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팔성산성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100594
한자 八星山城
영어의미역 Palseong Fortress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팔성리
시대 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차용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성곽
양식 토성
건립시기/연도 삼국시대
높이 1m
길이 500m
둘레 600m
소재지 주소 충청북도 음성군 무극면 팔성리 지도보기
소유자 음성군

[정의]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팔성리 팔성산에 있는 고대 산성.

[개설]

팔성산성은 충청북도와 경기도의 도계에 걸쳐 있는 중요한 산성이나 고문헌에는 기록이 나타나지 않는다. 다만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에 “생극면 팔성리, 금왕면 관성리의 북방 약 400간 팔성산정에 있음. 토축으로서 현존하는 부분 약 500간, 반폐함”이라고 소개되어 있다. 그리고 같은 책 경기도편에 “율면 산성리 팔성, 본성은 음성군에 뻗어 둘레 약 300간의 토축임. 이천군에 있는 것, 약 40간 겨우 모양을 짐작하기 족함”이라고 되어 있다.

『전국유적목록』에도 역시 “생극면 팔성리, 토성, 둘레 약 100간, 반폐함”이라 소개되었고, 『문화유적총람』에는 “팔성산 정상에 위치하는 산성으로 임진왜란 때 향토 방위를 위하여 인근 주민들이 축조한 성이라 하며 여덟 번 싸워서 여덟 번 승리했다고 팔승산(八勝山)이라고도 전함. 현재는 대부분 붕괴되어 흔적만 남아 있을 뿐이며 토축 둘레 약 500m, 높이 약 1m, 두께 1.3m 정도이다.”고 더 상세하게 소개되었다.

[위치]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팔성리 해발 378m의 팔성산 봉우리에 있는 팔성산성은 음성과 진천, 경기도 이천과 안성을 통하는 길목에 위치하고 있어 교통상의 요지이며 사방을 두루 조망할 수 있는 전략적 거점이도 하다.

[형태]

산성의 형태는 테뫼식에 속하는 말안장 모양의 마안형 산성으로 성안에 평지를 이용하기 어려운 지형이므로 마안형의 안부를 평지로 만들어 이용하고 별도로 산봉우리를 이용하여 망대를 축조하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장대(將臺)를 겸한 주봉에는 비상시의 우물자리로 보이는 웅덩이가 있고, 우리나라 산성에서 많이 보이는 토단(土壇)의 흔적들이 발견된다. 성곽의 둘레는 약 600m로 추정되며 성안에서 삼국시대의 토기편들이 수습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