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방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825
한자 趙邦直
영어공식명칭 Jo Bangjik
이칭/별칭 숙청(叔淸),수죽(脩竹)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74년연표보기 - 조방직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09년 - 조방직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15년 - 조방직 병조정랑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18년 - 조방직 전라도도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26년 - 조방직 사헌부장령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27년 - 조방직 사헌부집의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31년 - 조방직 동부승지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34년 - 조방직 전주부윤 부임
몰년 시기/일시 1637년연표보기 - 조방직 사망
출생지 임천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지도보기
부임|활동지 전주 - 전라북도 전주시
묘소|단소 조방직 묘소 -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 점상리 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풍양(豐壤)
대표 관직 전주부윤

[정의]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가계]

조방직(趙邦直)[1574~1637]의 본관은 풍양(豐壤)이며, 자는 숙청(叔淸), 호는 수죽(脩竹)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조세헌(趙世獻)이고, 할아버지는 조덕기(趙德期)이다. 아버지는 풍덕군수 조응록(趙應祿)이고, 어머니는 조극근(趙克勤)의 딸 광주 조씨(廣州 趙氏)이다. 부인은 박준현(朴峻賢)의 딸 밀양 박씨(密陽 朴氏)이다.

[활동 사항]

조방직은 1574년(선조 7) 부여 임천[현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에 이해수(李海壽)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1609년(광해군 1) 증광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벽사찰방·홍문관전적·사헌부감찰을 거쳐 1615년 병조정랑이 되었고, 1618년 전라도도사로 부임하였다. 1626년(인조 4) 사헌부장령, 1627년 사간원사간과 사헌부집의를 거쳐 1631년 동부승지에 제수되었다.

조방직은 1634년 전주부윤으로 부임하였고, 전주부윤 재직 시에는 폐단을 제거하고 학당(學堂)을 일으켜 지역민들을 교육하였다. 1636년 좌승지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임천에 있던 아버지 조응록의 묘소 아래 정자를 지어 이경여(李敬輿)·김집(金集)·윤황(尹煌) 등과 교유하였다. 병자호란 때에는 인조(仁祖)가 남한산성으로 들어가자 김집과 함께 근왕(勤王)을 약속하였으나, 남한산성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여러 읍에 격문을 보내 의병을 모아 활동하다가 1637년 1월 사망하였다.

[묘소]

조방직의 묘는 부여군 장암면 점상리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