 이 산의 자락에 절을 지었다 하여 유래되었다. 국사봉의 동쪽 사면은 광산천의 분수계에 해당되며, 서쪽 사면은 신평천의 분수계에 해당된다....
-
근현대 의성 출신의 정치인. 권병로[1903~1988]는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서 신생 의원(信新 醫院)을 개업해 운영하다가 1948년 5월 10일 실시된 총선거에 대한 독립 촉성회 후보로 출마했다. 의성군 을구에서 당선되어 제헌 의원이 되었다. 1950년 5월30일 실시된 제2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으로 의성군 을구에 출마하여 재선 의원이 되었다. 1955년 단북면에 삼...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음력 1월 16일 귀신이 돌아다닌다고 믿는 날. 귀신단오날은 한 해의 첫 달인 정월을 잘 보내야 일 년 열두 달을 무사하게 보낼 수 있다는 의미를 지닌다. 정월 대보름까지는 신성하게 보내는 기간이므로 그 이튿날인 16일을 귀신단오날로 정하여 귀신으로 인해 생기는 모든 재앙과 액운을 방지함으로써 한 해를 더욱 무사하게 보내고자 하는 의미에 바탕을 두고 있다....
-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에 속하는 법정리. 귀천리는 뒷산이 거북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자연 마을인 상귀천(上龜川) 마을은 예전에 욋골이라 불리었는데, 조선 현종 때인 1670년경 이 마을을 개척할 당시 참외를 많이 심어 붙여진 이름이며, 새로 생긴 마을이라 신리(新里)라고도 하였다. 귀천 마을는 조선 중종 때 마을을 개척한 의성 김씨들이 금(金)과 물[水]이 상생(相生)...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음력 5월 단오에 젊은 여인들이 그네를 뛰면서 즐기는 놀이. 그네뛰기는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음력 5월 단오에 젊은 여인들이 나뭇가지에 줄을 길게 매어 줄 아래에 앉을깨[발판]를 대고 그곳에 올라서서 그네를 뛰며 즐기는 놀이이다. 그네뛰기는 밀어 끌다 또는 밀어 옮겨간다는 뜻으로 ‘추천희’·‘반선희’·‘유선희’라고도 한다. 그네뛰기가 우리나라에서 자생한 것...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활동하는 미술 단체. 그리미회는 미술을 사랑하고 관심이 있는 지역 주민들의 지적 호기심과 지속적인 미술 활동의 기틀을 마련하고 회원 상호 간의 친목 도모를 목적으로 창립하였다. 그리미회의 주요 사업을 보면, 1992년 4월 1일 창립 총회를 시작으로 매년 1회 정기 전시회와 특별 전시회가 개최되고 있다. 2009년 12월 3일~12월 6일까지 의성 군민 회관에서...
-
구한말에서 해방 이전까지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운영된 근대식 교육. 한국의 근대 교육은 일반적으로 개항이 시작된 1876년대부터 1945년 해방까지 각종 근대식 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교육을 말한다. 강화도 조약 이후 정부는 수신사(修信使)·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영선사(領選使) 파견, 서양인 교사 초빙, 1883년 동문학(同文學) 설치, 1894년 갑오개혁에 의한 학부아문(學...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경상북도 비안군 외북면의 금당동과 누곡동을 병합하면서 두 지명의 일부를 따서 금곡동이라 칭하였다. 금당동은 김씨와 백씨가 이주해서 살던 곳에 김상숙이라는 선비가 영천에서 이주하여 지세와 지형의 조화를 맞추어 성(姓)인 ‘김(金)’자와 집 ‘당(堂)’자를 합하여 금당동이라고 칭하였다고 한다. 금당동은 금당댕...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예로부터 어떤 행위를 금지하거나 특정한 말을 하지 않도록 하는 말. 금기어는 한 언어 공동체에서 사용하기를 꺼려하는 언어 표현이다. 주로 초자연적이거나 신성한 대상 등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혐오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금기어는 보통 언어 공동체에서 기피하는 것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생활 속에서 언행의 실천과 함께 발생하는 금...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금곡리 검실재에서 발원하여 흐르다가 창길리에서 안평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금당천은 의성군 안평면 금곡리 검실재와 금당 마을 부근에서 발원하는 하천으로, 발원지에서 남동쪽으로 흘러가다가 동쪽으로 유로를 변경하고, 하령리와 창길리의 경계를 지나 창길리 하령교 부근에서 안평천으로 합류한다. 2개의 3차수 하천이 만나 4차수 하천을 이루며, 길이는 5.4㎞, 최대...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금봉리에 있는 자연 휴양림. 금봉 자연 휴양림은 울창한 숲에서 신선한 공기를 마시며 깨끗한 시냇물을 느낄 수 있는, 지친 현대인들의 피로를 풀 수 있는 휴양 공간일 뿐 만 아니라 어린이들에게는 숲을 체험하며 자연의 소중함을 일깨워 줄 수 있는 자연 학습의 장으로서 각광받고 있다. 금봉 자연 휴양림은 옥산면 면소재지의 휴양림으로 청정 자연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금봉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금봉 저수지는 옥산면 소재지에서 12㎞ 이동하여, 지방도 930호선 동쪽에 바로 연접해 있는 달곡천 하류에 형성되어 있는 농업용 1종 저수지이다. 주변으로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백자리·길안면 금곡리와 옥산면에 걸쳐서 황학산이 있다. 상류에서 0.7㎞ 지점에 금봉 자연 휴양림이 있다. 금봉 저수지는 옥산면, 점곡면, 단촌면...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금동, 의방동을 병합하면서 금봉동이라 하였다. 금동은 쇠골이라고도 하는데, 김동한이 개척하였으며 금붙이를 녹여 농기구를 만들었다 하여 쇠골이라 이름 붙였다고 하며, 의방(義坊)은 임진왜란 당시 왜군들의 침입에 피하여 의병들이 이곳에서 몸을 피했다고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갈전(葛田)은 장동석이란 사람이...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탑리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심신이 건강하고 스스로 책임을 다하는 사람을 기른다[자주인], 나라와 고장을 위해 봉사하는 마음을 가진 사람을 기른다[애국인], 이해와 배려로 남과 더불어 사는 사람을 기른다[도덕인], 굳센 체력을 바탕으로 밝고 바른 심성을 가진 사람을 기른다[건강인], 폭넓은 체험과 사고력으로 새로운 과제에 도전하는 사람을 기른다[창의인]를...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대리리에 있는 노인 복지관. 금성 노인 복지관은 인간의 존엄과 생명의 가치를 중심으로 지역 어르신들에게 활기찬 노후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지역 공동체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금성 노인 복지관은 2010년 6월 18일에 천주교 안동 교구 사회 복지회 위탁을 결정하였고, 2010년 8월 1일 개관하였다....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대리리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금성 농업 협동조합은 금성면, 가음면, 춘산면 지역 농업인의 권익 향상과 농업인 조합원들의 복지 향상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9년 7월 31일 29개 이동 조합을 합병하여 1969년 8월 26일에 금성 농업 협동조합이 설립되었다. 1977년 10월 30일에 청사를 준공했으며, 1988년 12월 5일 중고 농기계 서비스 센터를...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산운리에 있는 전통 시장. 시장은 일반적으로 상설 시장과 정기 시장으로 분류된다. 상설 시장은 일정한 지역에서 사람들이 항상 상품의 매매와 교환을 하고 있는 시장을 말하며, 정기 시장은 일정 구역 내에서 닷새마다, 또는 열흘마다 한 번씩 정기적으로 열리는 시장을 말한다. 의성 지역의 시장은 상설 시장 1곳, 정기 시장 9곳이며 상설 시장은 의성읍에 자리 잡고...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탑리리에 있던 공립 특성화 고등학교. 남을 세워주고 남과 함께하는 사람을 기른다, 기초 교육에 철저한 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장인 정신을 추구하는 직업인을 양성한다, 희망찬 학교를 만드는 행정 구현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겸손, 기예(技藝)’ 이다. 1973년 12월 21일 금성 여자 고등학교 설립 추진 위원회가 조직되었고, 1975년 12월 1...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탑리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심신이 건강하고 스스로 책임을 다하는 사람을 기른다[자주인], 나라와 고장을 위해 봉사하는 마음을 가진 사람을 기른다[애국인], 이해와 배려로 남과 더불어 사는 사람을 기른다[도덕인], 굳센 체력을 바탕으로 밝고 바른 심성을 가진 사람을 기른다[건강인], 폭넓은 체험과 사고력으로 새로운 과제에 도전하는 사람을 기른다[창의인]를 교...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대리리에 있는 노인 복지 시설. 의성군은 2007년 보건 복지부의 ‘고령 친화 모델 사업 시범 지역’에 선정됨에 따라 지역 내에 보건 복지 의료 통합 서비스 기반을 구축해 새로운 노인 복지 모델을 제시하려는 사업에 착수했다. 이에 따라 2008년부터 2013년까지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철파리 138-1번지 일원에 의성 건강 복지 타운을 조성하여 허브 센터로...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대리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마음으로 생활하는 어린이[도덕인], 스스로 공부하고 탐구하는 어린이[자주인], 꿈과 재능을 키우는 어린이[창의인],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건강인]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착하고, 건강하며, 꿈이 있는 어린이’이다. 1949년 9월 27일 금성 국민학교로 개교하였으며 1968년 3월 1일 경애분교장 설립 인...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행정 구역. 1934년 2월 1일 산운면(山雲面)과 조문면(召文面)을 병합하여 하나의 면이 될 때, 면 전체가 금성산 아래 있다 하여 이름 붙였다. 옛 조문국의 도읍지로서 조문면·억곡면(億谷面)·산운면·상천면(上川面) 등으로 분리되어 있다가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억곡면은 조문면에, 상천면은 산운면에 각각 병합되었다. 1934년 2월...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에서 같은 본관의 성씨들이 모여 사는 마을. 금성면은 옛 조문국의 중심지라고 하며, 고대부터 사람들이 살았다. 금성산과 비봉산, 오토산의 지맥을 따라 남서부에 구릉성 산지와 평지가 넓게 전개되고, 곳곳에 문화 유적과 역사가 오래된 전통 촌락이 분포하고 있다. 현재 15개의 법정리와 39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면 내에는 의성 김씨, 김해 김씨, 의성 정씨...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대리리에 있는 금성면 관할 행정 기관. 의성군을 구성하고 있는 1개 읍 17개 면 중 금성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금성면사무소는 의성군 금성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금성면은 옛 조문국의 도읍지로서 조문면, 억곡면, 산운면, 상천면으로 분리되었다가, 1914년 3월 1일 행정 구역 통폐합에...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수정리, 산운리, 탑리리에 걸쳐 있는 산. 『세종실록지리지』[1454년]와 『대동여지도』[1432년] 그리고 「1872년 지방지도」에는 금성산을 영니산(盈尼山)으로 표기하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1432년] 의성현 산천조에는 금학산[현재 금성산]과 금성산[현재 비봉산]은 모두 현 남쪽 25리에 있으며, 비봉산은 현 서남쪽 30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어...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금오리에 있는 대한 예수교 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금오 교회는 불로동 교회를 다니던 신자들이 분립하여 1973년 기도처를 마련하면서 시작되었는데, 1976년 예배당을 건립하였다. 2012년 7월 현재 김은한 목사가 근무하고 있으며, 예배는 일요일 오전 11시와 오후 2시에 본다. 평일 새벽 기도회는 매일 오전 5시에 열린다....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금동과 오목동을 병합하면서 금오동이라 하였다. 금동의 다른 이름인 쇠골[金谷]은 당나라에서 온 정씨가 개척할 때 금·은·동·철 등 광물이 많이 생산되어서 그러한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고려 시대 금광이 잘 될 때는 총 가구 200~300호가 살었고 시장까지 있었다고 한다. 오목(梧木)은 밀양 박씨와 아주 신씨가 개척하였으며 당시...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금오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금오리는 마을 내 교회의 맞은편 도로변인 춘산면 금오리 268에 위치한 당목에서 매 10년마다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금오리 동제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연원은 알 수 없으나 마을 주민들은 마을의 평안과 화합을 위하여 현재에도 지내고 있다....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금오리 사금령에서 발원하여 춘산면 신흥리에서 쌍계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금오천은 춘산면 금오리 사금령[435m]에서 발원하여 북서쪽으로 흐르다가 춘산면 신흥리 언지교 부근에서 쌍계천과 합류한다. 금오천은 지방 2급 하천으로 4개의 3차수 하천이 만나 4차수 하천을 이루는데, 3개의 3차수 하천은 금오천의 최상류부에서 유입되며, 쌍계천과 만나는 지점에서 나머지...
-
경상북도 의성군의 지역 금융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 금융 기관이란 예금 등에 의해 자금을 조달하고 이를 기업 또는 개인에게 대부하거나 증권 투자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을 총칭한다. 경상북도 의성군은 농촌 지역으로서 금융 시장의 규모가 작아 일반 시중 은행보다는 지역 산업의 특성을 반영하는 농업 협동조합, 우체국, 산림 조합, 대구경북 능금 협동조합 등이 발달한 지역이다. 197...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금호동과 옹천동의 이름을 따서 금천동이라 하였다. 금호(錦湖)는 일설에 따르면 마을에 큰 추위에도 얼지 않고, 선녀들이 은 두레박으로는 물을 긷는 은두래소가 있어 그렇게 불렀다고 한다. 옹천(甕泉)은 고려 때 수도승에 의하여 이곳 암자골에 암자가 지어지고 나서 마을이 생겼으며 지형이 항아리 모양을 하였고...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탑리리에 있는 한국 불교 태고종 소속 사찰. 금탑사(金塔寺)는 1957년 의성군 금성면 탑리리 현 위치에 건립되었으며, 대웅전과 요사채로 구성되어 있다. 매월 음력 초하루에 정기 법회를 개최하며, 사월 초파일 부처님 오신 날, 성도절, 우란분재 등의 불교 명절과 지장재일, 관음재일 등에 법회를 개최하고, 청소년 법회도 개최하고 있다. 금탑사는 승려 1명과 신...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자연 마을 금학동(金鶴洞)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황금빛 학이 날아와서 서식하자 마을 주민이 경사스러운 일이라 하여 이 마을을 금학동이라고 하였다. 자연 마을로 신고는 새고무실이라는 뜻으로 어떤 선비가 본래 고무실에서 살다가 이곳에 정착하였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었다고 하며, 성골[城谷]은 1360년 고려 공민왕이 반신들의 난을 피하기 위해 약...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기곡과 가도의 이름을 따서 기도동이라 하였다. 가도는 약 400년 전 오씨라는 선비가 이 마을을 개척하였는데 지형이 닭 머리 같다고 계두실[鷄頭谷]이라고 했으나 변음되어 가도실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기곡은 치실이라고도 하는데, 치실은 약 500년 전에 의령 옥씨가 개설하면서 마을의 모양이 키[箕]처럼 생겼...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노인 요양 시설. 기쁨의 집은 치매, 중풍 등의 노인성 질환으로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을 돌보는 장기 요양 급여 기관이다. 입소 대상자는 치매, 중풍 등 노인성 질환으로 전문 치료사의 보호가 필요한 어르신, 와상 또는 기타 질환으로 보호가 필요한 65세 이상 어르신, 기초 대상 수급자, 의료 급여 수급자, 단기간 가족 보호를 받을 수 없는 어르신...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기업을 경영하고 있는 조직체. 사람들에게 필요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익을 창출하는 조직을 일컫는 기업[enterprise]은 자본주의 시장 경제 체제에서 큰 몫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가 사용하는 일상 용품, 여가, 문화 등이 대부분 기업에 의해 만들어지고 유통된다. 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소득을 올릴 수 있게 해줌으로써 사회...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매년 정월 대보름 저녁 남과 북으로 편을 짜서 서로 상대편의 기와를 먼저 부수어 승부를 가르는 부녀자들의 놀이. 기와밟기는 매년 정월 대보름 저녁에 하는 놀이이다.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서는 유다리를 경계로 남과 북으로 나눈 양쪽 진영의 부녀자들이 사람다리를 만들고 공주를 정하여 다리 위를 지나가 유다리에서 접근한 뒤, 서로 상대편의 기마를 먼저 부수는 놀...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위성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기저수지는 청화산 동북쪽과 의성군 구천면과 단밀면을 관통하는 위천 서쪽 사이에 자리하고 있는 농업용 2종 저수지이다. 기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39년 1월 1일 착공하여 1940년 12월 30일 준공하였다. 총 공사비는 5,000원이 소요되었고, 국고 보조로 충당되었다. 총 저수량 15...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일정 기간의 평균 기상 상태. 지표상의 한서(寒暑)·청우(淸雨)·조습(燥濕) 등 기후는 기온·기압·일조·눈·비·구름·바람 등에 따라 변동되는데 그 지방의 위도·높이·지형에 의해서도 많은 영향을 받는다. 한반도의 남동부 내륙에 위치한 의성군은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는 경상 분지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분지 지형으로 해양의 영향이 적으며, 여름철 고온의...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예로부터 인간에게 이로움과 복을 준다고 믿는 희망의 말. 길조어(吉兆語)는 대부분 오랜 세월을 거쳐 사람들 사이에 전해져 내려오는 말로, 종교적·무속적·신앙적인 요소가 있다. 이것은 어떤 현상이 일어나기 이전에 그 사실에 대한 예비적인 기능을 하는 것으로, 건강이나 풍년 등 어떤 징조나 전조 현상을 상상하게 한다. 주로 동물이나 식물 등 자연 현상과 결부시키...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병합된 길부동(吉阜洞), 천동(泉洞), 호상동(湖上洞)에서 길부동과 천동의 이름을 한자씩 따서 길천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 길부[길부치]는 좋은[길(吉)] 마을·언덕[부(阜)]이 되라고 붙여진 이름이다. 샘골[천동(泉洞)]은 마을 남쪽에 장군수(將軍水)라는 샘이 있어 이름지어졌다고 한다. 1914년 행정...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유두날 행하던 풍속. 경상북도에서는 농신제를 용지[龍祭, 용왕제]라 일컫는다. 용지 때에는 차노치[찹쌀 노티]를 굽고 시루떡을 기름에 부치며, 호박전과 같이 전 종류의 음식을 차린다. 용지의 제물에는 기름이 들어가야 좋다고 여기는데, 이것은 기름 냄새가 해충을 쫓기 때문이다. 의성 지역에서 행해지는 나락충제는 유두날 풍속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다. 유두는...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배를 이용하여 강이나 내를 건너다닐 수 있게 만들어 놓은 곳. 원래 나루는 수운, 곧 물을 이용하는 교통의 요지이므로 시대에 따라서 물을 이용하는 교통수단의 변화나 연결되는 육로의 개설, 교량의 건설 등의 요인에 의해 그 중요성이 변화하고 혹은 영영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 또 강에 모래가 쌓여서 이전보다 얕아지고 좁아진 결과 배가 그 곳까지 들어오지 못하게...
-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 청운리와 안동시 풍천면을 연결하는 고개. 나무곡재 주변을 구성하고 있는 기반암은 중생대 백악기 경상계 낙동층군에 속하는 진주층이다. 이 진주층은 역질 사암, 사암, 녹회색 내지 회색 실트스톤, 셰일로 구성된 퇴적암류이다. 나무곡재의 남쪽에는 광산천이 북쪽으로 흘러 안동시 풍천면에서 낙동강으로 유입된다. 광산천은 나무곡재의 남쪽 450m 지점에서 크게 곡류하는...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낙정리에 있는 낙동강 유역의 저수 시설. 낙단보는 총 사업비 13조 9000억 원을 투입해 2009년부터 시작된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일환으로 낙동강에 조성된 8개 보[수리 시설의 하나로 둑을 쌓아 흐르는 냇물을 막고 그 물을 담아 두는 곳] 중 상류 2번째에 위치한 보이다. 낙동강 살리기 사업 제32공구[구미·상주·의성] 사업의 하나로 2009년 11월 2...
-
강원도 태백시 함백산(咸白山)에서 발원하여 경상북도 의성군을 거쳐 남해로 흘러드는 하천. 낙동강의 지리적 범위는 최북단은 강원도 태백시 화전동 황지천 상류이고, 최남단은 경상남도 고성군 대가면 갈천리 갈천천 상류이다. 경상북도 영양군 수비면 죽파리 백암산이 낙동강의 동쪽 끝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리산 자락인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장교리가 서쪽 끝에 해당된다. 낙동강은 태백 산맥...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낙정리에 있던 옛 나루터. 나루가 있던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낙정리의 지명을 따서 붙인 이름이다. 경상북도 의성군의 서쪽 경계에 위치하고 있는 단밀면 낙정리의 낙정 나루터는 예부터 이용되는 큰 나루터였다. 낙동강 물은 여기서 바다처럼 넓고 깊게 큰 물굽이가 되어 돌다가 서서히 남으로 흘러 내려간다. 경상북도 군위, 의성의 물을 모아 흐르는 위천(胃川)도 우...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을 통폐합하면서 경상북도 비안군 단남면의 낙동동과 양정동의 이름을 따서 낙정동이라 하였다. 낙정 1리는 안학이 마을을 처음으로 개척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맑고 깨끗한 우물이 풍부하게 솟아 나오기 때문에 양정이라 하였고, 여기에서 약 2㎞ 떨어진 윗마을은 산 중턱의 벽촌이나 수정 같이 맑은 물이 흔하여 수정이라 하였다....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낙정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낙정리에 위치한 낙정 마을은 마을 회관 뒤편 산기슭인 단밀면 낙정리 649에 위치한 당집에서 매년 정월 대보름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낸다. 낙정리 동제의 연원은 알 수 없으나 주민들은 마을에 큰 공헌을 한 고부에게 보답하기 위하여 시작했다고 하며, 현...
-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 공정리 사곡령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봉양면 구미리에서 쌍계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남대천은 의성군 사곡면 공정리 사곡령[355m]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흐르다가 의성읍 오로리에서 북쪽으로 유로를 변경하고, 구봉산의 북쪽 산자락을 휘감은 후 남서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흐르다가 봉양면 구미리 구미교 부근에서 쌍계천과 만난다. 유역 면적은 158.51㎢이며, 하...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폐합 때 병합된 지역 내동(內洞)과 비산동(飛山洞)·유산동(酉山洞)에서 한 글자씩 따서 내산(內山)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경상북도 비안군 외서면의 유산동, 내동, 비산동 각 일부를 병합하여 의성군 구천면 내산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동을 리로 개칭하면서 내산리가 되었다....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외정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내산정 저수지는 삼정 교회 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네의 옛 지명을 따 내산정못이라고도 불리는 2종 저수지이다. 내산정 마을의 유래는 350년 전 광산 노씨(光山 盧氏)가 개척하였으며, 지리상 산우물 구역을 한 생활권으로 만들어 안쪽에 위치하였다 하여 내산정이라 한다. 주변에는 비봉산[579.3m] 푸른 숲길과 1368년(...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송호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내송화 저수지는 동네의 옛 지명을 따 내송화못이라고도 불리는 2종 저수지이다. 송화 마을은 산골짜기에 위치하여 솔나무 꽃향기가 가득하므로 송화(松花)라 칭하고, 380년 전 김대열이 사호에서 분규하여 송화 마을을 개척한 이후 산 안에 위치한다 해서 내송화라 칭하였다. 국도 28호선을 따라 경상북도 예천 방면으로 가다 보면...
-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 노연리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인 노새 마을와 용연(龍淵) 마을의 이름을 따서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노새 마을은 노연(魯淵) 마을이라고도 하는데, 노새를 많이 길러 붙은 이름이라 한다. 또한 마을 사람들이 노새에 베·소금·솜 등을 싣고 장사를 다녔다고 하며, 마을 이름을 한자로 노세(魯世)라 적었다고도 전한다. 용연...
-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은 1980년 3.8%에서 1990년 5.1%, 2000년 7.2%, 2010년 11%로 30년 사이 3배 이상 늘었다. 경상북도 의성군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 증가 추세는 더욱 가파르다. 2011년 6월 현재 14세 미만 인구 대비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이 가장...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 있는 농촌 주민의 소득 증대를 위해 조성된 공업 단지. 농공 단지는 지방화 시대를 맞이하여 지방 자치 단체가 스스로 재정을 확보하고, 공업을 지역적으로 적절하게 분배하여 도시 지역과의 경제적 격차를 해소함과 더불어 도·농간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농·어촌 지역에 조성된 공업 단지이다. 농공 단지는 1983년 말에 제정되어 1984년부터 시행된 「농어...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농사를 짓는 데 사용하는 도구. 의성 지역에서 농사를 짓는 데 사용하고 있는 전통적인 농기구로는 호미·지게·풍구·낫·작두·도리깨 등이 있다. 그러나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의성 지역 청장년층의 이농 현상이 가속화됨에 따라 농업 인구가 감소하고 새마을 운동과 같은 농업 기계화 사업으로 인해 전통적인 농기구의 사용이 줄어들고 기계화된 현대식 농기계의 사용이 급...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토지 등 자연 환경을 이용하여 사람에게 유용한 자연 자원을 생산하는 경제 활동. 농업은 인류가 지구상에 살면서 제일 먼저 시작한 정착 산업이며,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이라 하여 농업을 1차 산업의 중심적 위치에 두고 있다. 의성 지역의 지형 조건이 동쪽은 산지가 많고 지세가 높으며 한서의 차가 심해 과일 재배에 유리한 반면 서쪽은 평야...
-
경상북도 의성 지역 농업인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위해 설립된 협동조합. 농업 협동조합은 농업인이 모여 협동을 통하여 경제적 이익을 얻고 자신의 권리를 지켜나가기 위하여 만든 농업 생산자 단체로 약칭하여 농협이라고도 한다.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조직으로 최대 이윤을 목적으로 운영되는 주식회사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며 농업 및 생활 자재 구입, 생산 농산물 판매, 필요 자금...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중앙회 산하의 의성 지역 본부. 농업 협동조합은 농업인이 모여 협동을 통하여 경제적 이익을 얻고 자신의 권리를 지켜나가기 위하여 만든 농업 생산자 단체로 약칭하여 농협이라고도 한다.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조직으로 최대 이윤을 목적으로 운영되는 주식회사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며 농업 및 생활 자재 구입, 생산 농산물 판매, 필요 자금 조...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가원리에 있는 수리 구조물 개발 업체. 주식회사 농지 개량은 1994년 설립되어 철근 콘크리트 플륨 및 벤치 플륨 등을 전문적으로 생산·공급하고 있는 최고의 핵심 역량을 갖춘 수리 구조물 개발 업체이다. 1998년부터 현재까지 철근 콘크리트 플륨 및 벤치 플륨, 용접 철망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다. 주식회사 농지 개량은 1992년 12월 8일에 농림부 장관으...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분토리에 있는 영농 단체. 농촌 지도자 의성군 연합회는 우애, 봉사, 창조의 정신을 토대로 하여 과학 영농과 농촌 문화 창달의 선도적 역할을 하며 농촌 후계 세대 육성과 농가 소득 증대 및 복지 증진을 도모함으로써 국가 발전과 농촌 근대화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농촌 지도자 의성군 연합회는 1970년에 농촌 자원 지도자회로 설립되었고, 1976년에...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는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 느티나무는 의성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로, 마을 어귀에 정자 식물로 많이 심어 놓고 있다. 느티나무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규목(槻木)이라고도 부른다. 산기슭이나 골짜기, 마을 부근 등 해가 잘 드는 곳이나 토양에 수분 함량이 다소 많은 곳에서 잘 자란다. 가뭄이나...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효선리에 있는 산. 지형이 말 머리에 굴레를 메어 놓은 형국이라 ‘늑두(勒頭)’라 하였다 한다. 늑두산은 높이가 567.9m로, 구무산과 능선이 이어져 있다. 늑두산의 서쪽에는 금성면의 금성산, 비봉산이 자리 잡고 있으며, 이들 산지와는 사미천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다. 늑두산의 남쪽 사면은 쌍계천의 발원지이며, 북쪽 사면은 사미천의 발원지이다. 사미천은 쌍계...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국제 결혼으로 가족을 이룬 가정. 다문화 사회는 시민 혹은 국민으로서 누릴 수 있는 사회·경제·정치·문화적 권리를 취득하고 향유하는 데 인종과 민족이 차별의 근거가 되지 않는 사회를 뜻하며, 다문화 가정은 서로 다른 국적, 인종, 문화를 가진 남녀가 이룬 가정이나 그런 사람들이 포함된 가정을 의미한다. 결혼 이민자가 늘어나면서 다문화 가정의 규모는 2008년 3...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가원리에 지역 주민의 소득 증대를 위해 조성된 농공 단지. 농공 단지는 1983년 말에 제정되어 1984년부터 시행된 「농어촌 소득원 개발 촉진법」에 의하여 지정되었다. 지방화 시대를 맞이하여 지방 자치 단체가 스스로 재정을 확보하고, 공업을 지역적으로 적절하게 분배하여 도시와 농어촌 간의 경제적 불균형을 해소하며, 공업 단지를 능률적으로 개발함으로써 지방...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서릉리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다인 농업 협동조합은 다인면, 단북면 지역 농업인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할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자금·자재 및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9년 8월 29일 33개 이동조합을 합병하고 1969년 1...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서릉리에 있는 천주교 안동 교구 소속의 천주교 교회.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이웃하는 안사면 쌍호리에는 1866년 병인박해 전부터 공소가 있었기 때문에 다인면의 전교는 그곳으로부터 시작되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하지만 다인면에서의 실제적인 복음 전파는 1948년 상주의 다래 공소 출신인 김시종이 의성 지역으로 이사해 오고, 1952년 경상북도 예천에 살던...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서릉리에 있는 전통 시장. 시장은 일반적으로 상설 시장과 정기 시장으로 분류된다. 상설 시장은 일정한 지역에서 사람들이 항상 상품의 매매와 교환을 하고 있는 시장을 말하며, 정기 시장은 일정 구역 내에서 정기적으로 열리는 시장을 말한다. 의성 지역의 시장은 상설 시장 1곳, 정기 시장 9곳이며 상설 시장은 의성읍에 자리 잡고 있다. 정기 시장은 의성읍, 단촌...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도암리에 있었던 공립 고등학교. 건강한 사회를 구현할 인성을 기른다. 미래 사회에 대비하는 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모두가 행복한 교육 복지를 실현한다. 신뢰와 봉사의 지원 행정 구현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 슬기롭고 부지런하게’ 이다 1969년 11월 19일 고등학교 설립 기성회가 조직되었고, 1972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1976년 3...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도암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건강한 사회를 구현할 인성을 기른다, 꿈과 소질을 키우는 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사랑과 나눔의 교육 복지를 실현한다, 믿음과 소통의 지원 행정을 구현한다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 슬기롭고 부지런하게’ 이다. 1951년 6월 15일 다인 중학교 기성회를 조직하여 1952년 2월 12일 개교하였다. 1976년 3월...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행정 구역.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현동(縣東), 현남(縣南), 현내(縣內) 등 3개 면을 합해 예전에 있었던 행정 구역 명칭인 다인현(多仁縣)에서 이름을 따 왔다. 다인면은 본래 다기현, 달이현으로 불리다가 신라 시대인 757년(경덕왕 16)에 다인현이 되어 상주에 예속되었다가, 고려 시대인 1274년(원종 15) 보주[예천군]의 속현이 되었다...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서 같은 본관의 성씨들이 모여 사는 마을. 다인면은 조선 시대 다인현 지역이다. 서릉리(西陵里)·산내리(山內里)·가원리(佳院里)·송호리(松湖里)·도암리(陶岩里)·평림리(平林里)·덕지리(德池里)·양서리(陽西里)·용곡리(龍谷里)·봉정리(鳳井里)·달제리(達堤里)·삼분리(三汾里)·외정리(外井里)·용무리(龍武里)·신락리(申樂里) 등 16개 법정리와 38개 행정리, 1...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서릉리에 있는 다인면 관할 행정 기관. 경상북도 의성군을 구성하고 있는 1개 읍 17개 면 중 다인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다인면사무소는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현내면, 현동면, 현남면을 합하여 다인면으로 개칭하고 법정 14, 행정...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주선리에 있었던 공립 중학교. 지키고 베풀 줄 아는 인성함양, 창의성을 기르는 기본 교육 충실, 꿈을 키우는 과학·실업 교육 강화, 지식 정보화 사회의 적응력 신장, 선진단 중심의 교육 환경 조성을 교육 목표로 하였다. 교훈은 ‘정직·창의·실천’ 이었다. 1971년 7월 13일 단밀 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72년 3월 4일 개교하였다. 1988년 2월...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속암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인성을 갖춘 어린이, 슬기롭고 실력 있는 어린이, 진취적이고 건강한 어린이가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정직·성실하며 꿈을 키워 가는 어린이’ 이다. 단밀 초등학교는 1967년 9월 1일 단밀 국민학교 분교장으로 인가를 받아 1967년 12월 1일 속암 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92년 3월 1일 단밀 국민학교를 통...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속암리와 단북면 이연리를 연결하는 다리. 단밀교는 의성군 단밀면 속암리 지역에 동서 방향으로 건설된 교량으로, 안계면과 단밀면을 횡단하는 지방도 912호선이 북쪽으로 흐르고 있는 위천을 수평으로 교차하고 있다. 단밀교의 명칭은 교량이 가설된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의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단밀교에서 교량 길이의 합인 연장은 360.0m, 교량의 총 폭은 8.0...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행정 구역. 단밀면이 위치한 곳은 삼한 시대에는 진한(辰韓)에 속한 지역으로 난미리미동국(難彌離彌凍國)의 도읍지였다. 통일 신라 때 현(縣)으로 개편되어 무동미지현(武冬彌知縣) 또는 무동미지현(武冬米知縣)이라 하였다가 757년(경덕왕 16년) 12월에 행정 구역 개편 때, 단밀현(單密縣)이라 개칭하여 문소군(聞韶郡)의 영현(領縣)으로 하였다. 고려에 와서도...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에서 같은 본관의 성씨들이 모여 사는 마을. 단밀면은 낙동강을 경계로 옛 선산군과 인접한 지역이다. 낙동강의 본류와 그 지류인 위천(渭川)이 면의 동·서·북쪽 경계를 이루며 흐른다. 그 주변의 평야 지대와 그 바깥에 발달한 구릉성 산지에 옛날부터 취락이 발달하였다. 속암리(涑巖里)·용곡리(龍谷里)·위중리(渭中里)·주선리(注仙里)·서제리(書堤里)·팔등리(八嶝里)...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속암리에 있는 단밀면 관할 행정 기관. 의성군을 구성하고 있는 1개 읍 17개 면 중 단밀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단밀면사무소는 의성군 단밀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단밀현에 속해 있는 단서면(丹西面), 단남면(丹南面)과 단동면(丹東面) 일부를 병합 의성군...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행정 구역. 본래 소속되어 있던 단밀현(丹密縣)의 현청 소재지에서 북쪽에 위치하므로 단북(丹北)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본래 경상북도 상주 소속의 단밀현 지역이었다. 1906년 경상북도 비안군으로 이관되어 비안군 단북면이 되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비안군 단북면 조암리·칠성리·하련리·중련리·묵계리·용천리·용연리·우제리·상련리·신기리·물흥리·...
-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에서 같은 본관의 성씨들이 모여 사는 마을. 단북면은 산지가 별로 없고 남서로 흐르는 위천 유역과 구릉 지대가 비옥한 편이어서 예로부터 주거지가 발달하였다. 2012년 현재 7개 법정리와 19개의 행정리로 형성되어 있으며, 단양 우씨, 용궁 전씨, 경주 이씨, 김해 김씨, 영산 신씨, 고성 이씨, 동복 오씨, 청주 이씨 등이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단양 우씨는...
-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 이연리에 있는 단북면 관할 행정 기관. 의성군을 구성하고 있는 1개 읍 17개 면 중 단북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단북면사무소는 의성군 단북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단북면은 신라·고려·조선 시대에는 단밀현(丹密縣) 지역인데 조선 말엽까지 상주 직할령으로 내려 왔다. 단밀현 소재지에서 북쪽에...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명절. 단오의 단(端)은 첫 번째를 의미하고, 오(午)는 오(五), 곧 다섯과 뜻이 통하므로 단오는 초닷새를 말한다. 원래 음양 철학에서는 기수(奇數)를 양(陽)으로 치고 우수(偶數)를 음(陰)으로 치는데, 기수가 겹쳐 생기(生氣)가 배가(倍加)되는 3월 3일이나 5월 5일, 7월 7일, 9월 9일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그 중에서도...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하화리에 있는 전통 시장. 시장은 일반적으로 상설 시장과 정기 시장으로 분류된다. 상설 시장은 일정한 지역에서 사람들이 항상 상품의 매매와 교환을 하고 있는 시장을 말하며, 정기 시장은 일정 구역 내에서 닷새마다 한 번, 또는 열흘마다 한 번씩 정기적으로 열리는 시장을 말한다. 의성 지역의 시장은 상설 시장 1곳, 정기 시장 9곳이며 상설 시장은 의성읍에 자...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하화리에 있는 다리. 단촌교는 의성군청이 소재한 의성읍 후죽리에서 단촌면사무소가 있는 단촌면 하화리 지역을 종단하는 국도 5호선의 단촌 휴게소 북쪽 지점에 남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교량이다. 단촌교의 명칭은 교량이 가설된 지역인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의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1996년에 성능 개선사업의 일환으로 보수 공사를 통해 새롭게 준공된 단촌교의 제...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행정 구역. 붉은 돌이 많은 곳이라 하여 단촌면(丹村面)으로 불렀다고 한다.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의 일부,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의 일부, 경상북도 안동시 남선면의 일부를 병합하여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이라 하고 장림동·세촌동·하화동·상화동·관덕동·병방동·후평동·구계동·방하동 등 9개 동으로 개편하였다. 198...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하화리에 있는 단촌면 관할 행정 기관. 의성군을 구성하고 있는 1개 읍 17개 면 중 단촌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단촌면사무소는 의성군 단촌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단촌면은 고려 925년(태조 7) 경상북도 안동 지방의 옛 이름 고창군의 영속이던 고순현[단촌 지방]이 의성부에 편입되면서 의...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하화리에 있는 중앙선 철도역. 단촌역은 중앙선 철도역으로 1940년 영업을 시작하였으나 지금 현재 화물과 여객 취급을 중지한 무인역이다. 단촌역은 중앙선 철도를 개설할 때에 화물과 승객의 수송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1940년 4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단촌면 하화리·장림리·세촌리의 주민들이 주로 이용하였으나 인구의 감소와 함께 도로 교통의 발...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금봉리에서 발원하여 옥산면 정자리 입암교 부근에서 미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달곡천은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금봉리 솟재의 북서 사면에서 발원하여 서북쪽으로 흘러 금학리, 전흥리, 입암리를 거쳐 옥산면 정자리 입암교 부근에서 미천과 합류하는 하천으로, 길이는 12.2㎞이고 최대 하폭은 50m 정도이다. 하폭이 크지만 유량은 많지 않다. 5개의 3차수 하천이 모...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달동, 모창동, 금제동을 병합하였다. 이때 달동과 금제의 이름을 따서 달제동[달제리]이라 하였다. 달동(達洞)은 조선 시대 과거 보러 가는 사람이 이 마을에서 쉬어가면 통달(通達)한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금제(金堤)는 달제(達堤) 1리에 있는 양지산을 바라보니 금(金)이 날 것 같았고, 그 산 모양이...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도서리에 있는 의성 지역 사과 농업인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농업 협동조합. 대구 경북 능금 농업 협동조합 의성 지소는 의성 지역 과수 농업인의 자주적인 협동 조직을 바탕으로 농업인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과 과수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의성 지역 농업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일제 강점기...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에 있는 대구 지방 검찰청의 지청. 대구 지방 검찰청 의성 지청은 경상북도 의성군·군위군·청송군 지역에서 발생하는 일반 형사 사건 등의 수사 및 처리, 공판 업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09년 7월 6일 대구 지구 재판소 의성 지청으로 개청했다. 1932년 폐청하여 안동 지청에 편입되었다가 8·15 해방 이후인 1947년 10월 22일 대구 지...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대구 지방 법원의 산하 지원. 대구 지방 법원 의성 지원은 경상북도 의성군·청송군·군위군 지역의 사법 정의를 실현하고 민사 및 형사 사건을 심판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12년 4월 1일 「조선 총독부령」 제4호에 의해 대구 지방 법원 의성 지청이 개설되었다. 1932년 2월 15일 의성 지청이 폐청되어 의성 등기소로 존속하다가 미 군정기인 1...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달제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대동지는 문암산 밑의 큰 고을이라는 의미를 가진 대동(大洞)이라는 옛 지명을 따 대동못이라고도 불리는 2종 저수지이다. 가음에서 춘산 방향으로 국도 28호선을 따라 가다 보면 풍혈과 빙혈로 유명한 의성군 군립 공원인 빙계 계곡 사거리가 나온다. 빙계 계곡 방향으로 직진하여 현리 마을을 지나면 대동 마을이 나오며, 대동 마을...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리리(大里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 죽리(竹里)의 이칭인 대리에서 나온 명칭으로, 약 400년 전 이 마을을 개척할 당시 대나무가 많아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마을의 대나무숲에서 봉황이 쉬어 가곤 했다는 전설도 전해진다. 본래 경상북도 의성군 조문면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대리동과 검동을 병합하여 의성군 조문면...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대사리와 봉양면 안평리를 연결하는 다리. 대사 1교는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대사리 지역에 남북 방향으로 건설된 교량으로, 의성군을 종단하는 중앙 고속 도로[고속 국도 55호선]에 위치한 다리이다. 대사 1교의 명칭은 교량이 가설된 지역인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대사리의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대사 1교의 춘천 방향 상행선 구간과 부산 방향 하행선 구간의 교량...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대사 1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대사 1리에서는 대사 3리로 향하는 삼거리 마을 숲의 당목[춘산면 대사리 653]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매년 동제를 지내고 있다. 대사리 동제의 연원 및 시기는 알 수 없다. 매년 진행해 오던 동제가 마을의 규모가 작아짐에 따라 부담스러워져 1983년에...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을 통합하면서 경상북도 의성군 석적면의 우리동과 용립동을 합하여 대사동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 대사에서 따왔는데, 이 마을에서 대사간 벼슬을 역임한 인물이 나왔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자연 마을은 절골[寺谷], 탑골[塔谷], 용립(龍立)이 있다. 절골은 이의동(李意同)이라는 선비가 마을을 개척할 당시 큰...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을 하면서 대동, 사품동의 이름을 따서 대사동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 대동은 큰골[大谷]이라고 하는데, 김일상이라는 선비가 마을을 개척할 때 큰 골짜기에 자리를 잡았다고 붙인 이름이다. 사품(沙品)은 김석조라는 선비가 피난 와서 개척할 때 머루 넝쿨과 다래 넝쿨을 제거하니 땅이 메마르고 건조하여 마을 이름을 사품이...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에 있는 대한 불교 법화종 소속 사찰. 1952년 3월 9일 손대헌이 창건하였다. 창건 당시의 이름은 ‘빙산 정사(氷山精寺)’였으나 1992년에 ‘대흥사(大興寺)’로 개칭하였다. 매월 초하루 정기 법회를 열며, 부처님 오신 날, 출가일, 성도일, 열반일, 우란분재(盂蘭盆齋) 등 불교 5대 명절과 지장재일, 관음재일 등에 법회를 개최한다. 대흥사에는 스님...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미력동(彌力洞), 음곤동(陰昆洞), 상광덕동(上光德洞)의 일부를 병합하여, 광덕과 미력의 이름을 따서 덕미동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들의 유래는 다음과 같다. 광덕(光德)은 비봉산을 배경으로 금이 많이 생산되었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상광덕은 광덕의 위에 있다하여 칭한 것이다. 미륵(彌勒)은 마을...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덕미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덕미리는 경로 회관에서 약 100m 떨어진 다인면 덕미리 146의 미륵당과 미륵당에서 북쪽으로 100m 떨어진 덕미리 284-4의 골맥이당에서 매년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의성군 다인면 덕미리는 과거부터 미륵불을 동신으로 모시고 있으나 그 이...
