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000779
한자 閔起文
영어공식명칭 Min Gimun
이칭/별칭 숙도(叔道),역암(櫟庵)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부여군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근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11년 12월연표보기 - 민기문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31년 - 민기문 생원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540년 - 민기문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41년 - 민기문 홍문관정자 역임
활동 시기/일시 1543년 - 민기문 홍문관수찬 역임
활동 시기/일시 1546년 - 민기문 병조정랑 역임
활동 시기/일시 1547년 - 민기문 개성부도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548년 - 민기문 병조좌랑 역임
활동 시기/일시 1548년 - 민기문 부여 임천으로 유배
활동 시기/일시 1551년 - 민기문 해배
활동 시기/일시 1566년 - 민기문 성균관사예 역임
활동 시기/일시 1569년 - 민기문 사간원대사간 역임
활동 시기/일시 1573년 - 민기문 황해도관찰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574년 - 민기문 승정원좌부승지 제수
몰년 시기/일시 1574년 9월 30일연표보기 - 민기문 사망
거주|이주지 임천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지도보기
부임|활동지 개성 - 북한 개성특별시
유배|이배지 홍산 -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지도보기
유배|이배지 임천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남성
본관 여흥(驪興)
대표 관직 승정원좌부승지

[정의]

조선 전기 부여 지역에 거주한 문신.

[가계]

민기문(閔起文)[1511~1574]의 본관은 여흥(驪興)이고, 자는 숙도(叔道), 호는 역암(櫟庵)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민해(閔解)이고, 할아버지는 충청도관찰사 민사건(閔師騫)이다. 아버지는 우부승지 민원(閔㥳)이고, 어머니는 사직서영 정숙돈(鄭叔潡)의 딸 봉화 정씨(奉化 鄭氏)이다. 부인은 최흡(崔潝)의 딸 경주 최씨(慶州 崔氏)이고, 아들은 민이(閔涖)·민계(閔洎)·민용(閔溶)이다. 형은 민기충(閔起忠)이고, 동생은 민기무(閔起武)·민기정(閔起貞)이다.

[활동 사항]

민기문은 1511년(중종 6) 12월에 태어났다. 1531년 생원시에 합격한 뒤 성균관에서 수학하였고, 진우(陳宇)·한용(韓鏞) 등과 함께 정국을 주도하던 김안로(金安老) 부자를 비난하여 진우는 극형에 처해지고 민기문은 홍산(鴻山)[현 부여군 홍산면]으로 유배되었다. 민기문은 유배에서 풀려난 뒤 1538년 전강(殿講)[조선 성종 때부터 경서(經書)의 강독을 장려하기 위하여 실시한 시험]에 참여하여 회시(會試)에 직부(直赴)되었고, 1540년 식년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1541년 홍문관정자를 거쳐 1542년 홍문관부수찬이 되었고, 1543년 사간원정언·홍문관수찬을 역임하였다. 1545년(인종 1) 사헌부지평에 제수되었고, 1546년(명종 1) 병조정랑을 거쳐 1547년 개성부도사로 부임하였다.

민기문은 1548년 병조좌랑이 되었는데, 병조좌랑 재임 시 ‘양재역(良才驛) 벽서 사건’에 연루되어 임천(林川)[현 부여군 임천면]으로 유배되었다. 1551년 사면되었으나 중앙 정계에 나아가지 않고 임천에서 거주하다가 1566년 성균관사예에 제수되었다. 선조 즉위 후 홍문관 전한을 거쳐 1569년(선조 2) 승정원우부승지와 사간원대사간을 지냈고, 1573년 황해도관찰사로 부임하였다. 1574년 승정원좌부승지가 되었으나 9월 30일에 사망하였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