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589
한자 恩山堂山城
영어공식명칭 Eunsan Dang Mountain Fortress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가중리 산10-23
시대 고대/삼국 시대/백제
집필자 최병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0년 1월 11일연표보기 - 은산당산성 충청남도 기념물 제153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은산당산성 충청남도 기념물로 변경 지정
현 소재지 은산당산성 -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가중리 산10-23 지도보기
성격 산성
양식 테뫼식[내성]
크기(높이,길이,둘레) 204m[내성 둘레]|427m[외성 둘레]
소유자 종중
관리자 부여군청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기념물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가중리에 있는 백제 시대 산성.

[개설]

은산당산성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가중리 은산 별신당 뒤쪽에 솟아 있는 야산의 정상부를 이중으로 둘러싼 산성이다. 2000년 1월 11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5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기념물로 변경되었다.

[건립 경위]

은산당산성금강으로 유입되는 은산천과 접하여 있으며, 주변에는 동쪽으로 사자봉산성부여 증산성, 남쪽으로 미녀봉산성월구리성이 가까이 있다. 은산당산성은 주변에 배치된 산성들과 함께, 산간 및 천변 교통로를 방어하기 위하여 건립된 것으로 여겨진다.

[위치]

은산당산성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가중리 산10-23에 있다. 서쪽의 은산리와 동쪽의 신대리를 경계 지으며 길게 뻗어 나간 능선의 끝단 봉우리[높이 60m]에 있다.

[형태]

은산당산성은 정상부를 중심으로 평면 방형에 가깝게 감싸는 내성과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살짝 돌출된 능선 선상부와 북쪽 및 남동쪽 경사면을 크게 감싸는 불규칙 장방형에 가까운 외성이 중심을 이룬다.

내성은 둘레 204m이며, 외성은 둘레 427m이다. 내성은 정상부를 둘러싼 테뫼식이다. 성벽은 편축이 기본이나 북벽 일부 구간은 내외 협축된 모습도 확인된다. 성벽의 잔존 높이는 4~9m, 너비 6~7m 정도로 잔존 현황이 양호하다. 서쪽과 남쪽 성벽은 성벽이 바로 만나지 않고 엇갈려 있어, 엇문식 문지로 추정된다. 외성은 북쪽, 북동쪽, 남쪽 등지에서 성벽이 확인된다.

성벽은 가파른 경사면 위로 편축된 것으로 보이며, 성벽 안쪽으로는 4~5.5m의 너비로 회곽도와 같은 평탄지가 확인된다. 성문은 남동쪽 모서리 부분에서는 높이 2.5m 정도의 성벽이 엇갈려 있는데, 역시 어긋문이 존재할 것으로 파악된다.

[의의와 평가]

은산당산성사비도성의 북서쪽에 있다. 부여 증산성, 사자봉산성, 미녀봉산성, 월구리성 등과 유기적으로 배치되어 있어, 이에 사비도성의 교통로와 방어 체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적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