-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자연 마을 덕봉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17세기 중엽 황씨가 정착하면서 주변 산봉우리가 알같이 생겨 알봉이라 일컫다가 그 후 덕봉이라 명명하였다 한다. 또한 마을 뒷산이 덕스러워 보이기 때문에 덕봉이라 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서랑당(西郞堂)은 약 200년 전에 이곳에는 배나무 숲이 있었는데, 이 고개를 지나는 사람들은 이 숲에 돌을 던지고...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덕촌동, 말지동, 하광덕동, 상광덕동 일부를 병합하여 덕촌과 말지의 이름을 따서 덕지동이라하였다. 자연 마을인 여우리는 동협(東莢)에서 서울로 가는 길목으로 산세가 험하여 사람 10명이 동행해야 지나갈 수 있다 하여 "열명"에서 여우리로 변하였다. 살구제는 이 마을 뒷산 고개에 많은 살구나무가 있었다하여...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도경리(道境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 도경(道境)에서 나온 명칭으로, 마을의 길을 사이에 두고 의성군과 경상북도 군위군의 경계를 이루었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도경은 뒤깅이·뒤김이 또는 원도경(元道境) 마을로도 불린다. 조선 말 경상북도 의성군 억곡면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도경동, 둔태동, 신안동, 석흥동 등...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삼분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도관 저수지는 대구광역시에서 국도 5호선, 중앙 고속 도로를 이용하여 의성 IC에서 내려 국도 28호선을 따라 경상북도 예천 방면으로 가다 삼분교를 지나 우측 농도 304호선을 따라 가면 나타나는 2종 저수지이다. 삼분리의 유래는 마을 개척 당시 주위 세 곳에서 물이 많이 솟아오르므로 삼분으로 하였으며, 뒷날 세 곳의 물줄...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시, 고도동 일부와 덕동을 병합하였는데 두 마을이름 "도"자와 "덕"자를 취하여 "도덕동"이라 하였다. 자연부락으로 고도전(高道田) 혹은 고두밭은 북쪽으로는 높은 고도산이 있으며 마을의 앞에는 화두산(花頭山)이 있는 산협이라 밭농사를 주업으로 하여 왔던 이유로 고도밭[高道田] 혹은 고두전(高頭田)으로 불렸다 한다....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 속하는 법정리. 본래 의성군 남부면의 지역으로 의성의 중앙 큰길 동편에 있으므로 도동(道東)이라 칭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도북동, 원흥동, 호미동을 병합하여 도동동이라 하였다. 도동 1리는 예로부터 향교가 자리 잡고 있던 곳이라 하여 교동(校洞)으로 불리다가 일제 강점기 때 큰길 동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도동리로 되었다. 도동 2리...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사람이나 차들이 다니는 비교적 넓은 길. 의성군을 통과하는 도로는 고속 도로 1개 노선, 국도 4개 노선, 지방도 8개 노선 및 군도 15개 노선이 있다. 중앙 고속 도로가 중앙부인 봉양면과 안평면 2개 면을 남북 방향으로 통과하며, 국도 5호선 및 국도 28호선이 각각 의성군의 남북, 동서 방향으로 통과하고 있다. 의성군 중남부 지역인 봉양면 도원리에 중앙...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화전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의 바르고 남을 배려하는 학생, 건강하고 스스로 공부하는 학생, 슬기롭고 창의적인 학생, 꿈을 키워 행복을 나누는 학생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예절 바르고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이다. 1949년 9월 1일 도리원 공립 국민학교 개교하였으며, 1952년 11월 1일 도리원 국민학교로 개칭되었다. 1981년 3월...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 속하는 법정리. 본래 의성군 남부면의 지역으로서 의성읍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안동과 영천 가도(街道) 아래편에 있는 동네라 ‘길 아래 동’이라 부르다 한자 뜻으로 바꿔 도하동(道下洞)이라고도 일컬었다. 일제 강점기 때 중앙 통로 서쪽에 있다고 하여 지금의 이름 도서리(道西里)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자연 마을로는 도서와 유다리가 있다. 도서는 중앙 도로의...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도산동(陶山洞)과 백암동(白岩洞)에서 한 글자씩 따서 도암동(陶岩洞)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 동마람은 마을 동쪽의 산등에 말처럼 생긴 바위가 있다 하여 동마암(東馬岩)이라 부른 것이, 그 뒤 변음되어 동마람이라 하였다 한다. 마산두 마을(馬山頭 마을)은 뒷산의 형태가 말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마...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가도동(加道洞)과 장암동(壯岩洞)의 이름을 따서 도암동(道岩洞)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경상북도 비안군 신동면의 가도동, 장암동, 모로동을 병합하여 의성군 비안면 도암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동을 리로 개칭하여 도암리가 되었다. 자연마을 장암은 1500년경 마을 개척 당시 마...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도옥이라는 이름은 자연 마을 도옥골에서 유래되었다. 도옥골[都玉谷]은 본래 의성군 석전면 지역으로 돌이 많아서 도옥골 또는 동옥골이라 하였다 한다. 한편 오씨라는 선비가 이 마을을 개척할 때 마을의 모양이 마치 독과 같이 생겼기 때문에 불리기 시작했다고도 한다. 용천(龍泉)은 이 마을 옆에 있는 용솟음이란 곳에서 용이 솟아났다고 하여 그렇게...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도원리에 있는 다리. 도원교는 의성군을 종단하는 중앙 고속 도로[고속 국도 55호선] 의성 IC에서 상행선인 춘천 방향으로 600m 떨어진 곳에 북동-남서 방향으로 건설된 교량이다. 도원교의 명칭은 교량이 가설된 지역인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도원리의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도원교에서 교량 길이의 합인 연장은 9.8m, 교량의 총 폭은 42.8m, 교량에서 차...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도원리(桃源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 도원(桃源)에서 나온 명칭으로, 조선 시대 철파역(鐵坡驛)에 딸린 도리원(都里院)이 있었으므로 도리원 또는 도원이라 부른 데서 유래한 것이라 한다. 또는 복숭아나무와 자두나무가 많이 있어 한자로 도리(桃李)라는 지명이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된다. 도원 마을(桃源 마을)은 과거 봉양면 면소재지로서, 시장도...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입암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독점 저수지는 지방도 79호선 신감 옥산로와 미천의 동쪽 위치해 있는 농업용 2종 저수지이다. 독점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66년 1월 3일 착공하여 1967년 12월 30일 준공하였다. 총 공사비는 300만 원이 소요되었고, 국고 보조로 충당되었다. 총 저수량 2,000㎥, 유효 저수...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봉정리와 안사면 월소리에 있는 산. 독점산의 높이는 311.4m로, 동쪽 사면은 신평천의 분수계이며, 서쪽 사면은 봉정천의 분수계에 해당된다. 독점산이 이어지는 산지 능선의 서쪽 사면이 봉정천의 유역 분지에 해당되며, 동쪽 사면은 신평천의 유역 분지에 해당된다. 봉정천은 독점산이 이어지는 산지의 남쪽 비로재에서 발원하는 하천으로 북쪽으로 흘러 독점산의 서쪽...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안사리와 안계면 도덕리를 연결하는 고개. 주변에 돌이 많아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돌고개는 의성군 안사면 안사리와 안계면 도덕리 사이를 오가던 고개로, 북서쪽의 260m 고지와 남동쪽의 250m 고지 사이에 있는 높이 120m의 낮은 부분이다. 돌고개의 남쪽 계곡은 위양천의 발원지로서 이 하천의 최상류부에 해당되는 돌고개 주변에는 석현지라는 저수지가 조성되어...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점곡면 소재지의 동쪽이 되기 때문에 동변이라 하였고,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동 이름이 되었다. 자연 마을 걸마골[乞馬谷]은 1670년 아주 신씨가 마을을 개척 당시 마을 지형이 말 모양으로 생겼으며 또한 물이 매우 귀했던 마을이라 말이 목마른 형상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단의실은 송고 박윤성의 9대손 박종량이 두 형...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동변 2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동변 2리는 북쪽의 점곡지로부터 흐르는 개천 동편에 조성된 방품림[점곡면 동변리 1026]의 당목에서 매년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동변리 동제의 연원과 시기는 알 수 없다. 과거에는 동제를 동변 1리·동변 2리·동변 3리 모두 함께 지냈으...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경상북도 비안군 군내면 창하동 일대를 병합하여 읍내의 동쪽에 위치하므로 동부동(東部洞)이라고 이름지었다. 자연 마을 창하동은 관창(官倉)의 아래쪽 마을이라 창하(倉下)라고 불렀고, 상처 고개는 일명 황천 고개라고도 하는데, 예전 사람들이 현청[관가]에 잡혀 갔다가는 돌아오지 못하거나, 돌아와도 심한 상처를...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동부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동부리의 주민들은 매년 정월 초이튿날에 마을 입구에 있는 동부교 아래 느티나무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낸다. 동부리의 당목은 비안면 동부리 414에 위치하고 있으며, 마을 입구의 동부교 아래에 있는 느티나무이다. 동부리 동제의 연원은 알 수 없다. 약...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신에게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올리는 의례. 동제는 마을의 수호신을 숭상하고, 마을 사람들의 건강과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마을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마을 공동체 의식이다. 동제는 마을의 역사와 마을 사람들의 생활상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마을 사람들을 하나로 묶어 주는 대표적인 민간신앙이다. 의성 지역의 동제는 토테미즘과 불교, 유교와 조...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와 상리리에 걸쳐 있는 산. 산 모양이 가운데가 솟아서 불룩하게 언덕이 진 ‘둔덕’과 같아 둔덕산이라 이름붙여진 듯하다. 둔덕산은 둔덕구분댕이, 허구재라고도 한다. 둔덕산은 높이가 249.9m로 구릉성 산지이다. 둔덕산의 동쪽은 의성읍 상리리이며, 나머지는 의성읍 중리리에 속해 있다. 둔덕산의 북쪽 사면은 남대천의 지류 하천의 발원지이며, 남쪽 사면은...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삼분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등곡 저수지는 대구에서 국도 5호선, 중앙 고속 도로를 이용하여 의성 IC에서 내려 안계 방면 국도 28호선을 따라 경상북도 예천 방면으로 가다 삼분교에서 농도 304호선을 따라 가면 삼분 초등학교 뒤쪽에 있는 2종 저수지이다. 주변에는 저수지가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국도 28호선을 따라 예천 방면으로 가다 보면 비봉산(...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에 있는 산. 등운산(騰雲山)은 구름을 타고 올라가는 산이라는 뜻이다. 등운산은 높이가 624.2m로, 단촌면 구계리에 있으며, 갈라산과 함께 안망천의 발원지에 해당된다. 고운사의 만덕당 앞 툇마루의 정면에서 바라보면 동그란 언덕 모양의 산지가 솟아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것이 바로 등운산인데, 이처럼 등운산이 정상부만 둥근 돔 형태를 띠는 것은 기...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에 있는 경상북도 지적 장애인 협회 의성군 지부 부설 기관. 경상북도 지적 장애인 협회 의성군 지부는 지역 사회 지적 장애인에 대한 종합적인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적 장애인들의 재활과 복지 증진을 도모하고 계몽 및 홍보를 통해 일반 시민의 지적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사회 통합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하여 설립된 단체이다....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문흥리에 있는 군 관리 작은 도서관. 르네상스 문흥리 작은 도서관은 문화 시설 소외 지역 주민들에게 손쉽게 책과 지식 정보를 접할 수 있는 독서 환경 조성 및 독서 생활화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9년 3월 문화 체육 관광부로부터 작은 도서관 조성 지원 사업 지원 대상으로 선정되어 국비 1억 3960만 원과 군비 6040만 원 총 2억 원의 예산으로 건립...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임씨라는 선비가 약 500년 전에 마을을 개척하였는데, 현재의 안평면 마전리에서 비안면 산제리로 넘어가는 고개에서 신행(新行) 길에 말이 굴러서 말구리 혹은 마전(馬轉)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마당바들산은 마을의 전설에 따르면, 천지개벽 때에 마당 만큼의 면적에 동민 전원이 피난을 하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싸리밭골은 마을 개척 당...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옥연리와 군위군 소보면 사리리를 연결하는 고개. 막골재는 이 고개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는 막골 마을에서 그 명칭이 유래되었다. 막골 마을은 마을에 사람이 살기 이전 옥포, 숯골 주민의 농토가 있었다고 한다. 당시 야생 조수에 의한 피해가 커 이를 막기 위해 막을 지어 놓고 조수를 쫓아 농작물을 보호했다고 하며, 막을 쳐놓은 골짜기라 하여 막골이라는 이름이 붙...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생송리와 경상북도 구미시 도개면 동산리에 걸쳐 있는 산. 만경산은 사방의 일만 가지 경치를 한눈에 볼 수 있다는 의미에서 붙은 이름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산 정상에 오르면 전망과 경치가 좋고 낙동강을 비롯한 주변의 경치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1617년 간행된 『상산지(商山誌)』에서는 만경산을 만악산(萬嶽山)이라고 표기하고 있으며, 넓은 반석과 높은 봉우...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만이골의 ‘만’자와 신리의 ‘리’자를 취하여 만리리라 하였다. 만이골[만이곡(萬二谷)]은 위천 대감이 자기 집을 지을 때 주초(柱礎) 밑에 이 마을 흙을 넣기 위하여 말 두 필로 흙을 실어 갔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신리(新里)는 신씨들이 살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며, 늦게 생겨났기 때문에 새마...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만천리(晩川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 만천에서 나온 명칭으로, 그 유래는 정확히 전해지지 않고 있다. 일설에는 금성면 운곡리에서 살던 선비가 이곳으로 이주해서 마을을 개척했는데, 늦게 왔다하여 만래(晩來)로 불렀으며, 만래가 만내로 변하여 한자로는 ‘만천[晩川]’으로 표기했다고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의성에서 노년을 보낸 함양 박씨 의성...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덕미리 비봉산 남서쪽 사면에서 발원하여 덕지리와 산내리를 거쳐 상주시 중동면 신암리에서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말지천은 의성군 다인면 덕미리 비봉산의 남서쪽 사면에서 발원하여, 덕지리와 산내리를 따라 남쪽으로 흐르다가 상주시 중동면 신암리를 거쳐 낙동강으로 유입된다. 하천의 총 길이는 8.5㎞이며, 최대 하폭은 30m 정도이다. 말지천은 상주시 중동면 신...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장림리 용성지에서 발원하고 안동시 일직면을 거쳐 의성군 단촌면 세촌리에서 미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망률천은 의성군 단촌면 장림리 용성지에서 발원하고, 북쪽 방향으로 흘러 안동시 일직면과 의성군 단촌면 세촌리의 경계부를 흐르다가 미천으로 합류한다. 망률천이 의성군을 흐르는 구간[안동시에 속하는 구간을 제외]의 길이는 총 4.5㎞ 정도이며, 최대 하폭은 30m이...
-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 매곡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매곡 저수지는 지방도 912호선 의성 사곡로와 남대천 남쪽에 위치해 있는 농업용 2종 저수지이다. 매곡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75년 7월 1일 착공하여 1976년 12월 31일 준공하였다. 총 공사비는 2억 7375만 원이 소요되었고, 1억 6309만 7천 원은 국고 보조로 충당되었다...
-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병합된 지역 노매동, 우평동, 누곡동 중에서 노매와 누곡의 한 글자씩을 따서 매곡동이라 이름을 붙었다. 자연 마을 노매(老梅)는 1510년 신한이 다래 넝쿨로 뒤덮인 이곳을 개척하였을 당시 산기슭에 오래된 매화나무가 있었기 때문에 붙였다고 한다. 우평(牛坪)은 16세기 중엽 이득수라는 사람이 마을을 개척하면서...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음력 2월 초하루에 머슴을 대접하는 풍습. 음력 2월 초하루는 겨울 동안 쉬었던 머슴들에게 1년 농사를 부탁하고 위로하는 뜻에서 술과 음식을 푸짐하게 대접하여 하루를 즐기도록 한 머슴들의 명절이다. 지역에 따라서 머슴날, 노비일, 일꾼날, 하리아드랫날, 나이떡날, 농군의 날, 권농일, 선머슴날, 여종날[婢日]이라고도 부른다. 일꾼들이 쉬었던 몸을 풀고 다시...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명고 2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명고 2리 주민들은 매년 음력 정월 열 나흗날에 마을 입구의 당목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점곡면 명고 2리의 당목은 지방 도로에서 마을로 들어서는 첫 번째 집의 맞은편인 점곡면 명고리 산129-2에 있다. 명고 2리 동제의 연원은 알...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고(鳴皐)는 학(鶴)이 마을 앞 언덕에 와서 자주 울고 갔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는 1430년 경 신은석이라는 선비가 마을을 개척할 당시 마을 뒷골에 큰 못이 있었다 하여 큰목골로 불렀는데, 이후 개칭하였다 한다. 자연 마을 옥곡[옥실]은 1370년 무렵 오강제라는 선비가 마을을 개척할 당시 청옥골[靑玉谷]에서 많은 옥이 나왔다 하...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덕리는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병합된 지역 중 명호동과 덕곡동의 이름을 따서 명곡이라 하였다. 명호는 마을 옆에 호수가 있었고 그 곁에 있는 봉대(鳳臺)에서 봉황이 늘 울어서 명호(鳴湖)라 불렀는데 그 후 한자가 변하여 오늘날 명호(明湖)가 되었다 한다. 덕곡(德谷)은 마을 앞의 고개 이름을 따서 붙여진 이름이며, 옛날 나무꾼...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가원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모산 저수지는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가원리와 용무리 경계 지점에 있는 2종 저수지이다. 국도 28호선을 따라 경상북도 예천 방면으로 가다 보면 비봉산[579.3m]과 1368년(공민왕 17)에 왕사인 지공 국사와 나옹 선사가 창건한 천년 고찰 대곡사(大谷寺)가 있다. 모산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병합된 지역 중 모고동(慕古洞)과 흥암동(興岩洞)에서 각각 한 글자씩 따서 모흥동(慕興洞)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경상북도 비안군 내서면의 흥암동, 모고동, 조개동과 비안군 외서면 하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의성군 구천면 모흥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동을 리로 개칭하면서 모...
-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무당을 중심으로 민간에서 전승되는 습속.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무속은 크게 마을 공동체 단위로 행하는 공동 제의와 가족이나 개별적으로 행하는 개인 제의로 구분할 수 있다. 공동 제의는 촌락을 중심으로 무속인과 주민 집단이 함께하는 동제가 있다. 개인 제의는 집에 우환이 있거나 액이 있을 때 이를 막기 위하여 비래쟁이나 막음쟁이가 하는 비손이 있다. 또한 집안...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행해지는 인간의 육체로 음악에 맞추어 사상·감정·감각·정서 등을 율동적으로 표출하는 행위 예술 분야. 의성 지역도 전국 어느 지역과 마찬가지로 전통 무용인 무무(巫舞)가 남아 있다. 무당춤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무무는 무속 신앙의 의식인 굿에서 추어진 춤을 일컫는 것인데, 여러 의식 무용 중 가장 연륜이 깊은 것이며, 가장 광범위하게 행해진 것이다. 의성 지역...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상리리와 사곡면 신감리를 연결하는 고개. 문고개는 의성읍 상리리의 하이골, 윗골 마을에서 사곡면 신감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이 고개는 북동쪽의 230m 고지와 남서쪽의 240m 고지 사이에 있는 낮은 안부이며, 높이는 185m이다. 주변의 높은 산지를 피해 주변 주민들이 의성읍으로 오가는 길목으로 이용하고 있다. 문고개의 북서쪽 곡부는 남대천의 지류인 아사...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활동하는 바둑 동호회. 문소 바둑 동호회는 바둑을 통한 동양 민속 저변 확대와 선비 정신에 부응한 고양한 인격 수련·두뇌 운동으로 건강 증진 및 회원 상호간 친목을 목적으로 2001년에 창립하였다 문소 바둑 동호회의 주요 사업을 보면, 제9회 의성군 바둑 대회가 2011년 가을빛 고운 대축제 기간인 10월 7일 의성 문화 회관 앞 광장에서 진행되었다. 20여 명...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한국 문인 협회 의성 지부 주관으로 매년 개최되는 백일장. 의성 청년 회의소에서 주관하던 백일장 행사를 한국 문인 협회 의성 지부에서 인계하여 의성군 관내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2005년 5월 25일 의성 종합 운동장에서 제1회 문소 백일장을 개최하였다. 이후 한국 문인 협회 의성 지부 주관 하에 매년 문소 백일장을 개최하고 있다. 2005년 제1회 문소...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서예 단체. 문소 연서회는 문화원 예술 단체로서 서예 기량 향상과 저변 확대 및 지역 서예 문화의 정서 함양을 목적으로 1989년에 창립하였다. 문소 연서회의 주요 사업을 보면, 학술 토론회, 선형 유적지 답사 및 역사 탐방, 서예 전시회를 매년 개최하고 있다. 특히 매년 10월 의성 문화제 기간 내 문화 예술 단체 합동 전시회 일환으로 서예 회원...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원당리에 있는 누각. 교남사대루(嶠南四大樓), 즉 영남 지방의 사대루로 불렸던 누각 중 하나이다. 교남사대루는 문소루와 진주의 촉석루(矗石樓), 밀양의 영남루(嶺南樓), 안동의 영호루(映湖樓)를 말하며 그 가운데 가장 먼저 건립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원당리 문소루는 의성읍 원당리에서 철파리를 지나가는 국도 5호선과 지방도 914호선이 만나는 원당 삼거리에서 의...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언어와 문자를 매체로 표현하는 창작 활동. 의성은 옛 삼한 시대에 성읍 국가인 조문국이 자리하였던 곳으로, 고유의 독특한 문화를 꽃피우고 의(義)를 중시하는 선비 정신을 계승하여 많은 충의열사를 배출한 지역이다. 의성군에는 고려 시대 이래 조선 시대까지 수령으로 부임한 이들과 문과, 무과, 사마시에 합격한 이들이 언어와 문자를 통해 충과 효를 표현한 작품들이...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문화 및 예술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화 예술 단체.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화 예술 단체는 동호인 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지역 문화 예술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의성 지역의 문화 예술 단체는 의성 문화원에 등록된 문화 단체와 그 외 단체들로 구분하여 파악 할 수 있다. 타 시군과 달리 한국 예술 문화 단체 총연합회가 결성되...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문학, 음악, 미술, 연극, 영화, 무용, 사진 등의 분야에서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활동 또는 그 작품. 경상북도 의성군의 문화·예술 활동은 대체로 의성군이나 유관 및 산하 기관, 그리고 교육·종교 기관 및 사회 단체 중심으로 행해지고 있으며, 전문 예술인이 부족하고 소공연장, 전시 시설 등 기반이 취약하며 문화·예술에 대한 인지도가 낮아 상업과 연관된 활발한...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후죽리에 있는 의성 문화원 소속 여성 봉사 단체. 문화원 여성 봉사대는 의성 문화원 소속으로 의성군으로부터 사회단체 보조금을 받고 있는 1995년 설립된 여성 봉사 단체이다. 문화원 여성 봉사대는 지역 사회에서 자원봉사를 통하여 이웃을 먼저 생각하며 살기 좋은 고장을 만들고자 설립되었다. 문화원 여성 봉사대의 주요 활동은 문화원 행사 및 지역 문화 행사 지원...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문흥 1리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문흥 1리 주민들은 마을 옆에 있는 산 끝자락에 위치한 소 축사 뒤편[봉양면 문흥리 산34-1]의 당목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매년 동제를 지내고 있다. 문흥 1리 동제의 연원 및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마을 주민들에 의하면 약 300년 정도의 역사를 가지고...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문흥리(文興里)는 자연 마을 문흥(文興)에서 나온 명칭으로, 글을 숭상한다 하여 문흥 또는 글흥이라 하였다 한다. 뒷산 기슭 약간 높은 곳에 자리 잡은 마을은 상문(上文) 또는 골문흥이라 한다. 상문의 아래쪽에 위치한 마을은 하문(下文)으로, 길거리 쪽에 위치한다 하여 거리문흥이라 하기도 한다. 자연 마을로 문흥[글흥골·상문], 하문, 호상...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공간 및 시각의 미를 표현하며 이루어지고 있는 예술 행위. 의성군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전통 미술 작품은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다만 의성군에 현재까지 남아 있는 전통 미술 작품으로는 종교적인 염원에서 창작된 것, 즉 불교 미술 작품이 다수를 차지한다. 주요 불교 미술 작품으로는 불화(佛畵)와 조형물이 있다. 전통 시대에 창작된 의성군의 대표적인 불화...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금봉리 솥재에서 발원하여 북서류 하다가 점곡면에서 서쪽으로 흘러 단촌면 세촌리에서 안동시 일직면으로 이어지며 안동시 남후면에서 낙동강으로 유입되는 하천. 미천은 하천이 굽이치는 모양이 눈썹 모양과 같다고 하여 미천(眉川)이라 불린다. 낙동강은 숫물, 미천은 암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조선 시대 우남양이라는 선비가 평소에 물을 마실 때 암물과 숫물을 구별하여...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병합된 지역 중 팔미동(八美洞), 천동(泉洞)에서 한 글자씩 따서 미천동(美泉洞)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경상북도 비안군 외서면의 팔미동, 천동, 가리, 율지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의성군 구천면 미천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동을 리로 개칭하면서 미천리가 되었다. 북동쪽...
-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민간에서 오래 전부터 믿어져 내려온 신앙. 민간 신앙은 민간에 전승되는 자연 발생적 신앙으로, 뚜렷한 교조가 없고 경전과 같은 체계화된 교리도 없으며, 교회도 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당연히 종교적이며 주술적 요소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오랜 역사를 통해 민간의 생활에 존속해 오면서 특정 민족의 기층문화를 반영하고 있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불...
-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민간에서 행해지는 치료 행위. 민간요법은 예로부터 민간에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오랜 경험의 축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약물 치료 방법에 따라 질병을 고치는 행위이다. 민간 의료는 민간에서 터득해 온 지식에 의해 약물을 사용하는 방식과 주술적 방식으로 나뉜다. 이를 세분하면 민간약·지압·안마·온천욕과 같은 물리적 요법, 주술에 의한 주술적 요법 그리고 신앙에 의한...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민간에 전승되고 있는 생활 풍속. 의성군 주민들의 구체적인 생활 방식의 하나인 민속 행위는 농경 사회라는 과거의 사회 경제적 조건을 기반으로 형성되었으나, 전통적인 농경 사회와는 질적으로 다른 산업 사회를 형성한 오늘날에는 현재적 요구에 적합한 민속만이 전승되고 있다. 민속의 일반적인 속성으로 정체성(停滯性)과 가변성(可變性)이 있다. 삶을 영위하는 양식으로서...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종합 예술 단체. 민속 예다원은 의성군 안계면을 중심으로 생활 예절과 명상 교육, 사물놀이 공연 등의 활동을 하고있는 여성 종합 예술 단체로서 의성군으로부터 사회단체 보조금을 받고 있다. 민속 예다원은 예술 문화와 올바른 민속 악기 전통 보급 연구, 조사, 개발, 교육을 통하여 우리 예술 문화의 대중화와 보급 교육에 노력하여 개인의 품격을 높여 미...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민중들의 생활과 습관을 반영한 놀이. 의성 지역의 민속놀이는 명절이나 농한기를 통하여 간편한 놀이에서 수백 명의 많은 인원이 어울리는 집단 놀이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민속놀이가 전해져오고 있다. 1. 가마싸움 의성 지역의 민속놀이중 지역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놀이는 가마싸움이다. 가마싸움은 의성 지역에서 시작된 놀이로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오래 전부터 민중 사이에 전해 내려오는 노래. 민요는 노래로 된 구비 전승이다. 민요는 노래이기에 음악이면서 문학이고, 그 가사는 율문으로 되어 있다. 노래가 아닌 것은 민요가 아니며, 구비 전승이 아닌 것도 민요가 아니다. 민요는 공동작이면서도 개인작이지만, 개인작만으로는 성립되거나 존재할 수 없다. 민요는 비전문적인 민중의 노래이기에 전문적인 특수 집단의...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사회 운동 단체. 서로 믿고 사랑하고 봉사하는 조화로운 사회 건설을 위하여 진실, 질서, 화합을 바탕으로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바르게 살기 운동을 전개함으로써 민주 시민 의식의 함양과 국가 사회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바르게 살기 운동 의성군 협의회는 1990년 4월 발족되었고 초대 회장으로 오상엽이 취임하였다. 1998년 10월...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시동과 안동군 일직면의 박실을 병합하여 박곡동이라 했다. 박곡 1리의 자연 마을에는 양지, 실곡, 절골, 시장, 박실 등이 있다. 양지(陽地)는 1907년 괴산리에서 부리곡(富利谷)에 있던 교회를 현재 교회 자리로 옮기면서 마을이 형성되었으며 1926년 부리곡에 있던 안평 초등학교와 창길동에 있던 면사무소...
-
근현대 의성 출신의 정치인. 박영교(朴永敎)[1906~1966]는 1946년 11월 14일부터 1948년 4월 8일까지 의성군 안계면 제3대 면장으로 재임했다. 1949년 7월 4일 법률 제32호로 제정되어 같은 해 12월 15일에 개정된 지방 자치법에 따라 1952년에 실시된 지방 자치 선거에서 안계면 면장으로 선출되어 1952년 5월 5일부터 1954년 2월 9일까지 안계면 제...
-
근현대 의성 출신의 정치인. 박영출[1909~1975]은 1930년대 후반 일본 도쿄에서 조선인 연수생을 수용하기 위한 숭덕 학사와 숭덕 교회를 설립했으며 1940년대 초반 숭덕 교회 목사로 취임했다. 1945년 8·15 해방을 맞아 귀국한 후 서울에 숭덕 학사를 재건하는 한편 민주 국민당에 입당해 정당 활동을 시작했다. 1950년 5월 30일 실시된 제2대 국회 의원 선거에 경상...
-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밥과 반찬으로 구성된 차림. 우리나라의 상차림은 반상차림으로 밥을 주식으로 먹기 때문에 그에 어울리는 음식을 반찬으로 구성한 상차림이다. 반과 반찬을 주로 하여 격식을 갖추어 차리는 상차림으로 밥상, 진지상, 수라상 등으로 구별하여 쓰는데 받는 사람의 신분에 따라 명칭이 달라진다. 즉, 아랫사람에게는 밥상, 어른에게는 진지상, 임금에게는 수라상이라 불렀다. 또...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방하(方下)는 산세가 방아 같이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방아실, 방하실이라고도 부른다. 도적골은 사람들이 도씨 부부의 효성에 감동하여 마을 앞에 효자비를 세웠는데 세월이 흘러 후세인들이 도씨의 효심을 기리기 위하여 성 ‘도’자와 자취 ‘적’자를 따서 도적골[都蹟谷]이라 하였다 한다. 본래 의성군 단촌면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분토리와 안평면 신안리를 연결하는 고개. 고개에 배나무가 있어서 배나무 고개라 불린다. 배나무 고개는 의성군 봉양면 분토리와 안평면 신안리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동쪽의 200m 고지와 남서쪽의 250m 고지 사이에 있는 높이 160m의 낮은 안부이다. 배나무 고개의 남동쪽 계곡은 남대천으로 유입되는 소하천의 최상류부에 해당되며, 북서쪽 계곡은 안평천으...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 경상북도립 의성 공공 도서관에서 주관하는 주부 독서 모임. 배롱나무 주부 독서회는 2003년 4월에 경상북도립 의성 공공 도서관에서 창립하였으며, 독서의 생활화를 통하여 회원 상호간 여가를 선용하고 친목을 도모하며 자기의 발전과 지역 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바람직한 주부상을 확립하려는 목적에서 설립되었다. 배롱나무 주부 독서회는 매월 정기적인...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는 쌍떡잎식물 버드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 의성군에 분포하는 버드나무는 일반적으로 하천변이나 습지 주변에서 자생하거나 마을 어귀에 정자나무로 심겨져 있다. 특히 마을 어귀에 정자나무로 심겨진 버드나무는 수령이 200년이 넘은 오래된 것들이 많으며, 이들 가운데 특별히 보호해야 할 만한 버드나무[12개소]에 대하여 보호수로 지정하여 보호 및...
-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 정안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벼락 저수지는 단북면사무소의 동쪽, 지방도 923호선 단북 다인로 북쪽에 자리하고 있는 농업용 2종 저수지이다. 벼락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41년 1월 1일 착공하여 1946년 12월 30일 준공하였다. 총 공사비는 2,000원이 소요되었고, 국고 보조로 충당되었다. 『상산지』 등 옛...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외정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벽수 저수지는 대구에서 국도 5호선, 중앙 고속 도로를 이용하여 의성 IC에서 내려 안계 방면 국도 28호선을 따라 안계면 소재지를 지나 우측 다인 휴게소에 이르기 전에 우측 농로를 따라 올라가면 나타나는 2종 저수지이다. 국도 28호선을 따라 경상북도 예천 방면으로 가다 보면 비봉산(飛鳳山)[579.3m]과 1368년(공...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병방리는 1914년 구산면 병방동, 안정동, 상은동, 은행동 일부를 통폐합하면서 병방동의 이름을 따서 붙어진 이름이다. 병방이라는 이름은 임진왜란 당시 많은 병사들이 성을 쌓고 방어를 한 곳이기 때문에 붙여졌다고 한다. 또한 병방은 갈방실(葛方室)이라고도 하는데 갈방은 1380년 파평 윤씨가 마을을 처음으로 개척할 당시 뒷산에 칡의 잎[갈엽...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병방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병방리는 마을의 방풍림에 있는 당목에서 매년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당목은 단촌면 병방리 839에 있는데, 방풍림 사이를 흐르는 개천가에 해당한다. 병방리 길방실 동제의 연원은 알 수 없다. 대체로 과거의 형식을 사용하고 있지만, 제관 선정...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주민들의 건강을 보호·증진하기 위해 지방 자치 단체나 의료 기관 등이 행하는 활동. 경상북도 의성군의 보건 의료는 중앙 정부나 지방 자치 단체가 중심이 되어 보건소를 중심으로 보건 사업을 행하는 공적 영역과, 사설 의료 기관이 주가 되어 병원과 의원을 비롯한 의료 기관들 중심으로 보건 의료 행위를 하는 민간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의성군은 보건지소 신축,...
-
6·25 전쟁 전후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보도 연맹 및 예비 검속과 관련하여 발생한 학살 사건. 국민 보도 연맹은 1949년 10월에 이승만 정부가 좌익 세력 척결을 위해 만든 단체이다. 좌익 인사로 하여금 사상 전향을 하면 생활을 보장한다는 미명으로 조직하였다. 이 국민 보도 연맹에는 공산주의자는 물론, 공산주의 관련 단체에 가담했다가 형을 받았거나 기소 유예 처분을 받은 자와...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보존 또는 증식 가치가 있어 보호하고 있는 나무. 보호수는 생물의 유전자와 종 또는 자원 생태계 등의 보전, 관리를 목적으로 산림 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 47조에 의하여 시·도지사 또는 지방 산림 청장이 지정하며, 보존할 가치가 있는 노목·거목·희귀목에 한하여 보호수로 지정하고 있다. 의성군에서 보호수로 지정되고 있는 나무는 느티나무, 버드나무,...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복날에 몸을 보하는 음식을 먹고 시원한 물가를 찾아가 더위를 이기는 풍습. 삼복(三伏)은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에 있는 절기로서, 하지가 지난 다음 셋째 경일(庚日)을 초복(初伏), 넷째 경일을 중복(中伏), 입추 후 첫 경일을 말복(末伏)이라고 하는데, 이를 삼경일(三庚日) 또는 삼복이라 한다. 이 시기는 가장 무더운 여름이며, 무더운 날씨를 가리켜 ‘삼...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금천리와 가음면 현리리에 걸쳐 있는 산. 복두산은 높이 507.6m로, 서쪽에 북두산이 있다. 쌍계천의 분수계 내에 있는 산이며, 쌍계천에는 경북 8경의 하나인 빙계 계곡이 있다. 복두산의 기반암은 중생대 백악기 유천 화산암층군 산성화산암으로 유문암 및 유문 석영 안산암이다. 또한 복두산과 북두산을 둘러싸며 동서남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단층선으로 인하여...
-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 교안리와 안사면 만리리에 걸쳐 있는 산. 봉암산(鳳岩山)이라 표기하는데, 이곳에 봉황이 깃들었다는 데서 명칭이 유래했다고 전해진다. 봉암산의 높이는 452.7m이다. 동쪽 사면은 광산천의 분수계에 해당되며, 서쪽 사면은 신평천의 분수계에 해당되어 봉암산과 국사봉[520.5m]을 잇는 능선은 두 하천을 구분하고 있다. 봉암산의 북쪽은 오산봉[354.0m] 및...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도원리에 지역 주민의 소득 증대를 위해 조성된 농공 단지. 농공 단지는 1983년 말에 제정되어 1984년부터 시행된 「농어촌 소득원 개발 촉진법」에 의하여 지정되었다. 지방화 시대를 맞이하여 지방 자치 단체가 스스로 재정을 확보하고, 공업을 지역적으로 적절하게 분배하여 도시와 농어촌 간의 경제적 불균형을 해소하며, 공업 단지를 능률적으로 개발함으로써 지방...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화전리에 있는 전통 시장. 시장은 일반적으로 상설 시장과 정기 시장으로 분류된다. 상설 시장은 일정한 지역에서 사람들이 항상 상품의 매매와 교환을 하고 있는 시장을 말하며, 정기 시장은 일정 구역 내에서 정기적으로 열리는 시장을 말한다. 의성 지역의 시장은 상설 시장 1곳, 정기 시장 9곳이며 상설 시장은 의성읍에 자리 잡고 있다. 정기 시장은 의성읍, 단촌...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화전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사람, 자기 주도적이고 창의적인 사람,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새 지식을 창출하는 사람, 미래 사회에 적응할 사람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게 알고 바르게 행하자’ 이다 1967년 12월 26일 봉양 상업 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68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1994년 9월 17일 봉...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화전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사람, 자기 주도적이고 창의적인 사람, 다양한 정보를 활용하여 새 지식을 창출하는 사람, 미래 사회에 적응할 사람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게 알고 바르게 행하자’ 이다. 1948년 4월 1일 봉양 야간 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고, 1954년 6월 10일 봉양 중학교로 개교하였다. 1971년...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도원리에 있는 노인 복지 시설. 의성군은 2007년 보건 복지부의 ‘고령 친화 모델 사업 시범 지역’에 선정됨에 따라 지역 내에 보건 복지 의료 통합 서비스 기반을 구축해 새로운 노인 복지 모델을 제시하려는 사업에 착수했다. 이에 따라 2008년부터 2013년까지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철파리 138-1 일원에 의성 건강 복지 타운을 조성하여 허브 센터로 삼...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도원리와 구미리를 연결하는 다리. 봉양교의 명칭은 교량이 가설된 지역인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봉양교에서 춘천 방향 상행선 구간과 부산 방향 하행선 구간의 교량 제원은 동일하다. 교량 길이의 합인 연장은 400.0m, 교량의 총 폭은 12.1m, 교량에서 차도만의 유효 폭은 11.4m, 지표면 또는 수면에서 교량의 바닥판까지의 수직 높...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석정동·주양동·장성동·고도동의 일부를 병합하여 봉양동이라 하였다. 또한 봉화재가 위치해 있다고 해서 봉양동이라고도 하였다. 자연마을로는 석정·묵동·장선·술못안 등이 있다. 석정(石井)은 1480년(성종 11) 정경우(鄭景佑)가 다인에서 이 마을로 옮겨와 정착하여 살다가 식수가 없어 헤매던 중 어느 산 밑...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행정 구역. 동쪽에 있는 오동산(梧桐山)이 있고 오동나무에는 봉황(鳳凰)이 깃든다 하여 ‘봉(鳳)’자를 따왔으며, 양지바른 곳이라 ‘양(陽)’자를 따서 이름 지었다. 봉자를 붙인 것은 지세가 봉황의 모양이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또한 봉천(鳳川)의 형상이 양지(陽地) 바른 곳에 봉이 앉은 모양과 닮았다 하여 이름 지었다고도 한다. 조문국(召文國) 건국...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에서 같은 본관의 성씨들이 모여 사는 마을. 봉양면은 13개의 법정리와 26개의 행정리로 형성되어 있다. 북부의 구릉성 저산지와 북동쪽에서 흘러오는 남대천(南大川) 및 남동쪽에서 흘러오는 쌍계천(雙溪川), 그리고 이 두 하천이 합류한 봉천(鳳川) 유역에 집성 촌락이 분포하고 있다. 봉양면에는 아주 신씨, 나주 신씨, 순천 박씨, 풍천 임씨, 의성 김씨, 김해...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화전리에 있는 봉양면 관할 행정 기관. 의성군을 구성하고 있는 1개 읍 17개 면 중 봉양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봉양면사무소는 의성군 봉양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봉양면은 본래 신라 조문국에 속하였고, 고려 시대에는 의성부 하천면, 조선 시대에는 의성현이라고 불렸다. 1910년 한일합방이...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동정동, 봉평동, 산막동을 병합하여 봉평과 동정의 이름을 따서 봉정동이라 하였다. 비봉산에 날아드는 봉을 못 날아가게 하기 위하여 죽림마을을 만들고 봉이 먹을 우물을 만들기 위해 봉정[봉의 샘]을 만들었다고 하여 봉정이라 칭하였다는 설도 있다. 자연 마을인 삼학은 마을의 느티나무에 학 3마리가 날아와 앉아...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외정리 비로재에서 발원하여 남서쪽으로 흘러 단북면 신하리와 용무리의 경계부에서 위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봉정천은 의성군 다인면 외정리 비로재의 남쪽 골짜기에서 발원하여 남서류하면서 신락리를 지나고, 신하리 신기 마을 부근에 이르러 유로를 북쪽으로 변경하여 용무리와 신하리 경계부에서 위천과 합류한다. 하천의 길이는 7.5㎞ 정도이며, 하천의 최대 하폭은 30m...
