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 태백산맥 동부 지역에서 전해오는 대표적인 영동농악으로서 강릉시에서 전승되고 있는 농악. 강원도 영동 지방의 중심지인 강릉시를 비롯하여 동해시, 삼척시, 양양군과 고성군, 정선군, 그리고 평창군 등의 대표적인 농악이다. 강릉 농악은 현재 국가 무형 문화재 제11-4호로 지정되었으며, 강릉 농악 보존회가 보존과 전승을 담당하고 있다. 마당굿[판굿]은 질 먹...
-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하평리 하평 마을에서 음력 2월 6일 좀생이날에 다리를 밟으며 노는 민속놀이. 우리나라의 다리밟기는 대부분 정월 대보름날 하고 있으나 강릉시 사천면 하평리 하평 마을에서는 음력 2월 6일 좀생이날에 초승달과의 거리를 보고 풍흉을 점치는 좀생이보기 행사와 합쳐져 행하고 있다. 하평 마을은 조선조 중기 문신 하곡(荷谷) 허봉이 태어난 마을이므...
-
고무줄을 이용해 주로 여자 어린이들이 즐기는 놀이. 양쪽에 두 사람이 다리 사이에 고무줄을 감고 있으면 다른 아이들이 그 사이를 뛰면서 노는 놀이다. 이때 양쪽 아이들 사이에서 뛰는 아이들이 한 명일 수도 있고, 여러 명일 수도 있다. 처음에 1층에서 시작을 하는데, 1층이 끝나면 2층, 2층이 끝나면 3층으로 올라간다. 1층, 2층, 3층 등은 고무줄의 높이를 의미한다. 예를 들...
-
동해안별신굿이나 강릉단오굿의 천왕굿이 끝난 뒤 여흥으로 하는 무당굿놀이. 양중들이 하는 무당굿놀이로 도리강관원놀이, 춘향놀이라고도 한다. 먼저 원의 부임행차 길을 닦는 과정에서 관노인 고딕이가 도리강관을 비롯한 관리들의 부패상을 보여 주고, 새로 부임한 원이 기생 춘향이를 불러 수청 드는 장면을 묘사함으로써 상층 계층에 대한 반감을 표현했다....
-
큰 나뭇가지나 두 기둥 위에 나무를 가로 질러 두 줄을 맨 뒤, 줄 아래에 발판을 걸쳐 놓고 거기에 올라앉거나 서서 몸을 앞뒤로 움직여 날게 하는 놀이. 추천(鞦韆)이라고도 하고, 반공중에 노니는 선녀와 같다는 의미에서 반선희(半仙戱)라고도 한다. 단오 때 부녀자들이 즐기는 대표적인 민속놀이로 노소를 막론하고 누구나 할 수 있는 보편적이고 전국적인 놀이이다. 최세진의 『...
-
명절날 여성들이 널판 위에서 뛰는 민속놀이. 설날, 단오날, 한가위 등 명절날 여성들이 즐기는 활동적인 민속놀이다. 널뛰기는 정초에 주로 행해지므로 한 해의 건강을 기원하는 뜻도 있다. 실제로 널뛰기가 여성들의 신체단련을 위해 무술과목의 하나로 익혀왔다고도 하는데 “널을 많이 뛰어야 산에 나물 캐러 가서 다리가 아프지 않는다.”고 한다. 강릉에서는 정초 첫 호랑이날을 호...
