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인문지리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100143
한자 人文地理
영어의미역 Human Geography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북도 음성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한주성

[정의]

충청북도 음성군의 지표상에 존재하는 인문적 사상(事象)들을 지리적 관점에서 분석한 분야.

[개설]

인문지리학의 아버지는 리터(Carl Ritter)[1779~1859]로, 리터는 지리학을 경험과학으로 규정하면서 공간적 관점에서 지역을 총체적으로 연구하며, 현상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객관적으로 규명하는 것으로 정의를 내렸다. 특히 리터는 지역 현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 자연·인간·역사와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근대적 의미의 인문지리학을 수립하였다.

인문지리학의 연구 분야는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의 다른 많은 학문 분야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인문 현상 중에서 무슨 현상을 연구 대상으로 하느냐에 따라 경제지리학, 교통지리학, 도시지리학, 촌락지리학, 사회지리학, 인구지리학, 역사지리학, 문화지리학, 정치지리학 등 여러 가지 분야로 나누어진다.

[지리적 위치]

1. 수리적 위치

음성군의 동쪽 끝은 소이면 문등리의 동경 127° 48′42″, 북위 36° 54′20″이고, 서쪽 끝은 대소면 내산리의 동경 127° 48′50″, 북위 36° 57′20″이다. 남쪽 끝은 원남면 문암리의 동경 127° 37′05″, 북위 37° 49′49″이고, 북쪽 끝은 감곡면 단평리의 동경 127° 37′50″, 북위 39° 09′10″로 남북으로 긴 군이다. 우리나라에서 거의 같은 위도 상에는 당진, 단양이 분포하고 있으며, 거의 같은 경도 상에는 춘천, 보은, 광양이 분포하고 있다.

2. 관계적 위치

음성군은 충청북도의 중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충주시, 서쪽으로는 진천군과 경기도 안성시, 남쪽으로는 괴산군, 북쪽으로는 경기도 이천시와 각각 접해 있다. 음성에서 청주까지의 도로에 의한 거리는 43.8㎞, 충주까지가 25.4㎞, 대전까지가 87.9㎞ 그리고 서울까지는 109.0㎞이다.

철도에 의한 거리는 음성역에서 청주역까지 48.2㎞(무궁화 열차로 소요시간 40분), 충주역까지 23.1㎞(19분), 대전역까지 96.6㎞(81분), 서울역까지는 189.4㎞이다. 음성읍을 중심으로 거리대별 중심지의 분포를 보면 20㎞ 이내에 괴산읍이, 30㎞ 이내에 충주시와 진천읍이 분포하고 있다.

음성군청은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621-1[중앙로 173]에 위치한다. 읍·면 간의 도로 거리는 음성읍에서 소이면까지가 7.8㎞로 가장 가깝고, 감곡면까지가 28.4㎞로 가장 멀다. 금왕읍생극면이 가장 가깝고 소이면이 가장 멀다. 소이면음성읍이 가장 가깝고 감곡면이 가장 멀다. 원남면음성읍이 가장 가깝고 대소면이 가장 멀다.

맹동면금왕읍이 가장 가깝고 원남면이 가장 멀다. 대소면삼성면이 가장 가깝고 소이면이 가장 멀다. 삼성면대소면이 가장 가깝고 소이면이 가장 멀다. 생극면금왕읍이 가장 가깝고 소이면이 가장 멀다. 그리고 감곡면생극면이 가장 가깝고 소이면이 가장 멀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음성군 읍·면 간 도로 거리

[행정구역]

음성군은 본래 진한(辰韓)의 영토였으나 그 후 마한(馬韓)의 영토가 되었다. 이어 고구려 장수왕잉홀현(仍忽縣) 또는 설성(雪城)이라 하였으며 처음에는 북쪽의 노음죽현(奴音竹縣)[현재의 이천시 장호원읍 선읍리]에 속하였고 그 후 금물노군(今勿奴郡)[현재의 진천군]에 속하였다.

