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101669
한자 孝子
영어의미역 Dutiful Son
분야 종교/유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북도 음성군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정제규

[정의]

충청북도 음성 지역에서 전통시대에 부모를 효성으로 극진하게 섬긴 자녀.

[개설]

효 사상은 삼국시대에 이미 전개되었다. 고구려에서는 태학(太學)에서 오경(五經)과 중국의 사서들을 교육하였고, 신라도 국학(國學)에서 『논어(論語)』와 『효경(孝經)』 등을 교육하였다. 고려시대에는 국자감(國子監)을 설치하여 유교 경전을 학습하고, 『논어』와 『효경』을 필수 과목으로 하여 유교적 충효 사상을 중시하였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효 관념은 비로소 정치적·사회적 규범으로 체계화되었다. 충효를 근본으로 하는 삼강오륜이 중요시되었다. 충효에 모범적인 삶의 모습을 보여준 이들의 행적을 통하여 조선 사회는 풍속의 교화는 물론 사회를 안정시키는 통치력을 강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음성 지역에도 효와 관련된 인물과 유적이 상당수 남아 있어 정치적 사회적 규범으로 자리잡았던 효 사상의 영향을 알 수 있다.

18세기 중후반까지는 유교적 도덕 규범에 의한 공경의 대상이 되는 인물들이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그 이후에 효자는 물론 충신, 열녀와 같은 인물들이 늘어났다. 이 같은 경향은 정치적 사회적 규범으로서의 유교 관념이 사회 속에 자리 잡은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효자]

음성 지역에서 유교적 도덕 규범에 근거하여 효 행적을 높이 평가한 인물에 대한 기록은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으로, 효자로는 박호원(朴浩遠)·박정규(朴廷珪)·송광도(宋匡度)·정국량(鄭國樑)·민동량(閔東亮)·장석영(張錫永)·조유안(趙維顔)·이광하(李光夏)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음성 지역에서 효행으로 모범을 보인 가장 시대가 앞서는 인물은 송광도(宋匡度)이다. 진천인(鎭川人)인 송광도는 고려시대의 무신으로 정용낭장(精勇郎將)에 올랐다. 『조선환여승람』에는, 송광도의 효행이 명나라에까지 알려져 조선에서 정려가 내려졌고 본래 진천군 산정촌의 묘 아래에 있었는데 병자호란과 정유재란으로 소실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현재 송광도의 효자문은 음성군 맹동면 두성리에 있다.

조선시대의 인물로는 조유안(趙維顔)[1605~1672]이 있다. 송광도의 정려는 1724년(경종 4)에 세워졌는데, 효도와 학행으로 널리 알려져 가선대부(嘉善大夫) 호조참판(戶曹參判)에 증직되었고 정려가 내려졌다.

영조 대에는 신유(申維)[1653~1729]의 효자각이 세워졌다. 순조 대에는 민동량(閔東亮)[1660~1732]의 정려와, 민휘계(閔徽繼)와 5세손인 민정현(閔鼎顯)의 쌍효자각(雙孝子閣)이 세워졌다. 민동량의 효자문은 1806년(순조 6)에, 쌍효자각은 1812년(순조 12)에 세워졌다. 이들의 효행에 대한 내용이 『조선환여승람』에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고종 대에는 가장 많은 인물들이 효행의 본보기로 정려되었다. 1872년(고종 9)에는 이광하(李光夏)의 효자문이, 1883년(고종 20)에는 김순(金石+舜)의 효자문이, 1892년(고종 29)에는 이식후(李植垕)·이진도(李鎭道) 부자의 효자문이, 1899년(광무 3)에는 권국화(權國華)의 효자문이, 1903년(광무 7)에는 정운영(鄭運永)의 효자문이 각각 세워졌다.

[관련유적]

음성 지역에는 효와 관련된 인물과 유물이 상당수 나타나고 있는데, 그 유형을 살펴보면 효자문(孝子門)·효부문(孝婦門)·효자비(孝子碑) 등이 있다.

효자문으로는 음성군 음성읍 삼생리장석영(張錫永), 금왕읍에는 신평리민동량(閔東亮)·민정현(閔鼎顯)·민휘계(閔徽繼)의 효자문과 행재리의 이광하(李光夏), 유촌리조유안(趙維顔) 효자문이 있다. 소이면에는 충도리조용하(趙用夏), 대장리신유(申維), 후미리이식후(李植垕)·이진도(李鎭道) 부자의 효자문이 있고, 원남면에는 마송리고용진(高庸鎭) 효자문이 있다.

맹동면에는 우성리에 송광도(宋匡度), 통동리김순(金橓) 효자문이 있다. 또한 대소면 오류리에는 박호원(朴浩遠)박정규(朴廷珪)의 효자문이 있다. 삼성면에는 양덕리정운영(鄭運永), 용성리권국화(權國華) 효자문이 있다. 생극면 방축리에는 민해준(閔海俊) 효자문이 있다.

감곡면에는 상평리정국량(鄭國樑), 문촌리에는 윤기손(尹起巽)·윤기진(尹起震) 형제의 효자문 등이 있다. 효부문은 음성읍 삼생리장택한(張擇漢)장수황씨 효부문, 원남면 문암리의 곡산연문(谷山延門) 효열각(孝烈閣) 등이 있다.

효자비도 상당수가 전하고 있다. 음성군 음성읍 삼생리김명제(金明濟) 효자비, 소이면 비산리안중성(安中聖) 효자비, 금왕읍 도청리에는 정규영(鄭圭永) 효자비정인상(鄭寅尙) 효자비가 있다. 소이면 금고리에는 정의영(鄭義永) 효자비가 있고, 원남면에는 상당리정억성(鄭億成) 효자비 등이 있다. 생극면에는 차평리오창묵(吳昶黙) 효자비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