-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삼산리에서 음력 3월 3일 삼짇날에 농악을 울리며 노는 행사.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삼산리 마을에서는 매년 삼짇날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명절이라 하여 화전놀이를 겸하여 농악놀이를 하였다. 도신놀이는 그 명칭이 신에게 제사를 올린다는 뜻으로, 본래 가신(家神)에게 지내는 종합제사 형태로 가을 10월 상달에 행하는 것이다. 그...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땅의 크기를 재면서 노는 여자 아이들의 놀이. 땅의 크기를 자신이 원하는 만큼 차지하는 놀이로 지역에 따라 놀이 방법이 다소 다르다. 강릉 지역에서는 자기 집을 정한 다음 돌로 만든 말을 튕겨서 영역을 확장한 후 집으로 돌아오면 차지하는 방법과 자기 집의 바깥 선에 왼손엄지 손가락을 대고 밖으로 가장 긴 장지로 반원을 그리며, 금을 그어 금 안의 땅...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정월달에 아이들이 윷을 던지며 놀았던 놀이. 분구놀이는 1936년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행해진 향토오락을 조사·정리하였을 때 보고된 것으로 똥개놀이라고도 한다. 다섯 명이 모여서 윷을 던져 자신의 역할을 정하는데, 가장 높은 수부터 좋은 역할을 맡았다. 분구는 똥개를 말하는데 천한 사람의 이름에서 명명된 것이다. 1941년 조선총독부에서는...
-
정월대보름 새벽 동이 트기 전에 마당에서 새 쫓는 흉내를 내는 세시풍습. 새쫓기는 곡식을 축내는 새를 쫓는 데서 생긴 이름이다. 농경민들의 최대 기원은 한해 농사가 풍요로운 결실을 맺는 것인데 새떼들의 극성으로 수확량이 적어지면 생산과 수입이 줄어들게 된다. 그래서 새떼들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해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 새를 쫓는 것이다. 새쫓기는...
-
강원도 강릉시에서 매년 음력 2월 6일에 행하는 민속놀이. 석전은 돌싸움이라고 하지만 돌팔매질을 하여 상대를 맞히거나 위협을 주어서 달아나게 만드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우리나라의 돌팔매놀이는 고구려에서 많이 행하였는데 매년 정월 초순에 국가적인 연중행사로 거행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후 고려시대에는 ‘척석군’, ‘석투군’이라는 돌팔매부대를 만들어 군대조직으로...
-
장례 때 상여꾼이 빈 상여를 메고 풍악과 노래를 하면서 마을을 돌아다니는 민속놀이. 손모둠은 출상(出喪) 전날 밤인 드장날 상두꾼을 정하고 빈 상여를 꾸며 행상하는 식으로 미리 해보는 것이다. 보통 세 번 하는데 ‘초초, 이초, 삼초’라며 상여소리를 불러 상주를 깨우고, 울리는 소리를 한다. 손을 모은다는 뜻으로 21명의 상두꾼이 모여서 서로 손발과 호흡을 맞춘다는 의미...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한 명이 술래가 되고 나머지 아이가 숨으면 술래가 숨은 아이들을 찾아내는 놀이. 숨바꼭질이라는 명칭은 순라(巡邏)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 술래가 되면 술래는 담이나 전봇대에 몸을 기대어 눈을 감고 하나·둘·셋… 등 숫자를 열까지 센다. 그 사이에 아이들이 인근 엄폐물 뒤로 숨는데, 열을 센 후에 술래가 눈을 뜬 다음에 숨은 아이들을 하나둘...
-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 일대에서 행해지는 민속놀이. 학산리는 강릉시에서 서남쪽으로 6㎞ 떨어진 역사문화마을로 강릉단오제의 주신인 범일국사가 탄생한 유서 깊은 곳이고, 「학산오독떼기」 농요가 전한다. 이 농촌마을에서는 산나물과 약초가 많이 생산되어 고비, 고사리를 봄철에 뜯어서 즐겨 먹었다. 신령산 괴비 고사리꺾기놀이도 나무하던 아이들이 산에 산나물을 뜯으...