신라는 지증왕 때부터 국력이 커지면서 553년(진흥왕 14)에는 한강 하류까지 점령하여 661~680년 문무왕 때에 서원경(西原京)[현재 청주시]에 속한 잉홀현은 자연히 신라의 영토가 되었다. 757년(경덕왕 16) 명칭을 음성현으로 바꾸고 흑양군(黑壤郡)[현재의 진천군]에 속하게 하였다.

995년(고려 성종 14) 지방 행정구역을 재편성할 때 충주부(忠州府)의 속현이 되었다가, 1356년(공민왕 5) 양광도 충주부 음성현이 되었다. 1413년(태종 13) 음성현을 설치하고 현감을 두었다. 1598년(선조 31)에는 음성현이 재정이 빈약하여 인접 현인 청안현(淸安縣)에 병합되었다가 1618년(광해군 18) 음성현으로 복귀되었다. 1662년(현종 3년) 다시 폐현이 되어 괴산군에 편입되었으며, 1663년(현종 4) 음성현으로 복현되었다. 이 때 음성현은 현재의 음성읍(陰城邑)원남면(遠南面) 지역을 관할하는 작은 현이었다.

1895년(고종 13) 현감제도를 폐지할 때 칙령 제98호에 의해 음성군으로 승격하고 군수를 배치하였으나 작은 군을 면치 못하던 중 1905년 지방 행정구역 재조정으로 충주군에 속해 있던 금왕면(金旺面)[금목면과 법왕면 합병], 생극면(笙極面)[생동면과 무극면 합병], 대소면(大所面)[대조곡면과 사다산면 합병], 소탄면(所呑面), 맹동면(孟洞面), 삼성면(三成面)[두의곡면, 천지면, 교내면 합병], 감곡면(甘谷面)[감미곡과 거곡 합병]의 6개 면을 편입하였다.

1912년 또 다시 소이면(蘇伊面)[소파면과 사이포면 합병]과 경기도 음죽군(陰竹郡) 동면의 노평리(老坪里) 일부, 하율면(下栗面)의 총곡리(叢谷里) 일부, 상율면(上栗面)의 팔성리(八星里)와 석교촌(石橋村)의 일부가 편입된 반면에 금왕면 석원리(石院里) 일부와 삼성면 용산리(龍山里) 일부는 경기도 이천시에 이관되었으며, 1914년 부령 제111호에 의해 9개 면이 되었다.

1956년 음성면이 읍으로 승격하고 1973년 중원군 신니면(薪尼面) 광월리(廣越里) 무수동(無愁洞)을 음성읍에, 괴산군 불정면(佛頂面) 문등리(文等里) 일부를 소이면에, 생극면 도신리(道新里) 일부를 금왕면에 각각 편입하면서 금왕면이 금왕읍으로 승격되었다. 2010년 5월 현재 음성군음성읍, 금왕읍, 소이면, 원남면, 맹동면, 대소면, 삼성면, 생극면, 감곡면의 2개 읍과 7개 면, 322개 행정리와 114개의 법정리, 1,242개 반, 651개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토지]

음성군의 면적은 520.53㎢로 이 가운데 음성읍이 16.6%로 가장 넓고, 그 다음으로 금왕읍(13.7%), 감곡면(13.3%), 원남면(12.5%)의 순이다. 2005년 현재 토지 이용을 보면, 음성군에는 임야 면적이 전체 면적의 54.4%를 차지하여 가장 넓어 반 이상을 차지하고, 그 다음으로 논(15.8%), 밭(12.8%), 도로(3.1%), 구거(2.3%), 공장용지(2.3%), 대지(2.2%), 하천(2.2%)의 순이다. 토지 이용의 반 이상을 차지하는 임야 면적의 분포를 보면, 음성읍이 19.9%를 차지하여 가장 넓고, 그 다음으로 감곡면(15.0%), 원남면(14.5%), 금왕읍(12.5%), 생극면(12.4%)으로 대체로 음성군의 중앙부 지역에 임야가 많이 분포해 있다.