-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 중율리와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기산리에 걸쳐 있는 산. 옛날에 이 산에 봉화가 있었다 하여 봉화산(烽火山)이라 불린다고 한다. 봉화산은 높이가 400.6m이다. 북쪽 사면은 낙동강의 소지류 하천의 발원지에 해당되며, 남쪽 사면은 광산천으로 흘러 들어가는 하신천의 지류 하천의 분수계를 이룬다. 봉화산의 남쪽 사면에는 돌방못, 청운지 등의 소규모 저수지가 축조...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와 가음면 현리리에 걸쳐 있는 산. 북두산은 높이가 598m로, 복두산에서 약 2.4㎞ 정도 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쌍계천의 분수계 내에 있는 산지이다. 북두산의 기반암은 중생대 백악기 유천 화산암층군 산성 화산암으로 유문암 및 유문 석영 안산암이다. 또한 복두산과 북두산을 둘러싸며 동서남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단층선으로 인하여 단층선곡이 발달하고...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분토리와 의성읍 용연리를 연결하는 다리. 분토교는 의성읍 용연리 의성 농공 단지 남쪽에 설치된 교량으로 의성군을 남북 방향으로 종단하는 국도 5호선 상에 위치해 있다. 분토교의 명칭은 교량이 가설된 지역인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분토리의 지명에서 따왔다. 분토교에서 교량 길이의 합인 연장은 242.1m, 교량의 총 폭은 19.0m, 교량에서 차도만의 유효 폭...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분토리(粉吐里)는 자연 마을 분토에서 나온 명칭으로, 비옥한 흙을 토해내는 동네란 뜻에서 분토(粉吐)라 하였다 한다. 분토 마을은 산간 골짜기에 위치하여 분토골로도 불린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경상북도 의성군 금뢰면(金磊面)의 분토동, 엄현동과 길부동 일부를 병합하여 의성군 봉양면 분토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동을...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활동하는 석가모니 부처를 교조로 하는 종교. 우리나라의 공식적인 불교 공인은 고구려 372년(소수림왕 2)이다. 그러나 가야 불교의 전래나 민간 설화 등을 고려하면 그 이전에 이미 불교는 우리나라에 포교 전파되어 있었다고 보인다. 고대 의성 지역이 포함되어 있던 신라는 527년(법흥왕 14)에 불교가 공인되지만, 이 보다 훨씬 이전인 눌지왕(訥祗王)[417~...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 서식하는 호랑나비과에 속하는 곤충. 붉은점모시나비는 환경부 멸종 위기 야생 동물 1급으로 나비목 호랑나비과 붉은점모시나비이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매우 흔하였으나, 현재는 강원도 정선, 한탄강 일원, 경상북도 의성 등 일부 지역에서만 서식한다. 붉은점모시나비의 앞날개 길이는 봄형이 34~43㎜, 여름형이 47~58㎜로 여름형의 날개 길이가 더 길다. 백색...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상비동, 하비동, 봉정동을 병합하여 비동과 봉정의 이름을 따서 비봉동[비봉리]이라 하였다. 봉정(鳳井)은 이 마을 근처 산에 봉황(鳳凰)이 많이 서식하였는데, 양지편 마을 우물가에 봉황새가 날아와 앉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음지편 마을 우물은 비정(飛井)이라 불렀다 한다. 웃비정, 즉 상비(上飛)는 현재 비...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운곡리, 금성면 수정리, 가음면 이리, 춘산면 사미리에 걸쳐 있는 산. 금성면의 비봉산은 처음에는 금산(金山)이라고 불리었으며, 이후 금성산(金城山)으로 불리다가 지금의 금성산에게 그 이름을 내어주고 비봉산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1432년] 의성현 산천조에는 금학산[현재 금성산]과 금성산[현재 비봉산]은 모두 현 남쪽 25리에 있...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청산리에서 발원하여 내산리에서 위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비산천은 의성군 구천면 청산리 청화산[700.7m]의 북쪽 사면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유로를 유지하며 조성리와 모흥리를 지나고, 유산리 율산 마을에서 유로를 서쪽으로 변경하여 내산리 청섬말 부근에서 위천에 유입된다. 유로 길이는 10.8㎞, 최대 하폭은 45m 내외이며, 3차수 하천이다. 비산천은 의성군...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이두리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비안 농업 협동조합은 비안면 지역 농업인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자금·자재 및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2월 28일 의성군 비안면 이두리 81에 비안 농업 협동조합이 설립되었...
-
박우(朴瑀)를 시조로 하고 박서생(朴瑞生)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세거 성씨. 비안 박씨(比安 朴氏)의 시조는 박우이다. 고려 시대 문하 시중(門下侍中)을 지내고 병산군(屛山君)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하고 월성 박씨(月城 朴氏)에서 분적(分籍)하여 관향(貫鄕)을 비안(比安)으로 삼았다. 비안현은 병산현(屛山縣)이라는 별호를 가지고 있어 비안 박씨는 병산...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이두리에 있었던 공립 중학교. 바른 인성 함양으로 올바른 가치관이 확립된 민주 시민을 기른다, 기본 학력 배양으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기른다, 꿈과 희망을 키우는 창의력을 신장 시킨다를 교육 목표로 했다. 교훈은 ‘성실·노력·자율’ 이다. 1956년 3월 22일 안계 중학교 비안 분교장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56년 4월 8일에 개교하였다. 1964년...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서부리와 용천리를 연결하는 다리. 비안교는 비안면 서부리 지역에 북서~남동 방향으로 설치된 교량으로, 의성군을 가로지르는 국도 28호선 상에 위치한다. 비안교의 명칭은 교량이 가설된 지역인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의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비안교에서 교량 길이의 합인 연장은 450.0m, 교량의 총 폭은 20.9m, 교량에서 차도만의 유효 폭은 20.0m, 지표...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행정 구역. 비안은 1423년(세종 5)에 만들어진 명칭으로 2년 전인 1421년 비옥현(比屋縣)과 안정현(安貞縣)을 합해 안비현(安比縣)이라 했다가 바꾼 명칭이다. 1421년 비옥현과 안정현을 통합하여 안비현이 되었다가 2년 뒤 비안현으로 개칭되었으며, 1895년 비안군이 되었다.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비안군 군내면(郡內面)[비안군...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에서 같은 본관의 성씨들이 모여 사는 마을. 비안면은 현재 14개의 법정리와 23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 시대 비안현의 현청이 있던 곳이었기 때문에 역사 유적과 전통 있는 촌락이 많다. 비안면에는 밀양 박씨, 선산 김씨, 경주 손씨, 경주 이씨, 함창 김씨, 초계 변씨, 병산 박씨, 순천 장씨, 절강 장씨, 진주 소씨, 경주 김씨, 안동 김씨, 청주...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이두리에 있는 비안면 관할 행정 기관. 의성군을 구성하고 있는 1개 읍 17개 면 중 비안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비안면사무소는 의성군 비안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옛 고을 비안군은 의성군에 통합되어 의성군 비안면으로 개칭하여 14개 리 54개 자연 부락...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빙계 3리 쌍계천 상류에 있는 계곡.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빙계 3리 서원 마을 앞 계곡에는 높이 10m, 둘레 20m 정도의 큰 바위에 ‘빙계동(氷溪洞)’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이 글자는 임진왜란 때 이곳을 지나가던 명나라 장수 이여송(李如松)이 필적이라고 전해진다. 이 바위가 있는 빙계 계곡(氷溪 溪谷)은 1933년 10월 4일...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에 있는 군립 공원. 빙계 계곡은 경사면에 쌓인 암괴[애추(崖錐)] 틈에 저장된 찬 공기가 여름철에 외부의 더운 공기와 만나 물방울과 얼음을 만들고, 겨울에는 따뜻한 공기가 흘러나와 오히려 얼음이 얼지 않는 자연 현상을 보인다.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에 자리하고 있으며, 예로부터 경치가 아름다워 경북 팔승의 하나로 꼽힌다. 얼음 구멍과 바람 구멍이 있어...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에 있는 조선 시대 사설 교육 기관. 빙계 서원은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빙계계곡길 80[빙계리 산73-1]에 있다. 빙계 휴게소[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현리낙전길 64]에서 현리낙전길 방향으로 가다 보면 현리교가 나온다. 현리교를 건너면 바로 삼거리가 나오는데 이곳에서 좌회전[빙계계곡길 표지판 안내 방향]하여 160m 가량 직진하면 빙계 군립 공원 관...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에서 매년 여름에 개최되는 축제. 빙계 얼음골 페스티벌은 2009년부터 매년 여름에 군립 공원인 빙계 계곡에서 빙계 얼음골 페스티벌 추진 위원회가 주최·주관하고 춘산면사무소와 유관 기관이 후원하여 개최되고 있는 축제이다. 의성군 봉양면 빙계리 빙계 계곡은 한여름에도 찬바람과 얼음이 나오는 풍혈과 빙혈로 유명한 곳으로 여름에는 피서객들이 많이 찾는 의성의...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을 할 때 주변에 흐르는 빙계의 이름을 따랐다. 빙계는 빙산에서 흐르는 냇물이 얼음 같이 차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자연 마을 중리(中里)는 수원 백씨가 마을을 개척하였으며 당시에는 상리, 중리, 하리 등 3개의 마을이 동서로 위치하고 있었다. 중구불리는 중리동 남쪽 죽남사(竹南寺)로 올라가는 구부러진 길에서...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산내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사갑 저수지는 대구에서 국도 5호선, 중앙 고속 도로를 이용하여 의성 IC에서 내려 안계 방면으로 국도 28호선을 따라 가면 산내리에 있는 2종 저수지이다. 마을 뒷산 기슭이 마치 뱀이 누워있는 형상과 같다 하여 사갑못이라고도 불린다. 국도 28호선을 따라 경상북도 예천 방면으로 가다 보면 비봉산(飛鳳山)[579.3m]과...
-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 공정리와 청송군 현서면 화목리를 연결하는 고개. 고개가 위치한 사곡면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사곡령은 북동쪽의 440m 고지와 남서쪽의 430m 고지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낮은 안부로 높이 355m이다. 사곡령의 남동쪽 곡부는 길안천으로 유입되는 소하천의 최상류부이며, 북서쪽 곡부는 남대천의 최상류부이다. 사곡령 북서쪽에는 사곡지가 축조되어 있어 사곡면 일대...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행정 구역. 긴 골짜기에 위치하여 사실 또는 새실, 사곡이라 하였다 한다. 조선 시대에 본래 의성군 사곡면이었는데, 순조 때 내사면(內舍面)과 외사면(外舍面) 2개 면으로 갈라서 관할하였다.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2개 면을 병합하여 다시 사곡면이라 하고 신감동·양지동·음지동·매곡동·공정동·화전동·신리동·작승동·토현동·오상동 등 10개...
-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 화전리 일대의 산수유를 주제로 한 관광 테마 체험 마을. 의성 읍내에서 15분 거리인 사곡면 화전리는 이른 봄이면 산수유가 노란 꽃망울을 터트리며 가을이면 빨간 열매가 계곡과 논밭두렁 일대를 뒤덮는 장관을 이루는 마을이다. 특히 화전 2리와 화전 3리는 산수유 나무의 군락지로서, 매년 3월이면 의성 산수유 꽃 축제가 열리는데 2013년 3월에는 제6회 축제...
-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에서 같은 본관의 성씨들이 모여 사는 마을. 사곡면은 10개의 법정리와 20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동쪽은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과 접해 있고, 서쪽은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남쪽은 춘산면과 금성면, 북쪽은 옥산면과 접하고 있다. 오토산·금성산·구무산·불출산 등으로 둘러싸인 산간지로 농토가 비옥하여 마늘·고추·작약·산수유 등 특용 작물을 많이 재배하고...
-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 양지리에 있는 사곡면 관할 행정 기관. 경상북도 의성군을 구성하고 있는 1개 읍 17개 면 중 사곡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사곡면사무소는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사곡면은 당초 내사면과 외사면이었으나,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사곡면으로 통합되어 현재에 이르고...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금오리와 청송군 현서면 월정리를 연결하는 고개. ‘사금(沙金)’이란 금의 광맥이나 광산이 풍화와 침식으로 인하여 금이 포함된 모래나 암석 알갱이의 형태로 남아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채취하여 금을 추출하기도 한다. 사금령은 이와 같은 사금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인근 산지 광맥에서 금, 은, 동 등 광물이 채굴되어 이와 같은 명칭이 붙었다고 전해진다....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자연 마을 사미의 이름을 따서 이름 지었다. 사미[새미]는 비봉산 중턱에 옛 절터가 있고 그 옆에 약수터가 있어 샘이 있는 마을이라고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자연 마을 봉미(鳳尾)는 마을의 지형이 봉황새의 꼬리 모양과 같다고 또는 봉황새가 날아가다가 꼬리를 떨어뜨렸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갯골[狗谷]은 앞산...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효선리 늑두산 북쪽 효선지에서 발원하여 가음면 양지리에서 쌍계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사미천은 의성군 춘산면 효선리 늑두산 북쪽 효선지 부근에서 발원하는 하천이다. 효선지에서 서쪽으로 흘러 덕동 마을 부근에서 남쪽으로 유로를 변경하고, 가음면 양지리 계산교 부근에서 쌍계천으로 흘러들어 간다. 사미천의 길이는 6.5㎞ 정도이며, 하천의 최대 하폭은 20m 가량이...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사부리(沙阜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 사부(沙阜)에서 나온 명칭으로, 냇가의 모래 언덕 주변에 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자연 마을 노매실은 원래 마을에 매화나무가 많아 매실 마을이라 하였다 한다. 그 후 광주 노씨가 이곳에 정착해 오면서 자기 성씨를 따서 노매실이라 부르던 것이 한자 늙을 노(老) 자를 써서 현재의 노매...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시안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사제 저수지는 시안리에 있는 2종 저수지이다. 인근에는 전국적인 인지도를 자랑하는 교촌 농촌 녹색 체험 마을이 있어 다양한 체험 문화를 즐길 수 있다. 사제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53년 1월 6일에 인·허가를 받았으며, 1954년 1월 1일에 착공하여 1955년 12월 30일에 준공하...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행해지는 사진 예술 활동. 의성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진 동호회는 1987년 12월 창립된 의성 사우회이다. 의성 사우회는 1988년 창립전을 가진 이래 지금까지 여러 차례 전시회를 가졌다. 창립 10주년인 1997년 사진 작품집 발간, 2002년 11월에는 김재도 회원이 의성의 아름다움과 삶의 모습 및 풍물 등을 사진으로 담아 “내 고향 의성”...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부처를 숭상하고 불법을 익히는 장소. 사찰은 가람(伽藍)이라고 하는데, 가람은 산스크리트어 saṃgha-ārāma의 음역인 승가람(僧伽藍)의 줄인 말이다. 사찰은 원래 석존(釋尊)의 설법을 위한 장소로서 건설되었지만, 승단이 형성됨에 따라 안거(安居)를 위한 공동의 방사(房舍) 성격을 띠게 되었다. 따라서 사찰은 출가 수행자들의 수행 공간이고, 갖가지 의례를...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에 있는 전통 마을. 사촌 마을은 고려 후기 출장입상(出將入相)의 훈신(勳臣) 충렬공(忠烈公) 김방경(金方慶)[1212~1300]의 5세손인 감목공(監牧公) 김자첨(金子瞻)이 안동(安東) 회곡(檜谷)에서 1392년에 입향하였고, 중국의 사진촌(沙眞村)을 본따 사촌(沙村)이라 하였다. 사촌 마을은 1392년 이곳으로 입향한 김자첨에 의해 형성되었다. 그...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사촌리는 옛날 사기점이 있어서 점곡(點谷), 점실 또는 사진, 수촌이라 하였다. 또 일설에 따르면 신라 시대 때 나(羅)씨, 손(孫)씨에 이어 1392년 김(金)씨가 들어와 서방(西方)을 막기 위하여 서림을 조성하고 동네 이름을 중국 사진촌(沙眞村)을 모방하여 붙였다고도 한다. 자연 마을 비대(比大)는 18세기 초 이참봉(李參奉)이 마을에...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 1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 1리는 마을 입구의 숲에 위치한 당목에서 매년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의성군 점곡면 사촌 1리는 당목이 마을 입구의 숲에 위치하며, 행정 주소로는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 81이다. 의성군 점곡면 사촌 1리 동제의 연원과 시기는 알 수...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에 있는 정사. 사촌리 후산 정사는 만취당(晩翠堂) 김사원(金士元)[1539~1601]을 향사하기 위해 건립한 정사이다. 김사원의 자(字)는 처음에 경방(景龐)이었는데 경인(景仁)으로 바꾸었다. 고려 충렬공 김방경(金方慶)의 후손이다. 사촌리 후산 정사는 사촌 마을에서 한실 마을로 가는 길 우측 야산 아래에 자리하고 있다. 사촌리 후산 정사는 1749년...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 변화를 일으키거나 사회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집단적으로 전개되는 운동. 지역 사회 운동의 뿌리는 일제의 국권 침탈에 대항하여 민족과 사회 문제에 대한 농민·노동자·청년의 각성이 일어나는 시기와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따라서 초기의 사회 운동은 국권 회복을 위한 무장투쟁의 일환으로 발생하였고, 1919년 3·1 운동 이후에는 민족 자강과...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시행되고 있는 주민의 생활 향상과 사회 보장을 위한 광범위한 사회 정책. 한국 사회에서 사회 복지를 위한 법률의 체계적 정비는 1961년 12월 30일 공적 부조의 가장 핵심이 되는 법률로 「생활 보호법」이 제정·공포되는 것에서부터 비롯된다. 이후 1963년 「의료 보험법」이 제정되었으며 1978년에는 「의료 보호법」이 제정·실시되었다. 1997년 IMF 외...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주변의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지형. 의성군의 산지는 태백산에서 남쪽으로 이어지는 태백 산맥과 서남쪽으로 이어지는 소백 산맥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태백 산맥은 남쪽 방향[의성군의 동쪽 경계부]으로 춘산면의 산두봉, 옥산면의 황학산, 단촌면의 갈라산을 형성하고, 서쪽[의성군의 북쪽 경계부]으로는 신평면의 봉암산, 다인면의 독점산과 비봉산을 지난...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내동과 신촌동 일부를 병합하여 산내동이라 하였다. 내동(內洞)은 조선시대 1609년 황의중(黃義中)이라는 선비가 개척하였는데, 양지바르고 아늑한 산 안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내동이라 칭하였다고 한다. 음달(陰達)은 불당 남동쪽에 있는 산밑 음지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햇빛이 오후가 되어야만 들므로 음달이라 부...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신흥리와 청송군 현서면 도리에 걸쳐 있는 산. 산두봉은 높이가 719m로, 쌍계천의 분수계를 이루는 산지 가운데 하나이며, 북서쪽 사면이 이에 해당된다. 산두봉의 남동 사면은 길안천의 분수계인데, 화목재~산두봉~문봉산~어봉산~사금령으로 이어지는 의성군의 행정 경계는 쌍계천과 길안천의 분수계와 일치한다. 산두봉을 구성하고 있는 기반암은 중생대 백악기 불국사 관...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운곡리에서 발원하고 금성면 초전리에서 쌍계천과 합류하는 하천. 산마천은 의성군 금성면 운곡리 운곡지와 안지 일대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흐르다가 제오리 운곡교 부근에서 남서류하여 학미리를 거쳐 초전리에서 쌍계천으로 유입되는 하천이다. 8개의 3차수 하천이 만나 4차수 하천을 이루며 길이는 4.2㎞, 최대 하폭은 40m 내외이다. 산마천은 의성군 금성면 학미리에...
-
경상북도 의성군을 상징하는 군화(郡花). 산수유꽃은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층층나무과의 산수유나무에서 피는 꽃이다. 의성 지역을 상징하는 군화로 노란 산수유꽃은 ‘영원불멸의 사랑’이란 꽃말을 가지고 있어 지역에 대한 애틋한 사랑과 의성 군민의 온화한 성품을 상징한다. 산수유나무는 높이 4~7m 정도까지 자라며, 나무껍질은 연한 갈색을 띄며 불규칙하게 벗겨지기도 한다. 잎은 마주나며,...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산운리에 위치한 전통 마을. 산운 마을은 의성에서 ‘대감 마을’로 불리는 전통 반촌으로, 영천 이씨(永川 李氏) 집성촌이다. 조선 선조 때 강원도 관찰사를 지낸 학동 이광준이 이곳에 정착하여 마을을 이루었으며, 이후 광해군 때 승지를 지낸 경정 이민성, 현종 때 형조 판서를 지낸 운곡 이희발 등이 살았다. 학록 정사, 의성 운곡당, 의성 소우당, 의성 점우당...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산운리에 있는 생태 공원. 산운 생태 공원의 면적은 1만 1,000㎡ 이상이다. 생태 공원의 북쪽으로는 해발 고도 531m인 금성산의 남서 사면 끝자락이 감싸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금성 현서로를 사이에 두고 쌍계천이 흐르고 있다. 생태 공원의 주변에는 넓은 농경지가 형성되어 있다. 2006년에 개장한 산운 생태 공원은 산운 마을 일원에서 자생되는 식물 자원을...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산운리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 산운에서 나온 명칭으로, 신라 시대 불교가 성할 때 수정 계곡 아래 구름이 감도는 것이 보여 마을 이름을 산운이라 불렀다 한다. 또한 예로부터 산운 및 이웃 수정(水淨) 마을 등 두 마을을 다상(茶上), 다중(茶中), 다하(茶下) 등으로 구분하여 불러왔으나 왜 그렇게 불렀는지는 알려지지 않는다. 본래 의성군 산...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외정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산정 저수지는 대구에서 국도 5호선, 중앙 고속 도로를 이용하여 의성 IC에서 내려 국도 28호선을 따라 안계에서 다인 방면으로 가다 다인 휴게소 앞으로 들어가면 입구 쪽에서 산으로 올라가는 시멘트길이 있다. 이 길을 따라 3㎞ 가면 우측 아래에 있는 2종 저수지이다. 현지 주민들은 ‘뒤골 큰못’으로 부른다. 산 안에 맑은...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병합된 산두동, 제내리, 제하리에서 이름을 따서 산제동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 모산[지내(池內)]는 큰 못[산제지(山堤池)] 안쪽에 자리 잡고 있어 못안, 한자로는 지내로 부르게 되었으며, 모산으로도 불리게 된다. 못둑 즉, 제방 안쪽이라 제내(堤內)라고도 부른다. 웃모산은 모산의 윗마을로 산제리에서 가장...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개척 당시 주위 세 곳에서 물이 많이 솟아오르므로 삼분이라 하였다고도 하고, 유명한 고분이 세 군데가 있어서 삼분이라 하기도 한다. 뒷날 세 곳의 물줄기를 잡아서 도관 저수지, 삼풍 저수지, 용천 저수지를 만들었다. 비릿재는 삼분에서 달제로 넘어가는 고개로 옛날 한양으로 가는 길목이었는데, 길손들이 산적들의 습격을 받아 많은 사람이 죽...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을 통합할 때 고산동(高山洞), 오산동(梧山洞), 송산동(松山洞) ‘산(山)’자가 들어간 세 마을을 합쳤기 때문에 삼산동(三山洞)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자연 마을 고산(高山)은 마을 뒷산이 높아 붙여진 이름이다. 오산(梧山)은 마을 주변 산에 오동나무가 울창한 숲을 이루어 오산이라 칭하게 되었으며, 실제 마을 뒤로 오동산...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삼성 산업의 생산 공장. 삼성 산업은 1995년에 실립되어 한전주, 철도 공사의 침목과 더불어 공사용 파일 호안 블럭, 암거, 수로관 등의 콘크리트 제품을 전문적으로 생산하고 있는 기업이다. 본사는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에 있으며, 의성 공장은 1995년부터 현재까지 PC 전자, PC 침목, PHC 파일, 철탑, 강관 철주, 한전 멘홀, 유황폴리머 하수관 등...
-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 노연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 공동체 속에서 나를 존중하는 인성 함양, 창의성을 기르고 소질을 계발하는 기본 교육 충실, 지식·정보 습득과 활용 능력 배양, 활기찬 교육 풍토 조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경천(敬天)·애인(愛人)·애토(愛土)’ 이다. 1949년 9월 5일 삼분 교회 김형칠 목사와 장로들이 중심이 되어 본교 전신인 ‘삼성 중등 강습회...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도원리에 있는 삼성 콘크리트의 생산 공장. 삼성 콘크리트는 1995년에 설립되었으며, PC 침목, 레미콘, PC 제품 등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는 벤처 기업이다. 삼성 산업의 계열사이며, 본사는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에 있으며, 경상북도 의성군, 경상남도 창녕군·밀양시에 생산 공장을 두고 있다. 삼성 콘크리트 봉양 공장은 1995년 7월에 설립된 이후 철도...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모흥리에 있는 벽돌 제조 업체. 1996년에 적벽돌 생산을 위하여 한현 세라믹 의성 공장을 준공하였다. 제품 판매량이 증가하면서 1997년 3월에는 건조실을 20개 라인에서 30개 라인으로 증설하였으며, 1999년 5월에는 포장기 5개 라인을 증설하였다. 제품의 품질 향상을 위해 2006년 7월에는 최신 분쇄기를 도입하고, 2008년 7월에는 연구실을 개소하...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삼춘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삼춘 저수지는 삼춘리에 있는 2종 저수지이다. 지방도 912호선을 따라 가다 포동을 지나 군도 21호선으로 가다 절골에서 우측 계량골로 올라가면 삼춘 저수지가 나타난다. 삼춘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71년 8월 4일에 착공하여 1973년 9월 30일에 준공하였다. 2003년 8월 18일...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삼거리, 춘생동과 경상북도 안동군 일직면 평팔동 일부를 병합하여 개설된 마을로, 삼거리와 춘생동의 이름을 따서 삼춘동이라 하였다. 삼거리는 의성군 신평면과 안동군으로 통하는 세 갈래의 길이 있다 하여 붙여진 명칭이며, 춘생동(春生洞)은 1170년 정중부의 난을 피해 문신들이 피란 와서 여기서 봄을 지냈다...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삼분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삼풍 저수지는 대구광역시에서 국도 5호선, 중앙 고속 도로를 이용하여 의성 IC에서 내려 안계 방면 국도 28호선을 타고 경상북도 예천 방면으로 가다 삼분교를 지나면서 우측 농로 쪽으로 올라가면 나타나는 2종 저수지다. 삼분리의 유래는 마을 개척 당시 주위 세 곳에서 물이 많이 솟아오르므로 삼분으로 하였으며, 뒷날 세 곳의...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 속하는 법정리. 상리(上里)라는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한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구전되어 내려오는 유래로는 조문성(召文城)이 생긴 뒤 성 위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자연 마을인 미지골[美之谷]은 마을 북편 뒷산의 울창한 삼림과 남쪽에 있는 수백 년 묵은 온갖 형상을 한 고목에 산새가 깃들어 지저귀고 맑은 시내가 흘러 그 주위 경관...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신락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상신 저수지는 웃날미[상신(上申)]를 지나 당아골에 있는 소류지인 2종 저수지이다. 마을 이름은 뒷산 이름 증산(甑山)이 와전되어 신산(申山)으로 부르게 되었으며, 본 마을과 구(舊) 마을, 웃날미 등 3개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욋날미는 신산 왼쪽에 있다는 뜻이며 ‘욋날뫼’가 ‘웃날미’로 된 것이며, 웃날미 이름을 따 상...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화(上禾)란 마을 앞 들이 넓고 기름져 특히 벼농사가 잘되는 곳이고 큰 소(沼) 위쪽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수일(水逸)은 장마로 대수가 저도 물이 들어오지 않는다고 붙여진 이름이며, 다른 이름인 화동(禾洞)은 들이 넓고 기름져 특히 벼농사가 잘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신적(新笛)은 경주 최씨가 정착하면서 숲을 개간하고 나서 기뻐서...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상화 2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상화 2리 주민들은 마을 입구인 단촌면 상화리 776에 위치한 당목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매년 동제를 지내고 있다. 상화리 새적골 동제의 연원은 알 수 없지만 주민들은 당목과 마을 창건이 약 300년 전이기 때문에 동제도 그 시기에 시작되었을 것으로 짐작...
-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 노연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새덕 저수지는 삼성 중학교의 북쪽, 국도 28호선의 서쪽에 자리하고 있는 농업용 2종 저수지이다. 새덕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44년 1월 1일 착공하여 1945년 12월 30일 준공하였다. 총 공사비는 6,000원이 소요되었고, 국고 보조로 충당되었다. 새덕 저수지의 수계는 낙동강이며...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새마을 금고법」에 의해 설립·운영되는 금융 협동조합. 새마을 금고는 협동을 바탕으로 한 우리나라 고유의 상부상조 정신 계발과 국민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고 지역 사회의 발전을 통한 건전한 국민 정신 함양과 국가 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1963년 재건 국민운동의 일환으로 설립되었다. 새마을 금고는 1963년 재건 국민운동의 일환...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원당리에 있는 새마을 문고 중앙회 산하 의성군 지부. 새마을 문고 중앙회 의성군 지부는 관내의 읍·면 분회와 단위 문고의 발전을 촉진함으로써 군민의 정서 순화와 새마을 정신의 계발을 촉진하고 독서를 통한 지식 보급으로 주민의 경신 계발과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생활 문화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새마을 문고 중앙회 의성군 지부는 1978년 2월 1일...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1970년부터 시작된 범국민적 지역 사회 개발 운동. 새마을 운동은 1970년 4월 22일 한해 대책을 숙의하기 위하여 소집된 전국 지방 장관 회의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자조·자립정신을 바탕으로 한 “새마을 가꾸기 운동”을 제창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잘 살아보세’라는 구호 아래 정부가 주도하는 농촌 근대화 운동으로서 시작된 새마을 운동은 이후 도시, 직장, 공...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서변리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새의성 농업 협동조합은 의성 지역 농업인의 권익 향상과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자금·자재 및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8년 10월 28일 10개 이동 조합을 합병하여 점곡...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을 통합하면서 경상북도 비안군 단남면의 생물동과 송중동의 이름을 따서 생송동이라 하였다. 생물이란 임진왜란 때 마을이 전부 불타 없어지고 현재의 위치에서 재건되어 정착하면서 별신굿이 성행하여 움직이는 부락이라고 생물(生物)이라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송상(松上)[장승배기]이란 약 400년 전에 오씨가 마을 처음으로 개척하...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생송 2리 생물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생송 2리 생물 마을 주민들은 마을 회관 뒤편 산기슭에 위치한 당집[단밀면 생송리 823]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매년 정월 대보름에 동제를 지낸다. 의성군 단밀면 생송 2리 생물 마을에는 마을에 살던 모자(母子)가 자신들의 많은 땅을 후세에 물...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서변리와 동변리에 걸쳐 있는 산. 생해봉은 『의성군 지명 유래』,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 생매봉이라고도 표기되어 있기도 하나, 『의성 군지』, 「1:50,000 지형도」 등에서 생해봉으로 표기되어 있어 생매봉이라기보다 생해봉으로 부르는 것이 타당하다. 생해봉은 높이는 431.0m이며, 미천으로 유입되는 소지류 하천의 발원지이다. 생해봉의 기반암은 중생대...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업리와 단촌면 상화리를 연결하는 고개. 서낭재 고갯마루에는 과거에 마을 사람들이 동제를 지내던 서낭당이 있었는데, 고개의 명칭은 서낭당이 있는 고개라는 데서 유래하였다. 서낭재의 북쪽 계곡은 하화천의 발원지이며, 남쪽 계곡은 남대천으로 유입되는 소하천의 발원지이다. 서낭재는 하화천과 남대천의 분수계에 해당된다. 북서쪽의 240m 고지와 남동쪽의 270m 고지...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서리동·원동·도구동·금릉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서리와 금릉의 이름을 따서 서릉동이라 하였다. 또한 서쪽에 언덕이 있다는 뜻에서 서릉리라고 하였다고도 한다. 깊으내는 짚으내, 심천(深川)이라고도 하는데, 약 450년 전에 이 마을을 개척하였을 때 마을이 비교적 지대가 낮고 마을 아래쪽에 우거진 갈대숲이 있...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서변은 점곡면의 서쪽 지역에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또한 큰터골[태동]에서 흐르는 개울의 서쪽에 있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자연 마을 큰터골은 북동쪽 큰 골짜기의 이름인데 약 150년 전에 풍산 유씨가 정착하면서 마을 이름을 태동이라고 불렀다 한다. 각산[각성]은 점곡면 면소재지 남동쪽 일부의 지형이 짐승의 뿔같이 생겨...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경상북도 비안군 군내면 창상동, 구교동, 서강동, 박연동, 신흥동을 병합하여 읍내의 서쪽에 위치하므로 서부동(西部洞)이라고 이름지었다. 자연 마을 서산밑은 서부동의 남서쪽에 위치한 마을로, 서쪽 산 아래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박소는 마을 뒷산을 천박산(天朴山)이라 하고, 마을 모양이 박과 같이 생...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서부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서부리 주민들은 마을 입구의 하당과 목단봉 정상의 상당에서 매년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의성군 비안면 서부리는 신라 왕인 흘해이사금 시기에 형성되었다. 신라 시대에는 아차, 옥현이라 불리다가 조선 후기가 되면서부터 상주목으로 편입되었다. 서부...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유산리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서의성 농업 협동조합은 의성 지역 농업인의 권익 향상과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자금·자재 및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9년 10월 15일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유산리 51...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을 통폐합하면서 경상북도 비안군 단서면의 구서동과 부제동의 이름을 따서 붙인 이름이다. 자연 마을 감산은 문화 유씨가 개척하면서 마을 뒤쪽에 두 개의 골짜기[간무골과 보석골] 형세가 가마솥과 같다 하여 가마산이라 했다가 감산[釜山]이란 말로 변음된 것이다. 구서는 오랜 옛날에 이씨·김씨·유씨가 처음으로 마을을 개척하여 유...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서제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서제리는 마을 앞의 지방 도로 변에 위치한 당집에서 매년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의성군 단밀면 서제리는 동신을 서낭신이라고 부르며 동제를 지내고 있다. 서제리 마을은 풍양 조씨, 연안 차씨, 해주 고씨, 안동 김씨로 이루어진 각성 촌락이며 마...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자연 마을 석탑동[돌탑]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옛날부터 마을 안에 규모가 크고 오래된 석탑이 있어서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한다. 자연 마을인 걸촌은 최씨라는 선비가 이 마을이 냇가에 있다고 하여 개울의 방언인 ‘걸’을 사용하여 부른 명칭이다. 광암(廣岩)[광바우]은 마을 안에 넓은 바위가 있다고 하여 붙인 이름이며, 달밝골[달밭, 월명(月明...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거석 기념물. 선돌[立石]은 고인돌과 같은 시기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측되는 거석 문화이다. 선돌은 대개 단독으로 세워진 것이 많지만 유럽의 경우, 열을 지어 있거나, 원형으로 배치한 것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자연석을 수직으로 땅에 세워 놓은 형태가 많다. 선돌은 크게 세 가지의 기능으로 구분된다. 첫째, 무덤의 표시, 즉...
-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 효제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선안 저수지는 지방도 923호선 단북 다인로와 위천의 동쪽에 자리하고 있는 농업용 2종 저수지이다. 선안 저수지의 남쪽에는 단북면사무소가 있다. 선안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45년 1월 1일 착공하여 1946년 12월 30일 준공하였다. 총 공사비는 4,000원이 소요되었고, 국고 보조...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치선리에 있는 무소속 사찰. 선암사(仙岩寺)는 옛 선암사 절터 아래쪽에 위치해 있다. 선암산 베틀 바위 아래에 있던 옛 선암사는 현재 남아 있는 석탑의 조성 연대로 보았을 때 신라 시대에 세워진 사찰로 추정된다. 현재의 선암사는 1963년에 백은봉 스님이 창건하였으며, 극락전, 산령각, 요사채, 용왕전, 3층 석탑이 있다. 최근에 미륵불과 약사여래불, 기도를...
-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현리리와 군위군 의흥면 신덕리에 걸쳐 있는 산. 과거 천지가 개벽할 때에 온 세상이 물로 가득 찼었다고 한다. 그 당시 선암산에 배 모양의 바위만 보였다고 하여 이 산을 선암산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또한 선암산은 뱀산이라고도 불리는데, 이 산은 암석의 노출이 많은 돌산으로 산세가 험준하여 여름철에 뱀을 잡는 땅꾼들이 이 산을 찾아와 많은 뱀을 잡아갔다. 이처...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음력 1월 1일에 지내는 명절. 설날은 원일(元日)·원단(元旦)·원정(元正)·원신(元新)·원조(元朝)·정조(正朝)·세수(歲首)·세초(歲初)·연두(年頭)·연수(年首)·연시(年始)라고도 부르는데 모두 한 해의 첫 날임을 뜻하는 말이다. 일제 강점기 이후 태양력 정책에 따라 신정(新正)으로 일컬어지는 양력설이 등장하였고, 상대 개념으로 전통적인 태음력에 의한 설날...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성냥 생산 업체. 성냥은 마찰에 의하여 불을 일으키는 물건으로 작은 나뭇개비 한쪽 끝에 황 따위의 연소성 물질을 입혀 만들며 황린(黃燐), 적린(赤燐), 무린(無燐) 성냥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 성냥 공장이 처음 생긴 것은 개항기인 1885년 서울에서였다고 알려져 있다. 이후 1917년경 인천시 동구 금곡동에 2,000여 평 규모의 조선 인촌(...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에 있는 성균관 유도회 산하 비안 지역 지부. 조선 시대 최고의 교육 기관이었던 성균관은 한일합병 이후 일제에 의해 경학원(經學院)으로 개칭되었다. 1945년 8·15 해방과 함께 옛 이름을 되찾고, 10월 성균관 명륜당에 유림 2,500여 명이 모여 공자의 유교를 근간으로 국민의 윤리 도의 정신을 함양한다는 목적으로 유도회를 설립하였다. 의성 지역에서...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도동리에 있는 성균관 유도회 산하 의성 지역 지부. 조선 시대 최고의 교육 기관이었던 성균관은 한일 합병 이후 일제에 의해 경학원(經學院)으로 개칭되었다. 그러나 1945년 광복과 함께 옛 이름을 되찾고, 10월 성균관 명륜당에 유림 2,500여 명이 모여 공자의 유교를 근간으로 국민의 윤리 도의 정신을 함양한다는 목적으로 유도회를 설립하였다. 의성 지역에서...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천주교도들의 의례 및 집회 장소. 『사학징의(邪學懲義)』에 따르면, 신유교난(辛酉敎難) 때 경상도로 귀양 온 56명의 신자 가운데 강성철(姜成喆)이 의성 지역에서 죽었다고 하는 것을 보면 천주교 신자가 의성 지역에 처음으로 발을 들여 놓은 것은 1801년(순조 1)으로 추정된다. 이와 비슷한 시기에 서울에서 천주교를 믿다가 박해를 받아 의성군 안사면 쌍호로...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민족 종교. 성덕도는 김옥재가 1952년 5월 대구에서 창시한 민족 종교이다. 인간의 천성을 회복하여 도덕 사회를 건설하려는 목적으로 창시되었으며, 천성을 회복하기 위하여 ‘자성 반성’을 실천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의 전통 사상인 유·불·선(儒佛仙)을 독립된 별개의 사상이 아니라 하나로 파악하고, 이를 체득하기 위하여 정진함을 교리...
-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병합된 칠성동(七星洞)과 조암동(槽岩洞)에서 한 글자씩 따서 성암(星岩)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 칠성(七星)은 마을 앞 들판에 바위 7개가 북두칠성 모양으로 놓여 있어, 이를 길조로 보고 마을 이름을 칠성이라 하였다 한다. 주암 마을(珠岩 마을)은 마을 개척 때 마을 앞에 바위 3개가 있었는데, 구슬같이...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신계리와 안동시 길안면 현하리를 연결하는 고개. 과거에 성황 고개의 고갯마루에는 서낭신을 모시고 마을의 동제를 지내던 성황당[서낭당]이 있었는데, 성황당이 있는 고개라는 데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성황 고개는 남동쪽의 340m 고지와 북서쪽의 330m 고지 사이에 있는 낮은 안부로 높이는 275m이다. 성황 고개 주변 지역의 기반암은 중생대 백악기 하양층군에...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매년 마늘 수확기에 개최되는 국제 축제. 세계 의성 마늘 축제는 의성 마늘의 우수성을 홍보하고, 의성 마늘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 식품과 음식을 전시 및 판매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의성군청에서 주최하고 세계 의성 마늘 축제 추진 위원회에서 주관하는 행사이다. 2012년에는 ‘의성 마늘 세계에 GO하다’라는 주제로 7월 26일부터 7월 28일까지 의...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양곡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세레 저수지는 물이 세 곳에서 유입된다는 뜻에서 세레못으로 불리는 2종 저수지이다. 곤지봉(坤池峰)[327.8m]에서 발원한 소하천에 제방을 축조한 저수지이며, 국도 28호선을 따라 저수지로 들어오다 보면 전국적인 인지도를 자랑하는 교촌 녹색 농촌 체험 마을이 있어 다양한 체험 문화를 즐길 수 있다. 세레 저수지는 농업용수...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한 해를 단위로 일정한 시기에 행해지는 반복적인 의례. 세시 풍속(歲時風俗)은 일 년을 단위로 자연의 변화, 생산 활동, 각종 의례와 놀이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생활양식을 말한다. 즉 ‘매년 일정 시기마다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전승적 생활 행위이다. 이는 한 사회의 표준적 행동 양식의 한 계열’로서, ‘상징의 상호 작용에 바탕을 둔 정감적·경험의 주기’라 할...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세촌리에 있는 터널. 중앙선 철도가 통과하는 지점인 단촌면 세촌리의 지명을 따서 세촌 철굴이라 하였다. 세촌 철굴은 세촌리를 통과하는 중앙선의 교통 안전성과 소요 시간 단축을 위하여 건설하였다. 중앙선 우보-안동 구간의 건설 시기인 1937년 8월 7일 착공하여 1940년 3월 1일에 준공하였다. 중앙선 철도가 현재는 무정차 간이역인 단촌역을 지나서 북쪽으로...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세촌리에 있는 다리. 단촌역 북서쪽에 위치한 세촌교는 의성군을 남북 방향으로 종단하는 국도 5호선에 준공되어 있다. 낙동강의 지류 하천인 미천을 건너가기 위한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교량이 가설된 지역인 단촌면 세촌리의 이름을 따서 세촌교라고 부르게 되었다. 경상북도 안동 방향의 세촌교 상행선에서 교량 길이의 합인 연장은 123.0m, 교량의 총 폭은 9.5m...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세촌(細村)은 마을의 형태가 가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또한 어떤 부부가 정착지를 찾던 중 많은 참새 떼가 있는 것을 보고 먹을 것이 풍부한 곳이라고 여겨 이곳에 살게 되었는데, 새가 많이 모여 사는 곳이라 하여 새목골이라고 불렀다고도 한다. 본래 의성군 단촌면의 지역으로서, 새목골 또는 세촌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는 겉씨식물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교목. 의성군에 분포하고 있는 소나무는 산지에서 자생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일부는 마을 어귀나 뒤편 등에 정자나무나 방풍림으로 심기도 한다. 의성군의 경우 보호수로 지정되는 나무는 대부분 느티나무, 회화나무 등 낙엽 활엽수여서 소나무가 보호수로 지정된 것은 안평면 금곡리, 안계면 도덕리, 안사면 월소리...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구봉산에 있는 기념 공원. 소망 공원이 있는 구봉산은 의성읍의 서쪽에 위치하는 아홉 봉우리의 산으로, 절경을 이루고 있어 예로부터 시인 묵객이 즐겨 찾았던 곳이며, 주민들의 휴식처 역할을 했다. 현재 구봉산 산림욕장이 개설되어 있다. 산 정상에 봉의정(鳳儀亭)이 있고, 산 아래에는 효자 오천송(吳千松)이 지은 소원정(溯源亭)이 있다. 체육공원으로 지정하여 다...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도동리에 있는 사회 봉사 단체. 소문회는 밝은 지역 사회 건설과 지역 사회 봉사의 신조 아래 회원 상호간에 친목도모를 목적으로 1968년 8월 15일에 순수한 지역 향토의 자생 봉사 단체로서 설립되었다. 창립 당시 정종하, 주성덕, 권영환, 이상춘, 김상길, 최백임, 권형도, 손진국, 김성태 등 아홉 명이 모여서 ‘먼저 큰 일보다는 작은 일부터, 밝은 곳 보...
