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875
한자 柳東秀
영어공식명칭 Yu Dongsu
이칭/별칭 수보(秀甫),노곡(老谷)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행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79년 11월 25일연표보기 - 유동수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06년 - 유동수 진사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633년 - 유동수 의금부도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635년 - 유동수 의병 봉기
활동 시기/일시 1643년 - 유동수 이산현감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46년 9월 - 유동수 유택의 모반 고변
활동 시기/일시 1646년 9월 - 유동수 통정대부 가자
활동 시기/일시 1646년 11월 - 유동수 유배
활동 시기/일시 1646년 - 유동수 천안군수 부임
몰년 시기/일시 1654년 4월 28일연표보기 - 유동수 사망
추모 시기/일시 1654년 - 유동수 영국원종공신에 녹훈되고 호조참판 추증
추모 시기/일시 1659년 - 유동수 호조판서 추증
출생지 임천 - 충청남도 임천군
묘소 유동수 묘소 -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화수리 지도보기
성격 문인
성별 남성
대표 경력 천안군수

[정의]

조선 후기 부여 출신의 문신.

[가계]

유동수(柳東秀)[1579~1654]의 본관은 문화(文化)이며, 자는 수보(秀甫), 호는 노곡(老谷)이다. 아버지는 예빈시직장 유선민(柳先民)이고, 어머니는 김응상(金應祥)의 딸 언양 김씨(彦陽 金氏)이다. 부인은 해주 오씨(海州 吳氏)이다.

[활동 사항]

유동수는 1579년(선조 12) 11월 25일 부여 임천(林川)[현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에서 태어났다. 1606년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621년(광해군 13) 동몽교관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1633년(인조 11) 이후 의금부도사·제용감직장·사옹원직장·장례원사평·오위장 등을 역임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 청군이 도성을 함락하고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피난을 가자 의병을 일으켜 전라도 여산에 이르렀으나 강화가 성립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유동수는 1643년 이산현감으로 부임하였고, 1646년 3월 유탁(柳濯)의 모반 사실을 조정에 알린 공을 인정받아 9월에 통정대부로 품계가 오르고 토지와 노비를 하사받았다. 1646년 11월 고변이 조작되었다고 하여 체포되었고, 전라도 부안(扶安)으로 유배되었다가 함경도 경성(鏡城)으로 이배되었다. 유동수는 유배에서 풀려난 뒤 관직이 회복되었고, 1649년 천안군수로 부임하여 선정을 베풀었다. 1654년(효종 5)에는 김제군수에 제수되었으나 나이가 많아 부임하지 못하고 4월 28일에 사망하였다.

[묘소]

유동수의 묘소는 부여군 세도면 화수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유동수는 1654년 영국원종공신에 녹훈되고 호조참판으로 증직되었다. 1659년에는 특지로 호조판서로 증직되었다.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성흥로283번길 31-4[구교리 114]에 있는 임천 간곡서원(林川 艮谷書院)에 배향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