경지 분포를 보면, 금왕읍음성군 경지 면적의 14.9%를 차지하여 가장 넓고, 그 다음으로 삼성면(13.5%), 음성읍(12.9%)의 순으로 나타난다. 공장 용지는 삼성면이 21.1%를 차지하여 가장 넓고, 그 다음으로 대소면(21.1%), 금왕읍(18.7%)의 순으로 중부고속국도에 연해 있는 읍·면에서 구성비가 높다. 대지는 음성읍이 17.1%를 차지하여 가장 넓고, 그 다음으로 금왕읍(17.0%), 감곡면(11.5%)의 순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음성군의 토지 이용 면적 구성비(2005년)

[인구]

2011년 8월 31일 현재 음성군의 읍·면별 가구 수와 인구 수를 보면, 먼저 가구 수 의 경우 금왕읍음성군 가구 수의 22.7%를 차지하여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음성군(19.6%), 대소면(17.5%), 감곡면(12.6%), 삼성면(9.6%)의 순이며, 원남면이 4.0%를 차지하여 가장 적다. 한편 인구 수의 경우는 금왕읍음성군 인구 수의 23.5%를 차지하여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음성읍(20.1%), 대소면(17.6%), 감곡면(11.9%), 삼성면(8.7%)의 순이며, 원남면이 3.5%를 차지하여 가장 적다.

다음으로 남녀별 인구 수에 있어서는 먼저 남자의 경우 금왕읍음성군 남자 인구 수의 23.3%를 차지하여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음성읍(19.7%), 대소면(17.7%), 감곡면(11.6%)의 순이며, 원남면이 3.4%로 가장 적다. 여자의 경우도 남자와 마찬가지로 금왕읍음성군 여자 인구 수의 23.7%를 차지하여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음성읍(20.5%), 대소면(17.5%), 감곡면(12.3%)의 순이며, 원남면이 3.6%로 가장 적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읍·면별 가구 수와 인구 수(2005년)

2011년 8월 현재 음성군의 가구 수는 38,373가구로 이 가운데 가족으로 이루어진 가구, 가족과 가족 이외의 사람과 함께 사는 가구, 1인 가구 또는 가족이 아닌 남남끼리 함께 사는 5인 이하의 가구인 일반 가구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외국인으로만 구성된 외국인 가구는 0.8%이며, 가족이 아닌 남남끼리 함께 사는 6인 이상 19인 이하의 가구인 집단 가구와 기숙사, 보육원, 양로원, 장애 시설 등에 살고 있는 집단 시설 가구는 각각 0.3%와 0.2%를 차지하였다.

일반 가구의 읍·면별 분포는 가구 수의 분포와 같이 금왕읍, 음성읍, 대소면, 감곡면의 순서로 많고, 외국인 가구는 대소면, 삼성면, 금왕읍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집단 가구는 삼성면, 금왕읍, 감곡면에, 집단 시설 가구는 꽃동네가 입지한 맹동면삼성면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음성군의 읍·면별 가구 수

[산업 활동]

2005년 현재 음성군의 취업자는 39,235명이고, 미취업자는 26,100명(가사, 통학, 기타 연소, 연로, 장애인 등)으로 15세 이상 인구의 경제 활동 참가율은 60.0%이다. 음성군의 산업별 종사자 구성비를 보면, 1차 산업이 0.7%, 2차 산업이 53.4%, 3차 산업이 45.9%를 차지하여 2차 산업의 인구 구성비가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3차 산업의 순으로 1차 산업의 인구 구성비가 가장 낮다. 산업별 종사 인구를 보면, 제조업에 취업한 인구 수가 전체 종사자의 53.0%를 차지하여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도매 및 소매업(8.3%), 숙박 및 음식점업(7.2%), 교육서비스업(5.5%)의 순서로 나타난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음성군의 산업별 취업 인구 구성비(2005년)

[취락]

1. 전업·겸업 농가

음성군의 촌락 형태는 주로 집촌 형태이며, 기능 상으로는 농촌이 적은 편이다. 군의 농가율은 24.7%이나 읍·면 간의 농가율 변동은 크다. 농가율이 가장 높은 소이면은 52.5%이고, 그 다음으로 원남면(49.8%), 맹동면(38.0%), 생극면(35.9%)의 순이며, 대소면이 15.2%로 가장 낮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음성군의 읍·면별 농가율

취락의 농업적 기능으로서 농업 경영은 전업 농가와 겸업 농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2005년 현재 음성군은 전업 농가가 전체 농가 수의 67.8%를 차지하여 2/3 이상이 전업 농가이다. 전업 농가율은 맹동면이 81.0%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원남면(78.0%), 소이면(73.9%), 생극면(70.5%), 감곡면(70.4%)의 순이며, 금왕읍이 59.7%로 가장 낮다.