-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 연제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소저수지는 국도 28호선과 지방도 923호선 사이에 자리하고 있는 농업용 2종 저수지이다. 남쪽으로는 단북면사무소와 단북 초등학교가 있다. 소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49년 1월 1일 착공하여 1950년 12월 30일 준공하였다. 총 공사비는 1,500원이 소요되었고, 국고 보조로 충당되...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활동하는 한시 동호회. 소주 음사회는 한시(漢詩) 동호회로 의성 문화원 소속이며 의성군으로부터 사회단체 보조금을 받고 있는 문화 예술 단체로 1973년에 설립되었다. 소주 음사회는 회원 상호간의 친목과 시문 향상을 도모하고 저변 확대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주요 사업은 시집 발간, 백일장 개최[격년제], 선현 유적지 탐방, 시문 연구 및 경전 연구, 전문가 초빙...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병합된 지역 중 소리동(小梨洞)에서 소(小)자를 따고, 이 지역에 못이 있기 때문에 소호(小湖)라 이름을 붙였다 한다. 자연 마을 흥전[흥경]은 본래 모고(慕古) 마을[현 모흥리 소재] 앞에 있었는데 이곳은 지네 형상의 산이 바라다 보이는 곳이어서 화재가 자주 발생하였다. 어느 학자가 그 산이 안 보이는...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병합된 속상동, 도암동, 속하동의 각 일부를 통합하여 속상동·속하동의 ‘속’자와 도암동의 ‘암’자를 따서 속암동이 되었다. 자연 마을 승당(勝堂)이라는 지명은 신라 시대에 마을에 절이 있었고 스님이 많았기 때문에 승당(僧堂)이라 하였으나, 이씨·정씨가 정착하여 마을을 이루면서 마을 이름이 자손이 번창하지...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속암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의성군 단밀면 속암리 주민들은 단밀면 속암리 마을 쉼터에 위치한 당목에서 매년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속암리 동제의 연원과 시기는 알 수 없다. 주민들은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고 마을의 역사를 이어가기 위하여 동제를 지내왔으나 현재는 동제의 존속에 큰 위기를...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송내는 본래 장각(獐角)골로 불리었는데, 1620년경 삼척 임씨(三陟 林氏)가 이주하여 마을을 개척할 당시 마을 뒤 2개의 산골이 노루의 뿔같이 생겼다 하여 이름 붙였다 한다. 그 후 임씨가 떠나고 조계승(曹溪僧)이 마을 앞에 소나무를 심어 송림이 우거지게 되니 송내(松內)라고 불렀다 한다. 한편 위치가 노송소[노송소모랭이] 안쪽이기 때문에...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송내2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송내 2리 주민들은 마을 뒤편의 구릉에 위치한 서낭당[점곡면 송내리 113]에서 매년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의성군 점곡면 송내 2리 마을 앞산 아래 골짜기에는 서당이 있었는데, 서생들의 왕래가 어려워 다리를 놓았던 것이 다릿골이라고 불리는...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송화동(松花洞)과 사호동(沙湖洞)의 이름을 따서 송호동(松湖洞)이라 하였다. 송화는 소나무가 울창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내송화는 송화의 안쪽 마을이기 때문에, 외송화는 내송화에 비해 바깥에 위치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외송화는 내송화 보다 후에 생겼다 하여 샛터라고도 불린다. 사호는 1525년...
-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 정안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수동 저수지는 국도 28호선에 연접하여 접근이 용이한 농업용 2종 저수지이다. 남쪽으로는 안계면 보건 지소와 벼락지가 위치해 있다. 수동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43년 1월 1일 착공하여 1945년 12월 30일 준공하였다. 총 공사비는 1만 3000원이 소요되었고, 국고 보조로 충당되...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구성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수봉 저수지는 지방도 930호선 서쪽과 지방도 79호선 동쪽 사이에 자리하고 있는 농업용 2종 저수지이다. 북쪽으로는 옥산면사무소가 있다. 수봉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44년 1월 1일 착공하여 1945년 12월 30일 준공하였다. 총 공사비는 8만 원이 소요되었고, 5만 원은 국고 보...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구성리에 있는 산. 수봉실산은 높이가 401.7m인 구릉지이다. 구성리 지역의 평야부 높이가 200m 내외인 것을 감안하면 수봉실산의 체감 높이는 매우 낮으며, 둥근 구릉성 산지이므로 산세도 험준하지 않다. 수봉실산의 동쪽 사면은 달곡천의 분수계이며, 서쪽 사면은 미천의 분수계이다. 달곡천을 따라 단층선과 단층선곡이 발달하고 있어 하천의 규모에 비하여 달곡천...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수정리(水淨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 수정(水淨)에서 나온 명칭으로, 마을 뒤 골짜기의 물이 맑아 수정이라 하였다 한다. 또한 마을 개척 당시 수정사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이야기도 전한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수정동, 소산동, 가평동 일부를 병합하여 의성군 산운면 수정동이 되었다. 1934년 2월 1일 금성면에 편입되...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숙박 서비스 제공 시설. 의성군은 전형적인 농업 지역이면서 ‘의로운 고장’, ‘선비의 고장’이기도 하다. 풍요와 휴식을 즐길 수 있는 자연 경관과 역사적 유적, 선비의 문화와 전통이 살아 숨쉬는 공간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의성군을 찾아오는 관광객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늘어나는 관광객을 유치하고 수용하기 위해 의성군에서는 현대적 숙박 시설 이외에도 휴양림,...
-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에 속하는 법정리. 순호리(蓴湖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 순호(蓴湖)에서 나온 명칭으로, 이곳 못에서 식용 물풀인 말이 많이 나와, 수초(水草)의 뜻을 가지고 있는 한자 순(蓴)과 호수 호(湖)를 합하여 순호라 불렀다고 한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의 순호동, 호상동, 상동, 순중동, 순하동을 병합하여 의성군 가음면 순호동...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가정 폭력 상담소. 천주교 안동 교구 사회 복지회에서 설립한 쉼터 한알 가정 폭력 상담소는 방황하는 청소년, 미혼모, 가출소녀, 매 맞는 여성, 가족 상담, 다문화 가정 등을 위한 나눔의 터전으로서 기능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쉼터 한알 가정 폭력 상담소는 2001년 기부금 3000만 원으로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 아파트에 전세 계약을 함으로써...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시동, 안계동, 태양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시동과 안계동의 이름을 따서 시안동[시안리]이라 하였다. 안계는 1660년 가락왕 6세손 김사일이 통훈대부(通訓大夫) 중구원참의(中柩院參義)로 있을 때 이 마을을 이루고 있었는데, 당시 들이 넓고 산수가 수려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감곡, 시곡, 감나무골,...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재화와 용역이 거래되는 장소. 시장이란 상품이 교환되는 구체적인 장소를 일컫는 말로 ‘장시(場市)’ 또는 ‘장(場)’ 이라고도 부른다. 시장의 형식은 5일, 또는 10일의 간격을 두고 정기적으로 열리는가, 매일 열리는가에 따라 정기 시장과 상설 시장으로 구분된다. 전통 사회에서의 시장은 대개 5일마다 한 번씩 서는 정기 시장인 오일장(五日場)이었다. 시장은 대개...
-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신기동과 대감동·소감동의 이름을 따서 이름을 따서 신감이라 이름을 붙였다. 자연 마을 신기는 본래 터지미로 불리었는데, 원래 있던 저수지가 홍수로 터져 없어지고 그 자리에 마을이 생겨나게 되었다고 하여 터지미라 불렀다고 한다. 그 이름이 좋지 못하다고 하여 새로 생겨난 마을이란 뜻으로 신기라고 고쳤다. 대감천...
-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 신감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 신감리 주민들은 마을 앞 지방도 912호선 도로변에 위치한 당목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매년 동제를 지내고 있다. 의성군 사곡면 신감리는 약 350년 전에 임중기라는 사람이 개척했다. 옹달샘 물이 워낙 감미로워 지명을 대감천이라 하였고, 그 이웃에 작은 마을이...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신계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신계 저수지는 지방도 914호선 의성 길안로 북쪽에 위치해 있는 농업용 2종 저수지이다. 신계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71년 1월 1일 착공하여 1973년 12월 30일 준공하였다. 총 공사비는 455만 2000원이 소요되었고, 수리조합에서 전액 충당하였다. 1977년 4월 2일부터 1...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을 개편하면서 상신동·하신동과 원계동의 이름을 따서 신계동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 상신(上新)은 산골짜기를 따라 좁게 펼쳐진 들판에 한 집 두 집 모여 형성된 촌락으로 새골의 위쪽에 있다고 윗새골이라고도 불렀으며 차츰 상신이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하신(下新)은 상신 아래 있어서 붙여졌다 한다. 새골[원기, 원계]은 신계...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신계 1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신계 1리 주민들은 중신 마을로부터 상신 마을로 통하는 도로와 개울이 만나는 지점의 당목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매년 동제를 지내고 있다. 동제는 상신 마을·중신 마을·하신 마을 세 마을 주민들이 함께 지낸다. 현재 세 마을에는 모두 합쳐 16가구의 주민들...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신계리 원기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의성군 옥산면 신계리 원기 마을 주민들은 마을 옆 도로변에 위치한 당목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매년 동제를 지냈으나 최근에 중단하였다. 의성군 옥산면 신계리 원기 마을 주민들이 동제를 지내기 시작한 시기는 알 수 없다. 현재 원기마을에는 18가구가 거주하고 있는데, 인구수...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신계 2리 원지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신계 2리 원지 마을 주민들은 농협 냉동 창고 옆에 위치한 당집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매년 동제를 지냈으나 10여 년 전부터 더 이상 지내지 않고 있다. 의성군 옥산면 신계 2리 원지 마을은 송명성이라는 사람이 개척했다고 하지만 확실한 것은 아...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행해지는 무당이 되기 위한 입무 의례. 의성 지역의 신굿은 강신한 사람의 몸에 들어있는 잡신을 헤쳐 버리고 올바른 신들을 몸에 내리게 하여 무당으로 솟아나게 한다. 신굿을 하는 장소는 무당의 집 혹은 각 지역의 굿당이다. 의성 지역에서는 금성산에서 지내기도 하는데 이는 산신을 받기 위함이다. 제물은 제철 과일과 더불어 사과·배·바나나·참외·수박·오렌지·귤 등...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신당 저수지는 용기리에 있는 2종 저수지이다. 유서 깊은 곤지봉(坤池峰)[327.8m] 아래 경관이 아름답고 못 인근에 있는 전국적인 인지도가 있는 교촌 녹색 농촌 체험 마을이 있어 다양한 체험 문화를 즐길 수 있다. 신당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38년 1월 5일에 인·허가를 받았으며,...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사사동과 고락동, 신산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신산(申山)과 고락(高樂)의 이름을 따서 신락(申樂)이라 하였다. 신산은 산세가 원숭이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고락은 인근 지방에까지 알려질 정도로 유명한 옹기점이 있었다고 하여 ‘점마을(店 마을)’이라 하던 것을 일제 시대부터 고락이라고 바꾸어...
-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을 진행하면서 신리의 이름을 따서 신리동이라 하였다. 신리는 본래 새말[新里]로 새로 생긴 마을이라 붙여진 이름이며, 이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자연 마을 연곡(蓮谷)은 1600년경 김해 김씨가 정착한 곳으로, 마을 지형이 연꽃이 물에 뜬 형상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연곡은 마을 앞에 우물을 파면 꽃잎이 뚫린...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발간되는 뉴스, 정보, 광고 등을 제공하는 정기 간행물. 2011년 12월 기준으로 의성군에 주소지를 두고 발간되는 언론사는 종이 신문 『의성 신문』과 인터넷 매체 『군위 의성 인터넷 뉴스』·『군위 의성 청송 인터넷 신문』·『대구경북일보』·의성 방송이 있다. 이중 『의성 신문』과 『군위 의성 인터넷 뉴스』가 지역의 대표 언론사 격이다. 1990년 창간된 『의...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신락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신산 저수지는 신락리 외정교 남쪽에 있는 2종 저수지이며, ‘못안못’이라고 불린다. 마을 이름은 뒷산 이름 증산(甑山)이 와전되어 신산(申山)으로 부르게 되었으며, 마을 이름을 따서 신산못이라 한다. 국도 28호선을 따라 경상북도 예천 방면으로 가다 보면 비봉산(飛鳳山)[579.3m]과 공민왕 17년(1368년)에 왕사인...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압수골[鴨水], 소주골, 신방(新坊) 등 3개의 자연 마을을 병합하여, 신방의 신(新)자와 압수의 수(水)자를 합하여 신수라 하였다. 압수란 조선 시대 박세상이라는 선비가 이 마을이 바위가 많고 물이 맑다 하여 암수라고 불러오다가 압수라 하였다 한다. 신방은 오랜 옛날 처음으로 마을이 형성될 때 하나의 동...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4월 1일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의곡동·운흥동·신기동·신평동을 병합하여 신안동이라 하였다. 신안 1리의 자연 마을인 돗밭은 원래 돌이 많아 속칭 돌밭[石田]이라고 불렸는데, 약 440년 전에 돌을 몰아치우고 김해 김씨, 의성 김씨, 진주 강씨, 경주 김씨가 선후하여 개간하였다. 신안 2리 운흥 마을은 약 390년 전에 마을을...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신안리 구봉지에서 발원하고 서쪽으로 흘러 안평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신안천은 의성군 안평면 신안리의 구봉지 부근에서 발원하는 하천으로 이 저수지에서 서쪽으로 흘러 안평면 도옥리 도옥교에서 안평천과 만난다. 안평천의 지류 하천에 해당되며, 최상류부에 있는 두 개의 3차수 하천이 만나 4차수 하천을 이룬다. 유로의 길이는 3.5㎞로 짧고, 최대 하폭은 30m 내...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개인이나 단체가 모여 자금을 조성하고 이용하는 비영리 금융 기관. 우리나라 신용 협동조합의 시작은 6·25 전쟁 직후 사회적 혼란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미국인 메리 가브리엘라 수녀가 1960년 5월 1일 부산에서 메리놀 병원 직원과 천주교 교우 27명을 조합원으로 성가 신용 협동조합을 설립한 것이다. 의성 지역 신용 협동조합은 은행에서 소외된 서민과 영세 상공...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상신동, 상월동, 하월동을 병합하여 상신과 하월의 이름을 따서 신월동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은 상월, 중월, 하월, 신동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월은 마을 생김새가 운중삭월형(雲中朔月形)이라 해서 상월이라 불렀다 하며 중월은 상월과 하월 사이라 하여, 하월은 월촌 아래 위치한다 하여 이러한 이름을 붙였다....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신흥 종교. 의성에는 기성 종교가 일찍부터 폭넓게 자리를 잡고 있어 신종교가 활동하는 데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었다. 신종교로서 의성에 처음으로 진입한 것은 이웃하는 대구에서 창시된 성덕도로 1954년에 포교를 시작했다. 이후 통일교, SGI(국제 창가 학회), 원불교, 여호와의 증인 등이 차례로 의성 지역에 들어왔다. 1. 성덕도 1952년...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안사리에 있었던 농업 협동조합. 신평 농업 협동조합은 의성 지역 농업인의 권익 향상과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자금·자재 및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9년 10월 28일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 안사리 73...
-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 교안리에 있는 전통 시장. 시장은 일반적으로 상설 시장과 정기 시장으로 분류된다. 상설 시장은 일정한 지역에서 사람들이 항상 상품의 매매와 교환을 하고 있는 시장을 말하며, 정기 시장은 일정 구역 내에서 닷새마다 한 번, 또는 열흘마다 한 번씩 정기적으로 열리는 시장을 말한다. 의성 지역의 시장은 상설 시장 1곳, 정기 시장 9곳이며, 상설 시장은 의성읍에...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병합된 신동, 마전동, 평기동에서 신동과 평기동의 이름을 따서 신평(新坪)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 신동(新洞)은 새로 생긴 마을이라는 뜻이며, 새골로도 불린다. 마전(麻田)은 삼밭이 많아 붙여진 이름이다. 평기(坪基)는 평야 지대에 기반을 세웠기 때문에 평기라 했으며, 갓 모양으로 생긴 마을 뒷산 줄기 안...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신평리 신동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신평리 신동 마을은 마을로 들어서는 입구인 봉양면 신평리 232에 위치하고 있는 큰 서낭과 작은 서낭 두 군데에서 동제를 지내고 있다. 길을 사이에 두고 큰 서낭은 마을을 바라보고 왼쪽, 작은 서낭은 오른쪽에 위치한다. 신평리 신동 마을 동제의 연원 및 시기는 알...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행정 구역.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우곡면(羽谷面)을 비롯하여 비안군(比安郡)의 정북면(定北面) 전역과 용궁군(龍宮郡)의 신하면과 예천군의 현동면(縣東面) 오가동 등을 합하여 새로이 신평면(新平面)이라 개칭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의성군 우곡면이라 불리었고, 1909년에 비안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비안군 정북면 및 현...
-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에서 같은 본관의 성씨들이 모여 사는 마을. 신평면은 의성군의 서북부로 산악 지대가 많은 지역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검곡리·교안리·덕봉리·용봉리·중율리·청운리 등 6개 법정리와 11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경주 김씨, 김녕 김씨, 달성 서씨, 평해 황씨, 안동 김씨, 전주 김씨, 남원 양씨 등이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경주 김씨는...
-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 교안리에 있는 신평면 관할 행정 기관. 의성군을 구성하고 있는 1개 읍 17개 면 중 신평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신평면사무소는 의성군 신평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신평면은 조선 시대 의성군 우곡면(牛谷面)이라 불리었다가 1909년 의성군 비안면에 편입 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중하리 해망산에서 발원해 북류하여 안사면 쌍호리에서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신평천은 4차수 하천으로 의성군 안사면 중하리 해망산[400.0m]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안사리, 만리리, 신수리, 월소리를 거쳐 쌍호리에서 낙동강으로 합류한다. 상류부는 3개의 3차수 하천으로 구성되어 있다. 길이는 21.7㎞, 최대 하폭은 30m 정도로 길이에 비하여 하천의 규...
-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 신하리는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병합된 지역 중 신기동과 하제동에서 이름을 따 만들어진 이름이다. 자연 마을인 밤갖 마을은 밤가 마을, 율지(栗枝) 마을이라고 하기도 하는데, 개척할 때 밤나무가 무성하기 때문에 이름 붙였다 한다. 새터 마을은 신기(新基) 마을이라고도 하는데, 밤갖 마을이 커짐에 따라 마을...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자연 마을 신흥에서 유래되었다. 신흥은 본래 고적동(古蹟洞)이라 하였으나 ‘고적’이란 말이 좋지 않다 하여 새로 일어나라는 뜻으로 신흥동(新興洞)으로 고쳐 불렀다. 자연 마을 회동(檜洞)은 동네 안에 큰 회나무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으로 또한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소재지인 화목리로 통하는 화목재 입구에 위치하는 동네라 화목골(和睦골)이라고도...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신흥 2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의성군 춘산면 신흥 2리는 마을 버스 정류장 뒤쪽인 신흥리 732번지에 위치한 당목에서 10년마다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신흥리 동제는 18세기에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연원은 알 수 가 없다. 매년 지내던 동제를 마을의 고령화와 젊은이들의 이주로 인해 20...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실업 2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의성군 옥산면 실업 2리는 마을 입구에 위치한 사과 과수원 안쪽의 밭인 옥산면 실업리 315번지에 당사를 만들어 매년 정월 열 나흗날 자정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동제를 지낸다. 실업 2리 동제의 연원과 시기는 알 수가 없다. 예전에는 제관 두 명을 선정하여 동제를 주관하였으나 현재는...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감계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실업 저수지는 지방도 79호선 신감 옥산로 남쪽에 바로 연접해 있으며, 의성군과 안동시를 북서류하여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미천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저수지이다. 실업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84년 1월 1일 착공하여 1985년 12월 30일 준공하였다. 총 공사비는 7억 5298만 50...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자연 마을 실업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실업(實業)은 조선 시대 김기량이라는 선비가 안동에서 이주하여 개척하였는데 머루, 다래 넝쿨이 많은 것을 베어내고 개척하여 실업(實業)이라고 하였다 한다. 자연 마을 댓골[竹洞]은 조도섭이란 참봉이 이곳에 피난 와서 개척할 때 계곡에 대나무가 많아 댓골이라 불렀으며, 예부터 이 마을에는 우물을 파도 물이...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초에 처음 사람들이 정착했는데 멀리 팔공산(八公山)에서 흐르는 물[위천]을 따라 내려와 보니 의성 금성산에서 흘러 내려오는 물[쌍계천]과 합수가 되는 곳이므로 쌍계라 이름을 붙였다 한다. 본래 경상북도 비안군 신동면의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의성군 비안면 쌍계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동을 리로 개칭하...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금오리 사금령 일대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비안면 쌍계리 부근에서 위천으로 흘러들어 가는 하천. 쌍계천은 춘산면 금오리의 사금령, 문봉산, 화목재 일대에서 발원하는 하천으로 문봉산의 서쪽 사면에서 서쪽 방향으로 흘러 비안면 쌍계리 부근에서 위천과 합류한다. 쌍계천은 길이가 36.75㎞, 최대 하폭은 130m, 그리고 유역 분지의 면적이 501.49㎢로 규...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월소리에 있던 공립 초등학교. 나라를 사랑하고 효도하는 어린이[충효인], 스스로 공부하고 탐구하는 어린인[창조인],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건강인], 예절이 바르고 협동하는 어린이[도덕인]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건강하고 정직하며 성실한 어린이’ 이다. 1946년 10월 13일 쌍호 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2월 9일에 개교하였다. 19...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청호(淸湖)[청우리]와 도호(陶湖)[도굿물] 두 개의 마을이 인접해 있다 하여 쌍호라는 이름을 붙였다. 또한 마을 앞에 호수가 두 개가 있다 하여 그러한 이름이 붙었다고도 한다. 자연 마을 청호는 마을 앞에 큰 호수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고, 도호는 도자기 굽는 못물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점촌(店村)...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단오나 체육 대회 때 두 사람이 서로 샅바를 맞잡고 힘과 기술을 부리어 상대를 먼저 땅에 넘어뜨려 승부를 결정하는 놀이. 씨름은 의성 지역에서 단오를 비롯한 여러 명절날과 의성 체육 대회 때 두 사람이 서로 샅바를 맞잡고 힘과 기술을 부리어 상대를 먼저 땅에 넘어뜨려 승부를 결정하는 놀이이다. 씨름이라는 말의 어원은 영남 지방에서 서로 버티고 힘을 겨룬다는...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 있는 한 건물 안에 여러 가구가 독립적으로 살 수 있도록 지은 5층 이상의 공동 주택. 경상북도 의성군에서는 새마을 운동의 일환으로 1970년대부터 지붕 개량, 주택 개량, 취락 구조개선, 부엌 개량, 부속 건물 개량, 장독대 개량 등을 연차적으로 추진하여 농촌 주택을 일신(一新) 하는데 노력하였다. 의성군의 최초의 아파트는 1985년 10월 17일 건립한 성...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더불어 살아가는 정직하고 창의적인 인간 육성을 지향한다. 이를 위해 올바른 학생 문화 정착, 지·덕·체의 전인교육 실시, 미래 사회의 적응력 신장, 사제동행 풍토 조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정직과 창조’ 이다. 1946년 9월 27일에 안계 초급 중학교로 설립 인가 후 초대 교장에 이정섭이 부임하였다. 1946년...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노인 복지 시설. 의성군은 2007년 보건 복지부의 “고령 친화 모델 사업 시범 지역”에 선정됨에 따라 보건 복지 의료 통합 서비스 기반을 구축해 새로운 노인 복지 모델을 제시하려는 사업에 착수했다. 이에 따라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의성군 의성읍 철파리 138-1 일원에 의성 건강 복지 타운을 조성하여 허브 센터로 삼고 17개 면을 생활...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안계 농업 협동조합은 의성 지역 농업인의 권익 향상과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자금·자재 및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9년 10월 28일 안계 농업 협동조합이 설립되었으며,...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시안리에 있는 병원. 안계 병원은 2009년 정신과 병원 사업을 위해 설립하였다. 안계 병원은 정신과 및 가정 의학과 병원으로 각종 정신 질환자 및 알코올 중독자, 우울증 등 정신과 관련된 모든 질환을 치료하는 기관이다. 2003년 2월 의료 법인 안심 의료 재단을 설립하였고, 2009년 12월 안계 병원을 설립하였다. 의성 지역의 주민을 위한 정신 질환과...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가톨릭 안동 교구 소속의 성당. 1959년 4월 1일 예천 본당 안계 공소로 인가되면서 예배소로서의 출발을 시작하였다. 1961년에는 다인 본당으로 소속이 이전되었다가, 1972년 본당으로 승격되면서 안덕화[베드로]가 초대 신부로 부임해 왔다. 1980년 성전을 완성하였으며, 1992년에 기공한 사제관과 교육관이 1997년에 완공되고 이때 어린...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청호리에 있는 천주교 안동 교구 안계 성당 소속의 공소 신유교난(辛酉敎難)에 관한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사학징의(邪學懲義)』에 따르면 1801년 경상도로 귀양 온 56명의 신자 가운데 강성철(姜成喆)이 의성에서 죽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리고 이와 비슷한 시기에 의성군 안사면 쌍호동에는 서울에서 천주교를 믿다가 박해를 받아 이곳으로 피난 온 것으로 추정되는...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전통 시장. 시장은 일반적으로 상설 시장과 정기 시장으로 분류된다. 상설 시장은 일정한 지역에서 사람들이 항상 상품의 매매와 교환을 하고 있는 시장을 말하며, 정기 시장은 일정 구역 내에서 닷새마다 한 번, 또는 열흘마다 한 번씩 정기적으로 열리는 시장을 말한다. 의성 지역의 시장은 상설 시장 1곳, 정기 시장 9곳이며, 상설 시장은 의성읍에...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 의성 군립 안계 도서관에서 주관하는 주부 독서모임. 안계 주부 독서회는 2005년에 의성 군립 안계 도서관에서 창립하였으며, 독서의 생활화를 통하여 회원 상호간 여가를 선용하고 친목을 도모하며 자신은 물론 지역 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바람직한 주부상을 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안계 주부 독서회는 매월 정기적인 독서 토론을 한다. 또한 매년 1회 봄에...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남을 사랑하고 배려할 줄 아는 사람을 기른다[도덕인], 소질과 능력을 갖춘 사람을 기른다[실력인], 사고력과 탐구력이 풍부한 사람을 기른다[탐구인], 세계화 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사람을 기른다[세계인]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자학, 협동, 창조’ 이다. 1946년 9월 27일 안계 초급 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과 단북면, 다인면에 형성된 평야. 안계 평야는 의성군 안계면 지역을 중심으로 펼쳐져 있기 때문에 이름 붙여졌다. 안계면의 명칭은 면내 서북쪽에 위치했던 안계역(安溪驛)과 안계원(安溪院)에서 유래되었다. 안계 평야가 위치한 안계 분지는 북서~남동 방향의 장방형 침식 분지로, 대구 분지와 유사한 형태이다. 화강암질 편마암과 만경산층과 문암산층으로 이루어진 해발...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행정 구역.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현동면(縣東面)의 운곡동(雲谷洞)을 합하여 의성군 안계면으로 개칭하였다. 안계라는 명칭은 면내 서북쪽에 있던 안계역(安溪驛)과 안계원(安溪院)에서 따온 것이다. 조선 초기까지는 안정현(安定縣)의 땅이었는데 세종 때부터 비안현(比安縣)의 관할이 되었다. 안동면과 안서면의 2개의 면으로 되어 있었는데, 1914년에...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서 같은 본관의 성씨들이 모여 사는 마을. 안계면은 경상북도 북부 지방의 곡창 지대로 널려 알려진 지역이다. 들이 넓어 고대부터 촌락이 발달하였다. 면소재지에는 시장이 발달되었고, 서남쪽으로 위천을 끼고 광활한 안계 평야가 곡창을 이루며, 의성군 서부 6개 면의 생활 및 교통의 중심지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교촌리·도덕리·봉양리·시안리·안정리·양곡리·용기리·...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안계면 관할 행정 기관. 의성군을 구성하고 있는 1개 읍 17개 면 중 안계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안계면사무소는 의성군 안계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안계면은 의성군의 서부 중심 지역에 위치하는데 신라, 고려, 조선 초기까지는 안정현(安定縣) 지역이었는데, 세종 때부터 비안(...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세무 행정 기관. 안동 세무서 의성 지서는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발생하는 내·외국세 징수 및 상담을 관장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32년 5월 1일 의성 세무서로 발족하였으며 청사는 구 문소 객관이 있던 자리로 정하였다. 1950년 6·25 전쟁으로 청사가 소실되고 1954년 3월에 현 청사를 신축하였다. 1962년 1월 안동 세무서에 흡수되...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에서 발원하여 안동시 일직면 귀미리 부근에서 미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안망천은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 등운산[624.2m]의 서쪽 사면과 갈라산[569.7m]의 남쪽 사면에서 발원하고, 서쪽으로 흐르다가 안동시 일직면 귀미리에서 미천과 합류하는 하천이다. 3개의 3차수 하천이 하나로 합쳐져 4차수 하천을 이루며, 길이는 8.5㎞ 정도인며 이 중 의성군에...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안심·탑동·목사동을 병합하면서 안심의 안(安)자와 목사의 사(寺)자를 따서 안사라 하였다. 안심은 외부로부터 침해를 받지 않고 편안히 살 수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은 이름이고, 목사는 무성한 수풀 속에 사찰이 있었다 하여 붙은 이름이라 한다. 자연 마을 탑동은 과거에 탑이 있었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석현은...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행정 구역. 안사면의 명칭 유래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면소재지인 안사리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안사리는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자연 마을인 안심리(安心里)와 목사동(木寺洞)에서 각각 한 자씩 취하여 만들어진 이름이다. 안심리는 힘이 천하장사인 입향인(入鄕人) 김만술(金萬戌)이 신안곡 산중에서 홀로 호랑이를 생포하여 나라에 바쳐 군정의 벼슬...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에서 같은 본관의 성씨들이 모여 사는 마을. 안사면은 평지가 별로 없는 산간 지역으로, 면적은 넓으나 마을은 크게 발달하지 않았다. 안사리(安寺里)·중하리(中河里)·만리리(萬里里)·신수리(新水里)·월소리(月沼里)·쌍호리(雙湖里) 등 6개 법정리와 13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평해 황씨, 밀양 박씨, 경주 김씨, 청도 김씨가 많이 살고 있다. 평해 황씨는 만...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안사리에 있는 안사면 관할 행정 기관. 의성군을 구성하고 있는 1개 읍 17개 면 중 안사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안사면사무소는 의성군 안사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의성현, 다인현, 용궁현에 속하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비안군과 용궁군에 각각 속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통...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안정리와 비안면 외곡리, 자락리를 연결하는 고개. 안성황당재에는 성황당[서낭당]이 있어서 이와 같은 명칭이 유래하였다. 안성황당재는 북쪽의 해망산[400.0m]과 남쪽의 210m 고지 사이에 위치하는 낮은 안부이다. 높이는 105m로, 동쪽 계곡은 화신천의 최상류부에 해당되며, 서쪽 계곡은 위천으로 유입되는 소하천의 발원지이다. 안성황당재 주변 지역의 기반암...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시에 봉성동, 대지동, 고현동을 병합하여 안정동[안정동]이라 하였다. 안정(安定)이라는 마을 이름의 유래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한 가지는 1479년(성종 10)에 판돈녕부사 안중선(安仲善)이 관직을 버리고 정착하였다고 하여 안정이라 칭하였다고 하는 설과, 다른 한 가지는 신라 문무왕 때 나구열(羅龜烈)이라는 농부가 마...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집안에 모신 신령에게 가정의 안녕을 기원하는 의례. 안택은 일반적으로 무당을 불러 집안의 신들에게 집안을 편하게 해달라고 기원하는 의례를 말한다. 이를 ‘안택’ 또는 ‘안택 고사’라고도 한다. 안택의 목적은 일 년 동안 집안의 평안·무병장수·자손의 번창 등을 기원하는 것이다. 보통 명절이 되거나 별식이 생기면 이를 집안 신에게 바친다. 또한 정초의 안택이나...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박곡리에 있는 전통 시장. 시장은 일반적으로 상설 시장과 정기 시장으로 분류된다. 상설 시장은 일정한 지역에서 사람들이 항상 상품의 매매와 교환을 하고 있는 시장을 말하며, 정기 시장은 일정 구역 내에서 닷새마다 한 번, 또는 열흘마다 한 번씩 정기적으로 열리는 시장을 말한다. 의성 지역의 시장은 상설 시장 1곳, 정기 시장 9곳이며, 상설 시장은 의성읍에...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창길리에 있었던 공립 중학교. 더불어 살아가는 인성 교육 함양, 미래 사회에 대비하는 교육 내실화, 체험 위주의 실천 교육 프로그램 운영, 행복한 학교를 위한 안평 교육 구현을 교육 목표로 하였다. 교훈은 ‘참되고 부지런하자, 궁리하고 찾아내자, 서로 돕고 사랑하자’ 였다. 1953년 4월 1일 안평 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고, 1953년 5월 22일 개교하...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병합된 구평리와 안곡동[안실]의 이름을 따서 안평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 안실(安實, 安室, 鴈室)은 하천의 물이 풍부하고 농경지가 넓어 안전하고 알차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상안(上安), 중안(中安), 구평(九坪) 등을 통칭하여 안실이라 불러 왔으나, 상안만을 뜻하기도 한다. 또한 ‘안실(安室...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행정 구역.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초기 정착 단계부터 지역이 평온하고 마음씨들이 착하여 평안하다는 의미에서 안평(安平)이라 칭하였다고 한다. 기타 여러 유래들도 전해져 오고 있지만 편안하고 평화로운 고장이라는 맥락은 모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신라 시대 문소군(聞韶郡)에 예속되었으며 그중 일부 지역은 비안현(比安縣)에 예속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에서 같은 본관의 성씨들이 모여 사는 마을. 안평면은 산지 능선에 마을이 분포하고 있으며, 주민들은 대부분 골짜기에서 내려오는 소하천의 유역에 형성된 퇴적층을 경작한다. 의령 옥씨, 해주 오씨, 여산 송씨, 청도 김씨, 해주 최씨, 양근 김씨, 연일 정씨 등이 집단적으로 거주하고 있다. 의령 옥씨는 안평면 기도 1리 치실 마을에 세거하고 있다. 1470년에 의...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박곡리에 있는 안평면 관할 행정 기관. 의성군을 구성하고 있는 1개 읍 17개 면 중 안평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안평면사무소는 의성군 안평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의성현 석전면, 안평면, 비안현의 외북면을 합하여 의성군 안평면이라 개칭하였다. 2014년...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삼춘리 중송지에서 발원하여 봉양면 화전리에서 쌍계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안평천은 의성군 안평면 일대를 흐르는 하천으로, 안평면 삼촌리 중송지에서 발원한다. 중송지 일원에서 남쪽으로 흐르며 하령리, 창길리, 기도리, 박곡리, 괴산리, 마전리, 도옥리, 대사리, 봉양면 사부리를 거쳐 봉양면 화전리에서 쌍계천으로 유입된다. 4차수 하천인 금당천·괴촌천·신안천이 흘...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주변의 송곡동과 태양동, 시동의 일부와 현동면의 운곡동, 용강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태양동의 ‘양’자와 송곡의 ‘곡’자를 따서 양곡이라 하였다. 태양(太陽)은 1359년 고려의 유신인 강릉 김씨 김사민(金俟民)이 남하하여 마을을 이루면서 붙인 명칭이며, 송곡(松谷)은 솔숲이 우거진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
-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 성암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양덕 저수지는 지방도 923호선 서쪽에 연접해 있는 농업용 2종 저수지이다. 양덕 저수지의 서쪽으로는 의성군 구천면과 단밀면으로 위천이 흐르고 있고, 지방도 923호선 동쪽에는 의성군 단북면 효제리에 소재한 2종 저수지 선안지가 있다. 양덕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46년 1월 1일 착공...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양곤동(陽昆洞)의 ‘양’자와 이웃 서동동(西東洞)의 ‘서’자를 따서 양서라고 오늘날까지 부르게 되었다. 비봉산의 ‘봉(鳳)’은 대나무 열매[竹實]를 먹고 산다하여 마을 이름을 곤대[昆竹]라 하였으며 양지쪽에 있는 마을을 양지 곤대, 음지쪽에 있는 마을을 음지 곤대라 하였고, 이를 줄여서 양곤(陽昆), 음곤...
-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에 속하는 법정리. 양지(陽地)는 조선 세조 때 박성양(朴成陽)의 손자인 박유부(朴有阜)가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에 따라 양지 바른 곳에 터를 정하면 후손이 번창한다는 말을 듣고 이웃 마을인 들감[上佳山]에서 이곳으로 정착하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양지 마을 반대편 동쪽에는 음지 마을이 있는데, 여흥 민씨(驪興閔氏)가 정착하면서 생긴 마을이다. 음지 마을은 후에...
-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양지는 본래 경상북도 의성군 내사면의 지역으로, 양지골, 양지마라고 불려졌다. 양지바른 곳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자연 마을 중평(中坪)은 귀평과 월평의 중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귀평 1598년 이자남이 개척한 마을로 뒷산에 거북이를 닮은 바위가 있어서 그렇게 불렀다 한다. 구눌(求訥)은 조선 후기 정호공이 마을을 개...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금오리와 청송군 현서면 월정리에 걸쳐 있는 산. 어봉산은 높이가 634.2m로, 쌍계천으로 유입되는 소지류인 금오천과 청송군 길안천의 분수계이다. 어봉산의 서쪽 사면을 따라 금오천이 발원하여 북서류하여 쌍계천으로 흘러들어가며, 어봉산의 동쪽 사면에서 발원하는 하천들은 길안천으로 유입된다. 사금령~어봉산~문수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은 금오천와 길안천을 나누는 분수...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언론과 출판 활동. 2012년 현재 의성 지역 언론사는 『의성 신문』 1곳, 인터넷 신문 3곳이 활동하고 있으며 출판물은 의성 문화원과 그 산하 단체에서 발간하는 정기 간행물 등이 있다. 1. 종이 신문 1990년 창간된 『의성 신문』은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상리리 574-5번지에 사무실을 두고 있으며 격주로 발행되고 있는 지역 신문이다. 의성...
-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독자적 언어 체계와 언어 현상. 의성은 경상북도의 중앙에 자리 잡고 있어서 다양한 언어 변화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면 단위의 지역별 분화는 물론 노년층과 젊은층 사이의 세대차도 함께 나타나고 있다. 의성군은 경상북도의 중앙에 자리 잡고 있는데 남북 간의 길이가 짧은 반면에 동서 간의 길이는 길다. 북쪽으로는 경상북도 안동시와 예천군에 접해 있고, 동쪽으로는...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화전리에 있는 의성 중부 농협 소속 풍물단. 얼뿌리 하나로 풍물단은 전통 가락인 장구 문화를 지역 사회에 보급, 발전시키고 회원 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하여 지역 문화 발전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애향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얼뿌리 하나로 풍물단은 매년 각종 경연 대회와 관내 크고 작은 문화 행사와 축제에 참여하여 공연 활동을 벌이고 있다. 주요 수상 경력...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업 1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의성군 의성읍 업 1리 마을 입구의 숲인 업리 763번지에 위치하고 있는 당목에서 매년 음력 정월 열 나흗날 자정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업 1리 동제의 연원과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목적으로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예전에는 제관을...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업리에 있는 터널. 중앙선 철도가 통과하는 지점인 의성읍 업리의 업동 마을 지명을 따서 업동굴이라 하였다. 업동굴은 업리의 업동 마을을 통과하는 중앙선의 교통 안전성과 소요 시간 단축을 위하여 건설하였다. 중앙선 우보~안동 구간의 건설 시기인 1937년 8월 7일 착공하여 1940년 3월 1일에 준공하였다. 중앙선 철도 의성역과 단촌역 사이 구간 중에서 해발...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 속하는 법정리. 업리라는 이름은 업동(業洞)에서 유래되었다. 업동은 마을 뒷산에 있는 용(龍)의 형상을 한 바위에 가서 정성껏 치성을 드리면 업(業)을 얻어 득남한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 하고, 이 골짜기를 업골[業谷]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인 우두동은 업동 서남쪽에 있는 마을로 지형이 쇠머리처럼 생겼다. 이외에도 살구나무에 둘러싸인 행촌, 무당이 많이 거...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업리에 있는 재실. 업리 모선재는 김구정(金九鼎), 김자첨(金子瞻), 김극해(金克諧)의 묘소를 수호하기 위해 건립한 재사이다. 업리 모선재는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행촌길 28-1[업리 61]에 있다. 의성읍사무소가 있는 북원 사거리에서 의성 북부 초등학교 방면으로 약 1,350m 가다가 우측에 위치한 LPG 주유소를 끼고 우회전하여 직진하면 행촌이 나온다....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신평리에 있는 화성 산업의 생산 공장. 화성 산업은 1958년 설립되어 주택, 건축, 토목, 환경, 플랜트 등을 전문적으로 생산·공급하고 있는 최고의 핵심 역량을 갖춘 회사이다. 본사는 대구광역시에 있으며 의성군 봉양면에 화성 산업 의성 공장이 있다. 화성 산업은 1958년 9월에 설립되었으며, 1972년 7월에는 동아 백화점을 개점하여 대구광역시·경상북도...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여성의 권익 증진을 위해 전개하는 활동. 여성 운동은 여성의 권리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 운동이며,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지위와 권리를 확보하고, 여성 스스로 직업과 생활양식을 결정할 수 있는 자유를 획득하기 위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을 말한다. 우리나라 여성 운동은 개화기 및 일제 강점기 치하의 사회적 여건과 민족적 요청...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상리리에 있는 여호와의 증인 교회. 여호와의 증인은 1872년 미국에서 러셀이 창립한 기독교 계열의 신종교이다. 1916년 러셀 사후 러더퍼드가 승계하면서, 교리의 가르침에 성실한 회원을 ‘여호와의 증인’이라고 부르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에는 1912년 선교사 홀리스트가 전도 활동을 펴면서 전래되었다. 여호와의 증인은 일반적인 기독교와 달리 목사나 전도사 등...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무대에서 연기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종합 예술 분야. 우리나라의 전통극으로는 기본적으로 가면극[탈춤], 인형극[꼭두각시 놀음], 일종의 음악극이라 할 수 있는 판소리, 그림자극 네 가지가 대표적이다. 전통 극은 주로 촌락의 제의나 행사, 또는 전통 장시의 장날에 맞추어 행해지기도 했다. 이러한 전통극 가운데는 지역적 특색을 띄는 것도 있으나, 현재까지 알려져...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매년 음력 정월 대보름에 바람을 이용하여 연을 하늘에 띄우는 놀이. 연날리기는 종이에 댓가지를 가로세로로 붙여 만든 연을 바람을 이용해 하늘에 띄우는 것이다. 의성 지역에서는 주로 정월 대보름날이나 ‘의성 국제 연날리기 대회’ 때 의성군 안계면에 있는 위천(渭川) 둔치에서 행해지고 있는 민속놀이이다. 현재의 연날리기는 1980년에 ‘의성 민속연 보존회’를 창...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시안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연저수지는 대구에서 국도 5호선, 중앙 고속 도로를 이용하여 의성 IC에서 내려 안계 방면 국도 28호선을 따라 가다 안계면 소재지를 막 벗어나면서 우측으로 행복 웨딩이 있는 곳에서 우회전하면 시안리에 있는 2종 저수지이다. 옛날 옛적에 연저수지 자리에는 민가가 있었으며, 그 집에서는 옥동자를 분만하였는데 태어난 아이는 그...
