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233
한자 敎育
영어공식명칭 Education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중환

[정의]

부여 지역 교육의 역사와 현황.

[조선 시대 부여 지역의 교육 기관]

조선 시대 교육 기관으로는 향교와 서원이 있었다. 향교는 공자와 유교의 여러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는 한편 지방민의 중급 교육을 맡았던 국립 교육 기관이었다. 부여 지역에는 부여향교(扶餘鄕校)석성향교(石城鄕校), 임천향교(林川鄕校), 홍산향교(鴻山鄕校) 등이 설립되었다.

조선 전기에 세워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 부여향교부여읍 구교리 서쪽 기슭에 창건되었는데 18세기 중엽에 현 위치인 부여읍 동남리 445-1 일대로 이건되었다. 부여 향교의 건물의 배치는 공부하는 공간인 명륜당이 앞쪽에 있고, 제사 공간인 대성전이 뒤쪽에 있어 전학후묘의 구조로 되어 있다. 조선 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조선 후기 들어 교육 기능이 주로 서원으로 옮겨지면서 교육 기관으로서의 비중이 축소되었다. 갑오개혁 이후에는 신식 교육 제도가 시행되면서 교육 기능은 사라지고 유교 성현들에 대한 제사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다.

부여 지역의 서원으로는 1687년에 건립된 칠산서원(七山書院), 1693년 건립된 봉호서원(鳳湖書院), 1719년에 건립된 부산서원(浮山書院), 1740년 건립된 간곡서원(艮谷書院), 1757년 건립된 반산서원(盤山書院) 등이 있다. 서원들은 1868년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될 때까지 운영되면서 지방 유생들을 교육하였다.

[근대 이후 부여 지역의 교육 기관]

근대 들어 부여 지역에는 일제에 의하여 국권을 빼앗긴 1910년을 전후로 지방 유지들이 교육을 진흥하여 국권을 회복하고자 사립 학교를 설립하였다. 부여 지역의 민족계 사립 학교로는 소양의숙(蘇陽義塾), 신명의숙(信明義塾), 부흥의숙(扶興義塾)이 1900년대 초반에 설립되었고 임천군[부여군 임천면] 지역에 가림사립학교(加林私立學校)가 1900년대 초반에 개설되었다.

1908년 지방 유지들에 의하여 사립 석성관(私立石城館)이 석성군[현 부여군 석성면] 지역에 설립되었고 1909년 4월에는 홍산군[현 부여군 홍산면] 홍산 객사에 지방 유지들이 한흥학교(漢興學校)를 설립하였다. 1911년에는 부여공립보통학교[현 부여초등학교]가 설립되었다.

이외에도 김상찬(金相贊)이 설립한 동창학교(東彰學校), 손창근(孫昌根)이 설립한 건명학교(建明學校), 정영태(鄭永泰)가 설립한 창영학교(彰永學校) 등이 있었으나 1915년 일제에 의하여 강제 폐교되었다. 이후 1920년대부터는 1면 1교 정책이 추진되면서 각 읍·면에 공립 보통학교가 설립되었다.

[현재 부여 지역의 교육 기관]

2023년 현재 부여 관내의 교육 기관으로는 유치원 26개교, 초등학교 24개교, 중학교 11개교, 고등학교 5개교가 있으며 대학교로는 한국전통문화대학교 1개교가 있다. 초등학교는 부여읍에 5개교, 규암면에 3개교, 구룡면석성면에 각각 2개교, 은산면, 외산면, 내산면, 홍산면, 옥산면, 남면, 충화면, 임천면, 장암면, 세도면, 초촌면에 각각 1개교가 있으며 모두 공립 학교이다.

중학교는 부여읍에 2개교, 홍산면, 임천면, 은산면, 석성면, 세도면, 양화면, 규암면, 외산면, 구룡면에 각각 1개교가 있다. 규암면백제중학교, 외산면외산중학교, 구룡면용강중학교는 사립 중학교이다. 고등학교는 부여읍부여고등학교부여여자고등학교가 있고, 임천면부여전자고등학교, 홍산면한국식품마이스터고등학교, 규암면부여정보고등학교가 있으며 모두 공립 학교이다.

[참고문헌]
  • 『부여군지』 (부여군지편찬위원회, 1987)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 충청남도부여교육지원청(https://www.cnbye.go.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