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중기 제주 출신으로 정려(旌閭)를 받은 열녀. 김천덕은 재색(才色)이 뛰어났고,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곽지리의 사노(私奴) 김연근(金連根)과 혼인하였다. 혼인한 지 20년이 되는 해 남편이 진상품을 수송하기 위해 항해 중 화탈도와 추자도 사이에서 배가 침몰되어 과부가 되었다. 3년 동안 상청에서 아침저녁으로 죽은 사람에게 음식을 올리면서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
조선 후기 제주의 효자. 본관은 밀양. 아버지는 박려한(朴麗漢)이다. 한림읍 옹포리에서 태어났다. 제주목의 서리를 지냈으며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다. 1710년(숙종 36) 12월 파직되어 떠나는 제주목사 최계옹(崔啓翁)[1654~?]을 따라 진상품을 싣고 출항하였다가 파선되어 겨우 사서도(斜鼠島) 근처에서 표착하였다. 부서진 배의 판자 조각에 부모와 이별하는 글 ‘...
조선 말기 제주 출신의 열녀. 본관은 여산(礪山). 아버지는 통정대부첨추오위장 송민환(宋敏桓), 어머니는 여산 한씨 한응성(韓應性)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지조가 있었고 친정이 부호였으나 화려한 것을 즐기지 않았다. 양기석과 결혼하였는데, 남편이 종숙(從叔)에게 양자로 가게 되어 시집에 생가와 양가 두 어머니가 같이 계셔서 집안이 몹시 어려운 처지에 있었는데도 원망하지 않고 집안을...
조선 후기 제주의 열녀. 남편 오륭복이 몹쓸 병에 걸려 정성껏 간호했으나 위독하게 되어 자기 몸으로 대신할 것으로 하늘에 빌었다. 하지만 끝내 사망하므로 장사를 치른 다음에 식음을 전폐하며 여덟 살의 아이를 늙은 노비에게 맡기고 남편을 따라 죽었다. 1834년(순조 34)에 정표(旌表)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라동 2025-2번지[아란13길 57-49]에 ‘열녀학...
조선 후기 제주의 효자. 제주목 우면 입석촌(지금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대림리)에서 유복자로 태어났다. 어머니를 극진히 섬겼고, 아버지 이세훈(李世薰)의 제사를 정성을 다하여 올렸다. 그러던 중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어머니 무덤 앞에 움막을 짓고 살며 제사를 지냈다. 어머니가 생전에 쇠고기를 먹지 않았으므로 죽은 후에도 쇠고기를 쓰지 않고 닭과 꿩고기를 썼다. 하...
조선 후기 제주의 열녀. 효자 박계곤(朴繼崑)[1675~1731]의 딸이며, 이항춘(李恒春)과 혼인하였다. 일찍이 남편을 여의게 되자 평생 지조와 절개를 지켰다. 그녀에게는 고소락(高所樂)이라는 몸종이 있었는데 주인의 정절에 감화하여 육십 평생을 시집가지 않고 주인을 섬기었다고 한다. 70세에 세상을 떠나니 세상 사람들은 그녀를 정절부인이라 칭찬하고 그 절행을 천거하니, 1794년...
조선 후기 제주의 열녀. 남편 전형원(田衡元)이 병들어 밤낮으로 간호하며 대신 죽기를 하늘에 빌었지만 끝내 남편은 지극한 간호에도 불구하고 죽자 성복(成服: 초상이 나서 처음으로 상복을 입는 것)한 후에 안방으로 들어가 문을 걸어 잠그고 자결하였다. 남편과 같이 장사를 치러 주었으며, 1814년(순조 14) 정표(旌表)되었다. 1814년(순조 1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라1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