-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병합된 지역 중 상연동[상련동]과 우제동에서 한 글자씩 따서 연제동이라 한 데서 유래되었다. 자연 마을인 상연 마을(上連 마을) 일대는 3개 마을이 연결되어 있는 곳으로, 위치에 따라 상연(上連)·중연(中連)·하연(下連)이라 불렀는데, 상연 마을은 그 중에 가장 위쪽에 위치한 마을이며, 이곳에서 아홉 마리의...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전통 시장. 시장은 일반적으로 상설 시장과 정기 시장으로 분류된다. 상설 시장은 일정한 지역에서 사람들이 항상 상품의 매매와 교환을 하고 있는 시장을 말하며, 정기 시장은 일정 구역 내에서 정기적으로 열리는 시장을 말한다.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시장은 상설 시장 1곳, 정기 시장 9곳이며, 상설 시장은 의성읍에 자리 잡고 있다. 정기 시장은 의...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전문 의료 기관. 영남 제일 병원은 의료 시설이 충분하지 못한 의성 지역에서 지역 의료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설립되었다. ‘건강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항상 믿고 찾을 수 있는 병원’이라는 경영 이념 아래 지역의 전문화된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영제 의료 재단의 의료 기관이다. 영남 제일 병원은 2000년 8월 1일에 설립하여 2007...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농업 경영인을 위해 활동하고 있는 법인 또는 단체. 영농 조직은 회원 상호 간의 권익 보호와 정보 교환, 보조금 수령을 위한 낮은 수준의 조직화 단계에 있다. 공동 생산, 공동 구매, 공동 판매 활동을 통한 생산비 절감, 거래 비용의 최소화, 유통 마진의 극대화를 위한 구속력 있는 농가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영농 단체로는 의성군이 지원하여...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매년 음력 2월에 바람 신인 영등할머니를 모시는 풍속. 영등할머니는 바람의 신인데, 평소에는 인간의 삶에 관여하지 않다가 1년에 한 번 2월 초하룻날 지상으로 내려온다고 한다. 영등할머니가 지상으로 내려올 때 딸이나 며느리를 데리고 오는데 만약 바람이 불면 딸, 비가 오면 며느리를 데리고 온 것이라고 여긴다. 이는 딸을 데리고 올 때는 바람을 일으켜 함께 오...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연속 촬영한 필름 영상을 보여주는 행위 및 그 작품. 의성 지역의 영화 관련 시설, 활동에 대해서는 이렇다 할 내용이 없다. 영화 시설이 없는 점을 감안하여 의성군에서는 1999년 개관한 의성 문화 회관에서 정기적으로 영화를 상영하고 있다. 또한 안계 청년 회의소 주관으로 안계면 사무소 전정에서 야외 영화 상영을 개최하여 많은 지역 주민들의 문화생활 향상에...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초전리와 봉양면 풍리리에 걸쳐 있는 산. 조문국 시대에 봉황이 깃들기를 염원하기 위해 오동산으로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본래 봉황은 오동나무를 좋아하는 새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조문국 사람들은 금성산과 비봉산에 노니는 봉황이 이 지역에 머물러 있기를 바라는 심정으로 이 산 이름을 봉황이 좋아하는 나무인 오동나무에서 그 이름을 딴 오동산(梧桐山)이라고 지었다...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 속하는 법정리. 오로리는 북쪽으로는 남대천이 굽이쳐 흐르는 연안에 비교적 넓은 충적 평야가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삼면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마을의 서쪽으로 중앙선 철도와 국도 28호선이 관통하고 있다. 자연 마을로는 정자동, 먹골, 큰골, 수음골, 온옥골, 새동네가 있다. 오로리(五老里)로 불리게 된 데에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오토산(五土山)...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의성군 옥산면 박달동, 개일동, 초방동, 유동, 진목동을 병합하여 오류동이라고 하였다. 유동(柳洞)은 어장백이라는 의병장이 이곳을 개척하면서 외부에서 안을 볼 수 없도록 하기 위해 마을 입구에 버드나무를 심은 데서 유래되었다. 박달(朴達)은 박진영이라는 선비가 이곳에서 피난을 하면서 개척하였으며 마을 중앙에...
-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오동과 상리의 이름을 따서 오상동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 오동(梧洞)은 16세기 말 이희정이 임진왜란을 피해 오토산(五吐山) 기슭에 피신하다가 이 마을을 개척할 때 마을의 뒷산 모양이 학이 북쪽으로 향해 날아가는 형상인데, 본래 학은 오동나무 위에 앉아 있는 것을 좋아하므로 마을 이름을 오동이라 하였다 한다....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오로리와 사곡면 토현리에 걸쳐 있는 산. 오토산을 중심으로 다섯 갈래의 큰 지맥이 뻗어져 나와 있으며, 그 지맥마다 명산이라고 하여 오토산이라고 부른다고 하는 설이 있다. 또한 과거 대홍수가 일어나 물이 세상을 다 덮었을 때 산 정상부가 오리 머리 만큼 걸렸다고 하여 오토산이라고 불렸다고 하는 설도 있다. 또 다른 설은 오토산 동쪽 산록에 의성 김씨 첨사공(...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황룡리 구사지에서 발원하여 명고리를 거쳐 사촌리에서 미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옥곡천은 미천의 지류 하천으로 의성군 점곡면 황룡리 구사지에서 발원하여, 점곡면 황룡리와 명고리를 따라 북류하다가 점곡면 사촌리 가로숲 부근에서 미천으로 합류한다. 옥곡천은 4개의 3차수 하천이 만나 4차수 하천을 이루는 하천으로, 길이는 7.7㎞이며, 하폭은 30m 미만이다. 옥곡...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입암리에 있는 전통 시장. 시장은 일반적으로 상설 시장과 정기 시장으로 분류된다. 상설 시장은 일정한 지역에서 사람들이 항상 상품의 매매와 교환을 하고 있는 시장을 말하며, 정기 시장은 일정 구역 내에서 닷새마다, 또는 열흘마다 한 번씩 정기적으로 열리는 시장을 말한다. 의성 지역의 시장은 상설 시장 1곳, 정기 시장 9곳이며, 상설 시장은 의성읍에 자리 잡...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구성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올바른 인성과 창의력을 지닌 인재 육성을 위하여 바른 생활 실천을 통해 지키고 베풀 줄 아는 사람을 기른다, 기본 교육을 충실히 하여 자기 주도적인 개성 있는 사람을 기른다, 창의력 계발을 통해 미래 사회를 선도할 실력 있는 사람을 기른다, 쾌적한 교육 환경 조성을 통해 교육력을 제고 시킨다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나...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행정 구역. 옥산(玉山)은 1350년경 마을이 형성될 때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입암리 뒷산의 흙색이 푸르고, 옥돌이 발견되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라고 한다.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은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과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이 연접된 곳으로 본래 36개 동을 관할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정자동(亭子洞)·감계동(甘溪洞)·실업동(實業洞...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구성리에 있는 옥산면 관할 행정 기관. 의성군을 구성하고 있는 1개 읍 17개 면 중 옥산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옥산면사무소는 의성군 옥산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옥산면은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과 청송군 현서면이 연접된 곳으로 처음 35개 동이었으나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1...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폐합 때 경상북도 비안군 군내면의 옥포동과 구연동의 이름을 따서 옥연동(玉淵洞)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 옥포는 마을 뒷산에 옥바위가 있어 마을의 수호신으로 모시고 있으며, 마을 앞산은 소쿠리 모양으로서 마을을 감싸고 있는 지형이므로, 옥을 감싼다는 뜻으로 옥포라 하였다고 한다. 갓동네는 옥포 뒤에 있는 마을로, 가장 가...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을 진행하면서 자연 마을 옥정의 이름을 따서 옥정리라 하였다. 옥정(玉井)은 개척 당시 마을 앞 산봉우리가 구슬을 갈아 놓은 것 같다 하여 ‘옥’자를 따고, 마을 서편에 맑은 우물이 있어 옥정(玉井)이라 불렀다. 자연 마을 등평(登平)은 1597년 개척 당시 마을 뒷산이 칡넝쿨[등나무 넝쿨]이 우거져 있어 등평(藤平...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옥정 3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춘산면 옥정 3리 주민들은 마을의 끝자락에 있는 복두산 밑 복두사의 산신각[춘산면 현리 676]에서 매년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옥정리 동제의 연원 및 시기는 알 수 없으며, 주민들은 마을의 제일 큰 어른을 위해서 동제를 지낸다고 이야기 한다. 과거 10여 년...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도경리와 군위군 우보면 두북리에 걸쳐 있는 산. 왕제산의 높이는 320.3m로, 북쪽 사면은 쌍계천으로 유입되는 소지류 하천의 발원지에 해당되며, 남쪽 사면은 위천으로 유입되는 소하천의 발원지로서 두 하천을 구분하는 분수계의 역할을 한다. 왕제산을 구성하고 있는 기반암은 중생대 백악기 하양층군에 속하는 일직층으로 사암, 자색 및 암회색 셰일, 역암으로 구성된...
-
경상북도 의성군을 상징하는 군조(郡鳥). 왜가리는 백로라고도 불리우며, 의성 지역에 서식하는 황새목 백로과에 속하는 여름새이다. 몸길이 76㎝, 날개 길이 42~48㎝, 꼬리 길이 16~18㎝, 몸무게 1.1~1.3kg 정도이다. 온몸은 회색을 띠고 갈색인 다리는 길다. 부리는 황갈색 또는 적황색이며 홍채는 황색, 눈 주변의 피부는 녹황색을 띤다. 등은 회색, 배와 머리는 흰색이며...
-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 중율리, 단촌면 구계리, 의성읍 팔성리 일대에 있는 왜가리 집단 서식지.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 중율리, 단촌면 구계리, 의성읍 팔성리 일대에는 왜가리가 대규모로 서식하고 있다. 매년 신평 왜가리 축제가 개최되고 있으며, 왜가리 전통 생태 마을을 조성하는 사업 또한 벌이고 있다. 왜가리는 의성군을 상징하는 군조이기도 하다. 왜가리는 몸길이 76㎝, 날개 길이...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폐합 때 자연 마을인 일곡, 성곡, 자포곡을 합하여 바깥쪽 골짜기라는 의미로 외곡(外谷)이라 이름 붙였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경상북도 비안군 내북면의 자포동, 일곡동, 성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의성군 비안면 외곡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동을 리로 개칭하면서 외곡리가 되었다. 자연 마을 일곡...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내산정동, 외산정동, 고락동 일부를 병합하여 외산정동의 이름을 따서 외정동이라 하였다. 외정은 본래 산 안에 맑은 물이 흘러넘치는 우물이 있어 산우물[山井]로 불리다가 일제 강점기에 행정상 안 산우물은 외정 1리, 바깥 산우물은 외정 2리로 개편되어 외정으로 불리고 있다. 구지동은 못이 아홉개가 있다 하여...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요리 동아리. 요리 동아리는 의성 문화원 소속이며 의성군으로부터 사회단체 보조금을 받고 있는 문화 단체이다. 요리 동아리는 의성 군민 식생활 개선과 건강 증진에 일익을 담당하며 회원 상호간의 요리 기술 향상과 친목 도모를 목적으로 2006년 6월 23일 설립[초대 회장 이화자]되었다. 요리 동아리의 주요 사업과 활동은 요리에 대한 기술 발표 및 정...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용곡리에 있던 옛 나루터. 큰 강은 내륙 지방에서의 주요한 교통수단의 하나로 사용되었으나 때로는 지역과 지역의 흐름을 방해하기도 했다. 이에 지역 간의 흐름을 이어주기 위하여 배를 이용하여 강이나 내를 건너다닐 수 있도록 큰 강 유역에는 수많은 나루터가 만들어졌다. 용곡 나루터도 그 중 하나로, 아득한 예부터 낙동강을 가로질러 남북을 내왕하는 길손들이 끊임없...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을 통합하면서 경상북도 비안군 현내면의 반용동과 우곡동의 이름을 따서 용곡동이라 하였다. 동동(東洞)은 고려 말 밀성 고을이 현재 양서 2리에 위치였는데 밀성 마을의 동쪽에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반용(蟠龍)은 조선 후기 광해군 때 정변으로 좌승지 김진수가 도피처를 찾아 낙동강을 따라 내려오다가 풍양면 경계 섬바산...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경상북도 비안군 단서면의 돌이비, 수월, 뉘실, 신천을 병합하여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용곡동(龍谷洞)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 돌이비는 조선 시대에 개척되었으며 마을 뒤편에 나정승(羅政承)의 하마석(下馬石)이라는 비석이 있기 때문에 이를 돌아서 다녔다녔기 때문에 마을 이름을 돌이비라 불렀다 한다. 그 후 신...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용제와 장기의 이름을 따서 용기동이라 하였다. 안계 시장의 동북쪽으로 구릉을 넘어서는 곳에서 고려 고종 때 박가검이란 선비가 용이 승천(昇天)하는 것을 보고 그 곳을 팠더니 물이 솟았다 하여 용샘[龍泉]이라 하고, 이 지역을 용기리라 부르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자연 마을 새장선은 일제 강점기에 장선에...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병합하면서 용동과 내남동, 외남동의 이름을 따서 용남동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 용동은 마을 개척 당시 닥나무가 많아 닥나무골이라 하였으나, 마을 옆에 용천(龍泉)이라는 우물이 있어 용동이라고 개칭하였다 한다. 진등은 마을 산의 능선이 길어서, 긴등이 되었는데 긴을 방언 진으로 발음하여 진등이라 한다. 안남산...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용남 2리 안남산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의성군 비안면 용남리 안남산 마을은 마을 회관 왼편 비안면 용남리 산13-1번지에 있는 입석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매년 동제를 지내고 있다. 용남리 안남산 마을 동제의 연원과 시기는 알 수 없다. 동제를 처음 지냈을 때는 안남산 마을과 외남산 마을 주민들이 함께 했...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용남 2리 외남산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의성군 비안면 용남2리 외남산 마을에서는 마을 중간인 용남리 250-1번지에 위치한 당목에서 매년 정월 대보름 아침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용남리 외남산 마을 당목은 원래 소나무였으나, 당목이 고사한 이후 느티나무를 식목하여 동신나무로 모시고 있다...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용을 신격화하여 모시는 가신 신앙의 한 형태. 용단지는 용을 신격화하여 모셔두는 단지로, 용신은 농사의 풍작·다산·재물 등을 관장하는 농경신 또는 재산신으로 받들어진다. 용단지는 용이 드는 자리에 위치하는데 용이 든다는 것은 가정에 재산을 늘려주고 수호해준다는 의미가 있다. 그래서 대체로 용단지를 곡물이 드나드는 부엌에 둔다. 그 밖에 사람이 볼 수 없는 곳...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단북면에서 다인면으로 편입되면서 용산의 용자와 무릉의 무자를 합하여 용무리가 되었다. 용산(龍山)은 마을 뒷산이 용같이 새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이정시라는 선비가 개척하였다고 한다. 무리 혹은 무릉(武陵)은 임진왜란 전후에 금도평(琴道平), 최경(崔璟) 두 사람이 산수가 아름다운 이곳을 정착하여 개척했는데, 특히 봄철에 복숭아꽃이 산야...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날 우물물을 긷던 풍속. 용물뜨기란 정월 대보름 새벽에 우물물을 떠오는 것이다. 이 행위는 집안에 복을 가지고 오는 것을 의미한다고 믿었기 때문에 복(福)물, 수복수(壽福水), 복물뜨기, 복물 퍼오기, 새알 뜨기라고도 하는데, 그 의미는 모두 같다. 용물뜨기는 농사에 필요한 물과 관련된 속신 행위이다. 즉 비를 상징하는 용과 마르지 않는 우물에 대...
-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앞 뒤 산의 봉우리가 용이 엉켜 있는 형상이라 하여 마을 이름을 용분(龍粉)이라 하였다가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용봉리라 하였다. 자연 마을 큰마을은 이 마을에 호수가 제일 많다 하여 붙은 이름이고, 감지박골은 이 마을의 형상이 큰 개가 강아지의 젖을 먹이는 형상이라 하여 붙은 이름이다. 어부곡은 마을의 형상이 어부가 낚시...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용사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구천면 용사 3리는 마을에 인접한 논과 민가 사이의 도로변에 위치해 있는 당목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매년 동제를 지내고 있다. 의성군 구천면 용사 3리 동제의 연원과 시기는 알 수 없다. 1990년쯤에 당목이 쓰러져 한 해 동제를 지내지 않아 마을 사람이 죽는 흉한 일이 발생한 뒤로...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폐합 때 병합된 지역 중 용신동, 상사동·하사동에서 한 글자씩 따서 용사(龍蛇)라 이름을 붙였다.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경상북도 비안군 단동면의 간제동, 상사동, 하사동, 용신동, 신천동 일부와 비안군 외서면의 비산동 일부를 병합하여 구천면 용사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동을 리로 개칭하면서 용사리...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용신을 위하여 지내는 민간 의례. 용신은 재래의 수신 신앙에 불교, 도교의 용신이 습합되어 형성된 신격으로, 호법신·호국신으로서 불교적·국가적 차원의 제향 대상이 되었을 뿐 아니라 풍년·풍어·기우·풍파 조절의 기원 대상으로서 무속 및 가신 신앙 차원의 제향 대상이 되었다. 의성 지역에서는 용신맞이를 대체로 풍년을 위한 의례로 지내고 있다. 용신에 대한 숭배는...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위중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용암 저수지는 의성군 단밀면을 관통하는 지방도 912호선 남쪽에 연접해 있는 농업용 1종 저수지이다. 용암 저수지의 북쪽으로는 단밀면사무소가 있으며, 동쪽으로는 위천이 흐르고 있다. 용암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45년 2월 2일 착공하여 1958년 12월 30일 준공하였다. 공사비는 총...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에 북부면의 시동과 상신동, 하신동을 병합하면서 시동의 ‘시’자와 상신, 하신의 ‘신’자를 따서 시신동이라 하였다. 또한 1870년경 아주 신씨 신봉석(申奉錫)이 처음으로 이곳에 정착하여 새로운 마을로 개척한 동네라고 하여 시신동(是新 洞)이라 하였다는 설도 있다. 하지만 시신(屍身)과 동음어로서 어감 좋지 않...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용연리에 있는 조선 시대 재실. 용연리 자족재(龍淵里 自足齋)는 신봉석(申鳳錫)[1631~1704]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아주 신씨 문중의 재사이다. 신봉석은 의성현(義城縣) 출신의 조선 후기 유학자로 자는 석여(錫予)이고, 호는 자족재(自足齋)이다. 1655년(효종 6) 응제시(應製試)에서 장원으로 급제하여 효종에게 지필묵(紙筆墨)을 받은 바 있으며, 저...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삼분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용천 저수지는 삼분리에 있는 2종 저수지다. 삼분리의 유래는 마을 개척 당시 주위 세 곳에서 물이 많이 솟아오르므로 삼분으로 하였으며, 뒷날 세 곳의 물줄기를 잡아서 도관지, 삼풍지, 용천지라는 저수지를 만들었다. 또 다른 유래는 이 지역에 고분이 세 군데가 있어서 삼분이라 한다. 국도 28호선을 따라 경상북도 예천 방면으...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병합된 후천동에서 ‘천(川)’자를 따고, 마을 앞 위천(渭川)에 용소(龍沼)가 있으므로 ‘용(龍)’자를 따서 용천동(龍川洞)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로는 용천 1리에 뒤천[후천(後川)], 용천 2리에 선마[서원 마을] 등이 있다. 뒤천은 위천을 경계로 옛 비안군의 소재지[현재 비안면 동부리·서부리]에서 뒤쪽에...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운곡리는 약 500년 전 마을을 개척할 때 지대가 높아서 늘 구름이 끼므로 운곡(雲谷)이라 하였다 한다. 운곡의 동쪽에 있는 마을을 섬듬, 중앙에 있는 양지바른 마을을 양지듬, 북쪽 응달에 있는 마을을 음지듬이라 한다. 본래 의성군 상천면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운곡동, 신기동, 구로동을 병합하여 의성군 산운면 운...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시대 역촌(驛村)으로 가는 길목으로서 고을 원님이 이 마을을 지나다가 산수가 좋아 자주 쉬어 갔는데, 고을 원님이 머무는 집이 있었다는 뜻에서 원당(元堂)이라는 이름이 생겼다. 다릿골은 마을 앞 도로에 다리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은 이름이다. 약 600년 전 의성 김씨가 개척하여 음지에 있는 마을은 음지 혹은 음원(陰元)으로 불리었고...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에 있는 원불교 교당. 원불교는 1916년 박중빈이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창립한 신종교이다. 박중빈은 장차 미래 세계가 물질 문명의 발달로 인해 정신 문명이 약화될 것을 예견하고, 인류의 정신 문명을 이끌어 나갈 새로운 종교로서 원불교를 개창하였다. 원불교의 궁극적 진리는 법신불 일원상(法身佛 一圓相)으로, 진리에 합일하고 인격을 완성하기 위한 수행을 강...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월소리와 쌍호리를 연결하는 다리. 월소교는 군도 17호선에서 안사면 월소리와 쌍호리를 연결하는 교량으로 쌍호 초등학교 남쪽에 준공되어 있다. 낙동강의 지류 하천인 신평천을 건너가기 위한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1995년에 왕복 2차선으로 준공되었다. 교량이 가설된 지역인 안사면 월소리의 이름을 따서 월소교라고 부르게 되었다. 월소리(月沼里)라는 명칭은 1692...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월곡동의 월(月)자와 모소동의 소(沼)자를 합하여 월소라 하였다. 월곡은 마을 지형이 반달처럼 생겼다 하여 붙은 이름이라고도 하며, 마을을 감싼 미륵산이 반월 같아서 붙여졌다고도 한다. 모소(毛沼)는 앞산이 붓 모양으로 생겨 못이 있어야 흥성한다고 해서 마을 앞에 못을 파고 모소라 칭하였다 한다. 기왓골은...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음력 정월 대보름에 마을의 부녀자들이 손을 잡고 노래를 부르며 노는 놀이. 월월이청청은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음력 정월 대보름날 저녁에 마을의 부녀자들이 손을 잡고 둥글게 원을 그리며 돌면서 노래를 부르고 노는 민속놀이이다. 월월이청청은 놀이를 하는 동안 부르는 민요의 후렴구 ‘월이청청’에서 딴 이름으로 임진왜란 때 왜장 가토 기요마사가 지나간 곳이라 하여...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용남리와 구천면 위성리를 연결하는 다리. 위성교는 비안면을 남동-북서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국도 28호선과 구천면을 남-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지방도 923호선을 이어주는 동-서 방향의 군도 14호선에 준공되어 있다. 비안면 용남리와 구천면 위성리 지역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르고 있는 위천에 의해 단절되어 있어 이를 건너가기 위한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1976...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위성리(渭城里)는 위천(渭川)의 교량이 개통되기 전에는 진입이 불편했던 곳으로, 위성이란 이름은 글자 그대로 위천이 성(城)처럼 가로막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되나, 그 유래는 분명하지 않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경상북도 비안군 내서면의 구천동, 산구동, 용점동, 용천동을 병합하여 의성군 구천면 위성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위천이 마을의 남쪽에 있다는 뜻으로 위양동이라 칭하였다. 자연 마을 당평은 이 마을을 개척할 당시 마을 앞 개울에 당나라 장수가 심은 당수라는 나무가 있어서 붙은 이름이라고도 하고, 마을 앞 개울가에 지당(池塘)이 있고 넓은 평야가 있어서 지당과 평원에서 한글자씩을 취하여 지어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강촌은 조선...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위양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의성군 안계면 위양리에 위치한 원골 마을은 마을 입구의 팽나무에서 매년 정월 열 나흗날 자정이 되면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낸다. 원골 마을의 당목은 위양리 240번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마을 입구의 첫 번째 팽나무이다. 당목 옆에는 입석이 있다. 위양리 원골 마을 동제는 약 3...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도덕리 돌고개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흐르다가 위양리에서 위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위양천은 위양리 일대를 흐르는 하천으로 안계면 도덕리 돌고개에서 발원하여 봉양리의 개천 저수지를 지나 위양리에 이르고, 다시 남서쪽으로 흐르다가 위천과 합류한다. 3개의 3차수 하천이 합쳐져 4차수 하천을 이루며, 본류에 해당되는 4차수 하천의 구간은 3.4㎞ 정도이다. 개천 저...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병합된 경상북도 비안군 단서면 위성동, 주중동, 용암동, 주하동, 도호동에서 위성과 주중의 이름을 따서 위중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자연 마을 저곡(渚谷)은 흥양 이씨가 정착하면서 마을 앞에 위천이 깊게 흐른다고 불렀는데 지곡으로 변절되어 불려 왔다. 주미(住尾)는 구씨·나씨·정씨·이씨 등이 마을을 개척하여...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위중 2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의성군 단밀면 위중 2리에서는 마을 가운데 위치하고 있는 세 그루의 당목에서 매년 정월 열 나흗날 자정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위중리 동제를 지내고 있다. 위중리 동제의 연원은 알 수 없으며, 시기 또한 당목의 나이를 통해 약 300년 전쯤으로 추정 하고 있을 뿐이다. 전해지는 것...
-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학암리에서 발원하여 의성군 비안면, 구천면, 안계면, 단밀면, 단북면, 다인면을 거쳐 흐르다가 상주시 중동면 우물리에서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의성 관내로 들어온 위천은 비안면 옥연리에서 동쪽으로 흐르다가, 쌍계리에서 쌍계천과 만나 7차수 하천을 이루고, 서쪽으로 계속 흘러 구천면·안계면·단북면·단밀면을 지나 다인면 용무리에서 상주시 방면으로 빠져 나간다...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철파리와 안평면 신월리를 연결하는 고개. 윗재의 서쪽 계곡은 괴곡천의 발원지에 해당되며 동쪽 계곡은 남대천으로 유입되는 소하천이 발원한다. 윗재 주변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암석은 중생대 백악기 하양층군 일직층에 해당되는데, 일직층은 적색, 녹색, 회색 및 흑색 실트스톤, 사암, 셰일, 역질 사암, 석회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퇴적암이다. 윗재와 연결된 산지...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공자의 사상과 관련하여 행해지는 학문과 의례 및 활동 일반. 유교는 자기 수양을 통한 경세 치민의 도리를 밝힌 공자의 가르침이다. 흔히 유교가 내성외왕(內聖外王), 즉 안으로는 자기를 닦아 성인의 경지에 이르고 밖으로는 그 덕을 실천하여 문물과 제도를 만들어 만민을 교화할 수 있는 지위인 임금에 오르는 것을 궁극의 경지로 말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러한...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유산리(酉山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 유산(酉山)에서 나온 명칭으로, 마을의 방향이 유좌 묘향(酉坐卯向) 즉, 유방(酉方)[서쪽]을 등지고, 묘방(卯方)[동쪽]을 향한 방향이라 유산이라 하였다 한다. 마을 뒷산 형국이 소가 누워 있는 와우형(臥牛形)이라 한때 우산(牛山)이라 하기도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경상북도 비안군...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유산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의성군 구천면 유산리에서는 구천면사무소 뒤편 유산리 594번지에 위치해 있는 마을 회관 옆의 느티나무 당목에서 매년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의성군 구천면 유산리의 입향조는 초계 변씨로 조선 세종 때에 마을을 창건하였다고 전해진다. 스승, 제자, 시중 등 세 명의 스...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재화 및 서비스가 생산자에서부터 최종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여러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활동. 유통업은 농·임·축·수산물 및 공산품의 도매·소매·보관·포장 및 이와 관련된 정보·용역의 제공 등을 목적으로 하여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각종 상품을 도·소매하는 것을 주로 하는 산업이다. 대체로 통계청에서 고시한 한국 표준 산업 분류 중 도매 및 소매업과 그 범위가 유사하...
-
1950년~1953년까지 북한의 남침으로 경상북도 의성 지역을 포함한 대한민국 전역에서 일어난 전쟁. 6·25 전쟁은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선제 공격에 의해 1953년 7월 27일까지 3년 1개월 동안 전개된 전쟁이다. 수백만의 인명이 희생되고 셀 수 없을 정도의 물적 기반이 파괴된 민족 간 전쟁으로, 유엔 연합군과 중국군이 참전했다는 점에서 국제전으로서의 성격을 띠고 있...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윤달을 맞아 하는 풍속. 윤달[閏月]은 태음력(太陰曆)에서 일 년 열두 달 외에 불어난 어느 한 달을 말하며, 태음력에서 날짜가 계절과 한 달의 차이가 생기는 것을 조절하기 위해 두 번 거듭되는 달을 말한다. 윤달은 공달[空月], 덤달, 여벌달, 남은달이라고 부른다. 속담에 “윤달에는 송장을 거꾸로 세워 놓아도 아무 탈이 없다.”라고 할 만큼 윤달은 무탈한...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윤암리라는 이름은 1914년 윤곡동, 서암동, 차동을 병합하면서 윤곡과 서암의 한 글자씩을 따서 붙여졌다. 자연 마을 윤곡동은 1652년 남해준(南海準)과 그의 아들 진주 목사(晉州 牧使) 남몽뢰(南夢賚)가 점곡면 월촌(月村)에서 이주한 마을이다. 옛날 중국 상(商) 탕왕을 보좌하여 하(夏)의 폭군 걸왕(桀王)을 타도한 성현 이윤(伊尹)과...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윤암 3리 각골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점곡면 윤암 3리 각골 마을은 노인정에서 동쪽으로 100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곡안지라는 저수지에서 매년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의성군 점곡면 윤암 3리 각골 마을의 동제당은 따로 존재하지 않으며, 노인정에서 동쪽으로 100m 정도 떨어진 곳에...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윤암 3리 서암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점곡면 윤암 3리 서암 마을은 마을 회관 북서쪽 50m정도 떨어진 당목에서 매년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점곡면 윤암 3리 서암 마을의 당목은 마을 회관에서 북서쪽으로 50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행정 주소로는 점곡면 윤암리 320번지이다. 점곡면...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행하는 편을 나눠 윷가락을 던져 승부를 겨루는 놀이. 윷놀이는 매년 정월 초부터 정월 대보름까지 의성 지역에서 남녀노소 구별 없이 함께 어울려 편을 나누고 네 개의 윷가락을 던져 말[馬]을 사용하여 승부를 겨루는 민속놀이이다. 윷놀이의 기원은 이익의 『성호사설』에 “윷놀이를 고려의 유속으로 본다.” 라는 기록과 중국의 『북사』, 『태평어람』 등의 문헌을 통해...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는 겉씨식물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침엽수. 의성군 일대에 분포하고 있는 은행나무는 도로변에 가로수로 많이 심고 있으며, 마을의 정자목으로 심기도 한다. 의성군에 분포하는 일반적인 은행나무는 둥근 기둥처럼 생긴 줄기에 가지가 많이 뻗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수고는 30m, 줄기의 지름은 2.5m까지 자란다. 껍질은 회색빛이 돌고 깊게 패여...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소리를 소재로 사상과 감정을 나타내는 예술 분야. 오래전부터 의성 지역에 전해져오고 있는 음악으로는 민요가 대표적이다.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의성 지역의 민요도 노동요, 의식요, 유희요와 같은 기능요가 다수를 차지한다. 기능요 가운데 노동요는 「베틀 노래」, 「길쌈 노래」 등의 길쌈 노동요가 많다. 반면에 밭갈기, 모내기, 밭매기, 논매기, 타작 등의 농업...
-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음지리는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 음지리는 마을의 앞과 뒤가 산으로 가려 일출이 늦고 일몰이 빨라 일조 시간이 적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자연 마을 지호동은 마을 입구 좌측에 자라처럼 생긴 산봉우리가 있고 그 앞에 깊은 소(沼)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며, 연풍(延豊)은 임진왜란 때 평해 황씨, 임씨 일가가 피난 와서 정착하였는데, 골이 깊...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하령리와 창길리에 걸쳐 있는 산. 응봉산(鷹峰山)은 매봉산으로도 불린다. 산봉우리에 항상 매가 앉아 있었기 때문이라고도 하고, 산 아래 창길리에서 바라본 모습이 매처럼 생겼다 하여 매봉산으로 부른다고도 한다. 다른 한편 매봉의 ‘매’가 산을 의미하는 ‘뫼’와 음이 유사하므로, 원래 높은 산봉우리라는 의미에서 매봉이라고 불렀던 것을 한자로 표기하면서 응봉산으로...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의례를 치를 때 특별히 준비하는 음식. 의성 지역에서는 예로부터 출생부터 관·혼·상·제의 통과 의례 등을 치를 때 특별한 음식을 준비하였다. 현재 의성 지역에서는 타 지역과 다른 특별한 의례 음식을 준비하지 않으나 제례 음식에서 마을마다 큰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의성 지역의 제례 음식은 마을의 역사, 위치, 동신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출산 후에...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입었던 의복 및 이와 관련한 생활 풍속. 의성 지역에서는 산업화 이전에는 삼베, 무명, 목화, 명주 길쌈을 통해 가정에서 손수 옷을 지어 입었다. 특히 의성 지역은 한국 최초의 목화 재배지로 현재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에 ‘문익점 면작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의성 지역 여성들은 어릴 적부터 길쌈과 바느질을 배웠고, 이를 통해 가족들의 의복을 제공하고 때로는...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생산되는 특화된 농산물. 경상북도 의성군 공동 브랜드 쌀로서 일품 벼 품종을 깨끗한 자연환경에서 재배하는 친환경 쌀이다. 의로운 쌀은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비안면, 구천면, 단밀면, 단북면, 다인면 등 6개 면 평야 지대에서 2005년 농약과 화학 비료를 줄이는 대신 유기질 비료를 사용하여 4,200㏊를 계약 재배하기 시작하였다. 서리 오기 직전에 수확하여,...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에 위치하는 가정 폭력 상담소. 의성 가정 폭력 상담소는 2005년 8월 1일 가정 폭력 및 피해자 보호 등에 대한 법률에 의거 개소한 가정 폭력 전문 상담소이다. 가정 폭력, 가족 간 갈등, 노인 문제, 청소년 문제, 자녀 문제 등 가정과 관계되는 문제에 대한 무료 상담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의성 가정 폭력 상담소에서는 이성간 폭력, 동거 혹은 친족...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에 있는 지역 봉사 단체. 의성 지역의 봉사 단체인 의성 건우회는 1989년 12월 20일 설립된 단체이다. 지역 선후배 회원 상호간 친목과 유대 강화, 상부상조의 협동 정신 발휘를 통한 의성 발전의 중추적 역할 수행, 의로운 의성 사람으로서의 기상과 긍지를 고취, 애향 정신의 함양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의성 건우회는 지역 봉사를 위하여 1989년에...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의성군 관할 치안 행정 기관. 의성 경찰서는 의성 군민들의 생명과 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고 범죄를 예방하는 치안 유지 활동과 교통 단속 및 교통사고 처리, 자동차 단속 등 공공의 안녕과 질서의 유지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의성 경찰서는 1910년 6월 대구 경찰서 의성 분파소로 설치되었다가 1945년 10월 21일 국립 경찰 창설과 동시에 의성...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에 있는 사립 고등학교. 실천 중심의 인성 교육을 강화하여 도덕적인 사람을 기른다, 미래 지향적인 교육 과정 운영을 통하여 창의적인 사람을 기른다,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사랑을 실천하는 아름다운 사람을 기른다, 쾌적한 최상의 교육 복지를 실현하여 행복한 사람을 기른다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정의(正義)·근검(勤儉)·이타(利他)’ 이다 의성...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생산되는 단맛과 매운 맛을 고루 갖춘 고추. 고추는 임진왜란을 전후 하여 중국이나 일본을 통하여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추에 대한 기록은 1614년 이수광의 『지봉유설』에 일본을 거쳐 온 것으로 왜겨자라는 표현이 발견된다. 그러나 일본 측 기록인 『대화본초(大和本草)』·『물류칭호物類稱呼』·『성형도설成形圖說』 등에는 우리나라 혹은 남만에서 온 것이라 기록되...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고추를 재배하는 농업인의 영농 단체. 의성 고추 생산자 연합회는 고추 생산자 조직의 규모화, 조직화를 통한 각종 정보의 공유, 선진 기술 보급 및 품종 향상, 공동 출하 등을 통한 농가 조직의 자생력 확보, 유통 마케팅 등에 공동 대응을 통한 시장 교섭력 향상, 실용 가능한 정책 방향 제시, 온난화에 따른 작물 재배 환경 변화 등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해 설...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도동리에 있는 전통 시장. 공설 시장은 지방 자치 단체나 법인체가 필요한 시설을 설치한 후 구획된 지역에 다수의 소매상용 점포를 지어 일정한 자격을 갖춘 소매상인에게 대여하여 일용품을 중심으로 한 상품을 판매하게 하는 장소이다. 공설 시장은 일반적으로 매 닷새 마다 한 번, 또는 열흘에 한 번 씩 개설되는 정기 시장과 매일 열리는 상설 시장으로 분류된다. 상...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매년 개최되는 국제 연날리기 대회. 의성 마늘 국제 연날리기 대회는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위천 둔치 일원에서 매년 개최되는데, ‘의성 산수유 꽃 축제’ 기간 중에 동시에 진행된다. 전국 연날리기 대회와 국제 연날리기 대회로 나뉘어 진행되며, 2012년에 제2회가 개최되었다. 의성군청과 매일신문사가 주최하고 의성 국제 연날리기 대회 조직 위원회가 주관, 경상북도...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군립 도서관. 의성 군립 도서관은 의성 군민의 정보 이용, 독서 진흥, 문화 활동, 평생 교육 등을 제공할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1999년 8월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 470 부지에 착공하여 2000년 7월 준공하였다. 2001년 3월 운영 조례 제1938호가 제정되었고, 6월 개관하였다. 2005년 3월 도서관 3층에 30여 명을 수용할 수 있...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의성 건우회가 매년 주최하는 건강 걷기 대회. 의성군민 건강 걷기 대회는 지역 사회의 건강 관심도와 참여도를 높여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게 하는 지역의 대표 건강 행사로 자리매김하였다. 의성군민 건강 걷기 대회는 의성 지역의 모범적인 봉사 단체로 손꼽히는 의성 건우회가 매년 주최하는 대회로 1991년부터 시작되었다. 걷기 대회는 의성군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과...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매년 개최하는 등반 대회. 2003년에 처음 개최된 의성 군민 등산 대회는 의성 군민의 건전한 산행 문화를 보급하기 위해 매년 대한 산악 연맹 경상북도 의성군 연맹이 주최하는 등반 대회다. 대한 산악 연맹 경상북도 의성군 연맹은 건전한 산행 문화 보급 정착은 물론 군민 화합과 건강 증진을 위하여 2003년부터 등반 행사를 주관하고 있다. 의성 군민에게 건전한 산...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매년 개최되는 자전거 타기 대회. 의성 군민 자전거 타기 대회는 국제 로타리 제3630지구 의성 로타리 클럽 주최로 매년 5월에 개최되고 있는 대회로 군민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있는 행사다. 사회 봉사와 세계 평화를 표방하는 실업가 및 전문직 직업인들로 구성된 지역의 대표 봉사 단체 중 하나인 국제 로타리 제3630지구 의성 로타리 클럽에서는 군민의 건강 증진...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의성군 체육회 주관으로 개최되는 군민 체육 행사. 2011년 제54회를 맞이한 의성 군민 체육 대회는 매년 10월 의성 종합 운동장에서 의성군과 의성군 체육회에서 주최하고 있는 전 군민이 화합하는 체육 행사이다. 의성 군민 체육 대회는 군민의 체위 향상과 상호간의 우의를 증진하고 신인 선수 발굴 육성 및 체육 진흥을 유도하며 의성 군민의 화합을 위하여 1975년...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매년 10월 열리는 군민 축제. 한 해 동안 의성군의 발전을 위하여 수고한 군민들과 그간의 노고를 위로하고 지역의 대표적 농·특산품을 활용하여 대외적으로 의성군의 인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행사이다. 2015년 제19회 군민의 날 기념식, 제33회 의성 문화제, 의성 풍년 한마당 잔치를 묶어 개최하였다. 의성 군민 한마당 큰잔치는 군민의 날 기념식과 의성...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원당리에 있는 의성 지역의 기상을 관측하는 기관. 의성 기상 관측소는 정확하고 신속한 기상 정보를 지원하여 의성 지역의 기상 재해 예방과 지역 산업 지원 및 지역 주민의 생활 향상을 위해 설립되었다. 의성 기상 관측소는 1970년 8월 17일 대구 측후소 산하 의성 분실로 설립되었다. 1984년 12월 19일 의성군 의성읍 원당리 6-4번지에 관측소 청사를...
