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655
한자 大鳥寺石塔
영어공식명칭 Stone Pagoda of Deajosa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탑과 부도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197번길 112[구교리 126]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최병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5년 - 대조사석탑 재보수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5월 17일연표보기 - 대조사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90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대조사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대조사석탑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지정
현 소재지 대조사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197번길 112[구교리 761]지도보기
성격 석탑
재질 석재
크기(높이) 5.2m[높이]
소유자 대조사
관리자 대조사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구교리 대조사에 있는 고려 시대 석탑.

[개설]

대조사석탑(大鳥寺石塔)은 고려 시대 석탑으로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구교리 대조사에 있다. 대조사석탑은 지붕돌만 남아 있었는데, 1975년 탑신 일부를 찾아 다시 세웠다.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9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바뀌었다.

[위치]

대조사석탑은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197번길 112[구교리 761] 대조사의 원통보전 앞에 있다.

[형태]

대조사석탑은 2층의 기단 위에 올려진 삼층석탑이다. 높이는 5.2m이다. 위로 올라갈수록 줄어드는 비율이 비교적 낮아 안정감을 준다.

석탑의 기단은 220㎝ 크기의 하대석 위에 면석을 올리고, 모서리와 가운데에 우주와 탱주를 표현하였다. 갑석은 탑신 받침으로 낙수면과 수평에 가깝게 만들어졌다. 탑신은 1층에서 3층까지 몸돌의 모서리에 우주를 표현하였고, 사이에 장식이 없는 판석을 끼웠다. 1층 탑신의 규모는 너비 78㎝, 높이 54㎝이다.

지붕돌은 받침 등이 모두 1매석으로 층급 받침은 1~2층이 2단, 3층이 3단으로 표현되어 있다. 지붕돌 전각의 반전이 뚜렷하고, 추녀 끝이 약간 들려 있으며 합각이 수려하다. 상륜부는 1975년 재보수 과정에서 새롭게 조성하였다.

[의의와 평가]

대조사석탑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과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 시대 석탑 양식을 살펴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