겸업 농가는 금왕읍이 40.3%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대소면(40.0%), 삼성면(38.2%), 음성읍(32.7%)의 순이며, 맹동면이 19.0%로 가장 낮다. 겸업 농가 중 농업 이외 소득이 더 많은 2종 겸업 농가율은 금왕읍이 30.1%로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음성읍(27.8%), 대소면(27.0%), 삼성면(25.3%)의 순이며, 맹동면이 9.4%로 가장 낮아 겸업 농가율이 높은 지역에서 2종 겸업 농가율도 높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음성군의 전·겸업 농가의 구성(2005년)

2. 읍·면의 기능 분포

음성군 읍·면별 중심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3차 산업의 기능체 분포를 보면 모두 5,078개가 입지하고 있는데, 기능체 수가 가장 많은 업종은 도매업·소매업(기능체 수의 27.1%)이고, 그 다음으로 숙박 및 음식점업(23.7%)이다. 다음으로 기타 공공, 수리 및 개인 서비스업(14.0%), 운수업(11.2%)의 순이며, 이들 두 업종이 전체 기능체의 76.0%를 차지하고 있다.

기능체의 읍·면별 분포를 보면, 음성읍이 전체 기능체 수의 25.7%를 차지하여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금왕읍(24.6%), 대소면(17.4%), 감곡면(13.0%)의 순이며, 맹동면이 2.1%를 차지하여 가장 적다. 기능상으로 보아 음성읍·금왕읍음성군에서 제1계층에 속하고, 대소면·감곡면이 제2계층에 속하며 나머지 면들은 제3계층에 속하여 음성군은 3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음성군의 읍·면별 기능체 분포(2005년)

[개발 계획]

1. 목적

음성군 장기 종합 개발 계획의 목적은 첫째, 개발과 보전이 조화된 지역 산업을 육성하며, 균형 있는 산업 구조 조정을 통하여 고부가가치 기술 집약적 공업 육성과 신첨단 정보 기술 산업 지대로서의 첨단 기술, 정보, 유통의 집적을 꾀하는 것이다. 둘째, 지역 개발의 거점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정주 기반을 조성하며, 증가하는 인적·물적 자원을 감안하여 계획을 구사하고, 도시와 농촌 간의 생활 환경 시설을 정비·확충하여 균형적인 발전을 꾀하는 것이다.

셋째, 개발과 보전의 조화로운 지역 개발을 추진하며 지역 내 동·서·남·북 간의 균형 개발 및 지역 개발 시설의 균형 배치를 지향한다. 21세기 고도 정보화 사회의 출현에 따른 정보·통신 교류망을 구축하고 주민 생활 및 행정의 신속한 정보 관리 체계를 확립하며, 정보 단지 및 연구 개발(Research and Development: R&D) 기능을 강화한다. 넷째, 지역 고유의 전통 문화의 계승·발전과 지역 정체성의 확립을 비롯하여 군민의 유대감이 결속된 지역 공동체를 형성하고 통합 음성을 구현하는 것이다.

2. 중점 내용

첫째, 기존 산업 구조의 재편을 위해 민·관 합동 개발 기구를 설립하고 첨단 지식 관련 기술 교육과 훈련을 실시하고, 기업 및 연구 기관에 대해 연구 개발 자금 및 세제 혜택, 규제 완화 등 각종 재정 지원을 실시한다. 둘째, 지역 인적·물적 자원의 원활한 교류와 편리성, 경제성을 위해 지역 내 국도의 확·포장과 북부 고속화도로의의 신설, 음성IC 연결 도로의 설치, 지역 순환 도로망 체계를 구축하며, 교통 체증 해소를 위한 집산 도로의 설치와 버스터미널의 현대화 및 이전 정비를 추진한다.

