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갱장록』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102276
한자 羹墻錄
영어음역 Gaengjangnok
영어의미역 The Records of Soup and Wall
이칭/별칭 『성조갱장록』,『열조갱장록』,『어정갱장록』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충청북도 음성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한석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잡록
관련인물 이세근(李世瑾)[1664~1735]|정조(正祖)[1752~1800]|이복원(李福源) 등 규장각 관원
저자 이세근(李世瑾)[1664~1735]
편자 이복원(李福源) 등 규장각 관원
저술연도/일시 1733년연표보기
편찬연도/일시 1786년연표보기
권수 8권
책수 4책
사용활자 활자본
간행처 규장각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처 주소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산 56-1

[정의]

조선 후기에 음성현감을 지낸 이세근이 1733년에 열성조(列聖朝) 19대의 업적을 서술한 책.

[개설]

이세근(李世瑾)[1664~1735]은 음성군 맹동면 쌍정리배미에서 태어났다. 1699년(숙종 23) 문과 갑과로 급제한 뒤 사헌부지평(地平)이 되고, 1699년(숙종 25)에 음성현감을 지냈다. 『갱장록(羹墻錄)』『성조갱장록』·『열조갱장록』·『어정갱장록』이라고도 하는데, 그 뜻은 왕이 열성의 교훈을 아침저녁으로 살펴 그 의리를 발견한다는 것이다. 유교정치의 근본사상과 그 실천에 관한 사례들을 모은 잡록이라 할 수 있다.

[편찬/발간경위]

1733년(영조 9)에 벼슬에서 물러난 이세근이 고향인 음성군 맹동면 쌍정리에서 『열성어제(列聖御製)』·『열성지장(列聖誌狀)』·『국조보감(國朝寶鑑)』을 참고하여 그 체재를 정하고,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경국대전(經國大典)』·『오례의(五禮儀)』·『문헌비고(文獻備考)』 등에서 관계 사실을 채록한 뒤 집필하여 『성조갱장록』이라고 하여 진상하였는데, 1785년에 정조가 규장각의 이복원 등에게 다시 명하여 20부로 편찬하게 하였다.

[서지적 상황]

서울대학교 규장각과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본서의 저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본이다.

[형태]

8권 4책으로, 활자본이다.

[구성/내용]

제1권에서는 왕조 개국의 경과를 서술하고 유교사상의 기본이 되는 경천사상의 발현으로서 천문기기(天文機器)와 지지(地誌)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제2권은 제가(齊家)에 관한 것으로, 왕의 선조·후손·가족·친척에 관한 사항이 수록되어 있다. 제3권에는 치국(治國)의 기초인 학문과 언로에 대한 사항이 수록되어 있다. 제4권에는 인재 등용과 백성을 위한 생업 권장에 대한 사항이 수록되어 있다.

제5권에는 각종 제사와 제도 정비에 대한 사항이 수록되어 있다. 제6권에는 문치주의의 실현과 불교를 비롯한 이단의 배척, 사병(私兵)의 제약과 외치(外治)에 관한 사항이 수록되어 있다. 제7권에는 풍속 순화와 군국(軍國)에 대한 공(功)을 권장하는 사항이 수록되어 있다. 제8권에는 구휼책, 형정, 경제정책과 왕이 신민을 접할 때의 법도 등에 관한 사항이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