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938
한자 李戶喆
영어공식명칭 Lee Hocheol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민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01년 10월 29일연표보기 - 이호철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19년 - 이호철 휘문고등보통학교 재학
활동 시기/일시 1919년 - 이호철 3·1 운동 참여
수학 시기/일시 1923년 - 이호철 니혼대학교 재학
활동 시기/일시 1931년 - 이호철 부여에서 농민 계몽 운동 전개
활동 시기/일시 1932년 - 이호철 부여농민조합 결성을 주도하여 대표위원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33년 8월 10일 - 이호철 일제 경찰에게 체포
활동 시기/일시 1935년 11월 25일 - 이호철 공주지방법원에서 징역 1년 6월에 집행유예 5년 선고받음
몰년 시기/일시 1971년 12월 9일연표보기 - 이호철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87년연표보기 - 이호철 대통령 표창 수훈
추모 시기/일시 1990년연표보기 - 이호철 건국훈장 애족장 수훈
출생지 조현리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조현리 지도보기
학교|수학지 휘문고등보통학교 - 서울특별시 종로구 원서동
학교|수학지 니혼대학교 - 도쿄도 치요다구 쿠단미나미 4-8-24
활동지 서울 - 서울특별시
활동지 부여 - 충청남도 부여군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산23-1] 독립유공자 2묘역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대표 경력 부여농민조합 대표위원

[정의]

충청남도 부여 출신의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

이호철(李戶喆)[1901~1971]은 1901년 10월 29일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조현리에서 태어났다. 서울에서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재학 중이던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시위에 가담하였다. 1923년 말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東京]의 니혼대학[日本大學]에 재학 중일 때에도 재일 동포를 규합하여 대한 독립의 정당성을 인식시키고 민족정신 함양을 위하여 활동하였다.

이호철은 1931년 6월 부여군 홍산면을 비롯한 군내 여러 부락에서 농민들을 대상으로 한 야학과 노동조합을 조직하여 농민 계몽에 주력하였다. 1932년 부여농민조합 결성을 주도하여 대표위원을 맡았고, 1933년 8월 10일 일제 경찰에 체포되었다. 이후 1935년 11월 25일 공주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 6월에 집행유예 5년형을 선고받고 출옥하였다. 이호철은 1971년 12월 9일 사망하였다.

[묘소]

이호철의 묘소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산23-1]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에 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이호철의 공적을 기려 1987년 대통령 표창,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