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1119
한자 東谷書院
영어공식명칭 Donggokseowon confucian academy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성흥로 479-9[동사리 613-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장인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26년연표보기 - 동곡서원 건립
훼철|철거 시기/일시 1868년 - 동곡서원 서원훼철령으로 철거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30년 - 동곡서원 복원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5월 17일연표보기 - 동곡서원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92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03년 12월 31일 - 세도 동곡서원 흥학당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66호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1년 11월 19일 - 동곡서원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 지정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24년 5월 17일 - 동곡서원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지정
현 소재지 동곡서원 -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성흥로 479-9[동사리 613-1]지도보기
성격 서원
양식 겹처마 맞배지붕
정면 칸수 3칸[사우]|3칸[묘문]
측면 칸수 3칸[사우]|1칸[묘문]
소유자 종중
관리자 종중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동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개설]

동곡서원(東谷書院)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동사리에 있는 조신(趙愼)을 배향한 서원이다. 조신은 고려 시대 말 공민왕 때 회양부사(淮陽府使)를 지냈다. 1368년(공민왕 17) 형 조사공(趙思恭)이 김정 등과 함께 신돈을 살해하려는 모의를 하다 발각되어 죽임을 당하자 형제가 전국으로 흩어져 피신하였다. 조신은 이때 ‘조사렴(趙思廉)’이라는 이름을 ‘조신(趙愼)’으로 바꾸고 부여 지역의 임천에 은거하였다. 이색, 정몽주 등과 교유하였던 조신은 태종 이방원을 가르치기도 하였다. 태종이 왕에 즉위한 후 조신을 통훈대부 사복시정으로 추증하고, 조신의 묘에 수묘군(守墓軍)을 보내 관리하게 하였다. 조신은 조선 후기 세도 가문인 풍양 조씨 회양공파(淮陽公派)의 분파조(分派祖)로 알려져 있다. 동곡서원은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9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고시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어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변경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바뀌었다. 강학당인 흥학당은 2003년 12월 31일 부여군 향토문화유산 제66호로 지정되었다.

[위치]

동곡서원은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성흥로 479-9[동사리 613-1]에 있다. 세도면 행정복지센터에서 북서쪽으로 2㎞ 정도 떨어져 있다.

[변천]

동곡서원은 1826년(순조 26) 임천향교를 비롯한 부여 지역 유림들의 건의로 건립되었다. 1868년 서원훼철령으로 철거되었다. 1930년 부여 지역 유림 김승규(金升圭), 윤상간(尹相侃) 등이 창건을 추진하여 복원되었다. 1931년 ‘상절사(尙節祠)’라는 편액을 사우에 걸고 동곡서원이라 명명하였다.

[형태]

동곡서원은 사우, 묘문, 강학 공간인 흥학당과 화수루로 구성되어 있다. 사우는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이다. 묘문은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로 홑처마 맞배지붕 형식의 솟을삼문이다. 세도 동곡서원 흥학당은 전면부가 정면 3칸, 측면 2칸이고, 날개채에 해당하는 부분은 정면 3칸, 측면 1칸이어서 ‘ㄴ’자의 평면 형태를 띠고 있다. 화수루는 본채가 정면 6칸, 측면 2칸이고, 날개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이어서 ‘ㄱ’자의 평면 형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세도 동곡서원 흥학당과 화수루는 ‘ㅁ’자형 평면 형태를 띠는 살림집과 유사하다.

[현황]

동곡서원은 매년 음력 2월 중정일(中丁日)에 춘향제를 지내고 있다.

[의의와 평가]

동곡서원은 부여 지역 유림들이 조신의 절의 정신을 기리고자 세운 서원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