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837
한자 崔瑩
영어공식명칭 Choe Yeong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316년연표보기 - 최영 출생
활동 시기/일시 1352년 - 최영 호군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354년 - 최영 대호군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357년 - 최영 서해평양니성강계체복사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358년 - 최영 오차포에서 왜선 격파
활동 시기/일시 1359년 - 최영 서북면병마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360년 - 최영 평양윤 겸 서북면순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362년 - 최영 도형벽상공신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363년 - 최영 판밀직사사로 승진
활동 시기/일시 1364년 - 최영 도순위사로 덕흥군 난 제압
활동 시기/일시 1365년 - 최영 동서강도지휘사로 왜구로부터 동강 수호
활동 시기/일시 1373년 - 최영 6도도순찰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374년 - 최영 경상전라양광도순문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374년 - 최영 양광전라경상도도통사에 녹훈
활동 시기/일시 1374년 7월 - 최영 양광전라경상도도통사로서 명나라군 토벌
활동 시기/일시 1375년 - 최영 판삼사사(判三司事) 역임
활동 시기/일시 1376년 - 최영 부여 홍산에서 왜구 격파
활동 시기/일시 1380년 - 최영 해도도통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381년 - 최영 수시중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384년 - 최영 판문하부사 및 문하시중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385년 - 최영 영삼사사에 제수
특기 사항 시기/일시 1388년 - 최영 딸 우왕과 결혼
몰년 시기/일시 1388년연표보기 - 최영 사망
추모 시기/일시 1397년 - 최영 무민 추시
묘소|단소 대자동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산70-2
성격 무신
성별
본관 철원
대표 관직 판문하부사|문하시중|영삼사사

[정의]

고려 후기 부여 홍산 지역에서 왜구를 격퇴한 무신.

[가계]

최영(崔瑩)[1316~1388]의 본관은 철원(鐵原)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최정소(崔貞紹), 할아버지는 최옹(崔雍)이고, 아버지는 최원직(崔元直)이다. 어머니는 지씨(智氏)이다.

[활동 사항]

최영은 1316년(충숙왕 3)에 태어났다. 처음에는 양광도도순문사(楊廣道都巡問使) 휘하에서 무용을 날려 우다치[于達赤]에 임명되었고, 1352년(공민왕 1) 조일신(趙日新)의 난을 진압하고 호군(護軍)에 제수되었으며, 1354년에는 대호군(大護軍)에 제수되었다. 1357년 서해평양니성강계체복사(西海平壤泥城江界體覆使)가 되었고, 1358년에는 오차포(吾叉浦)에 침략한 왜선 400여 척을 격파하였다. 1359년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 1360년 평양윤 겸 서북면순사(平壤尹 兼 西北面巡使)를 거쳐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가 되었고, 1362년 안우(安祐)·이방실(李芳實) 등과 함께 경도(京都)를 수복하여 1등의 공훈을 받고 도형벽상공신(圖形壁上功臣)이 되었다. 1363년 김용(金鏞)의 반란을 제압한 뒤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로 승진하였다가 진충분의좌명공신(盡忠奮義佐命功臣)이 되었으며, 평리(評理)와 찬성사(贊成事)를 지냈다. 1364년 덕흥군(德興君)의 난 때 도순위사(都巡慰使)로 여러 군대를 지휘하며 반란 세력을 제압하였고, 1365년 왜구가 교동(喬桐)과 강화(江華)를 침략하자 동서강도지휘사(東西江都指揮使)로서 군사를 거느리고 동강(東江)을 지켰다. 1371년 찬성사(贊成事), 1373년 6도도순찰사(六道都巡察使), 1374년 경상전라양광도순문사(慶尙全羅楊廣都巡問使)를 거쳐 진충분의선위좌명정란공신(盡忠奮義宣威佐命定亂功臣)에 녹훈되었다. 명나라 태조가 제주 말의 진상을 요구하며 제주를 공격하자, 1374년 7월 양광전라경상도도통사(楊廣全羅慶尙道都統使)로서 명나라 군사를 토벌하였다.

최영은 1375년(우왕 1) 판삼사사(判三司事)가 되었을 때 왜구가 연산(連山)의 개태사(開泰寺)를 도륙하고 원수(元帥) 박인계(朴仁桂)가 패하자 자진 출격하여서 홍산(鴻山)에 이르러 적을 크게 격파하고 적을 섬멸한 뒤 철원부원군(鐵原府院君)에 봉하여졌다. 나중에 최영의 휘하가 『홍산파진도(鴻山破陣圖)』를 진상하자 우왕이 이색(李穡)에게 명하여 찬(贊)을 짓게 하였다. 1378년 안사공신(安社功臣) 호칭을 받았고, 1380년 해도도통사(海道都統使)를 겸하였으며, 1381년 수시중(守侍中)에 올랐다. 1384년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와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임명되었고, 1385년 영삼사사(領三司事)가 되었으며, 1388년 딸이 우왕의 비가 되었다. 1388년 위화도회군에 성공한 회군 세력들은 최영을 고봉(高峯)으로 유배하였으며, 창왕이 즉위하자 다시 순군(巡軍)에 가두고 충주(忠州)로 유배 보냈다가 처형하였다.

홍산대첩은 1376년 최영이 61세의 나이에 부여 홍산에서 왜구를 격파한 전투이다. 최영은 공주를 거쳐 연산의 개태사를 약탈한 뒤 홍산으로 들어온 왜구 수백의 정예 부대를 상대하였다. 협소하고 험준한 지형에도 불구하고 몸소 군사의 진두에 서서 정예병을 동원하여 돌격하였다. 홍산대첩에서 최영의 승리는 왜구의 양광도 진출 야욕을 꺾었을 뿐만 아니라 고려군에게는 왜구에 대한 승리의 자신감을 갖게 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묘소]

최영의 묘소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산70-2에 있다.

[상훈과 추모]

최영은 1397년(태조 6) 무민(武愍)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