셋째, 음성군의 공간 구조에 적합한 주거 환경의 실현을 위하여 도시 및 농촌 간의 생활 환경의 차이를 고려한 공동 주택 단지를 개발하고 전원 주택지로서의 문화 마을을 건설하고, 도심 주택지의 공원 구역 확대 등 주거 환경을 정비한다. 넷째, 지역의 균형 개발과 통합 음성 구현을 위해 귀속 의식을 고취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며, 주민에 의해 조직된 모임을 활성화시켜 지역 사회 개발의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게 하고 지역 정신 문화 운동을 전개한다.

3. 첨단지식 산업벨트

1) 읍·면별 개발 권역

충청북도의 지역 개발 계획에 의하면 음성군은 첨단지식 산업벨트에 속한다. 음성군에서 계획한 산업단지 개발 계획을 보면, 음성읍에 음성 혁신(innovation) 파크를 위시하여 원남·맹동과학공원(science park)을 건립할 예정이다. 이러한 개발 계획에 의한 권역 개발은 동부권·서부권·남부권·북부권으로 나누어진다. 음성읍소이면을 중심으로 한 동부권은 서비스 중심지와 도시 근교 농업의 발전에 중점을 둔다.

금왕읍을 중심으로 한 서부권은 대규모 산업 단지와 시설 채소 원예 농업 발전에 중점을 둔다. 원남면을 중심으로 한 남부권은 복지 및 전원 생활 중심지에 중점을 둔다. 생극면·감곡면을 중심으로 한 북부권은 신첨단 산업 지대와 과수 특작 농업 발전에 중점을 둔다. 그리고 이들 권역 사이에는 수도권 연계 개발벨트, 신첨단 기술정보벨트, 자연생태벨트, 중추 관리 도시정비벨트, 청주·충주 연계 개발벨트, 청정기술 전원생활벨트를 각각 구축한다.

2) 읍·면별 발전축

음성군의 발전축은 대내·외적인 환경 변화를 수용하고 지역 균형 발전과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다. 음성읍·금왕읍, 대소면맹동면의 일부 지역은 도시 재정비와 도시 기능의 개선이 필요함에 따라 도시 성장 관리축으로 설정하였다. 감곡면·생극면·삼성면은 수도권 근교 농업의 발전과 첨단 산업 입지의 증가로 농·공의 조화로운 균형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농·공 균형 육성축으로 설정하였다. 원남면·소이면맹동면의 일부 지역은 개발과 보전의 조화를 꾀하면서 청정 산업 위주의 첨단 산업과 생태 공간 조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청정기술 환경축으로 설정하였다.

3) 실천 과제

음성군 장기 발전 계획에 의한 실천 과제와 추진 전략을 지역 통합과 공동체의 차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기능을 확충하고 안정적인 정주 기반을 조성하기 위하여 소도읍 개발 사업을 적극 추진하며, 개별입지 공장의 집단화를 위하여 산업 환경 개선 지구를 지정해야 한다. 둘째, 대소면 지역에 계획적인 토지 이용과 산업 인력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신도시 개발을 추진하며, 계획적인 도시 정비를 위해 삼성 도시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셋째, 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대학 타운을 조성하고 산업 인력의 외부 유출을 막고 인력 정착을 위해 소형 임대 아파트 조성 사업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음성군의 장기발전계획에 의한 실천 과제와 추진 전략

넷째, 농촌 지역의 물리적 생활 환경 개선을 위하여 마을 공동체의 역사·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패키지 마을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마을별로 고유의 특성을 반영한 주민 밀착형, 전원 주거형 문화 마을을 조성해야 한다. 그리고 농촌 고유의 자연 환경 생태를 복원하기 위한 주민 참여 마을 가꾸기 사업을 실시하고 생활 환경 개선 사업을 위한 정부 지원을 적극 유도해야 한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음성군의 장기발전계획에 의한 마을 조성 사업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