-
김석(金錫)을 시조로 하고 김용비(金龍庇)를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세거 성씨. 김석은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이 고려에 귀부한 후 고려 태조 왕건의 장녀인 낙랑 공주와 사이에서 태어났다. 김석이 의성군(義城君)에 봉해지면서 후손들이 의성을 본관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다. 의성 김씨는 김석의 8세손 김공우(金公瑀)의 대에서 크게 번창하였는데, 첫째 아들인...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도동리에 있는 노인 복지 센터. 경상북도 의성군 내 65세 이상 저소득 어르신 중 정신적 신체적 이유로 홀로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불편한 어르신을 발굴하여 필요한 각종 서비스 제공 및 일상생활 유지 향상 등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을 통해 지역 안에서 건강하고 안정된 노후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설립되었다. 의성 노인 복지 센터는 2003년 1월...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용연리에 지역 주민의 소득 증대를 위해 조성된 농공 단지. 농공 단지는 1983년 말에 제정되어 1984년부터 시행된 「농어촌 소득원 개발 촉진법」에 의하여 지정되었다. 지방화 시대를 맞이하여 지방 자치 단체가 스스로 재정을 확보하고, 공업을 지역적으로 적절하게 분배하여 도시와 농어촌 간의 경제적 불균형을 해소하며, 공업 단지를 능률적으로 개발함으로써 지방...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의성 농업 협동조합은 의성 지역 농업인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자금·자재 및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9년 10월 28일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면 도동리 982-2에 의성...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다도 동호회. 의성 다우회는 의성 문화원 소속이며 의성군으로부터 사회단체 보조금을 받고 활동 중인 문화 예술 단체이다. 의성 다우회는 잊혀져 가는 다도(茶道)를 일반인에게 널리 홍보하여 정서적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1989년 5월 9일 설립하였다. 의성 다우회의 주요 사업은 의성 문화원 다도 교실 모임, 지역 축제의 다도 시음회·다도 체험...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생산되는 백합과의 파속에 속하는 인경 채소. 우리나라에 마늘이 도입된 시기에 대한 자세한 기록이 없지만 단군 신화에 마늘이 등장하고 있다. 『삼국사기』에도 마늘 재배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통일 신라 시대에는 입추(立秋) 후 해일(亥日)에 마늘밭에 후농제(後農祭)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미 삼국 시대부터 마늘이 재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의성 마늘...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상표로 사용하고 있는 축산물 브랜드. ‘의성 마늘 목장’은 ‘마늘 소’, ‘마늘 포크’, ‘마늘 란’, ‘마늘 닭’이란 4개의 하위 브랜드로 구성되어 있다. 의성군 지역에서 생산되는 축산물을 브랜드화하고 차별화함으로써 축산물 시장 개방에 대비함과 동시에 의성 마늘을 통해 의성군의 미래 가치를 창출하기 위함이다. 도안은 의성 지역의 명산인 금성산과 비봉산을 배경으...
-
의성 마늘의 역사와 특징 등을 홍보하기 위한 디지털 박물관. 경상북도 의성 지역은 전국 최고의 고품질 토종 마늘 생산지이다. 의성 토종 마늘은 조상대대로 재배해 온 한지형 의성 재래종을 의성 지역의 기후와 토양에 맞게 순화시키고 개량한 종자로 세계적 명성을 얻고 있다. 의성군청은 이런 명품 토종 마늘을 널리 알리기 위해 의성 마늘을 브랜드화 하였고, 의성 마늘 테마 파크를 조성하였...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마늘을 재배하는 농업인의 영농 단체. 의성 마늘 생산자 연합회는 생산자 조직의 규모화, 조직화를 통한 각종 정보의 공유, 선진 기술 보급 및 품종 향상, 공동 출하 등 농가 조직의 자생력 확보, 유통 마케팅 등에 공동 대응 및 시장 교섭력 향상, 실용 가능한 정책 방향 제시, 온난화에 따른 작물 재배 환경에 공동 대응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의성 마늘 생산자...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화전리에 있는 한우 먹거리 타운. 의성 마늘 소 먹거리 타운은 한우 판매장과 식당이 공동 참여해 테이크 아웃(Take out)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는 먹거리 타운이다. 의성군은 한우의 명품 브랜드인 의성 마늘 소의 우수성을 바탕으로 지역 경기 활성화와 안정적인 소비처의 확보를 위해 의성의 관문인 중앙 고속도로 의성 IC에 인접한 봉양면에 의성 마늘 소 먹거리...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 컬링 경기장에서 개최되는 전국 컬링 대회. 컬링 경기장을 보유하고 있는 의성군에서는 경상북도 컬링 협회와 함께 컬링 경기장 활용의 극대화를 통하여 의성 마늘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지역 경제 활성화 도모 및 의성군과 경상북도를 문화와 스포츠의 명소로 알리고자 2009년부터 의성 마늘배 전국 컬링 대회를 개최하게 되었다. 제1회 대회는 2009년 7월...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한국 문인 협회 의성 지부가 주관하는 문학 행사. 2001년도에 『의성 문학』 15집을 기념호로 발간하면서 특집으로 「고향으로의 초대-출향 문인 작품」 코너를 마련하였다. 특집 코너에 신현득, 이태수, 박숙이, 이구락, 김호운, 신상웅, 임헌영, 김용락 등 현존 의성 문인 14명의 작품을 소개하고 회원 작품을 포함해 모두 87편의 운문과 산문을 수록하여 『의...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에 있는 예술 공연 및 문화 활동을 위한 시설. 의성 문화 회관은 의성 지역의 문화 예술 진흥과 지역 주민들의 문화 생활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5년 11월 의성읍 중리리 516 부지에 공사를 시작하여 2000년 4월 20일에 준공하였다. 총 사업비 81억 4200만원이 소요되었다. 의성 문화 회관은 의성군에서 관리 운영하는 시설로 부...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후죽리에 있는 지역 문화 개발과 향토 문화 연구를 위해 설립된 문화 예술 단체. 의성 문화원은 의성 지역의 향토 문화의 계발 연구 조사 및 문화 진흥 사업을 통하여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3년 8월 20일 의성군 문화 진흥회 발기인 대회가 열리고, 1984년 2월 13일 의성 문화원 창립 총회 후 8월 17일 설립 인가를 받아 개...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초전리에 있는 문화유산 보존 단체. 의성 문화유산 보존회는 2008년 7월 문화재청에서 퇴임한 뒤 낙향한 신태하의 노력으로 ‘한문화재 한지킴이’ 운동을 의성 지역에서도 전개하여 군민이 문화유산을 보호 하고 소중히 여기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의성 문화유산 보존회는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한문화재 한지킴이’ 운동을 지역에서도 활성화시키기 위해...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활동하였던 전통 연 보존 단체. 의성 민속 연 보존회는 전통 연의 보전과 전승 활동을 하던 단체이다. 의성 문화원 소속으로 의성군청으로부터 약간의 사회단체 보조금을 받고 2009년까지 활동한 문화 단체이다. 의성 민속 연 보존회는 우리의 전통 연에 대한 유래나 문양에 담긴 의미를 학생들은 물론 일반인들에게 올바르게 알리고, 우리 고유의 전통 연 제작 방법을 배우...
-
민요는 민중이 널리 부를 뿐만 아니라, 그 음악적·문학적 성격도 민중적이다. 민요는 생활상의 필요성에서 창자가 스스로 즐기는 노래이다. 악곡이나 박자, 사설이 복잡하거나 어렵지 않아서 특별한 기교나 재주가 없어도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생활 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민중의 생활을 노래하는 차원을 넘어서 노동과 불가분의 관계이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생산적인 노래라는 특징을...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복숭아를 재배하는 농업인의 영농 단체. 의성 복숭아 생산자 연합회는 과수 생산 농업인의 상호간 교류와 협력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재배 기술과 생산, 유통, 판매, 마케팅 등의 기법을 개발해 급변하는 소비시장에 공동으로 대응하여 과수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의성 복숭아 생산자 연합회는 작물 재배 환경 변화 등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해 200...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생활을 실천하는 어린이[도덕인], 부지런히 노력하는 어린이[성실인], 새로운 것을 탐구하는 어린이[창의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건강인]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착하고 씩씩하며 슬기로운 어린이’ 이다. 1949년 8월 25일 의성 북부 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49년 9월 1일 의성 북부 국민학교...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빙계 3리 빙계 계곡 중 빙혈과 풍혈이 있는 지역. 1987년 9월 25일 의성군 군립 공원으로 지정된 빙계 군립 공원에는 2011년 1월 13일 천연기념물 제527호로 지정된 ‘의성 빙계리 얼음골’이 있다. 등산로를 따라 약 2㎞에 걸쳐 크고 작은 빙혈(氷穴)[얼음 구멍]과 풍혈(風穴)[바람 구멍]이 있다. 빙산에는 지난 최종 빙기의 주빙하 기후...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사과를 재배하는 농업인을 회원으로 하는 영농 단체. 의성 사과의 주산 지역은 산간 농촌 지대로 다른 지역보다 한서의 차가 심하고 일조량이 풍부하며, 여름철에 평균 기온 24°C로 사과 재배에 적합한 기후를 가지고 있다. 껍질이 얇고 단단하면서 과즙이 많아 맛과 향이 좋으며, 당도가 높아 특히 비타민 C가 풍부하여 많이 찾는 과일이다. 과일 크기가 균일하고 외...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사진 단체. 의성사우회는 회원 상호 간의 사진 촬영 기술 향상과 친목을 도모할 목적으로 창립되었다. 의성사우회는 1987년 12월 박길서를 초대 회장으로 추대하여 창립하였다. 그 후 제2대 이재동, 제3대 장훈혁, 제4대 김재도, 제5·6대 이재동, 제7대 전진규, 제8대 김경섭, 제9·10대 김정희, 제11·12대 회장으로 정욱구 등을 거치며...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에 있는 천연 기념물로 지정된 숲. 의성 사촌리 가로숲은 고려 말에 안동 김씨인 김자첨이 사촌으로 이주해 오면서 마을 서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막기 위해 방풍림을 조성하며 생겼다. 이후 마을로 불어 들어오는 바람을 막아 주고 농사에도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약 600년의 세월이 흐르면서 본래의 역할 외에도 아름다운 풍광을 통해 사람들의 발길을 사로잡는...
-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 화전리에서 매년 봄에 개최되는 산수유 꽃 축제. ‘의성 산수유 꽃 축제’는 산수유 꽃을 주제로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 화전리에서 2008년부터 시작된 축제로 매년 3·4월경에 개최된다. 의성군 산수유 꽃 축제 추진 위원회가 주최·주관하고 의성군청이 후원하고 있다. 2012년에는 경상북도로부터 유망 축제로 선정되어 한층 경쟁력 있는 축제로 발전하게 되었다. 의...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공공 체육 시설. 의성 생활 체육 야구장은 2009년 3월 16일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 4리에 공사를 시작하여, 6월 17일 준공하였다. 총 사업비 7600만 원을 투입하였다. 의성 지역 내 생활 체육의 저변 확대와 지역 야구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의성 생활 체육 야구장은 의성군에서 사업비를 투자하여 2009년 6월 17일 준공하였다...
-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 노연리에 있는 생활 체육공원. 2010년 준공한 의성 생활 체육공원은 녹지 공간 속에 각종 생활 체육 시설을 집중 설치하여 지역민들의 체육 활동과 휴식·레저 활동을 겸할 수 있는 다목적 복합 공간이다. 의성 생활 체육공원은 의성군 서부 지역 주민들의 오랜 숙원 사업의 일환이었다. 지역간, 계층간 체육 서비스 접근 기회를 높이고, 지역 주민의 생활 체육을 장려...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가톨릭 안동 교구 소속의 성당. 의성군 동부 지역에 천주교가 처음 전파된 것은 1934년으로 추정된다. 당시 의성군 의성읍 후죽동의 김경조 가족과 의성군 의성읍 도서동의 이복우 가족이 의성 공소의 신자였다고 한다. 이듬해인 1935년 대구 명치정에서 정영수와 홍성술이 각각 도서동과 의성군 봉양면 도리원으로 이사를 오면서 4가구의 20명에 가까운...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구미리에 있는 소방 행정 기관. 의성 소방서는 경상북도 의성군과 군위군의 화재 예방과 진화, 자연 재해를 비롯한 각종 재난 발생 시 인명 구조 관련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45년 일제의 통치가 종식되고, 미군정하에서는 전국에 소방서를 증설하여 50개가 되었는데, 의성군에도 소방서가 처음으로 설치되었다. 일제 강점기에 설치되었던 경방단이 해체되...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수석 동호회. 의성 수석회는 2008년 창립된 수석 동호회로서 의성 문화원 소속이며 의성군으로부터 사회단체 보조금을 받고 활동 중인 문화 예술 단체이다. 의성 수석회는 자연을 애호하고 수석 취미 활동을 통하여 군민 정서 함양을 선도하며 회원 및 수석인 상호간의 친목 도모와 국내의 동호인 및 각 지역 수석회간의 친선 교류를 목적으로 2008년 5월...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활동하는 시 낭송 문학 단체. 의성 시 낭송회는 시낭송을 통해 건전한 문화생활을 도모하여 정서 함양은 물론 시낭송 보급 및 지역 문화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의성 시 낭송회는 2001년 한국 문인 협회 의성 지부에서 주관하는 ‘의성 문학의 밤’ 행사 때 시 낭송 대회를 하면서 출발하였다. 그러나 2005년 ‘의성 문학의 밤’ 행사가 중단되자 20...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버스 터미널. 의성 시외 버스 터미널은 의성 군민과 의성을 오가는 사람들에게 편리한 교통 시설을 제공하고자 건립되었다. 의성 버스 정류장은 일제 강점기 의성군 의성읍 후죽 1리 676-3번지에서 운영하다가 해방 후 같은 장소에서 통일 여객, 경인 여객, 제일 여객, 경북 여객, 국신 여객 등이 공동 영업하였다. 그 후 승차 인원이 차차 많아지자...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안계 평야에서 매년 가을에 개최되는 농경 문화 축제. 의성 지역 쌀의 우수성과 농경 문화의 역사를 알리고, 의성 지역 쌀 홍보 및 판매를 유도하기 위해 의성군청에서 주최하고 의성 쌀 문화 축제 추진위원회가 주관하여 매년 10월에 개최하고 있는 농경 문화 축제이다. 의성군청은 우리나라 수리 관개 농업 초기의 대표적인 저수지인 대제지(大堤地)가 있었던...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도원리에 있는 고속 도로 인터체인지. 중앙 고속 도로는 대구광역시 북구 금호 분기점을 기점으로 하고 강원도 춘천시를 종점으로 하는 고속 국도 55호선으로 1995년 개통되었다. 그후 부산 연결 구간이 2005년에 완공되었다. 의성 IC는 280㎞에 달하는 중앙 고속 도로 구간의 37개 인터체인지 중 하나로, 1995년 개통과 동시에 영업을 개시함으로써 의성의...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야생화 동호회. 의성 야생화 동호회는 야생화의 아름다움과 중요성을 인식하여 우리 환경 보전에 앞장서며 군민의 정서 순화에 기여함은 물론 회원 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할 목적으로 창립되었다. 의성 야생화 동호회는 야생화의 아름다움과 중요성을 인식하여 동호인이 합심하여 2004년 이인자를 초대 회장으로 추대하여 창립하였다. 그 후 제2대 문현균, 제3대...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상리리에 있는 주류 생산 업체. 1923년 3월 의성읍 내에 의성 양조 주식회사가 설립되어 지역 내에 소주·약주·탁주를 생산·판매했다. 1937년 5월 의성 주조 주식회사가 설립되어 소주와 약주를 생산·판매했다. 1954년 4월 복원 양조 주식회사가 설립되어 소주와 탁주를 생산·판매했다. 정부의 주류 제조장 통폐합 정책에 따라 1971년 11월 세 개 회사가...
-
의성군청과 의성 어린이날 큰잔치 추진 위원회에서 매년 개최하는 어린이날 행사. 어린이날은 1923년에 일본 유학생 모임인 색동회를 중심으로 방정환 등 8명이 기념일을 공포하고 행사를 개최함으로써 역사가 시작되었다. 의성군에서도 이날을 기념하여 매년 5월 5일 의성 어린이날 큰잔치를 개최한다. 매년 5월 5일 의성군청이 주최하고 관내 기관 및 단체로 구성된 의성 어린이날 큰잔치 추진...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상리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기본 생활 습관 형성으로 올바른 인성을 함양한다, 창의·인성 교육 내실화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한다, 소통과 공감의 학교 문화 조성으로 안전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든다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슬기롭고 예절 바른 사람이 되자’ 이다. 1945년 3월 23일 의성 공립 실과 여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5월 6일 개...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재배되고 있는 장미과 낙엽 교목 식물인 사과나무의 열매.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재래종인 능금을 재배했는데, 홍만선의 『산림경제』에 재배법이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18세기 초에 많이 재배한 것으로 보인다. 18세기 후기에는 선교사들이 외국 품종을 들여와 관상수로 심었고, 1901년 윤병수가 원산 부근에 과수원을 만들어 국광·홍옥 등을 재배하였다. 1906년 농...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재배되고 있는 장미과에 속하는 교목성의 낙엽 과수 자두나무의 열매. 중국 문헌인 『시경』·『제민요술(齊民要術)』 등에 자두에 대한 기록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에서도 일찍부터 재배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고려도경(高麗圖經)』에 보면 우리나라의 자두에 대해 ‘맛이 박하고 모양이 작다’고 한 것으로 보아, 우수한 품종이 재배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구한...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우편·체신·금융 담당 기관. 의성 우체국은 의성 지역의 우편·체신·금융 관련 사업과 업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의성 지역에서 현대식 우편 제도는 1906년 12월 1일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의성 우편 취급소를 개소하면서 처음 시작되었다. 1908년에는 의성 우편 전신 취급소로 개칭되었고, 1910년에는 의성 우편국으로 개칭되었으며,...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올바른 인성과 창의력을 지닌 인재 육성, 건강하고 정직하며 성실하게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건강하고 정직하며 성실하게’ 이다 1936년 4월 27일 의성 공립 농업 실수학교로 설립 인가받아 5월에 개교하였다. 1946년 9월 1일 의성 공립 공업 중학교 6년제[토목 6학급, 방적 3학급]로 교명과 학제를 변경하였다....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다리. 교량이 가설된 지역인 의성군 의성읍의 이름을 따서 의성 육교라고 부르게 되었다. 교량 길이의 합인 연장은 30.0m, 교량의 총 폭은 10.5m, 교량에서 차도만의 유효 폭은 9.0m, 지표면 또는 수면에서 교량의 바닥 판까지의 수직 높이는 6.7m이다. 교각과 이웃하는 교각 사이를 정의하는 경간의 수는 1개, 경간 간격의 최대 값은 3...
-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깨끗한 자연환경에서 유기질 비료를 사용하여 쌀을 계약 재배하는 영농 단체. 의로운 쌀 생산 연합회는 쌀 산업의 국내외 여건 변화에 대응하고, 들녘별 경영체의 농가 조직화 단지화를 통해 쌀 생산 경영비 절감과 균일한 상품의 쌀을 생산하여 품질 차별화를 유도하며, 브랜드 쌀을 생산해서 가공까지 체계적인 관리로 소비자가 만족하는 안전하고 밥 맛 좋은 고품질 쌀 생산...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와 원당리를 연결하는 다리. 교량이 가설된 지역인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의 이름을 따서 의성 2교라고 부르게 되었다. 1993년 성능 개선 사업의 일환으로 보수 공사를 통해 새롭게 준공된 의성 2교의 상행선과 하행선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 상행선에서 교량 길이의 합인 연장은 156.0m, 교량의 총 폭은 10.0m, 교량에서 차도만의 유효 폭은 9.0m...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자두를 재배하는 농업인의 영농 단체. 의성 자두 생산자 연합회는 자두 생산 농업인의 상호간 교류와 협력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재배 기술과 생산, 유통, 판매, 마케팅 등의 기법을 개발해 급변하는 소비시장에 공동으로 대응하여 과수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2008년 3월 5일에 설립되었다. 의성 자두 생산자 연합회는 작물 재배 환경 변화 등에 공동으로 대...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아동 복지 시설. 지역 아동 센터는 아동이 가난이나 기타 이유로 방치, 또는 방임되거나 적절한 보호를 받기 어려운 환경에 놓였을 때 아동의 생존권·복지권·문화권·발달권·학습권이 보장되도록 돕고, 아동·청소년에게 열린 문화 공간으로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건강한 성장을 돕기 위해 설립된 복지 시설이다. 경상북도 의성군의 지역 아동 센터 수는...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아동 복지 시설. 의성 자혜원은 지역 내에서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들을 수용, 보호하고 복지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52년 7월 15일 경주 자혜원 의성 분원으로 발족되어 원아 30명을 수용했다. 1953년 5월 의성 자혜원으로 독립한 후 1954년 5월 법인 인가를 받았고, 1959년 6월 후생 시설의 인가와 1966년 8월...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활동하는 장기 동우회. 의성 장기 동우회는 의성 문화원 소속이며 의성군으로부터 사회단체 보조금을 받고 있는 문화 단체다. 의성 장기 동우회는 민속 장기 계승 발전과 회원 상호간의 친목 도모를 목적으로 1997년 11월 창립되었다. 의성 장기 동우회 회칙에 명시된 사업은 정기 행사로 의성 군민의 날 문화 행사의 민속 장기 대회 주관과 회원 대회 개최를 시행하고 있...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초전리에 있는 군립 박물관. 의성 지역은 고대 국가인 조문국(召文國)이 존재한 지역이며, 박물관이 조성된 인근에 분포하는 260여 기의 고분에서 다양한 관련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이러한 조문국 및 의성 지역의 역사와 유물들을 체계적으로 조사, 수집, 전시, 보존하기 위하여 의성군청에서 박물관을 설립하여 2012년 10월에 준공하였으며, 2013년 4월 25일...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에 있는 종합 체육 시설. 의성 종합 운동장은 의성 군민들의 체육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총 사업비 15억 원을 투입하여 1991년 건립되었다. 1984년에 의성읍 중리리 137-1 부지에 착공하여 1987에 1차 준공 후 부속 공사를 계속 진행하여 1991년에 완전 준공하였다. 1999년 12월 잔디 구장을 개장하였고, 2003년 3월과 2005년 5월...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화전리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의성 중부 농업 협동조합은 봉양면, 안평면 지역 농업인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축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활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자금·자재 및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9년 10월 28일 봉양면 이동 농업 협동조합이 설...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풍물 공연 단체. 의성 지킴이 풍물단은 민족 고유의 민속놀이 청로 풍물 문화를 보존하고 전승하기 위한 목적으로 1998년 12월에 45명의 회원으로 창단 설립하였다. 의성 지킴이 풍물단은 의성 지역의 풍물을 보존하고 계승하기 위하여 강습하고 있으며, 매년 경상북도 풍물 경연 대회와 관내·관외 크고 작은 문화 행사와 축제에 참여하여 지역의 전통...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상리리에 있는 체육·문화 시설 의성 체육관은 2001년 개관 이후 군민들의 체육 활동을 도와주고 군내 각종 체육·문화 행사 시설로 활용되고 있는 다용도 실내 체육관이다. 의성 체육관은 군민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보다 쉽게 체육 활동을 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기 위하여 의성군에서 2000년 4월 20일 준공한 체육·문화 시설이다. 의성 체육관은 1995년 11...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축산업에 종사하는 농민들의 협동 조직. 의성 축산업 협동조합은 의성 지역의 축산 농가 조합원들의 축산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축산물의 판로 확대와 유통의 원활을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자금·자재·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원들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의성 축산업 협동조합은 1965...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구산리에 있는 온천. 백악기에 화산 활동을 했다고 추정되는 금성산의 영향으로 생성되었다고 보이는 게르마늄[72.4㎍] 약수 온천이 1989년 7월에 김태성에 의해 발견되었다. 1992년 12월에 약 알칼리성 온천수로 신고하고 1995년 12월에 온천으로 개장하였다. 1989년 7월에 온천을 발견하였으며, 1992년 12월 토출 온도 25.7℃ Na-Cl형의...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통일교 소속 교회. 통일교는 문선명이 창시한 신종교의 하나로서 창조주와 예수, 성경을 믿고 따르며 인간의 타락으로 하나님의 참사랑을 잃었으므로 참가정을 통해 이를 회복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1954년 세계 기독교 통일 신령 협회로 시작되었는데, 한국 선교에 주력하여 기반을 마련한 뒤 1960년대부터 일본과 미국 등 세계 각국으로 선교 범위를...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도동리에 있는 전통 자치 규약인 향약을 실천하기 위해 조직된 단체. 향약은 11세기 초 북송(北宋) 때 향촌을 교화·선도하기 위해 만들었던 자치적인 규약이었다. 이것이 우리 나라에 전래된 것은 고려 후기 성리학의 보급과 때를 같이하며, 15세기 후반 사림파들에 의해 적극 장려되었다. 이때의 향약은 양반들이 향촌의 자치와 이를 통해 하층민을 통제하고, 다른 한...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의성 향토사 연구 단체. 의성 향토사 연구회는 의성 역사에 관한 조사·연구를 통하여 향토사를 정립하고 지역문화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7년 6월 발기인 모임에서 회칙과 임원을 선출하여 30여 명의 회원으로 구성하여 전국 향토사 연구회에 설립 인준을 받아 설립하였다. 역대 회장으로는 제1대 강상문, 제2대는 김금숙, 2012...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생산되는 특화된 농산물. 의성 지역의 오염되지 않은 황토 논에서 생산되는 쌀이다. 의성군청과 계약 재배를 통해 황토 쌀을 생산한다. 우수한 토양 조건과 수질에서 생산된 의성 지역의 쌀은 그 우수성에 비해 경기미와 타 지역의 파워 브랜드 쌀과의 경쟁력에서 밀려나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의성군 농업 기술 센터에서 1999년부터 역점 사업으로 의성 황토 쌀을 재...
-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황토 쌀을 생산하는 농업인을 회원으로 하는 영농 단체. 의성 황토쌀 작목반은 쌀 산업의 국내외 여건 변화에 대응하고, 들녘별 경영체의 농가 조직화 단지화를 통해 쌀 생산 경영비 절감과 균일한 상품의 쌀을 생산하여 품질 차별화를 유도하며, 브랜드 쌀을 생산해서 가공까지 체계적인 관리로 소비자가 만족하는 안전하고 밥 맛 좋은 고품질 쌀 생산으로 경쟁력 강화로 농가...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철파리에 있는 흑마늘 전문 가공업체. 의성 흑마늘 영농 조합은 2007년에 설립되어 의성 한지형 마늘을 자연 발효, 숙성시켜 흑마늘을 전문적으로 가공하여 공급하고 있는 영농 조합이다. 본사는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 있으며,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농수산물 유통 공사 내에 해외 사업부를 두고 중국, 미국 등 20개 나라에 수출하고 있다. 의성 흑마늘 영농...
-
경상북도 의성군에 분포하는 쌍떡잎식물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 관목. 의성개나리는 산개나리, 방울개나리라 불리기도 하는데 북한산과 관악산 등 한반도의 일부 지역에서만 관찰되는 멸종 희귀 식물 166호이다. 현재 전라북도 임실군 관촌면의 군락이 천연 기념물 제388호로 지정되어 있다. 의성 지역에서는 의성군 의성읍과 사곡면 일대에서 관찰된다. 의성개나리는 높이 약 1m까지 자란다....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다리. 교량이 가설된 지역인 의성읍의 이름을 따서 의성교라고 부르게 되었다. 나중에 건립된 의성군 방향의 다리는 새로 생긴 다리라서 신의성교라고 부른다. 의성교에서 교량 길이의 합인 연장은 110.0m, 교량의 총 폭은 11.0m, 교량에서 차도만의 유효 폭은 8.0m, 지표면 또는 수면에서 교량의 바닥판까지의 수직 높이는 6.5m이다. 교각과...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철파리에 건설 중인 공립 병원. 의성군 공립 치매 병원은 의성읍 철파리 일원 10만㎡ 부지에 들어서는 의성 건강 복지 타운 시설 중 하나이다. 의성 건강 복지 타운은 2010년 10월 20일에 기공식을 갖고 공사에 착공하였으며, 2012년까지 민간 자본 179억 원을 포함 총 412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노인 복지 시설, 종합 복지관, 보건소, 한방 클리닉,...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도동리에 있는 노인 복지관. 의성군 노인 복지관은 경상북도 의성군 내 어르신들의 건강한 삶과 여가 활동을 위해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삶의 질 향상과 건강한 노후 생활을 도모하고, 각종 상담, 사회 교육, 보건·의료 복지 및 재가 복지 사업 등의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건강하고 보람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의성군 노인 복...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효선리에 있는 농민 단체. 의성군 농민회는 농민 대중의 정치, 경제, 교육, 문화 등 사회 제반에 걸친 어려움을 농민 스스로의 단결과 지속적 노력을 통해 해결하고 농민의 권익을 제도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는 사회 건설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78년 우영식, 진상국, 최재호 회원을 중심으로 의성군 농민회의 전신인 가톨릭 농민회 쌍호 분회가 설립되었다. 198...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분토리에 있는 농업 기술 지원 기관. 경상북도 의성 지역 농업이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농민들에게 과학 영농과 농업 기술을 지원하고, 소비자를 위한 친환경 농업을 보급하여 환경 친화적이며 현장 중심의 농정을 추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57년 8월 의성군 농사 교도소로 시작하여 「농촌 진흥법」에 따라 1962년 4월 농촌 지도소 명칭이 변...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서변리에 있는 농촌형 사회 복지 기관. 의성군 농촌 보육 정보 센터는 여성 농민의 고충 상담, 영유아 보육, 방과 후 학습 지도, 여성 농민의 전문 인력화를 위한 교육과 각종 문화 활동 등 지역 실정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여성 농민이 마음 놓고 영농에 종사할 수 있게 도와주며, 여성 농민이 농업 생산과 지역사회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지원 하...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다문화 가족을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 기관. 경상북도 의성군은 다문화 가족 지원법 제12조에 의거하여 다문화 가족의 안정적인 정착과 행복한 가족 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2009년 1월 22일에 의성군 다문화 가족 지원 센터를 설치하였다. 의성군 다문화 가족 지원 센터는 ‘사회 복지 법인 천주교 안동 교구 사회 복지회’[대표자 권혁주]에서 위...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도서리에 있는 의성군 관할 보건 의료 기관. 의성군 보건소는 질병 예방 활동, 예방 접종, 보건 민원 처리와 진료, 방문 보건 등의 사업수행을 통해 의성 군민의 건강을 보호, 증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62년 9월 4일 법률 제1160호 「보건소법」에 의거하여 의성군 보건소가 설치되었다. 1972년 3월 9일 17개의 보건 지소가 설치되고, 1981년 1...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분토리에 있는 4H 연합회. 의성군 4H 연합회는 농촌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생활을 영위함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배우고 익히게 하여 보다 건전하고 유능한 젊은이를 양성함으로써 농촌과 농업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4H는 지성(head)·덕성(heart)·근로(hand)·건강(health)의 뜻을 지닌 영어의 앞 글자를 뜻하는 것으로 이 운동은 1...
-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산림 소유자 및 임업인을 조합원으로 하는 협동 조직체. 의성군 산림 조합은 산림 소유자와 임업인의 자주적인 협동 조직을 통하여 지속 가능한 산림 경영을 촉진하고 산림 생산력을 증진시켜 그 구성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62년 「산림법」(법률 제881호)이 제정됨에 따라 3월...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원당리에 있는 의성 지역 관할 상하수도 관련 업무를 총괄하는 기관. 의성군 상하수도 사업소는 의성 지역의 정수와 급수, 하수 관리를 담당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5년 의성군청 도시과에 상하수도계를 설치하고 정수장이 설치된 의성읍, 단촌면, 점곡면, 봉양면, 금성면, 안계면, 다인면 등에도 상하수도 관련 계를 총괄했다. 1998년 의성군 상수도 사업소가 설...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원당리에 있는 새마을 운동 중앙회 소속 의성 지회. 새마을 운동은 근면·자조·협동 정신의 바탕 위에 더불어 잘사는 공동체를 지향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국민 운동 조직으로 새마을 운동 의성군 지회는 1984년에 설립되었다. 나 혼자만이 아니라 이웃끼리 서로 사랑하고 도우면서 아름답고 살기 좋은 마을을 함께 만들고, 미래의 후손들을 위해 물질적으로 정신적으로 풍요...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분토리에 있는 생활 개선회. 의성군 생활 개선회는 농촌 여성의 위치와 역할을 발전적 방향으로 선도하여 농촌 여성의 미래를 조명하며 농촌의 현실을 개선하여 농촌 생활의 질을 향상함으로써 복지화된 농촌을 건설하는 데 기여하고자 설립되었다. 현재의 생활 개선회는 1958년 생활 개선 구락부로 출발하여 1977년 새마을 부녀회 내의 ‘생활 개선부’로 활동하기 시작하...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에 있는 경상북도 생활 체육회 산하 의성군 지부. 의성군 생활 체육회는 생활 체육 진흥을 위한 각종 사업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건강 증진 및 건전한 여가 생활을 보장하고, 나아가 밝고 명랑한 사회 건설에 이바지하고자 설립되었다. 의성군 생활 체육회는 1998년에 창립 총회를 개최하고 출범하였다. 초대 회장으로 박봉출을 선출하였고, 제2대 하영학을 거쳐...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원당리에 있는 의성군 관할 선거 관리 기관. 의성군 선거 관리 위원회는 선거와 국민 투표의 공정한 관리 및 정당의 지역 위원회 활동과 관련된 사무를 통할·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948년 3월 17일 공포된 「국회 의원 선거법」에 의해 선거 위원회가 내무부에 부설됨에 따라 의성군 선거 위원회가 의성군청에 부설되어 1960년 초까지 활동했다. 제2...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시설 원예를 재배하는 농업인의 영농 단체. 의성군 시설 원예 생산자 연합회는 시설 원예 생산자 조직의 규모화, 조직화를 통한 각종 정보 공유, 선진 기술 보급 및 품종 향상, 공동 출하 등 농가 조직의 자생력 확보, 유통 마케팅 등에 공동 대응하여 시장 교섭력을 향상함으로써 실용 가능한 정책 방향 제시하고, 온난화에 따른 작물 재배 환경 변화에 공동 대응 등...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양봉을 하는 농업인의 영농 단체. 의성군 양봉회는 소비자가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건강한 꿀을 공급하고, 꿀의 가격 경쟁력 회복을 통한 농가 소득의 증대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의성군 양봉회는 꿀을 양봉하고 있는 지역 주민들이 안전한 꿀을 생산하기 위하여 2002년 12월 24일에 설립되었으며, 회원 수는 17개 작목반 약 430농가이며, 초대 회장으로 진관...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화전리에 있는 여성 단체 협의회. 의성군 여성 단체 협의회는 1987년 2월에 지역 사회에 대한 봉사, 나눔, 여성 권익 증진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그리고 의성군 여성 단체 간의 상호 협력과 교류를 바탕으로 여성의 평등한 사회 참여를 통한 여성 단체의 발전과 지위 향상, 그리고 양성 평등한 사회를 이룩하고자 설립되었다. 의성군 여성 단체 협의회는 1987년...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유산리에 있는 의용 소방대 연합회. 의성군 의용 소방대 연합회는 각 읍면 의용 소방대 간의 화합과 재난 방재에 목적을 두고 지역 재난 안전의 지킴이로서 의용 봉공의 정신으로 지역 안전을 책임지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일제 강점기인 1930년대부터 의용 소방대가 설립되었다. 초창기에는 각 지역의 대원들이 완용 펌프[수동 소방 기구]를 이용하여 봉사 활동을 시작하였...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에 있는 의성 군민의 대의 기관. 의성군 의회는 주민의 보통·평등·직접·비밀 선거 등에 의해 선출된 의원을 구성원으로 하는 의성군의 최고 의사 결정 기구이다. 지방 의회는 1948년 7월 17일 공포된 제헌 『헌법』 96조 2항에 근거하여 1949년 7월 4일 「지방 자치법」이 제정·공포됨에 따라 제도의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지만, 6·25 전쟁이 발발함...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사단 법인 의성군 장학회. 의성군 장학회는 의성군의 주도로 지역 인재의 발굴과 양성을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의성군 장학회는 의성군의 출연금, 군민, 단체, 출향 인사 등의 기탁금과 후원금으로 2002년 12월 사단 법인으로 설립되었다. 의성군 장학회는 의성 지역 학생을 대상으로 일반 장학금, 고교 진학 성적 우수 장학금, 명문대 진학 장학금...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상리리에 있는 청소년 지원 기관. 의성군 청소년 센터는 지역 청소년들에게 건전한 문화·예술 활동과 체육 등의 다양한 수련 공간을 제공하고 지역 주민의 복지 증진을 통한 삶의 질을 높이고자 설립하였다. 2003년 7월 21일 청소년 센터 사업 계획 수립 후 2005년 3월 22일 기본 설계가 완료되었다. 2005년 12월 30일 착공하여 총 사업비 73억 원을...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경상북도 체육회 산하 의성군 지부. 의성군 체육회는 지역의 건전한 체육 환경 및 활동을 조성하고, 지역의 체육 단체를 총괄 지도 및 우수한 선수를 양성하여 의성 지역의 체육 발전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의성군 체육회는 8·15 해방 이후 전국적으로 체육회가 조직, 정비될 때 함께 활동하기 시작했으며, 1975년에 처음 의성군민 체육 대...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지역 사회 발전에 공적이 뚜렷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상. 자랑스러운 군민상은 의성 지역의 발전과 밝고 건전한 지역 사회의 기풍을 진작시키는데 기여한 공적이 현저한 군민을 선정해서 시상함으로써 군민의 자긍심과 애향심을 고취하고 타의 귀감으로 삼고자 하는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1979년 12월 2일 제1회 자랑스러운 군민상 시상식을 가졌지만 1982년까지 시상식이 일...
-
의성 마늘은 경상북도 의성군의 토종 특산물이다. 의성군 의성읍 치선1리·치선2리, 사곡면 오상리, 금성면 만천리, 춘산면 사미리와 효선1리·효선2리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는 의성 토종 마늘은 특유의 향과 강한 매운맛 등 5가지 맛을 고루 느낄 수 있어 외래 품종이 넘볼 수 없는 ‘명품 마늘’로 자리매김한 지 오래이며, 전국에 그 명성이 퍼져 있다. 의성 지역의 환경과 자연 조건이 겨...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의성 지역 관할 행정 기관. 중앙 정부와 경상북도 광역 자치단체로부터 위임받은 업무와 의성 지역 고유의 행정 및 민원 업무 수행을 위해 설립하였다. 갑오개혁 다음 해인 1895년(고종 32) 5월 26일 「칙령」 제98호에 따라 안동 대도호부 의성현이 안동 대도호부 의성군으로 개칭되면서 의성군청이 설치되었으며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에 속...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의성군청 소속 씨름 단체. 1960년대 의성 지역에서 열린 씨름대회는 전국의 유명한 선수가 모두 참가하는 전국 규모의 대회로서 명성을 떨쳤고 민속 씨름 출범 주역이자 현 경상북도 씨름 협회 김태성 회장을 비롯한 박범조, 이준희, 이태현 등 우수한 민속 장사를 배출한 씨름의 고장이다. 1991년 민속 씨름의 탄생지를 기념하고 이를 발전 계승하기...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에 있는 수령 약 500년의 보호수. 의성 사촌리 향나무는 의성 지역의 유명한 고택인 만취당 앞 골목에 심겨 있는 향나무이다.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 205번지에 있으며, 1995년 6월 30일에 경상북도 기념물 제107호로 지정되었다. 의성 사촌리 향나무의 수령은 500년 정도로 추정되며, 수고는 8m, 수관 폭은 25m 정도이다. 나무의 보존 상태가...
-
경상북도 의성군 후죽리에 있는 중앙선 철도역. 의성역은 중앙선 철도역으로 1940년 영업을 시작하여 지금까지 화물과 여객을 취급하는 보통역이다. 무궁화호가 운행되고 있다. 의성역은 중앙선 철도를 개설할 때에 화물과 승객의 수송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1940년 4월 1일 배치 간이역[역무원이 있는 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고, 1972년 보통역으로 승격하였다. 무궁화호가 운행되며...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월소리에 있는 수령 약 200년의 보호수. 의성 월소리 소나무는 1994년 6월 3일 경상북도 기념물 제97호로 지정된 소나무이다. 의성군 안사면 월소리 1202-4번지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곳은 월소리의 비로자나불에서 약 500m 떨어진 신법 마을 입구이다. 의성 월소리 소나무는 수고가 11m 정도이며, 둘레는 직경 1m, 수령은 200년 정도이다. 나무의...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행정 구역. 원래 문소(聞韶)로 불러오다가 929년(태조 12) 후백제 견훤이 군사 5,000명을 거느리고 의성부(義城府)를 공격하여 왔을 때, 이를 맞아 힘껏 싸우다 장렬히 전사한 홍술(洪術)의 충절의 뜻을 기리기 위하여 고려 태조(太祖)는 "의(義)로운 성(城)" 곧 의성(義城)이라 명명(命名)하였다고 전해오고 있다. 본래는 조문국(召文國)에 속하였으나...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서 같은 본관의 성씨들이 모여 사는 마을. 의성읍은 의성군청 소재지로서 여러 행정 기관이 위치한 행정의 중심지이며, 도·농 복합 형태의 소규모 도시 형태를 갖추고 있다. 시가지 동남부에 오토산이 솟아 있어 사곡면·금성면과 경계를 이루며, 서쪽에는 구봉산, 북쪽은 점곡면·단촌면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읍의 중앙에는 남동쪽에서 북서쪽 방향으로 남대천이 길게 흐르...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도서리에 있는 수령 약 600년의 보호수. 의성읍 도서동의 회나무는 1919년에 발행된 『노거수 명목지』에서 한반도 전체에서 둘레가 가장 큰 것으로 기록된 나무이다. 1972년의 기록에서도 전국에 지정된 360건의 회나무 가운데 가장 큰 것으로 보고되었다. 의성읍 도서동의 회나무의 수령은 600년 정도로 추정되며, 수고는 18m, 둘레는 10m 정도이다. 나...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의성읍 관할 행정 기관. 의성군 의성읍 주민들에게 필요한 행정, 산업 경제, 민원 및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의성군 북부면과 남부면을 합쳐 의성면이 설립되고 의성면사무소가 설치되었다. 1940년 11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221호에 의해 의성면이 의성읍으로 승격하면서 의성면사...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이두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라를 사랑하는 어린이[애국인],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자율인],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건강인], 깊이 생각하며 탐구하는 어린이[창조인], 부지런하고 협동하는 어린이[근면인]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착하고 슬기로운 어린이’ 이다. 1949년 10월 1일 이두 국민학교로 개교하였으며 1981년 3월 6일 병설...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이두리와 서부리를 연결하는 다리. 비안면 이두리의 이름을 따서 이두교라고 부르게 되었다. 1999년 새롭게 준공된 이두교에서 교량 길이의 합인 연장은 172.5m, 교량의 총 폭은 8.0m, 교량에서 차도만의 유효 폭은 6.0m, 지표면 또는 수면에서 교량의 바닥 판까지의 수직 높이는 5.7m이다. 교각과 이웃하는 교각 사이를 정의하는 경간의 수는 15개,...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을 하면서 외두동과 내두동을 합한 이름을 따서 이두동(二杜洞)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 내두(內杜)는 마을 앞에 강이 막혀서 막을 두(杜)자를 써서 두곡(杜谷) 또는 두실(杜室)이라 불렀으며, 안쪽에 있는 마을이라 안뒤실[내두(內杜)]로 부른다. 외두[바깥뒤실]는 바깥에 있는 마을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외두는 서당...
-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에 속하는 법정리. 이리(梨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 배골에서 나온 명칭이다. 배골은 임진왜란 때 중추 부사 오세호와 가족들이 피난해 와서 개척한 마을로서 당시 마을 주변 산에 나무가 적고, 황토가 많아 토현(土峴)이라 불렀으며, 그 후 배나무로 유명하게 되어 배골[梨谷]·이동(梨洞)으로 부르게 되었다 한다. 자연 마을 홍거리는 1800년경 촌락이 형성되기...