-
강릉단오제 부대 행사의 하나로 마을 단위의 지역 공동체와 사회단체가 참가하여 벌이는 길놀이. 신통대길 길놀이는 음력 5월 3일 강릉단오제 영신 행차 때 마을이나 사회단체 단위로 조직된 팀이 정해진 주제에 따라 연출하는 길놀이의 명칭이다. 강릉단오제의 영신 행차 전통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새로운 문화콘텐츠로 2011년 강릉단오제위원회 주최로 시작되어...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매년 음력 4월 15일 대관령국사성황신을 모셔올 때 횃불로 신맞이를 하는 놀이와 의식. 대관령국사성황신은 강릉 단오제의 주신이다. 강릉 단오제는 음력 3월 20일 신주빚기로 시작하여 4월 15일 대관령에 있는 국사성황신을 강릉으로 모셔오는 영신제를 지낸다.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 기록에 의하면 신목을 베어 모신 대관령국사성황신의 행차가 제민원성황...
-
음력 정월 14일 아침에 수수깡으로 오곡의 모양을 만들어 타작하는 흉내를 내는 모의풍년기원행사. 오곡형상 타작하기는 ‘오곡형상걷기’라고도 하는데, 오곡이 풍년들기를 바라는 뜻에서 수수깡으로 쌀·보리·조·콩·기장 등 곡식의 모습을 만들고, 그것을 거름에 꽂았다가 타작하는 흉내를 내는 모방주술적 행위라고 할 수 있다. 타작하는 흉내를 내면서 ‘한 섬이오, 두 섬이오’라고 외...
-
강릉시 성산면 금산리에 있는 임경당(臨鏡堂) 우물에서 음력 정월 대보름날 새벽에 행하는 민속놀이 . 용물달기는 용수(湧水) 기원제 형식의 정월 놀이로, 정월 대보름 전날 저녁 짚으로 수신(水神)인 용의 모양을 사람 크기로 만들어 마을의 동서남북 네 곳의 우물에 용을 잠시 담갔다가 자정 무렵에 꺼낸 다음 임경당(臨鏡堂) 우물로 옮겨서 제사를 지내는 것이다....
-
음력 정월 대보름날 달을 보며 복(福)을 비는 풍속. 달을 바라본다고 하여 망월(望月)이라 한다. 동쪽에서 뜬다고 하여 영월(迎月)이라고도 하며, 우리말로 달보기, 달맞이, 망우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초저녁에 횃불을 들고 높은 곳에 올라 달맞이하는 것을 영월(迎月)이라 한다. 먼저 달을 보는 사람이 길하다. 그리고 달빛으로 점을 친다. 달...
-
제기를 만들어 차는 아이들 놀이 넉넉한 공간이 확보되는 운동장, 공터, 놀이터에서 한다. 제기를 만드는 방법은 예전의 엽전이나 동전 같은 것을 종이나 헝겊 혹은 비닐로 싼 후 그것을 가위로 길게 잘라내어 만든다. 여러 갈래로 잘게 나누는 것은 공기의 저항을 적게 만들어야 발로 찼을 때 위로 쉽게 올라가기 때문이다. 본래 제기는 겨울놀이의 일종이었다. 주로 정초에 놀았던 것이지만 지...
-
강릉의 초당마을과 송정마을에서 음력 2월 초엿새 좀상날 억지다리뺏기를 하던 민속놀이. 강릉에서는 음력 2월 초엿새를 좀상날 또는 좀생이날이라 한다. 좀생이는 묘성(昴星)을 말한다. 이날 초저녁(6~7시 사이)에 달이 떠오르면 달과 좀생이와의 거리를 보고 그해 농사의 풍년과 흉년을 점치는 것이다. 좀생이가 달에 가까이 따라가면 그해는 흉년이고 좀생이가 달에서 멀...
-
동해안 지역에서 세존굿이 끝난 뒤 여흥으로 진행되는 양중들의 굿놀이. 세존굿 뒤에 두 명의 양중이 각각 중잡이와 얼사촌으로 분장하여 도둑이라면서 상좌를 잡는다. 상좌가 훔친 물건을 하나씩 내놓는데 알고 보니 마을에 복을 주는 것이라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중잡이가 악사에게 도둑이 났다면서 호들갑스럽게 고한다. 혼자는 잡을 수 없다면서 얼사촌을 부른다. 둘이 만...
