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725
한자 杞溪 兪氏
영어공식명칭 Gigye Yu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본관 기계 - 경상북도 영일군
입향지 부여두리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부여두리 지도보기
입향지 함양리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함양리 지도보기
입향지 신대리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신대리 지도보기
성씨 시조 유삼재(兪三宰)

[정의]

유삼재를 시조로 하는 충청남도 부여군의 세거 성씨.

[개설]

부여에 세거하였던 기계 유씨는 유성복(兪成福)의 자손이다. 유성복의 후손 중 부여에 세거하였던 분파는 진사공파(進士公派) 계열이다.

[연원]

기계 유씨(杞溪 俞氏)의 시조는 신라 때 아찬을 지낸 유삼재(兪三宰)이다. 유삼재의 후손 유의신(兪義臣)은 신라가 망한 뒤 고려에 복종하지 않았고, 고려 태조가 유의신을 기계현[현 경상북도 포항시 일대]의 호장에 임명하면서 후손들이 기계를 본관으로 삼았다.

이후 기계 유씨는 동정공파(同正公派)·전서공파(典書公派)·군기사사공파(軍器寺事公派)·부정공파(副正公派)·통덕랑공파(通德郞公派)·신계공파(新溪公派)·단성공파(丹城公派)·충목공파(忠穆公派)·진사공파(進士公派)·자산공파(慈山公派)·학생공파(學生公派)·부제학공파(副提學公派)·주부공파(主簿公派)·월성군파(月城郡派)·장사랑공파(將士郞公派)의 15개 파로 분파되었다.

[입향 경위]

기계 유씨 부여 입향조가 누구인지는 알 수 없지만, 유함(兪涵)을 파조로 하는 진사공파 후손들이 부여에 터를 잡고 세거하였다. 기계 유씨규암면 부여두리함양리, 은산면 신대리로 처음 입항하여 세거한 것으로 전한다.

[현황]

1987년에 발간된 『부여군지』에 따르면 부여군의 기계 유씨는 270호이며, 20호 이상 거주지로는 부여읍 54호, 규암면 72호, 은산면 24호, 임천면 24호, 초촌면 32호 등으로 파악되었다.

[관련 유적]

기계 유씨 관련 유적으로는 임천면 칠산리에 1687년(숙종 13) 지역 유림의 상소로 창건되어 유계(俞棨)를 배향하는 칠산서원(七山書院)이 있다. 유계는 병자호란 당시 척화를 주장하다가 임천에 유배되었고, 유배에서 풀려난 뒤 부여에 거주하다가 사망하였다. 칠산서원은 1697년(숙종 23) 사액을 받았고,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후에 복설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