-
근현대 의성 출신의 유학자. 본관은 진성(眞城). 자는 정부(靜夫), 호는 소원(韶園). 진성 이씨 사곡파(舍谷派) 입향조 이희정(李希程)의 12세 손이다. 아버지는 이원우(李元瑀), 어머니는 아주 신씨(鵝洲 申氏)이다. 자녀는 장남 이성재(李成栽)·차남 이완재(李完栽)·삼남 이규재(李圭栽)·사남 이대재(李大栽)·오남 이태재(李兌載)와 장녀 이난재(李蘭栽)가 있다. 이수락(李壽洛...
-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병합된 하련동[하연동]과 중련동[중연동]에서 이름을 따서 이연(二連)이라 하였다. 이곳은 예로부터 3개 마을이 연결되어 있는 곳이 있어 위치에 따라 상연(上連), 중연(中連), 하연(下連)이라 불렀으며, 상연은 연제리(連堤里)에 속한다. 하연 마을은 현재 이실(梨實) 및 이계(伊溪) 마을로 구성되어 있으며...
-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 이연리 중연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이연리 중연 마을은 남쪽 언덕 정상부인 이연리 1003번지에 위치한 당집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매년 동제를 지내고 있다. 이연리 중연 마을 동제의 연원과 시기는 알 수 없다. 다만 당집에 입향조를 그린 4점의 그림이 있었다는 사실로 보아 입향조와 연관된 것으로 추측된다....
-
경상북도 의성군에 거주하는 주민 또는 집단의 수. 2011년 12월 31일 현재 의성군의 인구는 5만 8222명[한국인 5만 7744명, 외국인 478명]이며, 인구밀도는 약 49.5명/㎢로 나타났다. 의성군은 경상북도 13개 군 가운데 대구광역시에 인접한 칠곡군[12만 1945명]을 제외하고는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이다. 의성군은 전국의 다른 농어촌 지역과 마찬가지로, 1960년...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산운리에 있는 인성 공업의 생산 공장 인성 공업은 1983년 6월에 인천광역시에서 설립되었으며, 인성 공업 금성 공장은 1996년 2월에 준공하여 플라스틱 사출 및 플라스틱 조립 제품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다. 인성 공업은 1983년 6월 8일에 인천광역시 부평구 청천동에 설립되어 기계·자동차 중간재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사출을 전문적으로 생산하고 있다. 19...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차(茶) 동호인 단체. 인수 차회는 의성군 안계면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다도 단체로서 의성군으로부터 사회단체 보조금을 받고 있다. 전통 차(茶) 문화를 보급하여 잊혀져가는 우리의 차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즉 올바른 차 문화 예절 보급을 위한 연구, 조사, 개발, 교육을 함으로써 우리의 전통 차 문화를 대중화 하고, 개인의...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산림을 유지·조성하고 임목을 보육하여 경제적으로 이용하는 생산업. 우리나라 산림은 옛부터 연료를 채취하는 장소이며, 일반 서민들이 자유롭게 채취할 수 있었으나, 고려 말기 국정 혼란으로 인하여 권세가, 호족, 사찰 등에 의해 채취가 독점되면서 서민들의 입산 채취를 금지하였다. 그러나 조선이 건국되면서 고위 집권가들의 산림 채취의 독점을 금지하여 천민의 구호에...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입암리는 자연 마을 입암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입암은 선바위라고 하는데 선비 권숭조가 마을 한복판 논들 가운데 커다란 바위 3개가 우뚝 솟아 있는 것을 보고 마을 이름을 지었다 한다. 국골[菊谷]은 1525년 김국진이라는 선비가 이 마을을 개척하면서 자신의 이름을 따서 마을 이름을 붙였다고 하며, 황산(黃山)은 1530년경 김상호라는 선비가...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상리리에 있는 대한 불교 조계종 재단 법인 선학원의 의성 지역 분원. 자광사(慈光寺)는 1960년 8월에 한길로 승려가 창건하였다. 원래 목조 건물이었으나 1992년에 모두 헐어 내고 현재의 법당과 요사를 준공하였다. 2002년에 정식으로 대한 불교 조계종 재단 법인 선학원에 귀속되어 의성 분원이 되었다. 자광사에는 승려 1명과 신도 약 200명이 있으며,...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폐합 때 병합된 도락동, 생려동, 조동 가운데 도락동과 그 아래쪽에 위치한 자포동에서 이름을 따서 자락(自樂)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 도락은 주변 산지의 경관이 수려하며, 북쪽에 석불사(石佛寺)가 있는 마을로, 그 유래는 불분명하다. 조동(棗洞) 일명 대추골은 도락 남쪽 마을로서 대추나무가 많아 붙여진 이름이다. 19...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고유한 문화로 인하여 자연적으로 이루어진 마을. 의성군에 있는 지역 주민의 고유한 문화와 전통,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자연적으로 생성된 마을로서 산성 마을, 역·원 마을, 창고 마을, 시장 마을, 동족 마을 등이 있다. 외침을 피하고 산성 주변에서 생활하면서 항거할 수 있도록 산기슭에 형성된 마을로서 의성군 내에는 의성읍 팔성리[고성산성]와 치선리[의성...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에 있는 친환경 장례 시설. 자연 장지는 화장한 유골의 골분을 수목·화초·잔디 등의 밑이나 주변에 묻어 장사[자연장]할 수 있는 구역을 말한다. 의성군은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묘지 조성으로 인한 자연 훼손을 방지하고 군민들의 장례 문화를 개선하기 위해 친환경적 자연 장지를 조성하였다. 의성읍 중리리 산46-1 일원에 2010년 12월부터 공사에 착수하여...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일어난 태풍·홍수·산사태·해일·폭설·가뭄·황사 등의 이상 기상 현상과 지진·화산 등의 자연 현상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재해. 한반도의 경상북도의 내륙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의성군은 낙동강의 지류 하천인 위천과 쌍계천이 가로지르고 있어 여름철 집중 호우나 태풍으로 인한 풍수해를 입기도 한다. 또한 하천의 유로가 짧고 겨울철 강수량이 부족하여 봄철에 가뭄 피해...
-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자연 마을 작승골의 이름을 따서 작승동이라 하였다. 작승골의 본래 이름은 작상골인데 700여 년 전 고려 충렬왕 때 개척되었으며 마을 앞산의 지형이 배혈이어서 문무 관인과 정승이 많이 배출된다고 작상(作相)이라 했는데, 그 후 여러 성씨들이 시기를 하여 동명을 작승(作承)으로 바꾸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산업 중 누에를 사육하여 고치를 생산하는 업종. 잠업은 고대로부터 의복을 생산하기 위한 우리 민족의 중요한 산업의 하나로 발전해 왔다. 우리나라 잠업의 역사는 삼한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이미 이때부터 양잠에 대한 지식과 기술이 상당히 발달했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삼국 시대에도 고관의 의복이 거의 비단으로 지어졌을 정도로 양잠이 크게 장려되었다....
-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장 3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가음면 장 3리 주민들은 장리에서 구천 3리 방향 삼거리 부근의 장리 1321번지에 있는 삼각형의 자연석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매년 동제를 지내고 있다. 장 3리 동제의 연원과 시기는 알 수 없지만 액운을 물리치기 위한 목적으로 지내고 있다. 예전에는 한 명의 제관을 주민 중에...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병합된 장곡동(長谷洞)와 상국동(上局洞), 중국동(中局洞), 하국동(下局洞)에서 한 글자씩 따서 장국(長局)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자연 마을 장곡(長谷)은 진실 마을이라고도 한다. 진실은 골짜기가 길다는 뜻으로 긴실이라고 불렀는데 긴을 방언 진으로 발음하여 진실이라 하였다. 상국동은 계곡 위쪽에 있어 붙...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장대리(藏待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 장대(藏待)에서 나온 명칭으로, 이곳에 장대 서원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장대’라는 명칭은 의성 현령이었던 장현광(張顯光)이 서원에 ‘장기어신(藏器於身) 대시이동(待時而動)[기량을 몸에 감추어 두었다가, 때를 기다려 행동한다]’이라는 현판을 써 걸어서 그 첫 글자를 딴 것이라 한다. 자연 마을 분명...
-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에 속하는 법정리. 장리(長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 장호(長湖)에서 나온 명칭으로, 호수의 골짜기가 길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장호는 그 후 조선 말에 와서 장골·장곡(長谷)이라 부르기도 했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장동에 덕천동 일부를 병합하여 의성군 가음면 장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동을 리로 개칭하면서 장...
-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장 2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의성군 가음면 장 2리 장골 마을은 마을 입구 삼거리에 위치한 당목과 입석에서 매년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장골 마을의 당목과 입석은 마을 입구 삼거리에서 장골 방면으로 30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행정 주소는 장리 산93번지이다. 장리 동제의 연원과 시...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자연 마을인 장림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이곳에 산림이 깊고 수풀이 무성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장골이라고도 하였다. 금상골[錦桑谷]은 풍수지리설에 따르면 인근 산의 지형이 베틀형으로 비단을 짜는 형세라서 그렇게 불렀으며, 광복 이후에는 뽕나무를 많이 심어 농상골[農桑谷]이라 불렀다 한다. 자연 마을 두곡(杜谷)은 조선 중엽에 촌락이 집단으...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용곡리와 구미시 도개면 신곡리에 걸쳐 있는 산. 장자봉의 동쪽 사면은 의성군 단밀면 용곡리에 해당되며, 서쪽 사면은 구미시 도개면 신곡리에 속한다. 장자봉을 포함하여 만경산 등으로 이어지는 능선은 의성군과 구미시를 구분짓는 행정 경계를 이루고 있다. 이 능선부를 따라 등산로가 개설되어 있어 많은 등산객들이 방문하고 있다. 구미시와의 경계를 이루는 산지 가운데...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장송동과 춘강동의 이름을 따서 장춘동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 드뭇골은 마을에 집이 드문드문 산재되어 있다고 붙은 이름이라 하며, 새남골은 마을 뒤 옥녀봉(玉女峰) 일대가 새가 남쪽으로 날아가는 모양의 지형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용절골은 마을에 용정(龍井)이라는 오래된 우물이 있고, 골짜기 안에 절이 있었다 하...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실업리와 사곡면 신감리를 연결하는 고개. 장티재는 북쪽의 390m 고지와 남동쪽의 380m 고지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낮은 안부이며, 높이는 315m이다. 장티재의 동쪽 계곡은 미천의 발원지이며, 도곡지와 같은 저수지가 축조되어 있다. 서쪽 계곡은 남대천으로 흘러들어가는 소하천의 발원지이며, 대감지와 같은 소규모 저수지들이 골짜기마다 축조되어 있다. 장티재와...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인공 저수 시설. 전통 시대 의성 지역의 저수지 관련 기록은 조선 전기에 편찬된 각종 관찬 지리지와 조선 후기 이후의 읍지류(邑誌類)에서 확인 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보통 ‘제언(堤堰)’ 항목이 설정되어 있다. 지금의 의성군은 조선 시대에는 경상도 의성현(義城縣)·비안현(比安縣), 상주목(尙州牧)의 속현인 단밀현(丹密縣), 보주(甫州)[예천(醴泉)]의 속...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한우를 사육하는 축산인을 회원으로 하는 영농 단체. 의성군 번식우 작목반은 번식우의 효율적인 사양 관리와 브루세라병 등 각종 전염병을 예방하고 체계적인 번식 관리를 통한 송아지 생산에 기여하기 위하여 2004년 6월 24일 설립되었다. 의성군 번식우 작목반은 2004년 6월 24일 설립되었으며, 2011년 1월 경상북도 의성군 후죽리 484-20 의성 축산업...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구성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전대 저수지는 지방도 79호선 신감 옥산로 동쪽에 연접해 있으며, 의성군과 안동시를 북서류하여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미천의 영향을 받는 저수지이다. 전대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44년 1월 1일 착공하여 1945년 12월 30일 준공하였다. 총 공사비는 5만 5000원이 소요되었고, 3만...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시행 중인 전통 시장 활성화 행사. 1980년대 이래 유통 근대화가 이루어지고 대형 마트 영업이 활성화됨에 따라 전통시장의 상업 활동은 갈수록 위축되었고 전통 시장을 살리기 위한 다양한 정책 개발이 요구되었다. 중소 기업청은 낙후된 시설 개보수와 주차장 등 편의 시설의 현대화에 1조 3513억 원을 투입하는 등 ‘전통 시장 활성화 지원’을 위해 2002년부터 1...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흥(全興)은 1914년 무학동, 전대동, 흥동, 진고동, 상진동, 광전동 일부를 병합하면서 전대와 흥동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 전대동은 1592년 최영출이란 선비가 개척하였으며 그 후 1650년 김제한이 마을 뒷산의 산세와 지세가 전자(全字) 모양을 하고 있어 전대라고 불렀다 한다. 흥동(興洞)은 조(趙) 선비라는 사람이 개척했다고 하...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전흥 1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옥산면 전흥 1리는 마을 입구의 낮은 언덕에 조성된 마을 숲 내에 위치해 있는 당집에서 매년 마을의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당집은 옥산면 전흥리 산34번지에 있다. 옥산면 전흥 1리 동제의 연원과 시기는 알 수 없다. 마을 주민들은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고 마을의...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절기를 맞아 특별히 만들어 먹었던 음식. 의성 지역에서는 계절에 따른 명절에 제사나 민속놀이와 같은 행사와 함께 평상시에 먹던 음식 이외에 특별한 음식을 만들어 먹었다. 일부 절식은 후대에 전해 내려오지 못하지만, 대부분 절식은 지금까지 전해 내려오고 있다. 1. 설날 설날은 연중 가장 큰 명절로서, 세배를 드리고 난 후 떡국을 끓여 먹는다. 의성군 사곡면...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동변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점곡 저수지는 지방도 914호선과 지방도 79호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북쪽으로 3.5㎞ 지점에 위치해 있는 농업용 1종 저수지이다. 점곡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70년 1월 1일 착공하여 1975년 12월 30일 준공하였다. 총 공사비는 1억 9590만 7천 원이 소요되었다. 1986년...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행정 구역. 점곡(點谷)은 의성군 지역으로서 그 지역에 사기점이 있어서 점실이라고 불렀는데 이 이름을 따라서 점곡이라고 하였다. 본래 의성군의 지역으로서 점곡면이라 하여 25개 동을 관할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구암동(龜岩洞)·명고동(鳴皐洞)·윤암동(尹岩洞)·동변동(東邊洞)·서변동(西邊洞)·사촌동(沙村洞)·송내동(松內洞)·황룡동(黃龍洞)...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에서 같은 본관의 성씨들이 모여 사는 마을. 점곡면은 북쪽으로 경상북도 안동시와 인접하고 있어 씨족의 결속을 중시하는 안동 유교 문화권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지역의 대부분이 160~500m의 구릉성 산지로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미천의 지류를 따라 기름진 평야가 펼쳐져 있어 오랜 역사를 지닌 전통 촌락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전통 촌락에는 우리나라의 대표...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서변리에 있는 점곡면 관할 행정 기관. 의성군을 구성하고 있는 1개 읍 17개 면 중 점곡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점곡면사무소는 의성군 점곡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점곡은 1392년 조선 개국부터 중국 춘추 시대 공자의 고제자 증자(曾子)의 부친 증점(曾點)의 점(點)자를 따라 점곡(點谷)...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미래에 대한 어떤 징조를 미리 판단하고자 하는 기술. 점복은 인간의 능력으로 예측할 수 없는 미래사(未來事)나 알 수 없는 일을 주술의 힘을 빌려 추리나 판단을 하는 행위이다. 이를 단순히 ‘점’이라고도 한다. 점복은 자연 현상이나 생리적 현상을 판단하거나 인위적(人爲的)으로 어떤 현상을 만들어 놓고 그것을 판단한 결과로써 장래를 점치기도 한다. 이와 같은...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예로부터 사용해오면서 지역의 특성을 강하게 느낄 수 있는 토박이 언어. 표준 국어 교육 정책은 전국을 하나의 언어, 문화, 관습 등으로 통일하는 기능을 하였지만, 한편으로는 향토색 짙은 지역어에 대한 무관심과 폄하를 초래하기도 했다. 방언은 ‘살아있는 무형 문화재’이며, 지역 조상들의 얼과 문화가 한데 녹아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현대 한국어는 오랜 역사를...
-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 연제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정곡 저수지는 국도 28호선의 서쪽, 지방도 923호선의 동쪽에 위치해 있는 농업용 2종 저수지이다. 정곡 저수지의 서쪽으로는 의성군 구천면과 단밀면으로 위천이 흐르고 있다. 정곡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44년 1월 1일 착공하여 1945년 12월 30일 준공하였다. 총 공사비는 1,5...
-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자연 마을 오정(五井)과 하안(下安)[구안계(舊安溪)]의 끝 자를 따서 정안동(井安洞)이라 하였다. 하안(下安)은 안계 밑에 있기 때문에 붙여졌고, 다른 이름인 구안계는 옛날 안계의 중심지로 시장이 있어서 붙여졌다 한다. 인접한 안계면 시안 1리와 한 마을을 이루고 있었으며, 시안 1리의 마을도 역시 구안계라 한다. 오정 마을은 마을에 천연...
-
근현대 의성 출신의 정치인. 정우일[1898~1960]은 의성 공립 간이 농업 학교를 졸업 후 대구 계성 중학교 3학년을 수료하고 의성 금융 조합 평의원으로 근무했다. 연령이 초과되어 초등학교에 취학하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 1925년부터 1929년까지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소재 의성 교회에 설치되었던 강습소에서 성경과 일반 사회를 가르치는 교사로 일했다. 1945년 8·15 해방...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행하는 음력 1월 15일의 풍속. 음력 1월 15일 정월 대보름은 일 년 가운데 가장 많은 의례와 놀이가 집중된 날이기 때문에 세시적인 의미가 많이 부여된 중요한 날이라고 볼 수 있다. 정월 초하루인 설날은 혈연(血緣) 중심적인 명절인데 비해 정월 대보름은 보다 지연(地緣), 즉 공동체적인 성격을 지닌 명절이다. 정월 대보름의 유래는 『삼국유사』 권1 기이(...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을 개편하면서 자연 마을 정자동(亭子洞)의 이름을 따서 붙였다. 정자동은 14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마을로 마을 안에 큰 나무가 많고 그 그늘이 좋아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정자마 또는 정자라고도 불렀다. 자연 마을 토곡(吐谷)[거묵실]은 옛날 이곳에 샘이 없어 식수 사정이 좋지 않았으나 마을 입구에 우물을 팠더니 거미줄...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정초에 행해지던 풍속. 정초(正初)는 정월의 시초라는 말로, 음력 정월 초하루부터 보름까지의 기간을 가리킨다. 정초 12지일은 설날부터 12일 동안 각 일진(日辰)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며, 정월 초하루뿐 아니라 처음 맞는 12간지에 따라 적절한 행동의 규칙과 그것에 따른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간지(干支)의 동물에 따라 몸에 털이 있으면 유모일(有...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지역 주민을 통해 획득한 권력을 행사하여 지역 발전을 도모하는 총체적 활동. 1945년 8월 15일 해방을 맞은 후 38선 북쪽 지역에는 8월 24일 소련군이 진주했다. 남한 지역에는 9월 8일 하지 중장이 인솔하는 미국 태평양 지구 사령부 제24군 휘하 부대 3개 사단으로 구성된 미군이 진주하였으며 이어 “북위 38도선 이남에 미군정(美軍政)을 실시한다.”...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화전리에 있는 전문 의료 기관. 제남 병원은 1943년 열악한 농촌 환경에서 농촌 의료를 목적으로 설립하였으며, 농촌 의료를 통해 의료인의 진정한 역할인 ‘인술’에 관심을 가지고 병원을 운영하고 있다. 제남의 역사는 1943년 제남 송오달이 동원 의사로 부임되면서부터 시작된다. 제남 의원은 송오달이 1939년 평양 의학 전문학교[평양 의전]를 졸업하고 194...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제오리는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제두동과 오대동을 병합하여 만들어진 마을로, 제두동과 오대동의 한 글자씩을 따서 제오동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 제두(堤斗·堤豆)는 못 터에 마을을 개척했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못둑골 또는 못동골이라 부르기도 한다. 오대(梧垈·梧大)는 마을 개척 당시 마을 앞 둑에 오동나무가 서 있어 오대라고...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상리리에 있는 도예 전문 단체 및 기업. 제월 도예는 도예 취미 활동을 통하여 군민 정서 함양을 선도하고 회원 및 도예인의 상호간 친목 도모와 국내 동호인 및 각 지역 도예회간 친선 교류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제월 도예는 2008년 설립되었고, 2011년 의성군으로부터 제월 도예 예술원 공동체의 ‘조문국 토기 문화상품화 사업’이 마을 기업으로 선정되었다....
-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산업 중 각종 원료를 가공하여 제품을 만드는 업종. 의성 지역은 예로부터 전형적인 농업 지역이므로 농사에 필요한 낫, 괭이, 삽 등 소농기구를 제작, 수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대장간이나 가내 수공업 정도였으며, 일제강점기에 와서 도정 공장, 주조장 등 소규모 공장이 설 정도로 제조업이 낙후되었다. 1930년대 초 기록에 의하면 공장 수는 7개소이며, 생산 품목...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신계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조곡 저수지는 지방도 914호선 의성 길안로 북쪽에 위치해 있는 농업용 2종 저수지이다. 조곡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38년 1월 1일 착공하여 1939년 12월 30일 준공하였다. 총 공사비는 8,000원이 소요되었고, 국고 보조로 충당되었다. 총 저수량 5,000㎥, 유효 저수량 5...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도암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조산 저수지는 도암리에 있는 2종 저수지이다. 원래 못 가운데 작은 산이 있었다 하여 조산지라 하였는데 일제 강점기 못을 확장할 때 산을 없애버렸다고 한다. 조산 저수지는 비봉산의 풍부한 수원을 확보하여 주변 일대 농경지에 관개해서 많은 증산을 이루었다. 인근에는 비봉산(飛鳳山)[579.3m]과 1368년(공민왕 17)에...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조성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조성 저수지는 국도 28호선, 지방도 923호 지방도로와 의성군 구천면과 단밀면에 있는 위천의 서쪽에 자리하고 있는 농업용 1종 저수지이다. 조성 저수지 동북 방면으로 약 3㎞ 떨어진 곳에 구천면사무소가 있다. 조성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52년 1월 1일 착공하여 1959년 12월 3...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성리(造成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 조성(造成)에서 나온 명칭으로, 홍수 때 주변 산에서 굴러 내려온 돌이 많아 집집마다 돌로 성을 쌓다시피 담장을 하여 마을 이름을 조성(造城)이라 하였으며, 후에 城[성] 자가 成[성]으로 잘못 전해져 조성(造成)이 되었다 한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경상북도 비안군 내서면의 조개동, 조...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초월적 존재인 신을 통해 삶의 궁극적 의미를 추구하는 일체의 행위. 의성 지역에는 현재 1000년 이상 된 전통 사찰이 9개소나 된다. 이는 신라나 고려 시대에 이미 의성에서 불교가 매우 성행했음을 말해 준다. 이처럼 일찍부터 의성에서 불교가 성행하는데 가장 크게 공헌한 인물은 의상 대사이다. 그가 의성에 건립했거나 건립한 것으로 알려진 사찰만 6곳으로 수정...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주당을 잡기위한 민속 의례. 주당은 혼인 때 꺼리는 귀신으로 초상집 등 부정한 곳에 가서 음식을 먹고 온 후 이유 없이 몸이 아프면 대개 주당이 들었다고 한다. 이 경우도 객구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주당을 잡아야 한다. 과거 이유 없이 아플 경우 무당을 통해 주당을 잡았으나 현재는 믿음이 상당 부분 줄어들어 주당 잡기를 크게 행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과거의...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주선 3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의성군 단밀면 주선 3리는 마을 앞 논[주선리 688번지]에 위치한 당목과 당집에서 매년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주선 3리 동제의 연원과 시기는 알 수 없다. 과거에 비하여 제의 절차와 제관 선정 등은 간소화되었지만 금기는 엄격히 지키고 있다. 제관 선정은 원래...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경상북도 비안군 단서면의 지내동, 선상동, 선하동과 주하동, 속상동, 속하동, 도암동, 용암동의 일부와 도호동 일부를 병합하면서 주하와 선상의 이름을 따서 주선동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 관동[館洞·官洞][관골]은 신라 시대에 단밀현의 현청 소재지로서 관아가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고려 말, 조선...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에 남과 북으로 편을 나누어 줄을 당겨 힘을 겨루는 놀이. 의성군 의성읍 구봉산 아래 냇가에서 정월 대보름날 밤에 진행되는 줄다리기는 한 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의례적 성격을 가진 관습이며 민속놀이이다. 이를 ‘조리희(照里戱)’, ‘줄 당기기’, ‘귀줄 싸움’, ‘줄 땡기기’, ‘갈전(葛戰)’, ‘도삭(綯索)’, ‘동줄다리기’, ‘게줄쌈’, ‘줄...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추석 때 햇곡식이 나오지 않을 경우 날짜를 미루어 9월 9일 중양절에 지내는 차례. 추석 무렵까지도 곡식이 익지 않을 경우 추석 차례를 9월 9일로 미루어 지내는데, 이를 중구 차례[중구 제사]라고 한다. 지역에 따라 중양절을 중구일, 중구, 중기일, 중기라고 부르는데, 이날 지내는 차례라는 뜻으로 중구 차례(重九茶禮), 중기 차례, 구일 차례, 중구 차사(...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중리 저수지는 모운재 방면에서 동북 방면으로 1.4㎞, 지방도 79호선 일직 점곡로 북쪽으로 600m 지점에 위치해 있는 농업용 2종 저수지이다. 중리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44년 1월 1일 착공하여 1945년 12월 30일 준공하였다. 총 공사비는 4만 원이 소요되었고, 국고 보조로...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 속하는 법정리. 중리리의 서쪽은 의성읍의 소재지인 후죽리와 접하고 있어 관공서와 학교가 있으며, 동쪽은 구릉성 산지 사이의 계곡에 있는 농촌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자연 마을로는 중리, 창동, 성조동이 있으며, 중리 1리, 중리 2리, 중리 3리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중리라는 명칭은 자연 마을 중리의 이름에서 따왔다. 구전되어 내려오는 바로는 의성의...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도원리에서 안평면 창길리를 거쳐 부산광역시 사상구와 강원도 춘천시를 연결하는 고속 도로. 중앙 고속 도로는 부산광역시 사상구와 강원도 춘천시를 연결하는 고속 도로로, 총 길이는 370.84㎞이다. 이 중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에서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을 연결하는 부산~대구 간 고속 도로의 길이는 81.13㎞이다. 4차로 구간이 대부분으로 368.95㎞이며,...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세촌리에서 의성군 금성면 개일리를 거쳐 서울과 경주를 연결하는 철도. 중앙선은 경부선(京釜線)에 이은 한국 제2의 종관 철도이며, 총 연장 386.6㎞로 의성군 구간은 29㎞이다.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 청량리에서 경기도 양평, 강원도 원주, 충청북도 제천, 경상북도 영주, 경상북도 안동 지역을 지나 경상북도 영천에서 대구선과 접속하여 경주까지 이르는 간...
-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중리의 중(中)자와 율리의 율(栗)자를 합쳐 중율리라 하였다. 중리는 십리가 훨씬 넘는 긴 골짜기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하여, 율리는 마을에 밤나무를 많이 심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자연 마을 죽리는 과거에 한 나그네가 대나무를 심으면 마을이 융성한다고 하여 대나무를 심게 되어 부르게 되었고, 신기는...
-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 중율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중율리 주민들은 마을 쉼터가 있는 중율리 179번지에 위치한 당집과 두 그루의 나무에서 매년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중율리 죽림 마을 동제의 연원과 시기는 알 수 없다. 다만, 미륵불에 동제를 지내는 것으로 보아 불교와 연관이 있을 것이라 추측된다. 마을 주민들은...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중리동·장하동·방동을 통합하면서 중리(中里)의 중(中)자와 장하(長河)의 하(河)자를 합쳐 중하(中河)라 하였다. 장하리는 임진왜란 당시 김정이란 선비가 피신 와서 이 마을을 개척하였는데, 마을 앞에 긴 하천이 흐르고 있어 장하리라 부르게 되었다고 하며, 중리는 장하리의 중간쯤에 위치하고 있다 하여 붙여진...
-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순호리와 군위군 의흥면 수북리를 연결하는 고개. 지경재는 동쪽의 240m 고지와 서쪽의 230m 고지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낮은 안부에 해당되며, 높이는 180m이다. 이 고개는 의성과 군위의 두 지역을 오가는 교통로로 활용되어 왔다. 지경재 주변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기반암은 중생대 백악기 하양층군에 해당되는 사곡층과 점곡층이다. 지경재를 기준으로 동쪽은...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대리리에서 의성군 옥산면 금봉리를 거쳐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과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청하면을 연결하는 일반 지방도. 지방도 930호선은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과 포항시 북구 청하면을 연결하는 도로로, 총 길이는 145.93㎞이다. 노선은 경상북도 구미시-군위군-의성군-청송군-안동시-청송군-영덕군-포항시로 연결된다. 지방도의 노선 번호는 남북 방향은 홀수,...
-
경상북도 의성읍 후죽리에서 옥산면 신계리를 거쳐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과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을 연결하는 일반 지방도. 지방도의 노선 번호는 남북 방향은 홀수, 동서 방향은 짝수를 부여한다. 3~4자리 번호를 부여하며, 도별 고유 번호를 사용하는데 경상북도는 3자리이며 첫째 자리는 9를 사용한다. 또한 남북 방향 도로는 서쪽부터, 동서 방향 도로는 남쪽부터 번호를 부여한다. 지방...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낙정리에서 사곡면 공정리를 거쳐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과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을 연결하는 일반 지방도. 지방도의 노선 번호는 남북 방향은 홀수, 동서 방향은 짝수를 부여한다. 3~4자리 번호를 부여하며, 도별 고유번호를 사용하는데 경상북도는 3자리이며 첫째 자리는 9를 사용한다. 또한 남북 방향 도로는 서쪽부터, 동서 방향 도로는 남쪽부터 번호를 부여한다....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명덕리과 신평면 청운리를 거쳐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면과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을 연결하는 일반 지방도. 지방도의 노선 번호는 남북 방향은 홀수, 동서 방향은 짝수를 부여한다. 3~4자리 번호를 부여하며, 도별 고유 번호를 사용하는데 경상북도는 3자리이며 첫째 자리는 9를 사용한다. 또한 남북 방향 도로는 서쪽부터, 동서 방향 도로는 남쪽부터 번호를 부여한다....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신흥리에서 의성읍 용연리를 거쳐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과 경상북도 경주시 황성동을 연결하는 국가 지원 지방도. 지방도 68호선은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과 경상북도 경주시 황성동을 연결하는 도로로, 총 길이는 389.552㎞이다. 노선은 충청남도 서천군-부여군-논산시-전라북도 익산시-충청남도 금산군-충청북도 영동군-경상북도 상주시-구미시-군위군-의성군-청송군-...
-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가산리에서 단촌면 구계리를 거쳐 경상남도 창녕군과 경상북도 안동시를 연결하는 국가 지원 지방도. 지방도 79호선은 경상남도 창녕군 유어면과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을 연결하는 도로로, 총 길이는 183,811㎞이다. 노선은 경상남도 창녕군-경상북도 고령군-경상북도 칠곡군-경상북도 군위군-의성군-경상북도 안동시로 연결된다. 도로의 노선 번호는 남북 방향은 홀수,...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매년 음력 정월 대보름을 전후하여 집집마다 지신을 밟고 풍물을 치면서 복을 비는 놀이. 지신밟기는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매년 음력 정월 대보름을 전후하여 동제를 지내고 난 후 마을의 풍물패들이 집집마다 지신을 밟고 풍장을 울리면서 한 해의 복을 비는 민속놀이이다. 지역에 따라 ‘마당밟기’, ‘매구놀이’, ‘마당굿’이라고도 부른다. 지신밟기가 언제부터 행해져...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아동 복지 시설 지역 사회 아동의 보호, 교육, 건전한 놀이와 오락의 제공, 보호자와 지역 사회의 연계 등 아동의 건전 육성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저소득층 수급권자, 차상위 계층이나 조손(祖孫) 가정, 한 부모 가정을 대상으로 민간 차원에서 진행되던 공부방을 2004년 보건 복지부에서 법제화하여 ‘지역 아동 센터’로 전국에 보급한 아동 복지 시...
-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지각을 구성하는 암석이나 지층의 성질 또는 상태. 의성 지역의 기반암을 구성하고 있는 지질은 중생대 쥐라기에 형성된 흑운모 화강암 지대와 중생대 백악기에 관입한 화산암류 지대 그리고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퇴적암류 지대로 구분된다. 화강암이나 화산암류로 이루어진 지역은 높이가 매우 높은 산지를 이루는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퇴적암류로 이루어진 지대는 높이가 2...
-
경상북도 의성 지역 일대에서 나타나는 땅의 기복과 형태. 의성 지역은 높고 낮음에 따라 산지와 구릉지 지역, 평야 및 분지, 하천으로 구분된다. 산지는 의성의 동부 및 남부 지역과 그 외 대부분 구릉지 지역으로 구분된다. 평야는 위천 양안에 충적 평야인 안계 평야가 있으며, 분지는 구릉으로 둘러싸인 의성읍 일대이다. 의성 지역을 흐르는 하천은 모두 낙동강으로 유입되며, 위천, 미천...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같은 본관의 성씨들이 모여 사는 마을. 집성촌은 삼국 시대 또는 고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조선 중기부터이다. 특히 조선 후기인 17세기 이후 집중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적장자 중심으로 상속 제도가 변화하고, 『주자가례(朱子家禮)』가 보급되면서 예학(禮學)이 발달하고, 종법에 입각한 가족 제도가 수용되면서 집...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창리동, 두역동, 외북면의 알길동과 안동군 일직면의 평팔동 일부를 병합하여 창리와 알길의 이름을 따서 창길동이라 하였다. 창리(倉里)는 조선 시대 천정석이 마을을 개척할 당시에 창고[社倉]를 설치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포동은 고을 아전이 벼슬이 싫어 은신처로 정한 곳이고, 개상곡은 개척한 마을이 골짜...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에 있는 산. 천등산을 보고 운중반월형(雲中半月形)이라 하여 구름 가운데 반달이 솟은 모양을 하고 있어, 산이 마치 하늘의 등불 같다고 하여 천등산(天燈山)이라고 이름 붙였다고 한다. 천등산의 높이는 347.1m로, 북쪽 사면은 괴촌천의 분수계에 해당되며 서쪽과 남쪽, 동쪽 사면은 안평천으로 유입되는 소하천의 발원지이다. 천등산의 북쪽을 흐르는 괴촌천은...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와 단촌면 상화리에 걸쳐 있는 산. 가뭄이 심할 때, 이 산에서 제를 올리면 비가 내렸다 하여 천제봉(天祭峰)이라고 하였다 한다. 또한 일제 강점기 측량 기지로서 정상에 돌로 표시된 표고점이 있어 푯대산, 푯대봉이라 부르기도 한다. 천제봉의 높이는 358.5m로, 북쪽 사면은 단촌면 상화리에 속하며, 남쪽 사면은 의성읍 중리리에 해당된다. 남대천의 소지...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로마가톨릭 교회. 의성의 천주교는 박해의 역사로부터 시작된다. 1801년(순조 1) 신유박해 때 주문모를 비롯한 교도 약 100명이 처형되었고, 약 400명이 유배되었다. 그중 경상도로 유배된 56명 가운데 강성철(姜成喆)이 바로 의성에서 세상을 떠났다. 또한 비슷한 시기에 안사면 쌍호동에 서울에서 천주교를 믿다가 박해를 받아 이곳으로 피신해...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철로 위에 차량을 운전하여 여객과 화물을 운송하는 설비 및 수송 체제. 한국에서 최초로 철도가 건설된 것은 1경인선 부설이며 미국인 모오스(Morse)에게 시설권을 주었으나 자금 조달에 실패하자 일본이 이를 인수하여 1897년 개통했다. 그 이후 1901년에 경부선이 착공되었고, 이어서 경원선, 호남선, 경의선이 완공되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대륙 침략과 북부...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시대에 안기도찰방(安奇道察訪)에 딸린 철파역(鐵坡驛)이 있었으므로 역마, 역촌 또는 철파라 하였다고 한다. 철파는 풍수상 마을 뒷산의 혈(血)이 약해 큰 인재가 안 난다고 하여 강하다는 뜻의 쇠 철(鐵)자와 방패를 나타내는 언덕 파(坡)자를 합해 부른 데서 연유한다. 자연 마을인 철파는 임진왜란 당시 주민들이 철방패와 같은 굳은 정신력...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청로리와 산운리를 연결하는 다리. 교량이 가설된 지역인 금성면 청로리의 이름을 따서 청로교라고 부르게 되었다. 1998년 새롭게 준공된 청로교에서 교량 길이의 합인 연장은 181.0m, 교량의 총 폭은 12.0m, 교량에서 차도만의 유효 폭은 12.0m, 지표면 또는 수면에서 교량의 바닥 판까지의 수직 높이는 6.0m이다. 교각과 이웃하는 교각 사이를 정의하...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청로리(靑路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 청로(靑路)에서 나온 명칭으로, 옛날 이 마을이 개척될 때 부근에 푸른 숲이 우거진 길이 많아 청로라 일컬었다 한다. 또한 이 마을이 예로부터 교통의 중심지로 주요 교통로가 지나갔기 때문에 청로라는 지명이 생긴 것으로도 보인다. 조선 시대에는 청로역이 있어, 역마라고도 불렀다. 조선 말 경상북도 의성군...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에 속하는 법정리. 청산리(靑山里)는 청화산(靑華山) 아래 위치하여, 마을 이름을 청산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경상북도 선산군 도개면의 청운동, 백운동, 신흥동, 갈현동 일부와 경상북도 비안군 내서면의 신촌을 병합하여 선산군 도개면 청산동이 되었다. 1987년 1월 1일 의성군 구천면에 편입되어 의성군 구천면 청산동이 되었다. 1988...