-
정월 들어 첫 번째 드는 쥐날, 즉 상자일(上子日)이나 대보름날 밤 농촌에서 논두렁이나 밭두렁에 불을 놓는 민속놀이. 강릉 지역에서는 정월대보름날 동쪽 산에 올라가 달맞이를 하면서 일 년 농사의 풍흉을 점치고 나서 다리밟기를 하는데, 각자 가지고 간 횃불(쥐불)을 가지고 쥐불놀이를 한다. 이웃 마을 사람들이 있는 쪽으로 횃불을 던지며 쳐들어가기도 하고, 준비한 횃대가 먼...
-
음력 정월 대보름부터 3~4일간 행해지는 농악대의 민속놀이. 음력 정초에 지신을 진압함으로써 악귀와 잡신을 물리치고 마을의 안강과 풍작 및 가정의 다복을 축원하는 신앙적 의례가 포함되어 있다. ‘지신(地神)을 밟아준다’는 뜻으로 땅의 신이 복을 가져다준다는 믿음에서 비롯되었다. 지역에 따라 ‘마당밟기’, ‘매구놀이’, ‘마당굿’이라고도 하는데 놀이절차나 복색 등은 약간의 차이가 난...
-
김을 매고 난 후 칠석(七夕)이나 백중(百中) 무렵에 농군들이 술과 음식을 차려놓고 벌이는 잔치. 질먹기는 두레 형태의 논농사에서 생겨난 뒤풀이 민속으로, 일꾼들의 고생을 보답하는 차원에서 술과 음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논김을 다 매고 난 다음 써레를 씻고 잔치를 베푼다는 의미의 스레씻이, 스레쓰시미라고도 하는데, 밭농사의 민속인 호미씻이 즉 세서연(洗鋤宴)과 유사하다....
-
나무로 깎은 팽이를 얼음 위나 단단한 흙 위에서 돌리는 놀이. 팽이치기는 팽이돌리기라고도 하는데 한번 돌리면 계속 돌아가게 하고, 경우에 따라 서로 부딪쳐 싸움을 걸기도 한다. 팽이는 옛 문헌에 ‘핑이’라고 하였는데 핑핑, 또는 팽팽, 삥삥 소리를 내며 돌아가므로 그 소리나 형태를 딴 명칭으로 볼 수 있다. 720년(성덕왕 19)에 쓰여진 『일본서기(日本書紀)』에는 일본...
-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에서 봇물을 더 끌어대려고 다투는 장면을 재연한 민속놀이. 천수답이 많은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에서 가뭄이 들 때 벌어진 논물로 인한 갈등과 화해의 과정을 민속놀이로 재연한 것이다.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는 전형적인 농촌으로 천수답이 많고 관개시설이 부족하여 가뭄이 들면 논물대기가 대단히 어려웠다. 따라서 가뭄이 심할 경우 봇물에...
-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 마을에서 농요와 농악이 어우러지는 가운데 전통적인 농사법과 과정을 놀이로 풀어서 보여주는 민속놀이. 요즘과 같이 관개 시설과 농사 기계가 없던 시절 천수답에 논농사를 지을 때 모심기부터 타작 때까지의 한 해 농사 과정을 보여주는 민속놀이로서, 우리 민족의 농경 생활사의 한 단면을 알 수 있다. 학산 농사풀이는 일곱 마당으로 나누는데...
-
음력 3월 3일 삼짇날, 자연을 완상하며 즐기는 민속놀이. 「화전가 노래」를 부르며 음식도 해먹는 야외놀이로, 봄에 핀 진달래꽃으로 유전병(油煎餠)을 만들어 먹게 되므로 화전놀이라 한다. 화전놀이는 꽃놀이라고도 하고 화류(花遊)라고도 하는데 비슷한 의미이다. 이외에 꽃다림, 꽃놀이, 답청절 등으로 부른다. 답청(踏靑)은 그 해 처음 돋은 풀을 밝는다는 뜻이 있고, 화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