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이원익이 허전의 「고공가(雇工歌)」에 화답하여 지은 가사. 「고공답주인가(雇工答主人歌)」는 조선 선조 때 경기도 광명 출신인 청백리 오리(梧里) 이원익(李元翼)[1547~1634]이 지은 총 86구의 가사로, 허전(許㙉)의 「고공가」에 답하는 형식의 작품이다. 이를 「고공답가(雇工答歌)」라고도 한다. 작자가 영의정을 ‘어른 종’에 빗대어 상전인 임금의 말을 듣지 않는 종...
2000년 경기문화재단에서 발행한 『경기문학지도』 1권에 수록된 광명 문학을 개관한 글. 「광명 힘찬 청년의 도시, 청년의 문학」은 경기도 각 지역의 문인들과 문학 작품을 고찰하여 기전문화예술총서 3권으로 간행된 『경기문학지도』 1권에 수록된 광명의 문학을 개관한 글이다. 경기문화재단에서 발행한 『경기문학지도』는 경기도 수원에서 군포에 이르기까지 경기도 16곳에 어떤 문인들이 살았...
1977년 김용성이 광명시 철산동을 배경으로 지은 소설. 「뻐꾸기에서 기러기까지」는 김용성이 1970년대 시흥군 서면 철산리[현 광명시 철산동]에 있는 어느 변두리를 배경으로 비약적인 경제 성장 이면에 생존 자체가 힘겨운 근로자들의 생활상을 묘사한 세태 소설이다. 1977년 문학사상사에서 발행한 『문학사상』 8월호에 게재되었다. 1. 발단: 벽돌장이 장식이 타지로 돈벌이 나간 아내...
1981년 기형도가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의 388번 버스 종점을 배경으로 지은 시. 「388번 종점」은 기형도(奇亨度)[1960~1989]가 발표를 하지 않은 16편의 시에 속한 작품이다. 「388번 종점」은 1981년 기형도가 20여 년을 살던 광명시 소하동 701-6번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시인의 5주기에 생전의 지인과 유족 대표로 구성된 편집위원회가 고인의 미발표시 16편...
1985년 경기도 광명시에서 활동한 기형도가 지은 시. 「시월」은 경기도 광명시에서 성장하여 29세 짧은 생애를 마친 기형도(奇亨度)[1960~1989] 시인이 1985년에 쓴 그의 유고시이다. 1989년에 문학과지성사에서 간행한 시집 『입 속의 검은 잎』에 수록되어 있다. 「시월」은 기형도의 작품 경향을 잘 보여주는 시로서 2007년 가수 심수봉이 노래로 불러 널리 알려지기도 하...
1985년 경기도 광명시에서 활동한 기형도가 안양천 뚝방의 안개를 소재로 지은 시. 「안개」는 기형도(奇亨度)[1960~1989] 시인이 살던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안양천 뚝방 길을 배경으로 하여 지은 시이다.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된 작품으로, 1989년 문학과지성사에서 간행된 기형도의 유고시집 『입 속의 검은 잎』에 실려 있다. 「안개」는 총 3부로 구성되었다. 1부는 단...
1988년 김종천이 경기도 광명시를 지나는 안양천을 배경으로 지은 시. 「안양천 미꾸라지」는 1993년 광명시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광명시지』에 수록되어 있는데, 오염된 안양천이 생태계를 파괴하여 미꾸라지가 살아남을 수 없는 지경이라고 고발하고 있는 시이다. 전라북도 남원시 출신인 김종천(金種千)은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를 중퇴하고, 군산사범학교 본과를 졸업하였다. 1982년...
2006년 우대식이 경기도 광명시에서 활동한 기형도의 삶과 시세계를 추모한 산문. 「천사는 지상에 오래 머무르지 않는다」는 경기도 광명 지역에서 성장하여 29세 짧은 생애를 마친 기형도(奇亨度)[1960~1989] 시인의 일생을 더듬어, 시인이 사망하기까지 그의 생전의 모습을 추모한 산문이다. 2006년 새움에서 발행한 시인 우대식의 평론 성격의 산문집 『죽은 시인들의 사회』에 수...
조선 후기 광명 출신의 문신 이원익이 먼저 세상을 떠난 부인을 애도하며 남긴 시. 1604년(선조 37) 이원익(李元翼)이 아내 영일 정씨(迎日 鄭氏)의 죽음을 애도하는 만시(輓詩)이다. 이 만시는 만장(輓章)에 쓴 것으로, 장사를 지낸 후 내용은 베껴 보관하고 태우는 것이 관례이나 이원익이 손수 쓴 것이라 특별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여 보존해온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따로 제목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