-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청계의 청(淸)자와 운방의 운(雲)자를 합쳐 청운이라 하였다. 운방(雲坊)은 마을이 구름 속에 달이 가려져 있는 것과 같다 하여 운중침월(雲中沈月)이라고 하다가 1850년에 운방이라고 개칭하였다. 청계(淸溪)는 임진왜란 때 남원 양씨(南原 梁氏)가 이 마을에 피난왔다 정착하였는데 맑은 물이 흐르고 있어 붙...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청산리와 구미시 도개면 다곡리, 군위군 소보면 보현리에 걸쳐 있는 산.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청화산(靑華山)은 원래 ‘화할 화(華)’가 아닌 ‘불 화(火)’를 써서 청화산(靑火山)이라 표기했다고 한다. 산이 푸르고 사철 꽃이 불타듯 만발하여 이러한 이름으로 불렀다고 한다. 그런데 이름 때문인지 유난히 산불이 자주 발생하였기 때문에, 어느 선비가 청화산의...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이루어지는 체육 관련 활동 및 그 제반 시설. 의성군은 체육 분야에서 일찍부터 저력을 발휘하여 야구·축구·농구·연식 정구 등에서 군세를 떨쳤다. 특히 한국 레슬링계의 대부로 명성을 떨친 김종석, 복싱계의 김보현 등은 한국 체육사에 기록될 의성 출신 체육인이다. 8·15 해방 이후에는 야구팀이,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에는 농구가 경상북도를 대표하였고 ,...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초전리와 대리리를 연결하는 다리. 초전교는 의성군 금성면 초전리 지역에 북서~남동 방향으로 설치된 교량으로, 의성군을 북서류하는 쌍계천을 따라 나란히 달리는 지방도 927호선에 건설되었다. 초전교의 명칭은 교량이 가설된 지역인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초전리의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1999년에 성능 개선 사업의 일환으로 보수공사를 통해 새롭게 준공된 초전교의...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초전리(草田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 이름에서 따온 명칭으로, 약 350년 전 조선 현종(顯宗) 때 마을을 개척할 당시 마을 일대가 풀이 무성한 풀밭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일설에 따르면 이곳은 조문국(召文國)의 궁터였는데 신라가 조문국을 합병을 한 후 평민의 거주를 금하여 초목이 무성하였다 한다. 또한 마을이 형성되기 전 부근에 역이 있...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음력 8월 15일에 지내는 명절. 추석(秋夕)은 음력 8월 15일을 일컫는데, 가을의 한가운데 달이면서 팔월의 한가운데 날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 연중 으뜸 명절이다. 추석은 다른 말로 가배(嘉俳), 가배일(嘉俳日), 가위, 한가위, 중추(仲秋), 중추절(仲秋節),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고도 한다. 추석 무렵은 좋은 계절이어서 “5월 농부 8월 신선”이라는...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가축을 사육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물자를 공급하는 사업. 축산업은 소, 돼지, 닭, 양, 오리 등의 가축을 기르고, 그 생산물을 가공하여 인간의 실생활에 필요한 물질을 공급하는 산업이지만, 조선 말기까지 축산의 발전은 미미하였으며, 식생활에서도 축산물의 비중은 낮았다. 국민 소득 수준의 증대로 식생활 문화가 변화하면서 축산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축산...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축산업을 경영하거나 축산업에 종사하는 생산자로서 축산 농민이 조직하는 협동조합. 의성 축산업 협동조합은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축산 농가 조합원들의 축산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축산물의 판로 확대와 유통의 원활을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자금·자재·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원들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립되었...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지역 주민의 화합과 문화를 활성화하고자 개최하는 대표 축제.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는 매년 의성군과 민간단체에서 주최·주관하는 축제가 열리고 있는데 대표적인 지역 축제로는 3~4월 의성 산수유 꽃 축제·의성 마늘 국제 연날리기 대회, 5월 신평 왜가리 축제·의성 어린이날 큰잔치, 7월 세계 의성 마늘 축제(예정), 10월 가을빛 고운 대축제·의성 쌀 문화 축제...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옥정리에 있던 공립 중학교. 건강한 사회를 구현할 인성을 함양하여 도덕적인 사람을 기른다,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하여 지식인을 기른다, 경쟁력을 키우는 창의력을 계발하여 창의적인 사람을 기른다, 나눔과 배려를 통해서 행복하고 다양한 교육 복지를 실천한다, 조화롭고 쾌적한 교육 환경으로 교육 공동체를 조성한다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 이...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행정 구역. 본래 빙산(氷山)이라는 냉기를 내뿜는 산이 있어 빙산면이라 불리어 오다가 조선 철종 때 냉기 때문에 인재가 안 나온다는 마을 사람들의 의견에 따라 춘산면(春山面)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 그후 인재가 많이 배출되었다고 한다. 본래 의성군 빙산면이었다가 조선 철종 때 춘산면이라 하여 효선(孝善), 불회(佛會), 상사(上思), 하사(下思), 봉미(...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에서 같은 본관의 성씨들이 모여 사는 마을. 춘산면은 8개의 법정리와 20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지역 전체가 험준한 산지를 이루며, 주변에 산두봉·북두산·구무산·늑두산 등이 솟아 있다. 지역 내 곳곳을 흐르는 소하천 연안을 따라 경지가 분포할 뿐 평야는 거의 없다. 춘산면에는 김녕 김씨, 경주 김씨, 일직 손씨, 의성 김씨 등이 세거하고 있다. 대사 1...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옥정리에 있는 춘산면 관할 행정 기관. 의성군 춘산면 주민들에게 필요한 행정, 산업 경제, 민원 및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1910년 「조선총독부령」 제8호에 따라 면이 행정 구역 단위가 되었으며, 1917년 10월 1일 면장과 유급 면서기·회계원·구장을 구성원으로 하는 춘산면사무소를 설치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민원 재정팀과...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아이의 출생을 전후하여 행하는 의례. 출산 의례는 한 집의 구성원들이 아들을 기원하는 기자(祈子) 행위로부터 생일에 이르는 의례를 통해 한 사람을 사회적 존재로서 인정하는 단계에서 행하는 의례이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가문을 계승하는 첫 시작은 남자 아이를 출산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였다. 집에서 태어난 아이에게 부정한 것이 침범하지 못하게 금줄을 치고 삼...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치선리에 있는 다리. 치선 2교는 의성읍 치선리 지역에 설치된 교량으로, 남대천을 따라 나란히 만들어진 군도 1호선에 위치해 있다. 치선 2교의 명칭은 교량이 가설된 지역인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치선리의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치선 2교에서 교량 길이의 합인 연장은 84.0m, 교량의 총 폭은 8.0m, 교량에서 차도만의 유효 폭은 7.0m, 지표면 또는 수...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치선리에 있는 다리. 치선 1교는 의성읍 치선리 지역에 건설된 교량으로, 남대천을 따라 나란히 달리는 군도 1호선에 건립된 다리이다. 치선 1교의 명칭은 교량이 가설된 지역인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치선리의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치선 1교에서 교량 길이의 합인 연장은 64.0m, 교량의 총 폭은 6.0m, 교량에서 차도만의 유효 폭은 5.0m, 지표면 또는...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자치동(自致洞)과 선암동(仙岩洞)을 병합하여 치선동(致仙洞)이라 하였다. 자치동은 치선 1리에 해당하는데, 원래는 마을 뒷산 형상이 암꿩같이 생겼다고 하여 암컷 자(雌), 꿩 치(雉) 자를 따서 자치동(雌雉洞)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건너 보이는 앞산[오토산]의 산혈이 매의 모양을 하고 있어 꿩이 매한테 옴...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치선 2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치선 2리 주민들은 마을의 남대천 건너편 언덕 위[치선리 246번지]에 위치한 당목에서 매년 정월 대보름 자정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치선리 동제의 연원 및 시기는 알 수 없다. 제관 세 명을 선정하여 동제를 지내던 형식에서 변화하여 20년 전부터 동장과 반장...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케이티 지사. 케이티는 유무선 전화, 초고속 인터넷 등 유무선 통신 서비스업을 주요 업종으로 하는 통신 회사이다. 1981년 한국 전기 통신 공사로 창립했으며 2001년 12월 케이티로 개칭되었고 2009년 6월 1일에 이동 통신 자회사인 케이티에프와 합병했다. 1973년 12월 의성 전신 전화 분실로 개국했으며 1982년 1월 한국 전기 통신...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도서리에 있는 케이티앤지 경북 본부 산하 지사. 케이티 앤지는 원래 담배와 인삼을 전매하던 국가 기관이던 것이 공기업으로, 다시 민영 기업으로 전환된 회사이다. 국가 기관이던 때의 명칭은 전매청이었으며, 1988년 12월 공기업으로 전환되면서 한국 담배 인삼 공사로 개칭되었다. 1996년 7월 홍삼 전매권이 폐지되었고, 1999년 10월 증권 거래소에 주식을...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2013년 4월 25일 진행한 타임캡슐 수장식. 의성 조문국 박물관 개관식을 기념하기 위해 의성군의 정치․사회․경제․문화 전 분야의 다양한 자취와 군민의 생활상을 타임캡슐에 담아 보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행사를 거행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2012년 7월부터 추진 계획을 수립하고 2012년 7월 25일부터 9월 7일까지 의성군의 기관 및 사회 단체, 학교, 출...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대리리에 있는 아동 복지 시설. 지역 아동 센터는 아동이 가난이나 기타 이유로 방치, 또는 방임되거나 적절한 보호를 받기 어려운 환경에 놓였을 때 아동의 생존권·복지권·문화권·발달권·학습권이 보장되도록 돕고, 아동·청소년에게 열린 문화 공간으로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건강한 성장을 돕기 위해 설립된 복지 시설이다. 의성군 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지역 아동...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대리리에 있는 천주교 안동 교구 의성 성당 소속의 공소. 1963년 새마을 사업의 편물 교육 담당자로 파견된 천주교 신자 이유정과 아네스 할머니의 만남이 금성면에 천주교가 처음으로 전파되는 계기가 되었다. 1965년 이유정이 현지인 전진규와 혼인하여 의성군 금성면 탑리리에 정착하면서 4명의 신도로 공소 예절을 시작하였다. 그 당시의 공소는 월세로 얻은 의성군...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대리리에 있는 전문 의료 기관. 탑리 성심 병원은 의성 지역의 취약한 지역 의료 환경을 개선하고 지역 주민의 건강 증진을 위하여 설립한 전문 의료 기관이다. 지역 중심·환자 중심의 진료를 실현하고, 취약한 지역 의료 인프라 개선을 통한 지역 의료의 안정적 성장을 도모하며, 지역 주민의 건강 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여 지역과 사회의 균형 발전에 이바지함...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탑리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 바른 마음으로 성장하는 인성을 갖춘 사람, 재미있게 스스로 공부하는 능력을 갖춘 사람, 자신의 특기를 계발하는 창의력 있는 사람, 착한 마음을 가진 사랑이 충만한 사람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 착하고 아름다운 사람이 되자’ 이다. 1963년 5월 27일 대한 성경 구락부 중등부가 설립된 이후 1966년 2월 8일...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탑리리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 탑리(塔里)에서 나온 명칭으로, 신라 때 세운 5층 석탑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자연 마을 고련[귀련·고현(古縣)]은 옛날 현청 소재지여서 또는 이곳에 현이라는 조그마한 나라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위마(位馬)[위매(渭梅)] 마을은 마을 뒤에 천마봉(天馬峰)이라는 산이 있고 그 생김새가 말이 누운 것...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대리리에 있는 중앙선 철도역. 탑리역은 중앙선 철도역으로 1940년 영업을 시작하였고, 현재까지 화물과 여객을 취급하는 보통역이다. 탑리역은 중앙선 철도를 개설할 때에 화물과 승객의 수송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1940년 4월 1일 무배치 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고, 1940년 6월 15일 보통역으로 승격하였다. 1950년 8월 7일 6.25 전쟁으로 역사...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도원리에 있는 다리. 탑산교는 의성군을 종단하는 중앙 고속 도로[고속 국도 55호선]에서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도원리 지역에 설치된 교량이다. 탑산교라는 이름은 교량이 가설된 지역인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도원리 탑산(塔山)에서 유래되었다. 탑산교의 상행선인 춘천 방향에서는 교량 길이의 합인 연장이 9.8m, 교량의 총 폭은 12.1m, 교량에서 차도만의...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시집온 여성의 성명 대신 출신지 등을 따서 새로 이름을 정하는 풍습. 전통 사회에서는 성명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성명 대신 택호를 즐겨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새로운 이름인 택호는 주로 출신지 이름이나 벼슬 이름을 따르는 경우가 많았다. 의성 지역에서는 정월 대보름날 주부들이 함께 모여 놀면서 택호를 짓는 사례가 있었다. 택호의 사용이 언제부터 비롯되었는...
-
경상북도 의성군의 도로·철도·수로 등을 통하게 하기 위해 땅속을 뚫은 통로. 현재 의성군은 중앙선 철도가 남북으로 통과할 뿐만 아니라, 중앙 고속 도로와 국도 4개 노선 및 지방도 8개 노선이 통과하고, 여기에 군도가 거미줄처럼 연결되어 경상북도의 중심지로서 교통의 결절지 역할을 하고 있다. 의성군 전체가 산지가 많은 지형임에도 불구하고 도로와 철도는 산지 사이의 계곡이나 하천과...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시 토구동(土邱洞)과 가매동(加梅洞, 佳梅洞) 일부를 병합하여 토매동(土每洞)이라 하였다. 토구(土邱)는 1684년(숙종 10)에 이단하(李端夏)라는 선비가 관직을 사직하고 팔도를 유람하던 중에 이 마을에 들려 구릉이 좋고 흙의 질이 좋다 하여 이름 붙였다는 설과 마을의 흙이 황토 점토질이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
-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지표를 구성하는 암석이 풍화·분해되어 생산된 흙. 의성군에 분포하는 토양은 암석이 풍화되어 광물질화되는 과정에 놓여 있는 물질로서 공기, 물, 생물 등에 의하여 형성된다. 암석이 제자리에서 풍화되어 토양화된 정적토와 풍화물이 운반·퇴적된 충적토로 구분될 수 있는데, 정적토는 산지나 산지 사면에 주로 분포하며 충적토는 하천 양안에 분포하는 것이 특징이다. 토양의...
-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을 진행하면서 자연 마을 토현(土峴)의 이름을 따서 리 이름으로 지었다. 자연 마을 토현은 이희정이 마을을 개척하였는데, 옛날 조문국(召文國)에서 흙고개를 넘어 왔다고 하여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도평(道坪)은 마을 앞에 들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말 의성군 외사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생산되는 우수하고 특별한 산물. 지역마다 지형, 기온과 강수량에 차이가 있고 토질이 달라 그 지방의 풍토에 알맞은 특산물이 생산된다. 특히 한국은 예부터 지역성이 강하여 지방 특산물이 많이 생산되었을 뿐만 아니라, 지방 자치제가 실시되면서 각 지역마다 지역을 홍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지역 특산물을 브랜드화하여 경쟁력 있는 산물을 생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의성군...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도원리에 있는 파카텍스의 합성 섬유 제조 공장. 파카텍스는 1997년 9월 11일 섬유 제조업, 원사 직물 제조업, 섬유 직물 임가공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12년 7월 현재 폴리에스테르 가연 가공사를 전문적으로 생산하고 있는 기업이다. 파카텍스 의성 공장은 1997년 9월 11일 설립된 이후 섬유 제조업, 원사 직물 제조업, 섬유 직물을 생산...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에 속하는 법정리. 팔등리(八嶝里)는 마을에서 밖으로 나가려면 산을 넘거나 위천의 나루를 건너야 했고 첩첩한 서쪽의 산등성이를 여덟 개나 넘어야 되서 붙여진 이름이다. 팔령(八嶺)·팔은(八隱)·팔동(八洞)으로도 불렀다. 팔은(八隱)이란 동쪽과 북쪽은 위천이, 남쪽과 서쪽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외지에서 잘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고, 팔동(八洞)이란...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성동, 상팔동, 하팔동을 병합하면서 팔동과 성동의 이름을 따서 팔성동이라 하였다. 한편 동네 사람들은 인근 여덟이나 되는 산봉우리에 성터가 있었다고 하여 팔성(八城)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상팔(上八)은 팔성 1리의 자연 마을로 팔성동(八城洞)의 위쪽에 자리 잡고 있어 웃바지 또는 상팔(上八)이라...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팔성리에 있는 정자. 팔성리 봉의정은 콘크리트조의 팔각정이다. 봉의정이라는 이름은 ‘소소구성 봉황래의(簫簫九成 鳳凰來儀)’라는 옛글에서 취한 것이다 팔성리 봉의정은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팔성리 산1에 있다. 구봉산(九峰山)의 제1봉 정상에 해당한다. 팔성리 봉의정은 1981년에 의성군청에서 건립하였다. 팔성리 봉의정은 구봉산의 아홉 봉우리 중에 제1봉에 만...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는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 의성군에서 팽나무는 공원수나 그늘을 만들어 주는 정자목으로 많이 심기고 있다. 그 가운데 보호수로 지정된 팽나무는 총 6그루로 단밀면 낙정리, 다인면 달제리·삼분리, 안사면 만리리, 금성면 구련리·개일리에 소재한다. 의성군에 분포하는 대부분의 팽나무는 25m까지 자라며, 껍질은 회색으로 밋밋하나 작은 요철이...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평지동과 죽림동을 병합하여 평림동이라 하였다. 평지(平地) 혹은 평림 마을(平林 마을)은 서당이 있었기에 서당 마을이라고도 하는데, 서당 앞에 큰 소나무 숲이 있었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라한다. 조선 전기에 평지 마을에는 관원의 관사와 창고가 있었다 하여 창 마을로 불러오다가, 비봉산의 봉황은 대나무 열매를 먹...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의례가 아닌 일상 생활이나 작업할 때 입는 전통 복식.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의 평상복은 계절에 따라 옷을 다르게 입었다. 여름에는 주로 삼베와 모시옷을 즐겨 입었고 봄·가을에는 목면을, 겨울에는 목면에 솜을 넣어 누빈 두꺼운 명주를 사용하여 손수 만들어 입었다. 그러나 1970년대 산업화 이후에 기성복의 대량 생산으로 대부분 읍내나 장터에서 옷을 사 입는다...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시행되고 있는 학교의 정규 교육 과정을 제외한 모든 형태의 교육 활동. 경상북도 의성군은 평생 학습을 통하여 군민의 삶의 질과 지역 전체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배움과 나눔이 실천되는 평생 학습 도시를 지향하고 있다. 그래서 의성군에서는 평생 교육 조례를 제정하고 평생 교육 협의회를 설치했으며, 관내 행정 기관 내지 사회단체를 중심으로 평생 교육 프로그램들을...
-
경상북도 의성 주민이 일생을 거치면서 인생의 중요한 단계마다 지내는 의례. 사람은 태어나서부터 죽을 때까지 일정한 시기마다 인생의 중요한 매듭을 짓는 일정한 단계를 거치게 된다. 즉 성인이 되고, 결혼을 하여 새로운 가정을 꾸리며, 자식을 낳고, 일생을 마감한다. 또한 사후에는 자손들에 의해 조상으로서 대접을 받는다. 이러한 특정 시기마다 치르는 일정한 의례를 평생 의례(平生儀禮)...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 있는 높이가 낮고 기복이 거의 없는 평탄한 지형. 의성군은 태백산맥과 남서쪽으로 이어진 소백산맥 사이에 위치한 동서로 긴 분지이다. 태백산맥의 산줄기는 의성군 춘산면에서 세 갈래로 갈라지면서 의성군의 동부와 북부에 높은 산지를 구성한다. 반면 의성군의 남부와 서부는 남서부를 가로질러 흐르는 위천(渭川)과 쌍계천(雙溪川) 등에 의해 구릉지와 평야 지대를 이룬다....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대리리에 있는 아동 복지 시설. 지역 아동 센터는 아동이 가난이나 기타 이유로 방치, 또는 방임되거나 적절한 보호를 받기 어려운 환경에 놓였을 때 아동의 생존권·복지권·문화권·발달권·학습권이 보장되도록 돕고, 아동·청소년에게 열린 문화 공간으로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건강한 성장을 돕기 위해 설립된 복지 시설이다. 2004년 11월 의성군 금성면 대리리...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음력 7월 초중순 무렵 마을 단위로 날을 정하여 하루를 먹고 노는 잔치 풍습. 풋구[호미씻이]는 들판의 잡초[草]를 제거한 다음에 하는 굿[宴]이란 뜻을 가진 것으로 짐작되며 한자로 옮기면 곧 초연(草宴)이 된다. 이 말은 주로 영남 지방, 그것도 경상북도에서 흔히 보이는데, 이 둘은 ‘풋구 먹는다’, ‘풋구 먹이 한다’, ‘풀굿 먹이 한다’, ‘초연 먹는다...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풍리리는 자연 마을 풍림(豊林)의 ‘풍’자와 상리·중리 마을의 ‘리’자를 딴 것이다. 자연 마을 풍림은 마을 주변에 수목이 울창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상리(上里)는 위쪽에 있는 마을이며, 중리(中里)는 상리와 장대리장대 마을 가운데 위치한 마을이다. 상리와 중리는 인접하여 있으며, 과거에는 두 마을을 신예곡(新禮谷) 또는 새락골이라고도 불렀...
-
음양오행설을 기초로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땅에 관한 이치를 설명하는 이론. 풍수지리는 취락의 입지 등 인간의 삶에 최적의 장소를 찾기 위한 전통 사상으로, 의성군 내 마을 곳곳에 풍수적 요소가 많이 남아 있다. 마을의 풍수 형국에 의해 마을 이름이 정해진 곳이 있다.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순호리 탄호(炭湖) 마을은 동쪽의 선암산(船巖山)이 배같이 생겼고 이 마을은 연료 창고 격에...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하련동과 해련동을 병합하여 하령동이라 하였다. 또한 김희열(金熙烈)이라는 선비가 1350년에 촌락을 형성하였는데, 한 때 큰 홍수가 마을을 휩쓸게 되자 다시 물 피해가 없도록 기원하는 뜻에서 하령(河寧)이라 불렀다고 하는 설도 있다. 구하령은 하령보다 먼저 형성된 마을이라 그렇게 이름지었다. 본래 경상북도...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하리(霞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에서 나온 명칭으로, 원래 마을 앞에 연못이 있어 물 하(河) 자를 써서 하동(河洞)이라 하였으나, 노을[경상도 방언으로 나부리] 하(霞) 자가 더 운치가 있어 한자를 바꾸어 하동(霞洞)이라 하였다 한다. 하동은 노을의 방언 나부리에서 유래한 이름인 나붓골 또는 나부로도 불린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어담리에서 발원하여 의성군 신평면 중율리를 거쳐 신평면 청운리에서 광산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하신천은 안동시 풍천면 어담리 어담지 부근에서 발원하여 북류하다가 어담 1교 부근에서 서쪽으로 흘러 풍천면 금계리와 의성군 신평면 중율리를 지나 의성군 신평면 청운리에서 광산천으로 합류한다. 길이는 9.1㎞ 정도이고 의성군에 해당되는 구간의 길이는 1.7㎞이다. 의성...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주변보다 낮은 하곡이나 범람원을 따라 일정한 유로를 유지하면서 사면의 경사 방향으로 흐르는 유수. 의성 지역의 하천 시스템에서 하천이 흐르는 일정한 유로를 하도라고 하며, 유역의 분수계 내에 모이는 물에 의해 하천의 유량이 결정된다. 분수계는 지표수를 나누어 흐르게 하는 산 능선의 정상부를 따라 형성된 경계선을 의미한다. 하천망을 분류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인...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하화(下禾)란 마을 앞 들이 넓고 기름져 특히 벼농사가 잘되는 곳인데, 큰 소(沼) 아래쪽에 위치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아랫수일[水逸][아랫실]이라 하였는데 수일 아래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자연 마을 수침(水浸)은 옛날에 마을 위쪽에 깊은 소가 있는데, 제방이 튼튼하지 못하여 홍수가 나면 물이 넘쳐 잠긴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상화리에서 발원하여 북서쪽으로 흐르다가 세촌리에서 미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하화천은 의성군 단촌면 상화리에 있는 천제봉[358.5m]의 북쪽 사면과 서낭재[215m]의 북쪽 계곡에서 발원하는 하천이다. 북서쪽으로 흐르며 하화리를 관통하고, 세촌리의 단촌 초등학교 부근에서 미천으로 유입된다. 두 개의 4차수 하천이 합쳐져 5차수 하천을 이루며, 5차수 하천 구...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윤암리에 있는 한국 불교 태고종 소속의 사찰. 학림사(鶴林寺)는 1945년 3월에 주지 강상문의 친모 조돌이가 대웅전 1동, 요사채 1동, 산신각 1동을 건립하여 창건하였다. 1986년에 5층 석탑을 세웠으며, 대웅전은 2008년 화재로 소실되어 그해 새로 중창하였다. 매월 초하루와 보름 법회 등의 정기 법회를 열고 있으며, 부처님 오신 날, 성도절 등의 불...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학미리(鶴尾里)는 이 지역의 자연 마을 학미에서 나온 명칭으로, 지형이 학의 꼬리처럼 생겨 붙여진 이름이다. 학미는 조문국(召文國) 시대 군량 보관 창고가 있었다 하여 가창(柯倉) 또는 깐창골이라고도 부른다. 본래 경상북도 의성군 상천면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학미동, 상고동, 하고동, 산마동 일부를 병합하여 의성...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한국 국토 정보 공사 산하 지사. 한국 국토 정보 공사 의성군 지사는 지적 측량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함으로써 국민의 재산권을 보호하고 지적 측량 기술의 개발 및 지적 제도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38년 1월 조선 지적 협회 대구 지부 의성 출장소로 설립되었다. 1949년 5월 대한 지적 협회 대구 지부 의성 출장소로 개칭되었...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한국 농어촌 공사 경북 지역 본부 산하 지사. 한국 농어촌 공사 경북 지역 본부 의성·군위 지사는 경상북도 의성군과 군위군 지역의 농·어촌 정비 사업, 농업 기반 시설 관리 및 농·어촌 지역 개발 사업 등을 추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28년 2월 9일 의성군 비안면 동부리에 비안 수리 조합의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61년 12월 13일 수...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도원리에 있는 한국 도로 공사 경북 지역 본부 산하의 영업소. 한국 도로 공사 경북 지역 본부 군위 지사 의성 영업소는 중앙 고속 도로 의성 IC를 통과하는 차량의 통행 요금 수납, 통행권 관리 및 영업 심사, 과적 차량 단속 등을 위해 설치되었다. 1995년 8월 25일 중앙 고속 도로 2차선이 개통되면서 중앙 고속 도로 부산 기점 156.7㎞ 지점에 설립...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 있는 한국 문인 협회의 의성 지역 지부. 1985년에 경상북도 의성 지역 출신 이용섭과 권영호의 발기로 의성 문학회를 결성하였고, 1987년에 연간집 『의성 문학』 창간호를 발간하였다. 2000년 10월 한국 문인 협회 의성 지부 창립 발기 모임이 개최됐고, 의성 지역 문학인들의 권익 신장과 문학 정보 교류를 위해 의성 문학회를 모태로 하여 2000년 12월...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활동하는 민속 예술 단체. 한국 민속 예술 연구원 의성군 지부는 의성 문화원 소속이며 의성군으로부터 사회단체 보조금을 받고 있는 민속 예술 단체이다. 사단 법인 한국 민속 예술 연구원 의성군 지부는 민속 예술 연구 진흥 기관으로서 민속 예술 전반에 관한 학구적 조사 연구 및 기예적 전수 발전, 원소재적 보존 육성 및 문화재적 수록 탐구, 국제적 교류 진흥과 민족...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원당리에 있는 한국 전력 공사 대구 경북 지역 본부 산하 의성 지역 지사. 한국 전력 공사 대구 경북 지역 본부 의성 지사는 고품질의 전력을 생산하여 의성 지역에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 관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36년 4월 15일 의흥 전기 주식 회사 안동 영업소 의성 출장소로 발족했다. 1961년 7월 1일 한국 전력 주식회사가 설립되면서 한국 전...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철파리에 있는 한국환경공단 대구경북지역본부 산하 폐기물 종합 관리 기관. 한국환경공단 대구경북지역본부 의성사업소는 의성 지역의 영농 폐기물 수거와 처리, 폐기물 관리 정책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자원 순환 사회를 구축하고자 설립되었다. 1980년 12월 1일 한국자원재생공사 의성사업소로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에서 개소했으며 1998년 10월...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시안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한동 저수지는 대구에서 국도 5호선, 중앙 고속 도로를 이용하여 의성 IC에서 내려 국도 28호선을 따라 안계에서 안사 방면으로 800m 가면 정안교가 있다. 정안교를 건너 우회전하여 아스팔트길로 900m 가면 시안 교회가 나오며, 교회에서 200m 가면 저수지 제방을 지나 좌측 산길로 올라가면 나타나는 2종 저수지이다....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 일대에 서식하는 양치식물 고사리목 면마과의 여러해살이풀. 의성군에 분포하는 한들고사리는 엽병이 가늘고 볏짚색이며 밑 부분에 인편이 밀집하고 있으며, 인편은 연한 갈색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한 피침형이다. 엽신의 길이는 7~20㎝, 폭은 2~6㎝로서 긴 타원형 내지 난형으로 잎이 뾰족하다. 홀씨주머니 무리는 잎사귀의 뒷면에 흩어져 있으며 다갈색이다. 포자에...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도원리에 있는 콘크리트 제품 제조업체. 한일 후형은 1972년 설립되어 콘크리트 타일, 기와, 벽돌 및 블록 등을 전문적으로 생산·공급하고 있는 회사이다. 본사는 의성군에, 지사는 영덕군에 두고 있다. 의성 공장은 1998년부터 현재까지 콘크리트 타일, 기와, 벽돌 및 블록 등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다. 1972년 설립된 한일 후형은 1995년 3월 10일에...
-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현리리와 군위군 고로면 낙전리를 연결하는 고개. 한티재라는 명칭은 포항에서 안계를 향하던 건어물 장수가 이 고개를 넘어가다 힘이 들어 쉬면서 한숨을 내쉬었다는 데서 명칭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한티재는 남서쪽의 580m 고지와 북동쪽의 590m 고지 사이에 있는 낮은 안부로 높이는 355m이다. 한티재를 중심으로 주변 지역에 분포하는 산지의 높이가 매우 높고...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와 점곡면 황룡리를 연결하는 고개. 한티재는 북쪽의 300m 고지와 남쪽의 280m 고지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낮은 안부로 높이는 235m이다. 한티재를 중심으로 동쪽 계곡은 옥곡천으로 유입되는 소하천의 발원지이며, 서쪽 계곡은 남대천의 소지류 하천의 발원지이다. 옥곡천은 북류하여 점곡면 면소재지에서 미천에 합류하는 하천으로 한티재는 미천과 남대천을 구...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봉양리와 비안면 자락리 그리고 안사면 중하리에 있는 산. 해망산은 한자를 풀이하면 바다를 갈망하는 산이라는 뜻을 지녔지만 그 유래는 알 수 없으며, 해명산(海明山), 굴암산이라고도 부른다. 해망산은 높이가 400m로, 북서쪽은 화두산[290.7m], 골두봉[315.0m] 등의 산지와 능선이 연결되어 있으며, 남동쪽으로는 높이 300m 내외의 산지와 이어져 있...
-
오인유(吳仁裕)를 시조로 하고 오국화(吳國華)를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세거 성씨. 해주 오씨의 시조는 중국 송(宋)의 학자인 오인유이다. 고려 성종 때 귀화하여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을 지내고 황해도 해주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그 후 후손들이 본관을 해주로 삼았다. 후손 중에 오연총(吳延寵)은 고려 예종 때 윤관(尹瓘)과 함께 여진족을 토벌하여 이부 상서(吏部 尙書)...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공공 문제 해결 및 공공 서비스의 생산·분배와 관련된 지방 자치 단체의 제반 활동. 일반적으로 근대 국가 성립 이후 1900년대 초에 이르기까지 행정의 주된 역할과 기능은 국가의 질서 유지에 있었다. 그러나 1900년대 중반 이후로는 국민의 일상생활 전반에 적극적으로 기여하는 방향으로 그 역할과 범위가 크게 확대되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질서 유지 기능뿐만 아니...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덕지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행현 저수지는 행현(杏峴)이라는 마을 이름에서 유래된 2종 저수지이다. 옛날 어떤 선비가 고개를 넘어 오는데 잠시 나무 그늘에 쉬다가 쳐다보니 살구가 있어 살구재라고 한 것이 행현(杏峴) 마을의 유래이다. 주변에 비봉산(飛鳳山)[579.3m]과 1368년(공민왕 17)에 왕사인 지공 국사와 나옹 선사가 창건한 천년 고찰 대...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는 겉씨식물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교목. 의성군에는 향나무가 많이 자생하는 편은 아니나 마을 앞에 정자나무나 노거수로 심겨져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가운데 점곡면 사촌리와 안사면 안사리에 보호수로 지정된 향나무가 각각 1그루가 있으며, 점곡면 사촌리에 경상북도 기념물인 향나무도 1그루 있다. 의성군에 생육하고 있는 향나무는 수고 20...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특산물인 마늘을 이용한 향토 음식. 의성 지역의 향토 음식으로는 의성 식혜·마늘 요리 등이 있다. 의성 식혜는 2009년 향토 음식으로 개발되어 현재 널리 알려져 있다. 의성의 특산물인 마늘을 알리기 위하여 생식 마늘 요리, 구운 마늘 요리, 데친 마늘 요리 등을 의성군청에서는 소개하고 있다. 의성 지역의 향토 음식은 대부분 마늘로 이루어져 있다. 현재 의성...
-
1945년 해방 이후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역사. 경상북도 의성군은 태백산에서 남으로 뻗은 태백산맥과 서남으로 뻗은 소백산맥이 소쿠리 모양을 형성하고 있는 지형에 위치한다. 태백산맥의 영천 보현산에서 온 줄기가 춘산면에서 두 갈래로 갈려져, 한 줄기는 북쪽으로 흘러 춘산면의 산두봉, 옥산면의 황학산, 단촌면의 갈라산을 만들고, 이곳에서 서쪽으로 굽어 신평면의 봉암산, 다인면의 독점...
-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현리 1리 대동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현리 1리 대동 마을 주민들은 마을에서 가음면 소재지 방면으로 가는 길에 조성된 아카시아 숲에서 매년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현리 1리 대동 마을 동제당인 아카시아 숲은 대동 마을에서 가음면 소재지 방면으로 약 200m 정도 떨어진 곳에 조성되어 있는...
-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에 속하는 법정리. 현리리(縣里里)는 이 지역에 고을 창고[사창(社倉)]가 있었으므로 창리, 창마, 창말로 부르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시 현리라 하였다 한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의 현리동, 중리동, 대동, 용산동, 척화동을 병합하여 의성군 가음면 현리동(縣里洞)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동을 리로 개...
-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현리 1리 척화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현리 1리 척화 마을은 마을 입구인 현리리 470번지에 위치한 소나무 숲과 돌무지에서 매년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현리리 척화 마을 동제의 시작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뒷산의 산짐승 피해를 막기 위해 오랫동안 동제를 지내왔다. 과거 10여 년 전에는 동...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현산리에 있는 대한 예수교 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현산 교회는 현산리에 복음이 들어온 뒤 몇몇 신도들이 가정 예배를 드리면서 시작되었다. 현산리의 유지 박갑만이 헌납한 165㎡ 대지에 미국 선교부의 자금 지원을 받아 1957년 8월 17일 목조 66㎡의 첫 예배당을 건립하였다. 1960년 경중 노회에서 예배당 건립 보조를 결의한 뒤, 노회 소속 교회들의...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뒤 화장산성(花藏山城)이 있어 성곡(城谷) 또는 성골이라 하였다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현산동(現山洞)이라 칭하였다. 현산의 명칭 유래는 정확히 전해지지 않는다. 자연 마을 대접 일명 대재비는 마을 도로변에 술을 대접으로 팔던 주막이 있어 유래한 이름이다. 아랫동네는 서쪽 계곡으로 가장 아래에 있는 마을이다. 도화동은 마을 산...
-
경상북도 의성군 중리리에 있는 현충 시설. 호국 동산은 일제에 항거한 독립지사와 6·25 전쟁, 베트남 전쟁 등에 참가하여 조국과 세계 평화를 위하여 목숨을 바친 영령들과 참전 유공자, 순국 공직자들의 뜻을 기리기 위한 충혼 시설이 있는 언덕이다. 그들의 숭고한 뜻과 빛나는 애국정신을 이어 받아 자주 국방과 안보 의식을 높이는 산 교육장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의성군청에서 호국 동산으...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죽은 사람의 넋을 저승으로 천도하는 굿. 혼덕굿은 죽은 자의 생전 원한이나 욕구를 풀어 주고 모든 죄업을 씻어 주며 천도하기를 기원하는 굿이다. 특히, 뜻밖의 재앙으로 죽거나 제명대로 다 살지 못하고 죽은 사람의 혼이 원한으로 산 자를 해코지를 한다고 생각될 경우, 무당을 불러서 굿을 한다. 이를 ‘넋굿’, ‘오구굿’이라고도 한다. 의성 지역은 ‘오구굿’이라...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삼분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홍연 저수지는 대조지(大鳥池)[다인면 외정리 소재 1985년 용도 폐지]와 함께 조선 시대부터 존속되고 있는 2종 저수지이다. 안계면에서 국도 28호선을 따라 경상북도 예천 방면으로 6.5㎞ 정도 가면 도로변에 홍연 저수지가 있다. 주변에 비봉산(飛鳳山)[579.3m]과 1368년(공민왕 17)에 왕사인 지공 국사와 나옹...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신흥리와 청송군 현서면 화목리를 연결하는 고개. 고개가 연결되는 화목리의 이름을 따서 화목재라 하였다. 화목령이라고도 한다. 화목재는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신흥리와 청송군 현서면 화목리 경계부에 있으며, 북서쪽의 구무산[676.2m]과 남동쪽의 산두봉[719.0m]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낮은 안부로 높이 395m이다. 화목재는 의성군 춘산면과 청송군 현서면...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병합된 화장동, 신기동, 무덕동에서 화장동(花庄洞)과 신기동(新基洞)의 이름을 따서 화신동(花新洞)이라 하였다. 화장골은 뒷산의 질구지골, 섭시골, 맷돌바우골, 물골 등이 서로 맞대어 있는 것이 꽃의 형상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탑동은 옛날 비안현 때 커다란 탑이 마을에 있었다 하여 탑동이라 불렀다 한다....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산제리 빗재에서 발원하여 화신리를 지나 쌍계리에서 쌍계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화신천은 의성군 비안면 산제리에 있는 빗제의 남쪽 사면에 위치한 영풍지 부근에서 발원하는 하천이다. 남쪽으로 흘러 화신리를 거쳐 쌍계리 쌍계교에서 쌍계천과 합류한다. 하천 길이는 9.2㎞이며, 유로 연장은 9.5㎞, 유역 면적은 15.82㎢이다. 화신천을 둘러싸고 있는 분수계는 빗재...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화전리에 있는 다리. 화전 2교는 경상북도 봉양면 화전리에 설치된 교량으로, 의성군을 종단하는 국도 5호선에서 북동-남서 방향으로 건립되었다. 화전 2교의 명칭은 교량이 가설된 지역인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화전리의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2005년에 성능 개선사업의 일환으로 보수 공사를 통해 새롭게 준공된 화전 2교의 상행선과 하행선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
-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 화전 2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사곡면 화전 2리는 마을 입구인 화전리 산53-3번지에서 정월 16일 아침 9시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화전 2리 동제의 연원과 시기는 알 수 없다. 다른 마을의 동제와는 달리 아침 9시에 간단히 제사를 지내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과거의 제의 양식을 그...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부녀자들이 삼월 삼짇날 화전을 부쳐 먹고 가무를 즐기는 놀이.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부녀자들은 삼월 삼짇날에 마을의 뒷산이나 경치 좋은 곳에서 화전을 부쳐 먹고 가무를 즐기며 노는 민속놀이인 화전놀이를 즐긴다. 이를 ‘화류놀이’ 또는 ‘꽃놀이’라 하기도 한다. 화전놀이의 기원은 『삼국유사』에서 “매년 봄철이면 김씨 문중 남녀가 시냇가에서 놀이판을 차리게 되니...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을 통폐합에 따라 자연 마을인 화전동에서 딴 것이다. 화전(花田)은 약 400년 전에 신지제(申之悌)가 마을을 개척하고 마을 앞 밭에 목련 꽃이 곱다 하여 화전이라 불렀다고 한다. 원지는 한말에 고관들이 지나다가 쉬어 갔다 하여 붙인 이름이다. 도리원은 과거에 있었던 시장 이름인 도리원을 따서 지은 이름이고, 안실은 약...
-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상전동, 하전동, 화곡동을 합치면서 한 글자씩을 따서 화전동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 상전(上全)은 16세기 중엽 의성인 김치화가 마을을 개척하면서 온 사방이 산으로 쌓여 있는 마을로 해마다 풍년이 계속되는 골짜기라 하여 안전풍(安全豊)이라 불렀는데, 이 안전풍보다 위쪽에 있다 하여 윗전풍이라 한 데서 유래되었...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황룡(黃龍)이라는 명칭 유래에는 전설이 깃들어 있다. 대곡용보(大谷龍洑)에는 청룡(靑龍)과 황룡(黃龍)이 살았는데 두 용이 크게 싸움을 하였다. 지나가던 검객이 이를 보고 궁지에 몰린 황룡을 구하기 위해 청룡의 꼬리를 칼로 친다는 것이 황룡의 목을 쳐 죽였다. 그 후 이 마을 사람들이 황룡의 혼을 달래기 위해 제사를 지내고 마을 이름을 황룡...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금학리와 안동시 길안면 백자리, 금곡리에 걸쳐 있는 산. 명확하지는 않으나 풍수지리상 지형이 학 형국이라 이름 붙였다 한다. 황사봉, 약칭으로 황산이라고도 한다. 황학산은 높이가 782.2m로, 북쪽의 갈라산에서 이어지는 지맥에 해당되며, 주변의 임봉산, 금학산, 두리봉과 함께 의성군의 동쪽 경계를 이룬다. 황학산의 동쪽 사면은 길안천의 발원지이며, 서쪽...
-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 음력 정월 대보름 저녁 횃불을 사용하여 이웃 마을과 싸움을 하던 놀이.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서는 매년 음력 정월 대보름날 저녁에 횃불을 무기로 하여 이웃 마을과 싸움을 하던 민속놀이인 횃불싸움을 즐겼다. 횃불싸움은 ‘홰싸움’, ‘거화전’이라고도 불린다. 횃불싸움이 언제부터 행해져 오던 놀이인지는 정확한 추정이 불가능하지만, 『동국세시기』에 “호서[현 충청도]...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는 노박덩쿨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 의성군에 분포하는 회나무는 정원수로 많이 심겨져 있다. 보호수로 지정된 회나무는 총 14그루로 가음면 가산 1리·가산 2리, 금성면 개일리·만천리, 다인면 달제리, 안평면 괴산 2리, 의성읍 업리, 점곡면 구암리에 소재하고 있다. 이외에 의성읍 도서리에는 경상북도 기념물 제2호로 지정된...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는 콩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 의성군에서 회화나무는 마을 어귀에 주로 심겨져 있다. 목재 및 약용 외에 정자목으로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점곡면 구암리에 있는 두 그루의 회화나무가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다. 의성군에서 생육하고 있는 회화나무는 일반적으로 수고가 25m 정도까지 자라며, 작은 가지를 자르면 냄새가 나는 것이 특징이다. 회화나무의...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자연 마을 효선에서 따온 이름이다. 효선은 성주 이씨가 1629년 마을에 정착할 때 한 사람이 효성이 지극하여 죽은 뒤 신선이 되어 하늘로 올라갔으며 이후 마을에서 그에 못지 않은 효부, 열녀가 많이 났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디. 불회(佛會)는 설만원이라는 사람이 개척하였으며 그 당시 북쪽에 남토사(南土寺), 남쪽에 교남사(皎南寺)가 들어서면...
-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병합된 효자리와 대제동에서 한 글자씩 따서 효제라 하였다. 자연 마을 효자리(孝子里)에는 못 둑이 활 모양 같아 활못이라 불리는 큰 못이 있었고, 북쪽 산기슭에는 활모산이란 마을이 있었다 한다. 그 후 못이 없어지면서 못 자리가 넓은 들판이 되니 마을이 넓은 들판으로 옮겨왔다고 한다. 이후 이 마을에 가난...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도암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효천 저수지는 대구광역시에서 국도 5호선, 중앙 고속 도로를 이용하여 의성 IC에서 내려 안계 방면 국도 28호선을 따라 다인면까지 간 다음 대곡사(大谷寺) 방면으로 5분 정도 지나면 나타나는 1종 저수지이다. 마을 사람들은 거무내못이라 한다. 마을 이름 거미내[주천(蛛川)]가 와전 되어 거무내가 된 것이다. 마을에서 동남...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에 속하는 법정리. 구 읍지에 의하면, 왜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현 의성 초등학교, 안동 세무서 의성 지서, 경상북도 의성 교육 지원청 자리를 잇는 곳에 4,727척이나 되는 길이의 토성이 있었다 한다. 의성 초등학교 부근은 군영이고 현재의 후죽리의 거의 전역은 활터로 알려져 있다. 사포(射布)로 된 과녁에 대나무로 만들어진 화살을 쏜 곳이라 하여 과녁 후(帿...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후평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후평 저수지는 단촌면 후평리에 있는 2종 저수지이다. 경상북도 의성에서 안동 방면 국도 5호선을 따라 약 10㎞ 가면 단촌면 소재지에 이르며, 단촌면 소재지에서 점곡면 방면 지방 도로를 이용해 3㎞ 가면 후평교에 이르고 다리를 건너 500m 가량 가다 후평 초등학교를 끼고 좌회전하면 저수지가 나타난다. 인근에는 681년(신...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후평리와 관덕리를 연결하는 다리. 후평교는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후평리 지역에 위치한 교량으로, 미천을 따라 개설된 군도 4호선에 북동~남서 방향으로 설치된 다리이다. 후평교의 명칭은 교량이 가설된 지역인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후평리의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교량 길이의 합인 연장은 135.0m, 교량의 총 폭은 9.5m, 교량에서 차도만의 유효 폭은 8....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에 속하는 법정리. 후평리는 고려 말 전주 이씨가 개척한 마을로서 면사무소가 위치한 들판 뒤쪽에 위치하므로 뒷들 또는 후평이라고 하였다 한다. 본래 의성군 구산면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구산면 명성동과 점곡면의 토일동을 병합하여 단촌면 후평동이 되었다. 1988년 5월 1일 군조례 제1225호에 의해 후평동을 후평리로 개칭하였다. 마을...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후평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후평리 무듬재 마을 뒷산 당목에서 매년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단촌면 후평리 당목은 마을에서 비탈진 기슭을 따라 올라가거나 혹은 무듬재를 넘어 고운사 방면으로 이어진 도로에서 마을 쪽으로 약 200m 정도 떨어진 곳인 후평리 산41번지에 위치한다. 나머지 한 곳은...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만천리와 사곡면 토현리를 연결하는 고개. 흙이 많이 쌓여 있어 이름 붙여졌다 한다. 흙고개, 흑고개, 토현(土峴)이라고도 한다. 흘고개는 북쪽의 340m 고지와 남쪽의 320m 고지 사이의 낮은 안부로 높이가 185m이다. 흘고개는 북쪽에 위치하고 있는 오토산[475m]에서 이어지는 능선과 남쪽의 금성산[531m], 비봉산[671.8m]에서 뻗어 나온 산자락...
-
경상북도 의성군 구천면 청산리와 군위군 소보면 보현리, 사리리를 연결하는 고개. 흰치 고개는 서쪽 청화산[700.7m]의 한 자락으로 고개의 서쪽 지역이 대체로 높이가 높은 특성을 보인다. 흰치 고개는 서쪽의 610m 고지와 동쪽의 330m 고지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낮은 안부이며, 높이는 205m이다. 고개와 주변 지역의 기반암은 대부분 퇴적암이다. 흰치 고개 일대는 중생대 백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